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1201A -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aratus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aratus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1201A
KR20240111201A KR1020230002978A KR20230002978A KR20240111201A KR 20240111201 A KR20240111201 A KR 20240111201A KR 1020230002978 A KR1020230002978 A KR 1020230002978A KR 20230002978 A KR20230002978 A KR 20230002978A KR 20240111201 A KR20240111201 A KR 20240111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voic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us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2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아
Original Assignee
박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아 filed Critical 박경아
Priority to KR102023000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11201A/en
Priority to PCT/KR2024/000367 priority patent/WO2024151033A1/en
Publication of KR2024011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12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3Languag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05Languag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 및 상기 제1 사용자 주변의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음성입력수단; 및 상기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worn on the face of the first user; A display coupled to the main body; a voice input means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voice in a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and a voice in a second language of a second user around the first user; and a control unit that interpre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and outputs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on the display.

Description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및 동시통역 시스템{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ARATUS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nd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ARATUS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본 발명은 동시통역장치 및 동시통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입력된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제2 언어의 문자를 생성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동시통역장치 및 동시통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configured to interpret the input voice of the first language, generate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and then output them through a display. It's about.

동시 통역 서비스는 제1 언어로 발화된 내용을 제2 언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서비스로서, 이러한 동시 통역 시스템은 사용자의 한 문장의 발화가 끝난 후에 해당 문장을 통역하여 제2 언어로 변환하고, 제2 언어의 문장을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ervice is a service that converts and outputs content spoken in the first language into a second language. This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interprets the sentence after the user has finished uttering one sentence, converts it into the second language, and interprets the sentence into the second language. It is configured to output sentences in two languages as text or voice.

최근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한 통역 또는 번역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해외 여행을 위한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가져다주고 있으며, 또한 외국어에 능통하지 않은 사람들이 외국인과 대화할 때 언어로 인해 겪는 불편함을 해소해주고 있다.Recently, interpretation or translation services using smartphone apps have been provided, bringing convenience to users traveling abroad, and also relieving the inconvenience that people who are not fluent in foreign languages experience due to language when communicating with foreigners. there i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역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면, 번역된 음성이 출력되고 있으나, 상대방이 말한 음성을 번역하고자 하면 매 대화시마다 메뉴에서 선택 언어를 변경한 후 스마트폰을 상대방에게 건네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when a user wants to receive this conventional interpretation service, when a user inputs a voice through the smartphone's microphone, the translated voice is output. However, if the user wishes to translate the voice spoken by the other party, the user must select the language from the menu during each conversation.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hand the smartphone to the other person after making changes.

따라서, 사용 언어가 다른 외국인과 대화할 때 실제 대화하듯이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동시 통역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that allows natural conversation with foreigners who speak different languages as if they were actually speaking.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은 실시간 강연 자동통역의 사전작업으로서 강연자의 발표자료 분석을 통하여 실시간 자동 동시통역 시스템의 번역지식을 해당 강연 도메인에 맞도록 조정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Meanwhile,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is a preliminary work of real-time lecture automatic interpretation and only discloses the content of adjusting the translation knowledge of the real-time automatic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to suit the lecture domain through analysis of the lecturer's presentation materials, and is not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sclos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292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529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및 동시통역 시스템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nd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상대방이 용이하게 통역된 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및 동시통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aim is to provide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nd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that enables smooth communication by allowing the other party to easily check the interpreted text.

화자의 음성이 제대로 입력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의사전달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동시통역장치 및 동시통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aim is to provide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nd system that can ensure the accuracy of communica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check in real time whether the speaker's voice has been input correctly.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 및 상기 제1 사용자 주변의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음성입력수단; 및 상기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worn on the face of the first user; A display coupled to the main body; a voice input means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voice in a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and a voice in a second language of a second user around the first user; and a control unit that interpre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and outputs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on the display.

상기 제1 언어의 음성 및 상기 제2 언어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and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상기 음성출력수단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voice of the first user's first language to the voice output means and simultaneously outputs the text of the second language to the display.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입, 입 주변 및 뺨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is preferably placed in any one of the first user's mouth, mouth area, and cheek area.

상기 디스플레이는 투명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is preferably a transparent display.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내측 면에 안티포그 코팅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anti-fog coating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본체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preferably includes a coupling portion that is formed to b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상기 음성출력수단으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to the voice output means.

