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289B1 - 균일한 연속 섬유층을 형성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균일한 연속 섬유층을 형성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790001289B1 KR790001289B1 KR710000235A KR710000235A KR790001289B1 KR 790001289 B1 KR790001289 B1 KR 790001289B1 KR 710000235 A KR710000235 A KR 710000235A KR 710000235 A KR710000235 A KR 710000235A KR 790001289 B1 KR790001289 B1 KR 7900012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ber
- chute
- duct
- pressure
-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실시예의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 4 도는 제 2 실시예의 평면도.
제 5 도는 섬유괴 공급기의 측단면도.
제 6 도는 제어계의 구성을 표시하는 선도(線圖).
제 7 도-제 11 도는 각각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 12 도는 제어계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설명도.
제 13 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설명선도.
본 발명은 분섬상(分纖狀)인 섬유괴의 연속류에서 균일한 연속 섬유층을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적사 제조의 준비공정에서 비이터에 의해서 작게 개면된 섬유괴를 랩(lap)형성공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소면기의 공급 슈우트로 보내서 이것을 압축시키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었으며, 이 때문에 비이터와 소면기 사이에 기능단위가 형성된다. 이런경우, 슈우트에서 나오는 섬유원료의 불균일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분섬상태에 있는 섬유가 가급적 흐뜨러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읕 불균일도 높으면 이 불균일도로 말미암아 소면기로 부터 나온 웨브(web)뿐 아니라 웨브로 부터 형성되는 슬라이버까지 영향을 받게되어 그후의 공정이 대단히 불리하여진다. 이와같은 불균일성을 제거하려면 더욱 많은 작업이 필요하고 장치도 복잡하여지며, 따라서 생산비의 증가를 유발시키는 결과가 된다. 다수의 공급 슈우트를 1개의 섬유괴 운반 닥트에 연결하는 방법도 이미 공지되었으며, 이 경우 닥트는 그 한쪽끝이 막혀있고 또 공급 슈우트의 만충(滿充)정도에 따라 제어되는 공급장치가 여기에 부설되어 있다. 슈우트에는 수직슬로트가 형성되어 있어, 이것으로 기류(氣流)를 섬유괴에서 분리시킨다.
이 슬로트는 점차 섬유괴로 덮여서 슈우트 입구쪽 섬유괴 수준에서 완전히 덮이게 된다. 이 기구에서는 슈우트 및 운반닥트내의 압력이 그 최대치에 이르면 공급이 중단되어 슈우트 내의 섬유괴가 감소함에 따라 슬로트가 노출되기 시작하며, 이에 따라 압력이 저하된다.
슈우트내의 섬유원료의 수준을 충분히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원료를 약간 여유있게 공급할 필요가 있다. 즉, 섬유괴는 간헐적으로 닥트에 공급되고 압력은 늘 최대치와 최소치사이에서 변동하게 되면, 그 결과공급슈우트에 침적된 주상(柱狀)원료의 섬유밀도가 균일하지 않게된다.
제 1 슈우트에서 비이터를 거쳐 제 1 슈우트의 밀쪽에 있는 제 2 슈우트로 섬유가 운반될 경우도 이와같다. 제 2 슈우트 내에서는 규정된 빈도로 간헐적으로 섬유원료주(原料柱)에 가해지는 임펄스에 의해 섬유괴가 압축된다. 하부 슈우트로 공급되는 섬유는 압력제어 스위치(manometer-relay)로 조절된다. 이 스위치는 어느 일정한 원료수준에 상응하는 압력이 되면 섬유공급을 중단하고, 원료수준의 저하에 따라 압력이 감소하면 공급을 재개한다. 이리하여 섬유괴에 작용하는 평균압력값은 2개의 극한치 사이에서 변화하므로, 이에 따라 슈우트내의 섬유밀도 및 슈우트에서 나오는 섬유층 밀도에도 변동이 생기게된다. 또, 일련의 소면기에서 형성된 몇가닥의 슬라이버를 연조기에 공급하여 병합 드래프트하고 방출슬라이버를 캔에 받아넣을때, 캔에 가득찬 상태의 슬라이버를 계량하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다.
기지의 장치에서는, 슬라이버를 수납한 캔의 정량편차에 따라 자동 균일화 장치를 설치한 연조기의 설정치를 조정한다.
