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0942A - Cleaning-free manufactur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Cleaning-free manufactur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0942A
KR20240110942A KR1020247016116A KR20247016116A KR20240110942A KR 20240110942 A KR20240110942 A KR 20240110942A KR 1020247016116 A KR1020247016116 A KR 1020247016116A KR 20247016116 A KR20247016116 A KR 20247016116A KR 20240110942 A KR20240110942 A KR 20240110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section
polishing
fin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6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우키 하시모토
아키토 히가시와키
히사시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에버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에버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24011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09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02B1/06Devices with rotar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8Conditioning grain with respect to temperature or water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Abstract

미립과 물을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 (3) 를 적어도 구비한 무세미 제조 장치 (1) 로서, 상기 도정부 (3) 는, 그 도정부 (3) 의 상류측으로부터 제 1 가수 반송부, 제 1 세미부, 흡인 탈수부, 제 2 가수 반송부, 제 2 세미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가수 반송부에는 기포수가 공급된다.A rice-free manufacturing device (1) comprising at least a polishing unit (3) for underwater polishing by mixing and stirring fine grains with water, wherein the polishing unit (3) transports the first water solution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polishing unit (3). It is composed of a unit, a first semi-unit, a suction dehydration unit, a second water-addition conveying unit, and a second semi-conducting unit, and bubbled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water-addition conveying unit.

Description

무세미 제조 장치Cleaning-free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무세미 (無洗米) 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무세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cleaning rice production device capable of producing non-cleaning rice.

종래의 무세미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 차 세미부 (洗米部) 와 2 차 세미부의 사이 및 2 차 세미부와 3 차 세미부의 사이에 각각 배수구를 형성하여, 3 회의 세미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 있었다.In a conventional scrubber-free manufacturing device,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 drain is formed between the primary scrubber portion and the secondary scrubber portion and between the secondary scrubber portion and the tertiary scrubber portion, There were three seminars that could be held.

특허문헌 2 에는, 세미 후에 원심 탈수부를 경유시켜, 무세미를 제조할 수 있는 무세 곡립 (穀粒) 제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n apparatus for producing unwashed grains that can produce unwashed rice by passing it through a centrifugal dehydration unit after washing.

