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874B1 - 분해 개스에 의한 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분해 개스에 의한 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874B1
KR800000874B1 KR7502678A KR750002678A KR800000874B1 KR 800000874 B1 KR800000874 B1 KR 800000874B1 KR 7502678 A KR7502678 A KR 7502678A KR 750002678 A KR750002678 A KR 750002678A KR 800000874 B1 KR800000874 B1 KR 800000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liquid
pump
divis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스트 조우지 이
Original Assignee
허스트 조우지 이
폴루션 컨트롤 엔지니어링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스트 조우지 이, 폴루션 컨트롤 엔지니어링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허스트 조우지 이
Priority to KR750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87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해 개스에 의한 폐수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부동탱크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3-3단면도.
본 발명은 일반적을 개스 부동장치의 개량과, 특히 산업과 도시의 폐수처리 시스템에 채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량된 폐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처리유체에 떠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해주고, 이 장치는 다수의 인접구획을 가지는 탱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구획은 유체입구를 가지며, 최후구획은 유체출구를 가졌다. 최종구획을 제외하고 각각의 구획으로 부터 펌프에 의하여 유체를 양수하고 또한 상기 각각의 동일한 구획으로 배출한다.
또 다른 하나의 펌프는 상기 구획중의 하나로 부터 양수하여 상기 최종구획으로 배출한다.
상기 펌프와 또 다른 펌프에 부착된 분사장치는 유체내에 함유된 가스를 분사하여, 아암장치는 각 구획내의 액체표면으로 부터 부유 오물을 수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하는 스크랩퍼장치의 출구를 통해, 최종구획으로 부터 액체출구를 통하여 정화된 액체를 유출하는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도면에서 부동탱크 동체(胴體)(10)는 간막이(12)에 의해 3구획(14)(16)(18)로 분할된다. 부동탱크는 여기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3구획으로 나타나 있지마는, 탱크는 다른 형태거나 3구획 보다 많은 수의 구획으로 할수 있음은 명백하다.
오일수집 슈우트(20)은 탱크(10) 한쪽에 인접되어 배열되고, 하방향과 외향으로 경사진 바닥판(21)과, 아치형 전면판(22)와 하방향과 내향으로 경사진 측면판(24)(25)를 포함하고 있다. 판(21),(22),(24),(25)는 적합하게 서로 결합되고 동체(10)에 알맞게 결합되어 슈우트(20)은 유체가 새지 않게된다.
경사판(26)은 슈우트(20)에 한쪽에 배열되고, 유출파이프(27)은 동체(10)에 연결되어 하기에 상술되는 바 처럼 슈우트(20)에 수집된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슈우트(20)에 개방된다.
스크랩퍼(30)은 부동물질을 슈우트(2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중앙지지허브(hub)에 각각 한끝이 고정되고 다른 끝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날개(35)를 갖는 복수개의 아암(32)를 포함한다. 두 개의 스크랩퍼 아암(32)이 도시되었으나, 기타 적합한 수의 아암으로 해도 좋다. 허브(33)은 하단이 베어링(37)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은 모터와 치차 구동부(38)과 연결된 수직축에 교정된다.
처리되는 폐수는 흡입구(40)을 통해 구획(14)으로 양수된다. 흡입구에서 폐수는 영향을 주는 오일 농축에 따라서 가압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고농축오일의 유체는 가압해서는 안된다. 제1번 펌프(42)은 탱크(10) 외부에 설치되고 구동모타(44)에 의해 작동된다. 제1번 흡인라인(46)은 펌프(42)의 흡입축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펌프(42)의 흡입축에 라인(50)을 통해 공기나 개스를 유도하는 인젝터 장치(48)가 있다.
펌프에 연결된 출구라인(52)은 압력조정기(54)를 통과하여 이는 탱크(10)의 외벽 중앙까지 연장되어 다시 구획(14)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펌프(56)와 구동모타(57)은 탱크(10)의 외면에 장치되어 있다. 펌프(56)의 흡인라인(58)은 구획(16)에 연결되고 다시 이 구획의 밑부분 가까이에 연결된다. 흡인라인(58)은 인젝터(59)를 통해 연결되고 다시 펌프(56)의 흡입축으로 연결된다. 공기나 개스는 라인(60)을 통해 인젝터(59)로 들어간다. 펌프(56)에 연결된 유출라인(61)은 압력조정기(62)를 통하고 탱크(10)의 거의 중앙벽에 연결된다.
제3펌프(68)과 구동모타(70)는 탱크(10) 주연의 외부에 설치되고 구획(18)에 인접한다. 펌프(68)의 흡입라인(72)은 간막이(12)와 가까운 바닥을 통해 구획(16)으로 연결되어 있고 인젝터(74)를 통해 펌프(68)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있다. 개스나 공기기가 라인(76)을 통해 인젝터(74)로 주입된다. 펌프(68)의 출구는 압력조정기(80)을 통해 연결되고, 대략 탱크(10)의 중간벽에서 구획(18)내로 연장되어 유출라인(78)에 연결된다.
삼각변위판(80)는 구역(14),(16),(18)에 각각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간막이(12)의 접합부로 부터 상향, 및 외향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펌프(42),(56),(68)에 의해 주입된 유체를 상향 및 외향으로 변위시킨다.
정화된 물은 탱크(10) 외부에 연장된 상승라인(86)을 통해 배출되며 이 라인은 바닥에 근접하거나 탱크 바닥내에 연결된다. 상승라인(86)은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자(88)내로 들어가며 상자의 하부표면 위의 설정된 거리까지 연장된다. 복수개의 분리핀(90)은 라인(86)의 상단에 부착하고 팡프(86)과 동일 직경인 복수개의 링(91)을 받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있다. 제2도의 표시와 같이 상자(88)의 하부끝 위에 있는 라인(86)의 유효높이는 조정 가능하다.
각각의 간막이(12)에는 바닥에 제2도에서 처럼 복수개의 구멍(102)이 있어 액체가 중력에 의하여 한구역으로부터 다음 구역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이 구멍(102)은 안내(106)에 활동되게 장치된 게이트(104)에 의해 폐쇄할 수 있으며, 게이트(104)에는 탱크의 상단을 지나 상향으로 연장된 조작봉(108)이 부착된다. 소요의 게이트 개구(開口)를 유지하기 위하여 수개의 구멍(110)이 봉(108)에 마련되며, 상대 구멍이 구획 12에 마련되어 핀(112)가 이 구멍을 받도록 되어있다. 구멍(102)는 각 구획 사이에 유동을 동일하게 할 수 있게 스며드는 성격을 가졌으며, 독립된 펌프(42),(56),(68) 사이에서 자연히 발생하는 양수속도의 차이를 보장해준다.더욱이 이 스며드는 구멍은 이 장치가 동작을 시작할때 모든 구획이 동등히 채워지도록 탱크의 최초 충진을 허용한다.
운전중, 처리할 물은 흡입 파이프(40)을 통해 (14) 구획으로 들어가고, 탱크(10)은 간막이(12)보다 조금 높게 채워진다. 펌프(42),(56),(68)은 스크랩퍼 날개(35)와 함께 동작된다. 명반(明攀)과 같은 화학응집제는 각각의 배압밸브(54)(56)의 하류지점에서 구획(14),(16)으로 유도되고, 공기등 개스는 각각의 인젝터(48)(59)(74)로 분사된다. 고체와 지방물 기름의 대강의 분리는 구획(14)에서 이루어지고 최종분리는 정화액체가 상승라인(86)을 통해 방출되는 구획(16)에서 일어난다. 스크랩퍼 아암은 부유고체, 기름 그리고 지방물을 벤취(26)위로 이동시켜, 파이프(27)을 통해 이것들이 제거되도록 슈우트(20)으로 운반한다.