상기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변환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characters in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by converting the second user's second language voice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are output on the display.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상기 제2 언어의 음성 또는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상기 제1 언어의 음성 또는 제1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모드선택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mode for conver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into a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r text of the second language, and converting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into a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r text of the second languag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ode selection input unit for selectively activating one of the second modes for converting characters of one language.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고,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is a touch display capable of touch input, and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the touch display.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상기 제어유닛과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preferably included in a portable terminal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이되, 모드선택의 입력을 위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의 영역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의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a touch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enable touch input, and the area of the touch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the mode selection is preferably 1/3 or more of the total area of the touch display.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a tilt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built in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상기 음성입력수단이고, 상기 음성입력수단에 미리 설정된 제1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the voice input means, and when a preset first word is input to the voice input means,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is selectively activated.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상기 음성입력수단이고, 상기 음력입력수단에 미리 설정된 제2 단어 및 특정 국가명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특정 국가명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언어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the voice input means, and when a preset second word and a specific country name are input to the sound input means, the second language is preferably set based on the specific country name.

상기 제2 모드가 최초 활성화되는 이니셜 모드이며,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에 의한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제2 모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mode is an initial mode that is first activat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mode is maintained when there is no input from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상기 제2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되어 상기 제2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기다리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도형 또는 문자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econd mode is activated, it is preferable that a figure or text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o indicate that the second mode is activated and waiting for a voice input from the second user.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형성된 귀걸이부; 및 일측이 상기 귀걸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안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스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틱부재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출력수단은 상기 귀걸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includes an earring portion formed to be hung on the first user's ear; and a stick member on one side of which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earring unit along the face of the first user, wherein the display is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stick member, and the audio output means is disposed on the earring unit. It is desirable.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착용할 경우, 스틱부재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입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user wears the main body, the display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stick member is preferably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s mouth.

상기 음성입력수단은, 상기 스틱부재의 타측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oice input means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ick member or on the display.

상기 본체는, 일측이 상기 제1 사용자의 턱, 목 및 입 하부 영역에 고정 안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바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귀걸이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includes a mounting portion on one side of which is fixedly placed on the chin, neck, and lower mouth area of the first user; a bar-shaped fram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ding uni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ace of the first user; and a pair of earring strings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rame, respectively, to be hung on the first user's ears. Preferably, the display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frame.

상기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겹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transparent window mounted on the top of the frame so as to overlap the display.

상기 본체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코 및 입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하부 및 측부에 배치되고, 통풍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필터유닛; 및 상기 마스크 본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includes: a mask main bod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se and mouth of the first user; a filter unit disposed on the lower and side portions of the mask body and made of a ventilable material; and a fixing unit configured to fix the mask body to the face of the first user.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마스크 본체이거나 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부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is preferably the mask body or a partial area of the mask body.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미리 설정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preset shapes and characters is output on the display.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체온을 포함하는 신체 정보를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바이오 센서에서 검출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체 정보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may further include a biosensor mounted on the main body to detect body information including body temperature of the first user, and preferably display the body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detected by the biosensor on the display.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사용자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대향되는 방향의 제2 디스플레이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에는 상기 제1 언어의 문자가 출력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에는 상기 제2 언어의 문자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has a first display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user and a second display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user, wherein characters of the first language are output on the first display surface, and the second display surface is It is preferable that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 시스템은, 상호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를 포함하는 동시통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본체와, 본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와,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수단과,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하고, 제1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를 착용하여 어느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음성입력수단에 제1 언어의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착용하는 어느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변환하여 생성된 제1 언어의 문자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two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s capable of mutual communication, wherein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s are worn on the user's face. It includes a main body, a display disposed on the main body, a voice input means for receiving a voice, and a voic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voice, wherein a first user wears any on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to read any on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hen inputting the voice of a first language into the voice input means of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the display of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orn by the first user display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generated by conver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t is desirable to output characters of

상기 제1 사용자가 착용한 어느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음성출력수단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제2 언어의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착용한 다른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음성출력수단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제2 언어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oice output means of one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s worn by the first user outputs a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and the voice output means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orn by the second user outputs a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Preferably, the voice output means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outputs a voice in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voice in the first languag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 일측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포트와 결합되는 스틱 형상의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유닛은 제1 언어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제1 언어의 문자를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한 후 문자로 변환하여 제2 언어의 문자를 생성한다.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A stick-shaped coupling member on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displa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conver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nto text to generate the text of the first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interpre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Then, it is converted to text to create the text of the second language.

