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396B1 - Mercaptan activation by acid in the co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 Google Patents

Mercaptan activation by acid in the co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396B1
KR810000396B1 KR770001149A KR770001149A KR810000396B1 KR 810000396 B1 KR810000396 B1 KR 810000396B1 KR 770001149 A KR770001149 A KR 770001149A KR 770001149 A KR770001149 A KR 770001149A KR 810000396 B1 KR810000396 B1 KR 810000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ization
mixture
weight
adde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01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카피 제랄드폴
후랑크린 마제케 허버트
Original Assignee
래리 윌리엄 에반스
더 스탠다드 오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래리 윌리엄 에반스, 더 스탠다드 오일 캄파니 filed Critical 래리 윌리엄 에반스
Priority to KR77000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3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396B1/en

Links

Landscapes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Acid-activated mercaptans are used as chain transfer agents in the copolymn. of acrylonitrile(I), giving high conversions to polymers with high nitrile content and good processability. Thus, 75 parts I and 25 parts Me acrylate were added to compn. contg. Na dioctyl sulfosuccinate 0.85, poly (vinylpyrrolidone) 0.30, water 205, nitrile rubber(added as latex) 9, and H3PO4 0.067 parts. The polymn. mixt. was heated to 54≰C, treated with 0.06 parts K2S2O8 and 1.2 parts pentaerythritol tetrakis(3-mercaptopropionate) and polymd. 3.5h, giving a polymer with av. mol. wt. 126,885 and Brabender torgue at 230≰ and 35 rpm 2/20m-g after 10 min

Description

산 활성화시킨 메르캅탄을 사용한 중합반응Polymerization Reaction with Acid Activated Mercaptan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을 다른 모노마와 공중합시킬때에 분자량 조절제로 사용되는 메르캅탄을 산 활성화시키는 방법 특히 산 활성화시킨 메르캅탄 쇄전이게 (chain transfer systym)를 사용하여 적절한 분자량을 갖는 니트릴 공중합체의 고분자물을 우수하게 얻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cid activation of mercaptans used as molecular weight modifiers when copolymerizing acrylonitrile with other monomas, in particular using an acid-activated mercaptan chain transfer systym to provide a nitrile copolymer having an appropriate molecular weight. It relates to a production method for obtaining a high polymer material.

본 발명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니트릴 모노마를 공중합시킬때 분자량 조절제로 사용되는 메르캅탄에 대해 산(酸)활성화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종래에 전화율이 낮아서 공중합반응의 느린 원인이 되어왔던 메르캅탄류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처리하여 사용하면 높은 수율로 신속하게 목적하는 니트릴 고분자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Until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here is no known method for acid activation of mercaptans used as molecular weight regulators when copolymerizing nitrile monomas such as acrylonitrile. When mercaptans, which have conventionally been used as a slow cause of copolymerization due to a low conversion rate, are treat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ired nitrile polymer compound can be promptly produced in high yield.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분자 화합물이란 올레핀성불포화니트릴을 주로하여 이들과 공중합할 수 있는 모노마 및 임의로는 미리 성형된 고무성분으로 이루어진 것들이 있다.The high molecular compounds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nomers which can be mainly copolymerized with olefinically unsaturated nitriles and copolymerized with them, and optionally those made of rubber components.

본 발명의 고분자물은 이미 알려져 있던 중합방법 예를들어 괴상중합, 용액중합 , 유화중합, 현탁중합방법중의 하나에 의해서 뱃취법, 연속조작법, 단속조작법등의 방법으로 모노마와 기타성분들을 첨가하여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이중에서도 수용성매질중에서 유화중합이나 현탁중합을 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반응은 수용성 매질중에서 유화제나 현탁제와 유리라디칼을 발생하는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0°내지 100℃의 온도로 분자상의 산소가 별로 없는 상태에서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Th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to monomas and other components by batch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operation by any one of known polymerization methods such as bulk polymeriz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and the like. The reaction can proceed. Among them, a method of emulsion polymeriza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in a water-soluble medium is preferable. The polymeriza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the absence of molecular oxygen at a temperature of 0 ° to 100 ° C in the presence of an emulsifier or suspending agent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which generates free radicals in an aqueous medium.

본 발명은 예를들어 아크릴로니트릴 같은 불포화단량체 니트릴을 주로하고 이 니트릴과 공중합이 가능한 비닐모노마를 소량 사용하여 수용성 유화액내에서 임의로는 동종 중합체(homopolymer)를 형성 할 수 있는 미리 성형된 디엔고무나 공액결합된 디엔모노마의 존재하에 중합시켜서 만들어지는 중합체의 제조에 적당하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preformed diene rubbers which can form homopolymers in water-soluble emulsions, for example, mainly using unsaturated monomer nitriles such as acrylonitrile and copolymerizing with nitriles in small amounts. It is suitable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s made by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conjugated dienemonomas.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액 디엔 모노마로는 부타-디엔-1,3-이소푸렌, 클로로푸렌, 브로모프렌, 시아노프렌, 2,3-디메틸부타디엔-1,3,2-에틸부타디엔-1,3,2,3-디에틸부타디엔-1,3등이 있다. 이상의 모노마중에서도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우수한 중합성향을 가진 부타디엔-1,3-이나 이소푸렌이 좋다.Conjugated diene monoma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utadiene-1,3-isopurene, chlorofurene, bromoprene, cyanoprene, 2,3-dimethylbutadiene-1,3,2-ethylbutadiene-1, 3,2,3-diethylbutadiene-1,3 and the like. Among the above monomas, butadiene-1,3- and isoprene which are most easily available and have excellent polymerization tendency are preferable.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올레핀성 불포화 니트릴이라함은 구조식

Figure kpo00001
(여기에서 R은 수소, C1-4알킬, 할로겐)으로 표시되는 α―, β―올레핀성 불포화 모노니트릴류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olefinic unsaturated nitri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al formula
Figure kpo00001
(Where R is hydrogen, C 1-4 alkyl, halogen) means α-, β-olefinically unsaturated mononitriles.

이와 같은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본 발명에 가장 적합한 올레핀성 불포화 니트릴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타크릴니트릴 및 양자의 혼합물이 있다.Such compounds include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ethacrylonitrile and the like. Of these, the most suitable olefinically unsaturated nitriles fo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and mixtures of both.

올레핀성 불포화 니트릴류 및 공액디엔류와 공중합이 가능한 기타의 모노비닐 모노마 성분에는 올레핀성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 비닐에테르, α―올 레핀, 비닐방향족 모노마등이 속한다.Olefinic unsaturated nitriles and other monovinyl monomer components copolymerizable with conjugated dienes include olefin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s, vinyl esters, vinyl ethers, α-olefins, and vinylaromatic monomas.

전술한 올레핀성 불포화 카복실 에스테르류에는

Figure kpo00002
류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있다.The above-mentioned olefinically unsaturated carboxyl esters
Figure kpo00002
There is a compound having a class of structures.

