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401B1 - 다두 적외선 탐지장치 - Google Patents

다두 적외선 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401B1
KR800000401B1 KR7402625A KR740002625A KR800000401B1 KR 800000401 B1 KR800000401 B1 KR 800000401B1 KR 7402625 A KR7402625 A KR 7402625A KR 740002625 A KR740002625 A KR 740002625A KR 800000401 B1 KR800000401 B1 KR 800000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detector
housing
detectors
infrared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 오스트랜더 죠지
후란시스 윅슨 도널드
Original Assignee
앨돈 에이취 루터
디 에어 프리히터 캄퍼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앨돈 에이취 루터, 디 에어 프리히터 캄퍼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앨돈 에이취 루터
Priority to KR740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7/00Measuring quantity of hea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두 적외선 탐지장치
단일 도면은, 제가끔의 비교층정기와 연결된 다수의 적외선 탐지장치를 내장한 가느다란 하우징의 측면도.
고열가스는 일반적으로 열교환기 모체, 보일러관, 집진기, 건조기, 건조로, 경화로 및 고열가스를 처리하거나 사용하는 여타장치들이 구비하고 있는 통로로 형성된 도관을 통하여 일정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한 고열가스가 도관을 통과할때, 연소되지 못한 연료나 그으름이 토관 내부벽에 또는 창치에 간단없이 착상된다. 상기한 착상물은 공기나 가스의 유통이 일부제한을 받게되는 정도까지 단시간에 누적되는 일이있다. 따라서, 상기한 착상물체들이 가열되어 발화점, 또는 고열점이 형성되게끔 상기한 착상물체들에서 고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고열점이 탐지되지 않는한, 그 온도가 급속히 상승함에 따라 주변금속이 가열되어 주변구조물에 큰 손상을 주게 되는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것은 l973년 5월 1일자로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3,730,259호에 의하여 기술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적외선 탐지기로 부터의 신호가 대표적인 공기예열기에서의 잠재적인 고온점을 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탐지기에 수신된 신호 강도는 직접 또는 반사된 적외선이 상당한 거리를 진행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약한 것이었다. 또한, 조사대상물을 횡단 이동하는 반사경의 경우에 있어서도 고열점상태에 대한 감응이 불확실하거나 느려서 이미 손상이 발생된 다음에야 제어효과를 거두게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단일의 적외선 탐지장치에 의하여 보통 탐지되는 것보다 넓은 범위를 탐지할 경우에는, 적외선들을 단일의 탐지장치에 집속시키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그와 같은 집속장치는 포물선거울 또는 집광렌즈형태를 취하거나, 조사대상물에 의하여 방출된 모든 적외선을 받아서 전달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평형거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초기적인 고열점의 신호강도는 조사대상물에 의하여 방출된 전체 신호 강도의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상기한 장치가 잠재적인 고열점을 검출할 수는 있겠지만, 그 장치는 발화가능성을 의미하는 적외선 방출에 있어서의 근소한 변화에 항상 감응하지는 못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인접한 다수의 적외선 탐지기들을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들 각각의 탐지장치들은 초기 고열점이나 발화점을 탐지하기 위하여 적외선 방출에 있어서의 미소한 변화까지도 감지할 수 있다. 다수의 독립적인 탐지장치들이 인접배열되어 발화가능지역을 함께 감시하기 때문에, 고온점에 대한 감응이 신속하고 완벽하다. 또한 각각의 적외선탐지장치는 초기 고열점 근처에 가까이 위치되므로 수신되는 신호강도가 거의 최대치가 된다.
더우기, 어떤 한 탐지장치에 의하여 수신된 적외선 신호 강도에 있어서의 변화는 그 탐지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는 평균신호에 비교되기만 하면 되며 전체장치의 총적외선 신호강도와 비교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신호강도에 있어서의 어떠한 변화도 탐지장치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강도의 상당한 몫을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다수의 적외선 탐지장치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탐지장치들은 측면으로 인접배열되어 장치를 직접 감시하며 적외선에 민감하게 감응하여 적외선 방출에 있어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하우징(12)은 고열 가스류가 그것을 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입구(14)와 출구(16)를 갖추고 있다. 하우징은 다량의 투과성 열흡수물질(18)을 담고 있는데; 이 열흡수물질은 고온 가스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밸브장치(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하여 하우징을 통하여 흐르는 냉각공기에 열을 전달한다.
고온가스들이 하우징을 통하여 흐를 때, 연소되지 않은 물질들을 포함하는 입자물질들이 몸체(matrix)의 표면상에 자주 착상되어 누적되므로서 가스류의 흐름을 방해한다. 동시에, 착상물들과 그것에 인접한 몸체의 온도는 냉각가스류의 영향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급속히 상승하게 된다. 온도가 약 700℉에 달하면, 착상물에서 열이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이 열은 착상물과 몸체의 주변금속을 발화시킬 수 있으며 온도가 약 1400℉로 상승하면 하우징 자체가 타게된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번호 34로 지시된 바와같이 몸체에 있어서 규모가 작은 고열점으로부터 발화가 시작되며, 상기한 고열점은 입자물질과 액체증기가 맨 처음 발생되는 곳이 된다. 상기한 고열점들은 약 6인치(15.24cm) 직경까지 그 크기가 급속히 확대되며 약 1400℉까지 그 온도가 급속히 상승한다. 이 온도에 도달되면, 하우징금속과 각 기체의 몸체자체가 가열발화되어 주변 구조물에까지 신속히 확산되어 다대한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한 착상물들은 처음에는 열교환기나 기타 장치의 몸체 내에서 무해한 고열점으로서 생겨나므로, 본발명은 발화가 현실적으로 일어나기 전에 초기 고열점이나 발화 가능점을 탐지하는 장치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여기서 언급되는 다수의 탐지장치헤드와 별도의 비교기들의 독특한 배열은 초기 고열점에 대한 감응에 있어서나, 발화가능점에 대한 감응에 있어서, 종래보다도 더욱 신속 민감하게 감응하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련의 적외선탐지기(24)들이 배열되는데, 이 탐지기들은 서로 측면 인접하여 배치되며 고온 가스가 통과하는 소정의 공간을 감시하도록 되어 있다. 탐지기들은 하우징의 전체 횡단면에 걸쳐서 감시를 하도륵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하우징내의 어느곳에서든지 발생하는 고열점이 탐지기들중의 하나에 의하여 즉시 탐지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제적인 배치에서는, 열흡수물질의 몸체(18)가 고온가스를 입구(14)로 들어가서 출구(16)로 나가게 하면서 몸체(12)를 횡단 이동한다. 연속한 측면배열 적외선탐지기(24)들은 단일의 지지수단이나 측면 브래킷(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지지되어 몸체에서 초기과열점이 발생하면 거의 동시에 탐지하도톡 되어 있다.
고열점(34)으로 부터 유도되어 탐지기(24)에 작용하는 적외선신호는 전달선(26)을 통하여 비교기(28)이 전달된다. 한편 각 탐지기(24)에 의하여 검출된 기준평균 온도로부터 얻어지는 기준신호가 각 비교기에 전달되는데, 이 기준신호와 상기 적외선신호와의 사이의 편차가 실질적인 변화량이 되는 것이다.
동작시에, 열흡수물질(28)로부터 탐지기(24)에 도달하는 적외선에너지의 기준평균출력이, 예를들면, 그 비교기(28)에 의하여 6단위로 표시되었고, 번호 34로 표시된 고열점에서의 적외선 방사 에너지가 9단위로 증가되었다면, 그 증가량은 3단위 또는 기준량의 1/2 즉 50%가 된다. 이것은 매우 큰 증가량으로 쉽게 확인될 것이며 어떤 적당한 조절수단을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신호강도를 제공한 셈이 된다.
비록 비교기(28)가 탐지기(24)의 신호 강도를 표시하는 제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비교기로부터의 인출선(32)이 통상적인 증폭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하여 가청 신호장치나 소화장치와 같은 원하는 바의 어떤 조절장치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하여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취지로 부터 벗어남 없이 행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상기 설명중에 포함되어 있으며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있는 모든 것은 한 실시예에 불과하여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열유체류가 통하여 흐를수 있도록 입구(14) 및 출구(16)를 가진 하우징(12)을 통하여 흐르는 고열유체에 접촉되도록 입구와 출구 중간에 위치하는 다량의 열흡수 물질(18)에 수신된 적외선에 비례하는 기준신호를 각각 발생시키도록 하우징내의 열흡수물질을 측면으로 인접하여 감시하는 다수의 적외선탐지기(24)로부터 기준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이 기준신호와 각탐지기에 의하여 수신된 적외선 신호강도에 있어서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편차를 수신하도록 되어있는 비교기(28)로 구성되는 다두 적외선 탐지기.
KR7402625A 1974-06-01 1974-06-01 다두 적외선 탐지장치 KR800000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2625A KR800000401B1 (ko) 1974-06-01 1974-06-01 다두 적외선 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2625A KR800000401B1 (ko) 1974-06-01 1974-06-01 다두 적외선 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401B1 true KR800000401B1 (ko) 1980-05-12

