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018B1 - 살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018B1
KR820000018B1 KR7800070A KR780000070A KR820000018B1 KR 820000018 B1 KR820000018 B1 KR 820000018B1 KR 7800070 A KR7800070 A KR 7800070A KR 780000070 A KR780000070 A KR 780000070A KR 820000018 B1 KR820000018 B1 KR 82000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ixture
phosphite
weight
active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리에러 다니엘
샤잘르 마우리스
Original Assignee
브루노 트레포즈
필라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루노 트레포즈, 필라그로 filed Critical 브루노 트레포즈
Priority to KR780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살균제 조성물
본 발명은 포도나무 보호, 특히 노균병(露菌病) 예방을 위한 알킬아인산 금속염을 기재로 하는 살균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하는 포도나무의 항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포도나무의 노균병 예방을 위한 알킬아인산 금속염을 기재로 하는 살균제 조성물들은 개발되어 있다(프랑스 공화국 특허원 제 2,254,276 호를 참고할 것). 이들 조성물에서의 활성 물질은 종전의 항 노균병 살균제에 비하여 조직 작용을 가진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즉, 활성물질은 잎의 시용부위에서 수액(樹液)을 통하여 식물의 다른 부위로 전달된다는 것이다.
포도나무에 대한 이들 신규의 살균제의 충분히 시험한 바에 의하면, 이들 알킬아인산염들은 최초 수개월간의 생장기간 동안 노균병(Plasmopora Viticola)에 대한 포도나무 잎의 예방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잎이 노경에 이르면 그의 활성이 현저히 감소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8월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포도나무 줄기 밑부분에 위치하는 노엽(老葉)이 노균병에 의해 점차 감염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나, 최근에 생긴 나머지 잎들은 조직 작용에 의해 예방된다. 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 금속염 형태 또는 프탈리미드 유도체 형태의 종전 항노균병 살균제는 포도나무에 대한 잔류 효과가 양호하므로, 이들 화합물과 알킬아인산염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것을 고려하여 왔다.
사계절동안 지속되는 우수한 항노균병 예방은 포도나무를 특정의 알킬아인산염 및 접촉 작용을 가진 공지의 항노균병 살균제의 혼합물로 처리하면 가능하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는데,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은 동일 목적에 대한 그 성분 단독 사용시의 양보다도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최소한 1종의 인산 모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포도나무 노균병 예방을 위한 살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인산 모노에스테르의 염이 하기 구조식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는 탄소수 2내지 4의 알킬기, Me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금속 또는 알루미늄이고, n은 Me의 원자가에 대응하는 1내지 3의 정수임)을 가지며, 또한 이들은 옥시염화구리, 수산화칼슘으로 중화한 황산구리, 또는 산화제일구리, 마네브(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 망간), 만코제브(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 망간 및 아연), 카프타폴(테트라클로로 에틸티오테트라히드로프 탈리미드) 및 폴펠 또는 폴페트(트리클로로 메틸티오프탈리미드)와 같은 구리기재 조성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정한 접촉 살균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며, 그 살균성 활성 성분은 동일 목적으로 통상 단독 사용하는 양 이하의 양으로 이 조성물에 존재한다.
더욱 상세히는, 살포시용이 가능하고 전술한 구성 성분을 함유하는 이 조성물은 이들을 단독 시용시의 시용량의 15 내지 75%의 양으로 시용(施用)된다. 성분 물질의 각 상대비율에 따라, 이 조성물은 현저하고 기대하지 못하였던 상승작용을 나타낸다.
특히 극히 유용한 결과는 조성물이 알킬아인산염 1부에 대하여 접촉 살균제 0.05 내지 8부를 함유할때 얻어졌다. 엽살포에 의해 시용된 이들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알킬아인산염 50 내지 400g/hl와 접촉 살균제 20 내지 400g/hl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 조성물의 상승 작용을 실시예로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10수의 포도나무(품종 : 가마이) 줄기를 취하여 1975년 봄부터 8월초까지 정기적으로 미립수를 살포하여 관수함으로써 노균병에 심히 감염되게 하였다.
포도나무 줄기를 5월 18일부터 8월 10일까지 평균 12일 간격으로 사용직전에 조제한 알킬아인산염단독 또는 촉접 살균제 단독 또는 이들 성분의 혼합물로 구성된 활성 물질의 수화분제 분산액 또는 가용성 분제 용액을 사용하여 8회 처리하였다. 800ℓ/ha의 양으로 살포기를 사용하여 살포하였다.
