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597B1 - Secam색신호 복조회로 - Google Patents

Secam색신호 복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597B1
KR820000597B1 KR7600132A KR760000132A KR820000597B1 KR 820000597 B1 KR820000597 B1 KR 820000597B1 KR 7600132 A KR7600132 A KR 7600132A KR 760000132 A KR760000132 A KR 760000132A KR 820000597 B1 KR820000597 B1 KR 820000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ultiplier
supplied
transistor
lim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시 오까다
Original Assignee
모리다 아끼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다 아끼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다 아끼오
Priority to KR760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59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SECAM색신호 복조회로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설명을 위한 선도.
제2도는 종래의 SECAM색신호 복조회로의 예를 나타낸 약선적(略線的) 구성도.
제3도는 본원 발명 SECAM색신호 복조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약선적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구체예를 나타낸 접속도.
제5도 제9도는 각기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약선적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FM신호공급원 12 : 절환스위치
13 : 저항기 17 : 콘덴서
18 : 코일 19 : 출력단자
본원 발명은 SECAM방식의 컬러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하는 SECAM색신호 복조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평블랭킹기간에 발생하는 이상(異常)전압을 간단한 방법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을 SECAM방식의 컬러텔레비젼 신호(이하 SECAM색신호라 약칭함)는 적색차신호(赤色差信號)(ER-EY) 및 청색차신호(EB-EY)(단, ER은 적색신호, EB는 휘도신호)로 색반송파(色搬送波)를 주파수변조해서 적색차신호(ER-EY)를 전송하는 반송색 신호(이하 FM신호 a라 약칭함)와 청색차신호(EB-EY)를 전송하는 반송색 신호(이하 FM신호 b라 약칭함)를 만들며, 다시 이들 FM신호 a 및 b를 제1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線)순차로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이 SECAM색신호가 SECAM방식의 컬러텔레비젼 수상기에 공급되면, 이 SECAM색신호의 FM신호 a및 b는 각각 1라인마다 수평블랭킹기간 H에 존재하는 컬러버어스트신호 c에서 얻어지는 스위칭신호로 전기적으로 절환되어서 적색차신호(ER-EY)를 재생하는 복조기 및 청색차신호(EB-EY)를 재생하는 FM복조기에 각각 공급되는 것이지만, 이 경우 수평블랭킹기간 H에 FM신호 a및 b가 중단되기 때문에, 이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 FM복조기의 입력신호도 중단되어 이 FM복조기의 출력측에 제1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펄스상의 이상전압이 발생하며, 이 일이 적색차신호(ER-EY) 및 청색차신호(EB-EY)로 부터 ER, EG, EB(단, EG는 녹색의 색신호)의 세 개의 색신호를 만든다고 하는 회로동작에도 악영향을 미치며, 이 때문에 컬러텔레비젼 수상기의 세계의 전자총에 각기 공급되는 부터 ER, EG, EB의색신호의 레벨도 변동하여 소정의 레벨이 얻어지지 않게 되며, 이 결과, 백(白)밸런스가 악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불합리한 일이 발생하고 있었다. 그래서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SECAM색신호 복조회로가 제안되고 있다. 이 제2도에 있어서 제1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은 SECAM색신호를 공급하는 색신호 SECAM공급원(1)의 한 쪽이 수평블랭킹기간 H에 존재하는 킬러버어스트신호 C에서 얻어지는 스위칭신호로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절환스위치(2)의 가동접점(2a)에 접속되어서 이 SECAM색신호 공급원(1)의 다른 쪽은 접지되며, 또, 절환스위치(2)는 SECAM색신호 공급원(1)에서 적색차신호(ER-EY)를 전송하는 FM신호 a가 이 절환스위치(2)의 가동접점(2a)에 공급되는 동안은 컬러버어스트신호 C에서 얻어지는 스위칭신호로 이 가동접점(2a)은 절환스위치(2)의 한쪽의 고정점점(2b)에 절환되며, 다시 SECAM색신호 공급원(1)에서 청색차신호(EB-EY)-를 전송하는 FM신호 b가 절환스위치(2)의 가동접점(2a)에 공급되는 동안은 스위칭 신호에 의해 이 가동접점(2a)은 절환스위치(2)의 다른 쪽의 고정접점(2c)에 절환되도록 만들어지며, 또한 절환스위치(2)의 한 쪽의 고정접점(2b)은 절환스위치(5)의 한쪽의 고정접점(5b)에 직접 접속되는 동시에 지연회로(3a)를 통해서 이 고정접점(5b)에 접속되며, 절환스위치(2)의 다른 쪽의 고정접점(2c)은 절환스위치(6)의 한 쪽의 고정접점(6b)에 직접 적속되는 동시에 지연회로(4a)를 통해서 이 고정접점(6b)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지연회로(3a) 및 (4a)의 지연시간은 1수평기간으로 각기 설정되며, 절환스위치(5)의 고정접점(5b) 및 절환스위치(6)의 고정접점(6b)에 각기 연속한 FM신호 a 및 b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선순차(線順次)로 전송된 FM신호 a 및 b는 여기서 연속신호로 변환되며, 이들 FM신호 a 및 b는 동시에 각각의 복조기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절환스위치(5)의 다른 쪽의 고정접점(5c)은 FM신호 a의 중심주파수에 대응하는 발진주파수를 갖는 발진기(7)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며, 절환스위치(5)의 가동접점(5a)은 리미터(14a)를 통해서 적색차신호(ER-EY)를 재생하는 FM복조기(3)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이 FM복조기(3)에서 적색차신호(ER-EY)를 얻을 수 있는 출력단자(9)가 도출되어 있다. 