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30250A -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30250A
KR20240130250A KR1020230023268A KR20230023268A KR20240130250A KR 20240130250 A KR20240130250 A KR 20240130250A KR 1020230023268 A KR1020230023268 A KR 1020230023268A KR 20230023268 A KR20230023268 A KR 20230023268A KR 20240130250 A KR20240130250 A KR 20240130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plate
battery pack
hook
bm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혁준
장재영
이진현
정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3002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30250A/ko
Publication of KR2024013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30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곽 프레임, 및 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대칭구조의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리브가 구비된 제1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전지셀; 일면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상면을 향하면서 상기 전지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BMU; 및 상기 BMU 타면에 위치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구비된 BMU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상면에는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용부에 인입되는 복수개의 삽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A Battery Pack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력에 의해 배터리 팩이 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BMU가 손상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 에너지 고갈로 인한 대체에너지 개발로 인해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등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필수불가결하게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전자기기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량 증가 및 복잡화, 전기 자동차 등의 개발로 인해 요구되는 용량이 증가되고 있다.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형 기기에는 다수의 전지셀을 배치하고 있으나, 자동차 등에는 다수개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지 모듈 또는 이러한 전지 모듈을 다수 구비한 전지 팩이 사용된다.
한편, 디바이스가 이동이 가능한 노트북 등이나 슬림형 TV의 경우에는 경량화도 중요하지만 충격에 강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20), 배터리 셀로부터 연장되는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30), 보호회로모듈 커버(50), 배터리 셀을 수용하기 위한 셀 수용부가 형성된 프레임(10)으로부터 셀 수용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극 탭과 보호회로모듈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 리브(40)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팩의 경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옆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장방향 구조이므로 길이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휘기 쉬운 구조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48069호(2019.05.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 충격 등 외력에 의해 배터리 팩이 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유닛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팩 조립이 편리하면서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외곽 프레임(110), 및 상기 외곽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대칭구조의 수납공간(S)을 형성시키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리브가 구비된 제1 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0); 상기 수납공간(S)에 수납되는 전지셀(200); 일면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0)의 상면을 향하면서 상기 전지셀(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BMU(300); 및 상기 BMU(300) 타면에 위치하는 커버 플레이트(410)가 구비된 BMU 커버(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0) 상면에는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을 따라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에는 상기 수용부에 인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제1 수용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수용부(113)에 인입되는 제1 후크(422)가 구비된 제1 삽입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1 수용부(113)는 일정 높이를 갖는 외곽 프레임(110)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제1 체결홀(113a´)이 구비된 제1 수용 플레이트(113a), 및 상기 외곽 프레임(110) 내측면과 상기 제1 수용 플레이트(113a)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연결부(113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부(420)는 일측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와 연결된 제1 삽입 플레이트(421), 및 상기 제1 삽입 플레이트(421) 타측에 연결된 제1 후크(42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용 플레이트(113a)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와 상기 제1 후크(422)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라운드진 형상이고, 상기 제1 수용부(113)에 상기 제1 삽입부(420)가 인입되었을 시, 상기 제1 후크(422)의 양측면은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부(113b)와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된 제2 수용부(123)와 제3 수용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 수용부(123)와 제3 수용부(124)에 각각 인입되는 제2 후크(432)가 구비된 제2 삽입부(430), 및 제3 후크(442)가 구비된 제3 삽입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일측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0)과 연결되며 타측은 외곽 프레임(110)과 연결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제2 지지 프레임(1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용부(123)와 제3 수용부(124)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130)의 연장 방향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130) 상면을 따라 직교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제4 리브(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123)와 제3 수용부(124)는 상기 한 쌍의 제4 리브(140)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2 수용부(123)는 상기 제4 리브(140) 일단에 연결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제2a 수용 플레이트(123a), 상기 제2a 수용 플레이트(123a)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제2 체결홀(123b´)이 구비된 제2b 수용 플레이트(123b), 및 상기 제2a 수용 플레이트(123a)와 상기 제2b 수용 플레이트(123b)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123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부(430)는 일측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와 연결된 제2 삽입 플레이트(431), 및 상기 제2 삽입 플레이트(431) 타측에 연결된 제2 후크(432)를 포함하되, 상기 제2a 수용 플레이트(123a)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와 상기 제2 후크(432)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라운드진 형상이고, 상기 제2 수용부(123)에 상기 제2 삽입부(430)가 인입되었을 시, 상기 제2 후크(432)의 