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394Y1 - 테이프 카세트용 홀더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세트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394Y1
KR800000394Y1 KR2019800000375U KR800000375U KR800000394Y1 KR 800000394 Y1 KR800000394 Y1 KR 800000394Y1 KR 2019800000375 U KR2019800000375 U KR 2019800000375U KR 800000375 U KR800000375 U KR 800000375U KR 800000394 Y1 KR800000394 Y1 KR 800000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slider
housing
spring
transpor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액커레트 피터
Original Assignee
이든 인벤션 앤드 디벨롭먼트 어브 노벨티스 에이지
빌헬름 마이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든 인벤션 앤드 디벨롭먼트 어브 노벨티스 에이지, 빌헬름 마이스터 filed Critical 이든 인벤션 앤드 디벨롭먼트 어브 노벨티스 에이지
Priority to KR2019800000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3Containers for magazines or cassettes
    • G11B23/0233Containers for a single cassette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용 홀더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와 제1도의 Ⅱ-Ⅱ선 횡단면도.
제3도와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종단면도와 제3의 Ⅲ-Ⅲ선 횡단면도.
제5도와 제6도는 제3 실시예의 종단면도와 제5도의 Ⅳ-Ⅳ선 횡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정단면도.
제8도와 제9도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의 종단면도와 제8도의 Ⅴ-Ⅴ선 횡단면도.
본 고안은 카세트 인출시 코어구멍의 밖으로 회전하고 압입시 카세트의 코어구멍으로 회전하여 들어가는 카세트의 테이프 감개용 고정부재를 가진 길고 좁게 개방된 일면을 갖는 정방형 하우징 형태로된 마그네틱 테이프 카세트류용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회전 운동은 카세트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된 L형 슬라이더에 의해 조절되고, 이 슬라이더는 하우징 베이스에 가장 가까이 있는 횡 생크(shank)상에서 작동하는 압력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저장될 카세트 전면에서부터 밀려들어오는 하나의 카세트를 담을 수 있는 각각의 격벽 유입장치로 형성된 일련의 인접방으로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 케이스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카세트는 방내에 견고히 지지되고 테이프의 비권장 및 권취감개가 브록(block)으로 되기 위해서, 각 방의 측벽에 L형 슬라이더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것은 횡으로 이동하고, 이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이동방향으로 하나씩 배치된 두개의 구멍을 생크내에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는 카세트감개에 대한 고정캠을 갖는 슬라이더에 부착된 두개의 절편을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두기 위해 인접측벽내에 일치하는 구멍과 결합된다.
베이스내의 구멍을 거쳐 유인되는 판스프링은 베이스에 부착되어 슬라이더의 횡생크에서 동작한다. 저장된 카세트는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므로 손으로 파지될 수 있고 빼낼 수 있다.
카세트가 방출될 때, 슬라이더도 카세트와 함께 짧은 거리로 방출된다. 이것은 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지며 고정위치 밖으로 캠을 회전시키는 위치로 된다. 그러므로 카세트는 지장없이 취출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프감개에 대한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삽입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것이 아니고 파손이나 더러움등 기타 위험이 없이 노출되어 쉽게 취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의 크기가 카세트와 거의 같고 운반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카세트를 지지하는 브록킹 장치가 삽입위치에서 해제될 때 슬라이더가 자동적으로 카세트를 취출하기가 쉬운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보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콘테이너는 세부분, 즉 하우징 1, 운반슬라이더 2, 압축스프링 3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1은 카세트 5의 삽입이나 제거에 대해 개방되는 하우징 1의 반대편에 있는 베이스, 4, 협측벽, 6, 7과 덮개벽, 8, 9을 포함한다. 덮개벽 9의 외측에는 도브테일(dovetail)형 단면으로된 스트립 10이 배치되고 반면에 벽 8의 외측에는 스트립 10과 결합하는 홈 11이 있다. 여러개의 같은 콘테이너들은 상호 고정장치 10, 11을 압착시켜서 유니트를 형성하도록 겹쳐지고 결합될 수 있다.
측벽 6은 인접리브 19와 덮개벽 9 사이의 부분에서 두개의 평행 절결부를 가진 덮개벽에 평행한 하우징 구멍으로부터 길이 12를 따라 갖추어져 있다. 측벽 6의 일부는 하우징 1의 잔유부에 대해 유동성있게 편향되므로 스프링텅 13이 형성된다. 그 리그(lug) 14는 카세트 5가 삽입위치로 고정되게 하고, 반면에 키 15는 편향을 용이하게 한다.
