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098B1 - 전자악기의 화음 기록용 디지탈 부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악기의 화음 기록용 디지탈 부호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098B1
KR800001098B1 KR790001574A KR790001574A KR800001098B1 KR 800001098 B1 KR800001098 B1 KR 800001098B1 KR 790001574 A KR790001574 A KR 790001574A KR 790001574 A KR790001574 A KR 790001574A KR 800001098 B1 KR800001098 B1 KR 800001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output
rhythm
input
buffe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01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인
엄기범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riority to KR790001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09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의 화음 기록용 디지탈 부호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2도는 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다이아 그램.
본 발명은 전자 악기의 건반에서 나오는 연주 화음을 반도체 기억소자에 기억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를 디지탈 부호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2개 이상의 건반을 동시에 누를 경우도 각각의 음정이 디지탈 부호화 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자악기에서 나오는 화음을 반도체 기억소자에 기억시키기 위하여 쉬프트 레지스터등을 이용하여 그 출력을 직접 기억시키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수많은 기억소자를 필요로하는 페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데이타 선택기의 출력이 기억소자의 어드레스를 정하여 주고, 기억소자의 입력(부호화된 화음 입력)은 별도의 계수기의 출력을 기억시키도록 함으로서 적은 기억소자용량으로 많은 화음을 기억시킬 수 있도록하여 소요 반도체 수를 극도로 작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화음의 개개의 음정을 디지탈 부호화하기 위하여 계수기를 이용해서 건반에 입력된 다수의 화음 데이타를 주사(Scan)하고, 이 계수기의 계수된 숫자 즉 몇번째 음인가를 판독하여 버퍼 메모리에 화음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일시 기억시키고 이 기억시킨 내용을 하이스피드 클락에 의하여 기억소자로 보내어 기억 가능토록하며 건반을 누르지 않았을 때(쉬는 기간)는 블랭크 래치(Blank Latch)로서 쉬는 기간을 판단 가능토록 함으로써 연주화음을 기억시킬 수 있는 디지탈 부호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아 그램이다.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입력(각 E0-E15)은 저항(R1′-R64′)을 통하여 접지되어 있고, 건반 스위치(Sw1-Sw64)에 연결되어 있다. 이 건반 스위치(Sw1-Sw64)의 다른 한쪽끝은 저항(R1-R64)을 통하여 Vcc에 연결되어 있다.
이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각 제어단자(A,B,C,D)에는 계수기(IC5)의 출력(A′,B′,C′,D′)이 연결되어 있고, 데이타선택기(IC1-IC4)의 스트로브(ST) 단자에는 디코더(IC6)의 출력단자(0,1,2,3,4,5,6,7)가 앤드게이트(14)를 통하여 연결되며 선택된 출력단자(0∼9)는 “0”을 엔드 게이트(14)에 인가한다. 디코더(IC6)의 입력(A,B,C,D)에는 계수기(IC5)의 출력(D′,E′,F′,G′)이 연결되어 있으며, 계수기(IC5)의 입력단자(CK)에는 하이스피드(High Speed)클락이 연결되어 있다.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W1-W4)은 낸드게이트(4) 인버터(5)를 거쳐 블랭크 래치(IC9)의 S입력단자에 연결되고, 계수기(IC7)의 입력(CKB)에는 낸드 게이트(9)의 출력에 연결되며, 낸드게이트(9)의 입력에는 낸드 게이트(7)의 출력과 하이스피드 클락이 인버터(3)를 통하여 연결된다. 낸드 게이트(7)의 각 입력에는 계수기(IC5)의 출력(G′)과 연결된 인버터(8)를 통한 출력 및 인버터(5)의 출력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버퍼 메모리(IC8)의 입력(I0-I5)에는 앤드 게이트(13)의 출력이 연결되며, 앤드 게이트(13)의 입력에는 디코더(IC6)의 출력(9)과 계수기(IC5)의 출력(A′,B′,C′,D′,E′,F′)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버퍼 메모리(IC8)의 WE단자에는 낸드 게이트(11)의 출력이 연결되어 있고, 블랭크 래치(IC9)의 R입력에는 디코더(IC6)의 출력(9)이 연결되어 있다.