상기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결합부재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포트에서 분리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별도의 본체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member to which the display is coupled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or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n coupled to a separate main body that includes a control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1 언어의 문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haracters of the first language are output on the touch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are output on the display.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제2 언어의 음성 또는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상기 제1 언어의 음성 또는 제1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형성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유닛은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번갈아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a first mode for conver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nto a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r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and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into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Alternatively, the second mode for converting characters of the first language may be selectively activated, and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alternately activate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제2 언어의 음성 또는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상기 제1 언어의 음성 또는 제1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 모드가 최초 활성화되는 이니셜 모드이고,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제2 모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a first mode for conver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nto a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r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and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into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r configured to selectively activate a second mode for converting characters of the first language, wherein the second mode is an initial mode that is initially activated, and a separate mode for selecting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is provided. It is desirable that the second mode is maintained when there is no inpu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 시스템은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제2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동시통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제2 휴대용 단말기에는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된 제1 언어의 음성은 제2 언어의 문자로 통역되어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된 제2 언어의 음성은 제1 언어의 문자로 통역되어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다.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portable terminal, wherein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he voice in the first language input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interpreted as text in the second language and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or the voice in the second language input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translated into text in the second language. are interpreted as characters and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제1 언어의 입력만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제2 언어의 입력만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ctivates only the input of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ctivates the input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t is desirable to activate only the

상기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제2 휴대용 단말기가 상호 화상으로 소통 가능하도록 실시간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re interconnected in real time by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video.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제2 언어의 문자를 본체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대방이 통역된 문자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utput the text of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on the display combined with the main body, so that the other party can easily read the interpreted text. Verifiable effects can be expected.

또한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 언어가 다른 외국인과 대화할 때 실제 대화하듯이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being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user's face, it can be expected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can have natural conversations as if they were actually talking with foreigners who speak different language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제1 구현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제2 구현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제3 구현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시통역 시스템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ttached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디스플레이(200), 음성입력수단(300), 음성출력수단 및 제어유닛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body 100, a display 200, a voice input means 300, a voice output means, and a control unit, as shown in FIGS. 1 to 3.

본체(100)는 제1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도록 형성되며, 디스플레이(200)는 본체(1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후술할 제어유닛에 의하여 통역된 문자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main body 100 is formed to be worn on the face of the first user, and the display 2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outputting characters interpreted by a control unit to be described later.

특히 디스플레이(200)는 본체(1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200)로서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display 20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formed to b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0,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transparent display as the display 200.

음성입력수단(300)은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 및 제1 사용자 주변의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도록 구비되어 마이크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며, 음성출력수단은 후술할 제어유닛에 의하여 통역된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비되어 스피커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The voice input means 300 is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one of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and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around the first user and performs a function such as a microphone. The output means is equipped to output a voice interpreted by a control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performs a function such as a speaker.

제어유닛은 음성입력수단(300)으로 입력된 특정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다른 나라의 언어의 문자 음성을 디스플레이(200) 또는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utput of text voices in another languag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voice of a specific language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300) through the display (200) or voice output means.

한편, 입력된 음성의 통역은 제어유닛에서 직접 수행할 수도 있으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통역서버에서 통역된 문자 또는 음성을 제어유닛이 전달받아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00) 또는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은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interpretation of the input voice can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control unit, but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nterpreted text or voice from an interpretation server separately provided outside and outputs it through the display 200 or voice output means based on it. can also be controlled, and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상대방과의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이하에서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형상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user's face to enable natural conversation with the other party. 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hape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do.

먼저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제1 구현예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looking a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it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headset, as shown in FIG. 1.

즉, 본체(100)는 귀걸이부(110a)와 스틱부재(110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에서 귀걸이부(110a)는 제1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구성이고, 스틱부재(110b)는 일측이 귀걸이부(110a)의 일측으로부터 제1 사용자의 안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That is, the main body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arring portion 110a and a stick member 110b, where the earring portion 110a is configured to be hung on the first user's ear, and the stick member 110b is One side is configur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earring portion 110a along the face of the first user.

디스플레이(200)는 스틱부재(110b)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제1 사용자의 안면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200)가 사용자의 얼굴 중 입, 입 주변 및 뺨의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The display 200 may be placed at the other end of the stick member 110b and spaced apart from the face of the first user at a preset interval. As a result, the display 200 may be positioned at the mouth, around the mouth, and cheeks of the user's face. It can be plac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

한편, 디스플레이(200)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 등의 영역을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200)는 투명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사용자의 입김에 의한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내측 면에는 안티포그(anti-fog)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the display 200 from blocking areas such as the user's mouth, the display 200 is preferably a transparent display, and further, to prevent fogging caused by the user's breath, an anti-fog surface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nti-fog) coating may be formed.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입력수단(300)이 스틱부재(110b)의 타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200)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음셩입력수단(300)이 제1 사용자의 입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voice input means 300 to b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ick member 110b or on the display 200, as shown in FIG. 1.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means 300 is plac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s mouth.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식당 등에서 비말의 차단을 위하여 사용되는 입가리개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때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b), 프레임(120b) 및 한 쌍의 귀걸이끈(130b)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mouth guard used to block droplets in restaurants, etc., and in this case, the main body 100 has a holding portion (as shown in FIG. 2). 110b), a frame 120b, and a pair of earring strings 130b.

