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268B1 - 3-피리딜메틸 n-(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피리딜메틸 n-(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268B1
KR810000268B1 KR760001523A KR760001523A KR810000268B1 KR 810000268 B1 KR810000268 B1 KR 810000268B1 KR 760001523 A KR760001523 A KR 760001523A KR 760001523 A KR760001523 A KR 760001523A KR 810000268 B1 KR810000268 B1 KR 81000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ocarbamate
pyridylmethyl
compounds
aci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섹스 킬본 에드워드
디터 웨일러 어니스트
데비드 웨이어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죠-지 다브류 에후 시몬즈
롬 앤드 하스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지 다브류 에후 시몬즈, 롬 앤드 하스 캄파니 filed Critical 죠-지 다브류 에후 시몬즈
Priority to KR76000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268B1/ko

Links

Landscapes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3-피리딜메틸-(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새로운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02
-(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화합물들은 단독투여 살서제로서 유용하며 높은 미끼 수용력(bait acceptance)을 갖는다.
본 발명은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03
-(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류와 이것들의 유기 및 무기산 첨가염류와 이것들의 금속착염류에 관한 것이다.
본 새로운 화합물류는 특히 이것들로 제조한 합성체 및 가공품에 있어서 페스트 설치류(pest rodents)의 구제 및 근절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류는 다음의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4
식중,
X는 시아노, 메틸시아노, 니트로, 메르캅토, 알킬티오, 알킬술피닐, 알킬술포닐, 알킬술퍼밀과 트리할로메틸 및 이것들의 산첨가염류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갖는 상기한 화합물의 금속착염류이다.
Figure kpo00005
식중,
X는 상기한 정의와 같다.
M은 Ca, Cu, Mn, Ni, Zn등과 같은 양이온이다.
Y는 Br-, Cl-, NO2 -, SO4 -, C2O4 -등과 같은, 양이온과 평형이 되는 음이온이다.
MY는 상기한 바와같이 M과 Y를 포함하는 금속염이고 3-피리디메틸
Figure kpo00006
-(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류와 함께 금속착염류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좀더 적합한 화합물류는 m이 1이고, X가 시아노, 니트로 또는 메틸티오 및 이것들의 산첨가 염류와 금속착염류인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화합물류의 설명에서 "알킬"이란 용어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1-6개의 탄소의 원자를 가진 알킬기를 의미하고 메틸기가 적합하다.
본 화합물류는 3-피리딜카르비놀과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 본 알콜을 수소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이것의 소디움 유도체로 전환시킨다. 본 반응을 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7
에틸렌글리콜, 디글림, 디에틸에테르등의 모노메틸에테르와 같은 불활성용매를 본 반응에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반응에서는 반응물을 당량비로 사용하지만 어떠한 반응물도 과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반응은 약 0℃-50℃에서 진행되며 실온이 적당하다.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과 같은 적합한 용매에 피리딘메틸티오카르바메이트를 용해하여 이것에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인산, 황산, 옥살산, 구연산, 능금산, 주석산 같은 산을 가하여 산첨가염 유도체를 제조한다.
이때 산은 피리딜메틸티오카르바메이트의 용액에 가하기 전에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등과 같은 적합한 용매에 용해된 용액으로서 또는 직접기체, 액체 및 고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염은 직접 여과하여 또는 용매를 농축시켜 여과하여 또는 건조할때까지 증발시켜 고체상태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착염류는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 케톤등과 같은 적합한 용매에 피리딜메틸티오카르바메이트를 용해시켜 이것에 Ca, Cu, Mn, Ni 및 Zn의 브롬화물류, 염화물류, 니트레이트류, 술페이트류, 옥살레이트류 등과 같은 금속염을 가하여 제조한다.
