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829Y1 - 벨트의 크리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의 크리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829Y1
KR800001829Y1 KR2019800002795U KR800002795U KR800001829Y1 KR 800001829 Y1 KR800001829 Y1 KR 800001829Y1 KR 2019800002795 U KR2019800002795 U KR 2019800002795U KR 800002795 U KR800002795 U KR 800002795U KR 800001829 Y1 KR800001829 Y1 KR 800001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leaner
plate body
elastic memb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2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스오 메구로
Original Assignee
니혼 쑤우쇼 가부시기가이샤
스기나까 무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쑤우쇼 가부시기가이샤, 스기나까 무쑤오 filed Critical 니혼 쑤우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2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벨트의 크리이너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벨크 크리이너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 2 도는 그 사용상태에 있어서 벨트가 정회전할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측면도.
제 3 도는 벨트가 역회전할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확대 측면도.
본 고안은 석탄 코오크스 기타 각종의 원료를 운반하는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잔류물을 긁어 떨어트려서 제거하기 위한 벨터 크리이너에 관한 것이다.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에 대하여 제거부재를 접접(摺接)시켜서 벨트에 부착하는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벨트 크리이너로서는 금속에 파넬 로드의 앞쪽 끝에 부착한 제거부재를 스프링 로드의 탄성을 이용하여 벨트에 압접시키도록 구성한 것과 예컨대 일부 실용신안공보 소 29-12135호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거부재를 요동자재하게 배설하고, 그 제거부재에 코일 스프링으로서 벨트에 대해 접접탄성을 부여하도록 한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벨트 크리이너는 어느 형식의 경우에 있어서도 스트링로드나 스프링에 의한 탄성이 벨트의 정회전 방향에만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벨트의 역회전에 대해서는 충분한 잔유물의 제거 효과가 생기지 않음과 동시에 스프링로드나 코일스프링으로서는 요동의 흡수효과가 전혀 없어서 상하의 압력에 대하여 대응할 방도가 없다. 이 때문에 반송물의 투입등에 의하여 벨트가 긴장해서 벨트의 상하방향입력이 크리이너에 작용하였을 경우, 벨트에 손상을 주게됨과 아울러 크리이너 자체도 파손될 위험이 있다.
또 스프링로드를 사용한 전자의 경우, 벨트에 대한 추종접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극히 복잡한 형상을 채용하지 않으면 안되며 따라서 스프링 로드의 가공, 그 스프링로드를 부착지지하는 기구가 곤란하게 되어서 벨트에 대한 설정개소도 스프링 로드의 형상에 따라서 제한을 받으며, 또한 스프링로드에 부착된 잔류물에 의하여 그 스프링 로드의 기능이 금새 저하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을 사용한 후자의 경우, 긁어 떼어낸 잔류물이 해당스프링에 부착되어 늘어난 스프링의 사이에 이 잔류물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 결과 스프링은 수축 불능하게되며, 따라서 스프링이 늘어진채로 되어 효과가 상실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벨트 크리이너에 존재하는 문제점이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제거부재의 배치를 고무등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시행하도록하고 벨트의 정역회전의 어느 방향의 주행에 있어서도 부착물을 긁어서 제거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벨트의 상하방향의 압력을 흡수할수가 있는 벨트 크리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결하고 견고하게하여 내구성을 도모하며 설정장소에 제한을 받지않고 또한 잔류물이 중요부분에 부착하여 퇴적하는 일이 없는 벨트 크리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벨트 크리이너이며, 판체(2)와 이 판체(2)에 고정된 제거부재(3) 및 탄성부재(4)로서 구성된다.
판체(2)는 적당한 폭 및 높이를 가지고 있는 장방형상으로서 형성된다. 제거부재(3)는 판체(2)의 폭에 적응하는 봉상으로 형성하고 그 판체(2)의 상부선단에서 위쪽 가장자리가 약간 돌출상태로 되도록 고정함과 아울러 이 제거부재(3)에는 상부선단에 초경질금속제의 칩(5)이 돌출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탄성부재(4)는 판체(2)의 하부배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두께가 두껍게 형성한다.
