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823B1 -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823B1
KR820000823B1 KR7900443A KR790000443A KR820000823B1 KR 820000823 B1 KR820000823 B1 KR 820000823B1 KR 7900443 A KR7900443 A KR 7900443A KR 790000443 A KR790000443 A KR 790000443A KR 820000823 B1 KR820000823 B1 KR 82000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oxy
acid
mol
wat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지끼하라
시게가즈 이또
슈우이찌 다까야마
고오이찌 사또
이찌로 기무라
이사오 지요마루
Original Assignee
기꾸찌 우라지
구미아이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꾸찌 우라지, 구미아이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기꾸찌 우라지
Priority to KR790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일반식(I)을 갖는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식중,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CF3고, Y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Z는 -COOR, -COSR′, -COR″, -COOH, -CH2OH 또는 CH2OR″′이고, R는 시아노에틸, 디아킬아미노에틸, 알콕시알킬, 벤질, 디알킬벤질, 알킬벤질, 할로벤질, 피리디노메틸, 푸르푸릴, 사이클로알킬, 메틸사이클로알킬, 페닐, 할로페닐, 메틸페닐, 알콕시알킬렌옥시알킬, 메톡시메틸부틸기, 금속원자, 아미노, 알칼아미노 또는 아릴아미노기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일 경우, R는 알킬, 할로알킬, 알케닐, 할로알케닐, 알키닐 또는 수소원자이며, R′는 알킬페닐, 클로로페닐, 클로로벤질 또는 메톡시벤질기이고, R″는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페닐아미노 또는 할로기나 알칼기에 의해 치환되어도 좋은 페닐아미노기이고, R″′는 아세틸, 클로로아세틴, 벤질, 에톡시카르보닐, 메틸카르바모일 또는 페닐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성분으로서 상기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초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다수의 제초제가 제안되었으며, 실제로 농사일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초효과 및 제초제의 안전에 관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실제 사용시에 발견되었다.
목적하는 식물에 역으로 효과를 미치지 아니하며, 적은 투여량의 유효성분으로 해로운 잡초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량 제초제를 개발하는 것이 요청되었다.
본 발명자 등은 다수의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를 합성하여 만족스런 제초제를 발견하고, 그의 제초효과를 연구했다.
본 발명의 일반식(I)을 갖는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의 신규 화합물은 일본국 특허공개 제33,637호/1977에 기재된 화합물, 예를 들면 메틸2-[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크로토네이트, 에틸2-[4-(4-트리플루오로메틸-2-클로로펜옥시)펜옥시]크로토네이트, 에틸 γ-[4-(4-트리플루오로메틸-2-클로로펜옥시)펜옥시] 발레릴레이트와 비교하여 바안야드그라스, 왕바랭이 및 존슨그라스와 같은 포아풀과 잡초에 대해 우수한 제초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은 일본국 특허공개 제12,924호/1976에 기재된 γ-[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프로피온산 유도체와 비교하여 토양처리시에 우수한 잔류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일본국 특허공개 제131,540호/1977에 기재된 디메틸암모늄 r-[4-(4-클로로펜옥시)펜옥시]발레리아네이트, 소디움 r-[4-(2′,4′-디클로로펜옥시)펜옥시]발레리아네이트, 일본국 특허공개 제54,525호/1974에 기재된 에틸 α-[4-(4′-클로로펜옥시)펜옥시]프로피오네이트, 메틸-α-[4-(2′,4′-디클로로펜옥시)펜옥시]프로피오네이트, 소디움 α-[4-(4′-브로모펜옥시)펜옥시]프로피오네이트 및 포태슘 α-[4-(4′-클로로펜옥시)펜옥시]프로피오네이트 및 일본국 특허 공개 제89,628호/1977에 기재된 소디움 α-[4-(2-클로로-4′-브로모펜옥시)펜옥시]프토피오네이트 및 디메틸암모늄 α-2′-클로로-4′-브로모펜옥시)펜옥시프로피오네이트와 비교하여 우수한 제초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파종후에 있어서 잡초를 장기간 억제시키고 엽면처리에 있어서 잡초의 불완전한 억제로부터 잡초가 소생하는 것을 장기간 억제시키며, 생장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안정효과를 주기 위해 강우, 대기중의 습기 및 고온에 의한 효과를 변화시키는 요인에 대해서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화합물(I)의 γ위치에서 메틸기를 가지므로 존슨그라스, 뚝새풀, 바안야드그라스 및 왕바랭이 등의 포아풀과 잡초에 대한 특이한 제초효과, 중요한 제초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무, 콩, 낙화생, 목화, 아마, 사탕무우, 피멘토우고추 및 해바라기 같은 광엽농작물에 식물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중요한 선택성을 가지지만, 바안야드그라스, 왕바랭이, 존슨그라스, 야생사탕수수, 캑그라스, 뚝새풀 및 참새피와 같은 포아풀과 잡초를 완전히 구제시킨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토양처리와 파종 후 엽면처리 및 파종전 처리와 같은 적당한 방법에 의해 계절마다 제초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중요한 특성을 엽면처리에 있어서 중요한 제초 효과, 예를 들면 5잎단계 이상에서 존슨그라스를 완전히 구제시키는 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초제에 의한 효과적으로 구제되는 대표적인 포아풀과의 잡초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존슨그라스, 캑그라스, 파라그라스, 남부산 샌드바아, 횡거그라스, 버어뮤다그라스, 미나리아재비, 왕바랭이, 바랭이, 바안야드그라스, 정글라이스, 부들잡초, 갈퀴덩굴, 코곤그라스, 링클그라스, 남부산커트그라스, 수염달린 스플랭글톱, 적색 스플랭글톱, 멕시코산 스플랭글톱, 갈색톱파니쿰, 사우어참새피, 수생참새피, 나탈그라스, 라오울그라스, 녹색뚝새풀, 강모가 많은 뚝새풀, 황색 뚝새플.
일반식(I)을 갖는 펜옥시펜옥시불포화 유도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1) 다음과 같은 일반식 (I)
Figure kpo00002
(식중, X, Y 및 Z는 상기한 것과 같다.)
을 갖는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는 다음과 같은 일반식 (Ⅱ)
Figure kpo00003
(식중, Z′는 상기한 Z기이거나 또는 Z기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이며, Hal은 할로겐 원자이다.)
의 불포화 할로겐화물을 염기 존재하에 0~150℃에서 1~20시간 동안 다음과 같은 일반식 (Ⅲ)
Figure kpo00004
의 페녹시페놀을 반응시키고 필요에 따라 Z′기를 Z기로 전환시켜 제조한다. 구조식에서, Z기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로 시아노, 할로겐 및 기타 기능기를 들 수가 있다.
