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633B1 - 건축용 블록세트 - Google Patents
건축용 블록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0633B1 KR820000633B1 KR7702862A KR770002862A KR820000633B1 KR 820000633 B1 KR820000633 B1 KR 820000633B1 KR 7702862 A KR7702862 A KR 7702862A KR 770002862 A KR770002862 A KR 770002862A KR 820000633 B1 KR820000633 B1 KR 8200006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blocks
- wall
- binder
- hol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 제1의 실예에 따른 블록세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제2와 실예에 따른 블록세트의 축척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1유형 블록의 평면도.
제4도-제7도는 제1도에 따른 블록의 단위 결합체에 대한 변형도.
제8도는 모서리를 형성하는 두 벽부분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9-9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의 사시도.
제10도는 제8도의 10-10선을 따라 단면을 절개한 부분의 사시도.
제11도와 제12도는 벽의 특정 접합부의 평면도.
제13도는 서로의 연장부에서 연결된 두 벽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블록세트에 의한 모서리부 조립의 다른 특정한 실예의 사시도.
제15도는 제14도의 15-15선을 따라 도면.
제16도는 문 개구부가 형성된 벽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17도는 제16도의 17-17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제18도는 제16도와 18-18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라 축조된 벽에 의하여 형성된 바닥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몰타르(석회석, 콘크리이트등)를 사용하지 않고도 벽을 축조할 수 있으며(dry-assembled : 단지 블록을 쌓아 올리는 것을 말함), 또한 그 내측에 결합재(콘크리이트)가 주입될 수 있게 한 중공(中空)의 블록(block)들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블록세트(building block eset)에 관한 것이다.
서로의 상단에 배열된 중공의 블록열(row)을 물타르를 사용하지 않고도 축조하고(dry-laying) 콘크리이트로 상기 블록을 충진하여 동일체로 만드는 원리는 오래동안 공지되어 왔으며, 이러한 원리를 적용한 특정형태의 건축용 블록에 관해서는 매우 많은 수의 특허가 있다.
그러나 사실상 중공의 블록을 몰타르를 사용하지 않고도 축조하여 콘크리이트로로 내측을 충진하는 기술은 거의 적용되지 않고 있으며, 정밀도와 미적 고려에 의한 필수조건을 요하는 지상의 벽돌축조물 보다 덜 엄밀한 지하의 벽돌공사에만 한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상층이 있거나 상층이 없는 공장건물과 같은 어떠한 건축물도 축조할 수 있도록 눈에 뜨이는 지상의 벽돌공사에 대하여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몰타르를 사용 않고도 축조하는 (dry-laying) 기술을 확대시킬 수 있는 건축용 블록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몰타르를 사용치 않는 축조기술에 대한 깊은 연구의 결과, 블록이 몰타르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종래의 벽돌공사를 이 기술로 대치하고자 하는 경우 적어도 4가지 이상의 조건에 부합되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된다. 상기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종래의 벽돌공사 방법에 대하여 산업상 경쟁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내측보강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콘크리트 주입에 의한 압력상태하에서 블록이 부서지지 않으면서, 충분히 안정한 상태에서 서로의 상단에 높이 20cm인 블록을 적어도 5열이상 적층시켜 단일 조작으로 콘크리트를 충진 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2) 콘크리트로 완전한 충진이 보장되야 하고, 벽 또는 벽 결합체의 모든 구조내에서 블록의 횡벽(cross-wise wall; 블록을 가로질러 형성됨)과 수평벽을 통과하는 충진 콘크리트에 의하여 블록의 결합되는 식으로 충진이 끝난 후 수직방향이든 수평방향이든 블록사이에 공극(slitt : 空隙)이 없어야 한다.
3) 벽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서리 연결구, T-형 접합부와 X-형접합부 같은 모든 벽 결합체는 최소수의 상이한 블록이 필요하고, 크기와 벽의 상대적 위치인 벽 두께와는 무관하여야 한다.
4) 블록의 형태는 산업용 척도로 매우 정밀(가능한 허용 공차가 적은)하고 대량생산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가능한 단순해야 한다. 또한 블록형태는 블록이 종래 장치에 의하여 취급 및 운반되도록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한다.
상기 조건의 어느 하나라도 만족시킬 수 없는 건축용 블록은 현장에서 몰타르를 사용 않는 축조기술을 적용하는데 적당치 못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여 모색되는 목적에 아무런 실질적인 가치를 갖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공지의 건축용 블록에 있어서는 최소한 상기 조건의 어느 하나에도 만족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종래 블록에 의하여 발생되는 가장 통상적인 문제는 콘크리이트를 주입할 때 부서질 위험이 있고 최소수의 상이한 블록유형(조건 1과 3)만으로는 종래 구조체에서 봉착될 수 있는 모든 벽을 결합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특징이 조합된 건축용 블록세트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들의 특징은 종래 블록 위에도 간단히 적층시킬 수 있고, 그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상기 조건을 충족할 수 있게하며, 그에 따라 건축시에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상기와 같은 몰타르를 사용않는 축조기술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블록세트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기초재블록의 단일 결합체로 구성된 기초재 블록과 결합 기초재블록으로 형성되는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블록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의 기초재블록은 횡벽(cross wall)과 측벽으로 구성되어 블록 전길이에 걸쳐 연장한 중공의 용적부를 가진 정방형의 평행 육면체부를 형성하고 있다. 측벽은 평행 육면체부의 길이의 일부와 같은 길이로 된 두개의 플랜지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단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제2의 기초재 블록은 U자형 수평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측벽과 제1유형의 블록의 외측표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있는 외측표면을 가진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다.