거치부(110b)는 일측이 제1 사용자의 턱, 목 또는 입 하부 영역에 고정 안착되는 구성이고, 프레임(120b)은 바(Bar) 형상으로 거치부(110b)의 타측에 형성되어 본체와 제1 사용자의 안면을 이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10b is fixedly mounted on the first user's chin, neck, or lower mouth region, and the frame 120b is formed in a bar shape on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10b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 Performs the function of separating the user's face.

한 쌍의 귀걸이끈(130b)은 프레임(120b)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배치되어 제1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A pair of earring strings 130b are arrang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rame 120b, respectively, and are configured to be hung on the first user's ears.

이때 디스플레이(200)는 프레임(120b)의 상단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본체(100)는 디스플레이(200)와 겹칠 수 있도록 프레임(120b)의 상단에 장착되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display 200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frame 120b, and further, 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mounted on the top of the frame 120b so as to overlap the display 200.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투명 마스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10c), 필터유닛(120c) 및 고정유닛(130c)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transparent mask, where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mask main body 110c and a filter unit 120c as shown in FIG. 3. ) and a fixing unit 130c.

마스크 본체(110c)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제1 사용자의 코 및 입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이고, 필터유닛(120c)은 마스크 본체(110c)의 하부 및 측부에 배치되고 통풍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구성이고, 고정유닛(130c)은 마스크 본체(110c)를 제1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mask body 110c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se and mouth of the first user, and the filter unit 120c is disposed at the lower and side portions of the mask body 110c and is made of a ventilable material. This configuration is formed, and the fixing unit 130c is configured to fix the mask body 110c to the face of the first user.

특히 디스플레이(200)는 투명 디스플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디스플레이(200)는 투명재질의 마스크 본체(110c) 자체일 수 있으며, 나아가 마스크 본체(110c)의 일부 영역일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display 200 is preferably a transparent display. In this case, the display 200 may be the mask body 110c itself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may also be a partial area of the mask body 110c.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에서 제어유닛의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in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입력수단(300)을 통하여 입력된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제2 언어의 문자를 디스플레이(200)에 출력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interprets the first user's first language voice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300 and outputs the generated second language characters on the display 200.

이를 통하여 상대방인 제2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0)를 통하여 착용자인 재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제2 사용자의 사용언어인 제2 언어의 문자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the other second user can recognize the voice in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the wearer, as text in the second language, which is the language used by the second user, through the display 200.

이때 제1 사용자가 제1 언어의 음성을 제어유닛이 제대로 인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유닛은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음성출력수단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통역된 제2 언어의 문자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so that the first user can check whether the control unit has properly recognized the voice in the first language,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voice of the first user's first language to the voice output means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interpreted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on the display. It can be configured to output.

반대로 착용자인 제1 사용자가 상대방인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유닛은 음성입력수단(300)을 통하여 입력된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제1 언어의 음성을 음성출력수단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Conversely, so that the first user, the wearer, can recognize the second language voice of the other user, the control unit interprets and generates the second user's second language voice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300.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through a voice output means.

이때 제2 사용자가 제2 언어의의 음성을 제어유닛이 제대로 인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유닛은 제1 언어의 음성을 음성출력수단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변환하여 생성된 제2 언어의 문자를 디스플레이(200)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so that the second user can check whether the control unit has properly recognized the voice in the second language,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voice in the first language to the voice output means and simultaneously converts and generates the voice in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on the display 2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착용자인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상대방인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 또는 제2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1 모드 및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제1 언어의 음성 또는 제1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모드선택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device that conver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the wearer, into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other user, or text of the second language. It further includes a mode selection input unit for selectively activating one of the modes and a second mode for converting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into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r the characters of the first language.

이러한 모드선택 입력부는 버튼 등의 별도의 입력장치일 수도 있으나,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200)인 터치식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This mode selection input unit may be a separate input device such as a button, or may be a touch display such as the display 200 capable of touch input.

나아가 모드선택 입력부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제어유닛과 통신을 수행하는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may be included in a separate portable terminal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이때 휴대용 단말기 내에 구비된 모드선택 입력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용이한 모드선택을 위하여 모드선택의 입력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의 영역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의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 touch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for easy mode selection by the user, the area of the touch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the mode selection is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3 or more.