특허문헌 3 에는, 미세화 기포, 세미수, 정백 미립을 혼합하여, 배관 내를 유동시켜 세미를 실시하는 세미 방법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3 discloses the invention of a washing method in which fine bubbles, washing water, and whitening fine particles are mixed and flowed through a piping to carry out washing.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59869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159869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209242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20924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11098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8-111098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무세미 제조 장치의 경우, 미립이 각 배수구 위를 통과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미립과 혼합한 쌀겨가 섞인 세미수를 각 배수구로부터 충분히 배수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각 차의 세미 공정에 있어서 세미수를 새롭게 공급해도, 항상 쌀겨가 섞인 세미수가 잔존하고 있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복수 회의 세미 공정에서는, 미립끼리 서로 비벼지는 것에 의해 세미되기 때문에, 쌀겨가 연마재로서 작용하여, 세미 교반할 때에 미립 표면에 작은 상처를 낸다. 이것에 의해, 취반시에 수중 몸통 갈라짐 (수중 균열) 을 일으키고, 내부 전분이 유출되어 부드러운 밥이 된다고 하는 품질면의 불안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non-cleaning rice manufacturing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time for the fine particles to pass over each drain is short, so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drain the scrubbing water mixed with the fine grains and rice bran from each drain. For this reason, even if fresh rice water was supplied during the rice processing process for each tea, rice water mixed with rice bran always remained. In addition, in the multiple wash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fine particles are washed by rubbing each other, so the rice bran acts as an abrasive and causes small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fine particles during the semi-stirring. As a result, there was concern about the quality of the rice, which caused underwater cracking (underwater cracking) during cooking and caused internal starch to leak out, resulting in soft rice.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무세 곡립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곡립 (쌀) 을 물과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 (세미부) 와, 이 후공정에 원심 탈수부를 형성하여 무세미를 제조하는 것이지만, 세미 공정이 1 회인 점에서, 세척 작용이 약했다.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세미 장치에 있어서는, 배관 안을 유동·반전시킬 때에 미립이 엘리먼트에 접촉·충돌하기 때문에, 미립이 손상될 리스크가 있어, 쌀밥의 품질에 불안을 남기는 것이었다.In the apparatus for producing unwashed grain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unwashed rice is manufactured by forming a polishing part (semi-part) that mixes and stirs grains (rice) with water and mills them in water, and a centrifugal dewatering part in this post-process. Since the process was performed once, the cleaning action was weak. In the semi-cooking devic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the fine particles come into contact with and collide with the element when flowing and inverting the inside of the pipe, so there is a risk that the fine particles will be damaged, leaving unrest in the quality of the rice.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세미 효과를 향상시켜 무세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무세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cleaning rice manufactur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non-cleaning rice by improving the cleaning effect.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미립과 물을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를 적어도 구비한 무세미 제조 장치로서, 상기 도정부는, 그 도정부의 상류측으로부터 제 1 가수 반송부, 제 1 세미부, 흡인 탈수부, 제 2 가수 반송부, 제 2 세미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가수 반송부에는 기포수가 공급되는 무세미 제조 장치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washing rice manufactur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a polishing unit for mixing and stirring fine grains and water and performing underwater polishing, wherein the polishing unit includes a first water conveying unit, a first fines unit, and a suction unit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polishing unit. It is a non-cleaning rice manufacturing device consisting of a dehydration unit, a second water transfer unit, and a second scrubbing unit, and bubble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liquid water transfer unit.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제 2 세미부로부터 배출된 미립을 탈수하는 것이 가능한 원심 탈수부를 갖고, 상기 원심 탈수부에 있어서 회수된 회수수는, 상기 제 1 가수 반송부에 있어서 공급되는 무세미 제조 장치이다.Another embodiment is a scrubbing-free manufacturing device that has a centrifugal dewatering unit capable of dewatering fine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second smelting unit, and wherein the recovered water recovered in the centrifugal dehydrating unit is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smelting conveying unit. .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제 2 가수 반송부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 2 가수 반송부로 공급되는 미립의 중량에 대하여 6 ∼ 24 중량% 의 첨가량으로 첨가되는 무세미 제조 장치이다.Another embodiment is a non-cleaning rice production device in which the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transfer unit is added in an amount of 6 to 24%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fine particles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transfer unit.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정부를 상류측으로부터 제 1 가수 반송부, 제 1 세미부, 흡인 탈수부, 제 2 가수 반송부, 제 2 세미부로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 1 세미부에서 사용된 쌀겨가 섞인 물을, 흡인 탈수부에 있어서의 강제 작용에 의해 깨끗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다음 공정인 제 2 가수 반송부에서는, 전공정의 쌀겨가 섞인 물이 혼입되지 않고, 새로운 깨끗한 물에 기포수가 첨가되어 제 2 세미부에서 세미가 가능해진다. 이로써, 세척 작용이 향상되어, 탁도나 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 외에, 기포에 의해 미립끼리의 충격이 완화되어, 수중 균열로 이어지는 미립 표면 손상도 방지할 수 있어, 쌀밥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shing section is comprised from the upstream side of a first water conveying section, a first semi section, a suction dewatering section, a second water line conveying section, and a second semi section, for example, in the first semi section. It becomes possible to cleanly remove water mixed with used rice bran by the forced action of the suction dehydration unit. And in the next process, the second water transfer unit, water mixed with rice bran from the previous process is not mixed, and bubble water is added to the new clean water, making washing possible in the second washing unit. This improves the cleaning action and improves turbidity and whiteness. In addition, the impact between fine particles is alleviated by air bubbles, and damage to the surface of fine grains leading to underwater cracks can be prevented, making it possible to improve rice quality. It become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세미 제조 장치의 전체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세미 제조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3 은, 무세미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도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무세미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흡인 탈수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포수 제조 장치와 도정부의 접속 양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n overall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non-cleaning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part of the scrubber-free manufacturing device in the exampl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lishing section in the non-cleaning rice manufacturing device.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dehydration section in the scrubber-free manufacturing device.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mode between the bubble water production device and the dosing unit in an example.