각 유형의 블록들의 상단 및 하단변부는 실지로 탄평하고, 이 블록은 각열에서 길고 짧은 중공부 들이 교대로 엇갈리게 배열되며, 연속이어진 열에서 최하단 열을 제외한 각열의 횡벽은 그 다음 하단열의 횡벽에 대하여 상기의 짧은 중공부중 어느 하나의 길이 차만큼 이동되어 상기의 중공부를 통하여 상단으로 부터 주입된 콘크리이트 같은 결합재가 쉽게 유입되도록 한다. 각 열의 이러한 이동배치는 벽축조가 끝나는 일단부로 향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U자형 단면으로된 제2유형의 블록 각각은 횡벽과 중공의 정방형 단면을 가진 블록의 플랜지와 유사한 두 개의 플랜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벽축조를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최하단 열을 제외한 각열의 횡벽이 다음의 횡벽에 대하여 상기의 짧은 중공부중의 어느 하나 길이의 차 만큼 수평이동되는 방식으로 블록이 중첩된 열로 적층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열의 이동 배치는 벽의 일단부로 향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결합재가 벽의 상단열에서 중공부로 주입되어 블록의 각열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채널을 통하여 쉽게 유입되게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느 특정 세트로 이루어진 블록의 하단및 상단 표면이 가능한 매끄럽고 평편하며 또 다른 집단과 평행한 관계로 형성되고 동시에 그들의 각측표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있는 경우, 블록과 블록부의 길이에 대하여 허용된 공차는 그 돌벽의 두께와 일치한다. 이는 이러한 블록의 사용에 의한 축조에 관하여 이후 기술되는 설명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다.
제1도에는 두 가지 유형의 기초재 블록(base block)(1) 및 (2)로 이루어진 건축용 블록세트를 나타낸다. 제1유형은 직강장방형 평행육면체 형태의 부분(3)으로 이루어진 블록(1)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표면(7)과 (8) 각각의 연장부에서 (제1도 실예 길이의 절반인 부분(3)의 길이 일부분과 동일한 거리만큼)연장한 두개의 플랜지(5)와 (6)은 평행육면체부(3)의 일단부에서 개별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블록(1)의 타측단부는 또 다른 블록의 플랜지(5)와 (6)의 자유단부 사이에 밀삽될 수 있는 돌출부(overthickness : 초과 두께부이나 이후 돌출부라 통칭함)로 형성 되어있다.
평행육면체 형태의 블록(1)은 가능한 넓은 수평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평행육면체 형으로 그의 전체 높이에 걸쳐 블록을 통과한 중공부(10)이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상기 블록은 저부 및 상부표면이 개방되어 있다.
제2유형의 블록(2)는 “U”자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의 배면부(13)은 블록(1)의 것과 동일한 돌출부와 블록(1)의 플랜지(5)와 (6)들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5)와 (6)의 외측표면과 동일한 측표면(7)와 (8)은 실질적으로 매끈하여 건축물 벽이 실지로 평편한 양측면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각 블록유형의 저부와 상단변부(edge)는, 어떠한 상태적 위치에서나 서로의 상부위에 블록을 쌓아 올릴수 있도록 실지로 평평하고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한 가지 유형과 그와 동일한 기초재유형의 블록이 결합된 결합체이거나 두 가지 상이한 기초재유형의 블록이 결합된 결합체로 이루어진 블록세트에 관한 것이다.
제2도, 제4도, 제5도, 제6도와 제7도에는 이러한 실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제2도는 실예에서 처럼 블록(20)과 (21)에 연결된 기초재블록(1)과 (2)를 나타내고 있다. 블록(20)은 블록(2)에 의하여 블록(1)의 결합체로서 간주될 수있고, 동시에 블록(21)은 단위체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플랜지(5)와 (6)의 단부에 의하여 두 개의 블록(2)의 결합체로 간주될 수 있다.
제4도는 두 개블록(2)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된 것은 나타낸다. 제5도는 두 개의 블록(1)로 이루어진 블록을 나타낸다. 제6도는 하나의 블록(1)과 블록(2)가 연결된 블록으로 이루어진 블록세트를 나타낸다. 제7도는 측면대 측면이 연결된 두 개 블록(1)의 결합체를 나타낸다. 이로써 다른 형태의 결합체를 구성시킬 수 있음을 잘 알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1)의 결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제3도는 기초벽(foundation wall)을 만들 때 매우 유용한 비교적 큰 블록(1)의 변형을 나타낸다. 통상의 콘크리이트와 같은 결합재로써 채워지는 상당히 큰 블록이 부서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평행육면체 형태의 부분(3)의 내측 모서리는 보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평행육면체부(3)의 측벽(7)과 (8)은, 가급적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 모서리부에 대하여 내측면으로 넓혀진다.
또한 이러한 보강은 유리하게도 플랜지(5)와 (6)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이는 블록크기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는, 실질적인 부등변사변형으로 이루어진 수평단면을 이루도록 그의 자유단부부터 저부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넓혀진다. 블록(2)는 동일한 두께 또는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2개 또는 그 이상의 벽들에 연결부를 형성시키도록 플랜지의 길이에 대해 여러가지의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실예에서 플랜지 길이는 제1블록(1)에 플랜지 길이와 그의 평행육면체부(3)의 벽두께의 합과 실지로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예에서 블록(2)에 대한 플랜지 길이는 플랜지에 대하여 직각으로 측정되는 하나의 블록(1)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블록(2)에 대한 또다른 실예에서, 플랜지길이는 한 개의 블록(1)의 길이와, 블록(1)의 플랜지길이와 하나의 블록(1)의 폭과의 합사이의 차와 동일하다.
최종적으로 블록(2)에 대한 플랜지길이는 블록(1)의 길이와 폭사이의 차와 동일할 수도 있다.