(여기에서 R1은 수소, C1-4알킬, 또는 할로겐이며 R3는 C1-6알킬이다)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아밀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아밀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알파클로로아크릴레이트, 에틸알파클로로아크릴레이트등이 있다. 이상의 화합물 중에서도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가 본 발명에 가장 적합하다.Wherein R 1 is hydrogen, C 1-4 alkyl, or halogen and R 3 is C 1-6 alkyl. Examples of such compounds includ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butyl acrylate, amyl acrylate, Hex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amyl methacrylate, hexyl methacrylate, methyl alpha chloro acrylate, ethyl alpha chloro acrylate and the like. Among the above compound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and ethyl methacrylate are most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α―올 레핀류는

Figure kpo00003
(여기에서 R'과 R"은 C1-7의 알킬이다)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그 탄소수는 4내지 10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소부틸렌, 2-메틸부텐-1,2-메틸펜텐-1,2-메틸헥센-1,2-메틸헵텐-1,2-메틸옥텐-1,2-에틸부텐-1,2-프로필부텐-1등이 있으며, 이중에서도 이소부틸렌이 가장 바람직하다.Α-olepi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kpo00003
(Where R 'and R' are C 1-7 alkyl) and have 4 to 10 carbon atoms. Specifically isobutylene, 2-methylbutene-1,2-methylpentene-1,2-methylhexene-1,2-methylheptene-1,2-methyloctene-1,2-ethylbutene-1,2 -Propyl butene-1 and the like, of which isobutylene is most preferred.

또한 전술한 비닐에테르류에는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프로필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메틸이소프로필페닐에테르, 에틸이소프로페닐에테르등이 있다. 이상에서도 특히 메틸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프로필비닐에테르와 부틸비닐에테르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inyl ethers mentioned above include methyl vinyl ether, ethyl vinyl ether, propyl vinyl ether, butyl vinyl ether, methyl isopropylphenyl ether, ethyl isopropenyl ether, and the like. Above all, methyl ether, ethyl vinyl ether, propyl vinyl ether and butyl vinyl ether are particularly preferable.

상기의 비닐에스테르류에는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부티레이트등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비닐아세테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The vinyl esters include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and vinyl acetate is most preferred.

또한 비닐 방향족 모노마로서는 스틸렌, α―메틸스틸렌, 비닐톨루엔, 비닐크실렌등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스틸렌이 바람직하다.Moreover, as vinyl aromatic monomer, styrene, (alpha) -methylstyrene, vinyltoluene, vinyl xylene, etc. are especially preferable among these.

본 발명에 유용한 고분자물은 0내지 40부의 (C)의 존재하에, 60내지 90%의 (A)와 (1)내지 (5)의 화합물중에서 선택한 10내지 40%의 (B)를 합한 100중량부를 중합시켜서 제조된다.The polymer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100% by adding 10 to 40% of (B) selected from 60 to 90% of (A) and (1) to (5) in the presence of 0 to 40 parts of (C). It is manufactured by polymerizing a part.

여기서 (A)는 R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식

Figure kpo00004
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한가지의 니트릴, (B)는 다음의 (1)내지 (5)까지의 화합물중에서 선택 : (1) R1과 R2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식
Figure kpo00005
의 에스테르 (2)R'과 R"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식
Figure kpo00006
Where (A) is a structural formula as described above for R
Figure kpo00004
At least one nitrile represented by (B) is selected from the following compounds (1) to (5): (1) R 1 and R 2 are as described above
Figure kpo00005
Esters of formula (2) wherein R 'and R'
Figure kpo00006

(3)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프로필비닐에테르 및 부틸비닐에테르에서 선택된 비닐에테르(3) Vinyl ether selected from methyl vinyl ether, ethyl vinyl ether, propyl vinyl ether and butyl vinyl ether

(4) 비닐아세테이트(4) vinyl acetate

(5) 스티렌(5) styrene

(C)는 부라디엔과 이소프렌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액디엔모노마와 임의로는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코모노머, R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식

Figure kpo00007
의 니트릴 모노머 및 R1과 R2가 전술한 바와 같은
Figure kpo00008
의 에스테르그룹중에서 선택된 코모노머로 이루어진 고무 중합체로서 이 고무중합체의 성분을 50내지 100%의 중합된 공액 디엔화합물 및 0내지 50%의 코모노머로 이루어진다.(C) is a comonomer consisting of a conjugated diene monomer selected from a buradiene and an isoprene group and optionally styrene, wherein R is a structural formula
Figure kpo00007
Nitrile monomers and R 1 and R 2 are
Figure kpo00008
A rubber polymer consisting of a comonomer selected from the ester groups of which consists of 50 to 100% of a polymerized conjugated diene compound and 0 to 50% of a comonomer.

본 발명의 중합반응에는 중합체 쇄(Chain) 조절제 및 산이 사용된다. 쇄조절제는 모노머의 1내지 10중량%가 중합체로 전환된 다음에야 중합반응에 첨가한다. 참고:미합중국특허 제3,891,722호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mer chain regulator and an acid are used. The chain control agent is added to the polymerization only after 1 to 10% by weight of the monomers have been converted to the polymer. Note: United States Patent No. 3,891,722

본 발명에 있어서 "쇄 전이제(Chain transfer agent)", "중합체 분자량 조절제 (polymer molecular weight modifier)" "중합체 쇄조절제(polymer chain modifier)"및 "조절제(regulator)"라는 용어는 모두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실제로 쇄전이제란 유리라디칼의 중합화 반응에 가했을 때 형성되는 중합체의 분자량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쇄 전이제로서는 메르캅탄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쇄전이제로서는 탄소수 4내지 16개의 1급, 2급 및 3급 알킬메르캅탄이 있으며 그예로서는 n-도데실 메르캅탄, t-도데실 메르캅탄, n-도데실티올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틀과 베타메르캅토 프로피온산의 테트라메르캅토 에스테르, 리모넨 디메르캅탄 및 기타 공지된 화합물[참조 : 미합중국 특허 제3,891,722호]이 있다. 중합 조절제는 중합화시키려는 모노마의 중량에 대해 0.01내지 3%의 함량으로 사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hain transfer agent", "polymer molecular weight modifier", "polymer chain modifier" and "regulator" all have the same meaning. Used. In practice, the chain transfer agent refers to a compound that exhibits a function of reducing the molecular weight of a polymer formed when it is added to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free radicals. The most commonly used chain transfer agents are mercaptans. The chain transfer agent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alkyl mercaptans having 4 to 16 carbon atom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n-dodecyl mercaptan, t-dodecyl mercaptan, n-dodecylthiol acetate, and penta. Tetramercapto esters of erythritol and betamercapto propionic acid, limonene dimercaptan and other known compounds (US Pat. No. 3,891,722). The polymerization regulator is used in an amount of 0.01 to 3% by weight of the monoma to be polymerized.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바람직한 중합 조절제로는 리모넨 디메르캅탄 및 펜타에리스리톨과 베타메르캅토 프로피온산의 테트라에스테르처럼 분자당 한개이상의 메르캅토 그룹을 함유하는 유기 메르캅토 화합물이 있다.Preferred polymerization regulators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rganic mercapto 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mercapto groups per molecule, such as limonene dimercaptans and tetraesters of pentaerythritol and betamercapto propionic acid.

