KR820001157B1 - 열가소성 재료로 부터 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재료로 부터 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157B1
KR820001157B1 KR7802549A KR780002549A KR820001157B1 KR 820001157 B1 KR820001157 B1 KR 820001157B1 KR 7802549 A KR7802549 A KR 7802549A KR 780002549 A KR780002549 A KR 780002549A KR 820001157 B1 KR820001157 B1 KR 820001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t
blast
glass
zone
j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벡끄 마르셀
빠띠갤 쟝아
플랑따르드 도미닉끄
Original Assignee
조오지 오스틴
쎙-꼬벵 앵드 스뜨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오지 오스틴, 쎙-꼬벵 앵드 스뜨르 filed Critical 조오지 오스틴
Priority to KR780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4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using centrifugal force, e.g. spinning through radial orifices; Construction of the spinner cup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가소성 재료로 부터 섬유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주 섬유제조 및 섬유수집 부분의 정면도(각 섬유형성 중심에 한쌍의 젯트가 작용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수직단면을 나타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에서 섬유형성작용을 확대하여 나타낸 투시도.
제3도는 젯트 오리피스 면에서 하나의 섬유형성중심성분을 통해 확대한 수직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장치의 섬유형성중심 성분의 단면도(본 도는 미합중국 특허원 제762,7895호에 따른 구체적인 도식임).
제5도는 제4도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투시도.
제6도는 몇개의 인접된 젯트들과 제4, 5도에서 응용된 블라스트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단, 블라스트 송풍장치와 형성되는 유리섬유는 생략함).
제7도는 제4도를 변형한 유사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섬유형성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부분적으로 수직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본 도는 미합중국특허 제3,885,940호의 제11도로 되어 있음).
제9도는 섬유형성중심을 통해서 본 단면도(제9a도는 본 발명의 에너지 국한 기술을 이용하지 않은 섬유화 중심에서의 작용을 나타낸 것이며 제9b도는 본 발명의 에너지 국한 기술을 이용한 섬유화 중심에서의 작용을 나타낸 것임).
제10도는 어떤 부류의 열가소성 물질의 섬유화에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함에 따른 이점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세장성 물질로부터 섬유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가지 열가소성 물질, 특히 유리와 같은 무기질과 가열에 의해 용융되는 이와 유사한 성분으로부터 섬유를 형성시키는데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장치는 또는 기구는 유리와 이와 유사한 열가소성 물질의 연신에 특히 유용하므로 다음은 실례로써 유리의 사용에 관하여 기술한다.
용융 유리의 연신을 위해 선회기류 또는 토레이도(tornadoes)를 이용하는 몇가지 기술은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내용에 기술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특허 제3,885,940호와 제3,874,886호는 큰 가스 블라스트 속으로 가스 젯트를 유입시켜 서로 역회전하는 몇쌍의 토레이도를 일으킴으로써 이러한 토레이도와의 상호작용 대역을 만들고, 이 대역속으로 용해된 유리분류를 유입시켜서 유리분류를 연신시키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토레이숀의 효과를 위한 장치의 여러가지 실시예가 상기에 언급한 특허원과 특허에 잘 설명되어 있으나 모든 경우에 젯트 또는 젯트 기류는 블라스트 속으로의 침투를 위한 것으로서 젯트는 단위체적당 운동 에너지가 블라스트보다 크며, 횡단면에 있어서 블라스트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갖게 된다. 모든 경우, 연신 물질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직접적으로 또는 처음부터 블라스트를 젯트의 영향력 속으로 운반시킴으로써 젯트와 블라스트의 상호작용 영역으로 유입된다.
다음의 분석내용을 고려하면, 제일 먼저 유리와 같은 열가소성 물질의 연신은 반드시 높은 온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유리를 예를 들어 1250℃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신 물질 및 형성되는 섬유와 접촉되는 연신 가스의 온도는 유리를 적절히 높은 연신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높아야 한다.
상기의 특허원 및 특허,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3,885,940호에서는 블라스트 및 젯트의 온도가 블라스트의 경우 1580℃ 젯트의 경우 800℃정도로 상당히 높다. 비록 선행특허원 제780,589호에서는 젯트 기류의 온도를 대기온도 또는 실온정도로 낮게 적용하고 있지만 블라스트의 온도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매우 높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은 젯트 기류(미합중국 특허원 제780,589호에서와 같이)뿐만 아니라 블라스트에 내해서도 낮은 온도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의 것과 크게 대조된다. 블라스트는 상당히 큰 체적의 가스를 포함하지만 각 섬유를 연신시키는데 실제로 이용되는 양은 극히 일부이고, 블라스트의 전 체적을 고온으로 가열한다는 것은 실제로 열 또는 에너지 손실의 결과를 가져온다.
열가소성 물질의 토레이션을 위한 기지의 기술에 있어서, 이러한 에너지 손실은 젯트와 블라스트 사이의 상호작용 대역에서 연신되는 섬유와 밀접하여 부분적으로 연소성성분을 연소시킴으로써 블라스트 전체를 가열할 필요없이 원하는 연신온도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로서 배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블라스트 발생장치로부터 송풍되는 가스의 온도를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상당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소위 "에너지 국한"이라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은 원하는 에너지 보존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이점도 취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술은 연신 후에 섬유의 급속한 냉각을 가능케 하여 급속한 냉각을 함으로써 여러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섬유의 강력을 증진시킨다. 또한 이것은 섬유장을 최대화할 수 있어서 대부분의 목적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 또 다른 이점들을 얻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 사용되는 여러가지 장치의 구현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의 사항을 유념하고, 첨부 도면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발명에서 사용된 장치에 대한 기술에 주의를 기울인다.
다음 설명에 있어서 도면들에 대한 구조를 먼저 설명한 후,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장치에서의 에너지 국한 형태를 분석하기로 한다.
