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760B1 - Prug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rug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760B1
KR820000760B1 KR7800022A KR780000022A KR820000760B1 KR 820000760 B1 KR820000760 B1 KR 820000760B1 KR 7800022 A KR7800022 A KR 7800022A KR 780000022 A KR780000022 A KR 780000022A KR 820000760 B1 KR820000760 B1 KR 820000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hamber
air
passag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놀드 뵈르크룬트 커트
Original Assignee
아놀드 뵈르크룬트 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놀드 뵈르크룬트 커트 filed Critical 아놀드 뵈르크룬트 커트
Priority to KR780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7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7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38Nozzles; Clean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zzles For Spraying Of Liquid Fuel (AREA)

Abstract

A purging apparatus for removing air from a fluid conduit is a burner nozzle which automatically purges air from the nozzle elements to limit post-drip of liquid fuel from the nozzle. The nozzle has a partitioning element(6) adjacent the burner tip(4) with at least one passage of limited cross-section which, in response to flow of liquid, disperses or atomizes air bubbles by picking them up and ejecting them through the nozzle tip.

Description

버어너 노즐Burner nozzle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개조된 구조의 격벽 부재가 정면으로 도시된 제1도의 위에서 본 세부도.FIG. 2 is a detailed view from above of FIG. 1 with the partition member of the renovated structure shown in front.

제3도는 제3실시예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제4도는 제3도의 선 IV-IV에 따른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along line IV-IV of FIG.

제5도는 제4실시예의 단면도.5 is a sectional view of a fourth embodiment.

제6도는 제5실시예의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제7도는 제6실시예의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of a sixth embodiment.

제8도는 제7실시예의 단면도.8 is a sectional view of a seventh embodiment.

제9도는 제8실시예의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of an eighth embodiment.

제10도는 제9실시예의 단면도.10 is a sectional view of a ninth embodiment.

제11도는 제10실시예의 단면도.11 is a sectional view of a tenth embodiment.

제12 및 13도는 노즐 호울더에의 삽입 전후 제10도의 일부품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12 and 13 are enlarged views of a part of FIG. 10 before and after insertion into a nozzle holder.

제14도는 제11실시예의 단면도.14 is a sectional view of an eleventh embodiment.

제15도는 제12실시예의 단면도.15 is a sectional view of a twelfth embodiment.

제15도는 제13실시예의 단면도.15 is a sectional view of a thirteenth embodiment.

제17 및 18도는 제16도에 따른 실시예에 결합되는 부품들의 정면도.17 and 18 are front views of parts joined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6.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4실시예의 단면도.19 is a sectional view of a four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0도는 제19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9. FIG.

본 발명은 특히 오일 버어너 노즐의 유체 도관들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air from fluid conduits of oil burner nozzles.

버어너 노즐로부터 잔류 공기를 제거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현재까지 극복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통상, 필터가 그러한 노즐에 장치되고, 그 노즐은 그의 흐름 감소 영향에 의해 넓은 유로(流路)를 요한다. 연소 될 액체, 대개 오일의 속도는 공기 기포들이 액체 흐름에 의해 휩쓸려 나갈수 없다는 것에 의해 그 유로에서 현저히 감소한다. 매우 작은 범위까지의 오일은 체적변화 형태의 압력 및 온도 변화에 반응을 나타내지만 소량의 공기라도 체적 변화 형태의 그러한 변화에 매우 크게 반응을 나타낸다.There is a difficulty in removing residual air from the burner nozz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has not been overcome so far. Usually, a filter is installed in such a nozzle, and the nozzle requires a wide flow path due to its flow reduction effect. The velocity of the liquid to be combusted, usually the oil,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flow path due to the inability of air bubbles to be swept away by the liquid flow. Oils up to a very small range respond to changes in pressure and temperature in the form of volume change, but even a small amount of air reacts very largely to such changes in the form of volume change.

버어너 노즐에서, 이러한 것은 소위 포우스트-드립(post-drip) 형태에서 명백하여 노즐 및 전극상의 탄소 퇴적과 매연의 형성을 야기한다. 한편, 노즐의 압력은 예를들어 10gg/㎠의 전체 라인 압력까지의 압력과 대기압 사이에서 변화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미가열된 상태의 유입 오일은 연소 중단시 후가열에 의해 노즐에서 상당히 가열된다. 통과하는 오일에 의해 냉각된 공기 기포는 오랫동안에 걸쳐 증대될 수 있고 그리하여 상기한 단점들을 야기한다.In burner nozzles, this is evident in the so-called post-drip form, causing carbon deposition on the nozzles and electrodes and the formation of soot. On the one hand, the pressure of the nozzle changes between atmospheric pressure and pressure up to a total line pressure of 10 gg / cm 2, on the other hand, the incoming oil in the unheated state is significantly heated at the nozzle by post-heating at the end of combustion. do. Air bubbles cooled by the passing oil can increase over time and thus cause the above drawbacks.

이 문제는 이미 목격되었고, 버어너의 조립후 그의 시동 조작시 펌프 작동과 동시에 노즐이 이완되게 함으로써 그러한 문제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은 매우 어렵고, 실시가 불가능하다. 노즐의 대치시에도 그러한 문제점이 발생된다.This problem has already been witnessed,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overcome such problems by allowing the nozzle to relax at the same time as the pump operation during its start-up operation after assembly of the burner. However, such a method is very difficult and impossible to implement. Such a problem occurs even when the nozzle is replaced.

예를들어 시간당 약 7.6ℓ(2미국갈론)의 비교적 큰 용량의 노즐은 300-500회 시동후 잔류 공기 기포를 제거할 수 있으나 매연 형성 및 탄소퇴적은 사실임이, 투명한 노즐 호울더에서의 실제 시험에서 나타내어 졌다. 그 문제는 용량이 작을수록 증가하며, 이것은 시간당 약 1.5-1.9ℓ(0.4-0.5미국갈론)의 용량의 노즐에서는 배기되는데 6개월이 걸림을 나타내었다.For example, a relatively large capacity nozzle of approximately 7.6 liters per hour (2 gallons of gallons) can remove residual air bubbles after 300-500 starts, but soot formation and carbon deposition are true, in a practical test in a transparent nozzle holder. Is shown. The problem increased with smaller capacities, which took six months to exhaust from nozzles with a capacity of about 1.5-1.9 liters per hour (0.4-0.5 US gal).