이때 금속염은 피리딜메틸티오카르바메이트에 가하기전에, 알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과 같은 적합한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으로서 또는 고체로서 사용한다. 이렇게 얻은 착화합물을 직접 여과하여 또는 용매를 농축시킨 후 여과하여 또는 건조할때까지 증발시켜 고체상태로 얻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류의 전형적인 제조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할 뿐이지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피리딜메틸 N-(4-시아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의 제조
50㎖의 글라임(glyme)에 용해된 3-피리딜카르비놀(2.18g, 0.02몰)에 NaH(57% 기름분산액 0.87g, 0.02몰)을 가한다. 2시간동안 방치한 후 50㎖의 글라임에 용해된 P-시아노페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3.2g, 0.02몰)를 방울방울 가한다. 이 현탁액을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톨루엔으로 재결정하면 목적물이 얻어진다.
수율 : 2.3g(43.5%), 융점 : 153-154℃
본 화합물은 적외선 스펙트럼(IR)에 의해 확인된다.
[실시예 2]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08
-(4-니트로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50㎖의 글림에 용해된 3-피리딜카르비놀(2.05g)에 NaH(57% 기름분산액 0.788g)을 교반하면서 조금씩 가한다. 혼합물에 P-니트로페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1.8g)을 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NaHCO3(약 25g)로 포화시키고 과량의 물을 가한다. 현탁액을 여과하여 얻어지는 고체를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목적물을 얻는다.
수율 : 2.g(46%), 융점 : 166-167℃
본 화합물은 IR에 의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09
-(4-메틸티오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25㎖의 글림에 용해된 3-피리딜카르비놀(1.09g)에 NaH(57% 기름분산액 0.42g)을 가한다. 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한후 20㎖의 글라임에 용해된 P-메틸티오페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1.81g)을 방울방울 가한다. 반응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한 후 NaHCO3로 포화시키고 과량의 물을 공급한다. 현탁액을 하룻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목적물을 얻는다.
수율 : 1.1g, 융점 : 140-142℃
본 화합물은 IR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실시예 4]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10
-(4-부티로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50㎖의 글라임에 용해된 3-피리딜카르비놀(1.09g) 용액에 NaH(57% 기름분산액 0.42g)를 가한다. 혼합물을 2시간동안 방치한 후 1분간 환류가열시킨다음 식히고 120㎖의 글림에 P-부티로페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2.05g)를 용해시킨 액을 방울방울 가한다. 반응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한 후 NaHCO3로 포화시키고 과량의 물을 공급한다. 현탁액을 하룻반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목적물을 얻었다.
수율 : 1g, 융점 : 119-121℃
본 화합물은 IR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실시예 5]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11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25㎖의 글라임에 용해된 3-피리딜카르비놀(2.18g)용액에 NaH(57% 기름분산액 0.87g)을 가하고 반응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한 후 1분간 환류 가열시킨다. 1시간동안 교반한 후 현탁액에 20㎖의 글림에 용해된 P-트리플루오로메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4.04g)용액을 방울방울 가한다. 반응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하고 NaHCO3로 포화시킨 후 과량의 물을 공급한다. 18시간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물로 씻고 메틸사이클로헥산으로 재결정하여 목적물을 얻는다.
수율 : 1.8g(29%), 융점 : 131-133℃
본 화합물은 IR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실시예 6]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12
-(4-시아노메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25㎖의 글라임에 용해된 3-피리딜카르비놀(1.25g)에 NaH(57% 기름분산액 , 0.485g)를 가하고 반응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한다. 여기에 20㎖의 글림에 용해된 P-시아노메틸페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2g)용액을 가하고 반응혼합물을 18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혼합물을 NaHCO3로 포화시키고 과량의 물을 공급한다. 현탁액을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목적물을 얻는다.
수율 : 1.12g, 융점 : 138-140℃
본 화합물은 IR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실시예 7]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13
-(4-시아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염산염의 제조
75㎖의 아세톤에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14
-(4-시아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1g, 0.0037몰)을 용해시킨 후 과량의 염화수소가스속을 통과시킨다. 생성된 침전을 아세톤으로 여과하면 0.9g의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15
-(4-시아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염산염이 얻어진다.