양측면은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부(123c)와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3 수용부(124)는 상기 제4 리브(140) 일단에 연결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제3a 수용 플레이트(124a), 상기 제3a 수용 플레이트(124a)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제3 체결홀(124b´)이 구비된 제3b 수용 플레이트(124b), 및 상기 제3a 수용 플레이트(124a)와 상기 제3b 수용 플레이트(124b)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3b 수용 플레이트(124c)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삽입부(440)는 일측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 일면과 연결된 제3 삽입 플레이트(441), 및 상기 제3 삽입 플레이트(441) 타측에 연결된 제3 후크(442)를 포함하되, 상기 제3a 수용 플레이트(124a)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와 상기 제3 후크(442)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라운드진 형상이고, 상기 제3 수용부(124)에 상기 제3 삽입부(440)가 인입되었을 시, 상기 제3 후크(442)의 양측면은 상기 한 쌍의 제3 연결부와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 타측에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제4 수용부(125)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한 쌍의 제4 수용부(125)에 각각 인입되는 제4 후크(452)가 구비된 한 쌍의 제4 삽입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4 수용부(125)는 일정 높이를 갖는 제4a 수용 플레이트(125a), 상기 제4a 수용 플레이트(125a)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제4 체결홀(125b´)이 구비된 제4b 수용 플레이트(125b), 및 상기 제4a 수용 플레이트(125a)와 상기 제4b 수용 플레이트(125b)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125c)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삽입부(450)는 일측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 일면과 연결된 제4 삽입 플레이트(451), 및 상기 제4 삽입 플레이트(451) 타측에 연결된 제4 후크(452)를 포함하되, 상기 제4a 수용 플레이트(125a)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와 상기 제4 후크(452)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라운드진 형상이고, 상기 제4 수용부(125)에 상기 제4 삽입부(450)가 인입되었을 시, 상기 제4 후크(452)의 양측면은 상기 제4 연결부(125c) 및 외곽 프레임(110)과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BMU 커버(40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4 삽입 플레이트(451)와 직교하면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3 연장부(45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0)의 다수개 리브는, 전극 단자가 중첩되는 위치에 구비된 격자 구조의 제1 리브(121),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리브(122), 및 제3 볼트 관통홀(126a)이 마련된 원기둥 형상의 제3 리브(126)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브(122), 제1 리브(121) 및 제3 리브(126) 순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3 리브(126)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에는 제1 관통홀(4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외곽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 외측에는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고정구(111a)가 구비되되,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제1 고정구(111a)에는 장공 형상의 제1 볼트 관통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프레임부(100) 일면에는 제1 포장부재(5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 포장부재(500)에는 상기 제1 관통홀(411)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5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에 일측에 위치하는 외곽 프레임(110)에는 상기 BMU 케이블(320)과 BMU 커넥터(330)를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절개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BMU 케이블(320)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에는 상기 절개부(112)의 일정 영역을 차단하기 위한 유동 방지판(4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에 의하면, 전지셀들이 수납되는 외곽 프레임을 가로 지르도록 배치된 제1 지지 프레임에는 BMU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수용부들이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부가 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BMU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에 의하면, 제1 지지 프레임에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리브들이 교차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어 프레임부가 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에 의하면, 제1 지지 프레임에는 디바이스와 고정되는 볼트 관통홀이 마련되어 있어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에 의하면, 전극단자와 BMU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용접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전지 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프레임부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프레임부의 제1 지지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C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D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BMU 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BMU 커버를 뒤집어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B부분과 C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D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 표시한 X축 방향은 길이 방향, Y축 방향은 폭 방향 그리고 Z축 방향은 높이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일면과 타면은 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할 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면들이며, 일측면과 타측면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할 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측면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슬림(slim) TV에 장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노트북에 장착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전지 셀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프레임부(100), 프레임부(100)에 수납되는 다수개의 전지셀(200), 전지셀(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BMU(300), BMU(300)를 보호하기 위한 BMU 커버(400), 프레임부(100) 일면에 위치하는 제1 포장부재(500), 및 프레임부(100) 타면에 위치하는 제2 포장부재(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전지셀(200), BMU(300) 및 BMU 커버(400)를 수납 및 고정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체적인 외형은 대략 사각형 모양이며,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프레임부(100)에 수납되는 전지셀(200)은 파우치형 전지셀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셀은 셀 케이스(210), 셀 케이스(210)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미도시), 및 일측은 전극조립체의 탭 다발과 연결되고 타측은 셀 케이스(210)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단자(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셀 케이스(210)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케이스에는 포켓 모양의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셀 케이스(210)는 외부 수지층, 금속층 및 내부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시트를 사용하여 수납부를 형성한다.
