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932B1 - 원격제어수신기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932B1
KR800000932B1 KR7602076A KR760002076A KR800000932B1 KR 800000932 B1 KR800000932 B1 KR 800000932B1 KR 7602076 A KR7602076 A KR 7602076A KR 760002076 A KR760002076 A KR 760002076A KR 800000932 B1 KR800000932 B1 KR 80000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frequency
binary
data
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 울링 케네드
Original Assignee
죤 브이 리건
알 씨 에이 코오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브이 리건, 알 씨 에이 코오포레숀 filed Critical 죤 브이 리건
Priority to KR760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제어수신기
제1도는 텔레비죤 수상기에 사용하기에 적당하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 원격제어수신기의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에 사용되는 주파수 디코딩 카운터 장치의 제2타입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가변 리셋트 제어상태에서 주파수 디코딩 카운터 장치에 의하여 발생되는 해당 2진 숫자를 나타내고 제1도 및 2도의 원격제어장치가 응답하는 주파수를 도시한 도표.
본 발명은 인입된 명령을 동일화하기 위해 카운터를 이용하는 원격제어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쌍의 원격제어전달장치의 숫자채널명령을 2진 부호화 표시하는 카운터로부터 2진숫자를 만드는 형태의 원격제어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원격제어장치는 다수의 연속파(C.W.) 신호가 발생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서 각각의 신호주파수는 제어될 다른 기능과 유일하게 관련된다. 이들 장치는, 예를들어, 칼라, 색조, 볼륨 및 채널선택기능이 제어되어야 하는 칼라텔레비죤수상기에 사용되어 왔다. 이런 경우에, 각각의 명령주파수를 분리시키고 동일화하기 위하여 인덕턴스-캐패시턴스 동조회로를 통상적으로 사용하여왔다. 이러한 장치는 동조회로를 개별적으로 배열해야하고 경제적인 가격으로 실현될 수 있는 선택도에 제한된다. 최근에, 예정된 시간동안 수신된 초음파신호의 사이클을 카운트하여 전달된 주파수와 제어될 기능을 동일하게 하도록 디지탈기술을 사용하는 원격제어 수신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장치의 한 형태는 독일어잡지 1972년도 Funkschau, 제23/24호에 실린 삐 바이렉크, 피 와울 및 에치·레우쉬너가 쓴 “Ein Farbfernehger
Figure kpo00001
t ohne Bedienungsknbfe”라는 기사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마지막 시간에 주파수 디코딩 카운터내의 정보는 볼륨 “업”, 볼륨 “다운”, 칼라 “업”, 칼라 “다운”, 색조 “플러스”, 색조 “마이너스”, 채널번호의 10자리 숫자 및 채널번호의 단일숫자와 같은 제어될 기능을 결정한다.
이러한 장치의 설계에서, 신호주파수들 사이의 간격은 각각의 주파수를 명백히 구별할 수 있어야 하며, 그와 동시에, 이 장치는 불필요한 잡음이 없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장치에 유용한 초음파 주파수의 스펙트럼은 선주사 성분으로부터의 방사에 의해 원격제어장치의 의사트리거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텔레비죤 선주사 주파수의 제2고조파보다 더 큰 낮은 한계로 선택된다. 선주사 주파수의 제3고조파 부근에 있는 주파수도 역시 동일한 이유로 방지되어야 한다.
