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799Y1 - 부피자 붙임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부피자 붙임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799Y1
KR800000799Y1 KR780002852U KR780002852U KR800000799Y1 KR 800000799 Y1 KR800000799 Y1 KR 800000799Y1 KR 780002852 U KR780002852 U KR 780002852U KR 780002852 U KR780002852 U KR 780002852U KR 800000799 Y1 KR800000799 Y1 KR 800000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ontainer
liquid vessel
penetrat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02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복
Original Assignee
이완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복 filed Critical 이완복
Priority to KR780002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799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피자 붙임 액체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인 액체운반용기의 일측벽에 투명관으로 된 부피자를 착설하여 외부에서 일견하여 용기내의 액체용량을 알 수 있도록 하고 마개를 대소 2중으로 형성하여 사용상 편리하게 한 부피자 붙임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용기내의 용량을 나타내기 위하여 용기본체에 직접 눈금을 표시하거나, 게이지 그라스를 용기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하였으므로 전자에 있어서는 용기의 구성재료에 따라서는 내용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것이었고, 후자에 있어서는 고정설치용으로는 적합하나 운반용으로 사용되기에는 불편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결점을 제거하고 간단한 고안구성에 의하여 용기내부의 용량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운반 또는 사용중에 부피자관이 파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에 손잡이(2)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받침돌기(3)가 다수 형성된 공지의 합성수지용기본체(1)의 일측벽(1')에 지지턱(4')이 돌출된 세로로 긴 요입부(4)를 형성하고 요입부(4)의 상하단에는 본체(1) 내부와 관통되게 L형의 금속제 연통관(5), (5')을 본체(1)와 일체로 매설하여 양 연통관(5), (5')사이에 부피눈금(6')이 표시된 투명부피자관(6)을 삽착하였으며, 주입구(7)에는 하부에 패킹(8)이 연접되고 상부에 유출마개(9)가 나착된 유출구(9')와 배기전(10)이 형성된 주입마개(11)를 나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요입부(4)안에 합성수지로 된 부피자관(6)이 입설되고 부피자관(6) 배면에는 지지턱(4')이 대접된 것이어서 부피자관(6)은 용기본체(1)의 측벽부(1')에 의하여 보호되고 외부물체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부피자관(6)이 파손되는 일이 없는 것이며, 주입구(7)에 나착된 주입마개(11)의 상면에는 유출구(9')를 형성하여 또 하나의 유출마개(9)를 나착시킨 것이어서 액체를 주입할 때에는 큰 주입마개(11)를 나해하여 사용하고 내용액을 유출시킬 때에는 작은 마개가 나착된 유출구(9')를 이용하게 하므로서 사용상 조직이 간편한 것이며, 휘발성액체를 용입한 경우에는 배기전(10)에 의하여 내부압력을 배출시켜 폭발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부피자관(6)은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하여 금속제연통관(5), (5')사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삽착한 것이어서 부피자관(6)이 파손되더라도 고체조립이 용이한 것이다.

Claims (1)

  1. 상부에 손잡이(2)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받침돌기(3)가 다수 형성된 공지의 합성수지용기본체(1)의 일측벽(1')에 지지턱(4')이 돌출된 세장형요입부(4)를 형성하여 요입부(4) 상하단에 본체(1) 내부와 관통하는 L형의 금속제 연통관(5), (5')을 매설하고 양 연통관(5), (5') 사이에 투명합성수지로 된 공지의 부피자관(6)을 삽착하며, 주입구(7)에는 유출구(9')와 배기전(10)이 형성된 주입마개(11)를 나착하여서 된 부피자 붙임 액체용기.
KR780002852U 1978-05-26 1978-05-26 부피자 붙임 액체용기 KR800000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2852U KR800000799Y1 (ko) 1978-05-26 1978-05-26 부피자 붙임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2852U KR800000799Y1 (ko) 1978-05-26 1978-05-26 부피자 붙임 액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799Y1 true KR800000799Y1 (ko) 1980-06-09

Family

ID=1920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02852U KR800000799Y1 (ko) 1978-05-26 1978-05-26 부피자 붙임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7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74931A (en) Container for corrosive fluids
KR940704002A (ko) 전기 영동용 겔 수납용기 조립체(electrophoresis gel container assemblies)
US2630247A (en) Portable container having closure discharge hose
US4120414A (en) Self-venting cap
KR800000799Y1 (ko) 부피자 붙임 액체용기
FI920436A0 (fi) Laeckagedetekteringssystem.
CN110271784A (zh) 液体储罐
JPH067803Y2 (ja) 全方向性エアゾル容器
FR2355729A1 (fr) Container a remplissage et vidage rapides
FR2727943B1 (fr) Reservoir etanche a volume variable pour le stockage d'un liquide
BE875870A (fr) Indicateur de niveau de remplissage pour silo et reservoirs similaires
KR870002010A (ko) 가압 액화가스 지하저장 시설의 충전관 안전장치
GB2029006B (en) Displacement sensing device and liquid gas tank gas level indicating system
KR940009015A (ko) 수납용기
IT1199273B (it) Dispositivo per la misurazione e la indicazione del livello di riempimento del serbatoio di carburante di un veicolo
JPS5888122U (ja) タンク内液の検出装置
JPH0230750Y2 (ko)
SU643078A3 (ru) Стопор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грузового контейнера
SU49554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тановки датчиков уровн при наливе цистерн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SU10611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табилизации положени измерительных приборов
JPH0339116U (ko)
JPS5836042Y2 (ja) 金属管型平均温度指示計の構造
JPH0413644Y2 (ko)
SU63771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хранени и дозировани химических реактивов
JPS61105827U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