융점 : 198-199℃
[실시예 8]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16
-(4-시아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염화아연착화물의 제조
실시예 1의 염화아연 금속착염은 75㎖의 에틸쎌로솔브에 속아있는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17
-(4-시아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2.69g, 0.01몰)에 10㎖의 에틸쎌로솔브에 녹아있는 염화아연(0.68g, 0.005몰)용액을 가하고 교반하면 만들어진다. 이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30㎖의 메탄올을 가하여 여과하면 2.5g의 생성물이 얻어진다.
융점 : 174-175℃
[실시예 9]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18
-(4-시아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옥살레이트의 제조
실시예 1의 옥살레이트염은 75㎖의 메틸쎌로솔브에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19
-(4-시아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2.69g, 0.01몰)을 용해시켜 교반한 후 10㎖의 메틸쎌로솔브에 용해된 무수옥살산(12.6g, 0.01몰)용액을 가하여 만든다. 짙은 현탁액을 실온에서 18시간동안 방치한다. 이 혼합액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하면 2.75g이 얻어진다. 189℃에서 분해하면서 용해한다. 본 생성물의 구조는 적외선 스펙트럼에 의해 확인된다.
다음의 표 I에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조된 화합물들의 물리적 특성을 실었다.
[표 I]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에 따라 적합한 출발물질들을 사용할 때 다음의 화합물들이 제조된다.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22
-(4-메르캅토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23
-(4-메틸술피닐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24
-(4-메틸술포닐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25
-(4-이소부틸티오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26
-(4-헥실티오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27
-(4-이소펜틸술포닐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28
-(4-시아노메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29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30
-(4-이소헥산오일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31
-(4-니트로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32
-(4-메틸에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33
-(4-시아노에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34
-(4-디메틸퍼밀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35
-(4-아세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36
-(4-트리클로로메틸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37
-(4-헥실술피닐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38
-(4-부틸술퍼밀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및 이것들의 강산 첨가염류 및 금속착염류.
많은 화합물들이 설치류에 대해 독성이 있다. 그러나 페스트쥐가 자발적으로 충분한 양의 독약을 먹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이러한 화합물들은 살서제로서의 사용에 적당하지 않다. 또한 먹이 살서제는 고도의 안정성과 효과가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3-피리디메틸
Figure kpo00039
-(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류와 이것들의 유도체는 광범위한 페스트설치류에 대하여 고도의 독성을 지니고 보통 한번의 복용으로 구제에 충분하며 본 화합물류는 부주의하여 살서제의 제한된 량을 먹을 수도 있는 다른 종류의 동물의 존재하에서 사용하여도 비교적 안전하다.
더욱이 쥐와 다른 설치류는 본 화합물류가 먹이속에 있을 때 충분한 치사량만큼 잘 먹는다. 또한 본 화합물류는 천연 먹이위에 산포함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생쥐에 대해서는 그들이 앞발을 씻기위해 핥는 버릇을 이용하여 이들의 통로에 본 화합물류의 가루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류는 먹이, 통로용 분제 및 살포제로서 제형화할 수 있다.
먹이에는 벌레의 침입, 곰팡이의 성장이나 방지하는 방부제, 식용매개체 및 독약이 포함된다. 식용담체는 고양이나 개먹이 통조림과 같은 물기있는 물질 또는 사과, 달걀, 베이콘등의 부스러기와 같은 찌꺼기일 수 있다. 그러나 장시간 보존하려면 식용담체를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건조한 담체는 빻은 옥수수가루, 오트, 설탕, 당밀, 쌀, 채소기름, 소금, 건조한 과일, 생선가루, 탱키지(tankage) 또는 밀등의 천연식물 가공품일 수도 있다. 습기찬 곳에 사용할 때는 모체는 파라핀 왁스 또는 아크릴 중합체와 같은 물에 불용성 물질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류는 먹이 제제속에 독약으로써 넣을 수 있는데 단독으로 혹은 다른 독약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먹이속에 단독의 독약으로 사용할 때 본 발명의 화합물류는 살서제로서의 효과적인 어떠한 비율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독약에 대한 설치류의 감수성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제의 양에 따라 비율을 0.1% 이하로 하고 특히 생쥐에 대해서는 0.05% 이하로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인 양은 중량비로 약 0.5%-1.5% 사이이다. 실시예 10은, 비록 사용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제제의 광범위한 변형이 기대되지만, 한가지의 적합한 먹이제제를 나타내고 있다.