블랭크 래치(IC9)의 블랭크(Blank)신호 Q는 다음단의 디지탈시스템에 연결되어 블랭크 신호 판별 신호로 이용된다. 디코더(IC6)의 출력(8)은 신호처리
Figure kpo00001
로서 다음단의 디지탈 시스템에 연결되어
Figure kpo00002
가 “0”으로 되는 기간에 모든 신호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로 사용된다.
버퍼 메모리(IC8)의 출력(D0-D5)은 디지탈 부호화된 음정 신호이며, 기억소자로 연결되어지도록 된다.
제2도의 CLOCK은 하이스피드(High Speed) CLOCK이며 IC5G′는 제1도의 계수기(IC5)의 출력(G′)의 파형이고,
Figure kpo00003
는 제1도의
Figure kpo00004
파형이며,
Figure kpo00005
는 디코더(IC6)의 출력(9)의 파형이다. WE은 제1도의 버퍼메모리(IC8)의 WE단자가 파형이 인버트 된 것이며, CKB는 제1도의 계수기(IC7)의 입력단자 CKB트 파형이다. 이하 실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음을 포함한 64개의 건반스위치를 예로할 경우 건반 스위치에서 나온 음정신호는 식(가)의 결과와 같이 6자리의 2진수로 디지탈 부호화 할 수 있다.
Figure kpo00006
단 N=필요 디지트 수
이와 같이 64개와 입력신호를 6자리의 2진수로 부호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데이타 선택기(IC1-IC4), 계수기(IC5), 디코더(IC6)와 버퍼메모리(IC8)등을 사용하였다.
제1도에서 스위치(Sw1-Sw64)들은 건반 악기의 건반에 연결되어 건반을 누르면 도통되는 스위치 들이다. 스위치(Sw1-Sw64)들을 누르지 않았을 때는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입력(E0-E15)이 접지되어 있어 “0”으로 되며, 스위치를 누르면(즉 건반을 누르면) 전류가 두개의 저항{(R1-R1′)(R2-R2′)…}을 통하여 흐르면서 그 누른 스위치가 연결된 데이타 선택기의 입력단자는 “1”이 된다.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입력(각 E0-E15)단자가 “1”이되면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동작에 의하여 그 단자에 해당되는 음정을 누른 것으로 감지된다.
즉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4개의 선택단자(A,B,C,D)가 지정하는 입력 신호는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W1-W4)에 나타난다. 이 출력(W1-W4)중 어느 출력이 해당 타이밍 인가를 판단하여 주는 신호가 스트로보(ST1-ST4)신호이며, 스트로보(ST1-ST4)신호가 “1”인 때는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 신호(W1-W4)가 항상 출력되지 않으며, “0”일때만 선택된 입력신호가 출력단자(W1-W4)에 나타나게 된다.
계수기(IC5)는 7비트 2진 계수기이며, 이 계수기(IC5)의 출력(A′-G′)중 A′,B′,C′,D'를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선택단자(A,B,C,D)에 연결하며,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W1-W4)이 동시에 나오도록 선택하여 주도록 하고, 계수기(IC5)의 출력(D′,E′,F′,G′)을 디코더(IC6)를 통하여 디코드되게 하고, 이 락코드한 디코더(IC6)의 출력(0-7)을 번호순으로 2비트씩 (0과 1)(2과 3)(4과 5)(6과 7) 앤드 게이트(14)를 통하여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스트로브 단자(ST1-ST4)에 인가하여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W1-W4)중 어느 한개를 선택하므로써 유효한 데이타로 만들어 준다. 이것을 다시 말하면 입력된 64개의 입력 데이타중 어느 한개가 선택되어진 것이다.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4개의 각 출력 단자(W1-W4)들은 오아 게이트(OR Gate)로 묶어서 한개의 출력을 얻을 수 있는데, 각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W1-W4)이 제1도에 나타나있는 바와같이 인버트된 것이므로 각 출력을 인버트(INVERT)하여 OR게이트로 묶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드모르간 법칙(De Morgan's law)에 의하여 풀면 인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낸드 게이트(NANDGATE)(4)의 연결로서 가능하여지며, 이를 수식적으로 증명하면 식(나)와 같이 된다.