필터를 수용하는 체임버가 나사홈이 형성된 보어(bore)형태일 때 그러한 체임버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함을 알았다.It has been found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remove air from such a chamber when the chamber containing the filter is in the form of a bore with a threaded groov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제거하고 간단하고 경제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데 본 발명의 의도가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liminat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simple and economical solution. It is the int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se problems and save energy.

이들 목적은, 노즐 호울더내 연료 및 공기를 분무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형태의 버어너 노즐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These objects are achiev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means of burner nozzles of the type described above, characterized by means for atomizing fuel and air in the nozzle holder.

본 발명에 따른 버어너 노즐에서의 실제 시험결과, 15초-15분의 정상 작동시 1-10회 조작 시동후 완전 배기(venting)가 일어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에 의해, 매연 형성 및 탄소퇴적이 거의 또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Actual test results with burner nozz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that complete venting may occur after 1-10 operation start up in normal operation of 15 seconds-15 minutes. Thereby, soot formation and carbon deposition can be almost or completely elimin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잇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며,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버어너 노즐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하기 설명과 첨부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어져 있다. 한편, 노즐은 하나의 유니트로 간주되며, 그 유니트는 소위 노즐 팁(tip) 또는 그와 같은 것과, 그를 위한 호울더 및 도입관을 포함한다.Fur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non-limiting embodiments of burner nozzl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bers. On the other hand, the nozzle is regarded as one unit, which includes a so-called nozzle tip or the like, and a holder and introduction tube therefor.

도면에서, 1은 도입 채널 21을 포함하는 도입관을 나타내며, 그 도입 채널은 예를들어 펌프(도시안됨)로부터 연장하여 있고, 그 펌프는 연소액체, 대개 오일을 위한 저장조에 연결되어 있다. 도입관 1은 호울더 2내의 관통 구멍 22의 내부 나사홈에 의해 노즐 팁 4를 위한 호울더 2내로 개방되어 있고 그 호울더내에 삽입되어 있다. 노즐 팁 4는 여러 가지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도면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노즐 팁은 대개 여러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부품은 접선 홈을 갖는 원추 부분을 포함하고 그 원추부분은 연소액체를 소망하는데로 분산시키도록 작용한다. 물론 노즐 팁 4는 요구되는 어떤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In the figure, 1 represents an introduction tube comprising an introduction channel 21, the introduction channel extending for example from a pump (not shown), which is connected to a reservoir for combustion liquid, usually oil. Introduction tube 1 is opened into holder 2 for nozzle tip 4 by the internal threaded groove of through-hole 22 in holder 2 and inserted into the holder. The nozzle tip 4 can have various structures and is therefore only shown schematically in the drawings. As is known, the nozzle tip usually consists of several parts, the parts comprising a conical section with a tangential groove which acts to disperse the combustion liquid as desired. The nozzle tip 4 may of course have any other structure required.

노즐 팁 4가 호울더 2에 나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호울더는 원통형 또는 컵모양으로 설계될 수 있고 내부 나사홈 3을 가질 수 있다. 그 내부 나사홈은 호울더 내의 전체 내부벽 또는 일부 내부벽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호울더 2에서, 노즐 팁 4는 체임버 23으로부터 돌출하여 있고, 그 체임버에, 공지된 구조의 필터 5가 그의 원주상에 간격을 가지고 동심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축방향으로, 필터 및 노즐 팁 사이에 간격을 가지고 있으며 그 간격은 체임버 23에 의해 전체로 나타내어져 있다.Since the nozzle tip 4 can be screwed into the holder 2, the holder can be designed in a cylindrical or cup shape and can have an internal thread groove 3. The inner threaded grooves may optionally be formed in the entire inner wall or in the partial inner wall in the holder. In holder 2, the nozzle tip 4 protrudes from the chamber 23, in which a filter 5 of known construction is inserted concentrically at intervals on its circumference. In the axial direction, there is a gap between the filter and the nozzle tip, the gap being represented by the chamber 23 as a whole.

이 체임버는 격벽 디스크 6에 의해 원통형의 후미 체임버 부분 9과 링형의 전방 체임버 부분 9로 양분되어 있다. 그 디스크 6은 체임버 내벽에 밀착되게 체임버 23내에 삽입되어, 하나 또는 여러개의 구멍, 홈, 또는 그와 같은 것의 형태의 통로수단 7을 제외하고 체임버의 2부분이 서로 통하지 않도록 한다. 디스크 6은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축방향으로 예를들면 수 밀리미터의 큰 칫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적당하다.The chamber is divided into two parts, a cylindrical rear chamber part 9 and a ring-shaped front chamber part 9 by the partition disk 6. The disc 6 is inserted in the chamber 23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mber inner wall so that the two parts of the chamber do not pass through each other except for passage means 7 in the form of one or several holes, grooves or the like. The disk 6 is preferably made of plastic or rubber, and suitably has a large dimension, for example several millimeters in the axial direction.

통로 7이 하나의 홈, 구멍 또는 그와 같은 것으로 구성될 때 그 홈 또는 구멍은 디스크 6의 가장 높은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 수평으로 장착된 호울더 2는 통로 7이 조립시 항상 상부위치에 있도록 표식되어 있다. 그 통로의 단면은, 액체가 비교적 높은 속도로 통과되도록 작아야 한다.When the passage 7 consists of one groove, hole or the like, the groove or hole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highest part of the disc 6. In such a case, the horizontally mounted holder 2 is marked so that passage 7 is always in the upper position during assembly. The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should be small so that the liquid passes at a relatively high speed.

따라서 통로 7의 단면은 도입 채널 21의 단면의 일부이어야 한다. 그러나, 제1예에서, 그 통로 7의 단면은 노즐의 형태 및 용량에 관련된 적당한 칫수를 가져야 한다.The cross section of passage 7 should therefore be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introduction channel 21. However, in the first example, the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7 should have a suitable dimension related to the shape and capacity of the nozzle.

