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679B1 - 전후진 절환겸 촌동장치(前後進切換兼寸動裝置) - Google Patents

전후진 절환겸 촌동장치(前後進切換兼寸動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679B1
KR790001679B1 KR7402263A KR740002263A KR790001679B1 KR 790001679 B1 KR790001679 B1 KR 790001679B1 KR 7402263 A KR7402263 A KR 7402263A KR 740002263 A KR740002263 A KR 740002263A KR 790001679 B1 KR790001679 B1 KR 790001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haft
piston
hydraulic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라가미기요하루
Original Assignee
아다찌가즈마
주식회사 다이깅 세이사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다찌가즈마, 주식회사 다이깅 세이사구쇼 filed Critical 아다찌가즈마
Priority to KR740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후진 절환겸 촌동장치(前後進切換兼寸動裝置)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되는 장소를 나타낸 구조약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요부 종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Ⅲ-Ⅲ선에서 본 전개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부분 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라인 유압과 인칭그 샤후트토로크와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유압식(油壓式)의 전진 크럿치 및 후진 크럿치를 가지고 있는 형식의 차량 즉, 호-크리프트 등에 적용되는 전후진 절환겸 촌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나의 밸브에 의하여 전후진으로 절관 및 촌동(극히 적은 운동) 할수 있으며 또한 브레키 페달을 밟은량을 적게 하므로서 증가되는 유압을 크럿치에 공급할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종래의 유압식 전진 크럿치와 후진 크럿치를 갖는 형식의 차량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유압 절환용 세레크터 밸브와 촌동용 인칭 그 밸브의 계기로서 두종류 밸브를 채용하였었다.
(미국특허 제2,786,368 또는 특허공보 소화 30-1753) 이것은 상술한 세레크터 밸브는 가압 작동유를 전진용 크럿치에 공급하는 전진위치(이때에 후진용 크럿치는 도레엔에 연결)와 가압작동유를 후진용 크럿치에 공급하는 위치(전진용 크럿치는 도레엔에 연결)와 가압 작동유를 어느쪽 크럿치에도 공급되지 않는 중립 위치에 수동으로 옮길수 있게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인칭 그 밸브는 브레키 페달에 연동하고 브레키 페달 밟기 스트로-크의 초기에 있어서 즉 브레키를 걸기전에 상기한 세레크터 밸브의 위치에 관계없이 유압 크럿치에 대한 가압작동유의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세레크터 밸브를 전진위치에 셋트하여 전진중 브레키페달을 밟으면 전후진 절환음의 위치는 그대로 있으나 (중립에 갖다 놓지 않는다)브레키가 걸리기전에 크럿치가 자동적으로 떨어지고 다음에는 브레키를 천천히 풀어주면 브레키 해방후 크럿치는 반(半)크럿치 상태를 거쳐서 천천히 접속하여 소위 인칭 그 조작이 가능하게된다.
물론 브레키 페달을 밟을때에도 극히 적은 운동으로 가능하다. 또 상기한 형식에 있어서 두종류의 밸브를 요하기때문에 구조 및 배관이 복잡해지고 조정과 조작에 상당한 주의와 숙련을 필요로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와같은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밸브에 세레크터 밸브와 인칭 그 밸브의 기능을 겸하게 하려는 구조를 제안한 것이 있었다. (특허공보 소화 47-46735호)
그런데 상기한 하나의 밸브에 있어서는 습동 피스톤식의 세레크터 밸브를 브레키 조작때마다 중립위치로 적극적으로 돌아오게하는 구조를 필요로하여 구조가 복잡하게되고 전후진 절환레바의 작동력이 증가되는 불편이 있다.