상술한 제한으로, 가변주파수 디코딩 카운터 장치는 제어될 채널번호숫자와 다른 기능에 할당된 주파수를 동일화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모든 디코딩장치의 보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카운터 자신의 2진 숫자출력이 선택한 채널번호의 2진 부호화표시(보충 또는 직접 2진표시)에 대응하는 카운터장치를 갖추는 것이 좋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제어수신기는 다수의 숫자 명령을 표시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각각의 숫자명령은 각각의 주파수대역에 있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일화된다. 예정된 시간동안에 재생하는 시간기준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도 제공된다. 카운터장치는 시간기준 신호에 응답하고 채널번호 2진 부호화표시(직접 또는 보충표시)에 해당하는 2진숫자를 갖고 있는 출력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어신호에 응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의 장치에서, 복합주파수 연속파형초음파 전송기 20의 조작자는 관련 텔레비죤 수신기 22내에서 제어되는 기능에 일치하는 제어될 주파수를 선택한다. 대표적인 주파수는 25,000 내지 50,000Hz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예를들면 1,080Hz (60Hz의 전력선 주파수를 18배 한것임)의 간격으로 이 밴드내에 분리될 수 있다. 주파수는 예를들어, 적당한 채널번호숫자 (혹은 다른 기능)로 명칭이 붙여진 푸시버턴을 동작시키므로서 선택된다. 초음파파형은 전송기 변환장치 24에서 발생되고 수신기 변환장치 26에 의하여 수신된다. 수신된 파형은 동작시에 후술되는 바와같이 인입신호의 다른 적당한 수정과 효과적인 주파수분할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카운터타입 주파수 디코더 30에 광대역 신호증폭기 28을 통하여 카운터 타입주파수 디코더 30에 연결되며 그 디코더 30은 카운터장치 30은 일정한 비율(예를들어, AC 전력선이나 수정기준으로부터 유도된 60Hz)에서 클록이나 타이밍펄스를 가지는 제어펄스발생기 32와 타이밍신호원 34의 조합으로부터 공급된다. 타이밍펄스는 테이타 카운팅기간을 결정한다. 카운터장치 30은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5개의 선 36상의 2진출력을 제공하는데, 이 출력선 36은 제어펄스 발생기 32로부터 공급된 RESET 펄스에 의하여 각각의 카운팅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모두 리셋트된다. 각각이 카운팅기간의 말단부에서 전력선 36상에 제공된 주파수 분배데이타는 수신기 22내에 있는 기능제어회로 40에 이러한 제어데이타를 결합시키기 전에 수신된 제어데이타의 신뢰성을 보장하도록 배열된 잡음소거장치 38에 결합된다. 적당한 잡음소거장치는 본 발명자가 출원한 “잡음소거장치를 포함하는 카운터 타입원격제어수신기”라는 제목으로된 미합중국특허원 제607,700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출원서에 기술된 바와같이, 잡음소거장치 38은 유사데이타가 테이타라인 36에서 발생되는 연속적인 타이밍 기간의 예정된 번호 후에 테이타 라인 36에서의 테이타를 기능제어회로 40에 결합시키고, 테이타라인 36에서의 테이타가 예정된 기간동안 인입된 테이타로부터 이탈할 때 인입된 테이타를 감결합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어펄스발생기 32에 의하여 발생된 “래치(LATCH)”펄스 및 반전된 “리셋트(RESET)”펄스는 잡음소거장치 38에 결합된다. 래치펄스와 반전된 리셋트펄스는 상술한 출원서에 설며되어 있는 바와같이 기능제어회로 40에 테이타를 결합시키고 감결합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기능제어회로 40에 결합된 테이타는 신호처리회로 42에 결합되고 테이타의 카테고리(아나로그 기능이나 채널번호)에 의존하는 UHF 및 VHF 튜너 44에 결합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테이타라인 36에서의 테이타는 예를들어, 텔레비죤 수신기 22에 의하여 수신될 채널의 각 숫자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채널 12와 같은 채널을 선택할 때, 전송기 20은 10자리숫자 1에 해당하는 테이타라인 36에서의 테이타를 발생시키도록 처음으로 동작되고 그에 따르는 전송은 1자리 숫자 2에 해당하는 테이타라인 36에서의 테이타를 발생한다. 이러한 테이타는 수신기 22가 해당 프로그램정보를 수신하도록 튜너 44에 결합된다. 아나로그 기능제어신호는 아나로그 기능제어신호가 테이타라인 36에 존재하는 모든 시간에 걸쳐서 신호처리회로 42내에서 연속하여 적당한 기능을 수정한다.