먼저 제1도에서 8은 블라스트 발생장치 또는 버너를 나타내며 블라스트분사장치에는 송풍장치 9가 달려 있어 블라스트 10이 방사된다.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에서 이러한 방사는 수평방향으로 일어나지만 다른 방향으로도 할 수 있음을 알아두어야 한다.
"매니폴드"에는 가스 공급 파이프 13과 연결체 12를 통해 압축된 가스 매체가 공급된다. 제2, 3도에 잘 나타나 있듯이 "매니폴드"에는 여러쌍의 젯트 오리피스 14, 15가 있으며, 제2도에는 이러한 일련의 오리피스 쌍들이 14a-15a, 14b-15b, 14c-15c, 14d-15d, 14e-15e의 숫자로 나타나 있다. 각 쌍의 오리피스들로부터 송출된 젯트들은 위에 상응하는 문자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계에서 제2도의 투시도에는 3쌍의 젯트가 나타나 있는 반면, 제1, 3도에는 한쌍의 젯트(a-a)만 나타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1도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섬유형성 중심에서 한쌍의 젯트, 예를 들면 젯트 a-a는 이들의 공통 평면상에서 서로 부딪쳐 제1a도로 표시된 복합전달 젯트기류를 형성하고, 여기서 연신물질의 분류가 초기 연신단계에 도달하게 된다. 복합 젯트기류는 아랫방향으로 진행하여 블라스트 10속으로 침투해 들어가 젯트와 블라스트 사이에 소용돌이 형태의 상호작용 대역을 만들어 2차 연신단계를 형성한다.
제1도와 제3도에서 유리공급장치는 대개 16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부싱 17을 가진다. 부싱은 계량오리피스 19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일정 간겨을 한 일련의 유리사 장치를 가진다. 유리구 또는 유리콘(cone) G는 장치 18로부터 송출되어 아랫방으로 운반되어 유리분류 S가 된다. 각 섬유형성중심에는 이러한 유리분류가 한가닥씩 유입된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라스트 10에 가로로 위치한 일련의 섬유형성 중심으로부터 형성된 섬유들은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콘베이어 또는 벨트위에 섬유층 B의 형태로 쌓인다. 섬유의 퇴적은 한정된 챔버 내에서, 예를 들어 21에 나타난 벽면 안에서 일어난다. 흡입상자는 22에 나타난바와 같이 콘베이어 20의 밑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상자는 24에 나타낸 것과 같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흡입 팬을 가진 덕트(duct)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연신작용을 제2도와 제3도를 참고함으로써 가장 잘 설명되고 분석될수 있다.
각 섬유화 중심에서의 작용은 인접 섬유화 중심 내의 젯트 또는 젯트기류의 작용과 관련된다. 제2도는 젯트 b-b에 상응한 섬유형성중심에서의 작용을 완전히 설명하지만 젯트 b-b와 c-c에 상응한 섬유형성중심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밖에 설명하지 못한다. 제3도에서 젯트 a-a로 표시된 섬유형성중심에서의 작용은 확대하여 공정을 분석할 수 있도록 나타나 있고 즉시 오리피스로부터 가스젯트의 송출을 수반하며 젯트는 주위 가스 또는 대기를 유도한다.
이로 인해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젯트 a는 문자 j로 표시된 중심젯트코어로 이루어져 있고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가스 흐름 문자 i로 표시된 유도공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 가스 피는 젯트 기류가 진행됨에 따라서 팽창하여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당히 짧은 원추형의 중심부로 남는다.
이러한 코어는 오리피스로부터 송출되면서 젯트의 속도를 가지지만 젯트 기류가 진행하면서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유도공기 흐름의 속도는 떨어진다.
제2도와 제3도에서 여러개의 화살표는 젯트 기류와 블라스트 기류에 의한 공기의 유도를 표시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운동에너지와 크기를 가지고 있고 그 축이 공통 평면상에 있는 한쌍의 젯트가 서로서로 상대를 향하여 한점으로 모여서 상당히 예각으로 충돌하면, 충돌영역에서 아랫쪽으로 흐르는 젯트의 복합기류는 옆으로 퍼진다. 즉, 두 젯트축의 공통평면과 횡방향으로 퍼지게 된다.
젯트쌍들 또는 축평면들이 서로가 충분히 가까이 있어서 어느 한 복합기류의 측면 확산은 한쌍의 젯트의 복합기류가 인접젯트쌍들의 복합기류의 측면확산과 충돌함으로써 방해를 받는다. 인접한 젯트 쌍들의 복합기류의 충돌은 각 젯트 기류내에 두 쌍의 작은 토레이도를 일으키는데 각 쌍의 토레이도의 원점 또는 정점은 젯트축의 공통평면의 반대편에서 일정간격으로 위치한다.
제2도와 제3도에서 알수 있듯이 tu-tu로 표시된 이들 작은 토레이션의 상부쌍은 토레이도의 윗쪽에서 서로를 향하여 회전하여 아랫쪽에서 서로로부터 멀어져 가는 회전을 한다.
이와 반대로 문자 tl로 표시된 토레이도의 하부쌍은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젯트 상호간의 충돌 영역내의 두쌍의 토레이도 사이에 토레이도와 관련된 박층 기류지대 L이 형성되고 이 지대는 유도공기를 기류안으로 끌어들이는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토레이도의 상부 쌍쪽에 있는 층류내부로 유리분류가 유입된다. 제2도와 제3도에서 명백히 보는 바와 같이, 유리분류 S는 유리구로 부터 형성되는데 유리구 또는 유리콘은 젯트 송출장치로부터 수평으로 갈라져 나온 곳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유리구 G는 송출장치로부터 방출되면서 연신가능하고 유동적인 상태에 놓여지기 때문에 세장성 유리분류 S는 유리구가 수평으로 갈라진 위치로부터 층류지대 L을 향하여 구부러진다.