본 발명의 무세미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세미 제조 장치 (1) 의 전체 개략 사시도가, 도 2 에는 무세미 제조 장치 (1) 에 있어서의 도정부 (3), 정백미 공급 장치 (4) 및 탈수부 (5) 가 확대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는, 도정부 (3) 에 기포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기포수 제조 장치 (70) 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An embodiment of the non-cleaning manufact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Figure 1 is an overall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non-cleaning rice manufacturing device 1 in this embodiment, and Figure 2 shows the polishing unit 3, the polished rice supply device 4, and the dewatering unit 5 in the non-cleaning rice manufacturing device 1. ) An enlarged front view is shown. Additionally, FIG.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bubbled water production device 70 capable of supplying bubbled water to the tap unit 3.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세미 제조 장치 (1) 는, 기계 프레임 (2) 위에 재치 (載置) 된다. 또, 무세미 제조 장치 (1) 는, 공급된 정백미를 물과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 (3) 와, 당해 도정부 (3) 에 정백미를 공급하는 정백미 공급 장치 (4) 와, 상기 도정부 (3) 로부터 배출된 미립을 원심 탈수하는 것이 가능한 탈수부 (5) 와, 수분 조정을 실시하는 수분 조정부 (6) 에 의해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As shown, the scrubber-free manufacturing device 1 of this embodiment is placed on the machine frame 2. In addition, the non-cleaning rice manufacturing device (1) includes a polishing unit (3) that mixes and stirs the supplied polished rice with water and polishes it underwater, and a polished rice supply device (4) that supplies polished rice to the polishing unit (3), and The main part is comprised of a dewatering unit (5) capable of centrifugally dehydrating the fine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polishing unit (3), and a moisture adjustment unit (6) that adjusts the moisture content.

도정부 (3) 는, 횡형 통형상의 도정통 (7) 내에, 회전 가능한 도정축 (8) 과, 당해 도정축 (8) 에 축 장착된 반송 스크루 (9)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정부 (3) 는, 복수의 교반 날개 (10) 를 고착시키고, 또한 도정축 (8) 에 축 장착된 교반 전자 (轉子) (11) 와, 도정축 (8) 에 축 장착되고 도정통 (7) 의 말단측으로부터 미립이 유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12) 를 구비하고 있다.The polishing unit 3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polishing shaft 8 and a conveying screw 9 axially mounted on the polishing shaft 8 in a horizontal cylindrical polishing container 7. In addition, the polishing unit 3 has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10 attached thereto, a stirring electron 11 axially mounted on the polishing shaft 8, and a stirring electron 11 axially mounted on the polishing shaft 8 to perform polishing. It is provided with a regulating member 12 that regulates the outflow of fine particles from the distal end of the container 7.

