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534Y1 - 창틀 청소용 비 - Google Patents

창틀 청소용 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534Y1
KR810001534Y1 KR2019800002471U KR800002470U KR810001534Y1 KR 810001534 Y1 KR810001534 Y1 KR 810001534Y1 KR 2019800002471 U KR2019800002471 U KR 2019800002471U KR 800002470 U KR800002470 U KR 800002470U KR 810001534 Y1 KR810001534 Y1 KR 810001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ain
broom
head
br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2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택
Original Assignee
정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택 filed Critical 정우택
Priority to KR2019800002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5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534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틀 청소용 비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손잡이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설명도.
본 고안은 비의 손잡이 단부에 창틀의 오물을 긁어내는 브레이드(Brade)를 장착시켜서 창틀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창틀 청소용 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창틀을 청소하려면 표면의 먼지는 비로 쓸어낼 수 있었으나 래일 사이에 부착된 오물은 별도의 칼등으로 긁어 내어야만 하기 때문에 2개의 도구를 사용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불편을 없애고, 아울러 비와 브레이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임의의 각도로 절곡되도록하되 그 구조를 간편 확실하게 하여서 제조면과 실제 사용면에서 편리하도록 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1)의 두부(2)와 브레이드(3)의 두부(4) 양면에 수개의 장홈(5)(5′)와 (6)(6′)을 요설하고 그 중앙에는 괘지돌기(7)(7′)와 (8)(8′)을 돌설하고 손잡이(9)은 하단에는 할개구(10)를, 상단에는 할개구(11)을 형성시켜서 그 내면의 중앙 양측에 긴돌기(12)(12′)와 (13)(13′)를 돌설하여, 두부(2)는 할개구(10)에 두부(4)는 할개구(11)에 밀착 수장되게하고 괘지돌기(7)와 (8)가 각기 괘지공(14)와 (15)에 끼워져서 회전될 수 있게하며 장홈(5)(5′)와 (6)(6′)에 긴돌기(12)(12′)와 (13)(13′)가 감합되어 비(1)와 브레이드(3)의 절곡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서 된것이다.
본 고안은 비(1)와 함께 창틀에 부착된 오물을 긁어내는 브레이드(3)를 겸비시켰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창틀을 청소할때 비 이외에 별도의 칼등을 준비하는 번거러움이 없으며 비(1)와 브레이드(3)는 긴돌기(12)(13)가 장홈(5)(6)에 감합되는 위치에 따라서 그 절곡각도를 간단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장홈(5)(6)에 긴돌기(12)(13)가 감합되도록 한것이므로 그 접촉 면적이 커서 그 절곡각도를 강력하게 보지시킬 수 있어서 비(1)와 브레이드(3)를 어떤 위치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각도 조절을 위한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비(1)와 브레이드(3)의 두부(2)(4)를 손잡이(9)의 할개구(10)과 (11)에 축착하고, 두부(2)(4)의 장홈(5)(5′)와 (6)(6′)에 할개구(10)(11)의 긴돌기(12)(12′)와 (13)(13′)가 감합되도록 한 창틀 청소용 비.
KR2019800002471U 1980-04-16 1980-04-16 창틀 청소용 비 KR810001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471U KR810001534Y1 (ko) 1980-04-16 1980-04-16 창틀 청소용 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471U KR810001534Y1 (ko) 1980-04-16 1980-04-16 창틀 청소용 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534Y1 true KR810001534Y1 (ko) 1981-10-26

Family

ID=1921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2471U KR810001534Y1 (ko) 1980-04-16 1980-04-16 창틀 청소용 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5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7710A (en) Multi-purpose broom
US6668418B2 (en) Squeegee implement
US4716616A (en) Flexible squeegee device
US5652997A (en) Auxiliary suction tool for use in a vacuum cleaner
US4430769A (en) Window cleaning device
KR810001534Y1 (ko) 창틀 청소용 비
US4024597A (en) Simultaneous floor edge and baseboard cleaner
US2957190A (en) Combination washer-wiper for glass louvers
ATE218297T1 (de) Handstaubsauger
US5313683A (en) Household cleaning implement
US6516489B2 (en) X-Tendo mitt
JP4365231B2 (ja) 柄付き清掃具
USD279932S (en) Window cleaner
JPS6213576Y2 (ko)
ATE155022T1 (de) Scheibenreinigungsgerät
US2746074A (en) Duster
KR880001905Y1 (ko) 걸레가 결합된 브러시 로울러
US6954964B2 (en) Paint brush scrubber
JPH0245035Y2 (ko)
US4118822A (en) Louvered window cleaner
USD306925S (en) Paint scraper handle
KR970002808Y1 (ko) 다용도 소제구
JPS5936211Y2 (ja) ゴミ取り装置付ちり取り
JPS5849747Y2 (ja) きわぞり装置
KR20220000424U (ko) 창틀 홈 청소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