이러한 구부러짐을 유도공기가 강하게 유입됨으로써 발생되고 이 결과 세장성 물질의 분류가 박층지대로 들어가게 한다. 젯트쌍들과 관련되는 유리송출장치 18이 잘못 배열되었더라도 유도공기의 기류는 그러한 오배열을 자동적으로 보정하여 유리분류를 적절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로 부터 각 섬유형성 중심의 층류의 사이에 있는 대역에서 토레이도의 쌍을 발생시키고 세장성의 조건에서 연신물질을 이 대역내로 운반함으로써 유도공기는 연신물질의 분류를 자동적으로 층류내로 운반하고 오배열을 자동적으로 보정하여 씨스템내로 세장성물질을 아주 안정하게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장치와 유도공기 기류의 작용은 세장성물질을 씨스템내로 안정하게 유도하는데 그것은 유치 송출장치가 젯트 송출장치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어져 있는 곳에서도 가능하며 유리 송출장치와 젯트 장치의 적합한 온도조절을 용이하게 해주는 데에도 바람직한 일이다.
제2도의 우측에 있는 젯트 c-c로부터 시작하는 두 쌍의 토레이도의 단면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토레이도 tu와 tl의 쌍들은 박층지대 L의 하류로 합치려고 하고 토레이도들은 그들의 주체성을 잃으려고 한다. 그래서 제2도의 젯트 b-b의 쌍으로부터 시작되는 젯트가 합쳐진 젯트 기류라 아래쪽으로 진행해서 블라스트 10을 침투한다. 블라스트 기류내에서 젯트는 T로 표시된 토레이도의 쌍으로 특징지워지는 상호 작용지대를 발생시킨다. 이 상호작용 지대가 토레이션으로 간주되는데 미합중국 특허 제3,874,886호와 제 3,885,940에서 충분히 설명되어 있다.
또한 제2도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유리분류 S는 층류지대 또는 유리의 유입지점과 젯트가 블라스트 내로 침투하는 지점의 사이에 있는 젯트 기류내에서 미리 에비 연신되기 쉽다. 또한 부분적으로 연신된 분류는 젯트 기류와 블라스트간의 상호작용지대에서 더욱 연신되기 쉽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들 두 단계의 연신은 유리 분류가 전달되지 않고 이루어져서 각 분류는 단섬유가 된다.
특히 층류에 끼어들어 토레이도의 쌍들이 일어날때 각 섬유 중심에서의 젯트의 작용은 단위체적당 운동에너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젯트쌍들을 채택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각 쌍의 젯트들은 거의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고 있지만 특히 각 젯트의 단위 체적당 운동에너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는 한쌍의 두 젯트들의 단면적에 약간의 차이가 있어도 좋다.
더구나, 젯트들은 두 젯트축의 공통평면과 횡방향으로 또한 평행으로 꼭 동일한 단면의 디멘젼을 가질 필요는 없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단면적이 동일하면 바람직하다. 각 쌍의 젯트의 복합기류가 옆으로 확산하면서 인접 젯트쌍의 복합기류와 충돌함에 따라서 박층 기류에 끼어드는 토레이토 쌍의 발생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인접젯트쌍의 디멘젼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섬유화되는 곳에서의 젯트의 균일성은 섬유형성중심에서 젯트 기류가 균일하게 회오리 바람으로 변하게 해준다. 또한 이것은 젯트가 블라스트로 침투함으로써 생긴 토레이션지대에서의 섬유화 조건을 균일하게 해준다.
젯트기류가 블라스트내에 침투하기 위해서는 젯트 기류가 블라스트에 가까와 질때 블라스트보다 더 큰 단위 체적당운동 에너지를 가져야 한다. 층류지대를 형성하여 유리분류가 조각나지 않고 층류지대로 유입되기 위하여는 그들의 축이 실례로 공통평면으로 향하고 그 평면내에서 서로 예각으로 충돌하도록 젯트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에도 유의해야 한다.
제1도, 제2도, 제3도와 관련된 상기와 같은 씨스템에서 본 발명의 에너지 국환 형태는 몇 가지 상이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여 젯트 기류가 블라스트내로 침투함으로써 형성된 상호 작용지대 즉, 토레이숀 지대내의 가스류는 가연성 혼합물을 제공하는 연소성성분과 가연성성분을 부분적으로 포함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음을 우선 염두에 두어야 한다. 연신물질과 아주 근접한 연소성성분 및 가연성성분은 거의 화학량론적인 양만큼 존재해야 한다.
이들 성분이 상호작용지대로 도입되는 방식은 다음에 도면에서 설명된 다른 실례를 구조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더욱 충분히 설명될 것이다.
제4도, 제5도, 제6도에서 설명된 장치로 돌아가면 이러한 장치의 실례로 역시 선행출원번호 제762,789에 공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는 일련의 2차 젯트 또는 운반젯트가 지공되며 젯트에 대한 변류기의 방향은 블라스트를 침투하는 경로를 향하고 있다. 유리분류는 젯트기류내로 도입되고 젯트에 의하여 블라스트내의 상호작용지대로 유입된다.
제4도, 제5도, 제6도에 나타난 장치의 실례와 관련하여 제4도에서는 섬유형중심의 주성분을 보여준다.
제4도의 왼편을 보면 블라스트 발생기 25가 있고 이는 블라스트 27을 방출시키는 노즐 구조 26을 가지고 있다.
젯트 분기관 상자는 28로 표시되고 이 매니폴드는 일련의 젯트 오리피스 29를 가지고 있으며 오리피스를 통하여 제5도에서 a,b,c,d로 표시된 일련의 젯트가 방출된다. 젯트 매니폴드 28은 공급선 30으로부터 연결관 31을 통하여 가압된 젯트 유채로 공급된다. 젯트 매니폴드는 일련의 젯트들의 위에 놓여 있는 별류기 스트립 40이 장치되어 있고 젯트가 변류기에 부딪칠 수 있도록 위치시킨 자유단 41을 가지고 있다.