브레키 페달의 위치에 관련하여 작동유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서는 상기한 세레크터 밸브와 측 방향의 양측에 압력조정기를 필요로 하여 구조가 일층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세레크터 밸브와 인칭 그 밸브의 양기능을 가진 한개의 밸브방식을 채용했을 때 상기한 불편과 결점을 없애기 위하여 실린더와 그 내부에 감합한 피스톤 밸브간에 한개의 습동면에 붙어서(着目), 피스톤 밸브의 회동을 전후진 절환용으로 왕복운동을 극히 적은 운동토록 이용함과 동시에 피스톤 밸브의 왕복움직임을 이용하여 조압실(調壓室)의 설정압을 바꾸어, 브레키 페달의 밟은량을 감하게함에 따라서 크럿치에의 라인 유압이 자동적으로 증가하게 한것으로서, 도면에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와 적용장소를 표현한 구조 약도로서 도면중 엔진(1)의 출력축(2)는 도루크콘-버드(3)에 연결되고 도루크콘(3)의 출력축(4)는 습식다판식(濕式多板式)의 전후진 크럿치(5),(6)에 의하여 후진축(7)에 연결되어있다.
이 후진축(7)은 착동기구(着動機構)을 거쳐 후차축(後車軸)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8)은 전후진 절환겸 촌동 조정 밸브이다.
펌프(9)로 가압된 샤프라이 탱크(10)내의 작동유는 파이프(11)을 거쳐 밸브(8)에 도입되며 전후진 절환옴(12)에 의하여 회동하는 밸브내부의 피스톤 밸브(제 2 도에 설명함)에 의하여 절환되며 전진 크럿치(5)용의 파이프(13) 또는 후진크럿치(6)용 파이프(14)에 연결되든지 밸브(8)에 의하여 차단되여 있고 차단중에는 파이프(14),(13)중의 기름은 파이프(15)로부터 사프라이 탱크(10)에 배출된다. (16)은 브레키 페달로서 지축(17)에 지승(支承)되어 있어서 핀(18)에 의하여 인칭그 측(19)에 연결되고 폐달(16)을 밟아서, 인칭그 측(19)를 화살표 방향에 전진시키는 과정의 초기에 상기 한 밸브(8)내의 피스톤밸브에 의하여 파이프(11)과 (13) (또는 14)이 차단되며 동시에 파이프(13) (또는 14)은 도레엔 파이프(15)에 연결될수 있게 구성되어있다. 또(20)은 밸브(8)로 조압(調壓)된 작동유를 도루크콘버드(3)으로 보내는 파이프이다. 전후진 절환옴(12)는 전후진 절환레버(도시되지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제 2 도는 제 1 도중에 표시한 밸브(8)의 확대 종단면도로서(22)가 전후진 절환과 인칭그에 관여하는 피스톤 밸브이다. 피스톤밸브(22)는 중공원통상(中空圓筒狀)으로 외표면은 밸브보터(8a)내의 실린더면(23)에 액밀(掖密)을 보유할 수 있도록 습회동(
Figure kpo00001
同動) 자재(自在)로 강압하고 키(24)를 개입시켜 전후진 절환축(25)상에 습동만을 가능하게 할수 있도록 지승되어있다. (26)은 피스톤밸브(22)내면의 키요구이다. 축(25)은 인칭그 축(19)상에 감합하면 우단(右端)에 전후진 절환옴(12)가 고착되어 커버(27)의 중앙공에 회동자재로 지승되어 있다. (28)은 축(25)의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스프링이다. (29)는 인칭그 축(19)상에 고착된핀 인칭그 축(19)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피스톤밸브(22)에 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서 구조적으로는 축(19)의 양측면에 돌출한 부분이 축(25)상의 창공(窓孔) (30)을 관통하며 피스톤 밸브(22)우단 주연의 둘레 방향의 2개의 스릿트(31)에 계합하여있다.
따라서 인칭 그 축(19)의 축방향의 움직임은 핀(29), 스릿트(31)을 통하여 피스톤밸브(22)에 전달된다. 한편으로 옴(12)에 의하여 축(25)가 회전되면 피스톤 밸브(22)는 키(24)에 의해서 동방향으로 동일각도만큼 회전되고 축(25)의 창공(30)과 피스톤 밸브(22)의 스릿트(31)은 고정상태의 핀(29)에 대하여 하등의 회동력을 주지않고 회동한다.