외부 수지층은 셀 케이스(210) 최외곽에 위치하는데 전극 조립체를 보호하면서 내열성과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장강도, 투습방지성 및 공기투과 방지성이 우수한 내열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고, 일 예로 나일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외부 수지층과 접하는 금속층은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각종 가스가 전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에 해당되고, 이러한 금속층의 바람직한 재료로는 가벼우면서도 성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수지층은 전극 조립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절연성과 내전해성을 가져야 하고, 또 외부와의 밀폐를 위하여 실링성 즉, 내부층끼리 열 접착된 실링부는 우수한 열접착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내부 수지층의 재료로는 내화학성이 우수하면서도 실링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 아크릴산(Polyethylene Acrylic Acid), 폴리부틸렌(Polybutylen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폴리이미드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인장강도, 강성, 표면경도, 내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난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극 조립체(미도시)는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음극과 양극이 번갈아 가면서 복수회 반복하여 적층된 구조이고, 음극 단자와 양극 단자로 구성된 한 쌍의 전극 단자(220)는 음극 탭 및 양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셀 케이스(210) 외부로 노출된다.
전극 조립체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긴 시트형의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후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젤리-롤형 셀조립체, 장방형의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적층되는 구조인 단위셀들로 구성되는 스택형 셀조립체, 단위셀들이 긴 분리 필름에 의해 권취되는 스택-폴딩형 셀조립체, 또는 단위셀들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서로 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셀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비록 도 2 및 3에서는 4개의 전지셀(200)이 프레임부(100)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2개, 4개 또는 6개 등 짝수개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유닛으로 알려져 있는 BMU(Battery Management Unit)(300)는 전지셀(200)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인쇄회로기판(310), BMU 케이블(320) 및 BMU 커넥터(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 전지셀(200)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인쇄회로기판(310)에 전기적/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케이블(320)과 커넥터(330)를 통해 디바이스(미도시)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데, 과충전, 과방전 또는 과전류 등을 인식하여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과열이나 폭발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충방전 전압 및/또는 전류, 과충전 상태 및/또는 과방전 상태가 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소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고, 이러한 BMU(300)는 공지된 장치에 해당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BMU 커버(400)는 BMU(300)가 손상 받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BMU(300) 일면, 즉 도면에서 바라볼 때 BMU(300) 상면에 안착된다. 외력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프레임부(100)가 길이 방향(X축 방향)이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휠 경우, BMU(300)도 함께 휘어 BMU(3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파손 내지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외력으로부터 BMU(300)를 보호하기 위하여 BMU 커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BMU 커버(400)는 BMU(300)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락 방지를 위해 절연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러한 BMU 커버(40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포장부재(500)은 프레임부(100)의 일면, 즉 도 3을 기준할 시 프레임부(100) 상면을 커버하도록 장착되는데, 프레임부(100) 상면을 모두 커버할 정도이면서 얇은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레임부(100)에 부착된 후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가장 자리를 따라서는 프레임부(100)의 타면 일부 영역까지 연장되는 다수개의 고정부(510)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포장부재(500)의 내면 전부 또는 고정부(510) 내면에는 접착제층이 구비된 상태일 수 있다.
