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111B1 - 엔진의 흡입 혼합기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흡입 혼합기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111B1
KR800000111B1 KR7401380A KR740001380A KR800000111B1 KR 800000111 B1 KR800000111 B1 KR 800000111B1 KR 7401380 A KR7401380 A KR 7401380A KR 740001380 A KR740001380 A KR 740001380A KR 800000111 B1 KR800000111 B1 KR 80000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exhaust pipe
exhaust
engin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오이찌 나까노
요시도꾸 이이즈까
마사오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가와시마기요시
혼다기겐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시마기요시, 혼다기겐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시마기요시
Priority to KR7401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04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combustion-air or fuel-air mixture
    • F02M31/06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combustion-air or fuel-air mixture by hot gases, e.g. by mixing cold and hot air
    • F02M31/08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combustion-air or fuel-air mixture by hot gases, e.g. by mixing cold and hot air the gases being exhaust gases
    • F02M31/087Heat-exchange arrangements between the air intake and exhaust gas passages, e.g. by means of contact between the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04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combustion-air or fuel-air mixture
    • F02M31/045Fuel-air 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엔진의 흡입 혼합기 가열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한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중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중 III-III선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연소실이 주연소실과 그 주연소실에 토오치노즐(torch nozzle)을 사이에 두어 연통되는 부연소실로서 구성되는 식의 엔진에 있어서 흡입혼합기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엔진에 있어서 주연소실내에 주 흡기관을 통하여 희박혼합기를 공급하고 부연소실내에 부흡기관을 통하여 농후 혼합기를 공급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로서 이 경우에 부연소실내에 공급되는 농후 혼합기는 그 부분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이 농후혼합기를 부흡기관 내에서 주연소실로부터 도출되는 배기관내의 배기에 의하여 가열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장치를 얻음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연소실을 피스톤 상면의 주연소실과 그 주연소실에 토오치노즐을 사이에 두어 연통되는 내부에 점화플럭을 갖인 부연소실로서 구성하고 주연소실내에 주기화기로부터 주흡기관을 통하여 희박혼합기를 공급하고 부연소실내에 부기화기로부터 부흡기관을 통하여 농후혼합기를 공급하는 동시에 연소배기를 주연소실로부터 배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엔진에 있어서, 부흡기관과 배기관을 서로 근접시켜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각각 별개의 얇은 두께로 된 파이프로 구성하고, 이들 파이프를 두께가 두꺼운 기기함내부에 수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실시의 한예를 별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1)은 엔진의 실런더블록을 표시하고 (2)는 그 상면의 실린더헤드를 표시하며, 실린더브록 (1)내의 피스톤 (3)의 상면에 주연소실(4)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상측에 토오치노즐(5)를 사이에 두어 연통되고 내부측면에 점화전(6)을 가진 부연소실(7)을 형성시키고, 주연소실(4)내에 주기화기(8)로부터 그 하면의 분기부(分岐部)를 구성하는 주(主) 라이저(9)와, 이 주라이저(9)에 연결되어 있는 주흡기관(10)과, 이 주흡기관(10)에 연결되어있는 주흡기포오트(11)를 통하여 희박혼합기를 공급하는 동시에, 부연소실(7)내에서는 부기화기(12)로부터 그 하면의 분기부를 구성하는 부(副) 라이저(18)과 이에 연결되어있는 부흡기관(14)와 이에 연결되어있는 부흡기 포오트(15)를 통하여 농후 혼합기를 공급하도도록 하고, 그리하여 부연소실(7)내에서 혼합기가 점화플럭(6)에 의하여 점화되어 연소하고 발생되는 화염이 토오치노즐(5)를 통하여 주연소실(4) 내로 분사됨으로서 주연소실(4)내에 연소폭발이 유기 되도록 하였다.
