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914B1 - 비데오 신호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 신호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914B1
KR820000914B1 KR7802315A KR780002315A KR820000914B1 KR 820000914 B1 KR820000914 B1 KR 820000914B1 KR 7802315 A KR7802315 A KR 7802315A KR 780002315 A KR780002315 A KR 780002315A KR 820000914 B1 KR820000914 B1 KR 82000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ideo signal
signal
clamp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스톤 파커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Priority to KR780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91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신호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비데오 신호처리방식을 사용한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의 부분적인 계통도.
제2도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이해에 유익한 신호파형도.
본 발명은 텔레비젼 신호처리장치, 예를들면,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는 귀선소거 레벨신호 클램프 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의 비데오 신호는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화상정보부분과 귀선소거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화상정보는 수상기의 화상재생장치(영상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각 화소의 그레이(gray)레벨을 규정하며, 귀선소거부분은 각 수평주사선의 종단에서 영상관을 밝게하지 않는 수평기관과 한 그룹의 수평주사선 소위, 프레임의 종단에서 영상관을 밝지 않게하는 수직 귀선기간을 규정한다. 이 귀선부분은 소거 페데스탈 레벨과 이 페데스탈 레벨에 중첩된 화상 동기펄스를 포함한다. 소거레벨은 흑레벨에 가깝고, 재생화상의 흑의 색조에 상당한다고 생각하는 수가 많다. 따라서, 비데오 신호의 진폭이 실질적으로 소거레벨에 동일할때, 영상관에서 흑의 색조가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데오 신호는 통상적으로 여러개의 신호변환단을 거쳐 영상관에 공급된다. 이들 단이 교류 결합되어 있는 경우나 또는 이들 단의 직류조건이 변동하는 경우에는 비데오 신호의 소거레벨이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 소거레벨의 변동을 제거하고, 또한 영상관에 흑레벨이 적당히 공급될때 영상관에 흑의 색조를 발생시키는 기준전압으로 비데오 신호의 적당한 부활을 클램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데오 신호를 어떤 기준전압에 클램프하는 회로는 공지되어 있고, 예를들면, 미합중국특허 제4,044,375호 및 제3,927,255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클램프 회로는 많은 경우 비데오 신호의 피크(최고 또는 최저의 신호레벨)를 기준레벨에 클램프하도록 동작하므로, 잘못된 흑색조를 표시하는 전압이 형성되지 않도록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는 소거레벨 클램프 회로에는 때때로 동기펄스의 피크로의 클램프를 방지하는 수단이 설치된다. 이것은 때때로 동기펄스 기간중 클램프를 중지하는데 의해 실행된다. 상기 미합중국특허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같이, 이것은 동기 펄스에 일치하는 게이트 펄스를 인출하여 이것을 클램프 회로에 공급하고 동기펄스기간중 클램프 회로의 동작을 중지하는데 의해 실현된다. 이 게이트 펄스는 수상기의 동기분리기 또는 편향회로로부터 인출할 수가 있으나, 동기분리기가 잘못된 잡음 또는 의사신호에 응답하거나 편향회로로부터의 출력에 현저한 일상오차가 생기면, 게이트 펄스의 타이밍이 동요될 수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의 영상관의 구동단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클램프 회로도 역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형의 클램프 회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3,970,895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 특허명세서에 기재된 클램프회로는 귀선기간에 영상관 구동단의 동작점을 안정시키기 위해 기준 바이어스 레벨을 공급한다. 이와같은 클램프 회로구성은 온도변화 또는 구동단에 입력으로 공급되는 색차신호의 직류레벨변동 또는 이 쌍방에 모두 기인하는 구동단의 직류동작레벨의 변동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동작을 한다.