제1도와 제2도의 실시예에서, 덮개벽 8, 9 사이의 하우징 내부 두께는 가장 두꺼운 곳의 카세트 두께보다 두껍다. 그리므로 리브 19가 각 측벽 6, 7의 내부에서 안쪽으로 돌출되므로 삽입 및 제거시에 카세트 5는 덮개벽 9와 횡리브 19 사이로 유도된다.
측벽 6과 7은 홈 16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다른 것과 일직선으로 되어 덮개벽 8, 9에 평행이며, 그 길이는 운반 슬라이더 2의 방출이동을 제한다. 운반슬라이더 2의 핀신장부 17은 각각의 홈 16 내에 유도된다.
운반슬라이더 2는 삼각형 보강러그 18을 가진 L형 단면으로 되어 있다. 생크 20과 하우징에 베이스 4 사이에서 압축스프링 3이 신장되므로 덮개벽 9쪽으로 오프세트된다. 압축스프링 3이 동작하는 상크 20은 레버암으로 동작하여 핀신장부 17의 축주위에서 회전된다. 운반슬라이더의 다른 생크 21은 두개의 내부첨단 돌출부 22를 포함하는데 이 각각은 캠 23을 운반한다. 카세트가 압입될 때 이들 캠은 카세트 5의 코어 구멍에 들어가서 록크된다. 돌출부 22 사이에는 텅(tanque)24가 있는데 제2도에서와 같이 이 텅은 생크 21의 평면에서 외부로 구부러진다. 생크 21은 전체적으로 카세트 5에서 가장 먼 리브 19의 한쪽에 걸리므로 상술한 기울기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카세트를 저장하기 위해서, 긴 단부와 측방으로 멀티 스프링텅 13을 압출한 뒤 테이프가 덮개벽 9와 리브 19 사이의 공간으로 압입되는데 여기서 테이프는 노출되고 보호된다. 측방스트립 25는 측벽의 내부에 측방 가이드로써 사용된다. 카세트가 운반슬라이더 2의 리브와 부딪칠 때, 스프링 3은 압축되고 운반슬라이더는 제2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기울어 진다.
따라서 캠 23은 코어구멍으로 회전된다. 카세트 5가 제 21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압입되자마자 스프링텅 13은 튕겨나오고 러그 14로 카세트를 확고하게 유지한다. 스프링 3은 압축된 채로 남는다.
만일 스프링텅 13이 손가락으로 측방으로 편향되며, 스프링 3은 운반슬라이더를 외부로 믿고 동시에 카세트 5도 일어난다. 핀신장부 17이 홈 16의 끝에 닿자마자, 운반 슬라이더는 더 이상 압출되지 않고, 핀신장부의 축주위로 기울어지므로, 캠 23은 카세트의 코어구멍에서 빠진다. 기울기동작은 덮개벽 8의 내부와 만나는 텅 24로 제한된다. 텅 24는 생크 21의 평면 멀리서 구부러져서 덮개벽 8에 텅이 걸릴 때 캠 23은 실제로 카세트 5를 해체시키지만 아직은 약간의 마찰력으로 멈추어 있다. 이것은 카세트가 떨어지는 것을 막는다. 이 마찰저지 때문에 이것은 편리한 위치에 취출용이하게 가볍게 걸린다. 취출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없다. 왜냐하면 텅 24는 카세트의 두꺼운 부분이 캠 23 상에 견인될 때 탄력성있게 인수되기 때문이다.
하우징 1과 운반슬라이더 2는 열가소성 프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다. 두개의 부분품은 약간의 절단부를 갖는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공구값이 아주 저렴하다.
제3도와 제4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덮개벽 8은 각각 카세트 이동방향에 평행한 두개의 홈을 갖는 두개의 그룹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그룹은 운반슬라이더 12의 이동을 제한하는 유도홈 26을 포함하고, 둘째 그룹은 조절홈 27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홈 26은 각 홈 26의 연장부분에 있지만 꼭 그럴 필요는 없다. 2개 이상의 홈 26들도 사용할 수 있다.
