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487Y1 - 은폐 파스너의 교합 엘레멘트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은폐 파스너의 교합 엘레멘트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487Y1
KR810001487Y1 KR7702706U KR770002706U KR810001487Y1 KR 810001487 Y1 KR810001487 Y1 KR 810001487Y1 KR 7702706 U KR7702706 U KR 7702706U KR 770002706 U KR770002706 U KR 770002706U KR 810001487 Y1 KR810001487 Y1 KR 810001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concealed
slide fastener
element fix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요시 칸도오
키요오 요네야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to KR7702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4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4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4Stringer tapes; Flaps secured to stringers for covering the interlock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40Connection of separate, or one-piece, interlocking members to stringer tapes; Reinforcing such connections, e.g. by stitching
    • A44B19/406Connection of one-piece interlock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6Means for permanently uniting the stringers at the end; Means for stopping movement of slider at the end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은폐 파스너의 교합 엘레멘트의 고정구
제1도는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5도는 작용 설명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고정구를 이용한 깔개의 일례를 나타내는 이면도(裏面圖)이다.
본 고안은 교합하고 있는 은폐 파스너의 엘레멘트 열을 파스너 단부에 대한 횡인력이 작용할 때에도 개방되지 않도록 계지하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슬라이드 파스너는 슬라이더를 섭동시켜서 엘레멘트열을 교합시킨 후, 파스너 종단부에 이 슬라이드 파스너를 머물게하는 슬라이더내의 스톱퍼(stopper)에 의하여 엘레멘트 열의 개방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더에 의한 엘레멘트의 교합후에 슬라이더를 떼어버린 상태에서는 파스너 테이프의 단부에 횡인력이 작용했을 때 이 엘레멘트열이 쉽게 개방되어 파스너의 결합이 유지되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라이더를 떼어낸 후 엘레멘트 열에 감삽되어 파스너의 단부에 횡인력이 작용하여도 엘레멘트 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엘레멘트 열에 대한 감탈이 용이한 은폐 파스너의 교합 엘레멘트의 고정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도시예에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고정부의 주체(1)는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부(2)와 ㄷ자형의 각 단부(3)(4)에서 각각 내측을 향하여 대향 연설된 턱 부분(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상자부(2)는 은폐 파스너(7)가 교합하고 있는 엘레멘트 열(8)의 외주면에 활동(滑動)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감착하여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 상기 턱부분(5)(6)의 단부(9)(10)가 대향하는 간격(W)은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11)(12)의 각각 마주 붙어있는 반전부(13)(14)를 자유로이 통과시킬 수 있는 칫수로 되어 있다.
그리고 턱부분(5)(6)은 상자부(2)와 협동하여,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부(2)가 상기 엘레멘트열(8)의 외주면을 덮을 때 이 턱부분(5)96)이 파스너 테이프(11)(12)와 엘레멘트 열과의 봉착부와 이 파스너 테이프(11)(12)의 표면과의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은폐 파스너 테이프(11)(12)의 반전부(13)(14)를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에서 덮게된다.
그리고 상기 턱부분(5)(6)의 한쪽 단부에서의 대향단부(15)(16)는 상자부(2)의 측면판(17)(18)의 단부(19)(20)보다도 고정구 주체(1)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해서 위치하고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자부(2)의 측면판(17)(18)의 한쪽 단부에 경사단부(21)(22)를 형성시킴으로써 대향 단부(15)(16)를 단부(19)(20)보다도 돌출시키고 있으나,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부(23)의 주판(主板)(24)과 측면판(25)(26)의 한쪽 단부 전체를 절제하고, 이 절제부분에 턱부분(27)(28)의 대향 단부(29)(30)를 잔존시켜서 대향단부(29)(30)를 돌출시켜도 좋다.
또,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모두, 돌출한 대향 단부를 고정구 주체(1)의 한쪽 단부에만 형성하고 있으나 동일한 구조의 돌출한 대향단부를 양쪽 단부에 형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고정구 주체(1)는 엘레멘트열(8)이 교합하고 있는 은폐 파스너(7)의 엘레멘트열(8)에 슬라이더와 같이 감착 섭동시킬 수 있으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부분(5)(6)의 대향단부(15)(16)를 은폐 파스너(7)단부로 향하게 하여 엘레멘트 열 (8)의 종단에 위치시켜서 사용하는 것이다.
제2도에 있어서, 파스너 테이프(11)(12)에 화살표(ㄱ)(ㄴ)방향의 횡인력을 작용시키면, 본 고안의 고정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교합하고 있는 엘레멘트 열은 즉시 개방되기 시작하지만, 본 고안의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으면 다음과같은 각 부분의 작동에 의하여 고정구 주체(1)의 턱부분(5)(6)의 대향단부(15)(16)가 상기 화살표(ㄱ)(ㄴ)방향의 횡인력을 받아서 횡인력이 엘레멘트 열(8)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5도에 있어서 파스너 테이프(11)(12)가 화살표(ㄱ)(ㄴ)방향의 횡인력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Y자형으로 벌어지기 시작하면, 반전부(13)(14)에 근접해서 위치하는 고정구 주체(1)의 턱부분(5)(6)의 대향단부(15)(16)에 우선 반전부의 내측이 접촉하여 대향단부(15)(16)에 각각 압압력(X)을 작용시킨다.