그리고, 상기한 규제 부재 (12) 는 칼라 형상의 부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정축 (8) 에 축 장착된 규제 부재 (12) 의 단가장자리가 도정통 (7) 의 내경과의 간극을 좁혀, 도정통 (7) 으로부터의 곡립의 유출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regulating member 12 is preferably a collar-shaped member, and the short edge of the regulating member 12 axially mounted on the milling shaft 8 narrows the gap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milling barrel 7. , it is sufficient to regulate the outflow of grains from the oil well (7).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정축 (8) 의 후단 (도시 좌측 단부) 에는, 회전 구동용의 구동 풀리 (13) 가 축 장착되어 있고, 구동 풀리 (13) 의 상방에는 당해 도정축 (8) 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 (14)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 (14) 의 모터 풀리 (15) 와 도정축 (8) 의 구동 풀리 (13) 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전동 벨트를 둘러 감아, 모터 (14) 의 회전력을 도정축 (8) 에 전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drive pulley 13 for rotational drive is mounted on the rear end (left end in the drawing) of the milling shaft 8, and the milling shaft 8 is located above the drive pulley 13. A motor 14 is installed to rotate and drive. Then, a transmission belt (not shown) is wrapped between the motor pulley 15 of the motor 14 and the drive pulley 13 of the polishing shaft 8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4 to the polishing shaft 8. It is configured as possible.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수부 (5) 는, 종형이고 일부가 다공벽 (17) 으로 형성되는 회전 가능한 탈수통 (18) 과, 당해 탈수통 (18)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탈수축 (19) 과, 당해 탈수축 (19) 에 축 장착되는 탈수 스크루 (20)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탈수통 (18) 의 다공벽 (17) 의 주위에는 배수 커버 (21) 및 배수 홈통 (22) 이 형성되어 있고, 탈수 스크루 (20) 의 회전에 수반되는 원심력 및 탈수통 (18) 의 회전에 수반되는 원심력에 의해 다공벽 (17) 으로부터 세정 후의 물이 배출된다.As shown in FIG. 2, the dehydration unit 5 includes a rotatable dehydration tank 18 that is vertical and partially formed of a porous wall 17, and a dehydration shaft rotatably supported within the dehydration tank 18. 19) and a dewatering screw 20 that is axially mounted on the dewatering shaft 19. A drain cover 21 and a drain trough 22 are formed around the porous wall 17 of the dehydration tank 18, and the centrifugal force accompanying the rotation of the dehydration screw 20 and the rotation of the dehydration tank 18 The water after washing is discharged from the porous wall 17 by the accompanying centrifugal force.

탈수부 (5) 의 측방에는 탈수축 (19) 및 탈수통 (18) 을 각각 회전시키기 위해 복수의 출력축을 구비한 모터 (23)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탈수축 (19) 의 상단에는 탈수축 (19) 의 회전 구동용의 구동 풀리 (24) 가, 탈수통 (18) 의 축방향의 중앙 부근에는 통 둘레면에 풀리 홈 (25)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A motor 23 having a plurality of output shafts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ehydration unit 5 to rotate the dehydration shaft 19 and the dehydration tank 18, respectively. 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dehydration shaft 19, there is a drive pulley 24 for rotational driving of the dehydration shaft 19, and a pulley groove 25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hydration tank 18 near the axial center of the dehydration tank 18. It is formed.

즉, 구동 풀리 (24) 와 모터 (23) 의 제 1 모터 풀리 (26) 와의 사이에는 제 1 전동 벨트 (27) 를 둘러 감아 제 1 모터 풀리 (26) 의 회전력을 탈수축 (19) 으로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풀리 홈 (25) 과 모터 (23) 의 제 2 모터 풀리 (28) 와의 사이에는 제 2 전동 벨트 (29) 를 둘러 감아 제 2 모터 풀리 (28) 의 회전력을 탈수통 (18) 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That is, the first transmission belt 27 is wrapped between the drive pulley 24 and the first motor pulley 26 of the motor 23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pulley 26 to the decontraction shaft 19. It is possible. In addition, a second transmission belt (29) is wrapped between the pulley groove (25) and the second motor pulley (28) of the motor (23)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pulley (28) to the dehydration tank (18). It is possible.