또 다른 형식의 장치에서는 서어보모우터(servo-motor)를 사용하여 하부 슈우트내에 설치된 전압력 제어 스위치의 설정치를 조정한다. 그러나 이런 형식의 경우에도 결정적인 결점이 있다. 즉 만관(滿管)중량 측정시와 스위치의 조정시점간의 시간차가 매우 크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몇시간에 해당하는 긴 주기의 변동에 대해서만 이를 균일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공학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변동의 주기가 시간차의 4∼5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안전하게 이를 제어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캔의 만관시간은 통상 약 30분이므로 변동주기가 2시간을 넘을 경우에만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는 결론이다. 그러나, 개면장치에서 생기는 변동의 주기는 이보다 짧기 때문에 이것을 균일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운반닥트에 연결된 한개 이상의 공급슈우트내에 침적된 주상의 섬유괴를 압축할 때 발생하는 변동을 해소하여, 슈우트 출구에서 균일한 섬유밀도를 갖는 연속 섬유층을 얻을 수 있는 간편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슈우트내의 섬유원료주 수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슈우트내의 압력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섬유밀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개면단계에서 공급슈우트에 이르는 운반닥트내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각 공급 슈우트에 분리공급하는 사이에 발생하는 변동을 해소시킬 뿐 아니라, 개면공정에 기인하는 공급섬유원료의 긴주기 변동의 주요성분을 수분(數分) 단위의 변동으로까지 균일화 함으로써 그후의 공정에서 균일화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에서 섬유괴를 운반하는 1개의 공통닥트에 연결된 1개 또는 다수의 공급 닥트출구보다 하부에 측정장치를 설치하고 이 측정장치로 공급닥트에서 넘친 섬유층 중량에 상응한 특성치를 측정하여, 그 설정치에서 오는 변동에 따라 이 섬유 원료주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상술한 변동을 해소시키도록 조정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2 도에 표시된 장치에서 섬유원료는 공급닥트(1)을 거쳐 개면장치로 부터 섬유괴 공급기(2)내로 들어간다. 즉, 섬유괴는 공급기(2)상부에 있는 콘덴서(3)내에 설치된 다공(多孔) 드럼(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운반기류에서 분리되어 제 5 도에 표시된 리저어브 슈우트(reserve chute)(4) 내로 떨어진다. 여기에서 공급로울러(5)와 페달레버(6)에 물린 섬유는 비이터(7)로 들어간다. 이 비이터(7)은, 예를들면 키르쉬네어비이터(Kirschner-Beater)등으로 불리우는 형식의 것으로, 섬유원료를 섬세하게 개면한다. 이때 운반팬(fan)(8)의 작용으로 섬유괴는 주위공간(9)로 부터 온운반기류와 함께 흡입되어서, 섬유괴의 연속류의 상태로 수직 슈우트(10)상에 설치한 운반닥트(11)로 들어간다. 이 닥트(11)에는 압력(P1)이 작용하고 있다. 수직 유우트(10)은 각각 분리헤드(12) (제 6 도 참조)를 거쳐 운반닥트(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섬유괴가 이분리헤드(12)를 통과할 때 섬유괴는 그 연속류로 부터 이탈하여 수직슈우트(10)속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섬유괴는 슈우트(10)내에 섬유원료가 침적되어서 그상면이 헤드(12)에 이르러 높이(h)가 될때까지 계속 공급된다.
제 6 도에서 슈우트(10)의 하단과 그 근방에 설치한 인출로울러(13)(14)사이에는 간격(15)가 있고, 또 슈우트(10)의 하단부는 외계에 대해서 밀봉되지 않도록 형성하였다.
또, 슈우트 하단과 압력(P1) 영향하에 있는 섬유원료주 상단과의 사이의 운반매개체중에는 압력차(△P)가 생기고(외계압력을 P0로 하고 P0〈P1으로 함), 이 압력차(△P)의 영향을 받아서 섬유주가 압축된다. 섬유원료를 받아들인 수직슈우트(10)은 모두 이와같이 압력차(△P)의 영향을 받게된다.