저분자 모노메르캅탄을 사용하는 경우 불쾌한 냄새와 맛이 남어있는 반면 폴리메르캅토 중합조절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수지(resin)에는 냄새가 거의 없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음식물이나 음료수 포장에 사용되는 수지는 냄새나 맛이 없어야 한다.In the case of using low molecular weight monomercaptan, an unpleasant odor and taste remain, whereas a resin prepared using a polymercaptopolymerization regulator has little smell, and thus is particularly preferable. Resin used in food or beverage packaging must be odorless or tasteless.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으로는 무기 및 유기산이 모두 해당된다. 유용한 무기산으로서는 인산, 황산, 염산이나 브롬산 같은 할로겐화수소산; 질산류가 있으며 유용한 유기산으로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시트르산,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같은 카복실산; 아스코르브산, 적어도 한개의 산성 수소를 갖는 인산등이 있다. 본 발명에 가장 적합한 산으로서는 아세트산, 시트르산, 인산,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및 인산의 에스테르가 있다. 인산과 그에스테르 유도체 및 염이 가장 유용한데 그이유는 중합반응기내에서 중합체가 형성되면서 중합체와 다른 반응성분들이 응집되는 것을 막아 주기 때문이다.Acid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oth inorganic and organic acids. Useful inorganic acid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halogenated acids such as phosphoric acid, sulfuric acid, hydrochloric acid or bromic acid; Nitric acids and useful organic acids include carboxylic acids such as acetic acid, propionic acid, citric acid, 3-mercapto propionic acid; Ascorbic acid, phosphoric acid having at least one acidic hydrogen, and the like. Most suitable acids fo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cetic acid, citric acid, phosphoric acid, 3-mercapto propionic acid and esters of phosphoric acid. Phosphoric acid and its ester derivatives and salts are most useful because they prevent the polymer and other reactive components from agglomerating as the polymer forms in the polymerization reactor.

본 발명의 중합반응은 필수적으로 pH6.5이하의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essentially be carried out at pH 6.5 or below.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성분들의 함량은 특별히 언급이 없는한 중량부로 표시한다.The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where the content of components is expressed in parts by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실시예 1]Example 1

A.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지 않은 종래의 수지 제조 방법을 비교할 목적으로 다음에 기술한다.A. The following is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conventional resin production methods that do not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성분의 양은 phm(per hundred parts of monomer) 즉 100부의 모노머에 대한 양(量)을 의미한다.* The amount of each component means the amount per 100 parts of monomer (phm).

0.85phm의 나트륨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70%활성)와 0.30phm의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205phm의 물에 녹인 혼액은 스텐레스 스틸 중합화용기에 넣는다. 이 혼액에다 9phm의 탄성체(elastomer)를 함유하는 부타디엔 : 아크릴로니트릴(70:30) 탄성체의 라텍스를 가하여서 혼합물중의 전체 함수량이 230phm. 되도록 한다. 여기에다 75phm의 아크릴로니트릴과 25phm의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가한다. 이 혼합물(pH6.8)은 질소기류 중에서 교반하고 혼액의 온도를 54℃로 가열한다.A mixture of 0.85phm 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70% active) and 0.30phm polyvinyl pyrrolidone in 205phm water is placed in a stainless steel polymerization vessel. To this mixture was added butadiene: acrylonitrile (70:30) elastomer latex containing 9phm of elastomer, and the total water content of the mixture was 230phm. Be sure to To this is added 75phm acrylonitrile and 25phm methyl acrylate. This mixture (pH6.8) is stirred in a stream of nitrogen and the temperature of the mixture is heated to 54 ° C.

여기에서 0.06phm의 과황산칼륨을 가한다.Here, 0.06phm potassium persulfate is added.

이때에 1.2phm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 -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를 첨가하기 시작하여 중합반응의 최초 80분에 걸쳐 첨가를 계속한다. 전중합반응 시간은 약 3.5시간이다. 반응혼액을 냉각시키며 이때의 전환율은 전체고체분석에 의했을때 75%가 된다. 생성된 라텍스의 일부를 명반을 함유한 온수(72내지 74℃)중에서 응결시킨다. 응결된 수지는 물로 세척하고 진공중에서 건조한다. 수지의 분자량은 335.784(중량 평균)이다. 10분간의 브라벤더플라스티코더 토르크(230℃, 35rpm)는 5000메타그람이다.At this point, 1.2 phm of pentaerythritol tetra-3-mercaptopropionate is added and the addition is continued over the first 80 minutes of the polymerization. The prepolymerization time is about 3.5 hours. The reaction mixture is cooled down and the conversion is 75% by total solids analysis. A portion of the resulting latex is condensed in warm water (72-74 ° C.) containing alum. The coagulated resin is washed with water and dried in vacuo.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esin is 335.784 (weight average). The 10 minute Brabender plasticoder torque (230 ° C., 35 rpm) is 5000 metagrams.

B.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수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B. Resin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실시예 1A와 동일하게 시행하되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틸아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가하기전에 0.067phm의 인산을 가한다. 중합반응 출발혼액의 pH는 3.2다. 이러한 경우 전환율은 이론치의 92%이며 생성된 수지의 분자량은 126,885이고 230℃, 35rpm 및 10분의 브라벤다 토르크(Brabender torgue)는 2120메타그람이다. 그러므로 이 수지는 열가소성의 물질을 다루는데 흔히 사용되는 조작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분자량을 가지고 있으며 그반면 이상의 A에서 기술된 수지는 적용시키기에 너무 큰 분자량을 가지고있다.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A was carried out, but 0.067phm of phosphoric acid was added before the acrylonitrile and methylethyl acrylate monomers were added. The pH of the polymerization starting mixture is 3.2. The conversion in this case is 92% of theory and the resulting resin has a molecular weight of 126,885 and a Brabender torgue of 230 ° C., 35 rpm and 10 minutes is 2120 metagrams. Therefore, this resin has a molecular weight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operations commonly used to handle thermoplastic materials, while the resins described in A above have a molecular weight that is too large for application.

C. 이 실시예의 B조작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0.067phm의 인산대신에 0.1phm의 인산을 가한다.C. Follow the same procedure as in B of this example, but add 0.1phm phosphoric acid instead of 0.067phm phosphoric acid.