도면 부호 520은 제2 관통홀이며, 배터리 팩을 디바이스(미도시)에 고정할 시, 후술할 제1 관통홀을 경유하여 볼트를 통과시키는데 이때 작업자가 제1 관통홀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관통홀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이다.
제2 포장부재(600)은 프레임부(100)의 타면, 즉 프레임부(100) 하면에 장착되며, 프레임부(100) 하면을 모두 커버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얇은 시트이고, 제1 포장부재(500)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이때 제2 포장부재(600) 내면, 다시 말해 프레임부(100)의 하면과 접하는 면에는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부호 610은 볼트가 통과하는 홀이다.
이와 같이 제1 포장부재(500)와 제2 포장부재(600)는 프레임부(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위치하면서 프레임부(100), 전지셀(200), BMU(300) 및 BMU커버(400)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한편, 외부 충격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한다. 물론 외부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프레임부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100)는 가운데가 개방되어 있고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외곽 프레임(110), 외곽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 직교하도록 배치된 제1 지지 프레임(120), 일측은 제1 지지 프레임(120)과 연결되는 한편 타측은 외곽 프레임(110)과 연결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제2 지지 프레임(130), 및 제2 지지 프레임(130) 상면을 따라 직교하게 위치하는 장방형 플레이트 형상의 제4 리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지지 프레임(120) 양측에는 각각 2개씩, 총 4개의 수납공간(S)이 형성되며, 각 수납공간(S)에는 전지셀(200)들이 안착되고, 제2 지지 프레임(130)에는 전지셀(200)들의 가장자리와 밀착한다.
한편 외곽 프레임(110) 외측 방향으로는 다수개의 고정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외곽 프레임(110)의 양측 폭 방향 중앙 부근에는 각 1개씩의 제1 고정구(111a)가 형성되는 한편,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서는 4개의 제2 고정구(111b)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들 고정구(111)는 디바이스(미도시)에 배터리 팩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제1 고정구(111a)에는 제1 볼트 관통홀(111a´), 제2 고정구(111b)에는 제2 볼트 관통홀(111b´)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1 볼트 관통홀(111a´)은 하나의 제1 고정구(111a)에 2개씩의 원형 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어느 하나 이상은 장공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조립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폐기 처분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고 또 조립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BMU 케이블(320)과 BMU 커넥터(330)는 디바이스(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외곽 프레임(110) 외부로 돌출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소정 영역,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지지 프레임(120)의 일측 길이 방향 인근에 위치하는 외곽 프레임(110)에는 통로에 해당되는 절개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프레임부의 제1 지지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9는 도 5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10은 도 5의 C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도 5의 D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11을 참조하면서, 제1 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다수개의 수용부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지지 프레임(120)은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의 휨 변형을 억제하는 한편, 외곽 프레임(110) 양측 수납공간(S)에 수납된 전지셀(20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BMU(30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 BMU(300)를 보호하기 위해 BMU 커버(400)에 장착된 다수개의 삽입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제1 지지 프레임(120) 상면에는 제1 리브(121), 제2 리브(122) 및 제3 리브(126)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리브들이 배치된다. 제1 리브(121)는 격자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제1 리브(121) 상부에는 전극 단자가 위치하며 인쇄회로기판(310)과의 용접작업시 지지대로서 기능한다. 물론 휨 변형 방지를 억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1 리브(121)의 개수와 위치는 전지셀의 개수 및 전극 단자의 위치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제2 리브(122)는 제1 지지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따라 서로 교차되도록 구비되며, 또 제1 리브(121)와도 서로 연결되는 것이 휨강도 측면에서 유리하다.
제3 리브(126)는 원기둥 형상이며, 디바이스(미도시)와의 고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제3 볼트 관통홀(126a)이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이때, 제3 리브(126) 상면은 약간 함몰되어 있는 것이 좋은데 이는 볼트가 장착되었을 시 볼트 머리가 제3 리브(126)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3 리브(126)의 측면들에도 제2 리브(122)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극 단자와 인쇄회로기판(310)과의 용접 시 지지대 역할, BMU 커버(400)와의 체결 등을 고려할 때, 제2 리브(122)의 높이가 가장 낮고, 다음으로 제1 리브(121) 및 제3 리브(126) 순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것이 좋다.
