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950B1 - Packing machine - Google Patents

Pack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950B1
KR810000950B1 KR7600901A KR760000901A KR810000950B1 KR 810000950 B1 KR810000950 B1 KR 810000950B1 KR 7600901 A KR7600901 A KR 7600901A KR 760000901 A KR760000901 A KR 760000901A KR 810000950 B1 KR810000950 B1 KR 810000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n
panel
hopper
folde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케이. 칼버트 로드니
라번 란드럼 찰스
Original Assignee
메랄드 떠블유. 랲
더 미이드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랄드 떠블유. 랲, 더 미이드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랄드 떠블유. 랲
Priority to KR760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9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9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Landscapes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A series of collapsed open ended sleeve-type cartons(C) is withdrawn in sequence from a hopper(30) by a feeder which engages a single wall of each carton and moves to cause another wall of the carton to engage a fixed cam(33) having a camming surface(33) at an angle to the direction of feed movement of cartons from the hopper so as to set up the open ended sleeve-type carton.

Description

포 장 기 계Packing Machine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의 주요부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구조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제3도는 호퍼로부터 조종되고, 조립되어 그 단부를 통해 적하되고, 본 발명의 기계에 의해서 폐쇄되는 조립개구 단부를 갖는 슬리브형 카아톤(carton)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eeved carton having an assembly opening end steered from the hopper, assembled and loaded through its end, and closed by th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카아톤 급송 조작의 시초에 급송 기구를 나타내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구조의 1부분확대 측면도.4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 and 2 showing the feeding mechanism at the beginning of the carton feeding operation.

제5도는 다음 단계의 급송 조작을 나타낸 제4도와 유사한 측면도.Fig. 5 is a side view similar to Fig. 4 showing the feeding operation of the next step.

제6도는 급송 장치 기구로부터 부분적으로 조립카아톤을 스트리핑(stripping)한 직후의 위치에서의 부분들을 묘사한 제4도 및 5도와 유사한 측면도.FIG. 6 is a side view similar to FIGS. 4 and 5 depicting portions in a position immediately after stripping the assembled carton partially from the feeding device mechanism.

제7도는 개구단부를 갖는 조립카아톤이 적하 및 폐쇄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갖고 동기적으로 이동하는 1조의 플라이트(flight)바아 사이에서 이동하는 순간의 위치에서의 부분들을 묘사한 제4,5 및 제6도와 유사한 측면도.FIG. 7 depicts parts at the instantaneous location where the assembled carton with the open end moves between a set of flight bars synchronously moving at regular intervals to be loaded and closed; A side view similar to FIG.

제8도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정면도.8 is a front view of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포장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machine.

슬리이브형 카아톤의 일단 또는 양단을 통해 복수개의 물물들을 적하(loading)하기 위한 기지의 기계들은 적하조작중 그리고 그후에 카아톤 사이에 상당한 간격이 필요한 치수와 구조를 갖는다. 물론 이와 같은 간격은 일정한 기간동안에 적하될 수 있는 카아톤의 양에 상당한 제한을 부여하게 된다. 종종 이러한 형태의 기계들은 적하중 및 그후에 카아톤을 폭 넓게 간격유지 함으로써 생기는 결점들을 보충하기 위해 극히 빠른 속도로 작동된다. 물론, 고속조작은 고도의 마모를 가져오고 실질적으로 휴지시간을 증대시키며, 수선비와 유지비를 상승시킨다.Known machines for loading a plurality of objects through one or both ends of a sleeved carton have dimensions and structures that require considerable spacing between and after the loading operation. This interval, of course, imposes a significant limit on the amount of cartons that can be loaded over a period of time. Often these types of machines operate at extremely high speeds to compensate for the drawbacks of loading and then spacing the cartons widely apart. Of course, high speed operation results in a high degree of wear and substantially increases downtime, increasing repair and maintenance costs.

개구단부를 갖는 슬리이브형 블랭크는 호퍼내에 접혀져 배치되며, 거기로부터 카아톤이 순차적으로 이탈되고, 전기의 블랭크는 자주 조립하기 어려운 아교랩(glue lap)을 갖는데, 조립하기 어려운 이유는 랩으로부터의 아교가 거기에 접촉관계로 정면으로 배치된 카아톤의 패널과 불필요한 접합을 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의 카아톤은 또한 하향으로 굽혀지는 경향이 있어서 효과적인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The sleeved blank with the open end is folded and placed in the hopper, from which the cartons are sequentially released, and the electric blank has glue laps which are often difficult to assemble, because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 This is because the glue performs unnecessary joining with the panel of the carton disposed in front in contact with it. This type of carton also tends to bend downwards to prevent effective escape.

본 발명에 의하면, 개구 단부를 갖는 슬리이브형카아톤은 호퍼로 부터 연속해서 급송되며, 개량된 급송장치 수단에 의해 조종되는데, 여기서 패널과 면접촉하는 아교 랩에 사용한 아교에 기인한 불필요한 접합은 단절되며 첨가해서 카아톤은 급송장치 기구로 부터 스트립 될때에 부분적으로 조립되도록 이탈조작 도중에 조종된다. 스트리핑 조작 직후에 카아톤은 동기적으로 진동할 수 있는 푸셔(Pusher) 수단에 의해 적하통로를 따라 이동되며, 전기의 푸셔는 조립카아톤의 단부를 개구하여 한쌍의 이동플라이트 바아 사이에서 이동하게하며, 진행방향에 있어서 플라이트 바아의 폭은 한 카아톤의 후(trailing) 패널과 다음 카아톤의 전(leading) 패널사이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여 연속해서 이동하는 카아톤 불필요한 간격이 제거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type carton with the open end is continuously fed from the hopper and controlled by an improved feeder means, where unnecessary bonding due to the glue used in the glue wrap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anel is cut off. In addition, the carton is steered during the breakaway operation to partially assemble when stripped from the feeder mechanism. Immediately after the stripping operation, the carton is moved along the loading path by a pusher means that can vibrate synchronously, and the electric pusher opens the end of the assembled carton to move between the pair of moving flight bars.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width of the flight bar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gap between the trailing panel of one carton and the leading panel of the next carton, so that unnecessary gaps of moving cartons are continuously removed.