밸브보데-의 실린더(23)에는 유압펌프(9)에 연통하는 유압도입공 공(33)과 전후진 크럿치용 파이프(13)(14)에 연통하는 유압취출공(34),(35) (제 3 도)와 도렌파이프(15)에 연통하는 연통공(36)이 개구(開口)되여있다.
한편 피스톤밸브(22)의 표면에는 축방향구(37),(38),(39),(40),(41) (제 3 도)와 홈(37),(38)을 연결하는 환상구(42)가 설치되고 홈(37)은 가압 작동유를 유압도입공(33)에서 받아들이는 부분으로 피스톤밸브(22)의 전습회동 범위에서 항상 유압도입공(33)과 연통하는 폭의 길이를 가진다.
또 홈(38),(39)는 축방향의 동일 선상에 있으며 사이에는 렌드(42) 길이 ℓ1가 배치되고 도렌용의 홈(40),(41)은 홈(38)에 대하여 주방향(周方向) ℓ2(제 3 도)만큼 떨어져 있어 그 주방향의 폭은 제 3 도와 같이 홈(38)과 공(34)가 축방향의 동일선상에 있는 전진 위치에 있어서는 후진 크럿치에 연통한 공(35)가 도렌용 홈(41)에 연통하고, 반대로 홈(38)과 공(35)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후진 위치에 있어서는 전진 크럿치에 연통한 공(34)가 타방의 도렌용홈(40)에 연통하는데 충분한 가치가 있다.
옴(12)가 전진위치에 셋트되며 또 브레키페달이 밟혀서 인칭 그 작동유는 파이프(11), 공(33), 홈(37),(42)를 거쳐서 홈(38)의 부분까지 도달하고 있으며 유압은 조압실(48)에서 리프피스톤(46)을 통하여 프렛샤스프링(44)로 조압된다. 전진크럿치에 연통한 공(34)는 홈(39), 실린더(23)내의 방(23a), 공(36)으로부터 도렌파이프(15)에 연통하고 전진크럿치는 절단되어 있다. 브레키페달을 밟는 량을 점차 감소하고 인칭그 축(19)를 우방(레리스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핀(29)에 의하여 피스톤 밸브(22)도 우방으로 이동하며 렌드(42)부분은 공(34)를 우방으로 통과하여 나중에 홈(38)이 공(34)와 연통하기 시작하고, 전진크럿치에는 후술하는 기구에 의하여 브레키 페달 위치에 대응할수 있도록 제어된 유압이 공급된다.
브레키 폐달을 밟는량을 감소하는데 따라 공(34), 홈(38)에 전개되며 타방 작동유압도 점차로 증가하는 브레키가 개방됨과 동시에 크럿치는 천천히 접속된다.
브레키 폐달의 위치에 대응하여 유압을 제어하는 기구로서 도시한 예의 리리프 프레샤스프링(44)인칭그스프링(45)가 병용된다.
(46)은 리리프피스톤으로 밸브보데 내의 실린더(47)에 밀접하게 감합하여 조압실(48)을 형성하고 있는 일체의 부란쟈(49)가 인칭그축 (19)의 통상부(筒狀部) (50)에 감합하여 부란쟈(49)와 축(19)사이에 인칭그 스프링(45)가 축설되어있다. (51)은 공으로 파이프(11)을 통하여 공(33)과 연통하여있다. (52)는 리리스공, (53)은 스톱퍼핀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브레키 스토로크 즉 인칭그축(19)의 스토로크와 라인 유압의 관계는 예를들면 제 5 도와 같다.
제 2 도와같이 인칭그축(19)가 전 스토로크 좌방에 이동한 상태는 제 5 도의 A점에 해당하며, 인칭그스프링(45)가 압축되고 리리프 프렛샤스프링(44)의 탄력을 삭감하며 설정압은 낮은치 a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브레키를 천천히 줄고 제 2 도의 인칭그축(19)를 우방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량에 따라 인칭그 스프링(45)의 소동은 감소되고, 설정압은 제 5 도 화살표와같이 상승하여 스토로크 "0"일 경우 b에 달한다.
물론 렌드(42)의 위치, 길이, 공(34),(35)의 위치등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라인 유압의 범위는 좁아지며 예를들면 제 5 도의 구간 ℓ3이 된다.