상이한 두께로 이루어진 벽들사이에 직각으로 연결부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일측벽의 폭과 그 타측벽에 사용된 블록의 폭에 따른 플랜지 길이로 이루어진 블록(2)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된 블록(2)에 여러가지 변형은 상이한 두께로 이루어진 벽들의 결합체에 적용시킬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세트의 구체적 실예에서 블록(1)의 길이는 그의 폭길이의 3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트의 블록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벽(cross-wise wall)은 그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변부상에 요홈(recess)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 도시의 블록세트에서 거의 대부분의 블록(1)은 횡벽(1)에 요홈(12)와 벽(13)에 요홈(15)가 형성되어 있다. 같은 식으로 여러개의 블록(2)들로 이루어진 벽(13)에 동일한 요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블록(1)과 (2)의 모든 블록이 벽(13)에 요홈(15)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면, 직각 모서리 부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블록은 이러한 요홈(15)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반대로 모든 블록은 벽(11)에 요홈(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홈을 형성시킴으로 얻는 유리한 점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블록세트의 사용을 기술할 때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어느 경우에서, 예컨데, 비교적 폭이 넓은 블록을 위하여서는 돌출부(4)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며, 또한 요홈(12)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블록세트는, 먼저 블록을 특정블록세트로부터 서로의 상부와 서로의 연장부에 배열시켜 그를 통하여 수항(shaft : 중공부가 연결된 것)(이후 수항이라 칭함)을 아래로 연장하는 벽으로 형성시키고, 그 다음 콘크리이트인 결합재를 상단에서 열을 이룬 블록의 중공부에 주입하여 상기 수항에 채우게 함으로 이루어진다.
제8도, 제9도와 제10도에는 벽축조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블록들은 화살표(22)로 도시된 연속이어진 경사 채널을 따라 인접수항에 대하여 최소한 3블록열 이상 측로를 개방시킨 수항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적층되며, 경사 채널은 그에 관련된 수항내에 있는 결합재가 그 자체 무게에 의한 유출로 그 일부분이 블록의 압력강도에 의하여 결정된 허용속도 및 유동속도와 거의 동일한 속도 및 유동속도로 결합재가 아직 채워지지 않은 인접수항을 향하여 유입되게 한다.
블록과 블록을 적층하는테 사용된 그 접합재(제2유형의 블록의 상대적인 크기는 가급적 채널이 수평이 대하여 50°부터 60°까지 범위내에서 경사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블록은, 블록(1)의 평행육면체부(3)에 있는 중공부(10)과 사용된 블록의 플랜지(5)와 (6)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계단형 채널(25)가 형성되게 이어 쌓는 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배열되며, 이러한 축조에 있어서 결합재를 주입하면, 어느한 수항으로부터 그 다른 수항까자 연속하여 상기 채널을 통과하는 결합재의 낙하속도와 유동속도를 낮추도록 하는 연속적인 작용이 이루어진다.
제8도, 제9도와 제10도에는 제1도에 도시된 기초재 블록(1)과 (2)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두 개의 벽부분(A1)과 (A2)사이의 모서리를 출조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블록(1)은 그 크기가 14×20×39센티미터이고, 동시에 블록(2)는 그 크기가 14×20×13.5센티미터이다. 따라서 두벽 사이의 모서리는 그 폭이 14센티미터이다.
시작지점은 항시 몰타르(38)에 의하여 종래 방식으로 축조되는 단일블록(40)의 층이 되며 블록(40)의 위에는 루우핑 판재(roofing sheat)(34)가 적층된다.
그 다음 상기 루우핑 판재 위에는 블록의 수평열이 적층되도록 몰타르층이 형성된다. 블록열을 적층하기 위하여 벽 모서리부터 측조되기 시작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제8도-제10도에 도시된 실예에서, 제1열의 시작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A1)으로 향하는 그의 플랜지(5)와 (6)으로 된 U자형의 기초재 블록(2)부터이다. 상기의 모서리 블록은, 이의 플랜지(5)와 (6)의 자유단부사이에 끼워지는 돌출부(4)를 가진 새로운 블록(2)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이 열은 기초재 블록(1)과 함께 화살표(16)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 다음 벽(A2)의 제1열은 벽(A1)의 제1열과 같이 모서리 블록의 플랜지(5)에 대향 연결되는 돌출부(4)를 가진 기초재 블록(1)에 의하여 모서리 블록부터 시작하는 방식으로 적층되며, 따라서, 상기 블록(1)의 플랜지는 벽(A2)에 있는 제1열의 적층 방향을 따라 향하여 있다. 상기 블록(1)은 재1의 블록(1)과 같은 방식으로 적층되는 일련의 블록에 의하여 연결된다. 블록(2)는 상기 제1열의 단부를 조정한다.
제2열의 모서리 블록은 벽(A2)로 향하고 벽(A1)에 고정된 블록(1)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다음 상기 블록은 플랜지(5)와 (6)의 자유단부 사이에 항시 고정되는 돌출부(4)를 가진 일련의 블록(1)로 벽(A2)에서 이어진다.
제10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상기열은 상기 제2열의 블록을 적층하는 방향으로 항시 향하여 있는 플랜지로된 두 개의 연속이어진 블록(2)에 의하여 그 단부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벽(A1)의 일부인 모서리 블록의 측면(8)에 대하여 블록(1)의 돌출부(4)를 위치시키므로 벽(A1)에 제2의 열을 적층할 수 있다.
상기 블록(1)의 플랜지는 벽(A1)에 있는 상기 제2열에 대하여 적층 방향으로 향하여 있다. 다른 열에 대하여서도 마찬가지로 그 다음에는 항시 같은 방식으로 블록(1)이 적층되며 그 열은 블록(2)로 끝을 이루고 있다.
벽(A1)에 제3열은 블록(1)로 시작하여 적층되며, 그플랜지(5)와 (6)은 측벽부의 방향으로 향하여 있다.
그 다음 상기의 열은 일련의 블록(1)들로 적층되면서 두 개가 연속이어진 블록(2)로 그 단부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블록(1)과 (2)는 그들전에 놓이는 블록플랜지의 자유단부사이에 밀삽된 돌출부에 의하여 서로 고정된다.
벽(A2)에 제3의 열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먼저 벽(A1)의 제3의 열에서 연장한 모서리블록(1)의 표면(8)에 대향 적층된 돌출부를 가진 블록(2)가 놓여지면 그 다음 상기열은 서로 고정되는 기초재블록(1)로 그 단부를 이룬다.