본 발명은 이후 첨부도면과 관련지어 더 구체적으로 기술될 것이다.The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의 프레임은 F로 표시했으며, A1 및 A2로서 표시한 바와 같은 2열의 물품들은 송입 컨베이어(1)상에서 기계의 입구 단부로들어온 다음에 이동 컨베어이(2)상에 배치된다. 물품 A1의 이동 속도는 기지의 방법, 회전성형휘일(starwheel)(2)에 의해 조절되며, 한편 물품 A2의 이동은 성형휘일(3)에 의해 조절되고 개량된다. 회전요소(element)(5) 및 (6)(이중의 하나는 작동요소이고, 다른 하나는 아이들러요소임)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된 무단요소(4)에 복수개의 스페이서 웨지(spacer wedges)(7)을 설치하며, 이것은 어느 물품 A1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물품들을 일정한 간격을 갖는 그루우프로 분할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회전요소(9) 및 (10)(이중의 하나는 작동요소임)상에 지지된 무단요소(8)에 복수개의 스페이서 웨지(11)를 설치하며, 이것은 물품들 A2를 일정한 간격을 갖는 그루우프로 분할시킨다. 물픔들을 6개짜리 그루우프, 예를 들면 3개의 물품 A1 및 3개의 물품 A2로 배열한 후에, 이들을 일정한 간격을 갖는 가이드(12) 사이에서 하향식으로 통과시켜 가이드(12)의 출구단부(12A)에 배치된 조립카아톤의 한개의 개구단부를 통해 적하했다. 슬리이브 상에서 행한 적하 조작도중 및 조작전에, 그리고 단부 폐쇄조작 도중에 카아톤은 복수개의 플라이트 바아(13)의 제어하에 있으며, 전기의 바아는 기지의 방법으로 기계의 다른 요소와 동기적으로 이동한다. 플라이트바아(13)의 단부를 기지의 방법으로 스프로킷 상에 설치한 일정한 간격을 갖는 체인에 고착시킨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rame of the machine is indicated by F, and two rows of articles as indicated by A1 and A2 enter the inlet end of the machine on the feed conveyor 1 and then the moving conveyor ( 2) is placed on. The movement speed of the article A1 is controlled by the known method, starwheel 2, while the movement of the article A2 is controlled and improved by the forming wheel 3. A plurality of spacer wedges 7 on the endless element 4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rotating elements 5 and 6, one of which is an actuating element and the other of which is an idler element. ), Which moves into the space between any of the articles A1 and divides the articles into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Similarly, a plurality of spacer wedges 11 are installed on the endless element 8 supported on the rotating elements 9 and 10 (one of which is an actuating element), which allows the articles A2 to b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Divided into having groupings. After arranging the sores into six grooves, for example three articles A1 and three articles A2, they are passed downwardly between the guides 12 at regular intervals to exit 12A of the guide 12. It dripped through the one open end of the granulated carton arrange | positioned at. The carton is under the control of a plurality of flight bars 13 during and before the dripping operation on the sleeve and during the end closing operation, and the electric bar moves synchronously with the other elements of the machine in a known manner. The end of the flight bar 13 is fixed to a chain with a constant spacing which is installed on the sprocket in a known manner.

적하후에 카아톤의 단부를 폐쇄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신장된 탐침(probe)(15)과 계합하는 록을 갖는 회전요소(14)가 카아톤의 일단부에서 폐쇄패널 상에 로킹 작용을 행하게 한다.In order to close the end of the carton after dropping, a rotating element 14 having a lock engaging with the radially elongated probe 15 causes a locking action on the closing panel at one end of the carton. .