또한 휴대용 단말기 내에 구비된 모드선택 입력부는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등의 조작에 의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t least one of a tilt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may select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y manipulating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tilting or moving the portable terminal in a specific direction. 2 modes can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activated.

아울러 모드선택 입력부는 음성입력수단(300)일 수 있으며, 이때 음성입력수단(300)에 미리 설정된 제1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may be a voice input means 300, and in this case, when a preset first word is input to the voice input means 300,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It may be possible.

나아가 음력입력수단(300)에 미리 설정된 제2 단어와 특정 국가명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국가명에 기초하여 제2 언어가 설정되도록 할 수 도 있다.Furthermore, when a preset second word and a specific country name are input into the lunar input means 300, the second language may be set based on the specific country name.

나아가, 상술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상대방의 음성을 기다리는 제2 모드를 최초 활성화되는 이니셜 모드로 설정하고, 모드선택 입력부에 의한 별도의 입력이 없는 한 제2 모드는 그대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Furthermore, among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modes, the second mode, which waits for the other party's voice, is set as the initial mode that is first activated, and the second mode is configured to remain as is unless there is a separate input from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

이러한 제2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현재 제2 모드상태임을 상대방인 제2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디스플레이(200)에는 제2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기다리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도형 또는 문자가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mode is activated, a figure or tex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00 to indicate that the second user is waiting for a voice input from the second user to inform the other second user that the second mode is currently in the second mode.

또한 디스플레이(200)에는 제2 문자의 출력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도형 및 문자 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00)를 통하여 광고 및 캠페인 문구 등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200 can output not only a second character but also preset shapes and characters, and through this, advertisements and campaign text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200.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에는 본체(100)에 장착되어 착용자인 제1 사용자의 체온, 맥박 등의 신체 정보를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iosensor that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and detects body information such as body temperature and pulse of the first user, who is the wearer.

이때 디스플레이(200)에는 바이오 센서에서 검출한 제1 사용자의 신체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1 사용자의 체온 등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user's bod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biosensor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00, and through this, the first user's body temperature, etc. can be easily checked from the outside.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디스플레이(200)는 착용자인 제1 사용자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제1 사용자와 대향되는 방향의 제2 디스플레이면을 구비한 양면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200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uble-sided display having a first display surface facing toward the first user, the wearer, and a second display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first user. You can.

이때 제1 디스플레이면에는 착용자인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문자가 출력되고, 제2 디스플레이면에는 상대방인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문자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characters in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the wearer,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surface, and characters in the second language of the other user, the wearer,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surface.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이 음성입력수단(300)으로 입력되면, 제1 디스플레이면에는 제1 언어의 음성이 변환된 제1 언어의 문자가 출력되는 동시에 제2 디스플레이면에는 제1 언어의 음성이 통역된 제2 언어의 문자가 출력된다.For example, when the voice of the first user's first language is input to the voice input means 300, the text of the first language converted from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s output on the first display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the text of the first language converted from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s output on the second display surface. In , text in the second language in which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s interpreted is output.

반대로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이 음성입력수단(300)으로 입력되면, 제2 디스플레이면에는 제2 언어의 음성이 변환된 제2 언어의 문자가 출력되는 동시에 제1 디스플레이면에는 제2 언어의 음성이 통역된 제1 언어의 문자가 출력된다.Conversely, when the voice of the second user's second language is input to the voice input means 300, the text of the second language converted from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is output on the second display surface, and the second language text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surface. The text of the first language in which the voice of the language is interpreted is output.

이를 통하여 화자가 자신의 음성이 제대로 입력되었는지를 문자로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상대방은 화자의 음성이 통역된 문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the speaker can check through text whether his or her voice has been entered correctly,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party can check the text through which the speaker's voice has been interpreted.

이하에서는 상호 통신이 가능한 복수 개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를 포함하는 동시통역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s capable of mutual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각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0), 디스플레이(200), 음성입력수단(300), 음성출력수단 및 제어유닛 등을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each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includes a main body 100, a display 200, a voice input means 300, a voice output means, and a control unit.

이때 제1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를 착용하여 음성입력수단(300)에 제1 언어의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제1 사용자가 착용하는 어느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제2 언어의 문자가 출력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user wears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nd inpu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nto the voice input means 300, the display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orn by the first user is Text in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voice in the first language is output.

