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038B1 - 충격폭발신관 - Google Patents

충격폭발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038B1
KR810001038B1 KR7601506A KR760001506A KR810001038B1 KR 810001038 B1 KR810001038 B1 KR 810001038B1 KR 7601506 A KR7601506 A KR 7601506A KR 760001506 A KR760001506 A KR 760001506A KR 810001038 B1 KR810001038 B1 KR 81000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impact member
recess
inertia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뤼베르즈 빌리
Original Assignee
한즈-위르겐 디데리히즈
니코-피로테크니크 한즈-위르겐 디데리히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즈-위르겐 디데리히즈, 니코-피로테크니크 한즈-위르겐 디데리히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한즈-위르겐 디데리히즈
Priority to KR760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00Impact fuzes, i.e. fuzes actuated only by ammunition impact
    • F42C1/02Impact fuzes, i.e. fuzes actuated only by ammunition impact with firing-pin structurally combined with fuze
    • F42C1/04Impact fuzes, i.e. fuzes actuated only by ammunition impact with firing-pin structurally combined with fuze operating by inertia of members on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충격폭발신관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식관조립체가 발사전 탄피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포탄의 부분 단면 측면도.
제2도는 발사후 탄도의 초기 부분에서의 포탄과 신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제1도에 상응된 도면.
제3도는 표적과 충돌하여 포탄내의 장약이 폭발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1도 및 제2도에 상응된 도면.
제4도는 탄도의 초기 부분에서 탄두와 장애물의 접촉시의 신관 조립체의 안전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제1-3도에 상응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포판의 충격폭발 신관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강약함포탄 유동체와, 그 동체의 전방에 배치된 탄두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폭발신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런 타입의 장래의 신관 조립체에서, 공이가 탄두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있고, 그 공이와 협동하여 점화시키는 뇌관이 신관 조립체의 고정 슬리이브(sleeve) 부분에 접등 가능하게 배치된 충격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공이와 뇌관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충격부재를 그의 최후방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고정구(球)가 충격부재의 벽과 주위 고정 슬리이브의 구멍들에 설치되어 있다.
제2의 관성구가 포탄비행의 가속시 충격부재의 전방 요홈부내에 배치되고, 그후 충격부재의 요홈부로부터 전방으로 탄두의 요홈부내로 관성에 의해 이동된다. 그러한 관성구가 그의 전방위치에 있을 때 충격부재는 표적과 포탄의 충돌시 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되고 그리하여 뇌관이 공이에 충돌하여 폭발을 일으킨다.
이런 형태의 구조에서는 탄두의 관성구 수용홈이 충격부재의 요홈부와 일치되지 않고 반경방향으로 치우쳐 있어, 포탄이 그의 비행의 가속시 위장막과 같은 장애물을 만날 때 충격부재와 그의 요홈부내의 관성구가 급격한 전진이동을 하여 그 관성구가 요홈부의 벽과, 탄두의 관성구 수용홈의 후미단부의 반경방향 계단부 사이에 끼게 된다. 그 결과로, 충격부재가 그의 전방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공이와 뇌관의 조기접촉을 방지한다.
이러한 안전작동 특징이 일반적으로는 바람직하지만 포탄이 그의 종축을 중심으로 비교적 큰 각도로 회전할 때는 충격부재의 요홈부로부터 탄두의 요홈부로의 관성구의 정규 관성전진이동을 다소 방해할 수가 있다. 특히, 그러한 회전운동시, 관성구의 관성전진 이동에 대항하는 분력(分力)이 발생되어 그러한 관성구가 탄두의 반경방향으로 치우친 요홈부내로 이동하는데 충분한 전진속도를 가질 수 없게 된다. 그리하여, 충격부재가 표적과의 접촉시 전방으로 이동될 때라도, 포탄이 비행의 가속시에 장애물에 부딪칠 때와 같이 탄두의 요홈부의 후면에 관성구가 도달하지 못하게 되고 계단부와 충격부재의 요홈부의 벽과의 사이에 끼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형태의 개선된 신관조립체를 제공하며, 그러한 개량된 신관조립체는, (1) 포탄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표적에 충돌할 때 탄두의 요홈부내로 관성구가 확실히 위치되게 하고, (2) 포탄이 비행의 가속부분에서 급격한 감속력을 받을 때 폭발을 방지하는 안전작동을 제공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격부재는 그의 전방표면에 절두원추형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요홈부는 충격부재의 중앙에 지지된 뇌관의 전방표면쪽으로 후방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하여, 비행의 가속부분에서 관성구는 절두원추형 요홈부의 내벽과 접촉하여 있다.