적당한 염기로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중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탄산나트륨, 소디움에틸레이트와 같은 알코올레이트 및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닐린 또는 피리딘 등의 삼급아민을 들 수가 있다.
반응 매질로서는 물,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포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벤젠, 톨루엔, 키실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등을 들 수가 있다.
생성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목적하는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를 전환시킬 수 있다.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I)의 목적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일반식
Figure kpo00005
의 펜옥시페놀을 적당한 용매 중에서 염기 존재하에 0-150℃에서 1-20시간 동안
Figure kpo00006
의 할로펜텐 화합물 또는 할로펜테놀 화합물과 직접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Figure kpo00007
을 갖는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 에스테르의 목적화합물은
일반식
Figure kpo00008
의 펜옥시페놀은 할로펜텐산과 반응시켜 다음과 같은 일반식
Figure kpo00009
의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을 제조한 다음에, 적당한 용매 중에서 또는 용매 부재하에 구조식 ROH를 갖는 대응하는 화합물은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Ⅳ) 또는 다음과 같은 일반식
Figure kpo00010
을 갖는 상기한 불포화산의 할로겐화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 할로겐화물(Ⅳ)는 염화티오닐 및 삼할로겐화인 등의 할로겐화를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Ⅳ)과 반응시켜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일반식]
Figure kpo00011
을 갖는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 아미드의 목적화합물을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Ⅳ) 또는 그의 산할로겐화물(Ⅳ′)을 알코올레이트, 소디움아미드 또는 소디움하이드라이드 존재 또는 부재하에 적당한 용매 중에서 대응하는 아민 또는 암모니아와 0~150℃의 온도에서 1-20시간 동안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일반식]
Figure kpo00012
을 갖는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 티올에스테르의 목적 화합물은 또한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Ⅳ) 또는 그의 산할로겐화물(Ⅳ′)을 적당한 불활성 용매 존재 또는 부재하에 탈수소할로겐화제 등의 염기 존재하에 대응하는 메르캅탄과 -20~100℃의 온도에서 1~20시간 동안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일반식]
Figure kpo00013
의 펜옥시펜옥시 펜텐올의 목적 화합물은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Ⅳ) 또는 그의 산할로겐화물(Ⅳ′) 또는 그의 에스테르를 적당한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소디움보론 하이드라이드 및 알루미늄리튬 하이드라이드등의 환원제로 -20~100℃에서 1~20시간 동안 수소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Figure kpo00014
의 펜옥시펜옥시 펜텐을 유도체의 목적 화합물은 또한 펜옥시펜옥시 펜텐올을 적당한 불활성 용매 중에서 구조식 R″′OH 또는 R″′NH2의 화합물과 0~150℃에서 1~20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 목적 화합물들은 주로 펜옥시페놀(Ⅲ)과 불포화할로겐화물(Ⅲ)과 반응시키고, 필요에 따라 생성물을 목적화합물로 전환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 주반응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을 전환시키는 몇가지 방법들을 기재한다.
a) 일반식(I)을 갖는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는 다음과 같은 일반식 (Ⅳ)
Figure kpo00015
의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을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또는 β-나프탈렌슬폰산 등의 방향족 술폰산, 무수 황산구리 또는 무수 황산철 등의 무수 황산염, 팔염화인, 인산무수물, 삼불화붕소 또는 산이온 교환제 등의 촉매 존재하에 구조식 ROH의 화합물과 20~150℃에서 또는 환류항에 1~20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상기 식중, X, Y 및 R는 상기한 바와 같다).
b) 일반식(I)의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는 일반식(Ⅳ)
Figure kpo00016
의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을 반응매질 중에서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및 유기염기, 예를 들면 아민 및 아미노화합물 등의 염기와 0~100℃에서 0.5~10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c) 일반식(I)의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는 다음과 같은 일반식(Ⅴ)
Figure kpo00017
의 펜옥시펜옥시 펜테노일 할로겐화물을 반응매질 또는 과량의 구조식 ROH의 화합물 중에서 또는 반응매질 부재하에 염기중 탈수소할로겐화제 부재하에 구조식 ROH, R′SH 또는 R″H의 화합물과 -10~150℃의 온도에서 1~20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상기 식중, X, Y, R 및 Hal은 상기한 것과 같다).
무기 또는 유기 염기의 적당한 탈수소할로겐화제의 예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중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탄산염, 소디움에틸레이트 등의 알코올레이트, 트리에틸아민디메틸아닐린 또는 피리딘 등의 삼급아민을 들 수가 있다.
적당한 반응매질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벤젠, 톨루엔, 키실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및 디클로로에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펜옥시펜옥시 펜테노산 할로겐화물(Ⅴ)은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산(Ⅳ)을 용매 중에서 염화티오닐 또는 삼할로겐화인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d) 일반식(Ⅵ)
Figure kpo00018
(식중, M는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중금속 또는 알킬아미노 및 아릴아미노기 기를 갖는 아미노기임)
의 펜옥시펜옥시 펜테노에이트는 대응하는 산 또는 산할로겐화물을 대응하는 염기로 중화시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은 실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매 중에서 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e) 일반식(Ⅶ)
Figure kpo00019
(식중, B는 수소원자, 알킬카르보닐, 할로알킬카르보닐, 아릴카르보닐,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또는 아릴아미노카르보닐기임)
의 펜옥시펜옥시 펜테놀유도체는 4-할로게노-2-펜텐올 또는 그의 에스테르를 다음과 같은 일반식(Ⅲ)
Figure kpo00020
의 펜옥시페놀과 반응시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은 염기 존재하에 용매 중에서 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펜옥시펜옥시 펜테놀(B=H)을 제조할 경우, 이 생성물은 에스테르화시켜 대응하는 에스테르로 수득할 수 있다.
(f) 일반식(Ⅷ)
Figure kpo00021
의 펜옥시펜옥시 펜테놀은 반응매질 중에서 리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및 소디움보로하이드라이드 등의 환원제 존재하에 상기의 a), b), c), d) 또는 e) 방법에서 수득한 다음과 같은 일반식
Figure kpo00022
(식중, A′는 OR 또는 할로겐 원자임)
의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를 -20~100℃의 온도에서 1~20시간 동안 환원시켜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생성된 펜옥시펜옥시 펜테놀을 대응하는 산으로 에스테르화시켜 그의 에스테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몇가지 예를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조예 1-1]
[에틸 4-[4-(2,4-디클로로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100ml 중에, 4-(2,4-디클로로펜옥시)페놀 25.5g(0.1몰)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에틸 4-브로모-2-펜테노에이트 24.8g(0.12몰)을 부가했다. 이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켜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물에 경사시키고, 반응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을 추출시켰다. 디클로로메탄상을 물, 묽은 염산 및 이어서 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 다음에 디클로로 메탄을 유거하고 잔류물을 진공중에서 증류시켜 담황색액상물 2.5g(수율 85.2%)을 얻었다.