33으로 표시된 전로(前爐) 또는 다른 적절한 유리 공급장치와 연관되어 있는 부싱 32에는 유리 오리피스장치 34가 있고 유리분류 S는 다음에 기술된 젯트 기류대로 유입되어서 블라스트 27내의 상호작용지대를 향하여 아랫쪽으로 운반된다. 섬유화는 젯트내에서 그리고 또 블라스트 내에서 일어나고,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라스트가 오른쪽으로 섬유를 운반함에 따라서 상기(제1도 참조) 종류의 구멍뚫린 주행 콘베이어 또는 벨트 위에 섬유 블라켓트가 놓이게 된다.
특히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라스트 노즐 26은 상당히 폭이 넓다. 다수의 유리 방출장치 34에 유리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리 공급 부싱 33도 역시 제4도의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매우 큰 디멘죤을 가지고 있다.
젯트 오리피스 29로부터 송출된 젯트는 젯트와 함께 협동하여 역회전 선풍 또는 토레이도의 쌍들을 발생시키는 몇부분 또는 장치의 도입부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선풍 또는 토레이도는 최소한 연신물질 분류의 초기연신하는데에 그리고 또 젯트를 블라스트내로 침투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지대 즉, 토레이이션 지대로 부분 연신 필라멘트를 공급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역회전 소용돌이 쌍들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변류기판 40은 일군의 젯트 오리피스와 연관되어 있다. 특히 제5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 또는 변류기판은 굽은판, 위에 올려져 있어서 젯트 매니폴드 상자를 안전하게 해주는 부분, 젯트 오리피스 29로부터 송출된 젯트류의 길에 위치한 자유단 41을 가지는 또 다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분류기판은 젯트 오리피스축을 가로지른 선을 따라서 놓여있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제5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류기판 40과 자유단 41의 이러한 위치는 판 40의 내면에 각 젯트를 충돌 시킬 수 있게 하여 젯트를 퍼지게 한다. 제5도에 오리피스 a,b,c,d로부터 시작되는 4개의 젯트류가 나타나 있고 판의 자유단 41에 접근함에 따라서 각 젯트가 옆으로 퍼짐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젯트 오리피스 29는 서로 충분히 인접하여 있고 변류기 또는 도입부는 옆으로 퍼지는 즉시 근접 젯트들이 변류기판의 자유단 41 영역에서 서로 충돌하도록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근접하는 젯트들은 가이드 판 40의 자유단 41에서 또는 자유단 가까이에서 충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것은 오리피스 1,b,c로부터 송출된 세 젯트들의 각각과 관련하여 제5도에 나타난 역회전 선풍 또는 토레이도의 쌍들을 생생시킨다.
이들 토레이도의 형성을 분석하는데 참고 사항은 제5도의 오리피스 b로부터 시작되는 젯트들과 관련되어 있다. 그래서 토레이도 42b와 43b가 발생되어서 이들 두 토레이도는 확산하는 젯트가 오리피스 a와 c로부터 송출된 인접확산 젯트와 충돌하는 지대에서 젯트의 반대편에 있는 변류기 40의 자유단 41로부터 시작되는 정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토레이도 42b와 43b는 서로 반대로 회전하고 있고 토레이도는 진행함에 따라서 확대되어서 분류기의 자유단 41로부터 아랫쪽으로 흐르는 하류에 위치한 지점에서 만난다. 이들 토레이도 42b와 43b는 또한 하류방향으로 흐른다.
토레이도 42b와 43b가 발생하는 지점 또는 정점이 차지하는 위치와 그들 토레이도의 점진적인 확대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삼각지대 44b는 토레이도들과 분류기판의 단(端) 41 사이의 중간에 끼이게 된다. 이삼각지대는 비교적 저압이어서 유도공기가 강하게 유입되기 쉽지만 이지대의 흐름은 실제로 얇은 층이다. 이것은 용융유리 또는 다른 세장성 물질의 분류가 씨스템내로 도입되는 지대이고 이삼각층 지대의 특성으로 인하여 유리분류는 흐트러지지 않고 단일 연신 씨스템으로써 토레이도쌍 사이의 대역내로 진행해 나아간다.
토레이도 42b와 43b의 흐름의 회전방향이 반대라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여 본다.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레이도 42b는 시계방향이고 토레이도 43b는 시계 반대방향이다. 그래서 이 두 토레이도들의 흐름은 윗편에서 서로 접근하여 중심 또는 층지대 44b를 향하여 아랫쪽으로 흐른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 a로부터 송출된 젯트와 관련하여 토레이도의 상응하는 쌍과 연관된 토레이도 45a와 46a의 회전 방향은 화살표로써 더욱 잘 표시되어 있다. 오리피스 a로부터 시작되는 젯트류를 보면 그 흐름은 층류지대 44a의 하류 끝에 인접한 즉, 토레이도의 쌍이 확대되어 젯트류가 진행함에 따라서 서로 합쳐지기 시작하는 지대에 인접한 단변으로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함께 오리피스 a로부터 시작되는 젯트류는 토레이도 쌍 45a와 46a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다른 토레이도 쌍 47a 와 48a 로 포함하고 있음이 제5도에 한층 명확히 나타나 있다. 이 또 다른 토레이도 쌍의 회전방향도 서로 반대인데 이 경우 왼편 토레이도 47a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반면에 오른편 토레이도 48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각 젯트들에 의하여 또한 각 젯트들과 관련하여 비슷한 이중 토레이도의 쌍들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제5도를 좀더 설명하면 토레이도가 오리피스 a로부터 송출된 젯트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는 평면으로부터 흐름이 진행됨에 따라서 4개의 토레이도는 하나로 합쳐져서 좀더 종합적인 젯트류로 다시 형성되려고 한다. 이것은 제5도의 단면 49c로 나타나 있고 오리피스 c로부터 시작되는 젯트류의 하류단면으로 표현된다. 토레이도의 선회운동은 강도가 점점 약해지고 젯트 중심지대의 층류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흐름은 49c로 표시된 대역에서 서로 혼합된다. 그리고 젯트는 제5도의 27에 표시되어 있는 블라스트를 향하여 아랫쪽으로 진행한다.