잎에 대한 노균병의 피해 진전도를 관찰하고, 피해 엽면의 수를 정기적으로 관찰하였다.
처리 옆면의 감염률을 각각 계산하고 동일 조건하에서 감염시킨 대조 포도나무 줄기의 감염률과 비교하였다. 이 감염률은 백분률로 나타내었다. 다음에 얻은 수치 100중 나머지를 계산하여 보호된 엽면의 백분률로 나타내었다.
9월말에 대한 효과를 아래에 나타낸다. 이 기간은 거의 그 계절의 말기로서 비교식물이 완전히 피해 당하였으나 아직 포도나무에 잎이 남아 있는 시기에 효과의 정도와 잔효 효과의 판단이 가능할 정도로 늦은 충분한 기회로서 선택된 것이다. 이들 조건하에서의 감염엽 면은 실질적으로 처리엽의 엽면에 해당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시용량은 활성 성분의 g수/hl로 표시되는데, 이 양은 구리 금속으로 나타낸 구리 기재 화합물에 관계된다.
각 실시예 중에서의 활성 물질은 하기와 같다.
구리 50%를 함유하는 수화 분제로서 시용되는 옥시염화구리, 황산구리 기재의 혼합물로서 구리 20%를 함유하는 보르독스(Bordeaux) 혼합물(수산화칼슘으로 중화시킨 혼합물),
마네브(maneb) : 활성물질 80%를 함유하는 수화제로서 시용되는 에틸렌-비스 -디티오카르밤산 망간,
만코제브(mancozeb) : 활성물질 80%를 함유하는 수화제인(2.5%) 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 망간 및 아연,
카프타폴(captafol) : 활성물질 80%를 함유하는 수화제인 3a, 4, 7, 7a-테트라히드로-N-(1, 1, 2, 2-테트라클로로-에틸티오)-프탈리미드,
폴펠(folpel) 또는 폴페트(folpet) : 활성물질 50%를 함유하는 수화제를 시용되는 N-(트리클로로 메틸티오)-프탈리미드.
이들 결과로 부터 본 조성물로 달성한 보호엽면 Sm을 별도로 취한 알킬아인산염과 접촉 살균제를 사용하여 각각 얻은 보호엽면 Sp 및 Sc의 총계와 비교함으로써 상승효과를 평가하였다.
엽면 Sm이 이 총계보다 많으면, 그 성질들이 단순히 보조적인 경우에는 상승효과는 본 조성물의 작용으로부터 이론상 기대되었던 것보다 크다. 따라서 상승 효과가 있다.
결국, 대부분의 경우에, 권고량(r.u.d)으로 사용한 공지 살균제의 작용은 하기 표의 상단에 나타내고 하선을 그었다. 이 상승효과의 표시를 도모하기 위하여 Sp+Sc의 총계는 엽면 Sm 다음의 괄호 안에 나타낸다.
에틸아인산나트륨과의 조성물
활성물질 80%를 함유하는 가용성 분제로 사용함
Figure kpo00002
[실시예 2]
에틸아인산알루미늄 기재 조성물
활성물질 80%를 함유하는 수화체로 사용함
Figure kpo00003
또한, 이들 시험중에, 에틸아인산알루미늄 및 폴펠의 혼합물의 포모프시스 비티콜라(Phomopsis Viticola), 검은빛썩음병(Guignardia biwellii : 黑腐病), 슈도페지자 트라체이필라(Pseudopeziza tracheiphila)에 대한 활성이 매우 양호하고, 흰가루병(Uncinula necafor : 白粉病)에 대한 억제 활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았다.