비점 180~190℃/0.007mmHg,
Figure kpo00023
[제조예 1-2]
[메틸 4-[4-(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4-[4-(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테노산 73g(0.2몰), 메탄올 200ml 및 농황산 10g의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메탄올의 거의 절반을 유거시킨 다음에 물 300ml를 부가하여 이것을 희석시킨 다음에 생성된 유상물을 에테르로 추출시키고, 이 에테르상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 다음에 에테르를 유거하여 유명한 갈색 점성액 66g(수율 87.5%)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24
[제조예 1-3]
[이소프로필 4-[4-(4-요오도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이소프로필알코올 70ml에, 에틸 4-[4-(4-요오도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22g(0.05몰) 및 황산 3g을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환류시켜 반응시킨 다음에 이소프로필알코올 약 50ml를 유거시키고, 물 150ml를 부가시킨 다음에 생성된 유상물을 에테르로 추출시켰다. 에테르상을 물로 세척시키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에테르를 유거하여 암갈색 점성액을 얻었다(수육 74.0%).
Figure kpo00025
[제조예 1-4]
[N-이급부틸 4-[4-(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텐아미드]
메탄올 100ml에, 메틸 4-[4-(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1.89g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1% 이급-부틸아민의 수용액 20ml를 부가하여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후에, 물을 부가하여 정출시키고, 이어서 생성물을 메탄올 물로 재결정시켜 융점 127-128℃를 갖는 갈색 결정물 15.8g(수율 75.5%)을 얻는다.
[제조예 1-5]
[4-[4-(4-클로로펜옥시)펜옥시](2)-펜텐아미드]
4-[4-(4-클로로펜옥시)펜옥시]-2-펜테노산 6.4g(0.02몰) 및 염화티오닐 30ml의 혼합물을 6시간동안 환류시켰다.
과량의 염화티오닐을 반응혼합물로부터 분리시키고, 염화아실의 잔류물을 아세톤 20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5% 암모니아수 50ml를 부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에 결정들을 분리시키고, 물로 세척시킨 다음에 물-에탄올로 재결정시켜 융점 135-137℃의 담황색 분체 결정 5.2g(수율 81.8%)을 수득했다.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아민과 펜테노산을 사용하여 제1-6,12, 19, 20, 21 및 27번 화합물을 제조했다.
[제조예 1-6]
[메틸 4-[4-(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테노이트]
무수메탄올 250ml에, 4-[4-(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테노일클로라이드 37.0g(0.1몰)을 빙냉하에 부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그리고 40~45℃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에 과량의 메틸알코올을 유거하여 투명한 갈색점성액 35.2g(수육 93.0%)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26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알코올과 염화아실을 사용하여 제1-3, 4, 5, 8, 9, 10, 11, 14, 15, 16, 17, 22, 25 및 26번 화합물을 제조했다.
[제조예 2-1]
[에틸 4-[4-(4-브로모-2-클로로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에탄올 60ml에, 4-(4-브로모-2-클로로펜옥시)페놀 9.0g(0.3몰) 및 에틸 4-브로모-2-펜테노에이트 7.9g(0.036몰)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탄산칼륨 4.6g(0.033몰)을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시켜 반응시켰다. 반응생성물을 에테르로 추출시키고, 에테르상을 물로 세척시키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키고, 에테르를 유거시키고, 140℃/0.01mmHg 이하의 비점을 갖는 저비점물질들을 유거시켜 오랜지색 점성액 11.7g(수육 91.5%)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27
[제조예 2-2]
[이소프로필 4-[4-(2-클로로-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4-[4-(2-클로로-4-브르모펜옥시)펜옥시](2)-펜테노산 19.9g(0.05몰), 이소프로판올 50ml, 벤젠 50ml 및 농황산 3g의 혼합물을 트랩으로 물을 제거하면서 5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시킨 후에, 물 100ml를 부가하고, 벤젠상을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물, 묽은 염산 및 물로 연속해서 세척시키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 다음에 벤젠을 유거하여 오랜지색 점성액 17.9g(수율 81.5%)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28
[제조예 2-3]
[2-클로로에틸 4-[4-(2-클로로-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4-[4-(2-클로로-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테노산 11.9g(0.03몰) 및 염화티오닐 20ml의 혼합물을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과량의 염화티오닐을 반응혼합물로부터 유거시키고, 2-클로로에탄올 20ml를 염화아실의 잔류물에 부가시키고, 이 혼합물을 서서히 가열시켜 6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과량의 2-클로로에탄올을 유거하여 오랜지색 점성액 11.4g(수율 89.0%)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29
[제조예 2-4]
[알릴 4-[4-(2-클로로-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벤젠 70ml, 알릴알코올 2.1g(0.030몰) 및 피리딘 2.6g(0.033몰)의 혼합물에, 전술한 제조예에서 수득한 4-(2-클로로-4-브로모펜옥시)펜옥시 2-펜테노산 염화물 12.5g(0.03몰)을 부가하여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부가하고, 벤젠상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키고, 벤젠을 유거하여 오랜지색 점성액 11.5g(수율 87.3%)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30
[제조예 3-1]
[4-[4-(4-클로로펜옥시)펜옥시-2-펜테노산디메틸아민염]
10% 디메틸아민 수용액 15ml에, 4-[4-(4-클로로펜옥시)펜옥시]-2-펜테노산 7.0g(0.02몰)을 용해시킨 다음에, 회전증발기에 의해 과량의 디메틸아민 및 물을 분리시켜 오랜지색 점성액 6.5g(수율 92.2%)을 수득했다.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아민을 사용하여 제3-5번 화합물을 제조했다.
[제조예 4-1]
[메톡시에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에탄올 70ml에, 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놀 10.2g(0.04몰) 및 메톡시에틸 4-브로모-2-펜테노에이트 11.4g(0.0048몰)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탄산칼륨 6.1g(0.044몰)을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시켜 반응시켰다. 이 반응혼합물을 에테르로 추출시키고, 에테르상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 다음에 에테르를 유거시키고, 140℃/0.01mmHg 이하의 비점을 갖는 저비점물질들을 유거시켜 오랜지색 점성액 15.2g(수율 92.3%)을 수득했다.