제1도의 버어너 노즐은 다음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노즐을 하나의 유니트로 장착한후 공기가 체임버 23내로 존재한다. 처음 시동시, 가연성 액체 예를들면 오일이 도입 채널 21을 통하여 흐르고, 그 도입 채널로부터 오일은 체임버 부분 8, 통로수단 7, 체임버 부분 9, 필터 5를 통과하고 노즐 팁 4를 통해 유출된다. 통로 7이 상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공기가 그 통로에 바로 인접하여 그 상부 위치에 보다 쉽게 수집되어 기포를 형성한다. 오일은 체임버 부분 8내에 형성된 공기 기포를 강제 통과하도록 압압되어 체임버 부분 9내로 공기 기포 부분들과 함께 유입된다. 그 체임버 분부 9에는 공기가 상부 위치에 잔류할 수 없는데, 이는 그 링형 체임버 부분 9의 상부부분에 오일이 강하게 유입되기 때문이다. 이때, 하나 또는 여러개의 공기 기포가, 신속하고 강하게 분산되거나 분무화되어 노즐 팁 4를 통해 오일과 함께 유출된다.The burner nozzle of FIG. 1 operates in the following manner. That is, after mounting the nozzle in one unit, air is present in the chamber 23. On first start-up, a combustible liquid, for example oil, flows through introduction channel 21 from which oil passes through chamber part 8, passage means 7, chamber part 9, filter 5 and flows out through nozzle tip 4. Because passage 7 is in the upper position, air is immediately adjacent the passage and is more easily collected in its upper position to form bubbles. The oil is forced to pass through the air bubbles formed in the chamber part 8 and flows into the chamber part 9 together with the air bubble parts. In the chamber part 9, air cannot remain in the upper position because oil is strongly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ring-shaped chamber part 9. At this time, one or several air bubbles are quickly and strongly dispersed or atomized and flow out with the oil through the nozzle tip 4.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어너 노즐은 모든 포함된 공기를 신속히 제거하고 불완전 연소를 방지한다.The burner nozz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us quickly removes all contained air and prevents incomplete combustion.

제1 및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임버 부분 9는 그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나사홈 부분은 함유 공기를 보유하려는 경향을 가지며 그 공기는 작은 기포 형태로 나사홈들의 측벽들에 의해 분산 또는 분무화에 대하여 어느정도 보호된다. 이러한 보유 경향은, 통로 수단이 제2도에 7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비스듬이 배치될 때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hamber part 9 has a threaded groove therein, up to its outer edge, the threaded groove part tending to retain the containing air and the air in the form of small bubbles. Sidewalls of the thread grooves provide some protection against dispersion or atomization. This retention tendency can be seen that the passage mean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when the oblique is placed as indicated by 7 in FIG.

이 방식에서, 체임버부분 9내의 오일은 회전운동을 하고 그 운동은 나사홈내로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고 오일과 함께 그에 존재하는 기포를 배출시킬 수 있다. 통로 7은 그 구멍으로부터 나사홈의 상향 경사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체임버 부분 9내로 향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oil in the chamber portion 9 makes a rotary motion which can effectively penetrate into the screw groove and release the air bubbles present therewith with the oil. It is preferable that the passage 7 faces from the hole into the chamber part 9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pward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screw groove.

격벽 디스크 6내의 통로 7에 대한 다른 예로서 동일한 구조 및 효과를 갖는 다른 통로가 호울더 2개 형성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passage 7 in the partition disk 6, two passages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effect may be formed.

디스크 6이 그의 작동 위치에서 내부 나사홈을 가진 부분 3에 지탱되게 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6의 직경을 체임버 23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그 디스크는 나사홈 부분 3내에 나착되어 모든 오일이 통로 7을 강제로 통과되게 할 수 있다. 물론, 어떤 경우에는, 상방으로 급경사진 나사홈 3을 설치하고 통로를 나사홈 부분 그 자체로 대치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디스크 6은 밀봉방식으로 그 나사홈 부분에 계합하지 않고 따라서 소망의 양의 오일이 그 나사홈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오일의 흐름 강도가 디스크 전체 주위에서 균일하게 되고 상부 지역에서 소망의 강도의 흐름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대개 그러한 구조는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It may be more advantageous to make the diameter of the disk 6 somewhat larger than the chamber 23 if the disk 6 is to be supported in the part 3 with the internal threaded groove in its working position. In this way, the disk can be screwed into the thread groove portion 3 to force all oil through the passage 7. Of course,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teep upward threaded groove 3 and replace the passage with the threaded groove part itself, in which case the disc 6 does not engage the threaded groove part in a sealed manner and thus is desired. A large amount of oil can pass through the screw groove. However, such a structure is usually not desirable because the flow intensity of the oil becomes uniform around the entire disc and the desired intensity flow does not occur in the upper region.

제3 및 4도의 실시예는 제1 또는 2도에 따른 실시예와 대부분 일치할 수 있다. 체임버 부분 9내, 바람직하게는 그의 상부부분에 강모(剛毛 : bristle) 11이 본 실시예에 따라 필터 5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강모는, 디스크 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그 디스크 및 강도와 함께 단일체로 조립된 만곡된 돌출부 10으로부터 필터쪽으로 연장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FIGS. 3 and 4 may be largely consistent wit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degrees. In the chamber part 9, preferably in its upper part bristle 11 is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filter 5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ristles may extend outwardly from the disk 6 and preferably from the curved protrusions 10, assembled together in monolith with the disk and strength, towards the filter.

그 돌출부 10은 체임버 9의 내벽부분에 대해 평편하게 지탱된다. 상기 강모 11은 공기 기포에 대한 분산 또는 분무화 효과를 가지며, 그 공기 기포는 분무화되어 액체의 흐름과 함께 필터 5를 신속히 통과한다. 실제 시험결과, 연속 작동중 3-4분후에, 또는 4 또는 5회의 조작 시동후 체임버부분 9가 완전히 공기가 없는 상태로 되었음을 나타내었다.The protrusion 10 bears flat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9. The bristle 11 has a dispersing or atomizing effect on the air bubbles, and the air bubbles are atomized to quickly pass through the filter 5 with the flow of liquid. Actual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mber portion 9 was completely free of air after 3-4 minutes of continuous operation, or after 4 or 5 operating starts.

제5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체 체임버 23은 미세한 섬유물질 12로 충진되며, 그 섬유물질은 강모(剛毛 steel wool), 미세한 플라스틱 와이어 또는 그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격벽 디스크 6은 완전히 제거될 수 있으나, 요구된다면 통로 7을 갖는 디스크 6을 삽입할 수 있다. 실제 시험결과, 약 1분내, 또는 2-3회의 조작시동후, 즉, 5-15초 내에 배기가 일어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5, the entire chamber 23 is filled with a fine fibrous material 12, which may be bristle steel wool, fine plastic wire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partition disk 6 can be completely removed, but a disk 6 having a passage 7 can be inserted if required. Actual test results indicated that exhaust could occur within about 1 minute or after 2-3 operating starts, i.e. within 5-15 seconds.

