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753Y1 - 건물벽에 부착하기 위한 틀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물벽에 부착하기 위한 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753Y1
KR810000753Y1 KR7702311U KR770002311U KR810000753Y1 KR 810000753 Y1 KR810000753 Y1 KR 810000753Y1 KR 7702311 U KR7702311 U KR 7702311U KR 770002311 U KR770002311 U KR 770002311U KR 810000753 Y1 KR810000753 Y1 KR 810000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late
frame
horizontal frame
attachmen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오 이케무라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to KR7702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7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58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filling up the joints, e.g. by cem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물벽에 부착하기 위한 틀 조립체
그림 1은 본 고안의 아랫 수평틀 및 브래켓트 조립체로 된 방풍우 샛시 박스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그림 2는 그림 1의 선 II-II를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이다.
그림 3은 아랫수평틀 및 브래켓트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부분 사시도이며, 부품이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다.
본 고안은 틀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건물벽의 외부에 설치되는 방풍우 샛시 박스나 창문장치의 아랫수평틀 조립체로서 사용하기 위한 틀 및 브래켓트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방풍우 샛시 박스나 외부 창문장치는 건물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나와 있다. 이들의 중량은 주로 외팔보형태의 아랫 수평틀에 가해지기 때문에, 아랫 수평틀에 대한 지지구조를 형성해 왔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방풍우 샛시 박스에 필요하며, 그 이유는 샛시가 비사용중에는 저장 박스속에 들어있게 되어 그 중량이 훨씬 더 무거워지기 때문이다.
내구성 구조를 위한 종래의 한가지 방법은 브래켓트를 설치하여 추가적인 지지를 이루는 것이다. 브래켓트에는 부착레그가 아래로 연장되어 있어서 건물벽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브래켓트는 부착레그가 시야에 노출되고 또한 부착레그가 설치될 벽의 장식판을 절취해야 하기 때문에 결함이 있는 것이다. 판을 절취한다는 것은 성가시고 시간낭비적이다. 더우기 빗물이 절취부를 통하여 판 아래로 새어 들어오는 경향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브래켓트가 있는 아랫 수평틀을 제공함에 있어서, 브래켓트를 제자리에 아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브래켓트를 설치하면 시야에서 감추어지고 또한 빗물이 새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건물벽에 부착하기 위한 본 고안의 틀 조립체는 기다란 틀과 이 틀의 아랫쪽에 고정되는 브래켓트로 구성된다. 상기 틀은 수평 저판과 이 저판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제1설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설치부에는 건물벽에 설치되는 장치가 있다. 상기 브래켓트는 베이스 및 부착 레그를 포함한다. 이들 베이스 및 부착 레그의 표면은 각각 상기 저판 및 제1설치부와 보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서로 접합한다. 상기 부착 레그는 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건물벽에 접촉되는 장치가 있다.
건물벽에 설치하기 위한 본 고안의 틀 구조물은 또한 한쌍의 윗 및 아랫 수평틀과 한쌍의 옆 수직틀과 그리고 상기 아랫 수평틀의 아랫쪽에 고정된 적어도 한 개의 브래켓트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틀들은 상기 수직틀들과 끝과 끝에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아랫 수평틀에는 저판과 이 저판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제1설치부와 이 제1설치부로부터 아랫쪽으로 간격을 이루는 제2설치부등이 포함된다. 상기 제1설치부에는 수직판이 있어서 건물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2설치부에도 수직판이 있어서 건물벽에 고정된다. 상기 브래켓트에는 베이스 및 부착레그가 포함되고, 이들 베이스 및 부착레그의 표면은 상기 저판 및 상기 제1설치부와 보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서로 접합한다. 상기 부착레그는 위로 연장되고 또한 건물벽에 접촉하는 장치가 있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1 및 2에는 방풍우 샛시(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저장 박스(10)이 표시되어 있다. 방풍우 샛시는 창문틀(13)의 문지방(12)와 일체로 형성된 통로(1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활동한다. 문지방(12)에는 한쌍의 레일(14),(14)가 있어서 그 위로 한쌍의 통상적인 샛시(도시되지 않음)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방풍우 샛시는 기다란 구멍(15)를 통하여 박스(10)에 들어갔다 나갔다 한다.