[제조예 4-2]
[에톡시에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산 17.7g(0.05몰), 에틸셀로솔브 50ml, 벤젠 50ml 및 농황산 3g의 혼합물로 트랩으로 물을 제거하면서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시킨 후에, 벤젠 100ml를 부가하여 생성물을 희석시키고, 벤젠상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키고, 이어서 벤젠을 유거시키고, 140℃/0.01mmHg 이하의 비점을 갖는 저비점물질들을 유거하여 오랜지색 점성액 17.9g(수율 84.4%)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31
[제조예 4-3]
[2-메톡시프로필 4-[4-(4-브로모-2-클로로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4-[4-(4-브로모-2-클로로펜옥시)펜옥시]-2-펜테노산 14.2g 및 염화티오닐 25ml의 혼합물을 6시간 동안 환류시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과량의 염화티오닐을 유거시키고, 산염화물의 잔류물에 2 메톡시프로필알코올 15ml를 부가했다. 부가 후에, 혼합물을 서서히 가열시켜 6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과량의 2-메톡시프로필알코올을 감압하에서 유거하여 오랜지색 점성액 17.2g(수율 91.3%)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32
[제조예 4-4]
[n-부톡시에틸 4-[4-(4-브로모-2-클로로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톨루엔 70ml, n-부톡시에탄올 4.7g(0.04몰) 및 탄산칼륨 4.6g(0.033몰)의 혼합물에, 전술한 제조예에서 수득한 4-[4-(4-브로모-2-클로로펜옥시)펜옥시]-2-펜테노일클로라이드 12.5g(0.03몰)을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50~60℃에서 서서히 1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톨루엔상을 물,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물로 연속해서 세척시키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 다음에 톨루엔을 유거시켜 오랜지색 점성액 13.7g(수율 92.0%)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33
동일한 방법으로, 상응하는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4-1,2,3,4,5,6 및 8번 화합물을 제조했다.
[제조예 4-5]
[메톡시메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아세톤 100ml에, 소디움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11.2g(0.03몰)을 현탁시킨 다음에, 여기에 메톡시메틸클로라이드 3.6g(0.045몰)을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이어서 8시간 동안 환류시켜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후에, 반응생성물을 에테르로 추출시키고, 에테르상을 물,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물의 순서로 탈수시키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 다음에, 에테르를 유거하고, 140℃/0.01mmHg 이하의 비점을 갖는 저비점 물질들을 진공 중에서 유거하여 오랜지색 점성액 8.7g(수율 77.6%)을 수득했다.
[제조예 5-1]
[N, N-디에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텐아미드]
아세톤 300ml에, 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놀 25.4g(0.1몰)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빙수에 경사시키고, 유상물을 에테르로 추출시키고, 에테르상을 물로 세척시키고, 탈수시킨 다음에 에테르를 유거하고, 잔류물을 진공중에서 유거하여 비점 190~192℃/0.015mmHg을 갖는 오랜지색 점성액 36.2g(수율 89.2%)을 수득했다.
[제조예 5-2]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텐아미드]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산 7.4g(0.02몰) 및 염화티오닐 30ml의 혼합물을 6시간 동안 환류시켜 반응시켰다. 과량의 염화티오닐을 반응혼합물로부터 유거시키고, 활로겐화아실의 잔류물을 아세톤 20ml 중에 용해시키고, 5% 암모니아수 50ml를 부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에탄올로부터 재결정시켜 융점 140-142℃를 갖는 백색 결정 5.7g(수율 81.4%)을 수득했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응하는 아민을 사용하여 제5-5~5-10번 화합물을 제조했다.
[제조예 6-1]
[페닐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에탄올 50ml에, 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놀 12.7g(0.05몰), 페닐 4-브로모(2)-펜테노에이트 12.8g(0.05몰) 및 무수탄산칼륨 7g(0.05몰)을 부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에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시킨 후에, 반응 혼합물을 빙수 200ml에 경사시키고, 유상 생성물을 톨루엔으로 추출시키고, 톨루엔상을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물로 연속해서 세척시키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킨 다음에 톨루엔을 감압하에서 유거하고, 잔류물을 감압 0.05mmHg하에 110℃에서 가열시킨 황색 점성액 19.5g(수율 91.1%)을 수득했다.
[제조예 6-2]
[메틸아미노에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벤젠 50ml에,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일클로라이드 7.4g(0.02몰) 및 디메틸아미노에탄올 3.6g(0.04몰)을 부가하고, 혼합물을 50℃에서 3시간동안 가열시켜 반응시켰다. 반응후에, 벤젠 용액을 물, 5% 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물을 순서로 연속해서 세척시키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탈수시키고, 벤젠을 유거한 다음에 저비점물질들을 115℃에서 0.095mmHg하에 유거하여 담황색 오랜지색 점성액 8.0g(수육 94.1%)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34
[제조예 6-3]
[3-메톡시-3-메틸부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에이트]
벤젠 40ml에,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일클로라이드 5.0g(0.013몰)과 3-메톡시-3-메틸부탄올 2.1g(0.018몰)을 용해시키고, 이 혼합물을 교반하에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을 염화수소가스를 발생시키면서 행했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벤젠 100ml와 혼합시키고 벤젠상을 중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 50ml로 2회 세척시키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 다음에 벤젠을 유거시키고, 저비점 물질들을 0.08mmHg하에서 110℃에서 증류시켜 담갈색 점성액 5.9g(수율 98.3%)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35
동일한 방법으로, 상응하는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6-1~6-17번 화합물을 제조했다.
[제조예 7-1]
[S-에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텐티올레이트]
에탄올 70ml에, 에틸 4-브로모-(2)-펜텐티올레이트 11.1g(0.05몰)과 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놀 10.2g(0.04몰)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탄산칼륨 6.0g(0.044몰)을 부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에테르로 추출시키고, 에테르상을 물로 세척시키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키고, 에테르를 유거시키고, 저비점물질을 0.01mmHg에서 140℃에서 유거하여 투명한 오랜지색 액체 14.7g(수율 91.7%)을 수득했다.
[제조예 7-2]
S-메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텐티올레이트.
톨루엔 100ml에, 메틸메르캅탄 2.9g(0.06몰)과 탄산칼륨 7.6g(0.055몰)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일브로마이드 20.5g(0.05몰)을 5~10℃에서 부가하여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에 물을 부가하고, 툴루엔상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 다음에 톨루엔을 유거하여 오랜지색 점성액 16.7g(수율 86.9%)을 수득했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응하는 메르캅탄을 사용하여 제7-2~7-9번 화합물을 제조했다.