중합혼액의 pH는 3이하다. 전환율은 89%이며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수지의 분자량은 120,%7이고 230℃, 35rpm 및 10분후의 브라벤다 토르크는 1440메타그람이다. 본 실시예의 B와 C에서 형성된 소량의 프리플럭(prefloc)은 부드러우며 잘 부서지기 쉽고 반응기의 스텐레스-스틸내부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반면 본실시예의 A에서 형성된 프리플럭은 단단하고 다루기 힘드며 반응기의 스텐레스-스틸내부에 집요하에 부착되어 있다.The pH of the polymerization mixture is 3 or less. The conversion rate is 89% and the resulting resin has a molecular weight of 120,% 7 and Bravenda torque after 230 ° C., 35 rpm and 10 minutes is 1440 metagrams. The small amounts of prefloc formed in B and C of this embodiment are soft, brittle and easily removable from the stainless steel interior of the reactor, whereas the prefloc formed in A of this embodiment is hard, unwieldy and reactive. It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tainless steel of the house.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의 방법을 따르되 0.85phm의 디옥틸 나트륨 설포석시네이트, 0.3phm의 폴리비닐피롤리돈, 0.05phm의 에틸렌 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의인산, 0.1phm의 인산 및 230phm의 물을 질소기류하에 스텐레스-스틸 중합 반용기내에서 교반시키고 반응액의 온도를 40℃로 만든다. 탄성체, 과황산칼륨 및 모노마를 실시예 1(pH3)에 기술한 대로 가하고 온도를 54℃로 한다.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3-메르캅토 프로피오네이트 1.2phm)을 처음 30분에 걸쳐 혼액에 가한다. 3.25시간의 중합반응후에 혼액의 온도를 57℃로 올리며 전체의 중합반응시간은 6.5시간이 되게한다. 전환율은 이론치의 79%이며 분리한 수지의 분자량은 126,675이고 브라벤다 토르크는 1460메타그람이다. 소량의 프리플럭(prefloc)은 부드럽고 푸석푸석하며 반응기의 내부나 교반기의 집요하게 부착되지 않는다.Following the method of Example 1, 0.85phm of 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0.3phm of polyvinylpyrrolidone, 0.05phm of phosphate of ethylene diaminetetraacetic acid, 0.1phm of phosphoric acid and 230phm of water were Stirring in a steel polymerization vessel and bring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to 40 ° C. An elastomer, potassium persulfate and monoma are added as described in Example 1 (pH 3) and the temperature is 54 ° C. Pentaerythritol tetra-3-mercapto propionate 1.2 phm) is added to the mixture over the first 30 minutes. After 3.25 hours of polymerization, the temperature of the mixture is raised to 57 ° C and the total polymerization time is 6.5 hours. The conversion is 79% of theor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separated resin is 126,675 and the Bravenda torque is 1460 metagrams. Small amounts of prefloc are soft and crumb and do not stick to the interior of the reactor or the stirrer.

[실시예 3]Example 3

A. 0.85phm의 디옥틸나트륨 설포석시네이트, 0.3phm의 폴리비닐 피롤리돈, 204phm의 물, 0.08phm의 아스크르브산 및 0.07phm의 나트륨 디하이드로겐 인산일수화물을 스텐레스 스틸 중합 반응기내에 가한다. 이 혼액을 질소기류하에서 교반하고 온도가 40℃가 되도록 가열한다. 이때에 10.3phm(고형물 기준)의 70:30의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롤 탄성체로 이루어진 라텍스를 가하여서 혼합액의 전체 함수량이 230phm이 되게 한다. 모노머와 반응 개시제(0.06phm의 과황산칼륨)를 실시예 1A에서와 같이 가한다.A. 0.85phm of 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0.3phm of polyvinyl pyrrolidone, 204phm of water, 0.08phm of ascorbic acid and 0.07phm of sodium dihydrogen phosphate monohydrate are placed in a stainless steel polymerization reactor. Add. The mixture is stirred under a stream of nitrogen and heated to a temperature of 40 ° C. At this time, a latex made of 70:30 butadiene: acrylonitrile elastomer of 10.3 phm (based on solids) is added to make the total water content of the mixed solution be 230 phm. Monomer and reaction initiator (0.06phm potassium persulfate) are added as in Example 1A.

혼액(pH5.7)은 54℃가 되도록 하며 1.3phm의 쇄 전이제, 펜타에티스리톨테트라-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를 중합반응 혼액에다 반응초기 30분에 걸쳐 지속적으로 가한다. 전체중합반응의 시간은 3.5시간이다. 라텍스를 제거한다음 0.25중량%의 프리플럭만이 얻어지며 이 고형물질은 부드럽고, 잘 부서지며 스텐레스 스틸 반응기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전환율은 이론치의 77%이다. 생성된 수지의 분자량은 126,176이며 230℃, 35rpm, 15분후의 브라벤더 토르크는 1290메타그람이다.The mixture (pH5.7) is brought to 54 ° C and 1.3 phm of chain transfer agent, pentaethistitol tetra-3-mercaptopropionate, is continuously added to the polymerization mixture over the initial 30 minutes. The total polymerization time is 3.5 hours. After removal of the latex, only 0.25% by weight of prefloc is obtained and the solid material is soft, brittle and easily separated from the stainless steel reactor. The conversion rate is 77% of theory. The resulting resin had a molecular weight of 126,176 and a Brabender torque of 230 ° C., 35 rpm, and 15 minutes was 1290 metagrams.

B. 이실시예 A의 방법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0.08phm의 아스코르브산은 포함시키지 않는다(pH6.6). 전환율은 이론치의 84%이며 생성된 수지의 분자량은 193,336이고, 230℃,35rpm 및 15분후의 브라벤다 토르크는 2860메타그람이다. 그러나 이수지는 산 활성법으로 제조되지도 않고 너무 큰 분자량과 높은 브라벤더 토르크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B. Perform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A, but do not include 0.08phm of ascorbic acid (pH6.6). The conversion is 84% of theory and the resulting resin has a molecular weight of 193,336 and the Bravenda torque after 230 ° C., 35 rpm and 15 minutes is 2860 metagrams. However, the resin is not manufactured by the acid activity method and has too high molecular weight and high brabender torque and thus is not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4]Example 4

A. 가파크 RE 0-610유화제는 인산으로 치환되었기 때문에 산성인 노닐 페녹시 폴리(에틸렌옥시)에 타놀로 이루어진 인산 에스테르의 혼액이다. 205phm의 물에다 1.25phm의 가파크 RE-610을 용해한다.A. Gapac RE 0-610 emulsifier is a mixture of phosphate esters consisting of tanol in nonyl phenoxy poly (ethyleneoxy) which is acidic because it has been replaced by phosphoric acid. Dissolve 1.25phm of Gapark RE-610 in 205phm of water.