한편 절환스위치(6)의 다른쪽의 고정접점(6c)은 FM신호 b의 중심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진주파수를 갖는 발진기(8)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며, 절환스위치(6)의 가동접점(6a)은 리미터(14b)를 통해서 청색차신호(EB-EY)를 재생하는 FM복조기(4)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이 FM복조기(4)에서 청색차신호(EB-EY)를 얻을 수 있는 출력단자(10)가 도출되어 있다. 또, 절환스위치(5)의 가동접점(5a) 및 절환스위치(6)의 가동접점(6a)은 연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는 이 기간에 존재하는 수평블랭킹신호(도시치않음)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어서 이들 가동접점(5a) 및 (6a)는 각기 절환스위치(5)의 고정접점(5c) 및 절환스위치(6)의 고정접점(6c)에 접속되며, 이것에 의해 수평블랭킹기간 H에 발진기(7) 및 (8)에서 소정 주파수의 발진신호를 FM복조기(3) 및 (4)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또, 언블랭킹기간 K에서는 이들 가동접점(5a) 및 (6a)는 절환스위치(5)의 고정접점(5b) 및 절환스위치(6)의 고정접점(6b)에 각기 접속되며, 이것에 의해 이 언블랭킹기간 K에 FM신호 a 및 b를 FM복조기(3) 및 (4)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SECAM색신호 공급원(1)에서 적색차신호(ER-EY)를 전송하는 FM신호 a가 공급되면, 절환스위치(2)의 가동접점(2a)은 이 고정접점(2b)축으로 절환되며, 이 때 절환스위치(5)의 가동접점(5a) 및 절환스위치(6)의 가동접점(6b)도 각기 연동해서 고정접점(5b) 및 (6a)측에 절환되어 있으므로, FM신호 a는 직접 스위치(5) 및 리미터(14a)를 통해서 FM복조기(3)에 공급되고, 한편 지연회로(4a)에 의해 1수평기간 지연된 FM신호 b가 이때 절환스위치(6) 및 리미터(14b)를 통해 FM복조기(4)에 공급되어 이들 FM복조기(3) 및 (4)의 출력단자(9)에 적색차신호(ER-EY) 및 청색차신호(EB-EY)를 각각 얻을 수 있고, 또, 이후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는 절환스위치(5)의 가동접점(5a) 및 절환스위치(6)의 가동접점(6a)이 연FM신호 a의 중심주파수와 동일하게 선택하면, 콘덴서(17)와 코일(18)과의 접속점에는 입력신호 공급원(11)으로부터의 입력 FM신호 a와는 다른 위상의 신호가 얻어진다. FM신호 a와 이 공진회로를 통한 신호와의 위상차는 중심주파수로 90°가 되며, 주파수가 높아지면 이 위상차는 90°이하가 되고, 반대로 주파수가 낮을 때에는 위상차는 90°이상이 된다.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는 리미터(14)를 통한 FM신호 a가 가해진다. 리미터(14)에 있어서는 신호주파수의 고저에 불구하고 입력신호의 위상은 완전히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곱셈기(15)에는 입력 FM신호 a의 주파수에 응해서 서로 위상이 변화하는 2개의 신호가 동시에 공급되며, 이 2개의 신호가 서로 곱해진다. 2개의 신호의 위상차가 180°일 때, 이 곱셈기의 출력은 0이 되며, 2개의 신호의 위상차가 적을수록 커다란 출력이 얻어진다. 2개의 신호의 위상차는 FM신호 a의 주파수에 응해서 변화하므로 이 곱셈기에 의해 FM점파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원 발명에 의한 SECAM색신호 복조회로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FM신호공급원(11)에서 FM신호 a가 공급될 때까지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은 고정접점(12b)축에 절환되며, FM신호 a는 이 절환스위치(12)를 통해서 리미터(14)에 공급되고, 다시 이 FM신호 a는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미터, 저항기(16) 및 콘덴서(17)를 통해서 곱셈기(15)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 경우, FM신호 a는 저항기(16), 콘덴서(17) 및 코일(18)로 이루어진 직렬공진회로에 의해 위상변조 되어서 PM신호로 변환되며, 중심주파수에 있어서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이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는 적색차신호(ER-EY)를 얻을 수 있다. 또,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은 고정접점(12c)측에 절환되며, 이 때 리미터(14)의 입출력신호의 위상차는 중심주파수에 있어서 영도가 되기 때문에 이 리미터(14)는 이 중심주파수에 있어서 발진을 개시한다. 이 때문에 이 리미터(14)에서 발진신호가 공급되며, 이 발진신호는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미터, 저항기(16) 및 콘덴서(17)를 통해서 곱셈기(15)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 경우, 저항기(16) 및 코일(17)을 통해서 곱셈기(15)에 공급되는 발진신호는 코일(18)의 단자전압에 의해 대충 90도의 위상차를 발생하기 때문에, 발진신호는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이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는 발진신호의 발진주파수 즉 중심주파수에 대응한 출력전압을 얻을 수가 있으며, 이 출력전압을 후단(後段)에서 펄스크램프하면 이 출력전압을 기준전의 예컨대 영전위롤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평블랭킹기간 H에 있어서 발진신호를 곱셈기(15)의 입력단자에 공급함으로써 이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 얻어지는 출력전압이 다른 회로동작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이것에 의해 수평블랭킹기간 H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4도는 제3도의 구체회로(具體回路)를 나타내며, 이하 이 제4도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FM신호 공급원(11)의 일단을 절환스위치(12)의 고정접점(12b)에 접속하고, 이 FM신호공급원(11)의 타단을 접지한다. 또, 절환스위치(12)의 고정접점(12c)을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이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을 npn형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에 접속하는 동시에 npn형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에 접속한다.
