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565B1 -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 - Google Patents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565B1
KR810000565B1 KR7401496A KR740001496A KR810000565B1 KR 810000565 B1 KR810000565 B1 KR 810000565B1 KR 7401496 A KR7401496 A KR 7401496A KR 740001496 A KR740001496 A KR 740001496A KR 810000565 B1 KR810000565 B1 KR 810000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carrier
floating
cargo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버레트 커비 윌리암
잭손 새이푸어 다비드
Original Assignee
에버레트 커비 윌리암
화르톤 쉬핑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레트 커비 윌리암, 화르톤 쉬핑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에버레트 커비 윌리암
Priority to KR740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과 이 선박에 적재하기 위해 미리 일렬로 연결시킨 바아지(barge) 나 라이터(lighter)를나타내느 측단면도로서 바아지나 라이터가 물에 잠긴 부분은 빗금으로 표시하였고, 이 바아지나 라이터가 선박에 실린 후에 운송될 수 있는위치에 놓인 것이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선박 및 부유성 운반체의 평면도.
제3도는 반출직후의 바아지나 라이터를 나타내는 제1의 유사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라 바아지나 라이터가반입된 후에 고정 장치에 의하여 고정되고 다른 화물이 갑판위에 선적되는 것을 나타내며, 선수의 문이 폐쇄상태로 있으나 개방위치를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었다.
제5도는 바아지나 라이터가 운송되기 위하여 선박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를나타내는 제4도의 선 5-5에 따른 수평단면의평면도.
제6도는 라이터가 고정장치에 의해 운송위치에 고정된 것을나타내는 제4도의선 6-6에 따른 단면의 확대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에 따른 절제부의 정면도.
제8도는 선박의 피이트 홀수에 대한 인치 침하당 톤수 즉, 인치 침하당 홀수대 톤수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선박에 바아지나 라이터를 적재한 경우와 적재하지 않은 경우의 선박의 부력 효과를 나타내낟.
제9도는 적재된 화합물의 질량이 다르기 때문에 높이가 다르게 문에 떠 있는두개의 인접한 바아지나 라이터를 고정시키기위하여 이 바아지나라이터의 모서리에 있는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하나의수압 실린더의 일부단면의 확대도.
제10도는 수압 실린더가 최후의 고정위치에 있으며 수압장치가 최대한 신장하여 있고 기계적 안전 고정핀이 제위치에 끼워져 있는상태를나타내는 제9의 유사도.
제11도는 횡측 상자형 비임(beam) 또는 거어더(girder : 桁材)중의 하나를 나타내는 선저 부근의 선박 일부의 절제사시도.
제12도는 선체 일부의 부분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선 13-13에 따른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선 14-14에 따른 단면도.
제15도는 선수관문의 일변형 예를 나타내는 선박의 선수부의 단면도로서 상기 관문이 개방된 위치를일점쇄선으로 나타내었다.
제16도는 제15도 부분의 평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선 17-17에 따른 단면의 확대 정면도.
제18도는 부력탱크와 펌프 방식을 나타내는 평면 계통도.
제19도는 단일 윈치를 사용하는 견인 방식의 다른 형태를나타내는 제2도에 유사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바아지(barge)또는 라이터(lighter)와 같은 부유성 운반체를 운송하기 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에서 선체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되어 있으며, 물의 저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표면이 매끄럽게 되어 있다. 또한 물이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도록 선저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선창내에 항상 물을 유지하여 화물의 부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에서 부유성 운반체들을 선창내에 기중기로 반입 및 반출할 수 있으나 많은경우에는선수에 있는 관문을 통하여 반입 및 반출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또한, 본 선박은 일반 화물을 갑판 위에 실을수도 있다.
본 발명은 부유성 운반체에 적재되는 화물을 운반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일련의이러한 운반체를 예인선으로 끌어 선박의 선수근처까지 수상에서 운반하고, 이 일련의 운반체들을 선수의 문을 통하여 선창 내로 반입한다. 항해후 상기 일련의 울반체들은 선수의 문을 통하여 반출되고 예인선으로 견인된다.