Figure kpo00007
계수기(IC5)의 출력(A′-G′)은 7비트 2진수이므로 이상과 같이 연결된 회로에서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W1-W4)은 계수기(IC5)의 출력(A′-G′)이 0에서 부터 63까지 될 때 이 계수기(IC5)가 나타내는 숫자에 해당하는 입력신호가 앞에서 설명한 낸드 게이트(4)의 출력단자에 나타나게 된다.
한편 계수기(IC5)의 내용이 64에서 부터 127까지 될때는 4개의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스트로브(ST1-ST4)입력은 모두 “1”이므로 64입력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은 나타나지 않는다. 10진수 디코더(IC6)의 출력(8)은 계수기(IC5)의 출력이 64에서 71까지에서 “0”이 되며, 이 신호로 모든 데이타를 기억소자에 기억시키던가 계산하여주는 신호처리
Figure kpo00008
의 기준으로 할 수 있게 하였으며, 파형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디코더(IC6)의 출력(9)는 계수기(IC5)의 내용이 72에서 79까지에서 “0”이 되며 제2도의 버퍼클리어
Figure kpo00009
와 같은 파형이고 이 출력은 버퍼메모리(IC8)의 내용을 지우는데 사용된다.
계수기(IC5)의 클락에 높은 주파수의 클락을 연결하면 7비트의 계수이기 때문에 128개의 클락펄스마다 반복되는 시스템이 구성된다. 제2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계수기(IC5)가 “0”에서 부터 63까지는 건반 스위치를 누른것이 있는가를 데이타 선택기(IC1-IC4)에 의하여 탐색하고, 건반 스위치를 누른 입력단자를 선택할 때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W1-W4)이 “1”이 된다.
버퍼 메모리(IC8)는 6비트 길이의 2진수가 8개까지 들어갈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이며, 64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W1-W4)이 “1”이 될 때 해당 타이밍 계수기(IC5)의 출력(A′,B′,C′,D′,E′,F′)을 버퍼메모리에 써 넣도록 되어 있다. 즉 계수기(IC5)가 계수한(count)내용이 64개의 건반중 몇번째 건반인가를 지정하여 주는 6비트 2진수가 되는 것이다.
버퍼 메모리(IC8)소자는 어드레스(address)입력과 WE(write eneble)입력에 의해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하다. 즉
Figure kpo00010
의 입력이 “0”일때는 어드레스 입력(IC8의 A, B, C)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입력신호를 기록하고
Figure kpo00011
의 입력이 “1”일때는 어드레스 입력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출력단자를 통해 읽어 낸다.
이 버퍼메모리(IC8)의 어드레스는 계수기(IC7)로 결정하고 계수기(IC5)는 0에서 63까지는 64개의 입력이 선택되는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W1-W2)이 “1”이 될때마다 그 출력(W1-W4)의 낸드 게이트(4)(7)(9)와 인버터(5)를 통하여 만들어진 제2도의 CKB파형에 계수기(IC7)의 내용을 하나씩 증가시켜 버퍼메모리(IC8)의 일시기억 위치를 정하여 주게 된다.
계수기(IC5)가 제2도의 Clock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64에서 71까지는 메모리 버퍼(IC8)에 기록된 내용을 읽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계수기(IC7)의 클락 입력에 계수기(IC5)의 출력(G′)을 인버터(8) 및 낸드 게이트(7)(9)를 통하여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계수기(IC7)의 클락입력(CKB)은 제2도 CKB파형과 같이 되며 64-127타이밍에서 정상적인 클락 펄스로 되고, 그 이외의 기간(0-63)에는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W1-W4)이 나올때마다 “1”씩 증가하도록 되어 있어 건반 주사(Scan)기간중 감지된 건반의 입력이 지정된 버퍼메모리(IC8)에 기억되도록하여 준다.