물론, 체임버 23의 상부 부분만이 그러한 미세한 섬유물질로 충진되어도 충분하지만, 전체 체임버를 그들 물질로 채우는 것이 확실히 바람직하다. 강모 11 또는 디스크 6 및 통로 7과 유사하게 미세섬유물질 12는 그 지역을 통과하는 액체의 속도 증가시 가연성 액체 및 공기의 분무화를 확실하게 달성한다.Of course, only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23 is sufficient to be filled with such fine fibrous material, but it is certainly desirable to fill the entire chamber with those materials. Similar to bristle 11 or disc 6 and passage 7, microfibrous material 12 reliably achieves atomization of flammable liquids and air upon increasing the speed of liquid passing through the area.

제6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노즐 팁 4는 도입관 1의 채널 21내로 돌출하는 내측으로 테이퍼진 원추형 부분 13을 가지고 있고, 그 원추형 부분 13은 그의 관형 부분 24에서 입구 채널 21의 입구를 0- 링 15에 의해 밀봉할 수 있다. 관형 부분 24 및 내측으로 테이퍼진 원추형 부분 13 사이의 경계부에 내부 선반부(shelf)1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선반부에, 통로 7을 가진 디스크 6이 지탱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6, the nozzle tip 4 has an inwardly tapered conical portion 13 protruding into channel 21 of inlet tube 1, which conical portion 13 zeroes the inlet of inlet channel 21 in its tubular portion 24. Sealing by ring 15. An inner shelf 14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ubular part 24 and the inwardly tapered conical part 13, on which the disk 6 with the passage 7 is supported.

이 경우, 필터 5는 뾰족한 구조를 가지며 팁과 함께 디스크 6에 지탱되어 있다. 관형 부분 24에는 보어 16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링형 환상 체임버 17은 내측으로 테이퍼진 원추형 부분 13과 필터 5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부분 13의 외측에 또 다른 링형 체임버 18이 형성되어 있다. 체임버 17이 디스크 6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분기하여 있고 그의 통로 7이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연성 액체의 강한 회전이 얻어지고, 공기가 필터 5를 통하여 압출된다. 그때 가연성 액체가 디스크 6으로부터 먼쪽으로 향하여 있는 체임버의 단부로부터 그 필터에 대해 투사된다. 그러한 버어니 노즐은 정상 작동시 대략 10초내에 공기가 없게 될 수 있음이 실제 시험에서 나타났다.In this case, filter 5 has a pointed structure and is supported on disc 6 with a tip. Bore 16 is penetrated through tubular portion 24. Also in this embodiment, the ring annular chamber 17 is formed between the inwardly tapered conical portion 13 and the filter 5, and another ring-shaped chamber 18 is formed outside the portion 13. Since the chamber 17 branches outward from the disk 6 and its passage 7 is arranged at an angle, a strong rotation of the combustible liquid is obtained, and air is extruded through the filter 5. The flammable liquid is then projected against the filter from the end of the chamber facing away from the disk 6. It has been shown in actual testing that such a burny nozzle may be free of air in approximately 10 seconds in normal operation.

약간의 오일 및 공기가, 도입 채널 21내의 것과 동일한 압력이 체임버 18내 존재할때까지 그 체임버를 채우도록 부분 24 및 0-링 15를 지나 침투할 수 있다. 펌프가 정지될 때, 도입 채널 21, 보어 16, 체임버 17내의 압력이 떨어지고 외측 체임버 18내 압력은 0- 링 15 및 도입관 1에 대하여 밀봉되며 차기 시동까지 그 상태가 유지된다.Some oil and air may penetrate through portions 24 and 0-ring 15 to fill the chamber until the same pressure as in introduction channel 21 is present in chamber 18. When the pump is stopped, the pressure in the introduction channel 21, bore 16, chamber 17 drops and the pressure in the outer chamber 18 is sealed against the 0-ring 15 and the introduction tube 1 and is maintained until the next start.

제7도에 따른 실시예는 제6도에 따른 실시예와 상당한 정도로 일치하지만, 0- 링이 노즐 팁 4의 관형부분 2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원주상의 요홈부 19로 대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관형부분 24는 도입 채널 21보다 직경이 작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7 agrees to a considerable extent with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6, but the 0-ring is replaced by a circumferential groove 19 extending outward from the tubular portion 24 of the nozzle tip 4. In this embodiment, the tubular portion 24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introduction channel 21.

상기 요홈부는 플라스틱, 변형가능한 고무 또는 어떤 다른 탄성물질로 구성되어 있고, 팽창된 상태에서 도입 채널 21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삽입시 굴곡되고, 압력이 떨어진때 액체의 흐름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밀봉을 형성한다. 필터 5로부터 먼쪽으로 향하여 있는 디스크 6의 측부상의 도입 체임버 25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고, 물론 그러한 체임버는 제6도에서도 볼 수 있다.The recess consists of plastic, deformable rubber or some other elastic material,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troduction channel 21 in the expanded state, is bent upon insertion and sealed in the direction against the flow of liquid when the pressure drops. To form. An introduction chamber 25 on the side of disk 6 facing away from filter 5 is shown in FIG. 7, which of course can also be seen in FIG. 6.

제8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통로수단 7을 가진 디스크 6이 도입채널 21에 삽입되어 있으며, 뾰족하고 장방형의 필터 5가 도입관 1내로 길게 연장하여 있으며, 그 도입관은 노즐 팁 4에 밀봉 방식으로 삽입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8, a disk 6 with passage means 7 is inserted into the introduction channel 21, with a sharp, rectangular filter 5 extending long into the introduction tube 1, which is sealed to the nozzle tip 4. It is inserted in the way.