슈우트(10)하단부 간격(15)에서 새어나가지 않은 운반공기는 섬유괴 공급기(2)(제 5 도참조)의 역공습슈우트(16)내로 돌아오는데, 이때 슈우트에 공급되지 않은 여분의 섬유원료를 함께 보낸다. 그리고 적당한 위치에 입구가 설치된 공기닥트(17)을 거쳐 운반공기는 다시 주위 공간(9) 내로 배출되고, 여기서 운반팬(8)의 입구(18)로 들어간다. 한편 섬유괴는 역공급 슈우트(16) 내에 잔류하고 연속회전하는 조정로울러(19)에 의해 비이터(7)을 거쳐 (전혀 파지되지 않고) 다시 입구(18)로 돌아와서 운반 기류와 만나게된다.
인출로울러(13)(14)에 의해 인도된 섬유괴는 압축층(20)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슈우트(10)에 연결된 소면기(21)로 들어간다. 소면기(21)에서는 슬라이버(22)가 형성되어서 캔(23)에 침적되던가(제 1, 2 도), 또는 리저어브 박스(reserve box)(도시되지 않았음)를 거쳐 일련의 소면기를 따라 뻗어있는 슬라이버 운반장치(예를들면, 제 3, 4 도에 표시된 운반벨트 등)에 놓여지게 된다. 후자의 경우, 각 소면기로 부터 나온 슬라이버는 벨트모양으로 나란히 놓여져 한대의 연조기로 동시에 공급된다.
섬유주에 작용하는 압력차(△P)가 높으면 높을 수록 슈우트(10)내의 섬유괴는 더욱 압축된다. 슈우트(10) 하단에서 인출로울러(13)(14)로 인도된 압축섬유층(20)의 두께를 스프링 부하가 걸린 로울러(14)로 점검함으로써 상술한 섬유괴의 압축 정도가 추정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로울러(14)는 축정장치(26)에 연결되어 있고, 이 장치는 기대값으로 부터의 편차에 비례한 전기(電氣)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전기신호는 제어장치(27)로 들어온다. 이 장치(27)은 팬(8)의 모우터(28)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즉, 여기서는 제어회로의 수정요소의 작용을 한다) 이리하여 측정 섬유층 두께 기대값의 편차가 없어지게 되도록 압력(P1)을 조정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비례형, 적분형, PID 형등의 제어장치(27)이 사용된다.
상술한 압력(P1)을 조정함에 따라서 슈우트(10) 내의 섬유주가 압축되는 정도가 증감한다. 따라서 시간의 지체가 전혀 없이 섬유층의 중량변동을 균일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것은 섬유층이 슈우트(10)을 이탈하면 가장 빠른 시간내에 이 변동을 탈지하고 또한 섬유주가 지체없이 압력증가를 따라 그 최하부분까지압축효과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섬유주는 비선형 성질을 가지고 있는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압력을 받으면 압축되는데, 이때 마찰과 중력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인출로울러 바로 위쪽 섬유층밑 부분에 해당하는 최하부에서 비례적으로 압축된다. 이리하여 이경우 시간의 지체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지게 된다.
다수의 슈우트가 1개의 공통 운반 닥트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중 1개의 슈우트에 대해서만 측정을 하여 각 닥트내의 섬유주의 압축도를 합께 조정할 수 있다.
즉, 집중제어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 1개의 공통 닥트에 연결된 슈우트 2∼3개 마다 1개의 측정장치를 설치하여서 이 신호가 고호적으로 제어장치(27)호 전달되도록하여도 된다. 이때 예를 들어, 제어장치에 연결된 측정장치가 주어진 시간에 작동하지 않는 슈우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제어장치와의 연결이 끊어지고 작동상태에 있는 다른 슈우트에 설치된 측정장치가 제어장치와 연결된다.