또한 제2 사용자가 착용하는 다른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제1 언어의 음성을 변환하여 생성된 제1 언어의 문자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play of another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orn by the second user may output characters in the first language generated by conver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아울러 상기 제1 사용자가 착용한 어느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음성출력수단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제2 언어의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착용한 다른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음성출력수단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제2 언어의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voice output means of one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s worn by the first user outputs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and the other voice output means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orn by the second user The audio output means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may output a second language voic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first language voice.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10d), 결합부재(120d) 및 디스플레이(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rtable terminal 110d, a coupling member 120d, and a display 200, as shown in FIG. 4.

휴대용 단말기(110d)는 터치 디스플레이, 음성입력수단, 음성출력수단 및 제어유닛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고, 결합부재(120d)는 스틱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포트와 결합되는 구성이고, 디스플레이(200)는 결합부재(120d)의 타측에 결합되는 구성이다.The portable terminal 110d includes a touch display, a voice input means, a voice output means, and a control unit, and the coupling member 120d is formed in a stick shape so that one side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20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120d.

이때 휴대용 단말기(110d)의 제어유닛은 휴대용 단말기(110d)의 음성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제1 언어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제1 언어의 문자를 생성하는 동시에,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한 후 문자로 변환하여 제2 언어의 문자를 생성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110d conver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of the portable terminal 110d into text to generate the text of the first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interpre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Then, it is converted to text to create the text of the second language.

휴대용 단말기(110d)의 제어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제1 언어의 문자는 휴대용 단말기(110d)의 터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휴대용 단말기(110d)의 제어유닛에 의하여 통역된 제2 언어의 문자는 디스플레이(200)에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The characters of the first languag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110d are output on the touch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110d, and the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interpret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110d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 200).

특히 휴대용 단말기(110d)의 제어유닛은 제1 언어의 음성을 제2 언어의 음성 또는 제2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1 모드 및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제1 언어의 음성 또는 제1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휴대용 단말기(110d)의 제어유닛은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번갈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110d has a first mode for conver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nto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r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and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into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r 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ctivate the second mode for converting characters of the first languag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110d may be configured to alternately activate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there is.

이를 통하여 3초~5초 단위로 사용자 모드를 자동 변경 토글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입력없이 타이밍에 맞게 제1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10d) 디스플레이를 보고, 제2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0)를 보고 자신들의 언어 활성화 타임에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Through this, the user mode is implemented as an automatic change toggle in 3 to 5 second increments, so that the first user views th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110d and the second user views the display 200 according to the timing without separate input. Natural conversation becomes possible during language activation time.

또한 상술한 제2 모드가 최초 활성화되는 이니셜 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above-described second mode as the initial mode in which it is first activated, and in this case, if there is no separate input to select either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the second mode is configured to be maintained. It is desirable.

나아가 디스플레이(200)가 결합된 결합부재(120d)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d)의 연결포트에서 분리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d)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별도의 본체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Furthermore, the coupling member 120d to which the display 200 is coupled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ort of the portable terminal 110d and then coupled to a separate main body including a control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10d. It may also be possible to form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시통역 시스템은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제2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각 휴대용 단말기에는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portable terminal,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on each portable terminal.

이때 제1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된 제1 언어의 음성은 제2 언어의 문자로 통역되어 제2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거나 또는 제2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된 제2 언어의 음성은 제1 언어의 문자로 통역되어 제1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다. At this time, the voice in the first language input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interpreted as text in the second language and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or the voice in the second language input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translated into text in the first language. is interpreted and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이때 제1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은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언어의 입력만을 활성화시키고, 제2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은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언어의 입력만을 활성화시킨다. At this time,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ctivates only the input of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ctivates only the input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또한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제2 휴대용 단말기가 상호 화상으로 소통 가능하도록 실시간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it would be desirable to configur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o be interconnected in real time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via video with each other through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200: 디스플레이
300: 음성입력수단
100: body
200: display
300: Voice input means

Claims (38)