또한 트랜지스터(20) 및 (21)의 에미터를 정전류회로(22)를 통해서 접지하고, 이들 트랜지스터(20) 및 (21)의 콜렉터를 npn형 트랜지스터(23) 및 npn형 트랜지스터(24)의 에미터에 각기 접속한다. 한편 npn형 트랜지스터(25) 및 npn형 트랜지스터(26)의 각각의 베이스에 서로 접속하고, 이 접속중점을 직류전원(27)을 통해서 접지한다. 또한 트랜지스터(25) 및 (26)의 에미터를 정전류회로(22)를 통해서 접지하고, 동하여 이들 절환스위치(5) 및 (6)의 고정접점 (5c) 및 (6c)측에 각기 절환되며, 발진기(7) 및 (8)에서 FM신호 a및 b의 중심주파수에 각기 대응하는 발진주파수의 발진신호가 리미터(14a) 및 (14b)를 통해서 FM복조기(3) 및 (4)에 각각 공급되고, 이들 FM복조기(3) 및 (4)의 출력단자(9) 및 (10)에 FM신호 a및 b의 중심주파수에 각기 대응하는 기준전 위의 직류신호를 각각 얻을 수가 있으며, 이것에 의해 수평블랭킹기간 H에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다음에 SECAM색신호 공급원(1)에서 청색차신호(EB-EY)를 전송하는 FM신호 d가 공급되면, 절환스위치(2)의 가동접점(2a)은 이 고정접점(2c)측에 절환되며, 이 때 절환스위치(5)의 가동접점(5a) 및 절환스위치(6)의 가동접점(6a)도 각기 연동하여 고정접점(5b) 및 (6b)측에 절환되어 있으므로, FM신호 b는 직접 절환스위치(6) 및 리미터(14b)를 통해서 FM복조기(4)에 공급되고, 한편 지연회로(3a)에 의해 1수 평기간 지연된 FM신호 a가 이 때 절환스위치(5) 및 리미터(14a)를 통해서 FM 복조기(3)에 공급되어 이들 FM복조기(3) 및 (4)의 출력단자(9)에 적색차신호(ER-EY) 및 청색차신호(EB-EY)를 각기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SECAM색신호 복조회로에 의하면 FM신호 a 및 b의 중심 주파수에 각기 대응하는 발진주파수를 갖는 발진주파수를 갖는 발진기(7) 및 (8)을 설치하여, SECAM색신호의 수평블랭킹기간 H에 이들 발진기(7) 및 (8)에서 절환스위치(5) 및 (6)을 통해서 FM본조기(3) 및 (4)에 소정 주파수의 발진신호를 각기 공급할 수 있으므로, 수평블랭킹기간 H에 있어서 FM복조기(3) 및 (4)의 입력 신호가 중단되는 일은 없어지며, 이 때문에, 이들 FM복조기(3) 및 (4)의 출력측에 제1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펄스 상의 이상전압이 발생하는 일은 없고, 이 결과, 컬러텔레비젼 수상기의 백(白)밸런스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지만, 발진기(7) 및 (8)이 FM복조기 (3),(4)와 독립해서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이 복조회로 전체가 복잡하게 되며, 더구나 발진기(7) 및 (8)의 발진주파수를 FM신호 a 및 b의 중심 주파수에 각기 대응하도록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 조정작업이 번잡한 것이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히 수평블랭킹 기간에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간단한 방법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SECAM색신호 복조회로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에 의거하여 본원 발명에 의한 SECAM색신호 복조회로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3도에 있어서 (11)은 FM신호공급원을 나타내며, 이 FM신호공급원(11)은 제2도의 출력단자(5b)의 신호에 해당하는 FM신호 a의 연속신호를 공급한다. 이 FM신호공급원(11)의 일단을 절환스위치(12)의 한 쪽의 고정접점(12b)에 접속하고, 이 FM신호공급원(11)의 타단을 접지한다. 또, 절환스위치(12)의 다른쪽의 고정접점(12c)을 전류 취출(取出)용의 npn형 트랜지스터(13)의 콘렉터에 접속하고, 이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을 리미터(14)의 입력단자에 접속한다. 이 경우,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을 수평블랭킹기간 H에 존재하는 수평블랭킹신호(도시치 않음)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는 이 가동접점(12a)이 고정접점(12c)측에 절환하도록, 또 FM신호 공급원(11)에서 FM신호 a가 공급되는 기간은 이 가동접점(12a)이 고정접점(12b)측에 절환하도록 한다. 또, 리미터(14)의 출력단자를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 접속하는 동시에 곱셈기(掛算器)(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접속한다. 이 경우 수평블랭킹기간 H으로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의 고정접점(12c)측에 절환됐을 때에는 이 리미터(14)가 발진하도록 한다. 한편, 트랜지스터(13)의 에미터를 저항기(16), 콘덴서(17) 및 코일(18)로 이루어진 직렬공진회로를 통해서 접지하고, 이들 콘덴서(17)와 코일(18)과의 접속중점을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접속한다. 콘덴서(17)와 코일(18)로 이루어지는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를, 이들 트랜지스터(25) 및 (26)의 콜렉터를 npn형 트랜지스터(28) 및 npn형 트랜지스터(29)의 에미터에 각기 접속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20),(21),(25) 및 (26)은 리미터(14)를 구성한다. 