텔레비젼 신호처리장치에서는 비데오 신호에 소망의 흑 기준레벨을 설정하는 소거레벨의 클램프와 영상관 구동단을 위한 소망의 바이어스 레벨을 설정하는 영상관 바이어스 레벨의 클램프의 양자를 행하기 위한 회로구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클램프 회로는 이것이 동기펄스의 진폭에 영향을 주지않고, 동기펄스기간에 그 클램프 동작을 중지시키는데 적절한 게이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부가회로를 필요로 하지않게 된다면 더욱 유리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표시 비데오 신호에 응답하여 화상을 재생하는 영상관을 포함하는 비데오 신호처리방식에 본 장치가 설치된다. 비데오 신호는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화상정보신호를 포함하는 화상기간과 귀선기간을 포함하며, 각 귀선기간에는 페데스탈 소거레벨에 중첩된 동기펄스가 포함되어 있다. 이 귀선소거기간에 클램프 회로에 의해 비데오 신호가 기준전압에 클램프되고, 그 클램프 기준전압과는 다른 도통임계레벨을 가진 결합회로에 의해 그 클램프된 비데오 신호가 그 임계레벨을 초과할때 영상관에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또, 주기성 귀선소거 기준펄스원이 설치되며, 그 기준펄스는 귀선소거기간과 일치하는 것과 동시에 실질적으로 기준전압과 결합회로의 도통 임계치 레벨과의 차이에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이 기준펄스는 클램프 되기전의 비데오 신호와 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클램프 회로는 신호결합 캐패시터와 함께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즉, 비데오 신호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입력회로를 거쳐 캐패시터에 공급되고, 그 트랜지스터는 동기기간 동안 입력회로를 거쳐 공급되는 비데오 신호에 응답하여 차단되며, 귀선소거기간동안 비데오 신호의 진폭을 귀선소거레벨에 한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캐패시터의 입력에 공급되는 동기펄스가 비데오 신호로부터 제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비데오 신호처리장치 12는 안테나 10에서 수신된 무선주파수의 텔레비젼 신호에 응답하여 적당한 중간주파 증폭검파회로(도시안됨)에 의해 색도, 휘도 및 동기의 각 신호성분을 포함하는 합성비데오 신호를 발생한다.
장치 12로부터의 비데오 신호의 색도성분은 주파수 선택장치 15를 거쳐 선택적으로 수상기의 색도채널에 포함된 색도 신호처리장치 16에 공급되어 R-Y, B-Y 및 G-Y의 색차신호를 형성한다.
동기분리기 20은 장치 12의 비데오 출력신호로부저 동기성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동기성분은 편향회로 24에 인가된다. 편향회로 24는 영상관 90에 부속된 적당한 편향권선(도시안됨)에 공급되는 수평 및 수직 편향신호와, 수평 및 수직 귀선소거 신호를 발생한다. 수평 및 수직 귀선소거 신호는 신호형성 결합장치 30에서 처리되어, 한쪽의 출력에서 총합 수직 수평기준 귀선소거신호 A(제6도)로서 다른쪽의 출력에서 클램프신호 B(제7도)로서 나타난다. 기준신호 A는 각 수평귀선기간 TB및 수직귀선기간 TV에 나타나는 소정진폭 VB의 정의 주기성 펄스를 포함하지만, 수직귀선기간에 나타나는 기준펄스는 중요하지 않다. 클램프펄스 B는 각 수평귀선기간 TB에 나타나는 정의 주기성 펄스로 이루어진다.
제7도에 도시된 클램프신호 B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편향권선으로부터 통상적으로 얻어지는 수평귀선 소거펄스에 상당한다. 이 수평귀선 소거펄스 8와 역시 수상기의 편향권선으로부터 통상적으로 얻어지는 수직귀선 소거펄스는 모두 신호형성 결합장치 30에 내장된 예를들면, NPN 귀선소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공급될 수 있다. 그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서는 제6도의 펄스 A로 도시된 것과 같은 정의 주기성 펄스가 나타나게 된다.
장치 12의 비데오 출력신호의 휘도성분은 수상기의 휘도채널의 휘도신호 처리장치 35에 의한 증폭 및 그외의 변환처리에 의해 휘도출력신호 Y1(제2도)로 된다. 휘도신호 Y1은 화상(수평주사)기간 T1에 나타나고 수평귀선(화상소거)기간 TB에 나타나는 주기성화상 소거부에 끼워진 화상정보부 208을 포함하며, 각각의 이 화상소거부는 소위 전반포치 및 후반포치중에 나타나는 페데스탈레벨 210과, 동기기간 TS중에 나타나 페데스탈레벨에 중첩된 동기펄스 212를 포함한다. 귀선소거레벨은 휘도신호의 흑레벨에 유사하고, 신호 Y1의 지정된 백레벨은 백색 화상표시의 방향에 있어서의 신호진폭의 최대기대치에 상당한다.