기계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며, 그의 부품들은 다음에 간략하게 기술될 것이다. 예를 들면, 물품 A3 및 A4를 송입 컨베이어(16)상의 기계의 송입단부에 오게한 다음 컨베이어(17)로 옮기며, 한편 성형휘일(18) 및 (19)은 컨베이어(17)상의 물품의 이동속도를 결정한다. 물품 A3는 무단요소(20)에 의해 그루우프로 간격을 가지며, 이 요소는 스프로킷(21) 및 (22)와 같은 회전요소 상에 지지되며, 그 뒤에 스페이서 웨지(23)가 그루우프를 짖기 위해 배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무단요소(21)는 회전요소(24) 및 (5)에 의해 가동식으로 지지되며, 전술한 바와 같은 물품 A4를 그루우핑하기 위해 일련의 스페이서 웨지(26)가 설치되었다. 가이드(27)는 개구단부를 갖는 슬리이브의 이동 통로와 나란히 인접한 이들의 배출단부(27A)로 배열되며, 전기의 슬리이브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 플라이트 바아(13)의 제어하에 있으며, 전기의 바아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물품 A3 및 A4가 개구단부를 같는 슬리이브형 카아톤의 물품 및 A1가 적하되는 단부와 서로 마주보는 단부로 적하된다. 폐쇄된 상태로 홈이 형성된 후에 물품 A2 및 A3를 적하하는 카아톤의 단부에서 폐쇄패널을 반경방향으로 배치한 록 계합탐침(29)를 갖는 회전 폐쇄요소(28)에 의해 폐쇄시킨다. 물론, 모든 부품들은 동기적으로 작동되어 카아톤이 회전요소(14) 및 (28)를 떠날 때에는 종료상태로 있게 된다.Other aspects of the machine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parts of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in the following. For example, the articles A3 and A4 are brought to the feed end of the machine on the feed conveyor 16 and then transferred to the conveyor 17, while the forming wheels 18 and 19 move the goods on the conveyor 17. Determine the speed. The article A3 is spaced into the groove by the endless element 20, which is supported on a rotating element such as the sprockets 21 and 22, after which the spacer wedges 23 bark the groove. Is placed. Similarly, the endless element 21 is movably supported by the rotating elements 24 and 5, and a series of spacer wedges 26 are provided for grouping the article A4 as described above. The guides 27 are arranged with their discharge ends 27A adjacent to the moving passages of the sleeves having the open ends, the electric sleeves being under the control of the flight bars 13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electric bars Moves from left to right to drop the article of the sleeved carton in which the articles A3 and A4 have the same open end and the end facing each other with the end where A1 is loaded. After the grooves are formed in the closed state, they are closed by a rotating closing element 28 having a lock engagement probe 29 radially disposed with the closing panel at the end of the carton loading the articles A2 and A3. Of course, all of the parts are operated synchronously so that the carton is in the finished state when it leaves the rotating elements 14 and 28.

접혀진 개구단부를 갖는 카아톤 C를 일측의 물품 A1, 및 A2의 타측의 물품 A3, A4의 이송통로 상방에 있는 호퍼(30)내에 배치시킨다. 수자(31)로 일반적으로 표시한 카아톤 급송수단은 피벗(32)에 추측으로 설치되며,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지 않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 호퍼(30)내의 최전카아톤(C)와 계합하며, 진동형식으로 작동하여 그것을 호포로부터 이탈시킨다. 접혀진 블랭크를 호퍼로 부터 이탈시키고, 급송장치 수단(31)의 하향운동에 의해 이탈조작 도중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개방시키며, 전기의 급송장치수단은 카아톤의 일부분이 고정된 캠(33)의 캠표면(33A)와 계합하도록 하여 카아톤 패널에 회전운동을 부여하게하며, 전기의 카아톤 패널을 급송장치 수단(31)에 의해 계합되는 카아톤의 벽에 접혀서 연결된다. 이탈된 카아톤을 C1로 나타냈다.The carton C having the folded opening end is placed in the hopper 30 above the conveyance passages of the articles A1 and A4 on the one side and the articles A3 on the other side. The carton feeding means, generally indicated by the number 31, is speculatively installed in the pivot 32, and the foremost carton (C) in the hopper 30 by suitable means not shown in Figs. Engage and operate in a vibrating fashion to dislodge it. The folded blank is released from the hopper and at least partly opened during the detachment operation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eeder means 31, wherein the electric feeder means has a cam surface of the cam 33 on which a portion of the carton is fixed. 33A) to impart rotational movement to the carton panel, and the electric carton panel is folded and connected to the wall of the carton to be engaged by the feeder means 31. The detached caraton is shown as C1.

기계의 양측에 배치된 1조의 무단요소(13A)상에 설치됨으로써 적하 및 폐쇄 조작 도중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1조의 일정한 간격을 갖는 플라이트바아(13)사이의 공간으로 C1으로 표시된 카아톤을 이동시키기 위해, (35)에 추측으로 설치되고 적당한 수단에 의해 피벗(35)에 대하여 왼쪽으로 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진동푸셔(34)를 카아톤 C1의 후변과 계합시킨다. 푸셔(34)의 진동운동이 오른쪽으로 계속될때에, 카아톤의 전부는 무단요소(13A)의 조작구역 또는 상부구역의 좌측단부에 배치한 플라이트바아(13)와 계합되어 이동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향하는 요소(13A)의 작동구역의 연속운동과 푸셔 요소(34)의 피벗(35)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의 연속된 증분 이동은 카아톤 C1가 제2도의 C2로 나타낸 2개의 플라이트바아(13)사이의 위치를 갖게 한다. 이러한 형상의 포장 조작중, 카아톤의 폐쇄단부플랩은 고정된 가이드(36) 및 (37)에 의해 상향으로 홈을 형성하며,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탐침(40) 및 (41)을 갖는 1조의 회전식 프리브레이크(prebrake) 요소(38) 및 (39)는 상부 단부폐쇄패널 중에 형성된 로킹탭(Loclking tab)이 이들의 결합된 패널의 평면으로부터 회전운동을 개시하게 하며, 협동폐쇄패널 중의 적당한 구형으로 다음에 삽입시키기 위해, 탭을 조절한다.By installing on a set of endless elements 13A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chine, the cartons marked C1 are mov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et of flight bars 13 with a set of regular intervals that are moved from left to right during the dripping and closing operation. For this purpose, the vibration pusher 34, which is installed speculatively at 35 and moves from left to right with respect to the pivot 35 by appropriate means, is engaged with the rear side of the carton C1. When the vibratory movement of the pusher 34 continues to the right, all of the cartons are engaged with the flight bar 13 disposed at the left end of the operation zone or the upper zone of the endless element 13A.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operating zone of the element 13A to the right and the continuous incremental movement clockwise around the pivot 35 of the pusher element 34 result in a carton C1. It has a position between two flight bars 13 indicated by C2 in FIG. During the packaging operation of this shape, the closed end flap of the carton is grooved upward by the fixed guides 36 and 37, and has a set of radially arranged probes 40 and 41. Rotating prebrake elements 38 and 39 allow the locking tabs formed in the upper end closure panel to initiate rotational movement from the plane of their joined panel and into a suitable spherical shape in the cooperative closure panel. Adjust the tab for the next insertion.