반입 및 반출시 선박의 화물 적재 선창이 부분적으로 침수되는 선박이 여러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 선수나 선미 또는 선체의 측면에 마련된 문이 사용되었으며 여러 종류의 화물이 물에 뜬채로 반입되고 또한 반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선박에서는 화물 적재후 펌프로 선창내의 물을 모두 배수시키고 화물이 반출될 때 까지는 선창을건조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모든 특허에서 선창내 물은 선창내외로 화물을 부유시키는 데만 사용되며 항해시 화물선창은건조하게 유지되고 항해시작전에 모든 물을 펌프 배수시킨다.
미국특허 제3,356,058호에는 통나무 운송을 위한 선박이 기술되어 있는데, 그러한 선박의 선체는 선창이 항상 침수되어 있도록 항상 개방하여 있는 급수 구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선체는 부력실을 가지고 있고 이 부력실은 부력실 내외로의 물의 펌핑에 의해 선박의홀수나 종경사(trim) 또는 횡경사(list)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통나무 운송용 선박에서, 항행중의 통나무의 일부가 부유하도록 선체를 관통하는 구멍을 선체에 가지고 있어 통나무의 하중의 대부분은 바닷물의 부력에 의해 지지되며 소량의 하중만이 선체에 지탱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은 앞에 상기 특허의 가장 중요한 장점인 통나무 운송방법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유성 운반체에 실린 화물은 그 운반체에 실은채 운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형 고속원양 선박을 위하여 라이터나 바아지가 사용되는 방법들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런 방법에서는, 라이터나 바아지가 물에 뜨는 갑판 모양의 승강장치에 실려서 선박 근처까지 부유 운반된 후 그 승강장치로부터 라이터나 바아지가 적재되는 갑판으로 운반된다. 또 다른 방법은 선박에 라이터나 바아지를 부유 운반한 다음 선박에 장치된 기중기로 그들을 끌어올린다. 이러한 두가지 방법은 대형선박이 부두에 직접 짐을 부리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요하지 않게 하기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대형 선박이 정박할 수 없는 작은 부두에도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이러한 선적 방법은 다른 해상 운송 방법보다 경제적이다.
미국특허 제3,356,058호의 선박과같은 타입의 선박에 그러한 라이터나 바아지를 실는데는 통나무 운송때에는 고려되지 아니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통나무는 모양이나 크기가 달라도 그 자체의 비중은 거의일정하나, 라이터나 바아지 등의 화물 운반체는 크기나 모양이 같지만 싣는 화물의 양에 따라 그 운반체의 비중이 달라지게된다. 물에자유로이 뜬 상태대로 이 운반체들을 배에 싣는 방법은 불가능하였다. 왜냐하면, 각 운반체들은 물에 뜬 정도가 다르며 상하 좌우로 움직이며 기후가 나쁠 때에는 비록 선박의선체를 약간 잠수되게 했을 지라도 선체에 큰 힘을 작용하게 되어 선박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어 있거나 짐이 조금 찬 라이터의 부력을 짐이 가득찬 라이터에 분산시키는 방법에는 여러가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은 상기 언급한 특허의 선박에는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이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서 매우 유익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화물뿐만 아니라 라이터나 바아지를 적재 및 지지하는 데 있어서, 그리고 상기 특정의 경우에 있어서도 문제점들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선체에 구멍을 뚫어 부력을 유발시키는 방법 및 선박의 양측벽에 부력실을 만드는 것은 미국특허 제3,356,058호의 특허에서 응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에 추가하여서 본 발명에서는 바아지나 라이터같은 부유성 화물 운반체가 도중 일정한 위치에 단단히 고정되어서 각 운반체의 바닥이 선체에 단단히접속되게하는 고정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선재의 프레임(frame)에 선체와간격을 갖고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갑판에서 하방으로 연장하여 있어 운반체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한다. 바아지나 라이터의 밀도는 그 속에 적재된 화물의 비중과 적재량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거의 짐이 실리지 않았거나 비어있는 운반체에는 상당한 량의 초과부력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초과 부력 효과에 의해 선박 전체 및 그의 부유성 화물을 지지하는데 보조할 수 있도록 초과부력이 고정장치를 통해 전달되며, 그리하여 선체구조를 더 가볍게 할 수 있다.