비데오 증폭 트랜지스터 40의 콜렉터 출력부, 즉, 이득이 실질적으로 1이고 출력임피던스가 낮은 PNP 에미터 폴로워 트랜지스터 41의 베이스 입력부에는 증폭되고 상대적으로 반전된 휘도신호가 나타난다. 트랜지스터 41의 에미터에 접속된 전류 결정저항 51 및 전압원(+27V)은 바이어스 전류 I1의 전류원을 구성한다. 트랜지스터 40의 콜렉터에 나타나는 신호와 기준신호 A가 가산되어 후술하는 바와같이 트랜지스터 41의 베이스에 휘도신호 Y2(제3도)가 생성된다.
클램프 신호 B는 격리 다이오드 48을 거쳐 이득이 실질적으로 1인 에미터 플로워 휘EH증폭 트랜지스터 43의 레이스 입력사 및 클램프 트랜지스터 42의 에미터에 공급된다. 클램프 트랜지스터 42는 트랜지스터 41의 에미터로부터 트랜지스터 43의 베이스 입력부로 휘도신호를 교류 결합하는 캐패시터 55와 함께 작용하도록 되어있다. 클램프 신호 B는 각 수평귀선기간 TB중에 트랜지스터 42를 도통시킴과 동시에 트랜지스터 43을 차단시킨다. 수평화상 주사기간 T1에서는 트랜지스터 42는 비도통되고 43은 도통된다. 정의 전압원(+11V) 및 이에 접속된 전류결정 저항 53으로 이루어진 전류원에 의해 귀선기간중의 예비소거 능력이 부여된다.
트랜지스터 43으로부터 증폭 및 클램프된 휘도출력신호 -Y(제5도)는 도시된 바와같이 베치된 비교적 대전력의 공통 베이스 출력증폭 트랜지스터 82,84,86과 각 색차신호에 대한 캐스코드 증폭기를 형성하는 저소비전력의 매트리스 트랜지스터 62,64,66을 포함하는 영상관 구동단 60에 저임피던스로 직류 결합되고 가변이득 조정저항 72,74,76을 거쳐 트랜지스터 62,64,66 에미터에 공급되며, 그곳에서 직류 결합된 R-Y, B-Y, G-Y의 색차신호와 매트릭스되어 최종적으로 트랜지스터 82,84,86의 각 콜렉터 출력부에 -R, -B, -G의 색신호를 생성한다. 캐스코드 구동단 60에 있어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4,051,521호 명세서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이 색신호 -R, -B, -G는 화상재생을 위해 영상관 90의 제어전극(예를들면, 음극)에 공급된다.
예를들면, 온도변화에 의한 직류전압변동을 무시하면 매트릭스 트랜지스터 62,64,66의 각 베이스 전극에는 실질적으로 일정전압(예를들면, 약 +5V)이 나타난다. 이것은 색도신호 처리장치 16의 직류결합 출력신호가 흑백 신호상태를 나타낼때와 각 귀선기간에 화상신호정보가 존재하지 않을때 생긴다. 따라서, 이들 매트릭스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전압의 평균에 상당하는 전압 VE는 각 귀선기간동안 각 에미터 전압이 매트릭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으로부터 1VBE(즉, 매트릭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에 있어서의 전압강하 약 0.6V)를 뺀것에 동일하므로, 그 사이에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동작시에는, 각 귀선기간중 클램프 신호 B가 클램프 트랜지스터 42를 순바이어스하여 도통시키고, 트랜지스터 43을 역바이어스시켜 차단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42의 에미터에는 평균전압 VE와 트랜지스터 42의 에미터-배이스 전압강하의 합 즉, VE+VBE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클램프 전압이 나타난다. 본 예에서는, 이동안 매트릭스 트랜지스터는 약간 도통상태이다. 또, 저항 53을 포함한 예비귀선 소거회로로부터 각 이득제어저항 72,74,76을 거쳐 작은 예비소거전류가 흘러, 매트릭스 트랜지스터의 과도한 도통을 방지하고, 각 귀선기간에 있어서 확실하게 귀선소거가 실행되도록 한다. 이 예비소거전류는 충분히 작기 때문에 저항 72,74,76에 의한 전압강하(예를들면, 약 60mv)는 이 시간동안 무시할 수 있는(트랜지스터 42의 배이스 전류의 예비소거전류에 대한 효과도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평균전압 VE는 VBE클램프 트랜지스터 42의 배이스 및 휘도증폭 트랜지스터 43의 에미터에도 나타난다.