파스너 테이프(11)(12)는 편직포로서 신축 및 굴곡이 자유롭고 또한 횡인력 방향은 고정구의 중심선(O-P)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상기 압압력의 수평분력(Y)은 수직분력(Z)보다 큰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수평분력(Y)에 의하여 발생하는 고정구 본체(1)와 파스너 테이프(11)(12)와의 마찰력이 수직분력(Z)을 능가하게 되며, 따라서 고정구 본체는 도시된 위치에 남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1)의 상자부(2)의 측면판(17)(18)의 단부(19)(20)가 상기 대향단부(15)(16)보다 후퇴한 위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전부(13)(14)의 내측이 대향단부(15)(16)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엘레멘트 열(8)의 각 엘레멘트의 반전단부(31)(32)가 상자체(2)의 단부(19)(20)에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엘레멘트 열(8)에 횡인력이 작용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만약 상자체(2)의 측면판(17)(18)의 단부가 제5도의 참조부호(19′)(20′)로 표시한 바와 같이 대향단부(15)(16)와 동일한 위상으로까지 뻗어나간다고 하면, 상기 반전부(13)(14)의 내측과 대향단부(15)(16)가 접촉하기 전에 또는 이와 동시에 경질(硬質) 엘레멘트의 반전단부(31)(32)가 단부(19′)(20′)에 접하여, 대향단부(15)(16)와 반전부(13)(14)의 내측과의 협동으로 인한 수평분력(Y)에 기인하는 나찰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고정구의 계지(係止)가 실현되지 않아서 엘레멘트열(8)에 직접 횡인력이 작용하여 엘레멘트의 개방이 서서히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고정구의 바람직한 사용예는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제6도는 다수의 깔개편(33)(34)(35)……이 각각의 단변(端邊)에 고착된 은폐 파스너 스트링거(36)(37)(38)(39)(40)의 엘레멘트 열을 교합시킴으로써 결합되어 일련의 깔개를 형성한 것의 이면(裏面)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평탄한 깔개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엘레멘트 열의 교합이 완결된 후에 슬라이더를 떼어내고, 각 은폐 파스너 스트링거의 결합부의 엘레멘트 열의 양단부에 본 고안에 의한 고정구(41)(42)(43)를 부착하여 엘레멘트 열의 개방을 방지하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44)(45) 등은 스트링거 테이프의 변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의 함침 혹은 이러한 수지 필름의 용착에 의하여 경화 및 보강되고, 또 슬라이더나 본 고안의 고정구를 삽통시키기 위하여 깔개편과 유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것으로서, 은폐 파스너를 교합시킨 다음 슬라이더를 메어낸 후에 감삽하기 때문에 엘레멘트 열의 개방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감탈도 매우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굴곡이 없으며, 염가로 공급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 때문에 작은 면적의 다수의 깔개편을 결합하여 넓은 깔개로 만드는, 예를들면 인공 잔디 등을 형성시킬 때 횡인력이 작용하여도 개방하는 일이 없고, 또한 비교적 평탄한 은페 파스너 결합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구 주체는 교합하고 있는 파스너의 엘레멘트 열의 외주면을 덮는 ㄷ자형 단면의 상자부와 ㄷ자형의 각 단부로 부터 각각 내측을 향하여 대향해서 연설된 턱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이 턱부분의 대향 간격은 좌우 파스너 테이프의 반전부를 자유로이 통과시킬수 있는 칫수로 되어 있고, 상기 턱부분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있는 대향단부는 상기 상자부의 측면판보다도 고정구 주체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여 위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은폐 파스너의 교합 엘레멘트의 고정구.
KR7702706U 1977-04-19 1977-04-19 은폐 파스너의 교합 엘레멘트의 고정구 KR810001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706U KR810001487Y1 (ko) 1977-04-19 1977-04-19 은폐 파스너의 교합 엘레멘트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706U KR810001487Y1 (ko) 1977-04-19 1977-04-19 은폐 파스너의 교합 엘레멘트의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487Y1 true KR810001487Y1 (ko) 1981-10-16

Family

ID=1920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706U KR810001487Y1 (ko) 1977-04-19 1977-04-19 은폐 파스너의 교합 엘레멘트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4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010Y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해제를 저지하는 장치
US4672725A (en) Snap buckle
US1746565A (en) Separable fastener
US2077350A (en) Multiple interlocking fastener
KR910000062A (ko) 연속 파스너 체인으로 부터 만들어진 슬라이드 파스너
NL7709534A (nl) Met een hangslot grendelbaar paar van schuiven voor een ritssluiting.
US4152813A (e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end members
US3038226A (en) Automatic lock slider
US4137608A (en) Slide fastener with adjustable stop
US1923262A (en) Fastening device
GB2027078A (en) Slide fasteners
KR810001487Y1 (ko) 은폐 파스너의 교합 엘레멘트의 고정구
GB1514787A (en) Slide fastener stringer
US5638585A (en) Separable bottom-end-stop assembly of synthetic resin for slide fastener
US2866246A (en) Separable fasteners
US3508304A (en) Locking type slide fastener
US4441235A (en) Slide fastener with bottom stop
US3449803A (en) Flange lock slider for filament slide fasteners
KR840000533Y1 (ko) 버클(혁대를 죄는 쇠 buckle)
ES337546A1 (es) Perfeccionamientos en la fabricacion de cierres de crema- llera con cintas de soporte caladas en los eslabones de aco-plamiento.
US2824352A (en) Slidable fastener
KR940005248A (ko) 슬라이드 파스너 및 그의 제조방법
US2715254A (en) Sliding clasp fasteners
US3037255A (en) Covered separable fastener
US2119352A (en) Slider for separable faste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