제9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디스크 6은, 팁 4로 향한 방향으로 디스크 6으로부터 외측으로 동심적으로 연장하여 있는 슬리이브형 부분 26에 의해, 조립된 유니트로 필터 5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슬리이브형 부분 26은 디스크 6에 인접한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고 노즐 팁 4에 인접하여서는 큰 직경으로 팽창하며 그리하여, 링형 필터 5를 위한 기보 및 장착 수단을 형성한다. 링형 필터 5는 구멍 20을 통해 슬라이브형 부분 26의 내부 측부와 통하여 있으며, 그 구멍은 축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부분적으로 변위되어 있다. 이 경우, 그 통로수단은 여러개의 구멍 7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구멍들은 디스크 6의 원주상에 예를들어 120°로 배치되어 있다. 물론, 그러한 통로수단 7의 배치는 나머지 실시예에서도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9, the disc 6 is connected to the filter 5 in an assembled unit by means of a sleeved part 26 extending concentrically outward from the disc 6 in the direction towards the tip 4. The sleeved portion 26 has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djacent to the disk 6 and expands to a large diameter adjacent to the nozzle tip 4, thus forming notation and mounting means for the ring-shaped filter 5. The ring filter 5 is through the hole 20 with the inner side of the slave part 26, the holes being partially displaced relative to one another in the axi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In this case, the passage means consists of several holes 7, which holes are arranged at, for example, 120 ° on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 6. Of course, the arrangement of the passage means 7 may be similarly arranged in the remaining embodiments.

제10 및 11도에 따른 실시예는 제1 및 2도에 따른 실시예와 넓은 범위에서 서로 일치한다. 제10도의 디스크 6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직선 구멍 7을 가질수 있으며, 반면 제11도의 디스크 6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비스듬히 배치된 구멍 7을 가진다. 또 다르게는, 그 통로 수단이 체임버 9의 상부 지역내 액체의 정화를 더 확실히 행하도록, 디스크의 외주상에 형성된 작은 홈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2예에 있어서, 디스크 6은 중앙의 축방향 안내부재 27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안내부재는 그의 일단부가 디스크에 취부되어 있고 타단부는 도입 채널 21내로 연장하여 있다. 헤드 28과 함께 안내부재 27은, 필요한 경우 디스크 6과 필터 5사이의 스페이서(spacer)를 형성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FIGS. 10 and 11 coincide with each other in a wide range wit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FIGS. 1 and 2. Disc 6 of FIG. 10 may have one or several straight holes 7, while disc 6 of FIG. 11 has one or several obliquely arranged holes 7. Alternatively, the passage means may be constituted by small groov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k to more reliably purify the liquid in the upper region of the chamber 9. In the above two examples, the disk 6 has a central axial guide member 27, the guide member of which one end is mounted to the disk and the other end extends into the introduction channel 21. Guide member 27 together with head 28 may form a spacer between disk 6 and filter 5, if desired.

제12 및 13도에 상세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 6은 원주상에 립(lip)29를 가지고 있으며, 그 립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임버 23내로의 디스크의 삽입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구멍 7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그 립들의 상부에 놋치(notch)를 형성하여 통로 수단을 제공하여도 좋다. 디스크 6과 안내부제 27은 플라스틱과 같은 것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안내부재 27은 그의 구부러짐 없이 디스크 6이 삽입될 수 있게하고 그 디스크의 완전한 작동위치를 보증한다.As shown in detail in FIGS. 12 and 13, disc 6 has a lip 29 on the circumference, which lip elastically deforms upon insertion of the disc into chamber 23 as shown in FIG. Can be. If the hole 7 is omitted, a notch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lips to provide a passage means. Disc 6 and guide 27 may be made integrally by something like plastic. The guide member 27 allows the disk 6 to be inserted without bending it and ensures the complete working position of the disk.

제14 및 15도에 따른 실시예는 제10 및 11도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다. 유일하게 다른점은, 안내부재 27은 디스크 6내에 매몰배치되는 헤드를 가지고 있어 디스크와 필터 5사이의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안내부재 27이 파형의 자유단부를 가지고 있어 도입채널 21내에 진동없이 배치된다는 것이다. 안내부재 27이 변형가능한 플라스틱 또는 다른 탄성물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입 채널 21의 다른 직경에도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안내부재와 디스크의 구조를 하나로 할 수 있고, 안내부재의 상기 특징들중 하나만을 이용하는 구조로 할수도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14 and 15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10 and 11.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guide member 27 has a head buried in the disk 6 so that there is no space between the disk and the filter 5 and the guide member 27 has a free end of the waveform so that no vibration is introduced in the inlet channel 21. Will be deployed. Since the guide member 27 is made of deformable plastic or other elastic material, it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diameters of the introduction channel 21. Of course, the structure of the guide member and the disk can be one, and can also be of a structure using only one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of the guide member.

제6-8도 및 제10-15도에 따른 실시예는 도입 채널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 기포를 도입 채널에서 본무화할 수 있다.Embodiments according to FIGS. 6-8 and 10-15 can deflect air bubbles entering through the introduction channel in the introduction channel.

제1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노즐은 두꺼운 디스크 6을 가지고 있으며, 그 디스크는 원추형 분산부재 44를 고정시키기 위해 노즐 팁 4내로 뒤로부터 삽입되는 고정나사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 원추형 분산부재의 후단부에 필터 30이 제공될 수 있고, 그 부재의 반경방향 구멍 45가 필터 30과 환상 공동부 46을 연통시킨다. 호울더 2내에, 상기 디스크 또는 고정나사가 스크류 너트 47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그 너트의 사사홈 38은 상기 호울더의 나사홈 3과 맞물린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6, the nozzle has a thick disk 6, which may be used as a set screw inserted from behind into the nozzle tip 4 to secure the conical dispersing member 44. As shown in FIG. A filter 30 can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conical dispersing member, the radial aperture 45 of the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30 and the annular cavity 46. In the holder 2, the disk or the fixing screw is fixed by the screw nut 47, and the thread groove 38 of the nut is engaged with the screw groove 3 of the holder.

또한 상기 스크류 너트내에, 체임버 23내로 돌출하고 메인 필터 5를 지탱하는 슬리이브 36이 삽입되어 있다. 체임버 23의 후미부분 8은 필터 5를 통해 상기 슬리이브 36의 중앙으로 연장하여 있고, 그 슬리이브의 중앙은 중공으로 되어 있어 공간 37을 제공한다.In the screw nut, a sleeve 36 protruding into the chamber 23 and supporting the main filter 5 is inserted. The trailing part 8 of the chamber 23 extends through the filter 5 to the center of the sleeve 36, the center of which is hollow to provide a space 37.