BMU 커버(400)에 장착된 삽입부가 인입되는 수용부는 제1 수용부(113), 제2 수용부(123), 제3 수용부(124) 및 제4 수용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13)는 제1 지지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 일측 가장자리 내측에 위치하는데, 일정 높이를 갖는 외곽 프레임(110)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면서 하측에는 제1 체결홀(113a´)이 구비된 제1 수용 플레이트(113a)와, 외곽 프레임(110) 내측면과 제1 수용 플레이트(113a)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연결부(113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용 플레이트(113a)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후술할 제1 후크가 제1 수용 플레이트(113a)를 따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와 같이, 제2 수용부(123)는 제1 지지 프레임(120)의 폭 방향 일측 가장자리, 보다 상세하게는 가장 자리 중앙 부근에 위치한다. 즉, 제4 리브(140)와 연결된 채 일정 높이를 갖는 제2a 수용 플레이트(123a), 제2a 수용 플레이트(123a)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면서 하측에는 제2 체결홀(123b´)이 구비된 제2b 수용 플레이트(123b), 그리고 제2a 수용 플레이트(123a)와 제2b 수용 플레이트(123b)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12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2a 수용 플레이트(123a)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후술할 제2 후크가 제2a 수용 플레이트(123a)를 따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0에서 같이, 제3 수용부(124)는 제1 지지 프레임(120)의 폭 방향 타측 가장자리,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2 수용부(123)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가장 자리 중앙 부근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3 수용부(124)는 제4 리브(140)와 연결된 채 일정 높이를 갖는 제3a 수용 플레이트(124a), 제3a 수용 플레이트(124a)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면서 하측에는 제3 체결홀(124b´)이 구비된 제3b 수용 플레이트(124b), 그리고 제3a 수용 플레이트(124a)와 제3b 수용 플레이트(124b)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3b 연결부(12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3a 수용 플레이트(124a)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후술할 제3 후크가 제3a 수용 플레이트(124a)를 따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6, 도 9 및 10을 참고하면서 제2b 수용 플레이트(123b)와 제3b 수용 플레이트(124b)를 부연 설명하면, 이들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완전히 대칭되는 것이 아니라 약간 어긋나게 위치하고 있다. 즉, 제2b 수용 플레이트(123b)는 제1 수용부(113), 그리고 제3b 수용 플레이트(124b)는 절개부(112)와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는 길이가 동일하더라도 서로 어긋나게 배치시킴으로써 폭 방향으로 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2b 수용 플레이트(123b)와 제3b 수용 플레이트(124b)가 제1 리브(14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곽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휨 현상도 크게 억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제4 수용부(125)에 관해 설명한다. 제4 수용부(12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 프레임(12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일단부, 즉 절개부(112) 인근에 위치하며, 서로 마주 보고 위치하고 있을 뿐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제4 수용부(125)는 외곽 프레임(110)과 연결된 채 일정 높이를 갖는 제4a 수용 플레이트(125a), 외곽 프레임(110)과 제2 리브(122)에 연결되며 제4a 수용 플레이트(125a)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또 하측에는 제4 체결홀(125b´)이 구비된 제4b 수용 플레이트(125b), 그리고 제4a 수용 플레이트(125a)와 제4b 수용 플레이트(125b)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12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4b 수용 플레이트(125b)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후술할 제4 후크가 제4b 수용 플레이트(125b)를 따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BMU 커버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BMU 커버를 뒤집어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 도 14는 도 13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B부분과 C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그리고 도 16은 도 13의 D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 12 내지 