이 혼액에다가 70 : 30부타디엔 : 아크릴토니트릴 탄성체로 이루어진 9phm의 라텍스(고무 고형물 기준)을 가하는데 이 라텍스 중에는 수분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어서 혼액중의 전체 함수량이 230phm이 된다. 이혼액의 pH는 희수성 수산화칼륨을 가하여서 3.7로 맞추며 생성된 혼액은 스텐레스 스틸 중합반응용기내에 가한다. 모노마 (75phm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25phm의 메틸아크릴레이트)를 반응기에 가하고 질소기류하에서 가열 및 교반시켜서 최초온도가 57℃가 되도록 한다. 0.06phm의 과황칼륨을 가하여서 중합반응을 개시한다음 1.6phm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3-메르캅토 프로피오네이트를 75분에 걸쳐 반응액에 지속적으로 가한다. 4시간동안 반응시킨 후에 생성된 라텍스를 냉각시켜 반응기로부터 분리한다. 전환율은 85%이며 생성된수지의 분자량은 104,030이고 브라벤다토르크는 870메타그람이다.To this mixture is added 9phm latex (based on rubber solids) consisting of 70:30 butadiene: acrylonitrile elastomer. The latex contains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so that the total water content of the mixture is 230phm. The pH of the distillate was adjusted to 3.7 by adding rare water potassium hydroxide and the resulting mixture was added to the stainless steel polymerization vessel. Monoma (75phm of acrylonitrile and 25phm of methylacrylate) is added to the reactor and heated and stirred under a stream of nitrogen to bring the initial temperature to 57 ° C. Initiate the polymerization by adding 0.06phm potassium persulfate and 1.6phm of pentaerythritol tetra-3-mercapto propionate is continuously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over 75 minutes. After reacting for 4 hours, the resulting latex is cooled and separated from the reactor. The conversion rate is 85%, the resulting resin has a molecular weight of 104,030 and Brabenda Torque is 870 metagrams.

B. 본 실시예의 A조작을 반복하되 가파크 RE-610유화제-물-탄성체 혼액의 pH를 희수산화 칼륨액으로 4.2에 맞춘다. 전환율은 이론치의 80%이며 생성된 수지의 브라벤다토르크는 1540메타그람이다.B. Repeat operation A of this example, but adjust the pH of the Gapark RE-610 emulsifier-water-elastic mixture to 4.2 with dilute potassium hydroxide solution. The conversion is 80% of theory and the Bravenda Torque of the resulting resin is 1540 metagrams.

C. 본실시예의 A조작을 반복하되 가파크 RE-610 유화제 ―물―탄성체 혼액의 pH를 희수산화칼륨액으로 4.5에 맞춘다. 전환율은 이론치의 85%이며 생성된 수지의 분자량은 164,894이고 230℃, 35rpm 및 15분후의 브라벤다토르크는 2280메타그람이었다. 그러므로 중합반응혼액의 pH를 3.7에서 4.5로 올리기만 해도 분자량이 104,030에서 164,894로 증가되며 브라벤다토르크도 870메타그람에서 2280메타그람으로 증가된다.C. Repeat operation A of the present example, and adjust the pH of the Gapark RE-610 emulsifier-water-elastic mixture to 4.5 with dilute potassium hydroxide solution. The conversion was 85% of theory and the resulting resin had a molecular weight of 164,894 and Bravenda Torque at 230 ° C., 35 rpm and 15 minutes was 2280 metagrams. Therefore, simply increasing the pH of the polymerization mixture from 3.7 to 4.5 increases the molecular weight from 104,030 to 164,894 and the bravenda torque increases from 870 to 2280 metagrams.

D. 실시예 4A의 조작을 반복하되 가파크 -물-탄성체 혼액의 pH를 희수성 수산화칼륨액으로 3.7에 맞추고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주밖에 속한 본 실험에 있어서는 90.5%의 전활율을 이루기 위해 소량(0.1phm)의 나트륨메타비설파이트를 가하고 0.09phm의 과황산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분리된 수지의 브라벤다 토르크는 230℃, 35rpm 및 15분후에 3470메타그람이다. 수지는 브라벤다내에서 완전히 용융하지 않으며 그 분자량은 293,480이다.D. Repeat the operation of Example 4A, but adjust the pH of the GaPark-water-elastomer mixture to 3.7 with rare water potassium hydroxide and do not use pentaerythritol tetra-3-mercaptopropionate. In this experiment, which is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add a small amount (0.1phm) of sodium metabisulfite and use 0.09phm of potassium persulfate to achieve 90.5% electrolysis rate. The bravenda torque of the isolated resin is 3470 metagrams after 230 ° C., 35 rpm and 15 minutes. The resin does not melt completely in Bravenda and has a molecular weight of 293,480.

E. 이상의 조작 D를 반복하되 pH를 4.5로 한다. 전화율은 92%이며 생성된 수지는 230℃와 35rpm 조건하에 브라벤다 내에서 용융되지 않는다. 수지의 분자량은 371,092이다. 전술한 D와 E 브로터 고농도의 니트릴을 함유한 수지의 분자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메르캅탄과 저 pH조건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E. Repeat the above operation D but change the pH to 4.5. The conversion rate is 92% and the resulting resin does not melt in Bravenda under 230 ° C. and 35 rpm condition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esin is 371,092. It can be seen that mercaptan and low pH conditions are essential to properly control the molecular weight of the above-mentioned resin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nitrile in D and E broth.

[실시예 5]Example 5

본 실시예는 제조하는 수지의 분자량을 조절키 위하여 구연산을 메르캅탄과 함께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citric acid with mercaptan to control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esin to be produced.

A. 0.85phm의 디옥틸나트륨 설포석시네이트, 0.5phm의 폴리비닐 피롤리돈. 210phm의 물, 9phm(고형물질 기준)의 70 :30부타디엔 : 아크릴로니트릴 고무라텍스 (전체 함수량이 240phm이 되도록 충분한 물 함유) 및 0.035phm의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의 혼합물을 스텐레스 스틸중합반응기에 가한다. 여기에 75phm의 아크릴로니트릴과 25phm의 메틸아크릴레이트를 가한다. 여기에 0.04phm의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를 가하고 이혼액(pH 4.2)을 질소기류하에서 교반하여 57℃로 가열한다. 0.04phm의 과황산칼륨을 가하고 16분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1.6phm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3-메르캅토 프로피오네이트를 가한다. 57℃에서 전중합화 반응 소요시간은 3.75시간이다. 전환율은 이론치의 89%이며 생성된 수지는 230℃, 35rpm, 15분후에 860메타그람의 브라벤다 토르크를 나타낸다.A. 0.85phm of dioctylsodium sulfosuccinate, 0.5phm of polyvinyl pyrrolidone. A mixture of 210 phm of water, 9 phm of 70:30 butadiene: acrylonitrile rubber latex (containing sufficient water to have a total water content of 240 phm) and 0.035 phm of citric acid monohydrate is added to a stainless steel polymerization reactor. 75phm of acrylonitrile and 25phm of methyl acrylate are added thereto. 0.04 phm of citric acid monohydrate is added thereto, and the distillate (pH 4.2) is stirred under a nitrogen stream and heated to 57 ° C. 0.04 phm potassium persulfate is added and 1.6 phm of pentaerythritol tetra-3-mercapto propionate is added continuously over 16 minutes. The time required for the prepolymerization reaction at 57 ° C. was 3.75 hours. The conversion is 89% of theory and the resulting resin shows 860 metagrams of Bravenda torque after 230 ° C., 35 rpm, 15 minutes.