또 주연소실(4)는 그 측면에 배기포오트(16)과 이에 연속해있는 배기관(17)을 가지고 있고 이 배기관(17)의 선단에 분기부(I8)과 이에 연속해있는 공통배기관(19)을 갖고 있으므로 주연소실(4)내에 발생되는 배기는 이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전기한 부흡기관(14)와 배기관(17)과를 서로 접근시켜 거의 평행하게 연장한 각각 별개의 얇은 두께의 금속판으로 된 파이프로 구성하고, 이들은 그외주의 두꺼운 기기함(20)내에 수용한다. 이리하여 배기관(17)은 그 내부를 흐르는 배기에 의하여 가열되어 그 외주의 기기함(20)내를 고온으로 되게하므로 이에 근접되어 있는 부흡기관(14)는 외주에서 가열되며 그 내부를 흐르는 농후혼합기를 가온하고 이 혼합기내에 연료의 응축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 기기함(20)은 예를들어 주철 혹은 주강으로 만든것으로 미리 선(21)로 양반부(兩半部) (20a), (20b)로 분할한것을 보울트(22)로 서로 결착하여서 된 것이다. 또 기기함(20)은 양파이프(14), (17)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그 다른쪽에 연장된 부흡기관(14)의 밑부분의 부라이저(13)도 수용하도록 하므로서 농후 혼합기는 이 부라이저(13)내내에서도 배기열에 의하여 가열되게 하였다. 또 이 기기함(20)은 전기한 배기관(17)의 선단 분기부 (18) 및 여기에서 연장되는 공통 배기관(19)도 수용하도록 하고 이리하여 배기열은 이들의 각부 (17) (18) (19)에서 기기함(20)내부를 가열하도록 하였다. 또 기기함(20)은 그 일단의 플렌지(23)가 실린더헤드(2)에 고착되는 동시에 그 중간 상면의 플렌지(24)는 주, 부기화기(8)(12)와 결착되고 또 그 타단에도 플렌지(25)를 가지고 있는데 전기한 배기관(17), 분기부(18) 및 공통배기관(19)는 다음과 같이 이 기기함(20)내에 지지된다. 즉 그 중앙의 분기부(18)을 그 상면의 브래킷(26)에서 나사(27)등으로 전기 플렌지(24)에 결착되어 이 분기부(18)이 플렌지(24)에서 매어달린 상태가 되도록하고 그 한쪽으로 연장된 배기관(17)의 말단부를 플렌지(23)에 형성한 통공(28)내로 활동이 자유롭게 끼워서 유동상태로 지지되게하고 그 다른쪽으로 연장되는 공통배기관(19)의 말단부를 플렌지(25)에 형성한 통공(29)내로 활동이 자유롭게 끼우는 동시에 이 통공(29)의 내측단부(30)내에 배기관(19)를 형성한 환상돌출부(31)과의 사이에 탄성좌편(32)을 사이에두어 이들로부터 유동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였다.
이리하여 배기관(17), 분기부(18) 및 공통배기관(19)가 기기함 (20)내에서 비교적 고온이 되어 길이방향으로 팽창되더라도 그 양 말단부에 도피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리가 생기는 일없고 환언하면 열팽창에 의한 손상을 유효하게 방지할수 있게 하였다. 또한 부흡기관(14)는 그 일단의 부라이저(13)에서 플렌지(24)와 분기부(18)사이에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의 말단부에서 플렌지(23)의 통공(32)내에 감합되어 용접, 기타 방법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여기에 흡기누출이 생기지 않지만 이 부흡기관(14)는 전체로서는 비교적 소경이므로 열 팽창은 그 굴곡부에 의하여 흡수되어 파손되는 일이 없다. 도면에서(34)는 변작동캠을 보인것이고, (35), (36)은 이에 연동되는 부흡기변 및 배기변을 표시한다.