Family

ID=1920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2625A KR800000401B1 (ko) 1974-06-01 1974-06-01 다두 적외선 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40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1458A (en) Multi-head infra-red ray detector
US5213152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a heat detector on a heat exchanger
US6142665A (en) Temperature sensor arrangement in combination with a gas turbine combustion chamber
US3730259A (en) Hot-spot detector for heat exchanger
US3940988A (en) Velocity thermocouple
US5120975A (en) Gas turbine flame detection system with reflected flame radiation attenuator
NO131525B (ko)
US3936648A (en) Flame monitoring apparatus
US4368031A (en) Stationary flame scanner for tilting burner
KR800000401B1 (ko) 다두 적외선 탐지장치
Joutsenoja et al. Pyrometric measurement of the temperature and size of individual combusting fuel particles
AU599386B2 (en) Method of detecting hot spots in a rotary heat exchanger
US2432145A (en) Fire detector of the thermocouple type
CN111562589A (zh) 一种电站锅炉水冷壁结渣程度的监视方法
EP3674674B1 (en) Flame detector
US4019567A (en) Lens holder
US3909184A (en) Flame control in furnace burners
US3127876A (en) Heavy duty fluid heater
Idris et al. Two colour pyrometer technique for coal particle temperature measurements in pressurised pulverised coal flame
JPH06137509A (ja) ボイラ各部の温度検出方法及び装置
SU663961A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 загорани отложений на поверхност х нагрева воздухоподогревател парового котла
SU1539468A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 факела горелки котлоагрегата
JPS61124828A (ja) 火炎監視装置
JP2889833B2 (ja) ゴミ焼却炉の燃焼火炎計測方法
Hammaker et al. Evaluation of internal boiler components and gases using a high-temperature infrared (IR) l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