탈수부 (5) 의 탈수축 (19) 하단에는, 미립을 수분 조정부 (6) 로 투입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긁어내기 날개가 축 장착되어, 수분 조정부 (6) 로 미립을 확산시키면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탈수부 (5) 와 수분 조정부 (6) 의 사이는, 종단면이 완만한 원호와 같은 유하 홈통 (31) 에 의해 접속되어, 긁어내기 날개와 함께 탈수 후의 미립을 확산시키면서 수분 조정부 (6) 로 투입할 수 있다.At the lower end of the dehydration shaft 19 of the dehydration section 5, a scraping wing (not shown) is mounted on an axis for injecting the fine particles into the moisture adjustment section 6, so that the fine particles can be injected into the moisture adjustment section 6 while diffusing them. . In addition, the dewatering section 5 and the moisture adjusting section 6 are connected by a flow trough 31 whose longitudinal cross section is like a gentle circular arc, and the moisture adjusting section 6 is spread while the fine particles after dewatering are spread together with the scraping blades. It can be put in.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분 조정부 (6) 는, 미립을 진동 모터 (37) 로 진동시키면서, 히터를 내장한 열풍 공급 팬 (38) 에 의해 조질·건조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정품 덕트에 의해 무세미 제조 장치 (1) 의 기외로 무세미로서 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oisture adjusting unit 6 conditions and dries the fine particles by a hot air supply fan 38 with a built-in heater while vibrating them with a vibration motor 37, and cleans them without washing through a genuine duct (not shown). It can be discharged as non-cleaning rice outside of the manufacturing device (1).

다음으로, 무세미 제조 장치 (1) 에 있어서의 무세미의 제조 공정에 대해, 특히 도 2 ∼ 도 5 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non-cleaning rice in the non-cleaning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1 will be explained in detail, especially based on FIGS. 2 to 5.

원료 공급 슈트 (50) (도 1 참조) 로부터 공급되는 원료가 되는 정백미는, 정백미 공급 장치 (4) 에 있어서의 로터리 밸브 (51) (도 2 의 A 부 참조) 에 의해 통로 (52) 를 통하여 미립 투입 호퍼 (42) 에 정량 공급된다. 그리고, 도정통 (7) 의 시단측 (도시 좌측) 에 형성된 미립 투입구 (41) 를 통하여 미립이 도정통 (7) 내에 투입된다.Polished rice as a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supply chute 50 (see FIG. 1) is fed through the passage 52 by the rotary valve 51 (see part A of FIG. 2) in the polished rice supply device 4. A fixed amount is supplied to the fine particle input hopper 42. Then, the fine grains are introduced into the milling well 7 through the fine particle inlet 41 formed on the starting end side (left side of the picture) of the milling well 7.

본 실시예의 도정부 (3)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도시 좌측) 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가수 반송부 (B), 제 1 세미부 (C), 흡인 탈수부 (D), 제 2 가수 반송부 (E), 제 2 세미부 (F) 로 구성되고, 도정부 (3) 로부터 배출된 미립은, 하류측의 원심 탈수부 (G) 로 반송된다.As shown in Fig. 2, the dewatering unit 3 in this embodiment includes, in order from the upstream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a first water conveying unit (B), a first semi unit (C), a suction dewatering unit (D), It is composed of a second water conveying section (E) and a second fine section (F), and the fine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dewatering section (3) are conveyed to the centrifugal dewatering section (G) on the downstream side.

도정통 (7) 내에 투입된 미립은, 먼저 제 1 가수 반송부 (B) 로 운반된다. 도 2, 3 등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제 1 가수 반송부 (B) 에는 미립 투입구 (41) 의 하류측의 위치에 제 1 급수 노즐 (44) 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제 1 급수 노즐 (44) 로부터 가수가 실시됨과 함께, 미립 투입구 (41) 로부터 투입된 미립이 반송 스크루 (9) 에 의해 하류 (도시 우측) 방향으로 반송된다.The fine particles introduced into the milling well 7 are first transported to the first water transfer unit B. 2, 3, etc., a first water supply nozzle 44 is formed in the first water supply conveying unit B at a position downstream of the fine particle inlet 41, and the first water supply nozzle 44 As the addition is performed, the fine particles injected from the fine particle inlet 41 are conveyed downstream (to the right in the drawing) by the conveyance screw 9.