상기 제1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 및 상기 제1 사용자 주변의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음성입력수단; 및
상기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a main body worn on the first user's face;
A display coupled to the main body;
a voice input means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voice in a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and a voice in a second language of a second user around the first user; and
a control unit that interpre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and outputs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on the display;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의 음성 및 상기 제2 언어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
audio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audio of the first language and the audio of the second language;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상기 음성출력수단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2,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voice of the first user's first language to the voice output means and simultaneously outputs the text of the second language to the displ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입, 입 주변 및 뺨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is placed in any one of the first user's mouth, mouth area, and cheek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투명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is a transparent displa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내측 면에 안티포그 코팅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5,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anti-fog coating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본체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includes a coupling portion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상기 음성출력수단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is transmitted to the voice output mean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변환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8,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xt of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by converting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is output on the displa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언어의 음성을 상기 제2 언어의 음성 또는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상기 제1 언어의 음성 또는 제1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모드선택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2,
A first mode for conver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user into a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r text of the second language, and converting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into a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r text of the second language a mode selection input unit for selectively activating one of the second modes for converting characters of one language;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고,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0,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herein the display is a touch display capable of touch input, and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the touch displa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상기 제어유닛과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0,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included in a portable terminal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이되,
모드선택의 입력을 위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의 영역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의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2,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a touch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enable touch input,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touch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mode selection is more than 1/3 of the total area of the touch display.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2,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herein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at least one of a tilt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built into the portable terminal.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상기 음성입력수단이고,
상기 음성입력수단에 미리 설정된 제1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0,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the voice input means,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herein when a preset first word is input to the voice input means,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is selectively activate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는 상기 음성입력수단이고,
상기 음력입력수단에 미리 설정된 제2 단어 및 특정 국가명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특정 국가명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언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0,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is the voice input means,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herein when a preset second word and a specific country name are input into the lunar input means, the second language is set based on the specific country nam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가 최초 활성화되는 이니셜 모드이며,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에 의한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제2 모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0,
The second mode is the initial mode that is first activated,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ode is maintained when there is no input from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되어 상기 제2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기다리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도형 또는 문자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7,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herein when the second mode is activated, a figure or text is output on the display to indicate that the second mode is activated and is waiting for a voice input from the second us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형성된 귀걸이부; 및
일측이 상기 귀걸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안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스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틱부재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출력수단은 상기 귀걸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ody,
An earring portion formed to be hung on the first user's ear; and
a stick member whose one side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earring portion along the face of the first user;
Including,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herein the display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tick member, and the audio output means is disposed at the ear hook portion.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착용할 경우, 스틱부재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입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9,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herein when the first user wears the main body, the display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stick member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s mouth.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수단은, 상기 스틱부재의 타측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9,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input means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ick member or on the displa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이 상기 제1 사용자의 턱, 목 및 입 하부 영역에 고정 안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바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귀걸이끈;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ody,
a mounting portion on one side of which is fixedly placed on the chin, neck, and lower mouth area of the first user;
a bar-shaped fram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ding uni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ace of the first user; and
a pair of earring strings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rame,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hang over the first user's ears;
Including,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frame.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겹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투명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main body,
a transparent window mounted on the top of the frame so as to overlap the display;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코 및 입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하부 및 측부에 배치되고, 통풍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필터유닛; 및
상기 마스크 본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ody,
a mask bod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se and mouth of the first user;
a filter unit disposed on the lower and side portions of the mask body and made of a ventilable material; and
a fixing unit configured to fix the mask body to the face of the first user;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omprising: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마스크 본체이거나 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24,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is the mask body or a partial area of the mask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미리 설정된 도형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preset shapes and characters is output on the displ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체온을 포함하는 신체 정보를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바이오 센서에서 검출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체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
a biosensor mounted on the main body to detect body information including body temperature of the first user;
It further includes,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hysical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detected by the biosensor is output on the displ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사용자 방향의 제1 디스플레이면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대향되는 방향의 제2 디스플레이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면에는 상기 제1 언어의 문자가 출력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면에는 상기 제2 언어의 문자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동시통역장치.
In claim 1,
The display has a first display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user and a second display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user,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haracters of the first language are output on the first display surface, and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are output on the second display surface.
상호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를 포함하는 동시통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본체와, 본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와,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수단과,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하고,
제1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를 착용하여 어느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음성입력수단에 제1 언어의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착용하는 어느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제2 언어의 문자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착용하는 다른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변환하여 생성된 제1 언어의 문자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통역 시스템.
In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two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s capable of mutual communication,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includes a main body worn on the user's face, a display disposed on the main body, a voice input means for receiving voice input, and a voic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voice,
When the first user wears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nd inputs a voice in the first language into the voice input means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The display of one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s worn by the first user outputs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wherein the display of another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orn by the second user outputs characters in the first language generated by conver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착용한 어느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음성출력수단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제2 언어의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착용한 다른 하나의 착용형 동시통역장치의 음성출력수단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하여 생성된 제2 언어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통역 시스템.
In claim 29,
The audio output means of the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orn by the first user outputs a second language voic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first language voice,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wherein the voice output means of the other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worn by the second user outputs a voice in the second language generated by interpreting the voice in the first language.
휴대용 단말기;
일측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포트와 결합되는 스틱 형상의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유닛은 제1 언어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제1 언어의 문자를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통역한 후 문자로 변환하여 제2 언어의 문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통역 시스템.
portable terminal;
A stick-shaped coupling member on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displa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Including,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conver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nto text to generate text of the first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interprets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and converts it into text to generate text of the second language. Features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결합부재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포트에서 분리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별도의 본체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통역 시스템.
In claim 31,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member to which the display is coupled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or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n coupled to a separate main body including a control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의 문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통역 시스템.
In claim 31,
Characters of the first language are output on the touch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are output on the display.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제2 언어의 음성 또는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상기 제1 언어의 음성 또는 제1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형성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유닛은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번갈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통역 시스템.
In claim 31,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a first mode for conver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nto a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r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and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into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r configured to selectively activate a second mode for converting to characters of the first language,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lternately activates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제2 언어의 음성 또는 상기 제2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언어의 음성을 상기 제1 언어의 음성 또는 제1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 모드가 최초 활성화되는 이니셜 모드이고,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제2 모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통역 시스템.
In claim 31,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a first mode for converting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into a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r characters of the second language and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user into the voice of the first language. or configured to selectively activate a second mode for converting to characters of the first language,
The second mode is the initial mode that is first activate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wherein the second mode is maintained when there is no separate input to select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제2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동시통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제2 휴대용 단말기에는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된 제1 언어의 음성은 제2 언어의 문자로 통역되어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된 제2 언어의 음성은 제1 언어의 문자로 통역되어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통역 시스템.
In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portable terminal,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The voice in the first language input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interpreted as text in the second language and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or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wherein the voice of the second language input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s interpreted into text of the first language and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제1 언어의 입력만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제2 언어의 입력만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통역 시스템.
In claim 36,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ctivates only the input of the first language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wherein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ctivates only the input of the second language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동시통역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제2 휴대용 단말기가 상호 화상으로 소통 가능하도록 실시간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통역 시스템.
In claim 36,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wherei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re interconnected in real time to enable mutual video communication by th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lication.
KR1020230002978A 2023-01-09 2023-01-09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aratus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KR2024011120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978A KR20240111201A (en) 2023-01-09 2023-01-09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aratus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PCT/KR2024/000367 WO2024151033A1 (en) 2023-01-09 2024-01-08 Wearable-typ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device and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978A KR20240111201A (en) 2023-01-09 2023-01-09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aratus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1201A true KR20240111201A (en) 2024-07-16