탄두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공이는 전방원통형 부분과 후방원추형 연장부의 2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원추형 연장부는 전방원통형 부분의 후미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공이의 원추형 부분의 외벽과 뇌관의 주위내벽 사이에서 탄두에 형성된 환상(環狀) 요홈부는 포탄비행의 정상적인 무장애 감속상태에서 관성구의 정상적인 관성 전진 이동로와 축방향으로 일치되게 형성되어 있다. 탄두에 요홈부가 반경방향으로 치우쳐 있지 않기 때문에 관성구의 관성 전진이동으로 포탄의 비교적 빠른 회전시에도 관성구가 탄두의 요홈부내로 확실히 들어가게 된다.
공이의 후미 원추부분의 원추각도는 충격부재의 경사원추 각도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공이의 후미부분의 경사벽보다 크게 충격부재의 요홈부의 내벽을 형성함에 의해 장애물에 부딪칠 때 포탄에 가해지는 급격한 감속력에 의해 야기되는 충격부재의 조기전진이동은 관성구가 그러한 원추형 벽들 사이에 끼도록 작용하여, 그러한 조건하에서 안전작동이 보장된다.
포탄이 그의 탄피로부터 발사된 후에도 충격부재를 그의 최후미 위치에 보유시키기 위해 파열가능한 밀폐 박막부재가 주위 슬리이브 부재의 구멍위에 배치되는 것이 유익하며, 그러한 박막은 탄피가 분리된 후 계지구를 그의 고정위치에 정상적으로 속박하도록 하기 위해 계지구와 접촉하여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개선된 충격폭발신관 조립체 101을 가진 마발사된 포탄 100의 전방부분을 나타낸다. 그 포탄 100은 통상의 폭발장약을 함유하는 주(主) 동체(도시 안됨)와 그 주 동체의 전방에 그와 떨어져 배치된 탄두 2를 가지고 있다.
신관조립체 101의 신관 몸체부 1은 도시되지 않은 포탄의 전방부와 탄두 2의 후미부를 상호 나사 결합한다. 그 신관 몸체부 1은 전방으로 돌출한 슬리이브 부분 102를 가지고 있고, 그 구분의 전방단부 103이 탄두 2상의 견부(shoulder) 104와 협동하여 동체 탄피(shell cartridge) 106의 내측으로 구부러진 단부를 수용한다. 그 카트리지는 슬리이브 부분 102의 외주위에서 그 외주를 따라 연장하고, 발사시 포탄 100으로부터 분리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충격부재 5는 제1도에 도시된 최후미 정지위치와 후술되는 최전방 충격위치 사이에서 포탄 축(107로 나타냄)을 따라 접동 가능하게 슬리이브 부분 102 내에 수장되어 있다. 공이 3이 탄두 2의 후면에 동축으로 그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공이 3은, 충격부재 5의 전방표면 108의 후방으로 충격부재 5에 의해 지지된 뇌관(Percussion Primer) 4와 정렬 배치되어 있다. 공이 3이 뇌관 4에 접촉하면 점화 광선(ignitin ray)이 뇌관 4로부터 후방으로 방사되어 통상의 방식으로 동체내의 장약을 폭발시킨다.
충격부재 5와 뇌관 4는 충격부재 5를 후방위치에 속박하도록 작용하는 고정부재에 의해 평상시 공이 3과 떨어져 유지되어 있다. 그 고정부재는 슬리이브 부재 102의 원주상에 서로 180° 떨어져 그 슬리이브부재를 관통하여 배치된 한쌍의 구멍 8-8을 포함한다. 환상(環狀)의 V형 홈 7이 충격부재 5의 외주상에 설치되어 있고, 충격부재 5가 제1도에 도시된 최후미 위치에 있을 때 슬리이브 부재 102의 구멍 8과 일치된다. 홈 7과 구멍 8 사이에는 한쌍의 계지구(球) 6-6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신관 조립체 101은 또한, 제2관성구(inertial sphere) 12를 가지고 있고, 그 관성구 12는 포탄 비행시의 초기, 즉 가속시 충격부재 5의 전면의 요험부 10에 계합한다. 그 요홈부 10의 구조는 후술한다. 발사후 포탄 100의 감속시, 관성구 12는, 제2-4와 관련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요홈부 10의 초기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천천히 이동한다. 탄두 2의 후면에는 공이 3의 원통형 전방부 3a와 주위 슬리이브 부분 102 사이에 형성된 환상(環狀) 요홈부 11이 제공되어 있어 관성구 12의 전진이동의 말기에 그 관성구를 수용한다.
