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138Y1 - 가변 창문 - Google Patents

가변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138Y1
KR810001138Y1 KR2019800003063U KR800003063U KR810001138Y1 KR 810001138 Y1 KR810001138 Y1 KR 810001138Y1 KR 2019800003063 U KR2019800003063 U KR 2019800003063U KR 800003063 U KR800003063 U KR 800003063U KR 810001138 Y1 KR810001138 Y1 KR 810001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state
closing
ru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3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동호
Original Assignee
탁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동호 filed Critical 탁동호
Priority to KR2019800003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1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1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E06B3/507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horizontal sliding wings having the possibility of an additional rotation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변 창문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로서 일측창문을 분리시킨 상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의 창문의 각 구성을 보이기 위해 보조괘간에서 창문을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창문 상단부에 설치된 괘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내닫이식 개폐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상태를 측단면으로 본 상태도.
제6도는 제5도의 상태에서 하단 괘지고리가 지축을 괘지함과 동시 개폐편이 개구를 막아주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7도는 본 고안을 미닫이 식으로 사용하는 상태도이며,
제8도는 제7도의 상태를 평단면으로 표시한 것이다.
제9도는 본 고안을 여닫이식으로 개폐하는 상태도이고,
제10도는 제9도의 상태를 평단면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하나의 창문으로 미닫이식과 여닫이식 및 내닫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게 한 가변창문을 형성함에 있어, 창문의 상하면에 창문과 문틀이 일체 또는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괘 해정장치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작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창문(1) 상면에 축공(2′)과 걸고리(2″)가 형성된 절첩판(2)을 경첩(3)으로 결착하고 창문(1) 하단의 괘지고리(4) 내측에 괘지고리(4)를 괘, 해정하는 개폐편(5)을 롯드(5′)로 연결하여 하부손잡이(6)에 의해 삽탈작동이 용이하게 한 후 문틀(A)에 괘설되는 별도의 ㄷ자형 보조괘간(7)을 창문의 상부측공(2′)과 하부괘지고리(4)에 지축(8)(8′)으로 결속하여 창문(1)의 내단상하부가 보조괘간(7)에 결속된 상태로 문틀(A)에 괘설되게 하며, 창문(1)의 상방 직각부 내측에 래바간(9′) 및 롯드(9″)와 괘정구(9)를 손잡이(10)에 연결하여 손잡이(10)의 삽탈작동에 의해 괘정구(9)가 절첩판(2)의 구멍(11)을 통해 보조괘간(7)의 괘공(12)에 삽탈되면서 창문(1)과 보조괘간(7)이 일체 또는 각각 분리될 수 있게 하고, 절첩판(2) 저면 일측에 ㄴ형 절곡단부를 가진 연동간(13)을 결속하여 다단제어판(14)에 괘삽된 상태로 창문(1)의 개폐 상태를 고정시키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5는 걸고리(2″)가 삽탈되는 구멍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평시에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상태처럼 창문(1)을 닫아놓은 상태로 좌우스라이드 시키면 창문(1)이 보조괘간(7)과 함께 결속된 상태로 문틀(A)의 레일을 따라 함께 좌우 스라이드 어 통상의 미닫이식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이렇게 미닫이식으로 사용하다가 내닫이식으로 사용할 때는 양쪽 하부손잡이(6)를 각각 내측으로 밀어 괘지고리(4)와 함께 지축(8′)을 괘지하고 있던 개폐편(5)이 후진되면서 괘지고리(4)의 개구를 개방하게 한 상태로 창문(1)을 밖으로 밀어주면 제4도 및 5도에 도시한 상태처럼 창문(1) 상단에 경첩식으로 결속된 절첩판(2)은 보조괘간(7)에 괘착되어 있고 창문(1) 상단만이 경첩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하방이 밀려나가 내닫이식으로 열리게 되며, 이때 창문(1)의 개폐정도에 따라 절첩판(2)에 유착된 연동간(13)의 하단 절곡부가 다단제어판(14)의 각 요홈에서 유동되면서 창문(1)의 열린 상태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도를 바꿔 여닫이로 사용하고져 할 때는 열려진 양쪽 창문(1)을 잡아 당기면 창문(1)을 지지하고 있던 연동간(13)의 단부가 다단제어판(14)의 요홈에서 밀려 내려와 창문(1)이 닫히게 되고 이와 같은 작동은 탄성편으로 된 다단제어판(14)의 탄동력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일단 창문(1)이 닫히면 양쪽 하부손잡이(6)를 반대쪽으로 밀어 제6도에 도시한 상태처럼 개폐편(5)이 지축(8′)을 괘지하고 있는 괘지고리(4)의 개구를 차폐하게 한 후, 상방의 손잡이(10)를 당겨 주면 제3도에 도시한 상태처럼 보조괘간(7)의 괘공(12)에 괘삽되어 있던 괘정구(9)가 래바간(9′) 및 롯드(9″)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괘공(12)에서 이탈되며, 이때 창문(1)을 밀어내면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것처럼 절첩판(2)의 걸고리(2″)가 구멍(15)에서 이탈되면서 여닫이식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은 창문(1) 외연에 별도의 보조괘간(7)을 괘, 해정식으로 괘설하였기 때문에, 평시에는 창문(1)과 보조괘간(7)이 함께 문틀(A)에서 좌우 스라이드 되면서 미닫이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여닫이나 미닫이로 사용시에는 괘정장치만 조작하면 보조괘간(7)은 문틀(A)에 괘삽된 상태로 있고, 창문(1)만이 보조괘간(7)에서 삽탈되면서 여닫이식이나 내닫이식으로 개폐되므로 3가지 용도 중 임의로 선택하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창문(1)의 골격상부 내측에 래바간(9′) 및 롯드(9″)와 괘정구(9)를 손잡이(10)와 연동될 수 있게 설치하고, 창문(1) 하단에는 괘지고리(4)의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편(5)을 하부손잡이(6)와 연동될 수 있게 설치하여 창문상단에 결속된 절첩판(2)의 축공(2′)과 하단 괘지고리(4)를 ㄷ자형 보조괘간(7)의 상하내단에 지축(8)(8′)으로 체결한 상태로 문틀(A)에 괘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가변 창문.
KR2019800003063U 1980-05-13 1980-05-13 가변 창문 KR810001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063U KR810001138Y1 (ko) 1980-05-13 1980-05-13 가변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063U KR810001138Y1 (ko) 1980-05-13 1980-05-13 가변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138Y1 true KR810001138Y1 (ko) 1981-09-17