상기 스크류 너트 47의 외측 나사홈은 축방향 홈 35들과 교차되어 있고, 그 홈들은 상기 너트의 외주주위에 균일하게 예를들어 8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팁 4와 상기 호울더 2사이에서 이들 홈 35는 환상홈 34에 연결되어 있고, 그 환상홈 34는 반경방향 연결홈 31에 의해 상기 고정 나사, 즉 디스크 6의 외측 표면상의 환상홈 48과 통하여 있다.The outer threaded groove of the screw nut 47 intersects with the axial grooves 35, which grooves can be arranged uniformly, for example, eight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ut. Between the tip 4 and the holder 2 these grooves 35 are connected to the annular groove 34, which annular grooves 34 are connected by means of radial connecting grooves 31 with annular grooves 48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 6. have.

여기서부터 하나 또는 여러개의 연결 채널 또는 통로 49가, 중앙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디스크 6을 지나 연장하여 있는 구멍 7에 통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은 트럼펫 형으로 확대단부들을 가지며 그 단부들 사이 중간에 제한부 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rom here it is preferred that one or several connecting channels or passages 49 are through holes 7 extending beyond the disk 6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Preferably, the hole has enlarged ends in the shape of a trumpet and a restricting portion 42 is formed between the ends.

이 실시예에 결합된 다른 부품은 비사용 연결구멍 31내에 삽입하기 위한 통로 50 및 내향 돌출부 43을 가진 조절링 41이다. 팁 4로부터 먼쪽의 상기 디스크 6의 단부에 스크류 드라지버용 홈 39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내에 플라스틱 플러그 40이 삽입될 수 있다. 그 플러그는 상기 스크류 너트와 상기 고정 나사 사이 나사홈을 밀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통상의 방식에서 상기 호울더 2 및 상기 팁 4는 서는 접하여 있는 표면 32 및 33에 의해 견고히 상호 연결되어 있다.Another component incorporated in this embodiment is the adjustment ring 41 with passage 50 and inward projection 43 for insertion into the unused connection hole 31. A groove 39 for a screw driver can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disk 6 away from the tip 4 and a plastic plug 40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k. The plug can be used to seal a screw groove between the screw nut and the set screw.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holder 2 and the tip 4 are firmly interconnected by surfaces 32 and 33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전술한 실시예는 특히, 호울더 2, 노즐 팁 4, 슬리에브 36, 필터 5 및 원추형 분산 부재 44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한 것이며, 이들 요소들을 사용하지 않고저 할 경우, 보다 간단한 해결책이 가능하며, 다른 형태의 다른 부품들도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s are particularly relevant for components such as holder 2, nozzle tip 4, sleeve 33, filter 5 and conical dispersing member 44, and simpler solutions are possible without using these elements. In addition, other types of other parts may be used.

전술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처음 시동시 또는 노즐을 교환할 때, 모든 공동부들이 공기로 채워진다. 먼저, 유입 유체는 팁 4를 통해 상당량의 함유 공기를 밀어내게 되고 적은량의 공기만이 체임버 23의 후미부분 8의 맨위에 잔류한다. 다음 그 유체는 메인필터 5, 통로 7, 보조필터 30, 구멍 45, 환상공동부 46을 연속 통과하고 노즐 팁을 통해 유출된다. 이 방식에서, 그 유체는 제한부 42의 통과시 최대 속도나 최대 압력에 달하며, 그후, 다른 체임버의 전방부분 9쪽으로의 통로 7의 확대된 형상에 기인하여 그 속도 및 압력은 다시 감소된다.The above embodiment works as follows. That is, at first startup or when changing nozzles, all the cavities are filled with air. First, the inlet fluid pushes a significant amount of containing air through tip 4 and only a small amount of air remains at the top of the trailing portion 8 of chamber 23. The fluid then passes continuously through main filter 5, passage 7, auxiliary filter 30, hole 45, annular cavity 46 and flows out through the nozzle tip. In this way, the fluid reaches a maximum velocity or maximum pressure upon passage of the restriction 42, after which the velocity and pressure are again reduced due to the enlarged shape of the passage 7 towards the front portion 9 of the other chamber.

체임버 23의 후미부분 8내 유체는 상기 제한부 42에서와 동일한 최대 압력을 갖기 때문에, 통로 7에서 발생한 낮은 압력은 상기 연결통로 49, 환상홈 48, 연결통로 31, 환상홈 34 및 축방향 홈 35를 통해 체임버 부분 8의 상부로 전달되는 가능성을 가지며, 그 체임버 부분의 상부에 잔류 공기가 정체된다. 이들 압력차에 의해, 상기 잔류 공기는 상기한 방식으로 체임버부분 9내로 흡입되며 팁 4를 통해 압출된다. 팁 4의 통로는 짧고 작은 단면 지역을 가지고 있어 공기가 다시 정체될 수 없게 된다. 그러한 노즐은 5초내에 공기가 없는 상태로 됨을 실제 시험에서 알았다.Since the fluid in the trailing part 8 of the chamber 23 has the same maximum pressure as in the limiting part 42, the low pressure generated in the passage 7 causes the connecting passage 49, the annular groove 48, the connecting passage 31, the annular groove 34 and the axial groove 35 It has the possibility to be delivered to the top of the chamber part 8 through, and the residual air is stagnated on top of the chamber part. By these pressure differences, the residual air is sucked into the chamber part 9 and extruded through the tip 4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e passage in tip 4 has a short, small cross-sectional area that prevents air from stagnation again. It was found in actual testing that such a nozzle would be free of air within 5 seconds.

그러한 노즐을 장착할 때, 다음 과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호울더를 제외한 모든 부품을 가진 노즐 팁 조립체가 상기 호울더내에 나착되며, 상기 팁의 상부에 표식이 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팁의 전체 외주에 인덱스가 형성될 수 있다. 그후 상기 팁은 다시 나착되며 상기 조절 링 41이 회전되어 통로 50이 다음의 축방향 홈 35에 접촉하여 상기 표식 또는 소망의 인덱스 지점에 인접히 배치되게 하며 그리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연결구멍 31만이 환상홈 48과 통할 수 있도록 하고 한편 모든 나머지 연결구멍들은 상기 돌출부 43에 의해 막혀있게 한다.When mounting such a nozzle, the following procedure can be applied. That is, a nozzle tip assembly having all parts except holders may be screwed into the holders, marked on top of the tips, or indexed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tip. The tip is then remounted and the adjustment ring 41 is rotated such that the passage 50 contacts the next axial groove 35 so that it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mark or the desired index point and thus one connecting hole 31 located at the top. Only one can communicate with the annular groove 48 while all remaining connection holes are blocked by the projection 43.