한편, 트랜지스터(23) 및 (28)의 각각의 베이스를 서로 접속하고, 트랜지스터(23)의 콜렉터를 정전압(正電壓)이 공급되는 전원단자(30)에 접속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24)의 콜렉터에 접속한다. 또, 트랜지스터(28)의 콜렉터를 저항기(31)를 통해서 전원단자(30)에 접속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 접속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24) 및 (29)의 각각의 베이스를 서로 접속하고, 이 접속중점을 직류전원(32)을 통해서 접지한다. 또 트랜지스터(24)의 콜렉터를 전원단자(30)에 접속하고, 한편 트랜지스터(29)의 콜렉터를 저항기(31)를 통해서 전원단자(30)에 접속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 접속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23),(24),(28) 및 (29)는 곱셈기(15)를 구성한다. 다시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를 저항기(33)를 통해서 전원단자(30)에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13)의 에미터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기(16), 콘덴서(17) 및 코일(18)의 직렬회로를 통해서 접지하며, 이들 콘덴서(17)와 코일(18)과의 접속중점을 트랜지스터(23)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와의 접속중점을 접속한다. 또, 트랜지스터(20)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23)의 에미터와의 접속중점을 npn형 트랜지스터(34)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한쪽 트랜지스터(25)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28)의 에미터와의 접속중점을 npn형 트랜지스터(35)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다시 이들 트랜지스터(34) 및 (35)의 에미터를 서로 접속해서 이 접속중점을 정전류회로(定電流回路)(36)를 통해서 접지한다. 또, 트랜지스터(2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24)의 에미터와의 접속중점을 npn형 트랜지스터(37)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26)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29)의 에미터와의 접속중점을 npn형 트랜지스터(38)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다시 이들 트랜지스터(37) 및 (38)의 에미터를 서로 접속해서 이 접속중점을 정전류회로(36)를 통해서 접지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34) 및 (35)와 트랜지스터(37) 및 (38)과는 차동증폭기(39) 및 (40)을 구성한다. 또한 트랜지스터(34) 및 (38)의 콜렉터를 서로 접속해서 이 접속중점에서 차동증폭기(39) 및 (40)의 제1의 출력레벨을 얻은 출력단자(41)를 도출하고, 또, 트랜지스터(35) 및 (37)의 콜렉터를 서로 접속해서 이 접속 중점에서 차동증폭기(39) 및 (40)의 제2의 출력레벨을 얻는 출력단자(42)를 도출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FM신호공급원(11)에서 FM신호 a가 공급될 때에는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은 고정접점(12b)축에 절환되며 FM신호 a는 이 절환스위치(12)를 통해서 리미터(14)의 입력단자 즉, 트랜지스터(20) 및 (21)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이들 트랜지스터(20) 및 (21)은 “온”으로 되어서 이들 트랜지스터(20) 및 (21)의 콜렉터에서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 즉 트랜지스터(23) 및 (24)의 에미터에 FM신호 a가 공급되며, 한편 리미터(14)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25) 및 (26)도 “온”으로 되어서 이들 트랜지스터(25) 및 (26)의 콜렉터에서 트랜지스터(28) 및 (29)의 에미터-콜렉터를 통해서 FM신호 a가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이 때 이 트랜지스터(13)는 “온”으로 되어 이 FM신호 a는 이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미터, 저항기(16) 및 콘덴서(17)를 통해서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 즉 트랜지스터(23) 및 (28)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이 경우, FM신호 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기(16), 콘덴서(17) 및 코일(18)로 이루어진 직렬공진회로에 의해 위상변조 되어서 PM신호로 변환되며, 중심 주파수에 있어서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곱셈기(15)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23) 및 (28)은 “온”으로 되어서 이 곱셈기(15)의 출력단자 즉 차동증폭기(39) 및 (40)의 출력단자(41) 및 (42)에서 출력레벨이 다른 적색차신호(ER-EY)를 각기 얻을 수가 있다. 또,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은 고정접점(12c)측에 절환되면, 이때 리미터(14)의 입출력신호의 위상차 즉, 이 리미터(14)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20) 및 (21)의 베이스 입력신호와 콜렉터 출력신호와의 위상차가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 주파수에 있어서 영도가 되기 때문에 이들 트랜지스터(20) 및 (21)과 트랜지스터(25) 및 (26)과는 서로 온·오프를 반복한다. 