생쥐에 대하여 특히 효과적인 통로용분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단독의 고운 분말형태이거나 또는 설치류가 더욱 완전히 복용하여 치사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탈크(talc), 설탕, 분유, 인디언옥수수식품, 옥수수녹말, 밀가루, 벤토나이트(bentonite)와 같은 분제매개체와 혼합된 혼합화합물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은 0.75-100중량%로서 혼합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낮은 비율일 수도 있다. 두마리의 쥐에 50㎎/㎏ 및/또는 200㎎/㎏의 투여량으로 경구투여하여 흰쥐(Rattus norvergicns)를 치사케하는 능력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티오카르바메이트류의 치사능력이 예비평가되었다. 표준테스트에서는 쥐에 대한 효과가 14일간에 걸쳐 관찰된다.
2차시험으로서 표준 1조-선택테스트(standard paired preference test)가 사용되었다. 본 시험에서 설치류는 각각의 울속에서 본 화합물처리 먹이와 비처리먹이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도록 주어진다. 울속에는 2개의 먹이컵과 별도의 물용기가 마련된다. 이러한 시험은 실제적인 사용조건과 거의 유사하다.
본 시험에 사용하는 기본먹이는 다음과 같은 구성(모두 중량퍼센트)을 갖는다.
[실시예 10]
Figure kpo00040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41
-(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를 와링 실험실용 배합기(Waring laboratory blender)에서 위의 기본적인 먹이와 배합하여 50g의 균일 혼합물을 형성한다. 사용된 화합물의 양은 먹이에 필요한 활성요소의 비에 의해 결정된다.
독약을 함유한 혼합물 50g을 기본먹이 450g과 함께 혼합한다. 이러한 성분을 리틀포드로디지믹서(Little Ford Lodige Mixer)로 3분간 혼합한다. 기본먹이를 두개의 먹이통 각각에 하루에 필요한 양보다 조금 많게 준다. 하나에는 시험화합물을 처리하고 나머지에는 처리하지 않는다. 각각의 시험에서 흰쥐의 마리수를 암수 똑같이 한다.
각각의 먹이 내용물을 매일 측정하여 없어진 양만큼을 매일 보충하여 처음 무게와 같게한다. 울속에 있는 미끼와 실험용 먹이컵의 위치를 24시간마다 옮겨놓아 쥐가 어떠한 위치에서 먹이를 먹는 습관이 있는가를 관찰한다. 시험용 쥐들은 독약으로 처리한 먹이와 처리하지 않은 먹이를 자유로이 선택하고 사망율을 매일 기록한다.
각각의 울속에 있는 쥐들에게 투약량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가 표 Ⅱ에 나와있다.
[표 Ⅱ 살서제데이타]
Figure kpo00042
* 지붕쥐
본 발명의 독약이 들어있는 기본적인 먹이를 옥수수, 오트, 밀, 쌀, 보리등과 같은 곡물가루와 설탕, 당밀, 옥수수기름, 땅콩기름등과 같은 부형제(賦形劑)와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알맹이나 분제 또는 각지게 만들수 있다.
기본먹이를 구성하는 성분들의 정확한 비율은 중량이나 부피로 0.1-99.9%의 어느범위로도 할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유용한 제제는 다음 성분들로 구성된다. 모두 중량비이다.