16을 참조하면서, 다수개의 삽입부가 구비된 BMU 커버(40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BMU 커버(400)는 제1 지지 프레임(120) 상부에 위치하며 대략 장방형으로, 커버 플레이트(410), 제1 삽입부(420), 제2 삽입부(430), 제3 삽입부(440) 및 제4 삽입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커버 플레이트(410) 소정 영역에는 전술한 제3 리브(126)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관통홀(411)이 형성되고 있고, 이때 제3 리브(126)가 제1 관통홀(411)을 통해 약간 튀어나올 수 있도록 제1 관통홀(411)의 내경은 제3 리브(126)의 외경보다 조금 더 큰 것이 바람직하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1 관통홀(411)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410) 절단면은 내측을 향해 약간 경사져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커버 플레이트(410) 내면에는 대략 사각형 모양의 홈부(412)가 구비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전극 단자가 안착되는 공간부를 제공함으로써 전극 단자가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게다가 단자들의 쇼트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물론 도 13에 도시한 홈부(412)의 개수와 위치에 제한하지 않으며, 외곽 프레임(110)에 수납되는 전지셀의 개수와 위치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 커버 플레이트(410) 일측 가장자리에는 내면을 향해 절곡된 모양의 유동 방지판(413)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MU 케이블(320)은 제1 지지 프레임(120)의 일측 길이 방향 부근에 위치하는 절개부(112)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BMU 케이블(320)이 쉽게 유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하지만 절개부(112)의 일정 영역을 차단할 수 있는 유동 방지판(413)이 구비될 시에는 BMU 케이블(320)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특히 약간 눌러 줄 수 있을 정도라면 더욱 확실하게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4와 같이 제1 삽입부(420)는 커버 플레이트(410)의 길이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전술한 제1 수용부에 인입되는데, 일단이 커버 플레이트(410)와 연결된 제1 삽입 플레이트(421), 제1 삽입 플레이트(421) 타단에 연결되어 제1 체결홀에 걸리는 제1 후크(422), 및 제1 후크(422)에서 연장된 제1 연장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후크(422)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제1 수용부에 쉽게 장착이 가능하도록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반경의 라운드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단부 내측면과 외측면 모서리 모두가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반경의 라운드진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제1 수용부에 제1 삽입부(420)가 인입되었을 시, 좌우 흔들림이 없도록 제1 후크(422)의 양측면은 한 쌍의 제1 연결부와 밀착하는 것이 좋다.
제1 연장부(423)의 끝단부는 제1 지지 프레임(120)의 상면과 밀착함으로써 커버 플레이트(41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와 같이, 제2 삽입부(430)는 커버 플레이트(410)의 폭 방향 일측 가장자리 중간 부근에 위치하여 전술한 제2 수용부에 인입되는데, 일단이 커버 플레이트(410)와 연결된 제2 삽입 플레이트(431)와, 제2 삽입 플레이트(431) 타단에 연결되어 제2 체결홀에 걸리는 제2 후크(4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2 후크(432)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제2 수용부에 쉽게 장착이 가능하도록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반경의 라운드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단부 내측면과 외측면 모서리 모두가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반경의 라운드진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제2 수용부에 제2 삽입부(430)가 인입되었을 시, 좌우 흔들림이 없도록 제2 후크(432)의 양측면은 한 쌍의 제2 연결부와 밀착하는 것이 좋다.
제3 삽입부(440)는 커버 플레이트(410)의 폭 방향 타측 가장자리 중간 부근, 즉 제2 삽입부(430)와 마주 보면서 위치하여 전술한 제3 수용부에 인입되는데, 일단이 커버 플레이트(410)와 연결된 제3 삽입 플레이트(441)와, 제3 삽입 플레이트(441) 타단에 연결되어 제3 체결홀에 걸리는 제3 후크(4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3 후크(442)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제3 수용부에 쉽게 장착이 가능하도록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반경의 라운드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단부 내측면과 외측면 모서리 모두가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반경의 라운드진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제3 수용부에 제3 삽입부(440)가 인입되었을 시, 좌우 흔들림이 없도록 제3 후크(442)의 양측면은 한 쌍의 제3 연결부와 밀착하는 것이 좋다.