전후진 절환할경우는 절환옴(12)에 의하여 피스톤 밸브(22)를 회동하고 가압작동유 공급원에 연통한 피스톤밸브(22)상의 홈(38) (제 3 도)은 전진 크럿치와 연통한 공(34) 또는 추진크럿제 연통한 공(35)을 합한다.
그리고 브레키폐달을 밟으면 피스톤밸브(22)가 습동하여 브레키가 걸리기전에 상기한 홈(38)과 공(34)(또는 35)는 차단되며, 공34(또는 35)는 도렌엔에 연결되어서 크럿치는 끊어진다.
인칭그는 홈(38)과 공(34),(35)의 개폐속도 및 작동유압을 브레키의 폐달위치와 연통시켜서 제어하므로서 행하여진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체화 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피스톤밸브(22)와 실린더(23)의 습동면을 이용하고, 피스톤밸브(22)의 회동에 의하여 전후진 절환, 습동에 의하여 인칭그를 행할수 있게 한 것으로서 밸브 하나로 잘되며 구조는 대폭 간소화된다. 더우기 양동작을 전혀 독립적으로 용이하게 할수 있게 된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린더(47)내에 리리프 피스톤(46)을 감합하며 조압실(48)을 형성하고, 조압실(48)에 리리프공(52)을 천공하고, 리리프피스톤(46)과 커버(54)의 사이에 리리프 프렛샤스프링(44)을 축설함과 동시에 리리프 피스톤(46)과 인칭그축 (19)사이에 인칭그스프링(45)을 축설하고, 이로 인하여 제 2 도의 브레키를 밟기 시작할 때부터 브레키를 밟는 량을 적게하여 인칭그축(19)를 도면 우측으로 끌어낼때 리리프피스톤(46)에 작용하는 인칭그스프링(45)의 탄력이 점차 감소하며, 따라서 리리프피스톤(46)에 작용하는 조압실(48)축에 향하는 탄력이 실질적으로 증가되어 조압실(48)의 실정압이 증가되도록 하였다.
즉, 인칭그축(19)가 제 2 도의 우측에 이동함에 따라서 리리프 피스톤(46)이 리리프공(52)을 폐쇠할때의 조압실(48)내의 유압은 상승하고 조압식(48)은 공(51), 파이프(11)를 거쳐서 유압도입공(33)에 연통하여 있음으로, 유압인출공(34)(35)로부터 크럿치에 공급되는 라인 유압은 제 5 도와 같이 인칭그 축(19)의 스트로-그에 따라서 변화한다.
인칭그축(19)를 제 2 도의 상태로부터 우축이 이동시켜서 우압도입공(33)에 연통한 홈(38)은 유압인출공(34)에 연동시킬때, 전진 크럿치에 공급하는 유압은 홈(38)과 유압인출공(34)의 연통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이 아니고, 주로 제 2 도의 상태로부터 인칭그축(19)가 우측에 이 이동하는 스트로그에 따라서 제 5 도와 같이 상승하므로, 브레키폐달의 레리즈 작동에 특별한 주의를 하지 않아도 크럿치에 공급하는 유압은 인칭 그축(19)의 넓은 스트로그 범위에서 서서히 증가하며, 인칭그 조작이 용이하며 또한 원활하다.