(6)은 전기한 탄성부재(4)의 배면과 일체적으로 되도록 고착한 부착판이며, 이 부착판(6)에는 그 배면에 숫나사(7)를 돌설하고 너트(8)로서 나사맞춤되어 있다.
(9)는 벨트 콘베이어의 지지틀이며, 그 지지틀(9)에 있어서 벨트(10)를 협지하는 양쪽의 하부에 수용아암(11)을 현수하여 부착하고 벨트(10)의 하부에 그 벨트(10)의 폭방향으로 배설한 선반(12)의 양끝을 전기한 수용아암(11)에 상하조정 가능하게 부착하고 그 선반(12)을 수평상태로 배설한다.
전기한 선반(12)의 윗면 길이방향으로 벨트 크리이너(1)를 나란히 설비하는 것으로서, 부착판(6)에 돌설된 숫나사(7)와, 이 숫나사(7)에 나사맞춤되는 너트(8)의 체결부착에 의하여 고정된다.
벨트 크리이너(1)의 선반(12)에의 부착은 상단에 있는 제거부재(3)의 칩(5)이 벨트(10)의 하부표면에 압접되도록 한다.
판체(2)와 이 판체(2)에 고정된 제거부재(3)는 선반(12)에 대하여 탄성부재(4)를 개재하여 부착되며, 그 탄성부재(4)의 탄력성에 의하여 칩(5)이 벨트에 접접된 상태가 보전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이며 제 1 도에 표시한 것 같이 벨트(10)의 하부에 있어서 선반(12)에 칩(5)이 밀접하도록 하여서 벨트 크리이너(1)를 벨트(10)의 폭에 따라 나란히 설비한다.
크리이너(1)는 위끝에 부착시킨 칩(5)을 벨트(10)의 표면에 접동자재하게 압접하여 벨트(10)가 회동할때 그 벨트(10)에 부착된 반송물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때 판체(2)는 탄성부재(4)의 변형에 의하여 요동하는 벨트(10)의 아래면에서 추종되어 벨트(10)와 칩(5)의 접촉상태를 보전하므로서 잔류물의 제거를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다. 또 판체(2)의 부착이 탄성부재(4)를 개재하여 행하여지고 있고 때문에 칩(5)의 벨트(10)에 대한 접촉상태가 벨트(10)의 정 또는 역회전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보전된다.
즉 벨트(10)가 정회전할때는 제 2 도의 표시와 같이 벨트(10)는 화살표로 표시된 왼쪽에서 바른쪽으로 주행한다.
이 때문에 벨트크리이너(1)에 있어서 판체(2)는 벨트(10)의 주행방향으로 눌려서 탄성부재(4)는 상부가 압축을 받아서 수축함게 아울러 하부가 인장력을 받아서 신장되는 변형을 행하여 칩(5)의 벨트(10)에 대한 압접을 유지한다.
또 벨트(10)가 반대회전할때에는 제 3 도의 표시와 같이 벨트(10)는 화살표로 표시된 바른쪽에서 왼쪽으로 주행한다.
판체(2)는 벨트(10)의 주행방향에 눌려서 상부가 인장력을 받아서 신장함과 아울러 하부가 압축을 받아서 수축되는 변형을 행하여 정회전때와 동일하게 칩(5)의 벨트(10)에 대한 압접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벨트(10)의 주행방향에 따라 변형하는 탄성부재(4)는 정회전이나 반대회전할때에 있어서도 동일한 단면적을 보유하는 것이다.