계속해서, 도 16과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4 삽입부(450)는 커버 플레이트(41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일단부 인근에 위치하여, 전술한 제4 수용부에 인입된다. 이러한 제4 삽입부(450)는 일단이 커버 플레이트(410)와 연결된 제4 삽입 플레이트(451), 제4 삽입 플레이트(451) 타단에 연결되어 제4 체결홀에 걸리는 제4 후크(452), 제4 후크(452)에서 연장된 제2 연장부(453), 및 제3 연장부(4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4 후크(452)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제4 수용부에 쉽게 장착이 가능하도록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반경의 라운드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단부 내측면과 외측면 모서리 모두가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소정 곡률반경의 라운드진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제4 수용부에 제4 삽입부(450)가 인입되었을 시, 좌우 흔들림이 없도록 제4 후크(452)의 양측면은 제4 연결부 및 외곽 프레임(110)과 밀착하는 것이 좋다.
또 제2 연장부(453)의 끝단부는 제1 지지 프레임(120) 상면과 밀착함으로써 커버 플레이트(41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제4 삽입 플레이트(451)와 직교하면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3 연장부(454)가 구비될 시에는, 손으로 파지하기기 쉬워 BMU 커버(400)의 탈부착이 한층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프레임부
110: 외곽 프레임
111: 고정구
111a: 제1 고정구 111a´: 제1 볼트 관통홀
111b: 제2 고정구 111b´: 제2 볼트 관통홀
112: 절개부
113: 제1 수용부
113a: 제1 수용 플레이트 113a´: 제1 체결홀
113b: 제1 연결부
120: 제1 지지 프레임
121: 제1 리브 122: 제2 리브
123: 제2 수용부 123a: 제2a 수용 플레이트
123b: 제2b 수용 플레이트 123b´: 제2 체결홀
123c: 제2 연결부
124: 제3 수용부 124a: 제3a 수용 플레이트
124b: 제3b 수용 플레이트 124b´: 제3 체결홀
124c: 제3 연결부
125: 제4 수용부 125a: 제4a 수용 플레이트
125b: 제4b 수용 플레이트 125b´: 제4 체결홀
125c: 제4 연결부
126: 제3 리브 126a: 제3 볼트 관통홀
130: 제2 지지 프레임
140: 제4 리브
200: 전지셀
210: 셀 케이스 220: 전극 단자
300: BMU
310: 인쇄회로기판 320: BMU 케이블
330: BMU 커넥터
400: BMU 커버
410: 커버 플레이트
411: 제1 관통홀 412: 홈부
413: 유동 방지판
420: 제1 삽입부
421: 제1 삽입 플레이트 422: 제1 후크
423: 제1 연장부
430: 제2 삽입부
431: 제2 삽입 플레이트 432: 제2 후크
440: 제3 삽입부
441: 제3 삽입 플레이트 442: 제3 후크
450: 제4 삽입부
451: 제4 삽입 플레이트 452: 제4 후크
453: 제2 연장부 454: 제3 연장부
500: 제1 포장부재
510: 고정부 520: 제2 관통홀
600: 제2 포장부재
610: 제3 관통홀
S: 수납공간

Claims (16)

  1. 외곽 프레임, 및 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대칭구조의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리브가 구비된 제1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전지셀;
    일면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상면을 향하면서 상기 전지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BMU; 및
    상기 BMU 타면에 위치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구비된 BMU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상면에는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을 따라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용부에 인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제1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인입되는 제1 후크가 구비된 제1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일정 높이를 갖는 외곽 프레임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제1 체결홀이 구비된 제1 수용 플레이트, 및 상기 외곽 프레임 내측면과 상기 제1 수용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부는 일측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연결된 제1 삽입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삽입 플레이트 타측에 연결된 제1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용 플레이트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와 상기 제1 후크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라운드진 형상이고, 상기 제1 수용부에 상기 제1 삽입부가 인입되었을 시, 상기 제1 후크의 양측면은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부와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된 제2 수용부와 제3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 수용부와 제3 수용부에 각각 인입되는 제2 후크가 구비된 제2 삽입부, 및 제3 후크가 구비된 제3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며 타측은 외곽 프레임과 연결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제2 지지 프레임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용부와 제3 수용부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연장 방향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상면을 따라 직교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제4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와 제3 수용부는 상기 한 쌍의 제4 리브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4 리브 일단에 연결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제2a 수용 플레이트, 상기 제2a 수용 플레이트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제2 체결홀이 구비된 제2b 수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a 수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2b 수용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일측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연결된 제2 삽입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삽입 플레이트 타측에 연결된 제2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2a 수용 플레이트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와 상기 제2 후크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라운드진 형상이고, 상기 제2 수용부에 상기 제2 삽입부가 인입되었을 시, 상기 제2 후크의 양측면은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부와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용부는 상기 제4 리브 일단에 연결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제3a 수용 플레이트, 상기 제3a 수용 플레이트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제3 체결홀이 