제4의 열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그 시작은 제1의 열을 형성할 때와 같다.
따라서 동일한 블록의 조합이 두 개의 벽 모서리에 세 번째 열마다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블록셋트의 이러한 특정배열은 채널을 평행한 관계로 경사지게 하므로 서로 연통된 일련의 수항을 형성하도록 한다. 채널 경사는 화살표(22)로 도시되어 있다. 제10도부터 알수 있듯이, 채널은 제2열부터 형성되기 시작한다. 제2열의 채널은 제5의 열부터 시작하는 채널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다음의 열은 상단열의 채널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6의 블록열의 상단열부터 시작하는 채널이 여섯개의 연속 수항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특정 적층 구조에 의하여, 블록(1)에 있는 중공부 아래로 두 개열의 하단부부터 블록의 플랜지(5) 및 (6)에 의하여 두개의 계단이 형성된다.
모서리부에 관하여서는 한편으로 상기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두 개의 벽을 충분히 결합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결합재가 그의 무게에 의하여 아래로 유입되기에 충분히 크나 가능한 작은 수직 수항의 수평단면을 이루도록 블록을 위치시키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상기 수항은 적어도 매 3열마다 경사 채널을 향하는 개방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서리 수항을 통하여 떨어지는 결합재가 부분적으로 흘러넘치며 대부분이 그의 무게에 의하여 인접 수항 또는 아직 채워지지 않은 수항을 향하여 블록 압력강도로 결정되는 허용 속도 및 유동속도와 거의 일치하는 속도 및 유동 속도로 유입되게 한다.
제9도 및 제10도를 참고하면, 콘크리이트가 여섯번째의 열에 있는 모서리의 중공부(10)에 주입될때, 벽(A1) 및 벽(A2)에 있는 제1의 채널을 동시에 충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채널은 계단식으로 배열되고 화살표(22)의 방향으로 향하는 블록(1)에 있는 일련의 중공부(10)에 의하여 형성된다.
결합재의 충진은 제6의 열에 있는 모서리 블록부터 벽 (A1)및 (A2) 각각의 제1열에 있는 세 번째 블록까지 아래로 계속하여 유입되므로 이루어 진다.
제8도-제10도에 도시된 배열을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라 기초재 블록(1)을 또다른 블록의 상부위의 열로 위치시키는데, 상기 블록(1)의 플랜지(5) 및 (6)이 벽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고, 어느 한 열에서의 특정 블록이 상기 열에 있는 상기블록 플랜지(5)와 (6)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에 걸쳐 그전열에서 주로 지지되는 블록에 대하여 단형후퇴(段形後退)된다.
제2유형의 블록(2)는 제1유형의 블록을 상기와 같이 블록의 적층을 조정하도록 벽축조를 시작하고 벽의 단부에서 실질적인 수직으로 벽단부를 이루게 하는데 사용된다.
제1도에 도시된 블록세트를 사용할때 가장 중요한 것은 하단열의 블록과(제1의 열의) 블록(1)의 플랜지(5) 및 (6)에 의하여 형성되는 계단형의 각 모서리부의 조립이며 이는 화살표(16)의 방향을 따라 이루어진다. 여러개의 블록열을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6개의 열처럼 서로의 상부에 적층하면, 콘크리이트 같은 결합재가 중공부(10)으로 주입되며 가능한 상단 블록열의 플랜지(5) 및 (6) 사이에 공간(5) [중공부(10)과 구별하기 위해 이후 공간(9)이라 칭함]으로 주입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아, 상단열의 중공부을 통과하는 콘크리이트유동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것은 콘크리이트 응집물에 의하여 야기되는 채널에서 가능한 막힘을 관찰하기가 쉽다. 이 경우 상기의 막힘이 발생하는 벽 부분만을 해체하게 한다.
제8도-제10도에 도시된 벽(A1) 및 (A2)에서 콘크리이트의 주입에 대하여 더욱 쉽게 기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블록이 연구되어 왔다.
따라서 결합재 주입은 모서리(C)부터 시작한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결합재는 벽(A1)및 (A2)에서 유동하며, 그중에서도 고정 블록(1)에 의하여 블록(b1),(c1),(el) 및 (f1)이 양측벽의 일부를 이루고 있어 상기벽의 연결을 확실하게 한다.
결합재가 블록(f1)으로 주입될 때, 먼저 결합재는 블록(a1)을 통과하여 떨어짐과 동시에 충진되며, 블록(b1)외 중공부(10)을 통과하여 블록(a1 2)의 중공부(10)으로 화살표(22) 방향의 경사채널을 따라 유입되면서 충진되고 블록(b1)의 중공부가 채워진다. (b)의 중공부가 충진된 후, 결합재는 블록(c1)의 중공부(10)을 통과하여 블록(b2)의 중공부로 흐르면서 블록(2)의 공간(9)를 충진하고, 그다음 블록(a3)의 중공부(10)으로 유입되면서 블록(b2)의 중공부(10)과 블록(c1)을 채운다. 동시에 블록(d1) 및 (d2)는 블록(e1)의 중공부(10)을 통과하여 블록(e1)의 중공부와 블록(d2 1),(c1 3),(b1 2),(a1 3)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채널로 유입되는 결합재가 채워진다. 블록(c1 2),(b1)과 (a1 2)에 있는 모든 공간(9)은 연속적인 유출에 의하여 계속 충진되고, 그 다음 결합재가 블록(e1)에 중공부(10)에 충진됨과 동시에 상기 채널을 이룬 블록 중공부(10)에 연속충진이 일어난다.
상기 결합재는 블록(f1),(e2),(d3),(c2),(b3) 및 (a4)의 중공부(10)에 의하여 벽(A1)에 형성된 채널로 유입되어 상기와 같이 충진된다.