또 제 7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 소면기마다 측정장치(26 I∼26IV)를 설치하고 이들을 공통된 제어장치(29)에 연결하여도 된다. 이 경우 소위 산술평균 효과가 형성되어서 수정장치(30)〕펜(8) 또는 제 10 도에표시한 것과같은 조임조절판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소면기(21)의 테이커인 로울러(33)근방의 공급로울러(32)에 설치된 측정장치(31)을 이용하여 섬유 압축층(20)을 측정할 수 있으나, 이것은 인출로울러(13)(14)에서 공급로울러(32)로 원료를 운반하는데 소요되는 1∼2분의 시간차가 제어계의 반응시간차로 허용되는 경우에 한한다. (제 6 도의 점선 부분)
소면기에서 방출된 설라이버(22)의 측정에 대하여서도 똑같은 방법을 응용할 수 있다. (제 8 도 참조) 이것은 공급로울러(32)에 측정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비하여 시간차의 증가가 현저하지는 않고 수분의 범위이기 때문이다. 슬라이버(22)가 칼렌더로울러(34)에 물리면 측정장치(35)로 측정되어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달되어서 운반닥트(11) 내의 압력(P1)을 조정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방식은 소면기로 부터 나온 슬라이버를 공통된 슬라이버 운반장치에 올려놓지 않고 캔으로 보내는 경우(제 1, 2 도)에도 채택할 만하다.
제 9 도에 표시한 예에서는 측정장치(36)이 연조기(25) 위에 위치하고 있다. 연조기(25)에는 운반벨트(24)에 의해서 슬라이버(22)가 공급된다. 이런 경우 시간차는 15∼20초 정도 증가하지만 슬라이버(22)의 종합측정치를 얻을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제 10 도에 표시한 예에서는 제어장치(37)에 의해 제어되는 조정판(38)이 최후의 슈우트(10)과 섬유괴 공급기(2)사이의 닥트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판(38)으로 인하여 닥트의 유효단면적이 가감되고 닥트(10)내의 압력(P1)이 변화된다.
제 11 도에 표시한 예에서는 슬라이버(22)가 측정관(39)를 통과한다. 이 측정관(39)는 닥트(40)내에 신호입(Ps)를 야기시킨다. 이 신호압(Ps)는 측정관(39)를 통과하는 섬유량에 의해서 좌우되며, 때로는 급습(給濕)요소(42)등을 거쳐서 압력제어장치(41)로 전달된다. 이 제어장치(41)는 그 출구측에 제어압을 발생시키고 이 제어압은 조임밸브(44)급습요소(45)등을 거쳐서 피스톤을 움직이게 되며, 이로 인하여 조절판(47)(제 10 도에 표시한 것과 유사함)이나 제 12 도에 표시한 팬의 정류모우터(49)의 부러쉬(48)의 위치가 조정된다.
또한 2접점 스위치등을 사용하여 비연속 제어를 행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편차량이 어느 일정한 도에 도달하였을 때에만 제어 작용이 이루어진다.
장치의 출력량이 클 때에는 섬유괴 공급기(2)에서 직접 제 6 도에 표시한 슈우트 (10)으로 공급하고 닥트(11)은 공급기(2)에 직접 역공급하도록 한다. 그러면 전체계는 공급기(2) 및 운반닥트(11)을 제외한다면 단지 슈우트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닥트(11)의 공급 및 역공급 부분에 다수의 슈우트(1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1개의 안내 슈우트, 즉 측정장치를 가진 슈우트를 이용하여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측정정치의 수효가 적기 때문에 경비도 절감할 수 있고, 또 슈우트 마다 회전속도 제어장치등을 만들필요도 없다.
측정장치를 슈우트의 인출로울러에 설치하면 실질적으로 시간차를 제거할 수가 있으므로 조절계통의 반응이 매우 빨라진다.
또한 측정장치를 소면기 전달부에 설치한다면, 시간차가 소면기의 생산속도에 비하여 매우 작아지므로 개면 공정에서 발생하는 변동은 유효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소면기의 공급계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잇점을 얻을 수 있다.
팬이나 조임조정판을 제어계의 수정요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료공급에서 운반닥트에 이르기까지 가변요소(可變要素)가 하나도 없다. 즉, 각공급요소의 속도를 변화시켜서는 안되며 어느경우에 있어서나 필요불가결한 운반장치의 운반 매개체 자체적으로 제어작용이 이루어진다.
자동균제장치가 설치된연조기를 사용하는 슬라이버 운반장치등에 본 발명을 채택하면, 장단주기(長短週期)의 변동을 해소 시킬수 있는 자동균제장치가 있는 연조기대신 슬라이버의 절단에만 대응해서 작동하는 단순한 연조기(즉, 체인지기어로 드래프트 비를 조정하는 연조기)로 바꿀수 있다. 그러나 단주기의 변동때문에 자동균제장치를 제거시킬 수 없는 경우라면, 자동 균제장치가 단지 단주기 변동만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되므로 구조도 단순하여 지고 값도 싸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채택함에 있어, 제어장치가 나중에 설치된다고 하여도 공지장치에 극히 일부의 수정만이 필요하다는 잇점이 있다.