제조업자의 아교접합부를 포함하며, 단부 폐쇄패널과 그들의 결합된 로킹수단을 구비하는 개구단부를 가진 슬리이브형 카아톤을 제3도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기계와 방법은 제3도의 카아톤을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 카아톤은 벽패널(47)에 접힘선(46)을 따라 접혀서 접합되고 백패널(49)에 접힘선(48)을 따라 접혀서 접합되는 벽패널(45)을 갖는다. 벽패널(49)은 벽(49)의 중간부에서 아교접합부를 형성하는 중첩패널을 가지며, 전기의 아교 접합부는(49A)로 표시했다. 벽패널(50)은 접힘선(51)을 따라 벽패널(56)을 따라 패널(50) 및 (45)중의 일단부변에 접혀서 연결된다. 로킹탭(57)은 패널(53)에 접혀서 연결되어 패널(54)중에 형성된 로킹구멍(58)과 협동한다. 플랩(59) 및 (60)은 벽(47) 및 (49)의 상응하는 단부에 접혀서 연결된다. 아교접합부(60A)는 단순히 (49A)로 표시한 접합부의 연속이며, 플랩(60)의 상부 및 하부의 중첩하는 변부로 구성된다.Figure 3 shows a sleeve-type carton with an open end comprising a manufacturer's glue joint and having an end closure panel and their associated locking means. The machine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using the carton of FIG. The carton has a wall panel 45 which is folded and joined to the wall panel 47 along the fold line 46 and is folded and joined to the back panel 49 along the fold line 48. The wall panel 49 has an overlapping panel which forms a glue joint at the middle of the wall 49, and the electric glue joint is indicated by 49A. The wall panel 50 is fold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nel 50 and 45 along the wall panel 56 along the fold line 51. The locking tab 57 is folded into the panel 53 and cooperates with the locking hole 58 formed in the panel 54. Flaps 59 and 60 are folded and connected to corresponding ends of walls 47 and 49. The glue joint 60A is simply a continuation of the joint shown by 49A, and consists of overlapping edge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ap 60.

카아톤의 타단에, 폐쇄패널(61)을 접힘선(62)을 따라 벽(50)에 접어서 연결시키고, 한편 폐쇄패널(63)은 제3도에 나타내지 않은 접힘선을 따라 벽(45)에 접어서 연결한다. 로킹탭(64)은 폐쇄패널(61)에 접어서 연결하고 (58)과 같은 로킹구멍을 폐쇄패널(63)중에 형성하지만 이것은 제3도에 나타내지 않았다. 플랩(65)은 벽(47)의 단부에 접어서 연결하고, 이와 유사하게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플랩을 패널(49)의 상응하는 단부에 접어서 연결한다. 한쌍의 파지구멍(66) 및 (67)을 패널(49)중에 형성하고 그 사이의 물질의 스트립은 벽(49)의 일부를 형성하는 아교랩(49B) 때문에 2중 두께가 된다. 카아톤(47) 및 그 폐쇄수단의 설명을 보다 완전히 하기 위해 1975년 3월 21일 출원한 미국특별출원 제560,956호를 참조할 수 있다.At the other end of the carton, the closing panel 61 is folded and connected to the wall 50 along the fold line 62, while the closing panel 63 is connected to the wall 45 along the fold line not shown in FIG. 3. Fold and connect The locking tab 64 is folded and connected to the closing panel 61 and a locking hole such as 58 is formed in the closing panel 63, but this is not shown in FIG. The flap 65 folds and connects to the end of the wall 47 and similarly folds and connects the flap not shown in the figure to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panel 49. A pair of gripping holes 66 and 67 are formed in panel 49 and the strip of material therebetween is doubled because of the glue wrap 49B forming part of the wall 49. For a more complete description of the carton 47 and its closure means, see U. S. Application No. 560,956, filed Mar. 21, 1975.

호퍼(30)내의 접혀진 카아톤(C)은 패널(45) 및 (49)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여 적치된 카아톤의 저부패널을 구성한다. 달리말해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접힘선(46) 및 (48)주위에서 시계바늘과 같은 방향으로 패널(47) 및 (49)을 접어 서카아톤을 호퍼(30)내에 삽입하기 위한 적당한 위치로 배치된다. 이와같이 삽입할때, 에접힘선(46)은 호퍼(30)의 뒷벽(30A)와 계합하며, 접힘선(52)은 호퍼(30)의 앞쪽벽(30B)와 인접하게 된다.The folded carton C in the hopper 30 arranges the panel 45 and 49 on the same plane to form the bottom panel of the loaded carton. In other words, a suitable position for folding the panels 47 and 49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lock hands around the fold lines 46 and 48 to insert the circatone into the hopper 30 as shown in FIG. Is placed. When inserted in this way, the fold line 46 engages the back wall 30A of the hopper 30 and the fold line 52 is adjacent to the front wall 30B of the hopper 30.