Family

ID=1921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3063U KR810001138Y1 (ko) 1980-05-13 1980-05-13 가변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1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730B1 (ko) * 2013-04-12 2013-10-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여닫이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730B1 (ko) * 2013-04-12 2013-10-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여닫이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46899Y2 (ja) 自動車の物入れ兼用ア−ムレスト
US4965889A (en) Cover for a toilet bowl
AU567548B2 (en) Wall partition/sliding door assembly
US2912268A (en) Anti-burglar window lock
US4148508A (en)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s and the like
US4337597A (en) Sliding window construction having pivotal characteristic to facilitate cleaning both sides of the window
KR810001138Y1 (ko) 가변 창문
CA2225488A1 (en) Safety blind for windows and doors
US2854072A (en) Plastic wicket for screens
HU181931B (en) Device receiver or tool box with tiltable drawers
US559557A (en) Window
US2077122A (en) Door
US695202A (en) Traveler's dress-case.
JPH024233Y2 (ko)
BE880534A (fr) Verrou a coulisse pour fenetres, portes ou autres elements du meme genre
JPH0213187Y2 (ko)
US2497022A (en) Window screen
JPS5932692Y2 (ja) よろい戸の引手装置
JPH025229B2 (ko)
JPS6028776Y2 (ja) 袖付ドア
JPH0743393Y2 (ja) 間仕切り装置のロック構造
US718118A (en) Sash-lock.
FR2307115A1 (fr) Volet roulant a projection a l'italienne
JPS6330322Y2 (ko)
JPS5920551Y2 (ja) 折り畳み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