선박 내부에 하나의 간단한 윈치(winch)가 설치되어 있어서 부유성 운반체를 반입 및 반출하는 데 매우 다양하게 이용된다. 또한, 최후의 정박위치에 고정시키는 안전 고정부재를 가지고 있는 수압 또는 기압장치에의해 바아지나 라이터가 안정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은 선박 10은 적당한 구조의 선체 11로 되어 있으며, 그 선체 11은 제4도 및 제6도에 보인 바와 같이 선박이 떠 있을 때 항상 물이 들어올 수 있는 다수의 도관 13이 형성된 저부 12를 가지고 있다. 선채 11은 적절히적재를 행할 수 있도록 저부 횡측 상자형 거어더 14로 보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선체와 거어더는 라이터나 바아지같은 일련의 부유성 운반체 16을 적재할 수 있도록 평편한 표면 15을 가지고 있다. 선박 10은 또한 통나무나 다른 부유성 화물을 운송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선체 11의 측벽 17의 대부분은 일련의 부력 탱크 18을 가지고 있으며, 각 탱크에는 제18도에 보인 바와 같이 파이프 18a가 설치도어 있으며 모든 관들은 분기관(分岐管) 18b에 연결되어 있다. 분기관 18b는 파이프 19b와 19c를 통하여 시이 체스트(sea chest) 19a로부터 부력 탱크 18로 물을 보내며 부력 탱크 18로부터 바다로 물을 내보내기 위한 적당한 밸러스트 펌프 19에 연결되어 있다. 부력탱크 18의 정부(頂部)에는 탱크에 물을 넣고 뺄 때에 공기가 나오고 들어갈 수 있도록 공기구멍 20이 마련되어 있다. 선박 10의 홀수선은 선박의 중량, 화물의 중량 및 부력탱크 18내 물의 양에 따라 정하여진다. 선박 10의 홀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부력탱크 18은 원하는 부력 또는 홀수를 부여하도록 필요한 양만큼 채워질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부력탱크 18에 물을 채우는 정도를 각각 다르게 하여 배의 횡경사와 종경사를 조정할 수 있다.
선박 10의 선미에는 선박 추진부분 21이 있으며 이 부분은 각각의 선박에 알맞는 추진장치로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승무원 숙박시설이 알맞게 마련되어 있다. 선박 10의 선수 22에는 관문 23이 있는데 이 문은 제4도에 보인 바와 같이 정상 상태에서는 홀수선 위에 있으며 이 관문을 통하여 일련의 운반체 16을 부유 반입할 수 있도록 항상 홀수선보다 아래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가 있다.
이 관문 23은 항해할 때는 폐쇄된다.
선수관문 63의 1변형예가 제15-17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선수관문 63은 축 64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개방되며, 배에 실린 첫번째 운반체 16의앞면 67과 선수관문 63사이에서 물이 출렁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개구부 66을 가진 스와쉬판(swash plate)65가 설치되어 있다.
제1도 및 3도에 보인 바와 같이, 선박에 의해 운반되는 화물은 컨테이너화된 타입의 라이터나 바아지 같은 일련의 운반체 16으로 되어 있으며, 각 운반체는 표준재료로 되어 있고 표준설비를 가지고 있다. 운반체 16은 형태와 크기가 모두 동일하며, 제9도 및 10도에 보인 바와 같이 운반체의 상단부 24에는 원통형 돌출부 25가 있고 이 돌출부 25의 끝은 원뿔대 모양의 돌출부 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운반체의 저부 28에는 끝이 원뿔대 29로 된 원통형홈 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장치들은 운송 도중에 운반체 16들을 일정한 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종래에는 운반체 16을 대형선박의 갑판에 쌓도록 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운반체 16이 본 발명의 선창에 쌓여지지 않고 전부 같은 높이로 고정되며, 그들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부품 25,26 및 27,29가 사용된다. 이러한 라이터나 바아지의 부분들중에서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는 부분들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새로운 모형으로 고안된 운반체나, 또는 알려져 있는 종래에 사용하던 운반체나를 막론하고 모두 본 발명에 의한 선박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선박자체를 운반체에 맞도록 알맞게 고칠수도 있다.
각 운반체 16은 서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그에 부착된 앵커나 윈치를 로우프나 케이블 30으로 묶어서 직렬로 선박재로 부유 운반된다. 예인선 31은 이 일련의 화물 운반체를 밀거나 끌거나 한다. 운반체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과 밀도의 차이에 기인하여 운반체 16이 물에 잠기는정도가 당연히 모두 같지 않게된다.