접힘선(46) 및 (48) 사이의 패널(45)의 치수는 접힘선(48) 및 (52)사이의 패널(49)의 치수와 대체로 같다. 그리하여, 카아톤이 호퍼(30)중에 적치될때에, 카아톤이 특히 하향으로 굽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패널(45) 및(49)이 접힘선(48)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아교랩(49A)으로 부터의 아교는 종종 카아톤이 접혀져 서로 패널(50) 및 (50)과 고착할때에 패널(50)의 내면과 접촉하는 표면에 접착하게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2도에서 C2로 표시한 것과 같은 적당히 조립된 상태로 카아톤을 접는 것이 어렵게 된다.The dimensions of panel 45 between fold lines 46 and 48 are generally the same as the dimensions of panel 49 between fold lines 48 and 52. Thus, when the cartons are deposited in the hopper 30, the cartons tend to bend particularly downward because the panels 45 and 49 are connected by the fold line 48. In addition, the glue from the glue wrap 49A often adheres to a surface that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50 when the carton is folded and secured to the panels 50 and 50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fold the carton in a properly assembled state such as indicated by C2 in FIG.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리이브형 카아톤의 상기의 특에 의거, 본 발명에 의해 특이한 급송장치수단을 설치했다. 제4~8도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주급송 장치 아암(70)은 고정된 피벗(32)주위에 회전되게 설치하고, 그의 우단부에 복수개의 흡입컵(72)를 설치하고 여기에 기지의 방법으로 진공을 사용하며, 주급송 장치 아암(7))이 고정된 피벗(32)주위에서 시계 바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패널(45)과 계합되어 회전하게 한다. 주급송 장치 아암(70)이 아암(70)과 일체로 된 아암(73)에 의해 작동운동을 부여하며, 여기에서 작동링크(740는 (75)에서 피벗된다. 이 링크는 고정축(74)주위에 배치되었고 어떤 적당한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작동 요소(77)에서 피벗된다. 이 링크는 고정축(74)주위에 배치되었고 어떤 적당한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작동 요소(77)에 의해 왼쪽으로 왕복 운동을 한다. 작동링크(76)는 (74)에서 작동요소(78)에 피벗으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작동요소(76)의 회전은 주급송 장치 아암(76)의 진동(32) 중심 주위에서 진동 회전운동을 주어 흡입컵(72)이 호퍼(30)중의 최전카아톤(C)의 패널(45)가 계합되도록 이동되게 한다. 흡입컵(72)의 하향운동은 호퍼로부터 최저 카아톤을 이탈시켜, 이것이 흡입컵(72)의 일반적으로 하향이동에 일정한 각도로 배치된 캠표면(33A)을 갖는 한쌍의 고정캠(33)의 형으로 카아톤 개구수단과 협동 계합으로 회전되게 한다. 흡입컵(72)은 패널(45)과 계합하므로, 급송장치 아암(73)의 하향운동은 카아톤의 변(52)이 캠표면(33A)에 걸치게 하여 접힘선(48)주위에서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패널(49)에 회전운동을 전달하고 이와 동시에 접힘선(46) 주위에서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패널(47)을 회전하게 하여 카아톤 C가 제5도에 일반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급송장치아암(70)과 캠표면(33A)의 협동작용에 기인하여 부분적으로 조립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 of the sleeve-type carton as shown in FIG. 3, a feeding device means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best shown in FIGS. 4-8, the main feeder arm 70 is installed to rotate around a fixed pivot 32, and a plurality of suction cups 72 are installed at the right end thereof, A vacuum is used in the manner of, and the main feeder arm 7 is engaged with the panel 45 when it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fixed pivot 32. Main feeder arm 70 imparts actuation motion by arm 73 integral with arm 70, where actuating link 740 is pivoted at 75. This link is fixed shaft 74. It is pivoted on a rotary actuating element 77 disposed around and rotated by any suitable means, and this link is positioned around the fixed shaft 74 and left by a rotary actuating element 77 which is rotated by any suitable means. The actuating link 76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actuating element 78 at 74. The rotation of the actuating element 76 is thus about the center of the oscillation 32 of the main feeder arm 76. Vibration rotational motion is provided to cause the suction cup 72 to move to engage the panel 45 of the foremost carton C in the hopper 30.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uction cup 72 deviates the lowest carton from the hopper. This causes the cam surface 33A to be disposed at an angle to the generally downward movement of the suction cup 72. Is rotated in cooperative engagement with the carton opening means in the form of a pair of stationary cams 33. Since the suction cup 72 engages with the panel 45,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eeder arm 73 causes The sides 52 extend across the cam surface 33A to transmit rotational movement to the panel 49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fold line 48 and at the same time counterclockwise around the fold line 46. The panel 47 is rotated so that the carton C is partially assembled due to the cooperative action of the main feeder arm 70 and the cam surface 33A as generally shown in FIG.

지부패널(45) 및 (49)는 하향으로 구부러지는 경향이 있고, 아교는 패널(49)와 그의 면접촉 패널(50)사이에 불필요한 접착을 일으켜 차례로 상부패널(47) 및 (50)이 하향으로 구부러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카아론 급송조작의 초기단계중 패널(47) 및 (50)의 하향굽힘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또한 패널(49)중의 아교접합 점과 패널(50)의 내면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어떤 아교접착을 단절시킬 필요가 있다.The branch panels 45 and 49 tend to bend downward, and the glue causes unnecessary adhesion between the panel 49 and the surface contact panel 50 thereof, so that the upper panels 47 and 50 are in turn lowered. It is necessary to prevent downward bending of the panels 47 and 50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Karon feeding operation, and also to prevent the bending between the glued points in the panel 49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50. It is necessary to break any glue that may form on the body.