이때 버퍼메모리(IC8)의
Figure kpo00012
입력은 “1”이 되어야 하며, 버퍼메모피(IC8)의 내용은 출력(D0-D5)을 통하여 클락(CKB)에 동기가 되어 기억소자로 나가게 된다.
그림 1에서 계수기(IC7)의 클락입력(CKB)을 만들어 주기 위하여서는 계수기(IC5)의 출력(G′)을 인버터(8)시킨 것과 인버트(5)의 출력을 낸드 게이트(7)로 묶어준다. CKB의 계수가능 클락은, 제2도의 IC5G′, Clock 및 CKB에서 보여 주듯이 64-128이나 0-63기간중 건반의 입력이 있는 순간에만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계수기(IC5)가 72에서 79까지에서 메모리 버퍼(IC8)가 클리어 되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디코더(IC6)의 출력(9)을 계수기(IC5)의 출력과 앤드 게이트(13)로 묶어서 버퍼 메모리(IC8)의 입력(I0-I5)에 연결시키면 이 기간중에는 버퍼 메모리(IC8)에는 모두 “0”이 기억되어 결과적으로 버퍼 메모리(IC8)를 클리어 하여준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모든 건반이 눌러지지 않았을 때는 음악이 연주되지 않는 쉬는 기간(쉼표)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블랭크 래치(BLANKLATCH)(IC9)를 사용하였다. 연주되는 동안은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출력(W1-W4)이 인버트된 것은 블랭크 래치(IC9)의
Figure kpo00013
입력에 연결하여 주고 클리어 신호인 디코더(IC6)의 출력(9)를 블랭크 래치(IC9)의
Figure kpo00014
입력 단자에 연결하여 준다. 연주될때는 블랭크 래치(IC9)의
Figure kpo00015
입력에 인가되지 않고 쉬는 기간에는
Figure kpo00016
가 세팅되어 블랭크 래치(IC9)의 Q에 블랭크 출력이 나오게 되며, 이의 리세트(
Figure kpo00017
)는 클리어신호(IC6의 9번 출력)로 리세트하여 다음 동작을 할 수 있게 한다. 블랭크 신호는 다음의 시스템으로 옮겨져 쉼표를 제어하는 신호로 이용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주요 개소의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타이밍 다이아 그램의 각 신호는 다음 (다)(라)(마)(바)의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18
이상을 종합하면 데이타 선택기의 입력(Sw1-Sw64)에 8개의 입력신호(음정)가 동시에 입력될 경우 데이타 선택기(IC1-IC4) 계수기(IC5)(IC7) 디코더(IC6)등을 사용하여 하이스피드(High Speed)(Clock)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8개의 디지탈 부호화된 음정신호인 계수기(IC5)의 출력을 버퍼메모리(IC8)의 지정된 8개의 위치에 일시 기억시켜 하나의 화음군(和音群)을 형성하며, 이 버퍼 메모리(IC8)에 일시형성되어 기억되어진 화음군(和音群)이 장단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기억소자에 기억되도록한 것이다.
