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335Y1 - 구멍탄 연소열 유도 장치 - Google Patents

구멍탄 연소열 유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335Y1
KR800001335Y1 KR7706027U KR770006027U KR800001335Y1 KR 800001335 Y1 KR800001335 Y1 KR 800001335Y1 KR 7706027 U KR7706027 U KR 7706027U KR 770006027 U KR770006027 U KR 770006027U KR 800001335 Y1 KR800001335 Y1 KR 800001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mbustion
combustion heat
hole
gui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6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륜
Original Assignee
정해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륜 filed Critical 정해륜
Priority to KR7706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335Y1/ko

Link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멍탄 연소열 유도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용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본 고안은 구멍탄 연소열을 부뚝막에서 온돌밑에 고루 유도하여 확산함과 아울러 구멍탄을 갈아넣고 1-2시간 동안은 직접굴뚝으로 배기되게한 연탄연소열 유도장치로서, 연소열이 온돌밑으로 광범위하고 깊이 확산하게 하여 온도을 고루 덥게해주고, 특히 CO가스로부터의 인명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래에도 이와 같이 연소통에서 연소열을 온돌밑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토관이나 폐품연통을 연결한 파이프를 2-3개 아궁이에 진흙등으로 매설하거나, 연소통과 연통을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이 있으나 연통이 짧고 직선이므로 연소열이 온돌밑으로 광범위하고 깊숙히 유도되지 못하는 것이고, 또 철화통에 수개의 배기관과 댐파를 장치하여 구들골별로 열을 공급하고자 안출된 댐파온돌기가 있으나, 댐파의 시공이나 조작이 번거로울뿐 아니라 미연소 가스처리에 대한 고려가 무시된 점에서 널리 보급되지 못한 것이 없었다.
본 고안은 종래 연소열 유도장치가 이와 같이 낙후된 점을 개량한 것으로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열성토관(1)의 미부에 방사관(2)(3)(4)을 분할 형성하고 방사관(2)(3)(4)에 다시 확산관(13) 또는 확산관(10)(11)(12)(10')(11')(12')을 형성한 지관(9)(14)을 끼운다.
토관(1)의 개구부 저면에는 보조배기관(5)을 연결하여 굴뚝에 직접 연통되게 하고 그 보조배기관(5)과의 연결부에 보조배기관(5)의 개구부와 토관(1)개구부를 교대로 여닫는 개폐문(6)을 접설하는데 토관(1)의 개구부위쪽 개폐문(6)과 접속되는 곳에 작은구멍(7)을 뚫어 목편(8)을 끼울수 있게 한다.
이 개폐문(6)의 접설수단은 토관(1)과 일체로된 턱이나 홈을 만들어 반고정식으로 접속하는 것도 좋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온돌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구조로된 것인데 연소열이 토관(1)를 통하여 온돌밑으로 진입하게 되면 방사관(2)(3)(4)과 산확관(13) 및 확산관(10)(11)(12),(10')(11')(12')이 형성된 지관(9)(13)(14)에 의하영 온돌밑으로 광범위하고 깊숙히 확산된다.
구멍탄을 갈아넣은 직후에는 연소가 활발치 않아 CO가스가 많이 발생하므로 이런 경우에는 개폐문(6)을 경사지게 세우고 성냥개비등 가연성목편(8)을 토관(1)의 작은구멍(7)에 끼워 개폐문(6)의 위쪽이 목편(8)에 걸려 있게하면 토관(1)의 개구부는 개폐문(6)에 막히고 보조배기관(5)의 개구부는 열려 있게되어 전기미연소가스는 대부분 보조배기관(5)을 통하여 굴뚝으로 직접 배출된다.
그러나 구멍탄의 연소가 활발해지면 CO가스의 발생이 줄어지는 동시에 목편(8)은 타버려 목편(8)에 위쪽이 걸려 경사지게 세워졌던 개폐문(6)은 자기무개로 뉘여져서 보조배기관(5)의 개구부를 막고 토관(1)의 개구부를 열개되어 이때에 구멍탄의 연소열은 대부분 토관(1)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시공이 용이하며 구멍탄 연소열을 온돌밑으로 광범위하고 깊이 유도하여 온돌전체가 고루 덥게되고, 특히 연탄의 착화시의 유독 CO가스를 보조배기관을 통하여 직접 굴뚝으로 배출해주고, 구멍탄의 연소가 활발할 때에는 연소열을 온돌로 유도하므로 CO가스의 피해를 적게하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미부방사관(2)(3)(4)에 확산관(13)과 확산관(10)(11)(12),(10')(11')(12')을 형성한 지관(9)(14)을 끼운 공지된 토관(1)의 개구부에, 개폐문(6)을 경사지게 접설하고 작은구멍(7)을 뚫어 목편(8)을 끼우게된 구멍탄 연소열 유도장치.
KR7706027U 1977-10-14 1977-10-14 구멍탄 연소열 유도 장치 KR800001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6027U KR800001335Y1 (ko) 1977-10-14 1977-10-14 구멍탄 연소열 유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6027U KR800001335Y1 (ko) 1977-10-14 1977-10-14 구멍탄 연소열 유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335Y1 true KR800001335Y1 (ko) 1980-08-25

Family

ID=1920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6027U KR800001335Y1 (ko) 1977-10-14 1977-10-14 구멍탄 연소열 유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3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00001335Y1 (ko) 구멍탄 연소열 유도 장치
KR790001620Y1 (ko) 구멍탄보일러의 구멍탄 주입장치
KR840001029Y1 (ko) 폐열이용 온풍발생장치를 부착한 보일러
JPS556126A (en) Gas water heater
KR800001112Y1 (ko) 야외용 개방형 오일난로
CN212132388U (zh) 一种燃油燃气蒸汽发生器
JPS54127045A (en) Intake & exhaust cylinders of balanced flue type combustion device
KR790001356Y1 (ko) 수평연소식 아궁이용 온수보일러
KR860001689Y1 (ko) 온수 가열기
KR820001253Y1 (ko) 두 꺼 비 집
JPS5568524A (en) External burner
JPS5743106A (en) Combustion cylinder of kerosine stove
SU576504A1 (ru) Газова печь
KR790001024Y1 (ko) 구멍탄 난로
KR870004127Y1 (ko) 온수 보일러
KR200232069Y1 (ko) 가정용 온수 보일러
KR900001373Y1 (ko) 폐유연소용 온수보일러
JPS5444246A (en) Heat exchanger
KR790002093Y1 (ko) 아궁이용 조립식 연소통
KR890006976Y1 (ko) 연탄 보일러
JPS5487301A (en) Boiler
KR830008097A (ko) 보일러의 연소 효율 상승방법
KR890007566Y1 (ko) 구멍탄 연소기 뚜껑의 2차 공기 가열장치
KR800001334Y1 (ko) 구멍탄 착화구
KR820001185Y1 (ko) 다리미용 수증기 발생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