구비된 제3b 수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제3a 수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3b 수용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3b 수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삽입부는 일측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 일면과 연결된 제3 삽입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삽입 플레이트 타측에 연결된 제3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3a 수용 플레이트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와 상기 제3 후크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라운드진 형상이고, 상기 제3 수용부에 상기 제3 삽입부가 인입되었을 시, 상기 제3 후크의 양측면은 상기 한 쌍의 제3 연결부와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타측에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제4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한 쌍의 제4 수용부에 각각 인입되는 제4 후크가 구비된 한 쌍의 제4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수용부는 일정 높이를 갖는 제4a 수용 플레이트, 상기 제4a 수용 플레이트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제4 체결홀이 구비된 제4b 수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제4a 수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4b 수용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삽입부는 일측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 일면과 연결된 제4 삽입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삽입 플레이트 타측에 연결된 제4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4a 수용 플레이트의 상단부 내측면 모서리와 상기 제4 후크의 하단부 내측면 모서리는 일정 각도 절개되거나 라운드진 형상이고, 상기 제4 수용부에 상기 제4 삽입부가 인입되었을 시, 상기 제4 후크의 양측면은 상기 제4 연결부 및 외곽 프레임과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MU 커버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4 삽입 플레이트와 직교하면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3 연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다수개 리브는, 전극 단자가 중첩되는 위치에 구비된 격자 구조의 제1 리브,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배치된 제2 리브, 및 제3 볼트 관통홀이 마련된 원기둥 형상의 제3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브, 제1 리브 및 제3 리브 순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리브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 외측에는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고정구가 구비되되,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제1 고정구에는 장공 형상의 제1 볼트 관통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 일면에는 제1 포장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 포장부재에는 상기 제1 관통홀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일측에 위치하는 외곽 프레임에는 상기 BMU 케이블과 BMU 커넥터를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BMU 케이블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개부의 일정 영역을 차단하기 위한 유동 방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230023268A 2023-02-22 2023-02-22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KR20240130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268A KR20240130250A (ko) 2023-02-22 2023-02-22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268A KR20240130250A (ko) 2023-02-22 2023-02-22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0250A true KR20240130250A (ko) 2024-08-29

Family

ID=9258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268A KR20240130250A (ko) 2023-02-22 2023-02-22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302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069A (ko) 2017-10-30 2019-05-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069A (ko) 2017-10-30 2019-05-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588B1 (ko) 이차전지 팩
EP2693516B1 (en) Battery pack
KR100880389B1 (ko) 이차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JP5260565B2 (ja) 二次電池
US7914924B2 (en) Stacked battery pack housing
US9455425B2 (en) Battery module
US9991485B2 (en) Battery module having venting guiding portion
KR102260833B1 (ko) 이차 전지 팩
JP7258278B2 (ja) 移動可能なバスバー組立体を備えた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これを含む二次電池
JP2020514983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100922742B1 (ko) 파우치형 케이스와, 이를 적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1741123B1 (ko) 관통홈을 포함하는 전지셀
KR20150133165A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210095388A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전지 셀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130250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EP4191750A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cooling performance, and device comprising same
KR20240126169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KR20220039160A (ko) 전지셀의 수명이 향상된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40100674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KR20220039158A (ko) 전지셀의 수명이 향상된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US20240162545A1 (en) Battery Module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US20230216157A1 (en) Secondary battery
EP4266465A1 (en) Battery module
KR20240072830A (ko) 납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fpcb 어셈블리
KR20090055791A (ko) 콤팩트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