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346Y1 - 자명종 지연기구 - Google Patents

자명종 지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346Y1
KR790001346Y1 KR7902967U KR790002967U KR790001346Y1 KR 790001346 Y1 KR790001346 Y1 KR 790001346Y1 KR 7902967 U KR7902967 U KR 7902967U KR 790002967 U KR790002967 U KR 790002967U KR 790001346 Y1 KR790001346 Y1 KR 790001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ear
gears
lever
alarm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따로우 니나시
Original Assignee
다무라 구니오
가부시끼가이샤 다무라 덴 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무라 구니오, 가부시끼가이샤 다무라 덴 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다무라 구니오
Priority to KR7902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346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명종 지연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기어기구의 분해사시도.
제4a도, 제4b도는 구성부품의 일부를 절결하여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본 고안은 자명종 지연기구의 개량에 관하여 작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들면 자면종장치에 의하여 부우저를 울리는 경우 설정시에 한번 울린 후 얼마동안 경과한 뒤 다시 부우저를 울리도록 한 리피이드 작동기구를 지연 자명종이라 하는바, 본 고안은 그러한 장치의 신규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의 자명종 시계의 지연기구라는 것은, 팔 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 등을 써서 이 압축상태로부터 원상태대로 복귀할 때의 스프링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 많다.
그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세트할 때의 힘을 가함에 따라 또는 스프링의 상태에 따라 동작시간에 장단이 있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장기간 사용하면 탄성수단의 피로를 가져오고 리피트동작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결함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전달기어(3)는 회전축(2)에 고정되고 캠부기어(4)는 그 톱니의 일부가 결치되고 또한 측면에는 하아트캠 및 접점작동캠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들 한쌍의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피니온 기어가 지지되고 또한 자명종 정지조작에 의하여 상기 캠부기어(4)를 소정위치까지 강제 회전시키고 절환레버에서 된 구조로써 좀 더 확실한 동작을 할 수 있게 한 자명종 지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은 시계, 라디오 등의 기기의 일부 또는 상기한 기기가 부착되는 후레임이고, (2)는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축인바, 이 축에는 전달기어(3)이 고정되어, 이 전달기어(3)에 공축적이며 또 회전자재토록한 캠부기어(4)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전달기어(3)와 캠부기어(4)와는 겹친상태로 회전축(2)에 고정되고 항상 정속 회전하고 있다.
캠부기어(4)의 측면 주위에는 하아트캠(5)과 접점작동캠(6)이 설치되어 있고 다시 캠부기어(4)의 톱니는 일부가 절제되어 있다. 기판측 측면에는 하아트캠(42) 및 아래에서 설명한 접점(10)의 작동캠(4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캠(43)은 상기 하아트캠(42)의 아랫부분(42a)에 마주본 위치에 설치되고 다시 하아트캠(42)의 정점 위치에 대하여 상기 평탄부 부분 위치는 약간 오른쪽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후레임(1)에는 상기 회전축(2)와 평행인 축(5A)가 식설되고 축(5A)에 약간 그란크상으로 형성된 레버(5)가 요동자재로 축지되고 있다. 또 축(5A)에는 일부분을 레버(5)에 다른 부분을 후레임(1)에 돌설한 스톱퍼(11)에 각각 괘지한 스프링(6)이 권회되고, 그러나 레버(5)는 전체가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레버(5)는 예를들면 합성수지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약간 호상(弧狀)의 후란지부(51)이 형성됨과 동시에 한쌍의 각부(脚部)(52),(53)는 각각 상기 캠부기어(4)를 포위하는 것 같이 가깝게 연장되고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한쪽 각부(52)는 캠부기어(4)의 하아트캠(42)에 마주보고 있으며 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나 하아트캠 압압편(押壓片)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편 각부(53)에는 상기 회전축(2)와 평행핀(54)가 식설되고 이 핀(54)위에는 통상 상기 전달기어(3) 및 캠부기어(4)와 각각 맞물리는 피니온기어(7)이 회전자재로 축장(軸裝)되고 있다. 피니온기어(7)과 기어(3)(4)와의 맞물리는 관계는 후레임(1)에 식설한 스톱퍼(12)에 의하여 레버 각부(53)의 경사단면(53a)의 일부가 계지되고 또한 상기 스프링(6)의 작용력에 의하여 최적 요합(요合)관계가 탄지(彈持)되고 있다.