[제조예 8-1]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텐-1-올]
탈수시킨 디에틸에테르 50ml에, 리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0.9g(0.02몰)을 현탁시킨 다음에 디에틸에테르 50ml중의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노일클로라이드 11.1g(0.03몰)의 용액을 빙수로 냉각시키면서 5~10℃에서 부가했다. 부가시킨 후에,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과량의 리튬 알루미륨하이드라이드로 물을 함유하는 초산에틸을 부가하여 분해시키고, 이 혼합물을 여과하고, 에테르상의 여액을 물로 세척시키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 다음 에테르를 유거하여 엷은 오랜지색 점성액 8.4g(수율 82.5%)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36
[제조예 8-2]
4-[4-(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텐-1-올.
디옥산 50ml에, 소디움보론하이드라이드 0.8g(0.02몰)을 현탁시키고, 여기에 디옥산 30ml중에 용해시킨 4-[4-(4-브로모펜옥시)펜옥시](2)-펜테노일클로라이드 7.6g(0.02몰)의 용액을 부가했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그리고 45~5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초산을 부가하여 과량의 소디움보로하이드라이드를 분해시키고, 생성물을 에테르로 추출시키고, 에테르상을 물로 세척시킨 다음에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에테르를 유거하여 엷은 오랜지색 점성액 5.5g(수율 79.9%)을 수득했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응하는 원료를 사용하여 제8-3,4,5 및 6번 화합물을 제조했다.
[제조예 9-1]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닐아세테이트]
아세톤 50ml에,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텐올 6.8g(0.02몰)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탄산칼륨 3.0g(0.022몰) 및 염화아세틸 1.7g(0.022몰)을 부가하고, 이 혼합물을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에 경사시킨 다음에 생성물을 벤젠으로 추출시키고, 이어서 5% 수산화나트륨수용액 및 물의 순서로 연속해서 세척시키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키고, 벤젠을 유거시키고, 저비점물질을 0.1mmHg하에서 120℃에서 유거하여 갈색 점성액 6.7g(수율 88.2%)을 수득했다.
Figure kpo00037
동일한 방법으로, 상응하는 원료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9-2,3 및 4번 화합물을 제조했다.
[제조예 9-2]
[N-메틸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닐카르바메이트]
벤젠 50ml에, 4-[4-(4-트리플루오로메틸펜옥시)펜옥시](2)-펜테놀 6.8g(0.02몰) 및 메틸이소시아네이트 1.4g(0.025몰)을 용해시키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이어서 1시간동안 환류시킨 다음에 반응생성물을 물로 세척시키고, 벤젠상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키고, 벤젠을 유거한 다음 저비점물질들을 120℃에서 0.1mmHg하에서 유거하여 갈색 점성액 7.3g(수율 92.4%)을 수득했다.
동일한 방법에 의해, 페닐시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제9-6번 화합물을 제조했다.
상기한 방법들에 의해 수득된 대표적인 화합물들을 이하에 예시한다. 이하에 화합물 번호를 기재한다.
Figure kpo00038
Figure kpo00039
Figure kpo00040
Figure kpo00041
Figure kpo00042
상기 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신규화합물들은 다수의 농작물에 대해 현저한 제초효과 비식물독성을 나타내며, 적당한 사용법과 유효성분을 적당량 투약시킴으로써 토양처리 또는 엽면처리에 의해 육상, 수전, 과수원, 삼림지역 및 비경작지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성분의 투약량은 기후조건, 토양조건, 조성물의 형태, 사용계절, 사용법, 농작물 및 잡초의 종류에 의해 좌우되며, 이 투여량은 처리지역 1헥타아르당 0.01~10kg, 적합하기로는 0.1~5kg, 특히 적합하기로는 0.5~3kg이며, 통상으로 유효성분 10~10,000ppm, 적합하기로는 100~5000ppm, 특히 적합하기로는 250~3000ppm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초제로서 사용할 경우, 이 화합물은 원래의 형태로 사용하며, 또한 과립제, 수화분제, 산제, 유화농제, 미분제, 부유제, 현탁제 등으로 사용하여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초제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활석, 벤토나이트, 점토, 고령토, 규조토, 실리카젤, 버미큘라이트, 석회, 규사, 황산 알루미늄 또는 요소 등의 고상 담체, 알코올, 디옥산, 아세톤, 사이클로헥사는, 메틸나프탈렌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액상담체, 유화제로서 알킬술페이트, 알킬술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테르 등의 분산제 또는 수산제 등의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노닐 페놀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탈모노알킬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및 카르복시메틸셀롤로오스, 아라비아고무 및 기타 보조약과 균일하게 혼합하거나 또는 이들 적당한 보조약 중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제초제의 유효성분, 보조약 및 첨가제의 사용량을 이하에 기재한다.
[수화제]
유효성분 : 5~95중량%, 적합하기로는 20~50중량%
계면활성제 : 1~20중량%, 적합하기로는 5~10중량%
고상담체 : 5~85중량%, 적합하기로는 40~70중량%
유효성분을 고상담체 및 계면활성제와 혼합시키고, 이 혼합물을 분쇄했다.
[유화농제]
유효성분 : 5~95중량%, 적합하기로는 20~70중량%
게면활성제 : 1~40중량%, 적합하기로는 5~20중량%
액상담체 : 5~90중량%, 적합하기로는 30~60중량%
유효성분을 액상담체중에 용해시키고,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혼합했다.
[산 제]
유효성분 : 5~10중량%, 적합하기로는 1~5중량%
고상담체 : 99.5~90중량%, 적합하기로는 99~95중량%
유효성분을 미세한 고상담체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분쇄시켰다.
[과립제]
유효성분 : 0.5~40중량%, 적합하기로는 2~10중량%
고상담체 : 99.5~60중량%, 적합하기로는 98~90중량%
유효성분을 고상담체상에 분무시키거나 또는 고상담체로 더 피복시켜 과립제를 제제한다.
본 발명의 제초제에 기타의 제초제를 화합할 수 있다.
적당한 추가 제초제의 예로 2,3,6-트리클로로벤조산 또는 그의 염, 2,3,5,6-테트라클로로벤조산 및 그의 염, 2-메톡시-2,5,6-트리클로로벤조산 및 그의 염, 2-메톡시-3,6-디클로로벤조산 및 그의 염.