제 1 급수 노즐 (44) 에 의한 가수의 양은, 예를 들어 투입되는 미립의 중량에 대하여 6 ∼ 24 중량% (wt%) 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 탈수부 (G) 에서 회수된 회수수를 제 1 급수 노즐 (44) 에 공급하여 물의 재이용을 도모하고 있다. 물론 회수수를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mount of water added by the first water supply nozzle 44 can be, for example, 6 to 24% by weight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injected fine particles.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water recovered from the centrifugal dewatering unit G is supplied to the first water nozzle 44 to achieve water reus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new water without using recovered water.

다음으로, 제 1 가수 반송부 (B) 에서 가수되어, 반송 스크루 (9) 에 의해 반송된 미립은, 제 1 세미부 (C) 로 운반된다. 제 1 세미부 (C) 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교반 날개 (10) (도시되는 예에서는 12 시 방향과 6 시 방향의 2 개소에 배치)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가수 반송부 (B) 에서 가수된 미립이 제 1 세미부 (C) 에 있어서 교반·세미된다.Next, the fine particles that have been watered in the first hydrated conveying section (B) and conveyed by the conveying screw 9 are conveyed to the first semi-draining portion (C).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10 (in the example shown, arranged at two positions at 12 o'clock and 6 o'clock) are formed in the first semi-part C. As a result, the fine particles watered in the first water transfer unit (B) are stirred and ground in the first fine unit (C).

제 1 세미부 (C) 에 있어서의 세미 공정에서는, 교반·세미에 의해 생긴 강분 (糠分) 이 수중에 확산됨과 함께, 수중에 있어서의 알갱이끼리의 마찰에 의해 도정도 행해진다. 이 때의 도정 정도는 미립에 대해 0.5 ∼ 2.0 % 진행됨으로써 미립 표면의 알류론층이 박리되어 떨어지게 된다.In the semi-process in the first fine section (C), the steel powder generated by stirring and polishing is spread in water, and polishing is also performed by friction between grains in water. At this time, the degree of polishing is 0.5 to 2.0% for the fine grains, so that the aleuron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fine grains peels off.

계속해서 제 1 세미부 (C) 에서 교반·세미된 미립은, 하류측 (도시 우측) 의 흡인 탈수부 (D) 로 운반된다. 당해 흡인 탈수부 (D) 에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 팬이 접속됨과 함께, 흡인한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 (60) 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세미부 (C) 에서 발생한 쌀겨가 섞인 물을, 미립으로부터 흡인함과 함께 배수관 (60) 에 의해 기외로 배출하고 있다.Subsequently, the fine particles stirred and ground in the first fine section (C) are transported to the suction dewatering section (D) on the downstream side (right side of the city). A suction fan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uction dehydration unit (D), and a drain pipe 60 for draining the suctioned water is connected. Then, water mixed with rice bran generated in the first fine section C is sucked from the fine grains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chine through the drain pipe 6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흡인 탈수부 (D) 의 교반 날개 (10) 근방의 도정축 (8) 및 교반 전자 (11) 에는, 도 4 의 확대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공 (61) 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정축 (8) 은 중공 구조로 되어 외기와 통하고 있고, 당해 통기공 (61) 과 연통되어 있다. 이로써, 흡인시에 흡인 탈수부 (D) 로 외기가 도입되어, 쌀겨가 섞인 물의 흡인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the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4, a ventilation hole 61 is formed in the milling shaft 8 and the stirring electron 11 near the stirring blade 10 of the suction dehydration unit D. there is. That is, the milling shaft 8 has a hollow structure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ir,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ventilation hole 61. As a result,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ehydration unit D during suction, making it possible to suction water mixed with rice bran.