Claims (1)

  1. 액체에 부유된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선별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인접하는 구획을 가진 탱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구획에는 액체흡입구가 있고 상기 구획의 다른 하나에 액체 배출구를 가졌으며, 최종구획과 액체 배출용 구획을 제외한 각각의 구획에는 각각 펌프가 장치되어 동일 구획안으로 액체를 펌핑하며, 또 다른 펌프가 마련되어 상기 최종구획과 액체 배출용 구획을 제외한 구획으로 부터 상기 최종구획에 액체를 펌핑하여 상기 각각 펌프와 상기 각각 또 다른 펌프에는 인젝터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액체속의 가스를 분사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구획의 용액 표면으로 부터 부유 오물을 수집하기 위한 스크랩퍼 장치와 상기 오물을 배출하는 장치와 상기 최종 구획으로 부터 액체 배출구를 통하여 정제된 용액을 배출하는 장치를 가진 것이 특징인 분해가스에 의해 폐수처리 장치.
KR7502678A 1975-12-08 1975-12-08 분해 개스에 의한 폐수 처리장치 KR800000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678A KR800000874B1 (ko) 1975-12-08 1975-12-08 분해 개스에 의한 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678A KR800000874B1 (ko) 1975-12-08 1975-12-08 분해 개스에 의한 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874B1 true KR800000874B1 (ko) 1980-08-28

Family

ID=1920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678A KR800000874B1 (ko) 1975-12-08 1975-12-08 분해 개스에 의한 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87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8678A (en) Water cla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153224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US3886071A (en) Filter
US3773179A (e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fluids by means of dissolved gases
US8173017B2 (en) Single-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KR800000874B1 (ko) 분해 개스에 의한 폐수 처리장치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GB14200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material leaving a well
US2056887A (en) Centrifugal separating machine
US4358374A (en) Stripping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contaminants floating on a liquid
JP2001098537A (ja) 浮遊物回収装置
CN219174265U (zh) 一种集成式隔油破乳装置
US2177167A (en) Clarification plant for physically clarifying sewage
SU912657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SU101777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а нефти с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SU1758008A1 (ru) Флотатор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SU710969A1 (ru) Сепаратор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масел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SU6173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других веществ легче воды
KR102086902B1 (ko) 개선된 부유물 및 스컴제거 효율을 갖는 회전가능한 산소공급판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SU1669487A1 (ru) Гидроциклон-флокул тор
KR102086901B1 (ko) 회전가능한 산소공급판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SU785217A1 (ru) Открытый гидроциклон-отстойник
SU874649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0122608Y1 (ko) 하수 및 폐수 처리기의 가압장치
SU998388A1 (ru) Судова очистна установ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