B. 본 실시예의 A에 기술된 방법에 유사하되 사트르산 (pH 6.8)을 사용치 않고 중합화반응을 일으킨다. 전환율은 이론치의 82%이며 생성된 수지는 1900메타그람의 브라벤다토르크를 나타낸다.B. Similar to the method described in A of this example, but without the use of satric acid (pH 6.8) to cause polymerization. The conversion is 82% of theory and the resulting resin shows 1900 metagrams of Bravenda Torque.

[실시예 6]Example 6

본 실시예는 수지의 분자량 조절을 위해 사용하는 메르캅탄에 대한 활성제로서 3-메르캅토프로피온산을 사용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This example describes a method of using 3-mercaptopropionic acid as an activator for a mercaptan used for molecular weight control of a resin.

A. 0.85phm의 디옥틸 나트륨 설포석시네이트, 0.3의 폴리비닐 피롤리돈, 9phm(고형물질 기준)의 70 : 30 부타디엔 :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및 240phm의 물을 스텐레스-스틸 반응기에 가하고 여기에다 75phm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25phm의 메틸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한다. 혼액은 질소기류하에서 교반하고 57℃로 가열하며 중합 반응은 0.06phm의 과황칼륨을 첨가함으로서 개시된다. 20분간 반응시킨후에 4.05의 산가를 가진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및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3-메르캅토 프로피오네이트 혼액 1.6phm을 40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중합반응 혼액 (pH 4.8)에 가한다. 전체반응시간은 5시간이며 전환율은 이론치의 78%이다. 생성된 수지는 230℃, 35rpm 및 15분후에 1670메타그람의 브라벤다 토르크를 나타낸다.A. 0.85phm of 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0.3 polyvinyl pyrrolidone, 9phm (based on solids), 70:30 butadiene: acrylonitrile rubber and 240phm of water were added to a stainless-steel reactor, followed by 75phm Acrylonitrile and 25 phm of methyl acrylate are added. The mixture is stirred under a stream of nitrogen and heated to 57 ° C. an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initiated by adding 0.06phm potassium persulfate. After reacting for 20 minutes, 1.6 phm of 3-mercapto propionic acid and pentaerythritol tetra-3-mercapto propionate mixture having an acid value of 4.05 is continuously added to the polymerization mixture (pH 4.8) over 40 minutes. The total reaction time is 5 hours and the conversion is 78% of theory. The resulting resin exhibits 1670 metagrams of Bravenda torque after 230 ° C., 35 rpm and 15 minutes.

B. 본 실시예의 조작 A를 반복하되 사용된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메르캅탄 혼액의 산가는 21.9였다.B. The operation A of this example was repeated but the acid value of the 3-mercapto propionic acid-mercaptan mixture used was 21.9.

(중합혼액의 pH는 3.8). 전화율은 이론치의 79%이며, 생성수지의 브라벤다 토르크는 230℃, 35rpm 및 15분후에 840메타그람이다.(The pH of the polymerization mixture is 3.8). The conversion rate is 79% of theory, and the bravenda torque of the produced resin is 840 metagrams after 230 ° C., 35 rpm and 15 minutes.

[실시예 7]Example 7

이 실시예는 수지의 분자량 조절제로 사용하는 메르캅탄의 활성제로서 아세트산을 사용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This example describes a method of using acetic acid as an activator of mercaptan used as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of a resin.

실시예 6A의 방법을 반복하되 3-메르캅토 프로피온산 대신에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0.00858phm의 아세트산과 1.6phm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혼액을 사용한다. 중합반응혼액의 pH는 5.8이다. 전환율은 이론치의 84%이며 생성수지의 브라벤다 토르크는 230℃, 35rpm, 15분후에 1240메타그람이다.The method of Example 6A is repeated but a mixture of 0.00858 phm of acetic acid and 1.6 phm of pentaerythritol tetra-3-mercaptopropionate is mixed using acetic acid instead of 3-mercapto propionic acid. The pH of the polymerization mixture is 5.8. The conversion rate is 84% of theory and the bravenda torque of the produced resin is 1240 metagrams after 230 ° C., 35 rpm, and 15 minutes.

[실시예 8]Example 8

A. 200phm의 물, 1.0phm의 나트륨 디옥틸 설포석시 네이트 및 0.5phm의 레시틴 (50% 활성)의 혼액을 중합 반응기내에 가한다. 이 혼액에다 75phm의 아크릴로니트릴, 25phm의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1.0phm의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3-메르캅토 프로피오네이트를 가한다.A. A mixture of 200phm water, 1.0phm 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and 0.5phm lecithin (50% activity) is added into the polymerization reactor. To this mixture are added 75phm of acrylonitrile, 25phm of methyl acrylate and 1.0phm of pentaerythritol tetra-3-mercapto propionate.

이혼액(pH 6.8)은 질소로 통기하고 여기에 0.1phm의 과황산칼륨을 가한다. 중합반응은 60℃에서 진탕시키면서 15.5시간동안 이루어진다. 전환율은 95%다. 생성수지의 브라벤다 토르크는 230℃, 30rpm, 15분후에 300메타그람이다.Divorce (pH 6.8) is aerated with nitrogen and 0.1phm potassium persulfate is added to i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carried out for 15.5 hours with shaking at 60 ° C. The conversion rate is 95%. The bravenda torque of the produced resin was 300 metagrams after 230 ° C., 30 rpm, and 15 minutes.

이 수지는 잘 다루기에 너무 분자량이 크며 본 발명의 범주밖에 속한다.This resin is too large to handle well and falls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 조작 A를 반복하되 중합반응 조성물(pH4.5)로서 0.0379phm의 3-메르캅토프로피온산을 사용한다. 전환율은 이론치의 93%이며, 생성된 수지는 230℃, 35rpm, 15분후 2080메타그람의 브라벤다 토르크를 나타낸다.B. Repeat operation A but use 0.0379 phm of 3-mercaptopropionic acid as the polymerization composition (pH4.5). The conversion is 93% of theory, and the resulting resin exhibits 2080 metagrams of Bravenda torque after 230 ° C., 35 rpm, and 15 minutes.

[실시예 9]Example 9

A. 250phm의 물 및 2phm의 가파크 RE-60유화제를 스텐레스-스틸 중합반응기내에 가한다. 혼액의 pH는 3.1이다. 이혼액에다 8.24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모노머 혼액과 10중량%의 리모넨 디메르캅탄(전체 0.1phm)을 가한다. 혼액을 교반하고 질소기류를 통기하며 70℃로 가열하는데 이때 0.1pHm의 아조비스이소 부티로니트릴을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시킨다.A. Add 250 phm of water and 2 phm of Gapark RE-60 emulsifier into the stainless-steel polymerization reactor. The pH of the mixture is 3.1. To the divorce was added 8.24% by weight of acrylonitrile-styrene monomer mixture and 10% by weight of limonene dimercaptan (total 0.1 phm). The mixture is stirred, ventilated through a stream of nitrogen, and heated to 70 ° C. at which time 0.1 pHm of azobisisobutyronitrile is added to initiate the reaction.