각 화상주사기간 직전의 시점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43의 배이스 전압은 평균전압 VE와 트랜지스터 43의 에미터-배이스 전압강하와의 차이 즉, VE-VBE에 동일하다. 이 전압은 화상주사기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43이 그 출력신호 정보전류를 매트릭스 트랜지스터에 공급하기 위해 도통을 시작하는 도통 임계레벨에 상당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각 귀선기간동안 트랜지스터 42의 에미터의 클램프 전압(VE+VBE)과, 각 화상주사기간동안 트랜지스터 43의 도통 임계전압(VE-1VBE)사이에는 2VBE의 전압차가 존재한다.
예를들면, 주위의 온도변화에 의한 매트릭스 트랜지스터 동작점의 변동과 색도신호 처리장치 16의 회로 성분의 동작특성 또는 이 장치 16에 부속하는 동작전원의 변동에 의한 장치 16의 신호출력의 직류레벨 변동이 평균전압 VE의 레벨변동 원인으로 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42로부터의 클램프전압과 트랜지스터 43의 도통 임계전압은 평균전압 VE의 레벨변동에 따르는 것이 주목된다. 그러나, 2VBE의 차전압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므로, 이에 의해 상기 형태의 요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현저한 소거레벨의 변동(즉, 휘도변동)을 수반하지 않고 신호를 매트릭스 트랜지스터에 직류 결합할 수가 있는 것이 된다.
휘도신호 Y2(신호 Y1)을 증폭반전 한것의)는 기간 TB에 있어서 신호 A(제6도)와의 가산에 의해 각 귀선부분에 인가된 진폭 VB의 신호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 신호 Y2의 진폭레벨 VB는 그 크기가 실질적으로 상술한 차전압 2VBE에 대응한다.
휘도신호 Y2는 저임피던스로 폴로워 트랜지스터 41의 에미터-배이스 접합을 거쳐 클램프 캐패시터 55에 공급된다. 트랜지스터 41의 에미타의 휘도신호는 신호 Y2(제3도)에 유사하지만, 시간 TS동안 동기펄스가 제거되어 있는 것이 주목된다. 이것은 클램프 회로 42 및 55가 동기펄스의 피크진폭에 응답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다. 동기펄스의 피크진폭은 채널마다(즉, 방송국마다) 변화될 수가 있으므로, 또 수상기마다 선행하는 중간주파수 신호처리회로의 동작인자의 변동을 수반하기 때문에, 흑기준레벨을 인출하는 레벨로서 사용하는데는 신뢰성이 없다.
트랜지스터 41이 기간 TS동안 동기펄스에 응답하여 비도통되는 결과 비데오 신호로부터 동기펄스가 제거된다. 캐패시터 55의 양극전압은 휘도신호의 “전반포치”부분사이에 급속히 소거레벨까지 방전하지만 그 음극전압은 그때 트랜지스터 42의 에미터에 나타나는 클램프 전압에 의해 고정된다. 이 작용에 의해 이때 캐패시터 55의 두 극간에 형성되는 전압은 실질적으로 고정된다. 정향동기펄스는 트랜지스터 41을 역바이어스시켜 비도통시키고, 트랜지스터 41의 에미터 출력이 동기펄스진폭에 따르지 않도록하는 방향이며, 이때 캐패시터 55에 나타나는 일정전압은 트랜지스터 41의 에미터전압이 동기기간중 소거레벨보다 높게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바이어스전류 I2의 값은 충분히 작으므로 동기펄스 기간동안 트랜지스터 41의 소망의 비도통상태를 혼돈시키지 않는다.
트랜지스터 41은 동기펄스기간중 본질적으로 신호제한기 또는 클리퍼로서 사용되어, 휘도신호의 피크진폭을 소거레벨에 제한하여 동기펄스를 제거한다. 따라서, 동기게이트 회로등의 부가회로를 필요로 하지않고 캐패시터 55에 공급된 휘도신호로부터 동기펄스를 제거할 수가 있다.
이 휘도신호가 캐패시터 55를 거쳐 교류 결합되어 트랜지스터 42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 43의 베이스에 휘도신호 Y3(제4도)을 생성한다. 신호 Y3은 트랜지스터 41의 에미터에 나타나는 휘도신호에 유사하지만 귀선기간동안 클램프 트랜지스터 42의 도통에 의해 정의 피크진폭이 +5V에 클램프된 점에서 다르고, 또 결합캐패시터 55의 양단에 발생하는 전위차로 인해 각 피크진폭 레벨값이 다르다. 기간 T1동안 생긴 화상 정보부분의 피크대 피크진폭(2V)은 손상되지 않은채로 유지된다.