제5도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는 젯트류의 여러부분을 도시적으로 보여 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발점의 약간 하류에 위치한 지대에서 하나의 젯트 내에서 발생되는 토레이도의 쌍은 도면에서 인접 젯트내에서 발생되는 토레이도의 쌍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인접 젯트의 토레이도는 아주 밀접해 있다.
층지대와 토레이도 쌍, 특히 각군의 상부쌍 젯트류로 인하여 젯트 오리피스 b를 포함하는 섬유형성 중심에 대하여 제5도의 s로 표시된 세장성 물질 분류의 도입은 분류를 중심지대의 층류내로 진행하게 한다. 이것은 토레이도 쌍 사이에 있는 고속도 지대로 분류를 운반시킨다. 결국 분류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된다. 실제로 이러한 연신은 제5도에 p로 나타낸 평면내에서 일어난다. 토레이도 쌍의 작용으로 인하여 연신된 섬유는 실제로 평면 p내로 휘감기게 되어 이러한 섬유화는 형성된 섬유가 인접젯트쪽을 향하여 옆으로 돌출하지 못하게 한다.
더우기 젯트류는 아직까지 블라스트 내로 침투할 수 있는 충분한 운동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송되어 연신되는 섬유를 동반하여 젯트를 블라스트 27의 윗쪽 경계면으로 침투하게 한다. 이렇게하여 선행출원과 특허에서 자세히 설명한 원리에 따라 진행하는 섬유화의 제2차 상(相)이 시작된다. 젯트가 블라스트 내로 침투하는 대역에서 젯트의 흐름과 속도는 아직도 젯트중심 가까이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젯트는 각각 개별적으로 블라스트 내에 상호작용지대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5도로 부터 다음 사항이 주목될 것이다. 즉, 상호작용지대 즉 토레이션 지대에서 도면에 TT로 나타낸 반대편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선풍 또는 토레이도가 발생되고, 이렇게하여 형성된 섬유를 더욱 연신시키는 기류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그후에 섬유는 젯트와 블라스트의 복합류에 의해 적당한 수집장치, 예를 들면 제1도에 20으로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구멍뚫린 전달 콘베이어 같은 것에 이송된다.
젯트류가 아래쪽으로 흘러나감에 따라 변류기의 끝부분에 인접해 있는 박층대역 양쪽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유입을 제5도의 젯트류에 화살표로 명백히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라 고려해야 할 상기한 바 장치와 운전상의 일반적 성질에 대하여 염두에 두면 이 장치에 적용될 운전 조건에 대한 허용 가능한 변동과 범위에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상기 장치의 첫번째 구현에 의하면 여러가지 방법으로 연소성성분과 가연성성분이 제4도, 제5도, 제6도의 씨스템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것은 다음에 더욱 충분히 언급될 것이다.
그러나 우선 제7도 및 8도의 구현에 대한 구조적인 설명으로 주위를 돌린다.
제7도에 나타난 장치는 제4도에 나타난것과 아주 유사하며, 비슷한 관련 특성이 적용되고 있다. 제7도에는 상호작용지대로 연소성분 또는 가연성성분을 도입시키기 위한 장치가 분리되어 나타나 있다.
여기에는 공급연결장치 35가 표시되어 있고 일정한 간격을 가진 일련의 분리노즐 36이 공급장치 35와 연합되어 있으며, 노즐의 방향은 제7도에 Z로 표시한 상호 작용지대의 상류 및 이와 인접한 대역에 있는 블라스트 쪽을 향하고 있다.
제8도에는 블라스트 발생기가 50으로 표시되어 있고, 블라스트는 노즐 51을 통해서 어떤 제한된 지역으로, 판상구조 52에 의해서는 윗쪽으로, 판상구조 53에 의해서는 아래쪽으로 전달된다. 53은 블라스트의 평균적인 중앙면에서 아래쪽으로 굴곡되어져 있다. 원한다면, 이판에는 그것과 연합되어 있는 냉각 튜브 53a를 장치시킬 수도 있다.
유리공급을 위한 부싱 55에는 방사구중의 하나를 도면에 56으로 표시한 일련의 오리피스가 있으며, 이 오리피스는 세장성 물질의 분류를 블라스트 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블라스트 폭만큼식 횡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유리 송출 오리피스의 바로 윗쪽에 있는 상부판 52에는 일련의 젯트 오리피스 29가 있으며, 그것들의 각각은 모두 유리 송출 오리피스의 각각과 연합되어 일직선을 이루고 있다. 오리피스 29는 연결장치 54a와 54b를 통해 압축 젯트유체를 공급받는 매니폴드 54로부터 젯트를 공급받는다.
더우기 판 52에는 블라스트의 횡방향으로 서로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떨어져 있는 일련의 오리피스 57a를 가진 매니폴드 57이 있다. 그리고 57a 각각은 유리 오리피스 56과 젯트 오리피스 29와 연합하여 일직선을 이루고 있다. 매니폴드 57은 주 공급장치 60에 연결되어 있는 59로 표시된 공급연료장치로부터 기체연료를 공급받는다.
하류쪽의 판 58은 블라스트 윗쪽 경계면에 위치하여, 이판에는 냉각관 58a가 있다. 이러한 장치는 일전에 본출원인이 출원한 미합중국 특허 제3,885,940호의 제11도에 예시된 것과 유사하다.
제8도의 구현에서 가연성성분은 오리피스 57a를 통해 도입되고 오리피스 29를 통해 도입된 운반 젯트로는 공기가 적용된다. 그렇게하여 블라스트 내의 상호작용 지대에 연소성 성분과 가연성 성분의 혼합물이 유입된다.
