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821B1 - 가공기용 전원장치(加工機用 電源裝置) - Google Patents

가공기용 전원장치(加工機用 電源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821B1
KR800000821B1 KR760002740A KR760002740A KR800000821B1 KR 800000821 B1 KR800000821 B1 KR 800000821B1 KR 760002740 A KR760002740 A KR 760002740A KR 760002740 A KR760002740 A KR 760002740A KR 800000821 B1 KR800000821 B1 KR 800000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winding
winding
current
pow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노리 가와사끼
Original Assignee
도모노리 가와사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모노리 가와사끼 filed Critical 도모노리 가와사끼
Priority to KR76000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82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rc Welding Control (AREA)
  • Generation Of Surge Voltage And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공기용 전원장치(加工機用 電源裝置)
제1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전원변압기의 권선(卷線)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2도는 동 변압기에 의한 전류와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3도는 본원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결선도
제4도는 (15),(16) 사이의 전압의 상태를 설명한 파형도
제5도는 다이리스터의 점호(點弧)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제6도는 3상전원 사용시의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총합회로도
제7도는 동 회로에 의한 출력전압을 나타낸 파형도
본원 발명은, 방전가공기용 또는 아아크용접기용의 직류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전원장치는 통상 대전류 발생용의 전원변압기와, 전류제어소자로서의 다이리스터와, 이 다이리스터의 점호각(點弧角)을 제어하기 위한 점호회로로 구성되지만 종래의 것은 급격한 부하의 변화나 출력 전류단자의 단락, 또는 상승이 급(急)한 회로 중의 과도전류에 의해, 다이리스터가 파괴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출력 전류단자에 리액틀을 직력 접속하고, 출력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완충(緩衝)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지만, 이것으로서도 다이리스터의 파괴사고의 근본적인 감소를 가져올 수가 없었다.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 다이리스터의 보호 및 원활한 출력전류를 얻을 수 있는 가공기용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전원변압기의 2차권선에 접속된 다이리스터 정류회로와, 그 다이리스터의 점호회로와, 동전원변압기의 보조 2차권선에 접속된 다이오우드 정류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다이리스터 정류회로의 직류 출력단자를 동일 기전력(起電力) 방향으로 결선하고, 상기 다이리스터 정류회로의 다이리스터의 게이트와 캐소우드 사이에 보호용 콘덴서를 접속하고, 상기 전원변압기의 2차권선 및 보조2차권선을 각각 소요출력을 얻는데 필요한 권회수(卷回數) 외에 정권(正券) 및 역권(逆卷)을 실시하고, 더구나 보조 2차권선의 단락전류를 2차권선의 그것보다도 작게, 보조 2차권선의 무부하(無負荷) 전압을 2차권선의 그것보다도 같거나 또는 높게 설명해서 이루어진 가공기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을 각 구성부분에 대해서 각각 설명하자면, 제1도에 나타낸 것은 본원 발명에 의한 전원 변압기이며, (1)은 1차권선, (2)는 변압기본체, (2a)는 철심(鐵心), (3)은 2차권선, (4),(5)는 출력단자이다.
이 전원변압기에서는, 2차권선 (3)중 필요한 2차출력전류를 얻는데 권선((3a)(Nb터언)을 감고, 다시 동일방향으로 권선(3C)(NC터언)을 감고, 이번에는 역권(逆券)으로 권선(3b)(Nb터언)을 감는다. 여기서 권선(3C)와 (3b)의 권회수(NC)와 (Nb)를 같게하면, 2차권선에 의한 기전력은 Va+VC-Vb=Va로 된다.
단, Va,VC,Vb는 각각 권선(3a),(3C),(3b)에 의한 기전력이다. 이와 같이 2차권선을 구성한 이유는, 권선(3b),(3C)가 기전력으로서는 공헌하지 않지만, 출력단자(4),(5) 사이에 급격한 부하변동, 또는 단락이 있었을 경우의 전류의 변화를 완충하는 인덕턴스로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이유는, 출력단자(4),(5)에 반파(半波) 정류기를 설치해서 부하를 맺었을 경우, 권선(3)에는 반파직류가 흘러, 이 2차 전류에 의한 기자력(起磁力)이 철심(2a)에 생기(生起)지만, 선권(3b)에 의해서 자속(磁束)은 제1도에 나타낸 ø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며, 이 현상이 철심(2a) 내를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더구나 대전류부하로 될수록, 그 작용이 현저해지기 때문에 가포화(可飽和)변압기와 같은 동작으로 되며,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하(垂下)특성을 나타내며, 방전가공기나 아아크 용접기용 전원의 출력전류로서 양호한 것이 얻어진다.