모노마-메르캅탄 혼액 나머지를 5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가한다. 이 혼액은 67.5phm의 아크릴로니트릴, 24.83phm의 스티렌 및 0.9phm의 리모넨디메르캅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모노마-메르캅탄을 가하는 중에 혼액에다 반응개시후 1.5 및 3.0시간에 0.025phm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더 가하여 반응을 왕성케 한다.The rest of monoma-mercaptan mixture is added continuously over 5 hours. This mixed solution consists of 67.5 phm of acrylonitrile, 24.83 phm of styrene and 0.9 phm of limonene dimercaptan. In addition to the imanoma-mercaptan, the reaction is energized by adding 0.025phm of azobisisobutyronitrile at 1.5 and 3.0 hours after the start of the reaction.

모노마-메르캅탄 혼액을 가한다음 중합반응혼액을 70℃에서 30분간 더 가열한다. 전환율은 85%다.After adding the mono-mercaptan mixture, the polymerization mixture is further heated at 70 ° C for 30 minutes. The conversion rate is 85%.

생성된 수지의 분자량은 88.550이며 브라벤다 토르크는 950메타그람이다.The resulting resin has a molecular weight of 88.550 and Bravenda torque is 950 metagrams.

B. 본 실시예의 조작 A를 반복하되 가파크 RE-610-물 혼액의 pH를 어느 성분을 가하기전에 희수산화칼륨으로 7에 맞춘다. 전환율은 이론치의 88%이며 생성된 수지의 분자량은 139,500이면 그 브라벤다 토르크는 2050메타그람이다.B. Repeat operation A of this example and adjust the pH of the GaPark RE-610-water mixture to 7 with dilute potassium hydroxide before adding any component. The conversion is 88% of theory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esulting resin is 139,500, the bravenda torque is 2050 metagrams.

[실시예 10]Example 10

A. 실시예 9A의 조작을 반복하되 1.0phm의 t-부틸메르캅탄 대신에 1.0phm의 리모넨디메르캅탄을 사용한다. 가파크 RE-610혼액의 pH-3.0는 이다. 전환율은 이론치의 80%이며, 생성된 수지의 분자량은 110,000이며 그 브라벤다토르크는 1680메타그람이다.A. Repeat the procedure of Example 9A but use 1.0 phm limonenedimercaptan instead of 1.0 phm t-butyl mercaptan. The pH-3.0 of GaPark RE-610 mixed solution is. The conversion is 80% of theory, the resulting resin has a molecular weight of 110,000 and its Brabendatorque is 1680 metagrams.

B. 본 실시예 A조작을 반복하되 가파크 RE-610-물 혼액의 pH를 기타 조성을 첨가하기 전에 희수산화칼륨으로 7에 맞춘다. 전환율은 이론치의 83%이며, 생성된 수지의 분자량은 234,100이고 브라벤다토르크는 3560메타그람이다.B. Repeat Example A operation but adjust the pH of the GaPark RE-610-water mixture to 7 with dilute potassium hydroxide before adding other compositions. The conversion is 83% of theor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esulting resin is 234,100 and Brabenda Torque is 3560 metagrams.

[실시예 11]Example 11

A. 205phm의 물 및 1.25phm. 가파크 RE-610혼액의 pH를 희수산화칼륨 용액을 가하여 5.2에 맞춘다. 중합반응기내의 이혼액에다 9phm(고형물기준)의 70 :30부타디엔 : 아크릴로니트릴 탄성체 라텍스를 가하여 혼합물중의 전체 함수량이 230phm이 되도록 한다. 75phm아크릴로니트릴-25phm의 메틸아크릴레이트 혼액의 90중량%를 가하고 모노마 혼액의 나머지 10중량%를 메르캅탄(1.2phm의 t-부틸메르캅탄)에 대한 용매로 사용하는데 이 메르캅탄은 일단 중합반응이 시작된 후 75분에 걸쳐 가한다. 중합반응은 60℃에서 질소기류하에 0.06phm의 과황산칼륨을 가하여 교반함으로서 시작된다. 전체반응시간은 3.5시간이며 전환율은 95%다. 생성된 수지의 분자량은 118,000이며 그 브라벤다토르크는 1750메타그람이다.A. 205 phm of water and 1.25 phm. The pH of GaPark RE-610 mixture is adjusted to 5.2 by the addition of dilute potassium hydroxide solution. To the distillate in the polymerization reactor is added 9phm (solid basis) of 70:30 butadiene: acrylonitrile elastomer latex so that the total water content of the mixture is 230phm. 90% by weight of 75phm acrylonitrile-25phm methylacrylate mixture is added and the remaining 10% by weight of the monoma mixture is used as a solvent for mercaptan (1.2phm t-butyl mercaptan). Add 75 minutes after this begins.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started by adding 0.06phm potassium persulfate and stirring under nitrogen stream at 60 ° C. The total reaction time is 3.5 hours and the conversion is 95%. The resulting resin had a molecular weight of 118,000 and its Bravenda torque was 1750 metagrams.

B. 본 실시예의 A조각을 반복하되 기타성분을 가하기전 가파크 RE-610-물 혼액을 중화시켜 pH를 2.1에 맞춘다. 전환율은 93%이며 생성된 수지의 분자량은 107.000이며 그 브라벤다 토르크는 1440메타그람이다.B. Repeat piece A of this example, but neutralize GaPPAR RE-610-water mixture before adding other ingredients to adjust pH to 2.1. The conversion is 93%, the resulting resin has a molecular weight of 107.000 and its Bravenda torque is 1440 metagrams.