테이타단자 36에서의 테이타가 채널번호를 나타낼 때 부수적이 디코딩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기 위하여, 주파수 디코딩 카운터장치 30은 채널번호(즉, 2진수 1,000으로 표시된 채널 8명령)에 대응하는 직접 2진 표시나 그 채널번호(즉, 0111)의 보충표시를 발생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1도의 장치에서, 카운터장치 30은 제1복합단 카운터 46과 제2복합단 카운터 48을 포함하다. 이 카운터들은 초음파신호의 최초수신에 따라서 제1카운터 46이 예를들어 16으로 나누어진 카운터로 이용되고 제2카운터 48의 카운트를 수신된 신호의 16N 싸이클(여기서 N은 정수)마다 진행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2카운터 48이 예정된 카운터(후술되는 바와같이)를 달성할때, 제1카운터 46과 제2카운터 48은 각각 제로로 리셋트되고 주파수 디코더30은 제2동작모우드로 스위치된다. 동작모우드에서, 제1카운터 46은, 예를들어 9로 나누는 카운터로서 기능을 하므로, 제2카운터 48의 카운터가 수신된 신호의 9사이클마다 진행되게 한다. 제2카운터 48이 어떤 한 카운팅기간 동안에 제2동작모우드에 주파수디코딩장치 30을 위치시키는데 필요한 예정된 카운트를 달성하지 않는다면, 제2카운터 48은 테이타단자 36에서 모든 4논리 0′를 제공하도록 다시 리셋트된다. 이 상태는 수신된 주파수가 낮은 한계 테이타주파수보다 작다는 것을 지시한다. 제2카운터 48의 카운터가 예정된 높은 카운트(데이타주파수)한계를 초과한다면, 제2카운터 48은 역시 카운팅기간이 끝나기 전에 제로로 리셋트된다.
또한, 높고 낮은 주파수 한계 사이의 (제2카운터 48로부터 제공된 출력카운터의 순서는 채널번호 명령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2카운터 48의 출력이 채널번호의 보충에 해당하는 2진번호가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높고 낮은 주파수 한계 동작 및 채널번호 명령의 보충 2진표시의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공된다. 각 테이타 카운팅기간(예를들어, 1/120초 기간)동안 비교적 짧은기간(25내지 50 마이크로초)의 순서, 래치필스 및 유사하게 짧은 리셋트펄스는 제어펄스발생기 32에 의하여 제공된다. 리셋트펄스는 RS쌍안정회로 54를 검파하는 저주파한계가 Q 출력단자에서 논리 0을 제공하도록 리셋트되게 하고 RS 쌍안정회로 56을 검파하는 고주파한계가 Q출력 단자에서 논리 1을 제공하도록 세트되게 한다. 낮은 한계회로 54의 Q출력은 제1모우드 스위칭 NAND게이트 58의 한 입력에 직접 결합되고 인버터 60을 통하여 제2모우드 스위칭 NAND 게이트 62의 제1입력에 결합된다. NAND게이트 58과 62의 출력은 제3 NAND게이트 64에 결합되며, 그 게이트 64의 출력은 제2카운터 48의 카운트(C)단자에 결합된다. NAND게이트 62의 제2입력은 카운터 46의 23(8)단에 결합되고 한편 NAND게이트 58의 제2입력은 다른 NAND게이트 63을 통하여 카운터 46의 2 및 23단에 결합된다. 리셋트펄스 다음의 최초의 상태에서, NAND게이트 62는 카운터 46 및 48을 16으로 나누어진 수정된 형태로 결합시키도록 작용한다. 즉, 제1카운터 46에 의하여 카운터된 17번째 펄스와 그후에 카운트된 모든 16번째펄스는 제2카운터 48이 1카운트를 전진시키게 한다. 그러므로, 초음파 연속파형신호가 카운터장치 30에서 수신될 때, 제1동작 모우드동안 카운터 46으로부터의 출력카운트는 측정시간(예, 1/120초)에 의하여 곱해진 주파수(f)와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특정한 경우에, 27000HZ의 주파수는 225와 동일한 2진형태로 카운트를 만든다. 그러므로 제2카운터 48은 십진값 14(225-10/16과 동일한 2진형태로 출력카운트를 발생시킨다. 이 상태는 제2카운터 48의 21,22및 23출력에 결합된 입력을 갖고 있는 NAND게이트 66에 의하여 감지된다. NAND게이트 66의 출력은 AND게이트 68의 한 입력에 결합되는데, 이 게이트 68의 제2입력은 장치가 제1동작모우드(16으로 나눔)에 있다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인버터 60에 결합된다.