패널(45)가 아랫쪽으로 끌려질때에 패널(47) 및 (50)상에 상향력을 주기 위해, 보충급송 장치아암(81)을 피벗(82)에서 피벗지지되게 주급송 장치아암(70)에 설치한다. 이 아암은 파지구멍(67)에 들어가서 패널(50)의 저면과 계합하도록 배치된 상향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핑거(finger)(83)을 가지고 있다. 보충급송장치 아암(81)을 주급송 장치아암(70)의 시계바늘과 같은 방향의 회전운동이 시작할 때에 패널(50)과 확실하게 접촉한 그의 돌출핑거(83)와 배열하여, 패널(45) 및 (49)를 약간 하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한편 패널(50)을 호퍼(30)내에서 그의 정상위치에서 유지시켜서 카아톤의 초기의 조립을 행한다.In order to give upward force on the panels 47 and 50 when the panel 45 is pulled downward, the refill feeding device arm 81 is pivoted on the main feeding device arm 70 so as to be pivoted at the pivot 82. Install. This arm has a pair of upwardly projecting fingers 83 arranged to enter the gripping holes 67 and engag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anel 50. The supplementary feeder arm 81 is arranged with its protruding finger 83 which is in tangible contact with the panel 50 whe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ain feeder arm 70 starts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lockwise direction of the main feeder arm 70. And 49 are rotated slightly downward while the panel 50 is held in its normal position in the hopper 30 to perform initial assembly of the carton.

보충 급송장치 아암(81)을 패널(50)에 상향력을 유지시켜 목적하는 작용을 일으키게 하기 위하여 이 아암을 작동링크(84)에 의해 연결시키고 그의 우측단부를 (85)에서 피벗지지되게 보충동작아암(81)에 연결하고, 편심으로 압축되는 스프링(86)을 작동링크(84)주위에 배치시키고, 그의 좌측단부에서 작동링크(84)상에 일체로 형성된 쇼울더(87)과 계합시키고, 우측단부에서 펄스급송 장치아암(70)에 부착된 브래킷(88)과 계합시키고, 이것을 통해 조작링크(84)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브래킷(88)중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미끄러진다. 작동링크(84)의 좌측단부는 (89)에서 회전링크(90)에 피벗되며, 이것은 차례로 피벗(32)주위를 진동하며, 이것은 또한 주작동급송 장치아암(70)용 피벗이다. 회전링크(90)의 상부단부의 좌측면은 고정스톱(91)과 계합한다.In order to keep the supplementary feeder arm 81 upward on the panel 50 to produce the desired action, the arm is connected by an actuating link 84 and its right end pivoted at 85. A spring 86, which is connected to the arm 81 and is eccentrically compressed, is disposed around the actuating link 84, and at its left end is engaged with the shoulder 87 integrally formed on the actuating link 84, and the right side. At the end is engaged with the bracket 88 attached to the pulse feeding device arm 70, through which the operation link 84 slides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bracket 88, not shown. The left end of the actuating link 84 is pivoted on the rotary link 90 at 89, which in turn vibrates around the pivot 32, which is also the pivot for the main feed arm 70. The left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otary link 90 engages with the fixed stop 91.

주급급송장치아암(70) 및 보충급송장치아암(71)과 결합된 장치의 상기의 서술로부터, 제4도에 나타낸 위치에 있는 부분들은 주급송장치 아암(70)의 피벗(32)주위에서 시계바늘과 같은 방향의 회전운동은 동작링크(84)의 쇼울더(87)에 대해서 작동하는 압축스프링(86)의 편심에 기인하여 주급송장치아암(70)을 갖는 피벗연결점(82) 주위에서 보충급송 장치아암(81)의 시계바늘 반대방향의 회전을 수반한다. 그리하여, 주급송장치아암(70)이 그의 피벗(32)신위에서 시계바늘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때에, 보충급송장치아암(81)은 그의 피벗(82)주위에서 시계바능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최저 카아톤(45)의 패널(45)이 하향으로 끌려질때에, 패널(50)이 파지구멍(67)을 통해 패널(50)의 내면과 접촉하는 신장된 핑거(83)에 의해 부여되는 힘에 기인하여 호퍼중의 정상위치로 유지된다. 그리하여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급송 장치아암(70)과 보충급송 장치아암(81)의 협동작용은 카아톤을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퍼(30)중의 접혀진 상태로 부터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로 적당히 이탈시키게 한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device associated with the main feeder arm 70 and the supplementary feeder arm 71, the parts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4 are clocked around the pivot 32 of the main feeder arm 70. Rotational movem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needle is supplementary feed around the pivot connection point 82 with the main feeder arm 70 due to the eccentricity of the compression spring 86 acting on the shoulder 87 of the motion link 84. This involves the rotation of the device arm 81 counterclockwise. Thus, when the main feeder arm 70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lock hands around its pivot 32, the supplemental feeder arm 81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its pivot 82, When the panel 45 of the lowest carton 45 is pulled downward, the force exerted by the elongated fingers 83 that the panel 50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50 through the gripping holes 67 Due to this, it is maintained in the normal position in the hopper. Thus, as shown in FIG. 5, the coordination of the main feeder arm 70 and the supplemental feeder arm 81 partially assembles the carton from the folded state in the hopper 30 as shown in FIG. Make sure you leave it in place.