2-메틸-3,6-디클로로벤조산 및 그의 염, 2,3-디클로로-6-메틸벤조산 및 그의 염, 2,4-디클로로펜옥시초산 및 그의 염과 에스테르, 2,4,5-트리클로로 펜옥시초산 및 그의 염과 에스테르, 2-메틸-4-클로로펜옥시초산 및 그의 염과 에스테르, α-(2,4,5-트리클로로 펜옥시) 프로피온산 및 그의 염과 에스테르, 2-(2,4-화클로로펜옥시) 부티르산 및 그의 염과 에스테르, 4-(2-메틸-4-클로로펜옥시) 부티르산 및 그의 염과 에스테르,
2,3,6-트리클로로페닐초산 및 그의 염, 3,6-멘독소헥사하이드로프탈산, 디메틸-2,3,5,6-테트라클로로테레프탈레이트, 트리클로로초산 및 그의 염, 2,2-디클로로 프로피온산 및 그의 염과 2,3-디클로로이소부티르산 및 그의 염 등의 카르복실산계 화합물, 에틸 N,N-디(n-프로필) 티올카르바메이트, 프로필 N,N-디(n-프로필) 티올 카르바메이트, 에틸 N-에틸-N-(n-부틸) 티올카르바메이트, 프로필 N-에틸-N-(n-부틸) 티올카르바메이트, 2-클로로알릴 N,N-디에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N-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s-에틸 핵사하이드로-1H-아제핀-1-카르보티오에이트, s-4-클로로벤질 N,N-디에틸티올카르바메이트, s-벤질 N,N-디-이급-부틸티올카르바메이트, 이소프로필 N-페닐카르바메이트, 이소프로필 N-(m-클로로 페닐) 카르바메이트, 4-클로로-2-부틸 N-(m-클로로 페닐)카르바메이트, 메틸 N-(3,4-디클로로페닐) 카르바메이트 및 메틸술파닐 카르바메이트 등의 카르밤산계 화합물, 디니트로-0-(이급-부틸) 페놀 및 그의 염과 펜타클로로페놀 및 그의 염 등의 페놀계화합물,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3-페닐-1,1-디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3-메톡시-1,1-디메틸우레아, 3-(4-클로로페닐)-3-메톡시-1,1-디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1-n-부틸-1-메틸우레아-3-(3,4-디클로로페닐)-1-메톡시-1-메틸우레아, 3-(4-클로로페닐)-1-메톡시-1-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 페닐)-1,1,3-트리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1,1-디에틸우레아, 1-(2-메틸사이클로헥실)-3-페닐우레아,
1-(5-t-부틸-1,3,4-트리아디아졸-2-일)-1,3-디메틸우레아, 3-(3-클로로-4-메틸페닐)-1,1-디메틸우레아, 3-(3-클로로-4-메톡시페닐)-1,1-디메틸우레아 및 디클로랄우레아 등의 우레아계화합물, 2-클로로-4,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 2-클로로-4-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클로로-4,6-비스(메톡시프로필 아미노)-s-트리아진, 2-메톡시-4,6-비스(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메틸메르캅토-4,6-비스(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메틸메르캅토-4,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 2-메틸메르캅토-4-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클로로-4,6-비스(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메톡시-4,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 2-메톡시-4-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메틸메르캅토-4-2-메톡시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4-클로로-6-에틸아미노-s-트리아진-2-일) 아미노-2-메틸프로피오니트릴, 4-아미노-6-t-부틸-3-메틸티오-1,2,4-트리아진-5-(4H)-온 및 3-사이클로헥실-6-디메틸아미노-1-메틸-s-트리아진-2,4-(1H, 3H) 이온 등의 트리아진계 화합물, 2,4-디클로로-4-니트로 디페닐에테르,
2,4,6-트리클로로-4′-니트로디페닐에테르, 2,4-디클로로-6-플루오로-4′-니트로디페닐에테르,
3-메틸-4′-니트로디페닐에테르, 3,5-디메틸-4′-니트로디페닐에테르, 2,4′-디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 디페닐에테르, 2,4-디클로로-3′-메톡시-4′-니트로디페닐에테르,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4′-니트로디페닐에테르,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3′-에톡시-4′-니트로디페닐에테르,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3′-카르브에톡시-4′-니트로디페닐에테르 및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3′-(1-카르브에톡시) 에톡시-4′-니트로디페닐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화합물,
N-(3,4-디클로로페닐) 프로피온아미드, N-(3,4-디클로로페닐) 메타크릴아미드, N-(3-클로로-4-메틸페닐)-2-메틸펜트아미드, N-(3,4-디클로로페닐)-트리메틸아세트아미드, N-(3,4-디클로로페닐)-α,α-디메틸발레르아미드, N-이소프로필-N-페닐클로로아세트아미드,
N-n-부톡시메틸-N-(2,6-디에틸페닐) 클로로아세트아미드 및 N-n-메톡시메틸-N-(2,6-디에틸페닐)클로로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닐리드계 화합물, 5-브로모-3-이급-부틸-6-메틸우라실,
5-브로모-3-사이클로헥실-1,6-디메틸우라실, 3-사이클로헥실-5,6-트리메틸렌우라실, 5-브로모-3-이소프로필-6-메틸우라실, 3-삼급-부틸-5-클로로-6-메틸우라실 등의 우라실계 화합물,
2,6-디클로로벤조니트릴, 디페닐아세토니트릴, 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벤조니트릴 및 3,5-디요오드-4-하이드록시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화합물, 2-클로로-N,N-디알릴아세트아미드, N-(1,1-디메틸-2-프로필)-3,5-디클로로벤즈아미드, 말레산무수물, 3-아미노-1,2,4-트리아졸,
모노-소디움메탄아르소네이트, 디-소디움메탄 아르소네이트, N,N-디메틸-α,α-디페닐아세트아미드, N,N-디(n-프로필)-2,6-디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린, N,N-디(n-프로필)-2,6-디니트로-4-메틸아닐린, N,N-디(n-프로필)-2,6-디니트로-4-메틸술포닐아닐린,
0-(2,4-디클로로페닐)-0-메틸이소프로필포스포르아미드 티오네이트, 4-아미노-3,5,6-트리클로로피클린산, 2,3-디클로로-1,4-나프로퀴논, 디메톡시카르보닐 디술파이드, 3-이소프로필-1H-2,1,3-벤조티아디아진-4(3H)-온-2,2-디옥사이드, 6,7-디하이드로디피리돌[1,2-a:2:1′-c] 피라지늄염,
1,1′-디메틸-4,4′-비피리디늄염, 3,4,5,6-테트라 하이드로-3,5-디메틸-2-티오-2H-1,3,5-티아디아진, 1,2-디메틸-3,5-디페닐 피라졸리늄메틸 술페이트, N-이급-부틸-2,6-디니트로-3,4-키실리딘, N-이급-부틸-4-t-부틸-2,6-디니트로아닐린, N3,N3-디에틸-2,4-디니트로-6-트리플루오로메틸-1,3-페닐렌디아민, 1,1,1-트리플루오로-(4′-페닐술포닐)-메탄술포노-0-톨루이딘, 2-(1-나프톡시)-N,N-디에틸프로피온아미드,
2-t-부틸-4-(2,4-디클로로-5-이소프로폭시 페닐)-1,3,4-옥사디아졸린-5-온, 4-클로로-5-메틸아미노-2-(α,α,α-트리플루오로-m-톨릴)-3(2H)-피리다지논, N-사이클로로프로필메틸-α,α,α-하리플루오로-2,6-디니트로-N-프로필-p-톨루이딘 및 N-포스포노메틸 글리신 등의 기타 화합물을 들 수가 있다.