블록(f1)의 중공부(10)이 충진되었을 때 결합재가 벽(A1)에 있는 블록(a4)까지 아래로 흐르고 벽(A2)의 블록(a13)의 중공부(10)까지 아래로 유입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주입 부우트가 블록(f2)의 중공부(10)를 지나면서 벽(A1)의 충진이 경사채널을 따라 계속되고 또는 블록(f3)의 중공부(10)을 지나면서 경사채널을 따라 벽(A2)의 충진이 계속된다. 따라서 모서리부의 충진이 완료되고, 벽(A1) 및 (A2)의 서로 다른 부분의 충진이 경사채널을 나타내는 화살표(22)의 방향을 따라 정확하게 일어남을 알수 있다.
결론적으로 결합재가 벽(A2)에 있는 블록(f14)의 중공부(10)으로 주입될 때, 이 순간에 상기의 중공부가 충진되고, 이러한 충진이 블록(a1 5)의 중공부(10) 아래로 이어짐을 알 수 있다. 그 다음 관찰자에 의하여 공간(9)와 상단열에 다음 블록의 중공부(10)을 통과하는 콘크리이트 유동을 관찰하므로 충진이 이루어진다. 또한 채널이 완전히 채워졌을 때 결합재가 아직 주입되지 않은 상단열에 있는 블록의 다음 중공부 아래로 또 다른 계단이 형성된다.
제9도는 블록(f3)의 중공부(10)에 이르는 채널 내측을 충진하는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이러한 주입은 유동속도가 가급적 세제곱 10-20평방미터/시이고, 트럭에 장착되며 펌프에 연결된 호우스(19)의 단부를 운반할 수 있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아암이 장치된 콘크리이트 펌프에 의하여 주입하고자 하는 중공부 위에서 이루어진다. 결합재가 벽의 외측면을 따라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급적이면 상단열위에 깔때기 형 凹자형통(45)가 배열되어 충진하고자 하는 중공부로 결합재를 안내하도록한다. 이는 비교적 협소한 벽이에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
상기의 凹자형통은 주입이 계속되는 한 화살표(16)의 방향으로 벽을 따라 활주된다. 몇 개의 특정 채널을 충진하기 시작하면 결합재는 4번째와 5번째인 두 개의 전열에 있는 블록에 대한 플랜지(5) 및 (6) 사 형성된 공간(9)로만 직접 떨어진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낙하높이, 상기 플랜지와 다음 블록의 표면(13)에 의하여 형성된 작은 공간 때문은 물론 상기플랜지와 상기표면의 보강재로 인하여 결합재 주입시 블록이 파괴될 위험이 없다.
또한 블록은 결합재가 그전 채널을 채우는 동안 이미 충진이 끝난 중공부(10)의 블록 공간(9)로만 직접 낙하하여 주입괴는 중에 이동되지 않는다.
결합재가 직접적으로 낙하하는 블록은 이미 벽과 결합되어 있다. 이는 블록이 결합재 주입시 몇 개의 셔터링 또는 유사한 수단에 의하여 왜 지지되지 않는가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기초재 블록(1)을 사용할 때 결합재가 선행 주입에 의해 벽에서 그 전체 길이의 2/3 이상이 단단히 고착된 블록으로만 직접 떨어짐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f3)의 중공부(10)에 이르는 채널을 충진할 때 먼저 결합재(17)은 블록(f2)의 중공부(10)을 통하여 이미 충진된 중공부(10)의 블록(e3)와 (d4)의 플랜지 사이로 직접 떨어진다.
상기 블록의 플랜지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9)를 채운후 결합재는 작은 폭포처럼 난류 이동을 하면서 계단식으로 배열된 하단열에 있는 블록의 공간(9)를 계속하여 충진하도록 유입된다. 그때 경사채널에서 중공부(10)의 연속 충진이 일어난다.
블록(e3) 및 (d4)의 플랜지(5) 및 (6) 사이에 공간으로 결합재의 자유낙하는 블록(f3) 및 (c3)의 중공부(10) 내측의 결합재가 진동되어 결국에 가서는 압축되게 한다. 블록(f3)의 중공부(10) 내측으로 콘크리트 주입을 진행시키는 동안 적은 양의 결합재는 상기의 공간(9)위로 적층되고 동시에 그 일부의 결합재는 하단블록 ㄱ중공부(10) 내측에 있는 결합재에 동일한 방식으로 진동작용을 하게하므로 블록(c3),(b4)와 (a5)에 있는 다음 공간(9)를 충진한다.
주입된 결합재의 그 나머지는 먼저 공간(9) 위로 적층되면서 블록(a6),(b5),(c4),(e4) 및 (f3)의 공동 내측에서 화살표(22) 방향을 따라 어느정도의 난류 이동에 의하여 이들을 충진한다. 채널이 계단형으로 형성되므로 결합재가 저속도로 유동하면서 주입되고 결합재의 유동 속도를 제한할 수 있어 중공부(10)을 이룬 측면(7) 및 (8)이 균열되지 않게 한다.
채널 내측에서 결합재가 진동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상기의 진동은 한편으로 중공부에 있는 결합재를 굳히기에 충분히 강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블록의 균열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이어야 한다. 이러한 면에서 결합재가 그의 하향이동중에 실질적인 가속도 이동을 하지 않아야함을 알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몇 개의 특정 중공부 내측에서의 결합재 진동이 두 가지 단계로 일어남을 알수 있다.
실예로써 블록(a6)에 있는 중공부(10)을 생각해 보면, 최초의 진동이 블록(b5)의 중공부(10)을 충진하는 결합재에 의하여 블록(b6)의 중공부 내측에 용입된 결합재단의 좌측부에서 발생함을 알수 있다.
블록(a6)의 중공부(10)을 채운 그 내측에 용입될 수 있는 공기는 화살표(50)의 방향으로 블록(b5)에 아직 충진 안된 공간(9)를 통하여 쉽게 배기된다.
제2의 단계에서는 블록(f4)의 중공부(10)으로 결합재가 주입되는 동안 블록(b5)의 공간(9)로 결합재가 낙하되기 때문에 블록(a6)의 중공부(10)에서 진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어느 특정한 중공부내측의 압력은, 중공부 내측의 압력은, 중공부에 용입되는 결합재 무게에 의하여 가해진 전체힘이 항상 적은 면적에 가해진다.