또 제 6 도에 표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바에 의하면, 섬유원료 공급계에서 섬유괴의 역공급이 일어나지 않고 슈우트에 섬유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섬유괴를 운반하는 운반기류를 벽면에 형성한 구멍으로 빠져 나가게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섬유주 상단면의 위치변동에 따라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압력변동, 나아가서는 섬유층 중량의 변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서만 만족할 정도로 해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비이상적인 제어특성으로 말미암아 제어력이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다음에 설명하는 예의 경우는, 섬유층의 중량변동을 해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어계 자체의 동요현상도 없어서 최적의 제어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섬유주 상단면의 위치 변동 및 운반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슈우트 벽면의 구멍 단면적의 변동을 해소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하려면, 운반공기를 슈우트내로 끌어들여 섬유주상방에 형성된 정상적인단면적을 가진 구멍을 배출시키면 된다.
이와같은 장치에서는 슈우트로 부터 운반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공역(多孔域)을 형성하고, 이 다공역에 섬유주 수준의 제어장치를 부설하여 이것으로 섬유괴의 공급량을 조정한다.
이예에 대하여서는 제 13 도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공급 슈우트(52)가 있는 섬유괴 공급기(51)을 개면기로부터 (도시되지않았음)섬유원료를 공급받는다. 이때 테이커인로울러(53)의 작용으로 통로(54)를 거쳐비이터(55)로 섬유가 공급되고, 이곳에서 섬유는 섬세하게 분섬된다. 섬유괴는 다시 운반팬(57)의 흡입노즐(56)을 거쳐 가압부분에 설치된 슈우트(58)로 들어간다. 운반공기는 다공벽(59)을 지나 배기 닥트(60)으로 배출되고, 한편 운반된 섬유괴는 구멍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다공벽(59) 내측에 잔류침적되어 섬유지(61)를 형성한다. 배기 닥트내의 압력은 P2가 되고, 섬유주(61)상방의 슈우트(58)내의 압력은 P1이 되도록 팬(57)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차 △P(즉 P1-P2)가 발생하며, 이 압력차로 인하여 섬유주(61)이 압축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섬유주는 다지 인출로울러(62)(63)에 의해 압축되어 섬유층의 형태로 예를들면 소면기(65)등으로 공급된다. 도면에서 좌측 로울러(62)에는 축승점(67)주위를 선회하는 베어링(66)이 있고 중량체(重量體)(68)에 의하여 우측 로울러(63)에 압접되어 있다. 베어링(66)에는 원추형핀(69)가 붙어 있고 이 핀(69)는 공기가 유통하고 있는 부품(71)의 구멍(70)에 들어가 있으며, 이핀(69)의 중간 위치가 섬유층의 중량 설정치와 상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요소(69)(70)(71)은 제어장치(72)에 작용할 공기신호를 전달하는역할을 하며, 이 제어장치(72)에는 설정치의 전달요소(73)이 연결되어 있다. 중량의 변동에 비례하는 신호는 증폭요소(74)로 전달되고, 그 출력공기 신호가 직접 피스톤(75)를 변위시키기 때문에 팬모우터(76)의 회전속도가 변화하여 슈우트(58)내의 압력(P1)이 가감된다.
이 제어계를 최적의 작동상태로 유지하려면 제어기능을 감쇄시키는 요인을 없애는 일, 예를들면 슈우트 벽면의 공기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그 형태를 결정하거나 또는 각 부품의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섬유가 붙지 않도록 하는 일 따위가 필요하다.
또 압력 P2의 과도한 변동을 방하는 일도 중요하다.
특히 섬유주 상부의 다공역(ㄴ)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하여서는 섬유주의 높이(h)를 항상 일정하하게 유지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광전장치(77)과 계전기(78)를 섬유주의 일정높이(h)에 설치하면된다. 광전장치(77)의 빛이 차단되면 계전기(78)이 작동하여 로울러(53)를 정지시키고, 빛이 차단되지 않으면 다시 이를 구동시킨다.