Claims (1)

  1. 밸브보데(8a)내에 2개의 실린더(23),(47)을 동축으로 설치하고, 실린더(23)에 중공의 피스톤밸브(22)를 감삽하며, 피스톤밸브(22)내에 회전정지기구를 거쳐서 중공의 전후진 절환축(25)을 왕복자재토록 감합하여 축(25)를 실린더(23)의 커버(27)에 빠지지 않도록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커버(27)로부터 외측에 돌출한 부분에 전후진 절환옴(12)을 부착하여 축(25)내에 인칭그축(19)를 감삽하며 인칭그축(19)를 브레키를 밟을때 밸브보데(8a)내에 들어가도록 브레키폐달에 연결하고, 인칭그축(19)와 피스톤밸브(22)를 전후진전환축(25)에 의한 피스톤밸브(22)의 회동과 인칭그 축(19)에 의한 밸브보데(8a)에 설치한 유압도입공(33)을 파이프(11)를 거쳐서 유압펌프(9)에 접속하고 피스톤밸브(22)의 표면에 유압도입공(33)에 상시연통하는 홈(38)을 내서, 밸브보데(8a)에 원주방향의 간격을 두고, 2개의 유압인출공(34),(35)을 내고, 공(34),(35)을 각각 차량의 전진크럿치와 후진크럿치에 접속하여 유압인출공(34),(35)은 피스톤밸브(22)가 회동범위 양단에 전진위치 또는 후진위치에 있으며, 또한 피스톤밸브(22)가 브레키 밟는 위치에 있을때, 실린더(23) 내실(23)을 거쳐서 도렌파이프(15)에 연통하고, 피스톤밸브(22)를 브레키 레리즈 방향으로 인출함에 따라서 홈(38)과 연통하기 시작하는 위치를 점하고 있고, 또한 피스톤밸브(22)가 브레키 레리즈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유압도입공(33)에 공급되는 유압을 증가시키도록, 실린더(47)에 리리프피스톤(46)을 감삽하여 조압실(48)을 형성하고, 조압실(48)을 유압 도입공(33)에 접속하여 실린더(47)의 커버(54)와 리리프피스톤(46)의 사이에 리리프 부란쟈스프링(44)을 측설하고, 유압실(48)에 면한 부분의 실린더(47)에 리리프공(52)을 설하여 리리프피스톤(46)과 인칭그축(19)가 브레키 레리즈 방향에 이동함에 따라서 인칭그 스프링(45)의 리리프피스톤(46)에 미치는 탄력이 감소되어, 조압실(48)의 실정암이 증가되도록한 전후진 절환겸 촌동장치.
KR7402263A 1974-04-22 1974-04-22 전후진 절환겸 촌동장치(前後進切換兼寸動裝置) KR790001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2263A KR790001679B1 (ko) 1974-04-22 1974-04-22 전후진 절환겸 촌동장치(前後進切換兼寸動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2263A KR790001679B1 (ko) 1974-04-22 1974-04-22 전후진 절환겸 촌동장치(前後進切換兼寸動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679B1 true KR790001679B1 (ko) 1979-12-07

Family

ID=1920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2263A KR790001679B1 (ko) 1974-04-22 1974-04-22 전후진 절환겸 촌동장치(前後進切換兼寸動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67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6348A (en) Two stage operational master cylinder
GB2049850A (en) Hydraulic brake pressure boosters
US4006805A (en) Clutches with bypass inching valve
US3941223A (en) Inching valve
GB2170285A (en) Brake pressure generator for a hydraulic brake system
US5009299A (en) Clutch actuating device
US3603084A (en) Apparatus for driving a device mounted on special-purpose vehicles
KR790001679B1 (ko) 전후진 절환겸 촌동장치(前後進切換兼寸動裝置)
US3926092A (en) Concentric hydraulic brake boost mechanism with system by-pass on piston o.d.
JPH0376261B2 (ko)
US3702648A (en) Brake release reversing transmission clutches
JPS5852854B2 (ja) 流体圧ブレ−キブ−スタのための圧力制御装置
US3707075A (en) Dual lever ratio brake activating apparatus
US5519996A (en) Brake pedal stroke dependent inching system
US4562906A (en) Control device for a hydrostatic transmission in an earth moving machine
US3990552A (en) Variably biased control mechanism
US4538641A (en) Clutch-clutch-brake steering mechanism for tractors
GB1409905A (en) Inching valve
US4262969A (en) Brake control with pilot actuation
DE1630105A1 (de) Hydraulisches System
JPH029972B2 (ko)
HU179418B (en) Hydropneumatic control gear for synchronizing the clutch and transmission of motor vehicles
JPH0543903B2 (ko)
KR0149349B1 (ko) 무조정식 클러치 액츄에이터
US4305568A (en) Vibration damping mechanism for hydraulic boo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