[실시예 3]
이소프로필아인산염마그네슘 기재 조성물
활성물질 80%를 함유하는 가용성 분제로 사용함
Figure kpo00004
[실시예 4]
이소프로필아인산칼슘 기재 조성물
활성 성분 80%를 함유하는 가용성 분제를 사용함
Figure kpo00005
[실시예 5]
이소프로필아인산알루미늄과의 조성물
활성성분 80%를 함유하는 수화제로서 사용함
Figure kpo00006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기재한 것과 극히 유사한 처리 조건하에 에틸아인산알루미늄 및 만코제브 기재의 기성품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1976년에 시험을 행하였다. 각 성분은 통상 사용량보다 극히 소량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Figure kpo00007
기성 조성물 또는 즉석 사용 조성물로서 다른 접촉 살균제와 병용하여 전술한 이성분 혼합물 기재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계절 말기까지의 포도나무의 우수한 예방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것은 특히, 에틸아인산알루미늄 80 내지 150g/hl, 폴펠 40 내지 60g/hl, 또는 만코제브 60 내지 80g/hl 및 구리 130 내지 240g/hl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이다.
혼합물 내에서 피검 알킬아인산염을 하기 화합물로 대치하는 경우 비슷한 결과들을 얻게 된다.
에틸아인산마그네슘, n-부틸아인산알루미늄,
이소부틸아인산마그네슘, sec-부틸아인산알루미늄,
sec-부틸아인산마그네슘, 이소부틸아인산알루미늄,
이소부틸아인산칼슘,
이들 모든 실시예에 의하면, 한편으로는 노엽, 즉 처리엽에 대한 알킬아인산염 단독의 보호 작용은 잔류 효과가 부족하기 때문에 불충분하다. 그러므로, 이들 화합물들은 계절 말기까지 처리엽의 보호를 보장하기 위하여는 단독 사용으로 사용할 수 없고,
또 한편으로는, 권고량의 접촉 살균제는 구리 기재 화합물의 경우와 같이 보호가 확실하고 우수하다는 사실을 명백히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시용량이 실질적으로 감량될때에는, 잔류 효과를 고려하드라도, 생성물의 작용을 보면 이러한 양으로는 그 생성물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따라서, 알킬아인산염은 계절 초기에 보호작용이 양호하고 접촉 살균제는 그 이후의 계절에 보호 작용이 양호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므로, 시기에 대한 단순한 보충작용을 기대할 수 있었다.
본 혼합물로 처리한 잎의 보호율은 접촉 계절 초기에 있어서 살균제 단독 사용시 보다 우수할뿐만 아니라, 그 혼합물에서와 동일량으로 취한 각 성분으로 얻은 보호율의 이론적 총량보다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일정한 접촉 살균제, 바람직하게는 구리 기재 화합물 및 만코제브와 폴펠을 함유한 일정의 알킬아인산염을 선택하여 관찰한 상승작용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 조성물은 활성 물질로서 알킬아인산염 1중량부에 대하여 접촉살균제 0.05 내지 8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중량부로 되는 혼합물을 함유한다.
본 조성물을 알킬아인산염 50 내지 400g/hl 및 접촉살균제 20 내지 400g/hl의 비율로 가급적 엽살포법에 의해 사용된다.
더욱 상세하는, 구리 기재 혼합물은 알킬아인산염 1부당 구리금속 0.15 내지 2부를 함유한다.
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의 금속염 기재의 혼합물은 알킬아인산염 1부당 이들 살균제 0.2 내지 2부를 함유한다.
프탈리미드 유도체 기재의 혼합물은 알킬아인산염 1부당 이들 살균제 0.1 내지 1.2부를 함유한다.
2종의 접촉 살균제를 함유하는 삼성분 혼합물은 알킬아인산염,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인산염 1중량부당 프탈리미드 유도체 0.25 내지 0.75 중량부 또는 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 금속염 0.4 내지 1중량부 및 구리금속 0.85 내지 3중량부를 함유한다.
실시 사용을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거의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물질외에 담체 및 또는 계면 활성제로 구성되는 제형(劑刑)으로 되는 것이 상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담체"라는 용어는 활성 성분과 혼합시켜서, 식물, 종자 또는 토양에의 시용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이송이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유기 또는 무기 물질, 천연 또는 합성물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담체는 고체(점토, 천연 또는 합성 실리케이트류, 수지류, 왁스류, 또는 고형비료) 또는 유체(물, 알코올류, 케톤류, 석유 분류물질, 염소화 탄화수소 및 액화가스)일 수가 있다. 계면 활성제는 유화제, 분산제 또는 수화제일 수가 있고, 또 이온성이거나 비이온성일 수도 있다. 그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의 염류 및 리그닌술폰산의 염류와, 산화에틸렌과 지방 알코올, 지방산 또는 지방아민과 축합체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수화제, 가용분제, 액제, 유화농제, 유제, 현탁농제 및 현탁제의 형태로 제조 될 수 있다.