운반슬라이더 2는 바닥 28, 충격벽 29, 축방 유도벽 30으로 된 설합형태이다.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 바닥 28은 절단부 31을 형성한다. 카운터 홈 32는 조절홈 27과 평행하게 운반슬라이더의 바닥 28에 형성된다. 충격벽 29에 평행으로 카운터 홈 32를 거쳐 직각으로 충격벽 29의 가장 가까운 단부에 얇은 스핀들 33이 있다. 이 스핀들 33은 90°회전가능하고 조절 및 카운터홈 27과 32와 일직선으로 된 지지레바 34와 연결된다.
지지레바 34의 보다 긴 레바암은 제 4도의 실선표시와 같이 카세트 5가 압입될 때 카세트의 테이프 코일감개의 코어 구멍에 들어간다. 짧은 레반암은 이와 결합된 조절홈 27안에 돌출되고 약간 각을 갖는다. 최종적으로 멈춤쇠 35는 하우징의 덮개벽 8의 안내홈 26과 일렬로 된 운반슬라이더의 바닥 28 위에 주조된다.
콘테이너를 조립하려면, 먼저 스프링 3을 하우징 1에 삽입한다. 유도체(도시되지 않음)는 스프링의 헝클어지지 않게 한다. 다음에 레바 34는 삽입방향에 반대로 긴레바암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운반슬라이더의 카운터홈 32내에 들어간다. 스핀들 33의 위치와 레바 및 홈의 길이는 이에 따라 계산된다. 운반슬라이더 2는 이때 약간의 압력으로 하우징내에 삽입되고 하우징의 덮개벽 8은 외부로 변형되고 운반슬라이더 2의 바닥 28은 일정범위까지 내부로 연장된다. 왜냐하면 두 부분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재료 특히 플라스틱롤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변형은 멈춤쇠 35에 의해 일어나고 그 비스듬한 표면은 운반슬라이더를 삽입하기 좋게 한다. 운반슬라이더가 충분히 압입되면, 멈춤쇠 35는 안내홈 26내로 들어간다. 멈춤쇠 35의 멈춤표면 36은 바닥 28의 평면과 닿는데 이것은 손으로 만들어진 상술한 유연한 변형이 없이 다시 운반슬라이더가 압출되는 것을 막는다. 지지레바 34의 짧은 레바암은 약간 꺾어지므로, 결합하는 동안 카운터홈의 약간 밖으로 돌출되고 다음에 조절홈 27에 들어간다. 레바는 아직 직각이 아니다. 왜냐하면 스핀들 33이 아직 조절홈 27 앞에 있기 때문이다. 이 위치는 제4도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카세트 5를 압입하면 스프링텅 13이 측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카세트는 우선 운반슬라이더의 충격벽 29의 내부와 부딪친다. 약간의 압력을 카세트의 내부로 가할 때 운반슬라이더는 안으로 압입되고 스프링 3의 내부와 부딪친다. 약간의 압력을 카세트의 내부로 가할 때 운반슬라이더는 안으로 압입되고 스프링 3의 예비압출력을 받게 되는데, 지지레바 34의 짧은 레바암이 조절홈 27의 단부에 들어갈 때까지 계속된다. 지지레바는 바닥 28의 상부위치 밖으로 회전하므로 긴 레바암은 코어구멍에 들어가 테이프감개를 고정시킨다. 카세트 5에 따른 운반슬라이더 2의 이 위치에서 스프링 3은 거의 완전히 압축되고, 카세트는 러그 14가 스프링을 돌리고 카세트의 외부단에 걸치는 위치가 된다. 그러므로 카세트는 지지되고 스프링 3은 방출동작을 하기 위해 압축되어 있다.
방출작업을 하기 위해서, 키 15를 손으로 약간 누르면, 스프링 3은 카세트 5와 함께 운반슬라이더 2를 외부로 압출한다. 이에 따라 지지레바 34의 짧은 레바암은 조절홈 27의 타단에 도달하므로 레바를 회전시켜서 이동방향에 거의 평행한 위치로 되돌아가고 바닥 28로 후퇴한다. 카세트는 측방스트립 37 상에 브레이크가 걸리기 때문에 아직 방출되지는 않는다. 그라나 거의 압출된 것이다. 스트립은 운반슬라이더의 안내벽 30의 내부상에 주조된다.
제5도와 제6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U형으로된 두개의 홈 46은 덮개벽 8내에 형성된다. 판스프링 작용을 하는 두개의 텅 47은 하우징 내부방향으로 비스듬히 꺾어지고 제6도의 점선위치에 있다.