덧붙여 제8도의 구현에서 연소성 성분과 가연성 성분의 혼합물의 또다른 공급은 상호작용지대 윗쪽에 있는 블라스트 내로도 공기의 유입이 발생되어 상호작용 지대로 도입된다. 이를 위해서 상하부공기 공급통로 61과 62는 블라스트 발생기 50과 노즐구조 51과 연결된 지대에 그 구조의 일부가 있다. 그리고 이런 공급통로 각각에는 도면에 63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슬롯트 또는 다수의 공급 오리피스가 있다.
제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구현에서는, 방금 언급한 바와 같은 블라스트 내로의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에너지 국한기술(energy localization technique)과 관련된 몇가지 중요한 목적이 달성된다. 즉 상호 작용지대에서 연소성성분을 연소시킴으로서, 연소성성분의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 곳에서 필요하게될 높은 온도의 블라스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 특별한 구현을 고려하여 제7도에 나타낸 것과는 비슷한 형태이지만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소량의 연소성성분을 태우는 버너가, 블라스트를 얻기 위해 통로 61, 62 및 63을 통하여 공급된 또 다른 공기를 가열시키는데 사용된다. 보다 낮은 온도의 블라스트를 사용하는데 대한 효과는 제9a 및 9b도와 관련지어 주어진 분석에서 이하에 보다 자세히 나타낼 것이다.
상기한 방식으로 저온 블라스트를 만드는 대신에, 블라스트 버너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고 블라스트 발생기로써 저온 블라스트를 만드는 몇가지의 다른 씨스템, 예를 들면 버너보다는 오히려 열교환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조의 장치중 어느한 곳으로 연소성성분 및 가연성 성분을 도입하는 기술에 대하여 다음에 언급된다. 그러나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 에너지 국한 및 보존 기술에 대한 분석의 목적상 서로 비교가 되는 제9a 및 9b도에 주의를 돌려본다.
상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9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국한 기술의 씨스템을 첨가하지 않은 섬유화 공정의 전형적인 토레이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는 블라스트 송출 노즐은 64로 표시되어 있고 노즐로부터 송출된 블라스트는 도면의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상당한 디멘존 즉폭을 가지고 있어서 일련의 젯트 공급장치 65와 유리공급장치 66쌍들이 블라스트와 연합하여 다수의 섬유를 제조하게 해 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9a도에서 유리분류는 S로 표시되어 있고 제2차 젯트는 J로 젯트와 블라스트 사이의 상호작용 지대는 Z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씨스템에서 전형적인 유리조성물의 경우에는 젯트의 온도는 800℃ 정도이고(선행 미합중국 특허 제3,885,940호에 공지)젯트는 주위 공기의 온도와 가까운 온도를 가진다(선행 특허원 제780,589호에 공지) 상기 언급한 특허원 또는 특허에 있는 기술의 결과중 어느 하나에서 블라스트의 온도는 유리분류의 섬유화를 달성시킬 목적으로 상호작용 지대에 요구되는 온도를 제공키 위해서 1500℃ 내지 1750℃(젯트의 온도에 약간 의존해서)정도 이었을 것이다. 제9b도에서 1700℃의 온도는 블라스트 노즐 입구에 표시되어 있고 C로 표시된 블라스트의 중심부는 젯트와 블라스트의 상호 작용지대로 확장되므로 실제로 섬유화가 일어나는 지대는 블라스트와 젯트의 중간온도를 갖게 될 것이다. 상호작용지대의 아래쪽으로 둥온선이 점점 더 낮은 온도 즉 1600℃, 1400℃, 1200℃로 표시되어 있다.
제9b도에는 상술한 바와 비교해서 똑같은 장치 요소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제9b도는 본 발명의 에너지 국한 기술이 제9a도에 나타난 것과 같은 장치에 응용되는 널리 향해지는 조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젯트장치 65는 가압된 연소성 성분 예를 들면, 가연성이 기체 혼합물을 공급하면, 부수적인 공기 또는 산소가 블라스트 노즐 64를 통해 도입된다. 전형적으로 송출 지점에서의 블라스트 가스는 제9a도에서 작용할때보다 훨씬 저온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블라스트 온도는 블라스트 노즐 64에서 송출될때 약 550℃내지 650℃의 범위, 예를 들면 600℃ 정도, 일 것이다. 그리고 제9a도에 1600℃, 1400℃, 1200℃의 온도로 표시되는 등온선과 비교되는 지대에서 블라스트 송출 노즐의 하류의 위치에 약 400℃, 300℃, 200℃의 온도로 둥온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온도로 대부분의 가스 체적은 감소될 것이다.
블라스트 내로 연소성 성분을 도입시키는 것이 가능할지라도 상기한바 젯트의 일부분으로서 연소성 성분을 도입시키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리하여 제9b도에 따른 기술의 한 구현에서 젯트 J는 상호작용 지대를 만들어 그속으로 유리분류 S를 송출시킬 뿐만 아니라 젯트는 연소성 성분을 상호작용지대에 공급시킨다. 그리고 이 연소성 성분은 상호작용지대의 특징인 소용돌이 기류 때문에 가연성 성분, 즉 블라스트에 의해 상호작용 지대로 들어온 과량의 공기와 잘 혼합된다.
가연성 성분에 대한 연소성 성분의 비를 생각해보면, 이론적으로 이상적인 조건에서는 연소성 성분과 가연성성분의 화학량론적 비율이 적용될 것이라는 것이 첫재 지적된다. 그러나 가연성 혼합물이 화학량이상에서 변하는 범위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래서 천연가스와 공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기의 양은 화학량론적 비율이라면 공기양의 약 0.8 내지 1.7배의 범위일 것이다.