AND게이트 68은 RS쌍안정회로 70을 스위칭시키는 모우드의 리셋트(R)입력에 결합되는데, 이 스위치의 Q출력은 카운터 리셋트 NAND게이트 50과 53은 낮은 한게 쌍안정회로 54에 결합된다. 카운터 1110(14)가 NAND게이트 66에 의하여 감지될 때, RS회로 70을 스위칭시키는 모우드의 Q출력은 논리제로로 변경되고, 카운터 46과 48은 모두 제로로 리셋트되며, 낮은 한계 RS회로 54의 Q출력은 논리 1로 변경된다. 따라서 NAND게이트 62는 동작할 수 없게 되며 NAND게이트 58은 카운팅기간(즉, 다음 리셋트펄스까지)의 나머지동안 카운터 46과 48을 나누어진 형태로 변환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카운터 48의 출력카운트는 27000HZ의 낮은 한계 이상의 수신된 신호의 매 1080HZ증가분(9×120)에 대해 1카운트 증가하게 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여러 가지의 전달된 주파수에 대한 카운터 48의 2진 상태는 서두에 있는 “제1도의 카운터를 27000에서 리셋트”라는 칼럼내에 작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33,480 및 34,560HZ 사이의 수신된 주파수(1080 HZ의 31번째와 32번째 고조파)에 대해, 카운터 48의 출력은 00110(대부분 좌측의 숫자)를 표시하게 된다. “기능”이란 명칭이 붙어 있는 관련된 칼럼에 표시된 바와같이, 2진출력은 채널명령 “9”를 나타내도록 선정되어 있다. 10진 채널명령번호의 조사와 카운터 48의 관련된 2진출력은 2진표시가 관련된 10진수의 보충에 해당하는 관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필요하다면, 각각의 채널명령숫자의 직접(비보충) 2진표시는 카운터 48의 출력을 모두 반전하므로서 간단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채널번호와 아나로그제어기능(주사, 칼라, 색조, 업 다운)하기 위한 제3도의 할당된 테이타주파수는 텔레비죤선주사주파수의 제2 및 제3고조파 부근의 주파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택된다. 도시된 모든 주파수 할당에서, 채널번호명령에 대한 제5비트는 아나로그 기능(후술된 “1로의 리셋트”와 관련된 주사기능의 경우에 있는 것은 제외)에 대한 것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제5비트나 아나로그나 디지탈 제어기능에 적당하게 테이타의 순서를 정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제1도를 다시 참조하면, 다음 리셋트펄스 바로 전에, 래치펄스가 제어펄스발생기 32에 의하여 발생된다. 만일 낮은 주파수한계(27000HZ)가 도달되지 않으면, 반전증폭기 60의 출력은 논리 1에서 머무르게 되는데, 이 출력은 NAND게이트 74의 한 입력에 결합된다. 테이타라인 36에 결합된 OR게이트 72는 비-제로데이타의 존재를 감지하며 NAND게이트 74에 이러한 정보를 결합시킨다. 최종적인 논리제로출력은(반전된)래치펄스가 카운터 48에 “이전에 리셋트”와 같이 인가되도록 제어펄스발생기 32에 연결된다. 이것은 테이타라인 36을 제로에 리셋트시키므로 상술한 본인의 출원서에 설명된 바와같이 래치펄스의 끝에서 잡음소거장치 38에 모든 제로가 전달되게 한다.
낮은 주파수한계가 카운터 기간동안에 도달된다면, 이전의 리셋트가 발생되지 않고 래치펄스는 테이타단자 36으로부터 테이타를 잡음소거장치 38에 전달한다. 이런 경우에, 뒤따르는 리셋트펄스는 이것의 초기상태에서 카운터 46,48 및 RS 쌍안정회로를 다시 동작시킨다.
인입 테이타가 고주파한계 보다 더 큰 주파수를 나타낼 때, NAND게이트 76의 모든 입력은 논리 1에 있게된다. 높은한계 RS회로 56은 상태를 변화시켜서 제2카운터 48을 모든 제로에 리셋트시킨다. 도시된 장치에서, 고주파한계는 59,400HZ (27000HZ+30×1080 HZ의 저주파한계)에서 선정된다.
부수적인 주파수할당과 카운팅배열은 제2카운터 48의 출력이 채널번호명령의 직접 혹은 보충 2진표시를 발생시키도록 고안될 수 있다.