휘도 트랜지스터 43의 베이스의 도통 임계레벨(+3.8V)이 흑레벨에 일치하면, 트랜지스터 43은 휘도신호 Y3의 2V피크진폭의 전체범위(즉, 3.8V 흑레벨 즉, 소거레벨로부터 +1.8V의 최고 백레벨 기대치까지)에 걸쳐 도통된다. 따라서, 휘도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의 전부가 트랜지스터 43의 에미터 출력부에서 신호 -Y(제5도)로서 충실히 재현된다. 이 결과는 각 귀선기간동안 부가된 진폭 VB의 소거기준펄스에 기인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기준펄스가 없을때, 트랜지스터 43의 에미터에 있어서의 휘도출력신호의 화상정보부분의 피크대 피크진폭은 결합 캐패시터 55에 있어서의 전압변동과 클램프 트랜지스터 42에 의해 부여된 클램프 레벨과 트랜지스터 43의 도통 임계레벨간의 2VBE의 차이의 결과로서 제한된다.
출력휘도신호(-Y)는 재생될 화상의 소망의 흑레벨에 상당하는 정의 피크진폭(+4.4V)을 가진 화상정보부분을 포함한다. 각 귀선기간 TB중의 신호 -Y의 진폭은 기간 TI에서 나타나는 피크진폭보다 약간 정이고, “흑보다 혹”상태에 상당한다. 이 “흑보다 흑”레벨은 각 귀선기간중에 영상관 90이 확실하게 귀선소거되도록 하기위해 저항 53을 거쳐 공급되는 보조소거 전류에 원인이 있다. 이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영상관 90과 이것에 부수되는 회로의 동작인자의 변동(예를들면, 수상기마다의 허용오차에 의한 변동)에 의해, 귀선기간에 영상관 90이 근소하게 도통할 수가 있다.
제1도의 클램프 회로구성은 휘도신호의 피크대 피크 진폭범위를 감소시키지 않고 영상관 구동단 60에 직류 결합되는 휘도신호의 소망의 소거레벨 즉, 흑레벨을 설정하는 작용을 한다. 동시에, 여분의 클램프 회로를 부가하지 않고도 귀선소거 기간중에 소망의 영상관 구동단의 매트릭스 트랜지스터용 기준바이어스 레벨을 설정한다.
여기에 예시된 클램프 트랜지스터 42와 휘도증폭 트랜지스터 43의 구성은 전송게이트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각 귀선기간에 있어서는 매트릭스 트랜지스터 62,64,66의 에미터로부터 트랜지스터 42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을 거쳐 캐패시터 55의 음극까지 비교적 입력임피던스가 높고 출력임피던스가 낮은 클램프 신호전송로가 형성되고, 각 주사기간에 있어서의 캐패시터 55의 음극으로부터 트랜지스터 43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을 거쳐 매트릭스 트랜지스터까지 비교적 입력임피던스가 높고 출력임피던스가 낮은 휘도신호 전송로가 형성된다.
또, 트랜지스터 42 및 캐패시터 55를 포함하는 클램프 회로에는 전류 I2를 공급하는 브리더(bleeder) 저항 46과 부전압원(-30V)으로 이루어진 회로가 결합되어 있다. 전류 I2는 캐패시터 55의 음극으로 부터의 전하를 “브리드”하는 작용을 하여, 그것을 위해 전류 I2의 값이 트랜지스터 43의 평균 베이스 전류의 최대 기대치를 초과하도록 선택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각 주사기간동안 트랜지스터 41이 확실히 도통하도록 전류 I1전류 I2보다 크게되어 있다.
도시된 값을 가진 소자로 구성된 회로에 있어서, 전류 I1및 I2의 상호작용과, 트랜지스터 41및 42의 에미터전류 및 다이오드 48을 거쳐 필요에 따라 공급되는 클램프 신호전류에 의해 캐패시터 55의 두 극간에 소망의 전위차가 유지된다. 캐패시터 55에 인가되는 전압은 각 주사기간동안 전류 I2가 트랜지스터 43의 평균 베이스 전류를 초과할때 상승하는(즉, 음극전압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정상상태에 있어서, 전류 I2에 의해 캐패시터 55가 여분의 정전하를 발생할때(즉, 캐패시터 55의 음극전하가 공핍될때)는, 전반포치 및 후반포치간에 트랜지스터 41의 에미터 전류와 클램프 신호전류에 의해 그 여분의 정전하가 저감된다.