계속해서, 흡인 탈수부 (D) 에서 탈수된 미립은, 하류측 (도시 우측) 의 제 2 가수 반송부 (E) 로 운반된다. 제 2 가수 반송부 (E) 에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급수 노즐 (45) 과 기포수 공급 노즐 (46) 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기포수 공급 노즐 (46) 로부터는 기포수가 상기 통상의 물에 첨가되어, 미립과 함께 반송 스크루 (9) 로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Subsequently, the fine particles dehydrated in the suction dehydration unit (D) are transported to the second water transfer unit (E) on the downstream side (right side of the illustration). As shown, a second water supply nozzle 45 and a bubble water supply nozzle 46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conveying unit E, and bubble water is supplied from the bubble water supply nozzle 46 to the normal water. It is added and configured to be conveyed to the conveyance screw 9 together with the fine particles.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포수 제조 장치 (70) 를 형성하고, 상기 기포수 제조 장치 (70) 에는 물탱크 (71) 내에 기포 발생 장치 (72) 를 설치하여 기포수를 제조하고 있다. 제조된 기포수는, 펌프 (73) 및 제어 밸브 (74) 를 통하여, 기포수 공급 노즐 (46) 로부터 제 2 가수 반송부 (E) 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급수 노즐 (45) 은, 무세미 제조 장치 (1) 를 세정하는 경우에, 무세미 제조 장치 (1) 의 내부에 가수를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To explain in more detail,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a bubble water production device 70 is formed, and the bubble water production device 70 includes a bubble generating device 72 in the water tank 71. It is installed to produce bubble water. The produced bubbled water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from the bubbled water supply nozzle 46 to the second water conveying unit E through the pump 73 and the control valve 74. In addition, the second water supply nozzle 45 is used to a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scrubber-free fabrication device 1 when cleaning the scrubber-free fabrication device 1.

상기와 같이 하여 기포수를 첨가함으로써, 미립이 교반·도정되고, 도정 작용에 의해 기포가 더욱 미소화되어 미립 표면의 안쪽의 세부까지 비집고 들어간다. 그리고, 미립 표면 세부의 안쪽에 있는 쌀겨의 박리를 촉진하여, 백도나 탁도 등의 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미립 표면 세부의 쌀겨를 박리하는 한편, 전분층과의 경계 부분에 있는 「감칠맛 성분」을 박리하지 않고 남길 수 있으므로, 식미를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포에 의해 미립끼리의 충격이 완화되어, 수중 균열로 이어지는 미립 표면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부드러운 쌀밥이 되지 않고 잘 지은 쌀밥이 되는 무세미를 연속하여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By adding bubble water as described above, the fine particles are stirred and polished, and the polishing action further miniaturizes the bubbles and penetrates into details inside the surface of the fine particles. In addition, it becomes possible to promote the peeling of the rice bran inside the surface details of the fine grains and improve the quality such as whiteness and turbidity. In addition, since the rice bran on the fine grain surface details can be peeled off while the “umami component” at the boundary with the starch layer can be left without peeling, the taste can be improved compared to before. In addition, the impact between fine grains is alleviated by the air bubbles, and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fine grains leading to underwater cracking can be prevented, so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and stably mass-produce unwashed rice that becomes well-cooked rice rather than soft rice.

기포수로는 파인 버블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포 직경 1 ㎛ 이하의 울트라파인 버블 (등록상표) 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가수 반송부 (E) 에 공급되는 통상의 물에 대하여 6 ∼ 15 % 의 첨가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bubble water, fine bubble water is preferable, and more preferably, ultrafine bubble (registered trademark) water with a bubble diameter of 1 μm or less is us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dd it in an amount of 6 to 15% with respect to the normal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conveying unit (E).

흡인 탈수부 (D) 와 제 2 가수 반송부 (E) 사이의 교반 전자 (11) 의 외주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역류 방지 격벽 (62)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흡인 탈수부 (D) 로부터 제 2 가수 반송부 (E) 로 쌀겨가 섞인 물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고 있다.As shown in FIG. 3, a ring-shaped backflow prevention partition 6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irring electron 11 between the suction dehydration unit D and the second water transfer unit E. This effectively prevents water mixed with rice bran from entering from the suction dehydration unit (D) into the second water transfer unit (E).