그러한 방식에서, 연속 흡입이 체임버 8의 상부를 통해서만 일어난다. 하나의 연결통로 49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요구된다면 여러개로 할 수 있다. 상기 링 41은 모든 축방향 홈 35를 단절하며 그 홈은 사용되지 않는다. 모든 단면 칫수는, 새로운 공기 정체의 위험없이 작은 공기 기표가 유체와 함께 체임버 부분 9내로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In that way, continuous inhalation occurs only through the top of chamber 8. A single passage 49 is sufficient, but can be several if required. The ring 41 breaks all axial grooves 35 and that groove is not used. All cross-sectional dimensions are selected such that small air marks can easily flow into the chamber portion 9 with the fluid without the risk of new air congestion.

어떤 수단에 의해 호울더 2가 상부 위치에 확실히 위치될 수 있게 할수 있다면, 오직 하나의 축방향 홈 35와 오직 하나의 연결구멍 31을 갖는 상당히 간단한 구조설계가 그러한 노즐에 채택될 수 있다.If by any means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holder 2 can be securely positioned in the upper position, a fairly simple structural design with only one axial groove 35 and only one connecting hole 31 can be adopted for such a nozzl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원리는 변경되지 않는다. 구멍 7은 트럼셋형으로 확대된 단부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 체임버 부분 8에 가장 밀접한 구멍 7의 단부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원통형 구멍일 수 있다.However, the princi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not changed. Hole 7 does not have to have a trumpet-shaped end. Instead, the end of the hole 7 closest to the chamber part 8 may be a cylindrical hole of relatively small diameter.

상기 스크류 너트 47은 상기 팁 4와 함께 하나의 유니트로서 만들어질수도 있다. 축방향으로 연속적인 홈 35 대신, 짧은 축방향 절제부들이 체임버 부분 8로부터 시작하여 호울더의 상부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The screw nut 47 may be made as a unit together with the tip 4. Instead of an axially continuous groove 35, short axial cuts can b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starting from the chamber part 8.

그 절체부들은 정규의 확대된 나사홈 간격과 함께, 공기가 그 나사홈 내로 들어온 다음 그를 지나고, 최종적으로는 환상홈 34내로 흡인되게 한다.The alternating parts allow air to enter and then pass through the thread groove, with a regular enlarged thread groove spacing, and finally to be drawn into the annular groove 34.

이 경우 하나의 연결통로 31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으나, 대개, 노즐 조립체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소망의 효과를 상실함이 없이 상기 조절링 41이 생략될 수 있다.In this case, only one connection passage 31 may be sufficient, but in general, the adjustment ring 41 may be omitted without losing the desired effect of removing air from the nozzle assembly.

제19 및 20도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주원리가 변경되지 않고 약간의 또 다른 새로운 원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 호울더 2는 상부지역에 편심적으로 연결된 채널 21을 가지고 있다(이것은 그러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는 다른 모든 실시예에서도 가능할 수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19 and 20 does not change the main princi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some other new principle. In this example, holder 2 has channel 21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region (this may be possible in all other embodiments in which such a structure may be provided).

제16도와 유사하게, 팁 4는 환상 공동부 46 및 반경방향 구멍 45를 제공하도록 원추형 본산부재 44를 가지고 있다. 고정 볼트로 작용하는 연결편 51의 연속적인 축방향 보어 52가 공동부 55에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편의 일단부에는 스크류 드라이버용 홈 39를 가지고 있으며, 그 홈의 단부에 필터 5의 필터 지지체 54가 접촉하여 있다. 필터 5는 격벽 디스크 6에 삽입되어 있다. 그 디스크 6은 외측 나사홈 3을 가지고 있고, 팁 4와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최상부 즉, 상부 위치에 상기 호울더 2가 축방향 홈 35를 가지고 있고, 그 홈은 나사홈 3을 우회하고 체임버 23의 후미부분 8의 상부지역과 환상홈 34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Similar to FIG. 16, tip 4 has a cone shaped member 44 to provide an annular cavity 46 and a radial hole 45. FIG. A continuous axial bore 52 of the connecting piece 51 acting as a fixing bolt is connected to the cavity 55, an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iece has a screw driver groove 39, and at the end of the groove the filter support 54 of the filter 5 Is in contact. The filter 5 is inserted in the partition disk 6. The disk 6 has an outer threaded groove 3 and is preferably made integral with the tip 4. The holder 2 has an axial groove 35 at least at the top, i.e. in the upper position, which groove can bypass the thread groove 3 and interconnect the upper region of the rear end 8 of the chamber 23 and the annular groove 34.

상기 필터 5 주위에 그로부터 떨어져 탄성케이스 53이 배치되어 있고 그 케이스와 필터 5사이에 체임버 부분 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체임버 부분 9는 환상홈 34 및 축방향 홈 35, 그리고 통로 7을 통해 체임버 23의 후미 부분 8의 상부와 통하여 있다. 통로 7은 상기 디스크 6의 원주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위치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멍, 즉 통로 7은 다소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An elastic case 53 is arranged around the filter 5, and a chamber portion 9 is formed between the case and the filter 5. This chamber portion 9 is through the annular groove 34 and the axial groove 35 and through the passage 7 with the top of the trailing portion 8 of the chamber 23. The passage 7 is preferably arrang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t even intervals on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 6. These holes, ie passage 7, may be somewhat inclined.