슬리이브 부재 102의 각 구멍 8의 외측에는,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 제3,995,556호에 기술된 형태의 파열가능한 박막형의 밀폐부재 9가 중첩 배치되어 있다. 그 밀폐부재 9는 포탄 100의 발사시 및 표적쪽으로의 단도비행의 가속시 계지구 6을 도시된 위치에 보유시키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시 탄피 106이 포탄동체 100으로부터 분리된 후 포신의 내벽이 계지구 6과 접촉하여 그 벽에 종방향 홈이 파지는 것이 방지된다. 밀폐부재 9는, 홈 7의 경사진 후면 109의 약간의 전진캠 운동시 계지구 6의 외측으로의 추진력에 의해 밀폐부재 9가 파열되고 계지구 6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용이한 파열이 가능하게 만들어져 있다.
충격 폭발신관 조립체 101의 일부분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포탄 100의 발사전, 충격부재 5 및 뇌관 4는 계지구(球) 6과 홈 7 및 구멍 8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에 의해 공이 3과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유지되어 있다. 발사시, 탄피 106은 포탄 100으로부터 분리되고, 탄도비행의 가속단계시, 계지구 6은 밀폐부재 9에 의해 재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한 가속단계시, 관성구 12는 제2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충격부재 5의 요홈부 10과 접촉하여 있게 된다.
계속적인 탄도비행시, 공기저항으로 탄두가 감속되기 시작할 때 관성구 12는 제2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경사부분 108을 통해 탄두 2의 요홈부 11내로 관성력에 의해 이동한다. 탄두 2가 표적에 충돌될 때 포탄의 갑작스런 감속에 의해 충격부재 5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그리하여 홈 7의 캠작용면(camming面) 109에 의해 계지구 6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재 9를 파열시키과 그 계지구가 이탈된다. 이때, 충격부재 5는 뇌관 4가 공이 3에 접촉할 때까지 전방으로 자유이동하고 뇌관과 공이의 접촉시 점화광선(ignition ray) 111이 장약을 작렬시켜 포탄을 파열시킨다.
환상요홈부 11과 관성구 12의 정규 전진이동로가 정렬되어 있음에 의해, 종축 107을 중심으로 한 포탄 100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관성구 12가 요홈부 11내로 들어가게 되는 잇점이 있다. 그러한 회전은 많은 경우 파도한 제조공차에 의해 야기되는 불안정을 제공하고, 포탄의 감속시 관성구 12의 정규 전진 관성운동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요홈부 11의 배치에 의해 제공되는 잇점에도 불구하고, 충격부재 5와 뇌관 4가, 표적에의 충돌이 아니라 위장망과 같은 장애물과 접촉함에 의해 야기되는 포탄의 급격한 감속시 미리 공이 3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를 부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경우에, 탄도비행의 초기 가속부분의 포탄 탄도비행궤도내에의 장애물의 존재는 충격부재 5에 대한 제동효과를 제공하고, 그 제동효과에 의해 제3도의 표적 충돌에서와 같이 충격부재의 경사면 109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리하여 계지구 6이 밀폐부재 9를 통과하여 외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그러한 포탄의 조기감속시 공이 3에의 뇌관 4의 접촉이 공이 3의 후미부분과 충격부재 5의 전방면 108의 요홈부 10의 적당한 구조에 의해 방지된다. 특히, 그 요홈부 10은 충격부재 5의 전방면 108로부터 후방내측으로 뇌관 4의 전방면쪽으로 연장하는 절두원추형 벽을 가지고 있다.