제3도에 나타낸 것은 단상(單相)인 경우의 본원 발명의 회로도의 실시예이며, 단상전원E에 전원변압기(2)의 1차권선(1)을 접속하고, 상기와 같이 감은 2차권선(3)에 정류겸 전압제어용 다이리스터(7)를 접속한다. 전원변압기(2)의 2차측에는 2차권선(3) 외에 보조2차권선(6)도 설치하고, 그 감는 방법은 2차권선(3)과 마찬가지로 역권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당해보조 2차권선(6)에는 다이오우드(9)를 상기 다이리스터(7)와 동일 기전력방향으로 접속하고, 정단자(正端子)(16)로 하고, 2차권선(3)과 보조 2차권선(6)과의 다른 단자를 서로 결선(結船)하고, 부단자(15)로 한다. 상기 2차권선(3)과 보조 2차권선(6)과의 관계는, 단락전류는 보조 2차권선(6)쪽을 작게, 무부하전압은 보조 2차권선(6)을 2차권선(3)의 그것과 같든지 또는 높게 설정한다. 제3도 중의 (14)는 다이리스터(7)의 점호회로이며, (11),(12)는 전원용의 입력단자, (13)은 출력단자로서, 다이리스터(7)의 게이트(8)에 입력된다. 또 (10)은 다이리스터(7)의 게이트와 캐소우드 사이에 접속한 보호용 콘덴서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단자(15),(16) 사이의 전압 Vt는 다이리스터(7)에 의해 정류된 전압 V9이다, 다이오우드(9)에 의해 정류된 전압 V9어느쪽이던 높은쪽과 같게되며(제4도 참조), 무부하시에는 V9쪽이 높지만, 단자 (15)~(16) 사이의 부하임피이던스가 저하하면(이와 같은 것은 아아크용 접기 또는 방전가공기의 동작시에 발생한다), 부하전류가 증대하기 때문에, 주(主) 2차권선(3) 및 보조 2차권선(6)에 유기(誘起)되는 전류가 증대하게 된다. 주 2차권선(3)과 보조 2차권선(6)과의 출력전류와 전압은 상기와 같은 관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부하전류가 커지면 그 전류량의 대부분은 주 2차권선에(3) 의해 공급되게 된다. 이때의 부하의 급변에 의한 충격은, 먼저 보조 2차권선(6)에 가해지며, 이어서 2차권선(3)에 가해지므로, 상기 역권 선(線)의 작용과도 합쳐서 주 2차권선(3)의 회로에 삽입되어 있는 다이리스터(7)는 충격전류로부터 보호되게 된다.
이상은, 다이리스터(7)의 애노우드·캐소우드 사이의 순시(瞬時) 전류에 대한 보호이지만, 게이트·캐소우드 사이의 충격전류나 잡(雜) 전류등의 피이크가 높은 전류에 대해서는 보호용콘덴서(10)를 접속해서 다이리스터(7)의 보호를 한다. 즉, 어떠한 원인에 의해 게이트(8)에 피이크가 높은 전류가 흘러들려고 할때에, 콘덴서(10)에 의해 위상을 높인 전류를 다이리스터(7)의 캐소우드에 가해지고, 이것에 의해 게이트 캐소우드 사이의 보호를 하는 것이다.
제5도에 나타낸 것은, 점호회로(14)의 일례로서, 단자(11),(12),(13)는 제3도의 동일번호의 단자이다.
도면중 (17)은 전파(全波) 정류기, (18),(19),(20),(21),(22),(23),(24)는 저항기, (25),(26)은 반고정 가변저항기, (27),(28),(29),(30)은 콘덴서, (31)은 정전압(定電壓) 다이오우드, (32)는 온도보상용 다이오우드(33),(34),(35),(36),(37)은 다이오우드, (38)은 소용량의 다이리스터, (39)는 트랜지스터, (40)은 펄스트랜스, (41),(42)는 그 1차권선이며, (43)은 2차권선이다.
이 점호회로에서는, 다이리스터(7)의 점호를 다이오우드(36), 전류제한저항기(24), 다이리스터(38), 다이오우드(37)로 형성되는 루우프로 행하며, 다시 동 다이리스터(38)의 점호를 펄스트랜스(40)를 통해서 트랜지스터(39)를 증폭소자로 하는 블록킹발진기로 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회로구성을 채용한 이유는, 이 장치가 방전가공기나 용접기용의 전원으로 사용되므로 다이리스터(7)의 양극(애노우드) 전류 및 양극전압이 급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다이리스터(7)를 트리거하는 게이트전류의 조건이 양극전류 및 양극전압에 좌우되기 쉬우므로, 그것에 대한 안정화를 꾀한 것이다. 즉, 다이리스터(7)의 점호용으로 다른 다이리스터(38)를 사용하고, 한편, 콘덴서(27), 코일(펄스 트랜스(40)의 1차권선과 동일함)(41), 트랜지스터(39), 귀환저항(20), 코일(42)로서 블록킹 발진기를 구성한다. 이 발진기는 전원주파수와 동기한다(정확하게는 전파정류기(17)에 의해 전파정류되어 있으므로 전원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와 동기한다).