이러한 상황은 제9도 및 제10도와 상기로부터 알수 있듯이 모서리부에 인접하여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이 위치에 있어서, 주입초기에 결합재 제동작용은 블록벽에 대한 결합재의 마찰저항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 용적당 최대양의 횡벽을 형성시킨다는 것은 중요하다. 이는 U자형 블록(2)를 사용할때 저절로 성취될 수 있다.
중복배치된 블록의 열로 형성된 채널 내측에 결합재(17)의 배출구를 고려할 때, 상기 채널이 부호(18)로 도시된 두 개의 연속이어진 열사이에 있는 블록(1)의 횡벽(11)의 하단변부 앞에 있는 협소한 부분임을 알 수 있다.
이 위치에 비교적 작은 크기의 요홈(12)을 형성시키므로, 결합재의 하향 이동에 대한 막힘(clogging)을 실지로 감소시켰다.
벽을 축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블록(1)의 벽(13)을 생각하면, 상기벽이 그 전열에 블록(1)의 벽(11)위에 놓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단의 블록들의 불규칙성으로 인한 균열이 상기의 중첩 배치된 벽돌 사이에서 일어나고 균열된 블록들이 충진물로 채워지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요홈(15)는 결합재가 내측벽 또는 벽부분에 형성된 채널로 주입되는 동안 모든 상기벽의 변부 사이에 공간을 결합재로 확실히 충진시킬 수 있도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블록으로 축조된 벽 내측에 있는 모든 공간을 완전히 충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블록은 요홈(12)와 (15)를 하향으로 향하게 하여 적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연속이어지는 층에서 수항내측에 계속하여 결합재 기둥을 형성시키는데 있으며, 이 기둥은 경사 채널에 의하여 상기 수항과 연결되고 교차되어 있다. 결합재가 특정 채널에 주입되는 중에 공기는 상기 채널을 지나 수항의 결합재가 아직 채워지지 않은 상단부를 통파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기둥이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 기둥은 자체적으로 완성된 벽의 견고함을 보장하며 사용된 블록이 어떠한 지지작용을 하지 않는 단순한 셔터링(shuttering)으로 간주될 수 있다. 창 또는 문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벽의 축조를 끝내기 위하여 제8도에 도시된 U자형 셔터링(33)이 사용된다. 상기 셔터링은 개구부의 크기를 블록 크기에 구애받지 않게한다.
벽 모서리에 사용된 조합체와 어느 정도 유사한 블록(1)과 (2)의 조합체에 있어서 벽은 셔터링(33) 내측과 면하여 중첩된 플랜지(5) 및 (6)들로 끝을 이루며, 그와 더불어 결합재가 주입될 수 있는 수항을 형성하고 있다. 자그마한 나무블록(도시안됨)은 창 또는 문 프레임을 고정시키도록 셔터링 이전에 고정될 수 있다.
제16도, 제17도와 제18도는 문 또는 창 개구부(31)에 형성된 벽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8도부터 제10도까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에 인접한 벽을 축조하기 위하여서는 그벽에 놓이는 블록 플랜지를 그의 양측의 반대 모서리부를 향하도록 배향시켜 양측 모서리 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8도-제10도에 도시된 벽(A1) 및 (A2)와 유사한 서로 얼마간의 거리를 두고 떨어진 두 개의 벽이 형성되며, 이 거리는 플랜지(5) 및 (6)의 길이보다 더 짧다. 이러한 식으로 서로 마주 면하고 있는 벽의 단부는 양측 벽의 대향 단부에 대하여 각가의 측면에 인가된 두 개의 패널(40) 및 (41)을 포함한 셔터링(39)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며, 벽과 패널 사이에 결합재가 유동할 수 있는 수항을 형성하고 있다.
(제18도) 패널(40)과 (41)은 셔터링 제거 후에도 결합재에 파묻히는 튜우브(43)을 관통하여 연장한 보울트(42)에 의하여 블록 양측에 고정된다.
패널(40)의 외부 측면에는 보울트(42)에 나삽되는 너트(44)가 고정된다. 셔터링(39)를 제거하기 위하여서는 보울트(42)를 노슨하게 할 필요가 있다. 개구부(31)의 측면은 제8도-제10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셔터링(33)이 장치된다.
개구부가 어노 정도의 폭을 갖기 위하여 상인방(lintel)(35)이 그 위에 축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평목(51)이 양측 셔터링(27) 사이에 위치되며, 이는 개구부(31)의 높이를 결정한다. 상인방은, 개구부 측면으로 부터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블록의 배면(13)이 아래로 놓이고 플랜지가 상향으로 향하는 식으로 열에 배열된 블록(2)에 의하여 형성된다.
결국 플랜지 사이에 공간(9)는 두 개의 연속 이어진 홈통부(gutterportion)를 이룬다. 상기 홈통에는 약 10센티미터이상 양 외측 단부상에 돌출한 보강재(36)이 위치된다.
실질적인 두께로 비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특정의 U자형블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의 플랜지는 비교적 길이가 길며, 측면 셔터링은 상기 블록의 양측면에 배열되어 플랜지에 대하여 돌출하여 있다.
보강재(36)을 적층한 후 홈통을 콘크리이트(17) 같은 결합재로 채우거나, 또는 서로 대향되게 개구부(31)의 양측면과 상인방위의 벽을 계속하여 축조하면서 벽을 상기와 같이 셔터링(39)에 의하여 홈통부와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제를 모든 벽의 상단열 내로 주입할 때 상인방(35)의 홈통은 자동적으로 충진된다. 따라서 홈통 위에 적층된 블록은 상인방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의 상인방은 개별적으로 축조되고, 홈통으로 주입된 결합제가 경화된 후 개구부(31) 위에 위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인방(31)을 위에서 홈통을 형성하는 블록(2)의 플랜지 단부를 상인방(31)의 양측면에 있는 벽으로부터 블록 열상단면과 같은 평면으로 위치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가급적 본 발명에 따른 블록에 의하여 축조가 시작되는 블록(40)의 높이부터 조정하는 것이 좋다.