Family

ID=9189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978A KR20240111201A (en) 2023-01-09 2023-01-09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aratus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11201A (en)
WO (1) WO2024151033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924A (en) 2017-11-09 2019-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an automatic simultaneous interpretation using presentation scripts analysi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433B1 (en) * 2009-03-11 2016-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US9047873B2 (en) * 2012-12-21 2015-06-02 Draeger Safety, Inc. Self contained breathing and communication apparatus
TW201843604A (en) * 2017-05-03 2018-12-16 捷音特科技股份有限公司 Interactive translation system
KR102294982B1 (en) * 2020-09-11 2021-08-27 박성민 Smart Mask
KR20220055860A (en) * 2020-10-27 2022-05-04 박경아 A mas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924A (en) 2017-11-09 2019-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an automatic simultaneous interpretation using presentation scripts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51033A1 (en) 202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237B1 (en) Terminal and handsfree device for servicing handsfree automatic interpret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777807B1 (en) Sign language translator, system and method
KR102450803B1 (en) Duplex sign language translation apparatus and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duplex sign language translation method
JP4439740B2 (en) Voice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40243416A1 (en) Speech recognition
TWI716885B (en) Real-time foreign language communication system
CA242506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livering exogenously generated speech signals to enhance fluency in persons who stutter
JP201900857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3116576A (en) Voice and gesture interactive transl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6080517A1 (en) Bone-conduction speaker set,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translation system, auditory sensation system, navigation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KR20240111201A (en) A wearabl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pparatus and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Vítek et al. New possibilities for blind people navigation
US12073014B2 (en) Voice blanking muscle movement controlled systems
JP2007142957A (en) Remote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Reed et al. Analytic study of the Tadoma method: improving performance through the use of supplementary tactual displays
US20110116608A1 (en) Method of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 deaf person and a hearing person
JP2017050594A (en) Audio input device
CN108334197A (en) A kind of tool of communications for hearing-impaired people
JP5929811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program
KR20200087940A (en) Smart glass for the deaf that can deliver the emotion
KR101906549B1 (en) A wearable device for hearing impairment person
JP3228504U (en) Dialogue aid
NO3175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visual speech synthesis
Serena Sukhija et al. Innovative mobile technology targets low vision
WO2022270456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