상기 기어들의 하방위치에는 후레임(1)에 고정된 고정대(10)에 한쌍의 탄조 접점부재(8)(9)가 한편으로만 지지되고 있다. 이들 접점부재(8)(9)는 상기 캠부기어(4)의 측면, 즉 레버 각부(52)측에 위치하는 것같이 절곡 연장되고 또한 그 자유단 근방에는 접점(81)(91)이 설치되고 한편 접점부재(9)의 일부(92)는 상기 캠부기어(4)의 접점작동 캠(43)에 마주보며 <자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들 접점부재(8)(9)와 도시되지 않은 시계장치의 타임기구의 타이머(20), 전원(21) 부자 전자음등의 발음원(22)에 의하여 폐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25)는 발음원(22)의 레버압봉이며 도시되지 않은 그 조작부는 시계갑체외부에 노정(露呈)되어 있으며 그 압압조작에 의하여 상기 발음원(源)(22)의 오동(嗚動)이 정지된다.
물론 이 레버압봉(25)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프링 등에 의하여 위로 향한 작용력이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러므로 제4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통상 상기 캠부기어(4)의 접점작동캠(43)은 접점부재(9)의 절곡부(92)에 당접하고 그리고 접점(81)(91)이 폐성되어 있고, 피니온기어(7)은 캠부기어(4)의 평탄부(41)의 위치에 있어서 기어(3)(4)사이의 회전전달은 끊어진다.
이상 구성에 있어서 실시예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접점(81)(91)이 폐성되었으며 따라서 소정의 시각에 타이머(20)이 작동되면 발음원(22)가 오동하며 자명종 소리가 나온다. 자명종 소리는 타이머(20)의 접점이 보지되어 있는 시간내(예컨대 디지털 시계 등에 부설된 타이머 즉 시계 구동원과 연동(連動)하는 캠부기어에 대향 배치된 기준차에서 이루어지고 양자의 대향측면에는 캠돌기(突起)와 캠 홈(홈)이 설치되고, 소정의 시각에 상기 캠돌기가 캠홈에 떨어저 들어갈때의 상기 캠기어의 기괘적(機掛的) 변(變) 위치에 의하여 접점을 작동하는 것은 통상 5-10분간 정도이다)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오동(嗚動)하고 있다. 이러한 때 부자 레버압봉(25)를 제4b도에 표시한 화살표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조작을 하면 레버압봉(25)의 하단이 레버(5)의 후란지(51)에 당접하고 그리고 이 레버(5)는 스프링(6)의 작용력에 막혀 축(5A)를 지점으로서 전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레버각부(脚部)(52)의 단면(端面)(52a)은 상기 캠부기어(4)의 하아트캠(42) 주면에 당접하고 그 주면(周面)에 따라 평탄부(42a)까지 압압하기 위하여 캠부기어(4)는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회동된다. 이때 캠부기어(4)의 접점작동캠(43)도 접점부재(9) 즉 그 절곡부(92)와의 당접관계가 해제되고, 그러므로 접점(81)(91) 사이가 벌어지고 발음원(22)의 오동이 정지한다. 이상의 동작은 레버압봉(25)의 압하조작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완료하는 것이다.
다음에 레버압봉(25)의 압압을 물으면 레버(5)는 스프링(6)의 작용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복귀 회동하고, 이때 캠부기어(4)의 평탄부(41)과 피니온기어(7)과의 마주본 위치가 변하고 있기 때문에 기어(3)(4)와 피니온기어(7)가 서로 맞물린다.