즉 리미터(14)는 발진을 개시하며, 이 리미터(14)에서 발진신호가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 즉 트랜지스터(23) 및 (24)의 에미터에 공급되고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미터, 저항기(16) 및 콘덴서(17)를 거쳐서 곱셈기(15)의 다른쪽의 입력단자 즉 트랜지스터(23) 및 (28)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발진신호는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므로, 이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 즉 차동증폭기(39) 및 (40)의 출력단자(41) 및 (42)에서 중심주파수에 대응한 출력레벨의 다른 출력전압을 각각 얻을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출력전압을 후단에서 펄스크램프하면 이 출력전압을 기준전위 즉 영전위로 설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수평블랭킹기간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적색차신호(ER-EY)를 복조할 경우에 대해서만 기술했지만, 청색차신호(EB-EY)의 경우에 대해서도 적색차신호(ER-EY)의 경우와 같이 해서 복조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이 SECAM색신호 복조회로에서 양호하게 재생된 색차신호(ER-EY) 및 청색차신호(EB-EY)를 각기 얻을 수가 있다.
또, 제5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하 제5도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FM신호공급원(11)의 일단을 절환스위치(12)의 한 쪽의 고정접점(12b)에 접속하고, 이 FM신호공급원(11)의 타단을 접지한다. 또 절환스위치(12)의 다른 쪽의 고정접점(12c)을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이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을 리미터(14)의 입력단자에 접속해서 이 리미터(14)의 출력단자를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접속하며 저항기(16), 콘덴서(17) 및 코일(18)의 직렬공진회로를 통해서 트랜지스터(13)의 에미터에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를 접지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이 고정접점(12c) 축에 절환되었을 때에는 이 리미터(14)의 입출력신호의 위상차를 FM신호공급원(11)에서 공급되는 FM신호 a의 중심 주파수로 영도가 되도록 하고 이 때 이 리미터(14)가 발진하도록 한다. 또한 콘덴서(17)와 코일(18)과의 접속중점을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이 곱셈기(15)에서 출력단자(19)를 도출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곱셈기(15)와 저항기(16), 콘덴서(17) 및 코일(18)로 이루어진 직렬공진회로와는 Quadrature형의 복조기를 구성하는 것이며, 이 때문에 이들 저항기(16), 콘덴서(17) 및 코일(18)의 저항치, 용량치 및 인덕턴스 치를 선정함으로써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PM신호의 위상차가 중심 주파수에서 90도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FM신호공급원(11)에서 FM신호 a가 공급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은 고정접점(12b)측에 절환되며, FM신호 a는 이 절환스위치(12)를 통해서 리미터(14)에 공급되고, 다시 이 FM신호 a는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동시에 저항기(16), 콘덴서(17)를 통해서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FM신호 a는 저항기(16), 콘덴서(17) 및 코일(18)로 이루어진 직렬공진회로에 의해 위상변조 되어서 PM신호로 변환되며, 중심 주파수에 있어서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므로, 이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는 적색차신호(ER-EY)를 얻을 수 잇다. 또,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은 고정접점(12c)측에 절환되며, 이 때 리미터(14)의 입출력신호의 위상차는 중심주파수에 있어서 영도가 되기 때문에 이 리미터(14)는 이 중심주파수에 있어서 발진을 개시하며, 이 리미터(14)에서 발진 신호가 공급되고, 이 발진신호는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동시에 저항기(16), 콘덴서(17)를 통해서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 경우, 이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발진신호는 코일(18)의 단자전압에 의해 대충 90도의 위상자를 발생하기 때문에, 이 발진신호는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며, 이 때문에,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는 발진신호의 발진주파수 즉 중심 주파수에 대응한 출력전압을 얻을 수가 있으며, 이 출력전압을 후단에서 펄스크림프하면 이 출력전압을 기준 전위로 들어 영전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평블랭킹기간 H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5도예에 있어서도 제3도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6도도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제6도에 있어서 제3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6도예에서는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을 리미터(14)의 입력단자에 접속하는 동시에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접속해서 리미터(14)를 통하지 않고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소정의 신호를 공급하도록 한다. 그 외에는 제3도와 같이 구성한다.