이러한 적당한 량의 공기와 연소성 성분으로서 상호작용지대는 가연성 혼합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기술로 이 혼합물은 섬유화에 이용되는 전형적인 용융유리 조성물의 온도보다 낮은 범위에 인화점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유리분류의 송출은 세장성 물질을 상호작용지대로 도입시킬 뿐 아니라 젯트와 블라스트에 의해 각각 상호작용 지대로 들어온 가연성 연료로 된 가연성의 혼합물을 점화시킨다. 결국 요구되는 온도, 예를 들면 1700℃가 상호작용지대에 유리분류가 섬유로 형성되기 위해 형성된다. 그래서 제9b도에 있는 Z 지역은, 상호작용지대 윗쪽이나 아래쪽의 블라스트 온도는 매우 낮을지라도 1700℃로 표시되어 있다.
더욱 주목해야 할 사항은 제9b도에 도식화한 바와 같은 기술에서 일련의 젯트 각각에 의해 만들어진 상호작용지대는 전 블라스트 체적중 매우 작은 부분이며, 이작은 체적만이 섬유화에 요구되는 높은 온도로 올려야 할 작은 부분이기 때문에 블라스트 전체적인 섬유화할 수 있는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씨스템과 비교해볼때 매우 큰 에너지 절약이 달성된다는 것이다.
토레이션 섬유 제조 기술은 물리적인 구조물의 삽입없이도 보통 각 유리분류 주위에, 또는 즉시 유리분류에 인접해 형성된 저압과 저속의 국부적인 지대의 형성 때문에, 특히 열에너지의 국한에 적합하다. 연소성 성분 또는 가연성 성분을 가연성물질을 제공할 목적으로 상호작용지대에 도입할 수도 있으며 뜨거운 유리가 이 혼합물을 점화하기위해 상호작용지대에 존재한다.
상호작용지대는 고속의 선풍 또는 토레이도로 특징지워진다. 그리고 이 기류는 연료와 가연성 성분의 혼합물을 즉시 형성시키기 위한 목적하에 본 발명의 에너지 국한기술에 이용된다. 그러나 상호작용 지대에서 토레이도 주위의 소용돌이 기류가 블라스트 윗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것은 필연적으로 블라스트의 흐름에 비해 저속 지대를 그안에 발생시킨다. 이런 사실은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킬 수 있고, 단 계속하여 안정한 염소가 이루어지는 조건만 갖춘다면 본 발명의 기술상,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이 중요하다는 것은 예를 들면 천연가스 및 공기로 형성된 가연성 혼합물의 경우 불꽃 전파 속도가 20℃에서 초당 0.3 내지 수m 정도 된다는 것을 명시해 볼때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 불꽃전파속도는 온도가 상승하면 약간 상승하기는 하지만 블라스트의 속도와 비교해볼때 아직 매우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화와 연소가 안정하게 유지된다는 관점에서 볼때, 불꽃전파속도 이하의 속도를 가진 어떤 지역에서의 흐름으로 상호작용 지대는 특징지워진다. 상기한 바가 상호작용 지대에서 점화와 안정한 연소가 어떻게 만들어지는 가에 대한 원인을 설명하고 있다고 하지만 우리가 바라는 점화는 안정한 연소가 어떻게 일어나는 가에 대한 또 다른 이유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유리분류의 연신 조건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열은 실제로 유리분류 표면과 뜨거운 기체와의 접촉에 의해 유리분류로 이동되기 때문에 공지 기술에 의하면 강한 연이 발현되는 지역에서의 기체들은 유리 분류의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되어 있으므로 결국 유리분류로 효과적인 열전달이 일어나게 된다.
더우기 제9b와 관련한 상기 씨스템은 불꽃이 점화의 근원점에 달라붙을려는 자연적인 경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점화의 근원점은 이 씨스템에서는 유리분류 그 자체 즉 적절한 섬유화 온도까지 올라가야하는 물질의 분류이다.
이것은 온도가 높아서 혼합물을 점화하는 온도의 약2배가 되며 유리분류의 표면에 가연성의 혼합물의 경계층이 생기고 유리에 의해 주어진 열에 의해 점화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결국 유리 주위의 층이 즉시 점화되고 이것은 상호작용 지대의 인접층에 있는 유리분류에 정착하여 국부적이고 안정한 연소를 개시시킨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상의 또다른 이점은 여러가지 유리 구성물에서, 제조된 섬유의 강도는 섬유화가 끝난후에 섬유의 온도가 갑자기 저하되면 증가한다는 사실이다. 제9b도에 명백히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런 목적에 합당하는 이상적인 조건들이 본 발명의 씨스템에서 존재하고 있다.
제1, 2, 3도에 나타난 장치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자 원하기만 한다면, 젯트쌍 a-a를 씨스템의 연소성 성분으로 구성케하여 젯트가 유리를 블라스트내에 있는 상호작용지대로 운반시키게 할 뿐만 아니라 그 상호작용지대로 연소성성분도 송출시키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9b도에서와 같이 블라스트 10에 의해 공기를 씨스템내로 도입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9b도와 관련되는 젯트와 송풍기류의 온도로서 요구되는 에너지 국한 및 연료보존을 달성할 수 있다.
제4, 5 및 6도의 구현과 연관하여 필요하다면 연소성 성분의 전체적을 젯트에 도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소성 성분을 완전히 절약하기 위해서는 제9b도에 연관하여 위에 제시한 값으로 블라스트의 온도를 오히려 내리고 공기가 블라스트에 도입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7도와 8도 각각에서 연료성분은 젯트와 분리되어 도입될 수 있다. 제7도에서 공기는 젯트 그자체 또는 블라스트 그 자체 둘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의 방법으로 도입될 수도 있다. 블라스트에 공기를 도입시키는 장치의 한 구현이 제8도에 나타나 있으며,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는 방사노즐 51 가까이에서 블라스트로 도입된다. 블라스트 내로 공기 또는 가연성 성분을 도입시키는 것은 블라스트에 요구되는 전가스 체적을 섬유화가 일어나는 상호작용 영역에 필요한 고온으로 가열할 필요없이 사용하기 때문에 아주 바람직하다. 이런 것들의 이점은 제9b도에 특별히 언급했다.