운반체의 홀수를 전부 꼭 같게 해주려면 운반체를 전부 비우던가 또는 그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을 모두 같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1도 및 3도에 보인 바와 같이 물에 잠긴 정도가 각각 다르게 되면 무거운 운반체는 그의 상단부 24가 거의 홀수선에 가깝게 되며 가벼운 운반체는 그의 하단부 28이 홀수선에 가깝게 된다. 선박 10은 선적 횡측 거어더 14와 갑판횡측 거어더 33사이에 충분한 공간 32가 있으므로 이러한 여러가지로 높이가 각각 다른 운반체들에도 잘 맞게 되어 있으며 이 공간 32는 운반체 16높이의 두배정도로 만들어준다.
일련의 운반체 16이 선박 10까지 예인되면 그 운반체들을 선박내부로 부유 반입할 수 있도록 선수 관문 23이 열리며, 운반체 16이 선박 10에 가까이 왔을 때에 선박이 장치된 1조의 윈치(winch) 35가 케이블 36에 의하여 최전방의 운반체 16에 접속된다.
윈치 35는 선박 10의 중앙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반입시 사용하는활차 37이 선미에 마련되어 있고, 반출시사용하는활차 38은 선수 22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반입시, 윈치의 케이블 36들 중 하나는 배의 좌현으로, 다른 하나는 우현으로 선미의 활차 37를 지나서 다시 선수 22쪽으로 보내져서 선수관문 23을 통하여 운반체 16의 최전방에 연결된 다음, 선창 32내로 운반체를 끌어들이기 위하여 윈치 35가 동작하여 케이블 36을 끌어당기게 되며, 이때에 예인선 31은 운반체 16으로부터 떨어져서 부두에 돌아가게 된다. 제19도에 보인 것과 같이, 단일의 케이블 끝에 밧줄 39를 가진 단일 윈치 35로 된 장치와 같은 다른 종류의 견인장치가사용될 수도 있다.
모든 운반체 16이 선박 10의 선창 32내부에 들어오면, 그들의 위치는 정돈되어 있지 않게 된다. 부력탱크 18의 내벽 40은 안쪽으로 경사져 있고, 따라서 부력탱크 18은 위끝이 아래끝보다 좁게 되어있으며, 이 부력탱크 18이 라이터나 바아지가 파손되지 않게 하기위하여 부력탱크 18의 내벽에는 탄성체와 같은 것으로 된 경사진 완충재 41이 측벽 40을 따라 취부되어 있다. 그 부력탱크에는 펌프 19가 설치되어 있고, 그 펌프는 운반체 16들 중 가장 무거운 것이 거어더 14 또는 선체 11에 밀접하게 되도록 하는데 충분한 정도로 물을 배수시킨다. 그리하여, 운반체 16은 일렬로 정돈되며, 따라서 제9도 및 10도에 보인 바와 같이 거어더 14상에 돌출하여 있는 돌출부 44가 운반체 16의 저부 각 모퉁이에 하나씩 있는 홈 27에 삽입된다. 각 돌출부 44는 끝이 원뿔대로 된 원통형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운반체 16 상방에 수압 또는 기압 펌프장치 50이 갑판으로부터 현가되어 있으며, 각 장치 50의 고정 하우징 51이 갑판 거어더 33에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하우징 51에 고정피스톤 로드 52와 고정 피스톤 53이 취부되어 있다. 가동(可動) 하우징(housing) 55가 트러니온 핀(trunnion pin) 56에 의해 가동실린더 54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기체나 액체가 구멍 57을 통하여 실린더 54와 피스톤 53의 저단부 사이 공간에 주입되면 실린더 54는 외측 하우징 55와 함께 하강하게 되고, 기체나 액체가 구멍 58을 통하여 피스톤 53과 실린더 54의 상단부 사이에 주입되면 실린더 54는 다시 상승하게 된다. 각 하우징 55에는 최소한 하나, 일반적으로 2개의돌출부 26와 맞물리는데 적당한 홈 59가 설치되어 있다.
각 장치 50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단일제어부에 서로 연결되어 있고 동시에 동작된다.