Figure kpo00043
본 화합물의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44
-(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 이것들의 염류와 금속착염류는 페스트 설치류의 구제를 위한 살서제로서 유용하다. 이것들은 반-건조된 먹이 또는 통로에 사용할 분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역은 살서제 분야에서 기술은 가진자이면 누구나 제안할 수 있는 본 화합물과 이것들의 염류 및 금속착염류의 다른 사용방법들도 포함한다.

Claims (1)

  1. 같은 몰수의 3-피리딜메탄올과 NaH를 반응시켜 구조식(Ⅱ)의 나트륨염을 만들고 이 나트륨염과 구조식(Ⅲ)의 P-치환된 페닐이소티오아네이트를 0-50℃에서 적어도 2시간이상 무수조건하의 불활성 용매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구조식(Ⅰ)의 3-피리딜메틸
    Figure kpo00045
    -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46
    Figure kpo00047
    Figure kpo00048
    단 식중 X는 -CN, -NO2, -SR, -SOR, -SO2R 또는 SO2NH2식중 R은 저급알킬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49
    Figure kpo00050
    Figure kpo00051
    Figure kpo00052
    Figure kpo00053
    Figure kpo00054
    Figure kpo00055
    Figure kpo00056
    Figure kpo00057
KR760001523A 1976-06-19 1976-06-19 3-피리딜메틸 n-(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KR81000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523A KR810000268B1 (ko) 1976-06-19 1976-06-19 3-피리딜메틸 n-(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523A KR810000268B1 (ko) 1976-06-19 1976-06-19 3-피리딜메틸 n-(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268B1 true KR810000268B1 (ko) 1981-03-26

Family

ID=1920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1523A KR810000268B1 (ko) 1976-06-19 1976-06-19 3-피리딜메틸 n-(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26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1202A (en) Pyridyl phenyl-carbamate rodenticides
KR810000268B1 (ko) 3-피리딜메틸 n-(4-치환된 페닐)티오카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EP0041324B1 (en) A new phenylpropargylamine derivative
US3931203A (en) 3-Pyridylmethyl aryl urea rodenticides
US4172893A (en) Rodenticidal 3-pyridylmethyl phenyl carbamate metal salt complexes
CA1076578A (en) 3-pyridylmethyl-n-phenyl thiocarbamate compounds
US4353920A (en) Use of selected 3-trihalomethyl-5-ureido-1,2,4-oxadiazoles and -1,2,4-thiadiazoles as agricultural viricides
US3865931A (en) Pyridyl phenyl carbamate rodenticides
US3925397A (en) 3-Pyridylmethyl-(N-substituted phenyl)-carbamate derivatives
US4233289A (en) 3-Pyridylmethylthiocarbamates
JPH02233602A (ja) 除草剤
US3994905A (en) 3-Pyridylmethyl aryl urea rodenticides
US4282169A (en) Selected 2-acyl- or 2-thioacyl-1-trichloroacetimidoylhydrazin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US3966947A (en) Pyridyl phenyl-carbamate rodenticide
US4297342A (en) 3-Pyridylmethylthiocarbamates
US4033972A (en) 3-Pyridylmethyl-(N-substituted phenyl)-carbamate derivatives
US3969357A (en) 3-Pyridylmethyl phenyl urea metal salt complexes
US3929808A (en) Pyridyl phenyl-carbamate rodenticide
US4075345A (en) 3-pyridylmethyl aryl urea rodenticides compositions
NL8500347A (nl) Fenylpropargylaminederivaten, werkwijzen ter bereiding ervan, samenstellingen, die deze derivaten bevatten alsmede de toepassing daarvan.
CA1057759A (en) Pyridyl phenyl-carbamate rodenticides
US4139622A (en) Method of controlling fungi using phthalazine compounds
US4094875A (en) 3-Pyridylmethyl N-(4-cyanomethylphenyl)carbamate and derivatives
JPS591698B2 (ja) シクロヘキサン誘導体の製造方法
US4225599A (en) Use of 1-lower alkoxy-4-trichloromethylphthalazines as an insectic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