일단 카아톤을 급송장치 아암의 작용 및 캠표면(33A)의 작용에 기인하여 호퍼로부터 이탈시켜 부분적으로 조립한 다음에, 카아톤은 제6도에 나타낸 최저위치로 이동되며, 여기에서이것은 숫자(92)로 나타낸 고정 카아튼 스트리퍼의 정부에 배치되어 Cl에서 나타낸 위치를 점유한다. 제8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카아톤 스트리퍼(92)는 일반적으로 그의 중간에 배치되는 구멍을 가진 U자형이고, 공간(93)을 가지며 여기를 통하여 작동 아암(70) 및 이와 결합된 작동링크(84)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트리퍼(92) 밑에 위치를 갖도록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이 작용은 C1과 같은 카아톤이 흡입컵(72)으로 부터 분리되게 하며, 카아톤이 진동식 푸셔바아(4)와 즉각적으로 동기 계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바아는 진동이 증가하므로서 그의 피벗(35) 주위에서 시계바늘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며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어떤 기지의 적당한 작동 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푸셔바아(34)의 작동은 C1로서 나타낸 카아톤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플라이트바아(13)가 후면과 계합하도록 이동하게하고, 카아톤이 C2로서 표시한 위치로 이동할때에 다음의 플라이트바아(13)가 후면과 계합하도록 이동하게하고, 카아톤이 C2로서 표시한 위치로 이동할때에 다음의 플라이트바아(13)가 카아톤의 후면 패널뒷쪽으로 이동될 때가지 그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배치했을때에, 카아톤 C2는 실제로 한쌍의 일정한 간격을 갖는플라이트 바아(13)사이의 위칭고정되므로 그로부터 이탈할 수 없게하여 그의 위치를 완전히 그리고 절대적으로 조절한다. 이러한 형태의 조작중, 단부 폐쇄패널(53) 및 (61)은 가이드바아(36) 및 (37)정부에 걸치어 각각 프리브레이크회전 요소(38) 및(39)밑을 통과하여, 전기의 요소는 패널(53)의 평면으로부터 로킹탭(57)을 회전하게 하며, 이들 탭은 다음에 구멍(58)에 삽입되기 위한 상태에 있으며, 또한 패널(61)의 평면으로부터 로킹(64)을 회전하며 이 로킹탭은 패널(63)중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삽입시키기 위한 상태에있게한다. 이 프리브레이킹작용은 반경방향으로 신장된 탐침(40) 및 (41)에 의해 촉진된다. 폐쇄패널(53) 및 (61)은 폐쇄 및 로킹 조작전에 고정된 가이드(71) 및 (71A)에 의해 프리브레이킹 작용후에 상부위치가 유지된다.Once the carton is partially assembled by disengaging from the hopper due to the action of the feeder arm and the action of the cam surface 33A, the carton is moved to the lowest position shown in Figure 6, where Placed in the government of the fixed carton stripper indicated at 92) and occupying the position indicated at Cl. As evident in FIG. 8, the carton stripper 92 is generally U-shaped with a hole disposed in the middle thereof and has a space 93 through which the actuating arm 70 and the actuating link 84 are coupled. May move to have a position under the stripper 92 as shown in FIG. This action, of course, allows a carton, such as C1, to be separated from the suction cup 72, allowing the carton to be immediately synchronized with the vibrating pusher bar 4. This bar is rotated in the same clockwise direction around its pivot 35 as the vibration increases and is operated by any known suitable means of operation not shown for simplicity. The operation of the pusher bar 34 causes the carton represented by C1 to move so that the transversely arranged flight bar 13 engages with the rear face, and when the carton moves to the position indicated by C2, the next flight bar ( 13) move to engage the rear, and hold in place until the next flight bar 13 is moved behind the rear panel of the carton when the carton moves to the position marked C2. When arranged in this way, the carton C2 is actually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flight bars 13 having a fixed interval so that they cannot escape therefrom and fully and absolutely adjust their position. During this type of operation, the end closure panels 53 and 61 pass under the pre-brake rotating elements 38 and 39, respectively, over the guide bars 36 and 37, so as to provide electrical components. Causes the locking tabs 57 to rotate from the plane of the panel 53, which tabs are then in a state for insertion into the holes 58 and also rotates the locking 64 from the plane of the panel 61. This locking tab is in a state for insertion into a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panel 63. This prebreaking action is facilitated by the radially elongated probes 40 and 41. The closing panels 53 and 61 are held in the upper position after the prebreaking action by the guides 71 and 71A fixed before the closing and locking operation.

물론, C2와 같은 카아톤의 측면운동은 폐쇄패널과 프리브레이크 회전요소(38) 및 (39)와 협동하는 플라우(Plows)(36) 및 (37)을 갖는 결합된 단부구조물과의 계합에 의하여 방지된다.Of course, the lateral movement of the carton, such as C2, is in engagement with the closed panel and the combined end structure with the plows 36 and 37 cooperating with the prebrake rotating elements 38 and 39. Is prevented.

제7도의 C2위치에 배치된 카아톤을 그의 전 및 후 플라이트바아(13)사이에 삽입시키고, (53), (54)와 같은 단부 폐쇄 패널을 폐쇄된 위치로 조정하는 제2도에서 (94)로 표시된 적당한 플라우 및 마찬가지 형식으로 패널(61) 및 (63)을 폐쇄된 위치로 조정하는 플라우(95)와 협동 계합하며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플랩(59), (60) 및 (5)와플랩(65)와 반대쪽에 있고 벽(49)에 인접한 플랩을 종래의 구조와 작동으로 조작하는 적당한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폐쇄패널(53), (54), (61) 및 (63)의 폐쇄직전에 폐쇄시킨다. 일단 단부 폐쇄패널이 폐쇄된 위치로 접혀진 후에, 이들을 로킹핑거(15) 및 (29)를 갖는 회전로킹 수단(14)및 (28)으로 잠그며, 여기서 핑거는 (57) 및 (64)와 같은 록와 계합하고 이들 록을 구멍(58)과 패널(63)내의 이와 유사한 구멍속으로 넣게하여 1975년 3월 21일 출원한 미국특허출원 제560,95호에 구체적으로 기술한 바와 같은 패킹조작을 완료한다.In FIG. 2, a carton disposed at the C2 position of FIG. 7 is inserted between its front and rear flight bars 13, and the end closure panels such as (53) and (54) are adjusted to the closed position (94 And move to the right in co-engagement with a suitable plow, denoted by < RTI ID = 0.0 > and < / RTI > Closing panels 53 by appropriate means (not shown) for operating the flaps 59, 60 and 5 and flaps 65 and adjacent flaps 65 in a conven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 (54), (61) and (63) immediately before closing. Once the end closure panel has been folded into the closed position, they are locked with rotary locking means 14 and 28 with locking fingers 15 and 29, where the fingers are like (57) and (64). Engage with the locks and place them into similar holes in the holes 58 and panel 63 to complete the packing operation as specifically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 560,95, filed March 21, 1975. do.