제11도-제15도는 제1도에 도시된 블록세트 결합에 대한 실예에 관한 것이다. 제12도는 통상 두께가 14센티미터인 벽(52)와 통상두께가 19센티미터인 벽(53) 사이에 T-접합부의 형성을 나타내고 있다.
폭이 14센티미터이고 폭이 19센티미터인 블록을 위하여 2개의 서로 다른 U자형 블록(2)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제12도 참고).
플랜지가 짧은 블록(2)는, 이러한 블록의 수가 매우 적어지고 그들이 벽의 접합부에 인접하여 중첩됨에 따라 필요없게 되어 셔터링으로 교체된다.
제14도와 제15도는 두 벽사이에 모서리 또는 직각 접합부를 블록(1)에 의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나타내는데, 블록(1)의 길이는 그의 폭의 3배보다 약간 짧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블록(1) 및 (2)로써 직각 모서리부를 형성시키는데, 그의 플랜지(5) 및 (6)을 모서리에 대하여 외부로 배양시키고 어느 한 블록의 배면(13)을 화살표(3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 방향을 따라 또다른 블록의 모서리부에 외측측면(8)에 대하여 블록(1)의 부등변사변형부(3) 벽두께와 거의 동일한 거리 이 만큼 앞으로 이동시키므로 모서리부가 이루어진다.
블록을 이용할 때 이 블록의 플랜지 길이는 블록(1)의 부등변 사변형부(3) 길이의 (d)이며, 이 블록의 적층은 사용된 블록의 폭이 그의 플랜지 길이보다 더 긴 경우에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제1유형의 블록 길이와 제2유형의 블록 길이의 허용공차가 블록의 벽두께와 동일한 값을 가진다는 사실을 어느 정도 설명하고 있다.
상기의 허용공차로 인하여 제1유형의 중복 배치되는 블록의 조립을 크기가 다른 제2유형의 블록의 가장 적은 수만으로 할수 있게한다.
제15도로 부터 알수 있듯이 모서리부 부터 시작하는 블록전층은 전열에 있는 블록에 대하여 상기 블록의 플렌지길이와 실지로 동일한 거리(b)만큼 어느 한 열의 블록을 뒤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제11도는 직각으로 교차한 두 벽 사이에 접합부의 형성을 시작하기 위한 블록의 특정한 배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아 벽 교차위치에 있는 부위(23)은 모든 벽돌이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진 경우이거나 또는 벽돌이 상이한 두께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정방형의 측면을 따라 배열된 벽(13)의 4개 블록으로 형성되며, 블록 플랜지는 벽의 방향으로 부위(23)의 외측과 면하여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일련의 블록이 중첩배치될 때 상기의 부위(23)을 경계로 하여 형성된 벽 단부를 먼저 충진하고 상기 부위(23)에 결합재를 충진한 후 상기 부위와 경계를 이룬 4개의 벽이 충진된다는데 있다.
제13도는 박공벽 또는 두 개의 개구부, 예를 들면 창 또는 문 사이의 벽 축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예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시작점(c)는 박공벽 기초 또는 모든 개구부 사이에 있는 공간의 거리 중간지점으로 선택되며, 두 개의 블록이 상기의 시작점에 대하여 그의 플랜지가 대향 방향으로 면하도록 적층된다.
이러한 축조는 시작점(c)에서 서로에 대해 180도로 높이는 두개벽의 모서리부를 간주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록 배열은 서로에 대하여 90도로 놓이는 두 벽에 대한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배열과 비교된다.
제13도에 도시된 블록 배열을 형성시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이론적으로는 제5도의 벽을 다른 벽의 평면에서 이동되게 할 필요가 있을 뿐이다. 90도로 형성된 벽 모서리부 또는 상기의 위치는 벽의 시작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상기로부터 알수 있다.
결론적으로 벽의 일부로써 블록의 조립은 모서리부터 시작하므로 적층되고 그 다음 단일조작으로 결합재가 충진되며, 동시에 블록의 적층방향은 벽의 시작점으로부터 벽단부로 향하는 수평적인 방향임을 알수 있다.
서로의 연장부에서 적층되는 두 개의 벽사이의 팽창이음부(expansion joint)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의 벽 사이에 형성되고 셔터링(39)에 의하여 경계를 이룬 수항내에서 그의 전높이에 걸쳐 벽 폭과 동일한 폭으로된 압축할 수 있는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창고 같은 실질길이의 연속이어지는 벽으로 된 산업용 건물을 축조할 때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는 수직 수항과 경사채널에 결합재를 주입하기 전에 철근을 배열할 수 있다. 이는 어느정도 높이의 건물을 세우고 지진에 견디는 구조물을 축조할 때 매우 중요하다.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라 축조된 벽에 의하여 형성된 장방형 당의 평면도이다. 각각의 벽을 따라 있는 그 중간지점에는 상기와 같은 셔터링(39)에 의하여 형성된 철근 콘크리이트 기둥(49)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기둥은 벽에 고정된다. 상기 기둥의 상단부는 내측면의 철근(46)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상기의 보강은 상기 내측면의 벽에 의하여 지지되는 철근 콘크리이트층을 형성하도록 벽 수항에 고정된 철근(47)의 일단부에 있는 수평 철근(47)에 의하여 완결된다. 상기로부터, 이러한 작업은 실질 높이의 벽을 축조할때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미리 선택된 수, 즉 제6의 블록열로 적층된 후에 결합제로 블록을 충진하는 식이다. 이러한 충진 후 새로운 일련의 블록열이 충진된 열위에 적층되고, 새로운 결합재 주입이 이루어진다. 개별적으로 충진된 두개의 충첩된 벽사이를 확실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벽의 상단열에 있는 블록의 충진을 제한할 수 있다. 또다른 해결점은 두 개의 연속이어진 벽사이에 몰타르 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두벽의 효과적인 결합은 마지막 열의 콘크리이트내로 일정길이의 철봉을 삽입하므로 후자의 경우에서처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철봉의 길이는 다음 벽의 최초열에 고정되는 정도로 돌출한다.