이와같이 본발명에 의할 경우에는 부흡기관과 배기관을 서로 근접시켜 거의 평행으로 연장시킨 각각 다른 얇은 두께의 파이프로 구성하고 이들을 그 외주의 기기함내에 있도록 하였으므로 배기관내의 배기의 열에 의하여 부흡기관내의 농후혼합기는 양호하게 가온되어 분무가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연료의 응축이 발생되지 않고, 이때 양 파이프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한쪽이 배기열에 의하여 비교적 고온이 되어 큰 열변형이 생기는데 대하여 다른쪽은 연료의 기화에 의하여 온도가 강화되어 비교적 저온이되어 작은 열변형이 생기게되는바 이들의 변형은 각각 별도로 허용되어 양 파이프를 일체로 형성하였을 경우의 상호변형의 상위에 의하여 균열등이 발생하는 일들이 젼혀없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다음과 같다.
[실시양태 1]
부흡기관을 구성하는 얇은두께의 파이프를 그 밑부분의 분기부의 부라이져와 함께 전기한 기기함내에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은 엔진의 흡입 혼합기 가열장치
[실시양태 2]
배기관을 구성하는 얇은두께의 파이프를 그 선단의 분기부 및 이분기부로부터 연장되는 공통배기관과 함께 전기한 기기함내에 수용시켜 이들을 그 중앙의 분기부일측면에서 기기함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그 양외측의 배기관과 공통배기관과의 각 단부에서 유동적으로 기기함에 지지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은 엔진의 흡입혼합기 가열장치

Claims (1)

  1. 연소실을 피스톤상면의 주연소실과, 그 주연소실에 토오치노즐을 사이에두어 연통되고 내부에 점화플럭을 갖인 부연소실로서 구성하고, 주연소실내에 주기화기로부터 주흡기관을 통하여 희박혼합기를 공급하고 부연소실내에 부기화기로부터 부흡기관을 통하여 농후 혼합기를 공급하는 동시에 연소배기를 주연소실로부터 배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엔진에 있어서, 부흡기관과 배기관을 서로 근접시켜 거의 평행하게 연장시킨 각각 별개로 된 얇은두께의 파이프로 구성하고, 이들 파이프를 그 외주의 두께가 두꺼운 기기함 내에 수용함을 특징으로 한 엔진의 흡입혼합기 가열장치.
KR7401380A 1974-02-02 1974-02-02 엔진의 흡입 혼합기 가열장치 KR80000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380A KR800000111B1 (ko) 1974-02-02 1974-02-02 엔진의 흡입 혼합기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380A KR800000111B1 (ko) 1974-02-02 1974-02-02 엔진의 흡입 혼합기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111B1 true KR800000111B1 (ko) 1980-03-07

Family

ID=1919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1380A KR800000111B1 (ko) 1974-02-02 1974-02-02 엔진의 흡입 혼합기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29B1 (ko) * 2003-12-01 2004-05-08 이희성 양면 벨루어 직물용 환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29B1 (ko) * 2003-12-01 2004-05-08 이희성 양면 벨루어 직물용 환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6850A (en) Intake and exhaust manifold assembly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1530285A (en) Fuel vaporiser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S430979A1 (es)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un conjunto de escape eno para un motor de combustion interna.
US4041916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3994271A (en) Intake and exhaust manifold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S428727A1 (es)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un sistema de admision y escape en o para un motor de combustion interna depisto- nes.
US3785153A (en) Engine with exhaust reactor arranged for early ignition
KR800000111B1 (ko) 엔진의 흡입 혼합기 가열장치
US3964460A (en) Heating of intake mixture for auxiliary chamb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867915A (en) Heated indu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GB1522867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exhaust passage
US3884202A (en) Engine intake and exhaust apparatus
GB1528174A (en) Exhaust gas reaction apparatus
US3916847A (en) Intake and exhaust system for three val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916858A (en) Intake and exhaust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201168A (en) Intake manifold for engine
US3916852A (en) Intake mixture hea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086762A (en) Exhaust reaction apparatus for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1049869A (en) Exhaust reaction system in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077210A (en) Exhaust manifold
GB1520178A (en)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exhaust cleaning apparatus
CS198132B2 (en) Sucction and exhausting system for the combustion engine
CA1041393A (en) Intake heating system in engine
KR800000110B1 (ko) 다기통 내연 기관의 배기 정화 장치
KR810000060B1 (ko) 내연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