슈우트의 높이를 최소로 하면, 스위치를 개패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섬유주의 높이에 대한 공기배출높이의 비율의 변동을 기대치보다 크게 변동시키지 않고도 스위치의 개폐 빈도를 줄일수가 있다.
또 테이커인 로울러(53)의 회전속도를 가감하여서 높이(h)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도 있다.
피스톤 로드(79)에는 캠(80)으로 작용하는 리미트 스위치(81)(82)가 붙어 있는데, 로울러(62)(63) 위에 랩이 생기거나 또는 섬유 원료공급에 차질이 생기거나 하는 등의 제어한계가 발생하면 이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한다. 또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슈우트 상하로의 원료공급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이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시간당 50kg이라는 초고생산능력의 소면기, 또는 높은 생산능력의 다른 섬유기계가 요구하는 다량의 공기 및 섬유괴를 처리할 수 있다.
Claims (1)
- 각각의 섬유괴의 연속류를 운반하는 하나의 공기식 운반닥트, 이 섬유괴의 연속류로 부터 섬유주를 내부에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운반닥트에 연결된 적어도 1개의 공급 슈우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 슈우트의 길이 방향으로 섬유주에 작용하는 압력차로써 슈우트내의 섬유주를 압축시키도록 슈우트와 닥트가 배설된, 섬유괴의 연속류로 부터 균일한 연속 섬유층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슈우트 하부의 섬유층 통로에 설치되고 또 상술한 연속 섬유층의 단위길이 당중량에 해당하는 특성치를 측정하는 장치와 상술한 슈우트내의 압력차를 조정하는 장치를 만들고, 이 측정장치와 조정장치를 연결시켜서 자동 제어계를 형성하고 이 자동제어계의 설정치로 부터의 편차에 대응하는 측정특성치에 대응하여 상술한 압력 조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슈우트내의 압력차를 조정하여 측정점에서 계속 검출되는 특성치의 변동을 자동적으로 해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연속 섬유층을 제조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10000235A KR790001289B1 (ko) | 1971-02-19 | 1971-02-19 | 균일한 연속 섬유층을 형성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10000235A KR790001289B1 (ko) | 1971-02-19 | 1971-02-19 | 균일한 연속 섬유층을 형성하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790001289B1 true KR790001289B1 (ko) | 1979-09-21 |
Family
ID=1919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10000235A KR790001289B1 (ko) | 1971-02-19 | 1971-02-19 | 균일한 연속 섬유층을 형성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790001289B1 (ko) |
-
1971
- 1971-02-19 KR KR710000235A patent/KR790001289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70940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even continuous layer of fibers | |
JP5346104B2 (ja) | カードに供給される繊維量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 |
CN107002309B (zh) | 用于给设备供应纤维的方法和装置 | |
US4661025A (en) | Apparatus for forming a fiber column in a chute feed | |
US4876769A (en) | Regulation of processing stages of a fiber processing installation | |
JPS61239020A (ja) | 繊維俵をストリツプする方法及び装置 | |
US7752715B2 (en) | Procedure and system for opening and proportioning synthetic material | |
US5457851A (en) | Combing machine with evenness and waste monitoring | |
US477931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 plurality of textile fiber processing machines | |
US4864693A (en) | Flow-through fiber preparation feed system and method | |
US4387486A (en) | Control system for fiber processing apparatus | |
US3783527A (en) | Drying apparatus with feed and humidity control | |
US4940367A (en) | Pneumatic flock feed system for supplying multiple cards and/or staple carting machines | |
US2057641A (en) | Single process picker system | |
US505208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yarn preparation operations to enhance product uniformity | |
KR790001289B1 (ko) | 균일한 연속 섬유층을 형성하는 장치 | |
US20180355520A1 (en) | Pressure Regulation in a Flock Feed | |
GB1312834A (en) | Continuous strands of fibres | |
CN110318124A (zh) | 用于梳棉机的进料装置 | |
US5337455A (en) | Device and method for pneumatically feeding a feeding chute | |
JPH01118674A (ja) | 繊維処理機械における生産高コントロール方法 | |
US20020124545A1 (en) | Spinning machine | |
US5528798A (en) | Draw frame and process for the operation of a draw frame responsive to silver sensing | |
USRE27967E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even | |
CN110295419B (zh) | 梳理机的纱条形成单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