상기한 기타 제초제를 본 발명의 화합물과 혼합할 경우, 화합물의 비율과 화합물의 투여량은 농작물에 대한 화합물의 선택성과 제초효과 및 이 화합물로 처리한 해로운 잡초의 억제효과에 따라 선택한다.
제초제 제제예를 이하에 기술하지만, 보조약의 종류 및 비율은 한정되지 않으며, 제초제의 조건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제1번 조성물·수화성분제]
유효성분 30중량% 소듐고급알코올술페이트 5중량% 점토 65중량%
이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시킨 다음에 분쇄시켜 수화성 분제를 제제했다.
[제2번 조성물·유화농제]
유효성분 25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10중량%
칼슘디나프틸메탄술포네이트 5중량% 크실렌 60중량%
이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화농제를 제제했다.
[제3번 조성물·과립제]
유효성분 3중량% 벤토나이트 40중량% 점토 50중량% 소디움리그닌술포네이트 7중량%
이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쇄시킨 다음에 물을 부가하여 반죽시키고, 조립시킨 다음 건조시켜 과립제로 제제했다.
[제4번 조성물·산제]
유효성분 2중량% 점토 98중량%
이 성분들을 혼합시킨 다음에 분쇄시켜 산제를 제제했다.
[제5번 조성물·수화성분제]
유효성분 30중량% 고령토 43중량% 화이트 카아본 20중량
폴리비닐 알코올 5중량%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놀 2중량%
이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시킨 다음에 분쇄시켜 수화성분제를 제제했다.
[제6번 조성물·유화농제]
유효성분 50중량% 폴리옥시 에틸렌노닐페놀 5중량%
알킬아릴술포네이트 5중량% 크실렌 40중량%
이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시켜 유화농제를 제제했다.
[제7번 조성물·과립제]
유효농제 5중량% 규사 92중량% 화이트 카아본 3중량%
이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시켜 분쇄시킨 다음에 물을 부가하여 반죽시키고, 조립시킨 다음에 건조시켜 과립제를 제제했다.
[제8번 조성물·산제]
유효성분 3중량 화이트 카아본 2중량 고령도 95중량%
이 성분들을 혼합시킨 다음에 분쇄시켜 산제를 제제했다.
본 발명 화합물의 제초효과를 이하 실험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험예에서, 비교시험으로서, 다음과 같은 참고화합물을 사용한다.
참고화합물(I)
Figure kpo00043
참고화합물(Ⅱ)
Figure kpo00044
참고화합물(Ⅲ)
Figure kpo00045
참고화합물 (Ⅳ)
Figure kpo00046
참고화합물(Ⅴ)
Figure kpo00047
참고화합물(Ⅵ)
Figure kpo00048
참고화합물(Ⅶ)
Figure kpo00049
참고화합물(Ⅷ)
Figure kpo00050
참고화합물(Ⅸ)
Figure kpo00051
참고화합물(Ⅹ)
Figure kpo00052
참고화합물(XI)
Figure kpo00053
참고화합물(XⅡ)
Figure kpo00054
참고화합물(XⅢ)
Figure kpo00055
참고화합물(XⅣ)
Figure kpo00056
참고화합물(XⅤ)
Figure kpo00057
참고화합물(XⅥ)
Figure kpo00058
참고화합물(XⅦ)
Figure kpo00059
참고화합물(XⅧ)
Figure kpo00060
참고화합물(XIX)
Figure kpo00061
참고화합물(XX)
Figure kpo00062
참고화합물(XXI)
Figure kpo00063
참고화합물(XXⅡ)
Figure kpo00064
참고화합물(XXⅢ)
Figure kpo00065
참고화합물(XXⅣ)
Figure kpo00066
[실험예 1]
[파종전(발아전) 토양처리에서 농작물 및 대지 잡초에 대한 시험]
600㎠ 면적의 각 화분에 대지 토양과 밀, 보리, 콩, 무, 바안야드 그라스 및 왕바랭이 종자를 넣고, 5cm 깊이로 흙을 덮어주었다. 제2번 조성물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각 유화농제를 물로 희석시켜 헥타아르당 1키로릿터의 특정 농도로 화합물을 사용하고, 희석시킨 용액을 토양 표면에 균일하게 분무시켰다.
처리 20일 후에, 농작물의 처리효과 및 식물독성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등급을 정했다.
실험은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리해서 행했다.
Figure kpo00067
[표 1]
Figure kpo00068
Figure kpo00069
[표 2]
Figure kpo00070
[표 3]
Figure kpo00071
[표 4]
Figure kpo00072
[표 5]
Figure kpo00073
[표 6]
Figure kpo00074
Figure kpo00075
[표 7]
Figure kpo00076
[표 8]
Figure kpo00077
[표 9]
Figure kpo00078
[실험예 2]
파종전 토양처리에서 농작물 및 대지잡초에 대한 시험 2000㎠ 면적의 각 폴리에틸렌제화분에 대지토양과 벼, 옥수수, 밀, 콩, 목화, 무, 바안야드그라스, 왕바랭이, 뚝새풀, 존슨그라스 및 명아주 종자(화분당 25개 종자)를 0.5cm 깊이로 파종했다.
제2번 조성물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각 유화농제를 물로 희석시켜 헥타아르당 유효성분 0.25, 0.125 및 625kg을 사용하고, 희석시킨 용액을 화분당 20.0ml 비율로 토양표면에 균일하게 분무시켰다.