본 발명의 에너지 국한 씨스템은 암석 또는 섬유화 온도 범위가 매우 좁은 천연광물질 또는 인공광물질 같은 류의 물질의 섬유화에 특별한 이점이 있다.
제10도의 그래프(graph)에 2개의 다른 형태의 가늘게 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점도와 온도의 관계가 예시되어 있다. 물질 중 하나는 섬유화에 보통 사용되는 유리이고 다른 하나는 섬유화에 점도가 적합한 좁은 온도 범위를 가지는 천연적으로 만들어진 암석물질이다. 그래프에서 점 A와 B사이인 섬유화 점도는 암색(온도범위 ta'-tb')보다 유리의 경우 보다 넓은 온도범위(온도범위 ta-tb)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블라스트 내의 토레이션 또는 상호작용지대로 적절히 조절된 양의 연소성성분을 도입시킴으로서, 암석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에 대한 적절한 섬유화온도가 약간 아래쪽으로 늘어나 요구되는 섬유화 점도를 보다 긴 간격을 유지하는데 쉽게 할수도 있다.
제1도에서 3도, 4도에서 b도 및 7도의 구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섬유화 씨스템과 연관하여 세장성 물질의 분류는 젯트의 영향으로 젯트가 블라스트를 침투하는 지역의 윗쪽에 도입되고, 만일 연신가능 물질의 분류가 송출되는 지점의 젯트류에 연소성성분과 가연성 성분이 존재한다면, 젯트의 온도 및 속도같은 여러가지 운전조건에 따라 달라지면서 젯트가 블라스트에 접근하거나 심지어는 블라스트 내부로 진입한 후에야 비로소 점화가 발생한다. 그리고 점화점은 반드시 연신물질의 분류가 송출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용 가능한 연소성성분은 천연 또는 인공가스이나, 액체연료가 기화나 탄화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운전조건을 설명하는 것으로 다음의 조건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1도에서 6도에 나타난 종류의 섬유형성 중심과 함께 블라스트 27이 가열과 공기를 압축함으로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것은 약 600℃의 온도, 약 300m/s의 속도, 약 0.18bar의 압력을 가지게 된다. 두 젯트의 축이 60℃의 각도로 가로지르고 있다. 두 젯트 중의 하나는 천연가스 체적 1체적당 공기 3부(part)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약 20℃의 온도, 약 330의 속도 약 2.5bar의 압력을 가진 공기 4부(part)이다. 유리는 약 1300℃의 온도로 송출된다. 제7도에 나타난 종류의 섬유형성 중심으로써 상술한바와 동일한 블라스트 조건들이 이용되며, 젯트는 20℃의 온도, 330m/s의 속도 2.5bar의 압력을 가질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천연가스가 0.5bar 의 압력과 900m/s의 속도로 장치 36으로 공급된다. 유리는 장치 34로부터 약 1300℃의 온도로 도입된다.

Claims (1)

  1. 주가스류 및 주가스류에 대하여 횡방향의 횡단면적이 주가스류의 것보다 더 작은 적어도 한 개의 부가스젯트류가 형성되어 부가스 젯트류의 단위 체적당 운동에너지가 주가스류의 것보다 더 크고, 부가스 젯트류가 주가스류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향하게 됨과 동시에 그 중심부로 관통하여 선풍류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대역을 형성되도록 하여 그 상호작용의 대역중에 세장화할 수 있는 물질의 류가 운반되도록 한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섬유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호작용의 대역사이에서 선풍류의 가스의 류가 상호작용의 대역내에 있어 작화(着火)되는 연소성 혼합물을 이루는데 적당한 비율로 되어 있는 연소성성분과 가연성 성분과를 함유하며 또한 세장화성 물질의 류가 상기 연소성 혼합물의 최초온도와 적어도 동일한 온도에서 상기 대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섬유의 제조방법.
KR7802549A 1978-08-21 1978-08-21 열가소성 재료로 부터 섬유의 제조방법 KR820001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549A KR820001157B1 (ko) 1978-08-21 1978-08-21 열가소성 재료로 부터 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549A KR820001157B1 (ko) 1978-08-21 1978-08-21 열가소성 재료로 부터 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157B1 true KR820001157B1 (ko) 1982-06-28

Family

ID=1920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549A KR820001157B1 (ko) 1978-08-21 1978-08-21 열가소성 재료로 부터 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15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4897A (en) Method for making fibers from glass or other attenuable materials
US25595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 fibers
JPS61178438A (ja) 鉱物質繊維の製造方法と装置
US40521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on of pollution in toration of glass fibers
US40159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ibers by toration
CZ280834B6 (cs) Soustava pro spalování kylíku a tekutého paliva a způsob provozu této soustavy
US41026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ibers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US48895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ibers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US41591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ibers by gas blast attenuation
KR820001157B1 (ko) 열가소성 재료로 부터 섬유의 제조방법
US4113456A (en) Fiberization energy conservation
US4895514A (en) Gas burner for heating of an air or other combustion supporting gas stream
US301584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ibers
US25781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ibers
CA1131030A (en) Stabilization of glass feed in fiberization by toration
CN208832506U (zh) 一种新型变截面航空发动机燃烧室
US24815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 fibers
US41182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berizing attenuable materials and product thereof
EP000906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bres by jet attenuation
US26458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ibers from glass and other heatsoftenable materials
US25630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 fibers
US2635424A (en) Combustor for high flow velocities
US41405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ibers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KR820001158B1 (ko) 세장화성 물질로부터 섬유를 형성하는 방법
US48613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ibers from thermoplastic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