덮개벽 8은 카세트 5의 삽입방향에 평행으로 두개의 유도홈 48을 갖는다. 운반슬라이더 2의 멈춤톱니 49는 각각의 홈내에 유도된다.
운반슬라이더 2는 T형의 바닥 50을 포함하여 구부러진 지지부 51, 53이 생크의 각단에 있다.
멈춤톱니 49는 횡생크 52 상에 주조되며 나선형 스프링 3은 이 생크의 지지단 53상에 억압된다. 횡생크 54, 55는 운반슬라이더의 측방안내와 카세트 5의 지지 역할을 한다. 이들은 각각 하우징 1의 덮개벽 8쪽으로 접한 절단부 57과 경사조절홈 56을 중앙횡생크 52 근처에 가지고 있다.
결합은 먼저 하우징 1 내부로 스프링 3을 삽입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운반슬라이더는 하우징 1안으로 압입되고, 여기서 바닥 50은 내부로 약간 변형되고 덮개벽 8은 약간 외부로 변형된다. 이 유동성변형은 양쪽부분에 대한 재료로서 플라스틱을 선택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멈춤톱니 49가 안내홈 48에 닿자마자, 이들은 안내홈에 들어가고 유동성변형이 없어진다. 이때 운반슬라이더는 제6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있다.
콘테이너는 이제 카세트를 수납할 준비가 되었다. 운반슬라이더는 스프링 3에 의해 방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멈춤톱니 49의 멈춤표면 58이 안내홈 48의 종단에 걸쳐지기 때문이다. 만일 카세트가 압입되고 스프링텅 47을 안으로 밀어준다면, 카세트는 우선 카세트에 닿는 지지부 53의 내부표면에 닿는다. 좀더 밀어주면, 운반슬라이더는 하우징 1 속으로 압입되어 스프링 3을 압축시킨다. 따라서 경사조절표면 56은 텅 47뒤에 닿아, 베이스 8의 외부로 텅을 올리고 그들을 텅 47이 일렬로된 카세트의 코어구멍으로 압입시킨다. 그러므로 테이프감개는 고정된다. 따라서 텅은 유동성있게 변형되고 카세트가 제거될 때 정지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여기서 카세트를 삽입된 위치에 유지하고 스프링 3을 압축시키는 텅 13의 러그 14가 키 15 위에 약간의 측방 압력을 보내므로서 카세트 5로부터 먼저 올려지면 스프링 3이 약간 신장한다. 이에 따라 운반슬라이더 2는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복귀한다. 카세트가 방출하지 않도록 브레이킹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사용될 수 있다.
제7도는 역운동학에서 텅 47'가 하우징의 바닥 8'상의 조절표면 56'와 운반 슬라이더 상에 갖추어질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은 텅이 신장되는 방향의 반대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들이 콘테이너의 삽입구멍에서 멀리 떨어진다는 것이다.
제8도와 제9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스프링 3은 바닥 4의 내부에 한쪽이 걸리고, 다른쪽은 바닥 4에 가장 가까운 운반슬라이더 2의 횡생크 67에 걸린다. 이 스프링 3은 도시한 저장위치에서 신장된다.
운반슬라이더 2는 단면이 L형으로써 종생크 66, 횡생크 67과 측방 안내표면 68로 구성된다. 종생크 66의 표면으로부터의 두개의 정지톱니 69는 덮개벽 8에 형성된 유도홈 70에서 하우징 1의 덮개벽 8의 방향으로 신장된다. 콘테이너구멍에 닿는 홈 70의 단부 71은 운반슬라이더 2의 방출이동에 대한 멈춤쇠로써 작용한다. 또한 운반슬라이더 2의 종생크 66의 표면내에서, 두개의 구멍 72는 방출방향으로 길이로 신장되어 있고 콘테이너 구멍 근처의 단부로부터 2개의 지지레바 73이 신장된다. 이 지지레바는 종생크 66의 평면 밖으로 구부러지고, 제9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휴지위치에서, 이들은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구부러진다.