처리 20일 후에, 농작물의 제초효과 및 식물독성을 관찰하여 상기와 같이 등급을 정했다.
Figure kpo00079
실험을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분리해서 행했다.
[표 10]
Figure kpo00080
[표 11]
Figure kpo00081
[표 12]
Figure kpo00082
[실험예 3]
[(파종 발아 후) 엽면처리에서 농작물 및 대지잡초에 대한 시험]
600㎠ 면적의 각 화분에 대지토양 및 옥수수, 보리, 콩, 무, 바안야드그라스 및 왕바랭이 종자를 파종했다.
제2번 조성물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각 유화농제를 물로 희석시켜 포아풀과 잡초가 2~2.5엽단계로 성장하고, 광엽잡초가 제1분기 단계로 성장했을 때에, 화합물의 특성농도를 만들고, 희석시킨 용액을 1kl/ha의 비율로 균일하게 분무시켰다.
처리 15일 후에, 농작물의 제초효과 및 식물독성을 관찰하고, 상기와 같이 등급을 정했다.
Figure kpo00083
실험을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분리해서 정호다.
[표 13]
Figure kpo00084
Figure kpo00085
[표 14]
Figure kpo00086
포아풀과 잡초가 3.0-3.5 잎단계로 성장했을 때에 희석용액을 사용했다. 기 타 조건은 상기한 것과 동일했다.
[표 15]
Figure kpo00087
포아풀과 잡초가 3.0잎 단계로 성장했을 때에 희석용액을 사용했다. 기타 조건은 상기한 것과 동일했다.
[표 16]
Figure kpo00088
[실험예 4]
파종 후 엽면처리에서 농작물 및 대대지잡초에 대한 시험 2000㎠면적의 각 폴리에틸렌화분에 대지토양과 벼, 옥수수, 밀, 콩, 목화, 무, 바안야드그라스, 바랭이, 뚝새풀, 존슨그라스 및 명아주종자(각 식물당 25개 종자)를 파종했다.
제2번 조성물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각 유화농제를 물로 희석시켜 125, 62.5 및 31.25ppm 농도를 만들고, 희석용액을 식물이 2~4잎 단계로 성장했을 때에 화분당 20.0ml의 비율로 균일하게 분무시켰다.
처리 10일 후에, 농작물의 제초효과 및 식물독성을 관찰하여 상기와 같이 등급을 정했다.
Figure kpo00089
시험예 4-2에서, 처리 20일 후에, 농작물의 제초효과 및 식물독성을 관찰했다.
실험을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분리해서 행했다.
[표 17]
Figure kpo00090
[표 18]
Figure kpo00091
[표 19]
Figure kpo00092

Claims (1)

  1. 일반식(Ⅱ)의 불포화 할로겐화물을 실온 내지 100℃에서 염기의 탈수소 할로겐화제 존재하에 일반식(Ⅲ)의 펜옥시-2-페놀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펜옥시펜옥시 불포화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93
    상기식 중,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CF3이고, Y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Z는 -COOR, -COSR′, -COR″, -COOH, -CH2OH 또는 CH2OR″′이고, R는 시아노에틸, 디아킬아미노에틸, 알콕시알킬, 벤질, 디알킬벤질, 알킬벤질, 할로벤질, 피리디노메틸, 푸르푸릴, 사이클로알킬, 메틸사이클로알킬, 페닐, 할로페닐, 메틸페닐, 알콕시알킬렌옥시알킬, 메톡시메티부틸기, 금속원자, 아미노, 알칼아미노 또는 아릴아미노기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일 경우, R는 알킬, 할로알킬, 알케닐, 할로알케닐, 알키닐 또는 수소원자이며, R′는 알킬, 페닐, 클로로페닐, 클로로벤질 또는 메톡시벤질기이고, R″는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페닐아미노 또는 할로기 나알칼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페닐아미노기이고, R″′는 아세틸, 클로로아세틸, 벤조일, 에톡시카르보닐, 메틸카르바모일 또는 페닐카르바모일기이고, Hal은 할로겐 원자이다.
KR7900443A 1979-02-14 1979-02-14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2000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443A KR820000823B1 (ko) 1979-02-14 1979-02-14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443A KR820000823B1 (ko) 1979-02-14 1979-02-14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823B1 true KR820000823B1 (ko) 1982-05-13

Family

ID=1921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443A KR820000823B1 (ko) 1979-02-14 1979-02-14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82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4069A (en) Herbicidal compound, herb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4439229A (en) Substituted phthalimides herbicides
US5304531A (en) Nitrodiphenyl ether herbicides
US4391624A (en) Herbicidally active 2-substituted 5-phenoxyphenylphosphonic acid esters
US3894078A (en) 5-Acetamido-2,4-dimethyltrifluoromethanesulfonanilide
US4209318A (en) Herbicidal esters of 4-trifluoromethyl-3-carboxamido-4-nitro diphenyl ethers
CA1140563A (en) Herbicidal esters of 4-trifluormethyl-3'- carboxy-4'-nitro diphenyl ethers
US4163661A (en) Phenoxyphenoxy crotonic acid derivatives and herbicidal composition
US4013444A (en) Inhibiting grass growth with 5-acetamido-2,4-dimethyltrifluoromethanesulfonanilide
US5866513A (en) Aryl-substituted cycloalkanes and cycloalkenes and herbicidal use thereof
US4584014A (en) Ethylideneaminooxyacetic acids and esters
US3950435A (en) Herbicidal diphenyl ethers
US4263040A (en) Phenoxyphenoxy unsaturated derivatives and herbicidal composition
KR820000823B1 (ko) 펜옥시펜옥시 불포화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290756A (en) 4-trifluoromethyl-4'-nitrodiphenyl ethers
KR810000875B1 (ko) 페녹시페녹시크로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30000510B1 (ko) 피리딜옥시페녹시 불포화 유도체의 제조방법
US3013062A (en) 2-methoxy-3, 5-dichloro-6-bromobenzoates
US5214190A (en) Nitrophenyl ether herbicides
GB2025400A (en) Pyridyloxyphenoxy unsaturated derivatives and herbicidal compositions thereof
CA1082731A (en) Phenoxyphenoxy crotonic acid derivatives and herbicidal composition
US4386954A (en) Herbicidal diphenyl ethers
EP0167349B1 (en) Meta-substituted dioxa-alkane carboxylic acids, esters, amides and salts of diphenyl ethers
JPS6123780B2 (ko)
US4877897A (en) 4-Trifluoromethyl-4'-nitrodiphenyl e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