이것에 의하여 기어(4)는 시계구동 기구에 의하여 정속 구동되는 전달기어(3)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므로 접점작동캠(43)이 접점부재(9)의 절곡부(92)에 당접하여 이것을 압압하고 접점(81)(91)를 폐성시킬 때까지 캠부기어(4)가 구동되면 다시 발음원(22)이 오동한다. 또한 이 캠부기어(4)에 대하여 피니온기어(7)은 평탄부(41) 위치에 있으며 전달기어(3)과 기어와의 회전전달이 끊어지기 때문에 상기 발음원(22)의 동작상태는 보지되고 다시 말하자면 레버압봉(25)을 재조작 또는 시계 타이머의 접점이 복구하지 않는한에 있어서 부자는 오동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어 및 캠기구에 의하여 지연기구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 이러한 장치에 비하여 레버압봉의 조작후 발음원은 소정시간후 정확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자명종 지연기구는 예컨대 타이머에 의하여 라디오 등의 전기 제기기의 전원을 투입하듯이 시계장치에도 응용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시계구동기구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전축(2) 상에 적층(積層)상태에 지지된 한쌍의 기어(3)(4)를 갖추고 전달기어(3)은 상기 회전축(2)상에 고정되고 캠부기어(4)는 그 일부가 평탄부(41)로 되고 또한 측면에는 하아트 캠(42) 및 접점작동캠(43)이 각각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이들 기어(3)(4)에 근접하여 요동(搖動)자재 롭게 지지된 약간 그란크상(狀)의 레버(5)의 한쪽 각부에는 상기 양기어(3)(4)와의 맞물리는 습성이 있는 피니온기어(7)이 지지되고 또 다른편 각부(脚部)는 상기 캠부기어(4)와 하아트캠(42)의 압압편(押壓片)으로 구성되고 자명종 회로에 접속된 한쌍의 탄조접점부재(彈條接點部材)(8)(9)를 상기 접점작동 캠에 근접하여 배설(配設)하고 자명종 정기조작에 의하여 상기 레버(5)가 회동되고 양기어(3)(4)의 회전전달이 끊어짐과 동시에 캠부기어(4)를 소정위치까지 회동하는 것 같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명종 지연기구(遲延機構).
KR7902967U 1979-05-23 1979-05-23 자명종 지연기구 KR790001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967U KR790001346Y1 (ko) 1979-05-23 1979-05-23 자명종 지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967U KR790001346Y1 (ko) 1979-05-23 1979-05-23 자명종 지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346Y1 true KR790001346Y1 (ko) 1979-08-23

Family

ID=1921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967U KR790001346Y1 (ko) 1979-05-23 1979-05-23 자명종 지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3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790001346Y1 (ko) 자명종 지연기구
US3180168A (en) Control device
US3827232A (en) Spring driven timer
GB2050695B (en) Switch device for a timepiece
US4044543A (en) Switching mechanism of an electronic wrist watch
US3150241A (en) Pushbutton timer
US3374689A (en) Worm gear escapement
US3740502A (en) Alarm clock timer with manually operable reset mechanism
US2981808A (en) Interval timer
US2203556A (en) Timer
US4057957A (en) Alarm device of clocks
US3704351A (en) Timer with sandwiched internal escapement mechanism disposed between two programming means
US3281548A (en) Interval timer
US3521442A (en) Switch mechanism for automatic spring winding in a clock
US3550458A (en) Mechanical timer
DE2910258C2 (de) Elektronisch gesteuerter Selbstauslöser für eine fotografische Kamera
US3723676A (en) Latch-trip cam operated percentage timer
US2949170A (en) Device in time meters for limiting at two determined end positions the motion of a member movable in two opposite directions
US3307417A (en) Worm gear escapement
US3417631A (en) Intermittent drive mechanism and a timer utilizing same
US3192776A (en) Timer drowse mechanism
USRE28985E (en) Alarm clock timer with manually operable reset mechanism
JPS6226714B2 (ko)
JPS6244384Y2 (ko)
JP2896688B2 (ja) タイマ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