박스(10)은 건물벽(16)에 설치되며, 한쌍의 위 및 아랫 수평틀(17),(18)과 한쌍의 옆 수직틀(19),(20)등으로 구성된다. 수평틀(17),(18)과 수평틀(19),(20)은 끝에서 서로 연결된다. 옆 수직틀(19),(20)에는 각각 설치판(21),(22)가 있어서, 이들을 따라 일련의 나사(25),(26)을 박음으로써, 건물벽(16)에 있는 한쌍의 기둥(23),(24)에 각각 고정된다. 윗 수평틀(17)에는 위 및 아랫 설치판 또는 플레인지(27),(28)이 있어서, 이들을 따라 일련의 나사(29)를 박음으로써, 건물벽(16) 및 기둥(23),(24)에 고정된다. 윗 수평틀(17)의 위에는 판재(30)이 달려 있어서 수평틀(17)을 보호 및 보강하며, 판재(30)에는 부착 플레인지(31)에 있어서, 이를 윗 설칟판(27)에 맞대고 일련의 나사(32)를 박음으로써, 건물벽(16) 및 기둥(23),(24)에 고정된다. 윗 수평틀(17)에는 그 연부를 따라 아래로 향한 플레인지(33)이 있으며, 그 용도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그림 2 및 3에 표시된 바와같이, 아랫 수평틀(18)은 저판(33)과 이 저판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제1설치부(34)와 그리고 이 제1설치부의 아래로 간격을 이루는 제2설치부(35)등으로 구성된다. 제1설치부(34)에는 그 자유연부에 제1수직판(36)이 있고, 반대쪽 연부에 제2수직판(37)이 있다. 제1수직판(36)은 제판(33)과 직각을 이루며 위로 연장된다. 제1수직판(36)은 이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련의 나사(38)을 박음으로써 건물벽(16) 및 기둥(23),(24)에 부착된다. 제1설치부(34)에는 또한 중간수직판(39)가 저판(33)과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중간수직판(39)는 저판(33)과 제1수직판(36)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중간 수직판(39)는 건물벽(16)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부착 웨이브로서 작용하여 벽(16) 및 기둥(23),(24)에 부착된다.
제1설치부(34)에는 2개의 경사판(40),(41)이 있으며, 경사판(40)은 제1 및 중간 수직판(36),(39)사이에 있고, 경사판(41)은 중간 및 제2수직판(39),(37)사이에 있다. 이상과 같이, 제1설치부(34)는 그림 3에 표시된 바와같은 2중 계단식으로 되어 있다.
제2설치부(35)는 통로식으로 되어 있으며, 수평판(42)와 그 양쪽 연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한쌍의 수직 플레인지(43),(44)로 구성된다. 수직 플레인지(43)은 부착판으로 작용하여, 이를 따라 나사(45)를 일정간격으로 박음으로써, 건물벽(16) 및 기둥(23),(24)에 고정된다. 수평판(42)는 저판(33)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놓인다. 저판(33)과 제2설치부(35)는 수평 웨브(46)으로 서로 연결되며, 수평 웨브(46)은 저판(33) 및 수평판(42)와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상에 놓인다.
아랫 수평틀(18)에는 또한 그 연부를 따라 한쌍의 윗방향 및 아랫방향 플레인지(47),(48)이 연장되어 있다. 아랫방향 플레인지(48)에는 그 연부에 지지 플레인지(49)가 있어서 제2설치부(35)를 향하고 있다.
윗 수평틀(17)의 아랫방향 플레인지(33)과 아랫 수평틀(18)의 윗방향 플레인지(47)은 서로를 향하고 있으며, 함께 지지체로서 작용하여 저장된 샛시가 저장박스(10)으로부터 떨어져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저판(33)의 꼭대기에는 안내구(50),(51)이 각각 양쪽 끝에 설치된다(그림 1). 윗 수평틀(17)에도 유사한 안내구가 안내구(50),(51)에 대응하는 위치에 달려 있다. 이들 안내구는 서로 협동하여 샛시들이 박스(10)안에서 순서있게 배치되도록 한다.
아랫 수평틀(18)에 걸리는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랫 수평틀(18)의 아랫쪽에 브래켓트 또는 지지블록(53)을 고정시킨다. 브래켓트(53)은 단면이 대체로 ㄴ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베이스(54)와 부착레그(55)로 형성된다. 이들 베이스(54) 및 부착레그(55)의 표면은 저판(33) 및 제1설치부(34)와 보합형태를 하고 있어서 서로 맞닿게 된다. 부착레그(55)에는 발(56)이 있어서 베이스(54)와 수직으로 연장된다. 발(56)에는 한쌍의 뒤꿈치(57),(57)이 베이스(54)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기둥(24)에 맞닿게 된다. 부착레그(55)에는 또한 아랫부분에 요입부(58)이 있으며, 브래켓트(53) 및 아랫 수평틀(18)이 함치될 때 요입부(58)은 통로(35)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아랫 수평틀(18)은 알루미늄 압출법으로 만든다. 수평 웨브(46)의 적어도 한쪽 끝에는 절취부(59)가 있어서, 그 속에 브래켓트(53)의 목(60)을 수용한다. 목(60)은 베이스(54)와 부착레그(55) 사이를 연결한다. 브래켓트(53)도 알루미늄 압출법으로 만든다. 베이스(54)에는 한쌍의 나선구멍(61),(61)이 형성되어 있고, 발(56)에도 뒤꿈치(57),(57)사이에 관통구멍(62)가 형성되어 있다.