상기의 기재내용으로 부터,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갖는 특이한 주급송장치아암과 보충급송장치아암에의해서, 개구단부를 갖고, 아교접합을 한 슬리이브형카아톤이 호퍼내에서 하향으로 구부러지려는 경향과 아마도 아교랩에 기인한 패널의 불필요한 접착을 갖는 것을 보충급송장치아암(81)와 여기에 결합된 부분들에 의해 카아톤에 압력을 가함으로서 해결됨이 명백한다. 또한, 블랭크의 완전한 제어가 급송수단, 푸셔 및 플라이트바아의 독특한 협력에 의해 유지되고, 스트리퍼에 의해 카아톤의 스트리핑 직전에 급송장치아암 및 고정된 캠구조에 의해 개시되는 개구조작의 효과적인 연속 이 기계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또는 역으로 부품들이 마모하는 비율을 감소하도록 부품들의 정확히 조절된 협동에 부분적으로 기인하여 회대속도로 최소의 장해하에 적하조작을 보장하게 해줌이 명백하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unique main feeder arm and supplementary feeder arm hav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end to bend the slide type carton with the open end and bend downward in the hopper. It is apparent that having the unnecessary adhesion of the panel due to the glue wrap is solv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carton by the supplementary feeder arm 81 and the parts joined thereto. In addition, the complete control of the blank is maintained by the unique cooperation of the feeding means, the pushers and the flight bar, and the effective continuation of the opening structure is initiated by the feeder arm and the fixed cam structure immediately before stripping of the carton by the stripper. It is evident that this ensures the loading operation under minimal disturbance at the rotational speed, in part due to the precisely coordinated coordination of the part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parts, or vice versa, to reduce the rate of wear of the parts.

Claims (1)

호퍼(30)로부터 접혀진 슬리이브형 카아톤(C)을 조작하여 근접되게 이간된 순서로 그 개구단부를 통해 적하하기 위해 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조립하기 위한 기계에 있어서, 호퍼(30)로부터 접혀진 카아톤(C)을 순차적으로 계합하며, 이탈시키기 위한 진동 급송 수단(31)과, 카아톤의 임의의 부분에 계합하여 그의 벽중 임의의 부분에 회전운동을 줌으로써 접혀진 카아톤(C)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단부를 갖는 상태로 조립되게 하며 불필요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호퍼(30)로부터의 카아톤(C)의 이동 통로 중에 배치된 캠수단(33)으로 구성된 기계.A machine for assembling with an open end in order to operate a sleeve-type carton (C) folded from the hopper 30 in order to drop through its open end in a closely spaced order. The carton C, which is folded by engaging the carton C sequentially and engaging it with the vibration feeding means 31 for disengaging, and engaging any part of the carton and giving a rotational movement to any part of the wall thereof, at least partially And a cam means (33) arranged in the moving passage of the carton (C) from the hopper (30) to be assembled in a state having an open end and to prevent unnecessary bending.
KR7600901A 1976-04-14 1976-04-14 Packing machine KR8100009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901A KR810000950B1 (en) 1976-04-14 1976-04-14 Pack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901A KR810000950B1 (en) 1976-04-14 1976-04-14 Pack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950B1 true KR810000950B1 (en) 1981-08-24

Family

ID=1920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901A KR810000950B1 (en) 1976-04-14 1976-04-14 Pack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950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1660A (en) Carton expander
US4982551A (en) Universal packer
US3990210A (en) Packaging and blank handling systems
EP0440627B1 (en) Vertical cartoning assembly and method
US20080058189A1 (en) Carton feeding and forming machine with selectively actuated lugs and related methods
GB1452951A (en) Cartoning machine for cartons having liners
US6038831A (en) Apparatus for packaging products in open or closed boxes, starting from a flat paperboard material
EP2935012B1 (en) Packing machine and packing method for producing an inner container of a slide-open package of tobacco articles and with a hinged lid
EP2935015A1 (en) Packing machine and packing method for producing an inner container of a slide-open package of tobacco articles
ITBO960401A1 (en) GLUING DEVICE - FOLDER TO FOLD THE AND TO APPLY ADHESIVE ON THE CLOSING SHEETS OF THE CUTTERS IN THE CASE PACKERS
KR810000950B1 (en) Packing machine
JP2716175B2 (en) Mechanism to fold carton flaps
CA1180992A (en) High speed wrapping machine
US4132156A (en) Rotary tray former
JPH0784202B2 (en) Device to fold the dust flaps of a sleeve type carrier
JP3787006B2 (en) Method for continuous wrapping of articles
US4526564A (en) Flap separator for a cartoning machine
US65573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ly wrapping products
GB2233954A (en) Machines for packing sets of articles
US4161907A (en) Carton forming machine
JPH0723130B2 (en) Wrapping machine
AU715917B2 (en) Carton flap folding assembly and method
US3382777A (en) Cartoning machine
US1196094A (en) Carton-wrapping machine
EP0200494B1 (en) Machine for setting up basket style article carri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