이상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한 것을 말할필요도 없다. 또, 도시된 신호파형의 진폭레벨은 대조적인 실예이며, 알기쉽게 하기위한 관점은 실제와 다르다.
더우기, 기준펄스와 크기는 장치마다 그 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귀선기간동안 가변구동 제어저항 72,74,76에 나타나는 전압의 크기가 무시될 수 없다고 생각되는 경우, 귀선기간마다 트랜지스터 42의 에미터에 나타나는 클램프 전압은 그에 상당하는 만큼 크게 한다(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VE+VBE보다 크게 한다). 이경우, 기준펄스의 크기를 그 상당량 만큼 크게할 필요가 있다. 매트릭스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클램프 트랜지스터 42의 베이스 사이의 다른 전압강하소자를 부가하여도 같은 방식이 적용된다.
구동점 임피던스(본 경우 매트릭스 트랜지스터 62,64,66의 실효에미터 임피던스로서 표시되는)가 충분히 낮으면, 클램프 트랜지스터 42는 반도체 다이오드로서 치환할 수가 있다. 또, 도시된 것과 반대 도전형의 반도체 장치도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클램프 트랜지스터 42는 베이스 전극과 에미터 전극을 도면과 같은 형태로 접속하여 콜렉터 전극을 정의 동작전위원에 접속한 NPN 트랜지스터로 하여도 좋다.
이경우, 귀선기간 및 주사기간마다 그 클램프 트랜지스터를 도통 또는 비도통시키기 위해 NPN 클램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적절한 클램프 신호가 부여된다.
또한, 클램프 트랜지스터 42의 베이스 전압을 변화시키는데, 의하여 클램프 기준레벨을 변화시키고, 그 결과 재생화상의 밝기를 변화시켜 휘도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Claims (1)

  1. 화상정보신호를 포함하는 화상기간과 동기기간동안 페데스탈 소거레벨에 중첩된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귀선기간이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화상표시 비데오 신호에 응답하여 화상을 재생하는 영상관과 상기 귀선 기간에 일치하여 주기적인 소거기준펄스(A)를 공급하는 신호형성 결합장치(30)를 포함하고 있는 비데오 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귀선기간동안 비데오 신호를 클램프 전압의 클램프하는 클램프 장치(42)와, 상기 클램프 전압과 다른 도통 임계레벨을 가지며 이 클램프된 비데오 신호가 임계전압을 초과할때 이것을 영상관에 공급하는 결과장치(43) 및, 기준펄스를 클램프되기전의 비데오 신호와 조합하는 조합장치(41)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처리장치.
KR7802315A 1978-07-28 1978-07-28 비데오 신호처리장치 KR820000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315A KR820000914B1 (ko) 1978-07-28 1978-07-28 비데오 신호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315A KR820000914B1 (ko) 1978-07-28 1978-07-28 비데오 신호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914B1 true KR820000914B1 (ko) 1982-05-24

Family

ID=1920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315A KR820000914B1 (ko) 1978-07-28 1978-07-28 비데오 신호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91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47034B2 (ko)
US4044375A (en) Brightness control apparatus
US55550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a video state of a video display having a picture-in-picture function
US4599642A (en) Video signal processor with bias error compensation
CA1101988A (en) Combined blanking level and kinescope bias clamp for a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system
US4096518A (en) Average beam current limiter
US4298886A (en) Automatic peak beam current leveler system
US4463385A (en) Kinescope black level current sensing apparatus
KR830002170B1 (ko) 자동 휘도 제어회로
KR100272736B1 (ko) 빔 전류 표시 신호 발생용 장치
US4135200A (en) Brightness control circuit with predictable brightness control range
US4622589A (en) Television receiver on-screen character display
US4489344A (en) Signal processing unit
US3955047A (en) D.C. reinsertion in video amplifier
JPH07110058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US4207591A (en) Gated automatic beam current limiter in a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JPH0744667B2 (ja) 映像信号処理方式
KR820000914B1 (ko) 비데오 신호처리장치
US4584596A (en) Television receiver alignment system
US4204221A (en) Predictably biased kinescope driver arrangement in a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KR20000035401A (ko) 키네스코프 빔 전류 측정 펄스에서 오버슈트를 억제하기위한 장치
US4523233A (en) Automatic bias control system with compensated sense point
JP2929048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345435B1 (ko) 영상디스플레이장치및빔스캔속도변조회로
US4600950A (en) Kinescope bias sensing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