데이타 선택기(IC1-IC4)의 건반 스위치 입력(Sw1-Sw64)중 Sw1, Sw2, Sw3, Sw4, Sw17, Sw18, Sw19, Sw20이 동시에 눌려졌을 경우를 예를 들면, Sw1은 하이스피드 클락(High Speed Clock)에 의하여 계수된 계수기(IC5)의 내용(F′-A′)이 ― “000000”일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수기(IC7)의 내용(CBA)은 “000”이 되어 버퍼 메모리(IC8)의 “000”번지에 기록되고, Sw2의 경우 계수기(IC5)의 내용(F′-A′)이 “000001”이 되며 계수기(IC7)의 내용은 “001”이 되어 버퍼 메모리(IC8)의 “001”번지에 기록된다. 이와같이 하여 Sw17의 경우는 계수기(IC5)의 내용(F′-A′)은 “010000”이 되며 계수기(IC7)의 내용(C-A)은 “101”이 되어 버퍼 메모리(IC8)의 “101”번지에 일시 기억된다. Sw20의 경우는 계수기(IC5)의 내용(F′-A′)을 “010011”이 되며 계수기(IC7)의 내용(C-A)은 “111”이 되어 버퍼 메모리(IC8)의 “111”번지에 일시 기억된다.
이상의 동작은 하이 스피드 클락 0에서 63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디지탈 부호화된 화음군(和音群)은 CKB 및
Figure kpo00019
에 의하여 하이스피드 클락 64에서 71사이에 기억소자로 보내어지며, 72에서 79사이에서 버퍼 메모리(IC8)의 내용이 클리어 되어 다음 화음을 일시 기억시킬 준비를 하게 된다. 기억소자로 보내어진 화음군은 장단제어장치를 통하므로써 보다 압축되어진 신호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데이타 선택기(IC1-IC4)와 계수기(IC5)(IC7) 디코더(IC6) 버퍼메모리(IC8)등을 사용하여 계수기(IC5)의 내용(A′-F′)을 해당음정의 디지탈 부호화한 신호로 하여 버퍼 메모리(IC8)에 기억시키고, 이 동작을 하이 스피드 클락에 의하여 거의 동시에 순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화음의 디지탈 부호화를 가능케한 것이다.

Claims (1)

  1. 본문에 상기하고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데이타 선택기(IC1-IC4) 및 계수기(IC5)를 이용하여 화음을 포함한 음전신호를 디지탈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계수기(IC5)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주사(Scan)하고, 이 주사(Scan)한 결과로 부터 계수기(IC7)를 제어하여 버퍼 메모리(IC8)의 번지수를 지정하여 주고, 이와 동시에 계수기(IC5)의 계수된 내용은 연주화음의 디지탈 부호로 되어 순차적으로 버퍼메모리(IC8)의 지정 번지에 일시 기억되도록한 전자 악기의 화음 기록용 디지탈 부호화 장치.
KR790001574A 1979-05-16 1979-05-16 전자악기의 화음 기록용 디지탈 부호화 장치 KR800001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1574A KR800001098B1 (ko) 1979-05-16 1979-05-16 전자악기의 화음 기록용 디지탈 부호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1574A KR800001098B1 (ko) 1979-05-16 1979-05-16 전자악기의 화음 기록용 디지탈 부호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098B1 true KR800001098B1 (ko) 1980-10-06

Family

ID=1921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01574A KR800001098B1 (ko) 1979-05-16 1979-05-16 전자악기의 화음 기록용 디지탈 부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09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2098A (en) Keyboard switch detect and assignor
US4215343A (en) Digital pattern display system
US4476766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means for generating accompaniment and melody sounds with different tone colors
GB1420085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3955459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GB1518951A (en) Key assigner
JP2571911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
US4160399A (en) Automatic sequence generator for a polyphonic tone synthesizer
US4176573A (en) Intrakeyboard coupling and transposition control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P0278438B1 (en) Multi-recording apparatus of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464966A (en) Rhythm data setting system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170768A (en) Key code generator
US4283983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466324A (en) Automatic performing apparatus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GB2087622A (en) Musical electronic calculator
US4387620A (en) Automatic performing apparatus for musical performance data with main routine data and subroutine data
KR800001098B1 (ko) 전자악기의 화음 기록용 디지탈 부호화 장치
GB1484804A (en) Key switch system
US4299153A (en) Touch responsive envelope control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GB2139797A (en) Bar code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GB2066549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memory
JPS6222157B2 (ko)
US4193038A (en) Key input apparatus
US4244260A (en) Footage volume control circuit
GB2091470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