[실시예 12]Example 12

A.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수지를 pH가 7.0인 수성 현탁액법으로 제조한다. 0.1phm의 하이드록시에틸 셀루로스 및 300phm의 물 혼액을 중합반응기내에 가한다. 이 혼액에다 75phm의 아크릴로니트릴, 2phm의 스티렌 및 0.2phm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3-메르캅토프로 피오네이트를 가한다. 이 혼액은 질소 기류하에 교반하면서 60℃로 가열하고 이때에 0.1phm의 Va 2052(2,2'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개시제를 가한다. 15분후에 23phm의 스티렌과 0.8phm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3-메르캅토 프로피오네이트 혼액을 3시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가한다. 반응개시후 이 3시간 동안에 0.05phm의 Vaso 52개시제를 1.25시간과 2.25시간후에 가한다. 스티렌-메르캅탄 혼액첨가가 완결된 후 반응혼액은 60℃에서 15분간 더 교반한다. 혼액은 실온으로 냉각하고 생성된 수지는 여과하여 분리시켜 물로 세척한다. 수지는 감압하 및 50℃에서 48시간동안 건조한다. 전환율은 70%다. 건조된 수지의 브라벤다 토르크는 230℃, 35rpm, 15분후에 4000메타그람이상이다.A. A resin not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prepared by an aqueous suspension method with a pH of 7.0. 0.1 phm of hydroxyethyl cellulose and 300 phm of water mixture are added into the polymerization reactor. To this mixture is added 75phm of acrylonitrile, 2phm of styrene and 0.2phm of pentaerythritol tetra-3-mercaptopropionate. The mixture is heated to 60 ° C. with stirring under a stream of nitrogen, at which time 0.1 phm of Va 2052 (2,2 ′ azobis- (2,4-dimethylvaleronitrile) initiator is added. After 15 minutes, 23 phm of styrene 0.8 phm of pentaerythritol tetra-3-mercapto propionate mixture is continuously added over 3 hours, 0.05 hours of Vaso 52 initiator is added after 1.25 hours and 2.25 hours after the start of the reac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ercaptan mixture, the reaction mixture is further stirred for 15 minutes at 60 ° C. The mixture i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the resulting resin is separated by filtration and washed with water The resin is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at 50 ° C. for 48 hours. The conversion rate is 70% The bravenda torque of the dried resin is more than 4000 metagrams after 230 ° C., 35 rpm, and 15 minutes.

B. 본 실시예의 A를 반복하되 물과 모노마의 최초 중합반응 혼액에 인산을 충분히 가하여서 pH를 5가되도록 한다. 중합체 전환율은 78%이다. 이 수지는 230℃, 35rpm, 15분후에 1700메타그람의 브라벤다 토르크를 나타낸다.B. Repeat A of this example, but add enough phosphoric acid to the initial polymerization mixture of water and monoma to bring the pH to 5. Polymer conversion is 78%. This resin exhibits 1700 metagrams of Bravenda torque after 230 ° C., 35 rpm, and 15 minutes.

Claims (1)

수성매체중에서 약 0내지 100℃에서 분자상 산소의 실질상 부존재하에 유리기 발생 중합개시제에 의하여By free radical-generating 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aqueous medium in the substantial absence of molecular oxygen at about 0 to 100 ℃ (A) 구조식
Figure kpo00009
(A) structural formula
Figure kpo00009
(단, R은 수소, 1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기, 또는 할로겐임)을 갖는 적어도 1종의 니트릴 60내지 90중량%[(A)와 (B)의 합계 중량기준으로]와.Wherein R is hydrogen, a lower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halogen; 60 to 90% by weight of at least one nitril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 and (B). (B) (i) 구조식
Figure kpo00010
(B) (i) structural formula
Figure kpo00010
(단, R1은 수소 1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알킬기, 또는 할로겐이며, R2는 1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임)을 갖는 에스테르, (ⅱ) 구조식
Figure kpo00011
Wherein R 1 is a lower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a halogen, and R 2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and (ii) a structural formula
Figure kpo00011
(단 R′및 R″은 1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임)을 갖는 α-올레핀, (ⅲ)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프로필비닐에테르류, 부틸비닐에테르류로 이루어진 군(群)에서 선정된 비닐에테르, (ⅳ)비닐아세테이트, (ⅴ)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정된 적어도 1원(員)의 10내지 40중량%[(A)와 (B)의 합계중량기준으로]와의 100중량부를 (C)부타디엔 및 이소푸렌의 군에서 선정된 공액디엔단량체와 스티렌, 구조식
Figure kpo00012
(단 R은 상술한 바와 같음)을 갖는 니트릴단량체, 구조식
Figure kpo00013
(단 R1및 R2는 상술한 바와 같음)을 갖는 에스테르군에서 선정된 코모너머의 고무상 중합체 (단 이 고무상 중합체는 중합한 공액디엔 50내지 100중량%와 코모너머 0내지 50중량%를 함유) 0내지 40중량부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중합반응을 (A)부와 (B)부의 합계 중량기준으로 0.01내지 3중량%의 메르캅탄존재하에 6.5이하의 pH에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방법.
(Where R ′ and R ″ are alkyl groups having 1 to 7 carbon atoms), (α) group consisting of methyl vinyl ether, ethyl vinyl ether, propyl vinyl ether, and butyl vinyl ether 10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 and (B)) of at least 1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ether, (vinyl acetate) and (styrene) (C) conjugated diene monomer and styrene selected from the group of (C) butadiene and isoprene, structural formula
Figure kpo00012
Nitrile monomer having the formula (wherein R is as described above)
Figure kpo00013
(However, R 1 and R 2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rubber-like polymer of the co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of ester (however, this rubber-like polymer is 50 to 100% by weight polymerized conjugated diene and 0 to 50% by weight comonomer) In the method of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0 to 40 parts by weigh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carried out at a pH of 6.5 or less in the presence of 0.01 to 3% by weight of mercapta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arts (A) and (B). The polymerization method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770001149A 1977-05-14 1977-05-14 Mercaptan activation by acid in the co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KR8100003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1149A KR810000396B1 (en) 1977-05-14 1977-05-14 Mercaptan activation by acid in the co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1149A KR810000396B1 (en) 1977-05-14 1977-05-14 Mercaptan activation by acid in the co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396B1 true KR810000396B1 (en) 1981-04-27

Family

ID=1920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01149A KR810000396B1 (en) 1977-05-14 1977-05-14 Mercaptan activation by acid in the co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396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2818A (en) Mercaptan activation by acid in the co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US3998998A (en) Novel copolymers of dicyano-substituted 1,3-dienes
JPS6231002B2 (en)
US4055713A (en) Iodine molecular weight regulators in suspension polymerization systems
US4338425A (en) Process for preparing diene-containing rubbers having improved green strength
US485974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graft polymers of high rubber content
US3983187A (en) Iodine molecular weight regulators in suspension polymerization systems
KR810000396B1 (en) Mercaptan activation by acid in the co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US2847404A (en) High stability latices
US3891722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impact-resistant polymerizates of olefinic nitriles and diene rubbers
US3880786A (en) Graft copolymer preparation
US3347837A (en) Process for isolating carboxylic acidbearing chloroprene polymers
US3629370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rmoplastic-elastic moulding compositions of high impact and notched impact strength
CA1255436A (en) Sulphur-containing polymers
US3935148A (en) Recovery and recycle of latex produced in used aqueous suspension medium
JPS6123805B2 (en)
JP3325411B2 (en) Impact resistant high nitrile polym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4414359A (en) Diene-containing rubb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green strength
KR940011156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heat resistant copolymer
JPS6219445B2 (en)
KR920005670B1 (en) Process for preparing latex suitable for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impact resistance
US4076927A (en) Process for producing sulfur modified polychloroprene
US4155901A (en) Impact-resistant acrylonitrile copolymer process
US3137681A (en) Polymerization process and product
KR0131573B1 (en) Process of copolymer having high heat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