이 때문에 FM신호공급원(11)에서 FM신호 a가 공급될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은 고정접점(12b)측에 절환되며, FM신호 a는 이 절환스위치(12)를 통해서 리미터(14)에 공급되는 동시에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고, 한편 리미터(14)에 공급된 FM신호 a는 다시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미터, 저항기(16) 및 콘덴서(17)를 통해서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이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색차신호(ER-EY)를 얻을 수 있다. 또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 스위치(12)의 가동접점은 고정접점축(12a)에 절환되며, 이 때 리미터(12c)의 입출력신호의 위상차는 중심 주파수에 있어서 영도가 되기 때문에 이 리미터(14)는 이 중심 주파수에 있어서 발진을 개시한다. 이 때문에 이 리미터(14)에서 발진신호가 공급되며, 이 발진신호는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콜렉터 및 스위치(12)를 통해서 곱셈기(15)의 입력단자에, 또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미터, 저항기(16) 및 콘덴서(17)를 통해서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므로 이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 주파수에 대응한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수평블랭킹기간 H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6도예에 있어서도 제7도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7도예는 FM신호공급원(11)에서 공급되는 FM신호 a가 비교적 클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 때무에 이 FM신호공급원(11)에서 비교적 큰 FM신호 a가 공급되는 것으로 하고, 이 FM신호공급원(11)의 일단을 리미터(14)의 입력단자에 접속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이 FM신호공급원(11)의 타단을 접지한다. 또, 리미터(14) 출력단자를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접속하는 동시에 저항기(16) 및 콘덴서(17) 및 코일(18)의 직렬공진회로를 통해서 트랜지스터(13)의 에미터에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슬 접지한다. 이 경우, 리미터(14), 저항기(16), 콘덴서(17), 코일(18) 및 트랜지스터(13)의 에미터-콜렉터를 직렬접속한 폐개로(閉開路)에서 발진 루우프를 형성하고, 이 발진 루우프에 FM신호공급원(11)에서 비교적 큰 FM신호 a가 공급되었을 때는 이 발진루우프를 구성하는 리미터(14)는 FM신호 a의 주파수에 동기(同期)하도록 발진하고, 또, 이 발진루우프에 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이 발진루우프를 구성하는 리미터(14)는 자기의 중심 주파수로 발진하도록 한다. 또한 콘덴서(17)와 코일(18)과의 접속중점을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이 곱셈기(15)에서 출력단자(19)를 도출한다.
따라서 FM신호공급원(11)에서 비교적 큰 FM신호 a가 공급될 때는 발진루우프에도 FM신호 a가 공급되며, 이 때 리미터(14)는 FM신호 a의 주파수에 동기해서 발진하기 때문에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는 PM신호를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공급할 수 있고 이 때문에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는 적색차신호(ER-EY)를 얻을 수 있다. 또,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 FM신호공급원(11)으로부터의 FM신호 a의 공급이 중단될 때에는 발진루우프에도 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며, 이 때 리미터(14)는 자기의 중심 주파수로 발진하기 때문에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진신호를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 곱셈기(15)의 출력단자에는 발진신호의 발진 주파수에 대응한 출력전압을 얻을 수가 있으며, 이 때문에 수평블랭킹기간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FM신호공급원(11)에서 공급되는 FM신호 a가 클 경우에는 절환스위치(12)를 특별히 설치하지 않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FM신호공급원(11)의 일단의 절환스위치(12)의 한 쪽의 고정접점(12b)에 접속하고, 이 FM신호공급원(11)의 타단을 접지한다. 또,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을 증폭기(43)를 통해서 코일(44)과 콘덴서(45)와의 직렬회로의 일단에 접속하고, 이 직렬회로의 타단을 절환스위치(12)의 다른 쪽의 고정접점(12c)에 접속하는 동시에 저항기(46)를 통해서 접지한다. 이 경우, 증폭기(43), 코일(44), 콘덴서(45) 및 저항기(46)는 벨필터(47)를 구성하며,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이 고정접점(12c)측에 절환될 때에는 이 벨필터(47)가 발진을 개시하도록 한다. 또한 코일(44)과 콘덴서(45)와의 직렬회로의 타단을 절환스위치(48)의 한 쪽의 고정접점(48b)에 접속하는 동시에 저항기(16), 콘덴서(17) 및 코일(18)의 직렬공진회로를 통해서 트랜지스터(13)의 에미터에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를 접지한다. 