박스(10)을 조립하려면, 먼저 브래켓트(53)을 아랫 수평틀(18)에 설치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브래켓트(53)을 아랫 수평틀(18)의 한쪽 끝에 결합시키는데, 이때 목(60)은 절취부(59)속에 끼우고 베이스(54)와 자유단부는 저판(33) 및 지지 플레인지(49)사이에 끼운다. 브래켓트(53)을 제자리에 놓은채, 한쌍의 나사(63),(63)을 저판(33)을 통하여 나선구멍(61),(61)속에 나합시킴으로써, 브래켓트(53)을 아랫 수평틀(18)에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그림 1에 표시된 바와같이, 폭이 같거나 다른 2개의 브래켓트(53)을 아랫 수평틀(18)의 양쪽 단부에 형성한다. 다음에 위 및 아랫 수평틀(17),(18)과 옆 수평틀(19),(20)을 합쳐서 박스(10)을 완성하고, 이 박스(10)을 기둥(23),(24)가 있는 건물벽(16)에 나사로 설치한다. 길이가 비교적 긴 나사(64)를 사용하여 중간 수직판(39)와 발(56)을 기둥(24)에 부착시킨다. 나사(64)는 중간 수직판(39) 및 관통구멍(62)을 통하여 기둥(24)에 나합되며, 나사(64)를 조임에 따라 부착레그(55)는 기둥(24)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박스(10)을 설치하면, 벽(16)을 장식판(65)로 끝손질한다. 장식판(65)는 예컨대 목조배판(66), 철선랫치(67) 및 몰타르(68) 등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장식판(65)의 두께는 제2설치부(35)의 수평판(42)의 폭과 같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충전체(69)를 제2설치부(35)의 플레인지(44)와 몰타르(68)사이에 끼워서, 몰타르(68)의 외부표면을 따라 물이 샐 위험성을 제거한다.
본 고안이 이상과 같은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브래켓트(53)의 부착레그(55)는 위로 연장되어 외부에서 안보이게 되며, 따라서 아랫 수평틀(18)의 아래에 있는 장식판(65)는 절취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구조를 하고 있을 경우에는 아래로 연장된 브래켓트 래그를 수용하기 위하여 절취부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장식판(65)중에서 아랫 수평틀(18)의 아래에 있는 부분은 말쑥하고 아름답게 끝손질할 수 있으며 또한 방풍우 효과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브래켓트(53)의 부착레그(55)는 제1 및 제2설치부(34),(35)사이에 끼워져서 보강재를 형성함으로써, 아랫 수평틀(18)이 무거운 하중 때문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아랫 수평틀 및 브래켓트 조립체를 방풍우 샛시 박스에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조립체는 또한 외부 장문장치와 같은 어떠한 외팔보틀에도 지지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기다란 틀과 이 틀의 아랫쪽에 고정되는 브래켓트로 구성되고, 상기 틀에는 저판과 이 저판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제1설치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1설치부에는 건물벽에 설치되는 장치가 있고, 상기 브래켓트에는 베이스와 부착레그가 포함되고, 이들 베이스 및 부착레그의 표면은 각각 상기 저판 및 제1설치부와 보합된 형상을 이루고 있어서 서로 맞닿으며, 상기 부착레그는 위로 연장되고 또한 건물벽에 부착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건물벽에 부착하기 위한 틀 조립체.
KR7702311U 1977-04-04 1977-04-04 건물벽에 부착하기 위한 틀 조립체 KR810000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311U KR810000753Y1 (ko) 1977-04-04 1977-04-04 건물벽에 부착하기 위한 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311U KR810000753Y1 (ko) 1977-04-04 1977-04-04 건물벽에 부착하기 위한 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753Y1 true KR810000753Y1 (ko) 1981-06-29

Family

ID=1920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311U KR810000753Y1 (ko) 1977-04-04 1977-04-04 건물벽에 부착하기 위한 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7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9508A (en) Panel and glass curtain wall system
US5325648A (en) Composite exterior door structure
KR920700338A (ko) 지 붕
US3104865A (en) Railing construction
KR810000753Y1 (ko) 건물벽에 부착하기 위한 틀 조립체
EP0221693B1 (en) Inclined roof window
US4753420A (en) Railing system
KR870000091Y1 (ko) 단열 간막이 벽건물의 지붕난간
US5208924A (en) Decorative bathtub front enclosure
JPS6132069Y2 (ko)
KR800001729Y1 (ko) 차양 조립체
JPS6220628Y2 (ko)
JPH0113715Y2 (ko)
JPH0256467B2 (ko)
JPS6129911Y2 (ko)
JPS6237881Y2 (ko)
JP2683885B2 (ja) 折版屋根の採光部支持装置
JPS5924746Y2 (ja) 外壁の上部への化粧材の取付構造
JPS6116393Y2 (ko)
JPS6322260Y2 (ko)
JP2633727B2 (ja) 化粧板取付構造
JPS6221667Y2 (ko)
JPS6128866Y2 (ko)
JPH017826Y2 (ko)
JPS6316752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