제2도에는 9로 나누는 형태로 배열된 두단의 카운터 46′,48′의 단순화된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단 46′는 예를들어 상술한 카운터 46의 제2동작 모우드에 대해 설명한 방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9로 나누는 카운터는 각각의 9카운트에 뒤따르는 제로에 카운터 46′를 리셋트시키도록 NAND게이트 63, 인버터 80 및 적당히 단순화된 결합회로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같은 내부리셋트게이팅을 포함한다. 카운터 46′,48′의 분배모우드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제2카운터 48′의 출력카운트는 아무런 수정을 하지 않아도 인자 1080(9×120)에 의하여 수신된 주파수에 관련하게 된다.
카운터 48′의 출력에서 채널번호, 바람직한 방향이나 명령의 보충표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3도에 도시한 나머지 칼럼의 서두의 구성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제2도의 카운터 46′,48′는 도달된 32,400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각각의 시간 카운트(예, 카운팅기간의 1/120초인 경우에 카운터 48′의 출력에서의 30번째 카운트)에 리셋트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시된 주파수 할당으로, 카운터 48′의 2진출력은 채널명령의 직접 2진표시로 된다.
각각의 카운팅기간후에 제2카운터 48′가 제로로 리셋트되는 대신에 다른 상태로 리셋트되는 선택적인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결과는 제로가 아니라 1에 이러한 단을 리셋트시키도록 카운터단 내의 리셋트 펄스를 단의 반대측으로 결합시키므로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한 장치들은 제2카운터 48′를 2°단내의 1상태로 리셋트시키거나 22, 21및 2°단내의 1상태로 리셋트(즉, 7로의 리셋트)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에 적당한 주파수, 기능 및 카운터상태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할 수도 있다. 다수의 표준논리소자타입이 AND, NAND, OR 및 인버터기능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RS 쌍안정 회로의 한 타입은 RCA CD 4044타입이다. 여기에 이용될 수 있는 카운터의 타입은 RCA CD 4024타입이다.

Claims (1)

  1. 본문에 설명하고 도면에 예시한 바와같이, 주파수의 각각의 대역내에 있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일화된 다수의 숫자명령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예정된 기간에 생기는 타이밍 기준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와, 2진출력신호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신호와 상기 타이밍기준신호에 응답하는 카운터 장치로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2진출력 신호의 숫자들이 각각의 수신된 숫자명령의 2진부호화된 채널번호 표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수신기.
KR7602076A 1976-08-24 1976-08-24 원격제어수신기 KR80000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076A KR800000932B1 (ko) 1976-08-24 1976-08-24 원격제어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076A KR800000932B1 (ko) 1976-08-24 1976-08-24 원격제어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932B1 true KR800000932B1 (ko) 1980-09-12

Family

ID=1920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2076A KR800000932B1 (ko) 1976-08-24 1976-08-24 원격제어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93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6611A (en) Digital control system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data in such a system
US4031543A (en) Communication system
US4123724A (en) Communication equipment
US4870492A (en) Television receiver having automatically programmable skip channel list
US3748645A (en) Channel selector
US3753119A (en) Digital tuning indicator
US3882266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selected channels
US4114099A (en) Ultrasonic television remote control system
US4024476A (en) Programmable frequency divider for a television receiver frequency synthesizer
US4227248A (en) PCM Tone signal generator
GB1567052A (en) Tuning circuits for communications receiving apparatus
US4361907A (en) Direct access channel selection apparatus for a digital tuning system
US4164711A (en) Tuning system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tuning information with user controls arranged to facilitate its programming
US4127846A (en) Tone signal detecting circuit
KR920009488B1 (ko) 동조 시스템
US3906351A (en) Digital tuning of voltage control television tuners
KR800000932B1 (ko) 원격제어수신기
US4023105A (en) Counter type remote control receiver producing binary outputs correlated with numerical commands of a companion remote control transmitter
US4152654A (en) Memory-saving all channel digital tuning system
US4024477A (en) Received signal frequency indicating system
US4156198A (en) Keyboard channel selection for television receivers
US4047227A (en) Auxiliary signal processing circuit
US4144498A (en) Television tu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employing slope factor derivation
US4460850A (en) Deflection circuit for cathode-ray tubes
US3914696A (en) Controllable reference supply for television tu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