제11-14도에 보인 바와 같이 선박 10은 횡측 거어더 14를 가지고 있고, 이 거어더 14는 저부판 12에 용접된 측판 71 및 72와 상부판 70으로 된 수밀상자형 거어더 형태로 되어 있다.
거어더 14에는구멍 13이 뚫려있지 않으므로 거어더 14는 속이 비어있어서 항상 부력을 발생하게 된다.
거어더 14는 구멍이 뚫린 박판 73과 판 70,71 및 72에 고정된 각 철(angle iron)74에 의하여 보강되며 박판 73에는 구멍 75가 있어서 그 구멍을 통하여 각 철이 연장하여 있다.
상부 판 70의 돌출부 74가 마련될 장소는 두껍게 해주며, 각철 74간에 연결된 경사판 76에 의하여 상부판 70이 보강된다. 선체의저부 12는 연달아 있는 거어더 14들 사이에서 T형 비임같은 종측 연장 비임77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다. 또한, 부력탱크 18은 구멍이 뚫린 박판 78과 탱크 18의 벽에 고정된 각철 79에 의하여 보강된다.
갑판에는 보통 양 측면에 하나씩 2개의 선박용 기중기 8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창 내에 통나무를 요잉하게 적재할 수있다. 통나무를 실을 때는 수압장치 50를 제거할 수 있다.
운반체 16이 선박 10의 선창 32 내부에 있을때에는 액체가 모든 장치 50의 저부 구멍 57에 보내지고 외측 하우징 55가 잘 조정되며 하강하여 자동적으로 운반체 16을 일렬로 정돈시키게 되며, 따라서 각 외측 하우징 55는 가장 가벼운 운반체 16의 돌출부 25,26이 계합되어 그들은 눌러주게 되며, 따라서 다음으로 가벼운 운반체 16의 돌출부 25,26에 차례로 계합되어 압압하고, 결과적으로 거어더 14의 돌출부 44가 각 운반체 16의 홈 27,29에 삽입되게 되어 운반체 16이 운송도중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되게 된다.
안전을 위하여 고정핀 60이 고정하우징 51의 구멍 61을 통해 삽입되어 가동 하우징 55의 상단부 62에 계합하여 하우징 55가 위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이나 작업이 끝난 뒤에 부력탱크 18은 선체의 횡경사나 종경사 및 홀수선 등이 알맞게 되도록 조정되어 진다. 선창 32내부에 항상 물이 있고, 또한 운반체 16의일부분이 무거워서 선체 거어더 14에 직접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선박 10의 전체 하중은 속이 비었거나 짐이 조금밖에 차지 않은 가벼운 운반체 16에 의하여 가벼워져 선체 11에 부(負)하중을 부여하며, 따라서 무거운 운반체 16에 의한 정(正)하중을 어느정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매우 효과적으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모든 운반체 16을 고정시키는 도중에서 또는 고정시킨 뒤에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선박의 갑판 위에 비부유성 화물을 추가하여 적재할 수 있다.
통나무나 다른 루을 운송하려 할 때, 그 화물들을 갑판 횡측 거어더 33사이의 밑에 선박에 비스듬이 또는 선박을 가로질러 실을 수있으며 이 경우에 압력장치 50은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선박 10이 목적지 항구 근처에 도착하면 핀 60을 뽑아내고 외측하우징 55가 모두 제위치로 돌아가게 하고 운반체 16이 자유롭게 부유하도록 선박 10이 밸러스트된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출과정은 처음 윈치 35로 선수관문 23을 열고, 선수의 활차 38을 통하여 가장 마지막에 있는 운반체 16에 로우프를 연결시킨 후, 반입시와 역순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운반체 16을 끌어낸다.
선박으로부터 끌어내어진 일련의 운반체 16은 적당한 예인선 31로 견인하든지 말든지 하여 부두로 운반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갖는 선박은 약 10,000톤의 배수량을 가지며 길이가 약 108m(약 360피트)와 선 폭 약 24.4m(약 80피트)이고 홀수가 약 4.57m(약 15피트)정도 된다. 고정장치의 가동하우징은 약 1.5m(약 5피트)의 직경 또는 약 1.5m평방(5피트평방) 단면적을 가지며 높이가 약 4.27m(14피트)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길이가 약 18.3m(약 60피트), 폭이 약 12.2m(40피트), 높이가 약 4.27m(14피트)정도로 만들어진 약 8개의 운반체가 수용될 수 있다.