입자크기의 콘크리이트와 같은 결합재의 이상적인 유동속도는 소정의 충진과 블록에 형성된 중공부와 크기에 따라 실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800리터의 자갈(크기 : 2/8), 400미터의 모래와 350킬로그램의 시멘트를 포함한 콘크리이트가 블록의 중공부로 충진되는 가능성과 그 견고함이라는 면에서 좋은 결과를 우리에게 줌을 알수 있다.
블록 조성물은 축조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성질과 그 조건에 따라 실지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블록이 지지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고자 할때, 충진 콘크리이트는 비교적 양호한 역학적 성질을 가지며, 전체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에 블록은 단순한 셔터링으로 간주될 수 있고 자체적으로 지탱되어야 한다. 또한 양호한 열적 성질을 가진 결합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은 양호한 역학적인 절연 성질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록은 중량 또는 경량 콘크리이트, 즉 진흙이 기초가 되는 팽창 콘크리이트 또는 양호한 절연 성질을 가진 합성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물론 블록 크기는 다양하게 할수 있다.
비교적 큰 블록을 사용할 때 어느 경우에서는 중공부에 길이로 격벽을 형성시킨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격벽은 블록의 견고함을 증가하고 소요 결합재의 양을 줄이며, 블록이 열절연재로 만들어질 때 이 블록으로 만들어지는 벽의 절연 성질을 좋게 하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이는 제7도에 도시된 블록을 사용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블록은 열절연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블록이 운반될 때 부서지지 않도록 보강재 가로매기(reinforeement crosstie)그 사이에 제공되는 비교적 길이가 긴 플랜지를 가지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U자형 블록(2)는 개별적인 기둥을 축조하기에 적합하다. 이 경우는 어느한 블록의 플랜지 단부를 다른 블록의 플랜지 단부에 대향하여 배열하므로 이 블록 2개씩 적층하는 것이 필요하다.
U자형 셔터링(33)을 쉽게 운반하고 조작하기 위하여 셔터링은 그 세부분이 현지로 연결되도록 만들어 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8도에 도시된 폴리에틸렌(26)같은 재료로 된 연속이어진 유연성 있는 스트립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블록(1)의 높이는 그의 폭의 1/2 정도가 가장 유리하다.
Claims (1)
- 건축용 블록세트에 있어서, 중공 블록의 중첩 배치된 열로 이루어진 벽 축조를 하되 블록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한 중공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정방형 평행육면체부를 형성시켜 횡벽과 측벽들로 이루어진 제1이 유형의 블록을 형성시키며, 상기 측벽이 상기 평행육면체부의 길이의 일부와 같은 길이로 된 두 개의 플랜지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단부에서 연장되게하고, U자형 수렴단면의 제2유형 블록도 제1유형블록의 플랜지 외측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외측표면을 이룬 횡벽과 플랜지로 구성시키며, 각 유형이 블록의 상단및 하단 변부를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하고, 이 블록들이 각 열에서 길고 짧은 중공부를 이루도록하여 최하단 열을 제외한 연속이어진 열에서의 횡벽을 상기의 짧은 중공부가 형성된 블록, 어느 하나의 길이차에 의하여 다음의 하단열의 횡벽에 대해 수평으로 이동배치 되도록하고, 그에 의하여 상기의 중공부를 통하여 상단 열에서 주입된 콘크리이트 같은 결합재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며, 이 열 배열이 벽축조의 일단부를 향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두 가지 유형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중공부 블록이 중첩 배열되는 열들로 축조되게 하는 건축용 블록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702862A KR820000633B1 (ko) | 1977-09-17 | 1977-09-17 | 건축용 블록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702862A KR820000633B1 (ko) | 1977-09-17 | 1977-09-17 | 건축용 블록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0633B1 true KR820000633B1 (ko) | 1982-04-19 |
Family
ID=1920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702862A KR820000633B1 (ko) | 1977-09-17 | 1977-09-17 | 건축용 블록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0633B1 (ko) |
-
1977
- 1977-09-17 KR KR7702862A patent/KR820000633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61699B2 (en) | Building construction using structural insulating core | |
US6170220B1 (en) | Insulated concrete form | |
US5802797A (en) | Dry-stackable masonry unit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 |
US4698949A (en) | Self-leveling block | |
US1345156A (en) | Cementitious structure | |
US20090107065A1 (en) | Building construction for forming columns and beams within a wall mold | |
US3662506A (en) | Unitized building structure utilizing precase components | |
US20070151191A1 (en) | Interlocking mortarless structural concrete block building system | |
RU2465415C1 (ru) | Стенов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материал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новых блоков, 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новых блоков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новых блоков и поточная ли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новых блоков | |
US3562991A (en) | Building wall construction and module therefor | |
US6098367A (en) | Constructive system applied for buildings | |
WO2010014192A1 (en) | A building construction for forming columns and beams within a wall mold | |
CN206707055U (zh) | 装配式填充墙、内墙体结构和外墙体结构 | |
US4794749A (en) | Building system | |
US4771584A (en) | Concrete block wall construction method | |
US4237670A (en) | Building block set and method for building with such a block set | |
KR820000633B1 (ko) | 건축용 블록세트 | |
USRE21905E (en) | Building construction | |
US4425748A (en) | Building block set and method for building with such a block set | |
US2711096A (en) | Building block construction | |
KR20200007830A (ko) | 적층 구조용 강 벽 프레임에서 셀룰러 콘크리트를 결합시키는 벽 모듈 | |
GB2140053A (en) | Building system | |
US1955584A (en) | Plank construction system | |
US2851874A (en) |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 |
RU2323307C2 (ru) |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вусторонней взаимонапряженной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стеновой конструкции с пустотами для утеплени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