상기한 블록킹 발진기의 출력은 펄스 트랜스(40)에 의해 2차권선(43)으로 전달되며, 다이리스터(38)를 점호하고, 이것에 의해 다이리스터(7)를 점호하게 된다.
점호각의 조정을 하는 것은 반고정가변저항기(25) 및 (26)이며, (25)는 트랜지스터(39)의 에미터전위를(26)은 에미터전류를 조정하고, 이것에 의해서 다이리스터(7)의 점호각을 조정하며, 따라서 출력전류의 제어를 할 수 있다.
제6도에 나타낸 것은, 3상 고류전원을 사용한 전원장치의 종합회로도이며, 이것에 의하면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중단이 없는 직류출력이 얻어진다(단 무부하시). 각 상의 구성은 상술한 단상의 경우와 같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원 발명에 의하면, 방전가공기나 아아크용접기의 전류제어용 다이리스터의 오동작 및 파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빈번하게 다이리스터의 교환을 할 필요가 없어지며, 이들 전원장치로서, 수명, 신뢰성의 점에서 뛰어나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변압기의 2차권선에 접속된 다이리스터 정류회로와, 그 다이리스터의 점호회로(點弧回路)와, 동전원변압기의 보조 2차권선에 접속된 다이오우드 정류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다이리스터 정류회로의 직류출력단자와 다이오우나 정류회로의 직류출력단자를 동일 기전력(起電力) 방향으로 결선하고, 상기 다이리스터 정류회로의 다이리스터의 게이트와 캐소우드 사이에 보호용 콘덴서를 접속하고, 상기 전원변압기의 2차권선 및 보조 2차권선을 각각 소요출력을 얻는데 필요한 권회수(卷回數)외에 정권(正卷) 및 역권을 실시하고, 더구나 보조 2차권선의 단락전류를 2차권선의 그것보다 작게, 보조 2차권선의 무부하전압을 2차권선의 그것보다 같게 또는 높게 설정하여 이루어진 가공기용 전원장치.
KR760002740A 1976-11-03 1976-11-03 가공기용 전원장치(加工機用 電源裝置) KR800000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2740A KR800000821B1 (ko) 1976-11-03 1976-11-03 가공기용 전원장치(加工機用 電源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2740A KR800000821B1 (ko) 1976-11-03 1976-11-03 가공기용 전원장치(加工機用 電源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821B1 true KR800000821B1 (ko) 1980-08-21

Family

ID=1920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2740A KR800000821B1 (ko) 1976-11-03 1976-11-03 가공기용 전원장치(加工機用 電源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82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6928A (en) Regulated rectifier for welding power supplies
US4035716A (en) Super compensated voltage control of redundant D.C. power supplies
US3660750A (en) Self-regulated dc to dc converter
US3928746A (en) Direct current power supply for manual arc welding
US3869658A (en) Direct curent supply with ribble suppression
US4258309A (en) Switching type power supply circuit
US4275430A (en) DV/DT Protection circuit device for gate turn-off thyristor
US4103217A (en) Brushless synchronous generator with an exciter
JPS6232030B2 (ko)
US3332000A (en) Protective means for solid state devices
US4106087A (en) Power-supply device for working machine such as a spark-erosion machine
US3089965A (en) Shun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waveform
US4694387A (en) Inductive devices
KR800000821B1 (ko) 가공기용 전원장치(加工機用 電源裝置)
US3601681A (en) Converter comprising a rectifier group containing reactors and an over-current protection for the rectifier group
US2927143A (en) Mechanical rectifier for arc furnace
US3287625A (en) Magnetic amplifier circuits, especially for arc-welding equipments
US3511996A (en) X-ray generato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d.c. magnetization of the transformer core
US3911243A (en) Welding power source
US2880376A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the welding arc in an electric arc-welding installation
US4100595A (en) Circuit for the production of an output voltage depending on an input direct voltage and a given desired voltage
US3497769A (en) Non-consumable electrode welding by an unsaturated variable reactor
US3376473A (en) Automatic arc welders
US3627976A (en) Nonconsumable electrode welding method and power supply
US4048467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gulating welding cur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