제8도에 보인 바와 같이 처음 약 0.3m(1피트)까지의 홀수때에는 인치 침하당 톤수가 급격히 증가하며, 홀수가 횡측 거어더 14의 상부면 15의 높이인 약 3.05m(약 10피트)일 때 까지는 인치 침하단 톤수가 홀수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이 높이에서 인치 침하단 톤수는 크게 변하게 되며 배가 비었을 겨우에는 그 값이 떨어지며 운반체가 실려있을 경우에는 급히 증가한다. 배가 비어있을 경우는 약 3.05m(10피트) 홀수에서의 인치 침하당 톤수가 증가하여 홀수가 약 4.57m(15피트)일때까지 증가된다. 배에 짐이 실렸을 경우에는 인치 침하당 톤수가 홀수 약 3.05m(10피트)에서 최대값으로 계속 증가하여 적당한 홀수선인 약 4.73m(15 1/2피트)에 이르게 된다.

Claims (1)

  1. 선체의 측벽에 일련의부력탱크를 설치함과 동시에, 선박의 홀수, 종경사 횡경사를 조정하기 위해 그 부력탱크를 급, 배수시키기 위한 수단을 설치하고, 내부가 빈 선창을 설치하고, 바아지, 라이터등과 같은 일련의 부유성 운반체를 부유(浮遊)에 의해 반입 및 반출시키기 위해 개방되고 운송중에는 폐쇄되는 관문을 선수부에 설치하며, 또한 직렬된 연결된 상기 부유성 운반체를 끌어들이고 또 내보내기 위한 수단을 설치하고, 선창내 반입된 운반체들을 일정한 장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설치하여 된 통상의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에 있어서 : 상기 고정수단으로써, 갑판 거어더(33)에 취부된 고정하우징(51)내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피스톤(53), 수압작동식 가동실린더(54) 및 운반체(16)의 상부 돌출부(26)에 맞물리는 홈(59)으로 구성된 스퍼드(spud)(55)를 인접하는 2개의 운반체들의 인접선 상방에 설치하고 운반체 저부의 홈(27)과 맞물리는 돌출부(44)가 저부 횡 거어더(14)상에 돌출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성운반체 운송용 선박.
KR7401496A 1974-02-14 1974-02-14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 KR810000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496A KR810000565B1 (ko) 1974-02-14 1974-02-14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496A KR810000565B1 (ko) 1974-02-14 1974-02-14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565B1 true KR810000565B1 (ko) 1981-06-01

Family

ID=1919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1496A KR810000565B1 (ko) 1974-02-14 1974-02-14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56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3681A (en) Barge carrying transport vessel
US3913512A (en) Vessel for flo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rt of barges and other floating cargoes
US4147123A (en) Barge-carrying waterborne vessel for flo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transportation method
US3318276A (en) Ocean-going barge carrier
US3556036A (en) Deep sea cargo vessel
US3587505A (en) Partially submersible carrier vessel
US3939790A (en) Transport ship construction and method of loading floating cargo into a floatable cargo space of a ship
GB2075432A (en) Barge-carrying vessel
US4015554A (en) Construction and launch barge and method of producing and installing offshore structures
US4048937A (en) Cargo carrying vessel having at least one cargo carrying deck
KR20100136766A (ko) 이동/자항형 해상 하역 부유 구조물
US4488503A (en) Barge carrying ship and method of loading same
US3368509A (en) Drill ship
KR810000565B1 (ko)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
USRE30040E (en) Vessel for flo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rt of barges and other floating cargoes
US3680512A (en) Method of building ships
US3713411A (en) Submersible catamaran for the placement and withdrawal of packages ona water bottom
US3978806A (en) Vessel with flooded hold for transport of barges
KR810001873B1 (ko)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
US3220372A (en) Submersible mining, lifting and towing barge
US3672320A (en) Ship for containerized cargo
US4292915A (en) Ocean-going barge carrier
US3993012A (en) Vessel for transport of buoyant cargo
US3796176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arrying marine cargo
KR810001447B1 (ko) 부선 운반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