또, 이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를 스위치(48)의 다른쪽의 고정접점(48c)에 접속하고, 이 절환스위치(48)의 가동접점(48a)를 곱셈기(15)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접속한다. 이 경우, 절환스위치(48)의 가동자(48a)를 절환스위치(12)의 가동자(12a)와 연동하도록 한다.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이 수평블랭킹기간 H에 존재하는 수평블랭킹신호(도시치 않음)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어서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 이 가동접점(12a)이 고정접점(12c)측으로 절환될 때에는 절환스위치(48)의 가동자(84)a도 고정접점(48c)측으로 절환되도록, 또 FM색 신호공급원(11)에서 FM신호 a가 공급되는 기간, 이 가동접점(12a)이 고정접점(12b)측으로 절환할 때는 절환스위치(48)의 가동자(48a)도 고정접점(48b)측으로 절환되도록 한다. 한편, 콘덴서(17)와 코일(18)과의 접속종점을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이 곱셈기(15)에서 출력단자(19)를 도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조회로에 있어서 FM신호공급원(11)에서 FM신호 a가 공급되면,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 및 절환스위치(48)의 가동접점(48a)은 연동하여 고정접점(12b) 및 (48b)측으로 절환되며, FM신호 a는 벨핀터(47)를 통해서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고 또 이 FM신호 a는 벨필터(48), 저항기(16) 및 콘덴서(17)를 통해서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도 공급되므로,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PM신호가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공급되며, 이 때문에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는 적색차신호(ER-EY)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 절환스위치(12)의 가동접점(12a) 및 절환스위치(48)의 가동접점(48a)은 연동하여 고정접점(12c) 및 (48c)측으로 절환되며, 이 때 벨필터(47)는 발진을 개시하므로, 이 벨필터(48)의 출력단자 즉 콘덴서(45)와 저항기(46)와의 접속중점에서 발진신호가 저항기(16), 콘덴서(17), 코일(18) 및 트랜지스터(13)의 에미터-콜렉터를 통해서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고, 한편 이 발진신호는 저항기(16) 및 콘덴서(17)를 통해서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도 공급된다. 이 경우,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는 코일(18)에 흐르는 전류성분과 코일(18)의 단자전압성분이 공급되므로, 벨핀터(47)로 부터의 발진신호는 발진주파수에 관계없이 항상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게 되며, 이 때문에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는 항상 직류전압을 얻을 수 있고, 이 직류전압을 후단에서 펄스크램프하면 이 직류전압을 기준전위 예를 들어 영전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평블랭킹기간 H에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방지할 수 있다.
제9도예에서는 FM신호공급원(11)의 일단을 npn형 트랜지스터(49)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이 FM신호공급원(11)의 타단을 접지한다. 또, 트랜지스터(49)의 콜렉터를 저항기(50)를 통해서 정전압(正電壓)을 공급하는 전원단자(51)에 접속하며, 이 트랜지스터(49)의 에미터를 정전류회로(52)를 통해서 접지하는 동시에 콘덴서(53), 코일(54) 및 저항기(55)로 이루어진 직렬공진회로를 통해서 접지한다. 이 경우, 이들 트랜지스터(49), 정전류회로(52), 콘덴서(53), 코일(54) 및 저항기(55)는 벨필터(56)를 구성한다. 또, 코일(54)과 저항기(55)와의 접속중점을 npn형 트랜지스터(57)의 콜렉터에 접속하여 이 트랜지스터(57)의 에미터를 접지하고, 이 트랜지스터(57)의 베이스를 수평블랭킹신호가 공급되는 입력단자(58)에 접속한다. 이 경우, 이 트랜지스터(57)를 스위칭소자로서 사용하며, 입력단자(58)에 수평블랭킹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이 트랜지스터(57)는 “온”하도록 한다.
한편, 벨필터(56)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49)의 콜렉터를 절환스위치(48)의 한 쪽의 고정접점(48b)에 접속하는 동시에 저항기(16), 콘덴서(17) 및 코일(18)로 이루어진 직렬공진회로를 통해서 트랜지스터(13)의 에미터에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를 접지한다. 또, 이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를 절환스위치(48)의 다른 쪽의 고정접점(48c)에 접속하고 이 절환스위치(48)의 가동접점(48a)을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접속한다. 이 경우, 절환스위치(48)의 가동자(48a)를 트랜지스터(57)의 온-오프 동작과 연동하도록 한다. 즉 트랜지스터(57)가 수평블랭킹기간 H에 존재하는 수평블랭킹신호에 의해 제어되어서 수평블랭킹기간 H에 이 트랜지스터(57)가 “온”할 때에는 절환스위치(48)의 가동자(48a)는 고정접점(48)측으로 절환하도록, 또, 이 트랜지스터(57)가 “오프”할 때 즉 FM신호공급원(11)에서 FM신호 a가 공급되는 기간에는 절환스위치(48)의 가동자(48a)는 고정접점(48b)측으로 절환되도록 한다. 한편 콘덴서(17)와 코일(18)과의 접속중점을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이 곱셈기(15)에서 출력단자(19)를 도출한다.