그러므로 이제까지 설명한 콘테이너를 조립하기 위해서, 첫째 스프링 3이 하우징 1속에 삽입되고, 스프링이 헝크러지지 않도록, 유도체(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된다. 이때 운반슬라이더는 압입되고 러그 14가 측방으로 구부러져 덮개벽 8의 앞단과 멈춤톱니 69가 만날 때까지 유지된다. 멈춤톱니 69는 경사표면이므로, 운반슬라이더는 더욱 가중된 압력으로 억압될 수 있다. 톱니 69가 유도홈 70에 닿자마자 이들은 홈 70으로 들어간다.
콘테이너는 이제 카세트 5를 수납할 준비가 되어 있다. 카세트는 운반슬라이더상에 놓이고 약간 압력을 주어 하우징내로 억압된다. 따라서 지지레바는 덮개벽의 유단상에서 경사표면 64와 만나고 하우징내로 억압된다. 이에따라 이것들은 카세트의 코어구멍에 들어가, 테이프 감개를 지지한다. 카세트 5가 충분히 억압될 때(제8도) 러그 14는 카세트의 일단에서 떨어지고 카세트가 견고히 지지된다. 카세트를 제거하기 위해서, 러그가 키 15로 측방으로 억압되므로 스프링 3은 카세트와 함께 운반슬라이더를 방출시킨다. 그러므로 지지레바 73은 그 휴지 위치로 되돌아가고 카세트 5가 방출된다. 카세트 5의 방출운동은 도시되지 않은 장치에 의해서 브레이크될 수 있다. 운반슬라이더는 멈춤톱니 69가 단부 71과 만날때까지만 압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추가적인 공간이 지지레바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하우징내에 있을 필요가 없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세트가 억압될 때 카세트의 코어구멍 속으로 회전하고, 카세트가 방출될 때 코어구멍에서 회전이탈되는 카세트의 테이프감개용 고정장치를 갖고 있는 한쪽의 길고 좁은 측면을 개방한 장방형 형태로 되어 있고, 고정장치의 회전운동이 카세트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되고 하우징의 바닥을 향해 접한 횡생크 상에서 동작하는 압력스프링을 갖고 있는 L형 슬라이더에 의해서 조절되는 마그네틱 테이프 카세트류용 콘테이너에 있어서, 특히, 하우징 (1)의 크기가 세트를 완전히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슬라이더가 운반슬라이더(2)로 구성되어 그 삽입 위치에서 카세트를 지지하는 키 장치가 해제될 때, 슬라이더가 자동적으로 외부로 카세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용 홀더.
KR2019800000375U 1980-01-19 1980-01-19 테이프 카세트용 홀더 KR800000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375U KR800000394Y1 (ko) 1980-01-19 1980-01-19 테이프 카세트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375U KR800000394Y1 (ko) 1980-01-19 1980-01-19 테이프 카세트용 홀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50002403 Division 1975-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394Y1 true KR800000394Y1 (ko) 1980-04-04

Family

ID=1921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375U KR800000394Y1 (ko) 1980-01-19 1980-01-19 테이프 카세트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3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0601A (en) Holders for tape cassettes
US5366112A (en) Tablet dispenser
US4045821A (en) Tape cartridge having a shutter with self locking function
US4087145A (en) Magnetic tape cartridge case with biasing means
USRE30184E (en) Holders for tape cassettes
JPS6245314Y2 (ko)
US4323207A (en) Latch assembly for a video tape cassette
US4162112A (en) Storage assembly for a tape magazine
JPS62500819A (ja) シ−トの束の収容器
CN1068211A (zh) 磁带盒的存放器具
KR800000394Y1 (ko) 테이프 카세트용 홀더
US5502913A (en) Cartridge magazine for firearms having improved retainer
US3987489A (en) Tape cartridge which is normally closed but is pivoted to open position when taken into use, and transport apparatus for such a cartridge
US3793696A (en) Clip fastener dispenser
KR101044158B1 (ko) 카트리지
US5011015A (en) Container for magnetic tape cassettes with set displacing spring means
US4762262A (en) Side-fed stapler
JP3666213B2 (ja) 給紙カセット
US5890669A (en) Tape drive with movable centering guide and door opening arrangement
EP0543617B1 (en) A stapling machine
US4953045A (en) Cassette tape player with door operating mechanism
USRE29976E (en) Tape cartridge which is normally closed but is pivoted to open position when taken into use, and transport apparatus for such a cartridge
JP3419537B2 (ja) 釘打機のマガジン
JPS639318B2 (ko)
US5381897A (en) Device for storing magnetic tape casset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