그리고 벨트(10)에 상하방향의 압력이 발생하였을 경우, 어떠한 상태에서도 압력은 판체(2)에 작용하는 것으로 되는 바, 이 판체(2)에 작용하는 압력은 탄성부재(4)의 변형에 의하여 대응할 수가 있어서 벨트 및 크리이너의 손상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상부 앞끝은 제거부재를 설치한 판체의 하부배면에 두께가 두꺼운 탄성부재를 고정하였기 때문에 제거부재가 벨트에 압접하는 상태에서 크리이너의 배치가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행할수 있어서 탄성부재는 판체를 전후 어느 쪽으로나 비스듬히 경사질 수 있는 것으로서 벨트의 정회전뿐만 아니라 역회전할때에도 전혀 동일하게 긁어 제거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으며, 또한 정회전, 역회전의 변환을 행하여도 크리이너가 파손되는 것 같은 염려는 전혀 없다.
또 고무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두께가 두꺼운 탄성부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크리이너에 있어서 스프링부는 탄성, 수명 진동흡수성, 내후성(耐候性)이 우수한 것으로 되며, 압축 인장, 전단, 비틀림에도 충분한 스프링특성을 이용할 수 있어서 금속성 스프링과 같이 부식하거나 단기간에 피로절손(疲勞折損)하거나, 스프링의 절단손상에 의한 벨트의 손상이 없고, 또한 상하 방향의 압력을 탄성부재의 변형으로 흡수하여 대응할 수가 있어서 상하방향의 압력이 부하된 상태에서도 크리이너가 파손하거나 벨트가 손상하는 일이 없다.
또 크리이너는 앞끝에 제거부재를 보유하는 판체와 이 판체의 하부배면에 고정된 두께가 두꺼운 탄성부재를 결합한 것이므로 취약한 부분이 없어서 극히 간결화되며 이로 인하여 제작가공의 용이성과 견고성이 얻어짐과 아울러 판체를 굴곡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벨트 콘베이어에 대한 설정부분의 제한이 해소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보유하는 것이다.

Claims (1)

  1. 판체와, 이 판체의 앞끝에 부착되어서 벨트의 표면에 접접하여 이 표면에 부착된 잔류물을 긁어 제거하는 제거부재와, 전기한 판체의 하부배면에 고정되고 그 판체를 고정부에 부착하기 위한 고무등의 두께가 두꺼운 탄성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크리이너장치.
KR2019800002795U 1980-04-29 1980-04-29 벨트의 크리이너 장치 KR800001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795U KR800001829Y1 (ko) 1980-04-29 1980-04-29 벨트의 크리이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795U KR800001829Y1 (ko) 1980-04-29 1980-04-29 벨트의 크리이너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40000158 Division 1974-0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829Y1 true KR800001829Y1 (ko) 1980-11-13

Family

ID=1921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2795U KR800001829Y1 (ko) 1980-04-29 1980-04-29 벨트의 크리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8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7205A (en) Windshield wiper blade with securing rod
GB2212055B (en) Wiper blade assemblies
US4858866A (en) Radiator restraining assembly
US4053045A (en) Resiliently mounted conveyor belt cleaner
US6279727B1 (en) Belt cleaner apparatus
BR0108531A (pt) Palheta de limpador para a limpeza de vidraças em veiculos
US2794540A (en) Cleaners for belt conveyors
KR800001829Y1 (ko) 벨트의 크리이너 장치
US3138816A (en) Windshield wiper
BE1002933A3 (fr) Montage de lames racleuses pour le decrassage d'une bande transporteuse.
RU2006123098A (ru) Скребок для ленточного транспортера
FR2395812A1 (fr) Bol vibrant de nettoyage
US2919952A (en) Rear window cleaning device
US4364450A (en) Apparatus for mounting a transmission selector
US4329936A (en) Doctor blade device in automatic processors for printing plates
US4351559A (en) Parcel trim attachment construction
US5725083A (en) Strip blade conveyor belt cleaner
FR2372720A1 (fr) Dispositif essuie-glace
US4206576A (en) Wood desk top
ES280132U (es) Visera parasol para vehiculos automoviles
KR800001830Y1 (ko) 벨트의 크리이너 장치
CA1055070A (en) Snowmobile windshield assembly
US2657415A (en) Windshield wiper
US2715239A (en) Windshield wiper tensioners
US3961704A (en) Conveyor belt wipe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