수화제는 통상 활성물질 20 내지 95중량%를 함유하고, 고체 담체 외에 수화제 0 내지 5중량%, 분산제 3 내지 10중량%를 함유하고, 필요시에는 1종 이상의 안정제 및 기타 보조제, 즉 침투제, 접착제 또는 안티케이킹제, 염료 등을 0내지 10중량% 함유하도록 제조된다. 예컨대, 수화제 조성물의 일예는 다음과 같다.
활성물질 50%
리그닌술폰산칼슘(부유물질제거제) 5%
음이온성수화제
(알킬나프탈렌 알칼리 금속염) 1%
안티케이킹 실리카 5%
카올린(충전제) 39%
수용성 분제는 활성물질 20 내지 95중량%, 안티케이킹 충전제 0 내지 10중량%, 수화제 0 내지 1중량%를 혼합하고, 그 잔부가 수용성 충전제, 원칙적으로는 염으로 구성하여 제조한다.
수용성 분제의 조성예는 다음과 같다.
활성 물질 80%
음이온성 수화제
(알킬나프탈렌술폰산알칼리금속염) 0.5%
안티케이킹 실리카 54%
황산나트륨(가용성 충전제) 15.5%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수화제 또는 유화농제를 물로 희석하여 얻는 조성물인 수용성 분산제와 수용성유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유제는 W/O형 또는 O/W형으로 할 수 있는데, 이들은 마요네이즈와 같은 농후한 콘시스텐시 (consistency)를 갖는다.

Claims (1)

  1. 하기 구조식의 인산모노에스테르의 금속염 1중량부와 구리기재 화합물, 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밤산 및 프탈리미드 유도체중에서 선정한 접촉 살균제 0.05 내지 8중량부로 구성된 혼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나무 노균병 방제용 살균제 조성물.
    Figure kpo00008
    상기 식에서, R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기, Me는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또는 알루미늄, n은 Me의 원자가에 대응하는 1 내지 3의 정수임.
KR7800070A 1978-01-13 1978-01-13 살균제 조성물 KR820000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70A KR820000018B1 (ko) 1978-01-13 1978-01-13 살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70A KR820000018B1 (ko) 1978-01-13 1978-01-13 살균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018B1 true KR820000018B1 (ko) 1982-02-05

Family

ID=1920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070A KR820000018B1 (ko) 1978-01-13 1978-01-13 살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01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6445A (en) Fungicidal compositions based on alkyl phosphites
EP0280348B1 (en) Fungicidal compositions
KR100189390B1 (ko) N-포스포노메틸글리신 기재의 제초성 용액
EA003467B1 (ru) Водный глифозатный концентрат и способ повреждения или уничтожения нежелательных растений
EP1714554A1 (en) Concentrated aqueous phytopathological formulation comprising a herbicide and a betaine type surfactant
JP5567593B2 (ja) 銅塩をベースにした殺真菌組成物
US5169646A (en) Fungicidal compositions based on alkyl phosphites
HU224869B1 (en) Novel fungicide composition containing a 2-imidazoline-5-one
SU1409119A3 (ru) Композици дл борьбы с PUccINca RесоNDIта на пшенице
US5700760A (en) Herbicidal and plant growth regulant compositions and their use
HU207787B (en) Synergetic fungicide composition
KR820000018B1 (ko) 살균제 조성물
IL33428A (en) Substituted n-benzimidazolyl carbamic acid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HRP980178A2 (en) Synergetic fungicide composition
KR920003209B1 (ko) 살진균 조성물
GB2150027A (en) Stabilised fungicidal compositions
EP0038570B1 (en) Fungicidal compositions
GB2095114A (en) Antifungal compositions based on phosphorous acid derivatives,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protection of plants
US3279982A (en) Fungicidal mixture of thiuram sulfides and oxidizing agent
KR810000995B1 (ko) 살균제 조성물
US3323987A (en) Fungicidal preparations containing copper-bis-valerianate
GB2113548A (en) Fung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combating fungal growth
KR810000453B1 (ko) 아인산히드라지늄 유도체의 제조방법
CA1060672A (en) Control of algae, aquatic plants, and the like
KR19990028356A (ko) 혼합 살진균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