그러한 노즐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액체가 체임버 부분 8에 들어갈 때 압력이 오르고, 그 압력은 체임버 부분 9가 최종적으로 없어질때까지 상기 탄성체 케이스를 압박한다. 동시에 유체가 축방향 홈 35, 환상홈 34, 구멍 7을 통과하고 또 필터 5, 보어 52, 공동부 55, 구멍 45, 환상공동부 46을 통과하며 노즐 팁을 지나 배출된다. 그와 동시에, 체임버 부분 8의 최상 위치에 정체된 공기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비교적 가벼운 공기가 매우 무거운 유체에 의해 우선하는 현상이 일어나며 그리하여 유체가 노즐로부터 배출될 때 전체 노즐내에 공기가 없게 된다.Such a nozzle works as follows. That is, when the liquid enters the chamber portion 8, the pressure rises, and the pressure presses the elastic case until the chamber portion 9 is finally gone. At the same time,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axial groove 35, the annular groove 34, the hole 7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5, the bore 52, the cavity 55, the hole 45, the annular cavity 46, and passes through the nozzle tip. At the same time, the stagnant air at the top position of the chamber portion 8 is quickly and effectively discharged. Here relatively light air takes precedence over very heavy fluids and thus there is no air in the entire nozzle when th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s.

상기 탄성체 케이스가 상기 디스크 6에 밀봉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 공급이 완료된 후에도 상기 케이스가 팽창하고 축방향 홈 35, 환상홈 34, 구멍 7을 통해, 체임버 부분 8의 최상위치에 잔류하는 다소 작은 공기 기포와 유체를 흡입한다.Since the elastic case is hermetically connected to the disc 6, the case expands and remains at the top of the chamber portion 8 through the axial groove 35, the annular groove 34, the hole 7 even after the fluid supply is completed. Inhale small air bubbles and fluids.

이들 공기는 체임버 부분 9내에 정체하고 차기 시동시 필터 5 및 팁 4를 지나 효과적이고 신속히 압출된다. 그러한 방식에서, 최소한 2번째 시동시, 전체 노즐에 공기가 완전히 없게 된다. 모든 공기(매구 가볍고 매우 쉽게 압축가능한)가 상기 노즐의 밖으로 압출된 때 케이스 53이 팽창되면, 처음 시동후, 다소 완전한 공기 배출의 적극적인 조절이 행해질 수 있다. 그러한 케이스 53의 팽창은 각종 칫수에 따라 허용되는한 작동시 일어날 수 있다.These air stagnates in the chamber part 9 and extrudes effectively and quickly past filter 5 and tip 4 at the next start up. In that way, at least on the second start, the entire nozzle is completely free of air. If case 53 is inflated when all air (very light and very easily compressible) is extruded out of the nozzle, then after initial start-up, a more or less complete control of air discharge can be made. Such expansion of case 53 can occur in operation as long as it is acceptable for various dimensions.

개조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케이스 53은 실제 비압축성일 수 있으며, 그 케이스내의 상기 환상 체임버 부분 9는 비교적 작은 폭을 갖도록 선택되어, 그 작은 구멍 7을 통해 들어오는 작은 공기 기포가 필터와 노즐팁 4를 통해 강한 유체 흐름에 의해 쉽게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the case 53 may be practically incompressible, and the annular chamber portion 9 in the case is select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width such that small air bubbles entering through the small holes 7 are filtered out of the filter and nozzle tip 4. It can be easily discharged by the strong fluid flow through.

상기 구멍 7들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케이스와 통하여 있고, 유체 공급의 시작 직후 그 케이스는 압축되고 필터 5에 인접한 상기 통로들의 단부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게 되고, 그리하여, 모든 공기가 노즐밖으로 배출될때까지, 쉽게 압축가능한 공기만이 상기 통로들의 단부들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The holes 7 are through an elastically deformable case, and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fluid supply, the case is compressed and at least partially covers the ends of the passages adjacent to filter 5, until all air is discharged out of the nozzle, Only easily compressible air is allowed to pass through the ends of the passages.

Claims (1)

중공(中空) 호울더의 양단부에 노즐 팁이 장착되고, 타단부에는 도입 채널이 연결되어 있고, 그 호울더의 양단부들 사이에 체임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체임버내에 필터가 설치된 버어너 노즐에 있어서, 상기 도입 채널(21)로부터 노즐 팁(4) 사이의 상기 체임버(23)를 후방부분(8)과 전방부분(9)으로 분할하는 디스크로 된 격벽수단(6)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후방부분과 전방부분을 연통시키도록 전방부분의 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흐름통로(7)가 상기 격벽 수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어너 노즐.In the burner nozzle, a nozzle tip is mounted at both ends of the hollow holder, an introduction channel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a chamber is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holder, and a filter is installed in the chamber. And a partition wall means 6 made of a disk for dividing the chamber 23 between the introduction channel 21 and the nozzle tip 4 into a rear portion 8 and a front portion 9 is installed, and at the rear thereof. A burner nozzle, characterized in that a flow passage (7) is arranged in the partition means so as to be adjacent to the wall of the front portion so as to communicate the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KR7800022A 1978-01-07 1978-01-07 Pruging apparatus KR8200007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22A KR820000760B1 (en) 1978-01-07 1978-01-07 Prug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22A KR820000760B1 (en) 1978-01-07 1978-01-07 Prug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760B1 true KR820000760B1 (en) 1982-05-04

Family

ID=1920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022A KR820000760B1 (en) 1978-01-07 1978-01-07 Prug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760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3237A (en) Atomizing dual fuel nozzle for a combustion turbine
US6578777B2 (en) Low pressure spray nozzle
US5949458A (en) Ink cartridge for an ink jet printer
US6539724B2 (en) Airblast fuel atomization system
JP2532323Y2 (en) nozzle
US2942790A (en) Air-atomizing liquid spray nozzle
US6936162B1 (en) Three valve filter element support for filter cartridge
CA1202875A (en) Flow-reversing nozzle assembly
KR820000760B1 (en) Pruging apparatus
US4860955A (en) Spraying equipment with rotatable cap for adjusting flowrate
US1536046A (en) Oil burner
US4365753A (en) Boundary layer prefilmer airblast nozzle
JP4155635B2 (en) Burner for operating the heat generator
KR20040111189A (en) Double twist spray nozzle
US5269495A (en) High-pressure atomizing nozzle
US2524820A (en) Liquid atomizing nozzle
US2823954A (en) Unitary spray nozzle and filter assembly
US4181262A (en) Purging apparatus
US3642211A (en) Liquid sprayers
US1982228A (en) Nozzle
US20240058734A1 (en) Filter assemblies with combined axial and radial sealing
RU2383820C1 (en) Wide-flame centrodugal nozzle
RU2044957C1 (en) Injector
CN213886705U (en) Two-phase spray head and work vehicle
SU1255810A1 (en) Rotating atomiz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