이 때문에 FM신호공급원(11)에서 FM신호 a가 공급되면, 트랜지스터(49)의 베이스에도 이 FM신호 a가 공급되며, 이 트랜지스터(49)을 콜렉터에는 FM신호 a가 얻어진다. 또, 이 때 절환스위치(48)의 가동접점(48a)은 고정접점(48b)측으로 절환되어 있으므로, 이 FM신호 a는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며, 한편 이 FM신호 a는 저항기(16) 및 콘덴서(17)를 통해서 곱셈기(15)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므로,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PM신호가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공급되고, 이 때문에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는 적색차신호(ER-EY)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수평블랭킹기간 H에서 수평블랭킹신호가 입력단자(58)에 공급되면 트랜지스터(57)은 “온”이 되므로, 직렬공진회로를 구성하는 코일(54)은 저항기(55)를 통하는 일없이 직접 접지되게 되며, 이 때문에 직렬공진회로의 Q값이 한 무대로 되어서 이 직렬공진회로는 발진하고, 벨필터(56)의 출력단자 즉 트랜지스터(49)의 콜렉터에는 발진신호를 얻을 수가 있으며 더구나 이 때 절환스위치(48)의 가동접점(48a)은 고정접점(48c)측으로 절환되어 있으므로, 이 발진신호는 저항기(16), 콘덴서(17), 코일(18) 및 트랜지스터(13)의 에미터-콜렉터를 통해서 곱셈기(15)의 한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며, 이 발진신호는 저항기(16) 및 콘덴서(17)를 통해서 곱셈기(15)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도 공급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는 코일(18)에 흐르는 전류성분과 코일(18)의 단자전압성분이 공급되므로, 벨필터(56)로 부터의 발진신호는 발진주파수에 관계없이 항상 대충 90도의 위상차로 곱셈기(15)의 두 개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게 되며, 이 때문에 곱셈기(15)의 출력단자(19)에는 항상 직류전압을 얻을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수평블랭킹기간 H에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9도예에 있어서도 제8도 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원 발명의 정신을 이탈하는 일없이 기타 여러종류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Claims (1)

  1. SECAM색신호를 공진회로를 통해서 위상변조하고, 이 위상변조된 신호와, 상기 SECAM색신호를 곱셈기의 두 개의 입력에 더하여 FM복조하도록 한 색신호 복조회로에 있어서, 상기 공징회로를 구성소자의 일부로 하는 발진회로를 설치하고, 상기 SECAM색신호의 주사기간은 상기 SECAM색신호를 상기 곱셈기에 공급하는 동시에 수평블랭킹기간은 상기 발진회로를 동작시켜서 이 출력에 의해 상기 곱셈기의 각각의 입력단에 서로 위상이 대충 90도 상이한 신호를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CAM색신호 복조회로.
KR7600132A 1976-01-17 1976-01-17 Secam색신호 복조회로 KR820000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132A KR820000597B1 (ko) 1976-01-17 1976-01-17 Secam색신호 복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132A KR820000597B1 (ko) 1976-01-17 1976-01-17 Secam색신호 복조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597B1 true KR820000597B1 (ko) 1982-04-15

Family

ID=1920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132A KR820000597B1 (ko) 1976-01-17 1976-01-17 Secam색신호 복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59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0500A (en) Controlled oscillator
US3585285A (en) Subcarrier regeneration system
US3597639A (en) Phase shift circuits
US3973221A (en) Voltage controlled crystal oscillator apparatus
EP0003393B1 (en) Chroma demodulator circuit for secam television signals
KR820000597B1 (ko) Secam색신호 복조회로
JPS6217883B2 (ko)
US3852624A (en) Phase shifting network
US3781701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color television receiver
EP0309672A2 (en) Circuit arrangement for processing colour television signals
US3780219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FI75956C (fi) Faskompenserad reglerad oscillator.
EP0014027B1 (en) Burst insertion apparatus for a secam-pal transcoder in a television receiver
US4159482A (en)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demodulator circuit for demodulating a television signal modulated on a carrier
US4095255A (en) Controlled oscillator with increased immunity to parasitic capacitance
US4370680A (en) Color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video recorder
US4135201A (en) Dynamic damping for SECAM high-frequency de-emphasis
US3517116A (en) Arrangement for converting a pal color television signal to an ntsc color signal
EP0063918B1 (en) Secam identification system
US3569613A (en) Color subcarrier oscillators
US3502800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subcarrier oscillator signals
US3502796A (en) Chrominance signal demodulator having a common drive circuit
JPS6219024Y2 (ko)
JPS588636B2 (ja) Secam イロシンゴウフクチヨウカイロ
US4631502A (en) Transistor modulator for converting video game signals into antenna input signals for a television rece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