공이 3는, 원통형 전방부 3a의 전방면에 접하고 충격부재 5의 요홈부 10과 동축으로 후방내측으로 연장하는 원추형의 후미부 3b를 구비하고 있다. 공이의 부분 3b의 외벽의 원추각도는 요홈부 10의 원추각도와 일치하며, 또한 요홈부 10의 벽은 공이의 부분 3b의 외면보다 더 크게 만들어져 있어, 포탄의 비행중의 감속시 충격부재 5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요홈부 10의 벽과 관성구 12의 접촉시 그 요홈부 10의 벽과 공이의 원추부분 3b의 외벽 사이에 관성구 12가 끼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러한 구조에 의해 뇌관 4가 공이 3의 첨단부에 접촉하는데 충분하게 전방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포탄의 조기 폭발이 방지된다.

Claims (1)

  1.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천설된 고정 슬리이브 부분을 가지며 포탄 몸체부와 탄두를 상호 연결하는 신관 몸체부(1)와, 슬리이브 부분내에는 최후방 정지위치와 최전방 충격위치 사이에서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최후방 위치에 있을 때 슬리이브 부재의 구멍과 정렬되는 홈이 외주상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전방에 요홈부(10)가 설치되고 그 요홈부의 후단부에 인접히 뇌관(4)이 배치된 충격부재(5)와 그 정렬된 제1구멍과 환상홈내에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충격부재의 전진이동을 방지하는 계지구(6)와, 포탄의 가속시 충격부재의 요홈부내에 배치되어 포탄의 감속시 슬리이브 부분의 내벽을 따라 충격부재의 요홈부로부터 전방으로 관성에 의해 이동되는 관성구(12)와, 탄두의 후면으로부터 연장하여 그 탄두의 중앙에 배치되어 충격부재가 최전방위치에 있을 때 뇌관과 접촉하는 공이(3)으로 구성된 충격폭발신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충격부재의 요홈부(10)가 충격부재의 전방표면에서 내측후방으로 연장하는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이(3)가 전방 원통형부분(3a)과 접하여 있고 상기 요홈부(10)의 원추각도와 일치하는 원추각도로 내측후방으로 경사진 원추부분(3b)으로 구성되어 있고, 포탄의 감속시 관성구를 파지하도록 상기 충격부재의 요홈부(10)의 내벽이 공이의 후미부분의 외벽보다 크게 되어 있고, 슬리이브 부분의 벽과 공이의 원통형 부분(3a)의 벽 사이에, 포탄의 감속시 관성구를 수용하기 위해 관성구의 정규 관성이동로와 일치되게 환상 요홈부(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폭발신관.
KR7601506A 1976-06-16 1976-06-16 충격폭발신관 KR81000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506A KR810001038B1 (ko) 1976-06-16 1976-06-16 충격폭발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506A KR810001038B1 (ko) 1976-06-16 1976-06-16 충격폭발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038B1 true KR810001038B1 (ko) 1981-08-31

Family

ID=1920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1506A KR810001038B1 (ko) 1976-06-16 1976-06-16 충격폭발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03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9397A (en) Grenade-type projectile
EP0284923B1 (en) Fuse for sub-munition warhead
US3388666A (en) Rifle grenade
US3295444A (en) Dispersal type cluster warhead
US2697400A (en) Projectile with shaped charge and point initiating fuze
US3576165A (en) Safety projectile percussion primer
CA1116466A (en) Projectile with at least one expellable subprojectile
EP0171534B1 (en) Bullet trap and bullet deflector in rifle grenade
US2465395A (en) Long and short delay fuse
US2692557A (en) Fuse
US3710716A (en) Ram pressure standoff extension and safe/arm mechanism for self-arming munitions
KR940004649B1 (ko) 폭발탄체를 갖춘 산탄총 카트리지
US3375786A (en) Mechanical percussion fuze for rockets
US4449456A (en) Safety device for a projectile
KR810001038B1 (ko) 충격폭발신관
KR101449738B1 (ko) 복수 폭발분리장치들의 전단파괴 작동에 의한 발사체 분리구조
US5670736A (en) Priming system for the explosive charge of a submunition on board a carrier
KR101879944B1 (ko) 지연장전부와 격침부 사이의 기폭정렬이 보장되는 충격신관
US3103172A (en) Fuze
EP0084095B1 (en) Ballistic propulsion system for rifle grenades and similar projectiles
US4036145A (en) Percussion fuse assembly
US3949675A (en) Projectile
KR101879046B1 (ko) 격침의 오발을 방지하는 지연장전부를 구비한 충격신관
US4693180A (en) Impact detonator with a detonator cap
US3961578A (en) Point-detonating projectile fu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