제 2 가수 반송부 (E) 에 의해 가수되어 반송된 미립은, 하류측 (도시 우측) 의 제 2 세미부 (F) 로 운반된다. 제 2 세미부 (F) 는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교반 날개 (10) (도시되는 예에서는 12 시 방향과 6 시 방향의 2 개소에 배치) 가 형성되어 있다. 즉, 흡인 탈수부 (D) 에서 탈수된 미립의 표면에는, 약간 쌀겨가 남아 있기 때문에, 제 2 가수 반송부 (E) 에서 깨끗한 물을 공급하여, 제 2 세미부 (F) 에서 헹구기를 실시하고 있다.The fine particles watered and conveyed by the second hydrated conveying section (E) are conveyed to the second semi-draining section (F) on the downstream side (right side of the illustration). As shown in FIG. 3 and the like, the second semi-part F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10 (in the example shown, arranged at two positions at 12 o'clock and 6 o'clock). That is, since some rice bran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fine grains dehydrated in the suction dehydration unit (D), clean water is supplied from the second water transfer unit (E), and rinsing is performed in the second semi-fine unit (F). there is.

단, 제 2 세미부 (F) 에서 미립을 강하게 세척해 버리면, 쌀밥의 식미가 나빠지기 때문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세미부 (C) 보다 제 2 세미부 (F) 의 길이를 짧게 하여, 세미 강도를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제 1 세미부 (C) 에서 세미를 강하게 실시하고, 제 2 세미부 (F) 에서 약하게 세미함으로써, 하류측의 원심 탈수부 (G) 에서 배출되어 회수되는 회수수에는, 쌀겨 등의 미세한 물질이 적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급수 노즐 (44) 에서 깨끗한 회수수를 공급할 수 있어, 제 1 세미부 (C) 에 있어서의 세미 효과나, 흡인 탈수부 (D) 에 있어서의 탈수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However, if the fine grains are strongly washed in the second fine part (F), the taste of the rice will deteriorate. Therefore, as shown, the length of the second fine part (F) is made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fine part (C). , reducing the semi-strength. In addition, in this way, by strongly grinding the rice in the first fine section (C) and lightly grinding it in the second finer section (F), the recovered water discharged and recovered from the centrifugal dewatering section (G) on the downstream side contains rice bran. Fine substances such as etc. are reduced. By doing this, clean recovered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supply nozzle 44, and the semi-smoothing effect in the first semi-part C and the dewatering effect in the suction dewatering part D can be improved. there is.

또, 제 2 세미부 (F) 의 종단에 해당하는 도정축 (8) 의 선단부에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부재 (12) 가 도정축 (8) 에 축 장착되어 있다. 당해 규제 부재 (12) 의 외경은 도정통 (7) 의 내경에 접근시켜 간극을 좁혀서 형성되어 있어, 도정통 (7) 으로부터 미립이 유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정통 (7) 의 내경과, 규제 부재 (12) 의 외경과의 간극은, 5 ∼ 13 mm 정도이다. 이와 같은 간극 치수로 함으로써, 도정통 (7) 으로부터 미립의 유출을 규제하면서, 원심 탈수부 (G) 로 미립을 반송할 수 있다. 또, 미립의 유출을 규제함으로써, 세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로써, 세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탈수부 (5) 에 대한 투입구도 좁혀짐으로써, 더욱 미립의 유출을 규제한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2 and 3, a regulating member 12 is axially mounted on the polishing shaft 8 at the tip of the polishing shaft 8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end of the second semi-part F. The outer diameter of the regulating member 12 is formed by approach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milling well 7 and narrowing the gap, so as to restrict the outflow of fine particles from the polishing well 7. The gap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ce well 7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regulating member 12 in this embodiment is about 5 to 13 mm. With such a gap size, the fine particles can be conveyed to the centrifugal dewatering unit G while controlling the outflow of the fine particles from the milling well 7. Additionally, the fine strength can be increased by controlling the outflow of fine particles. Thereby, semi-efficiency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inlet port to the dewatering unit 5 is also narrowed, thereby further controlling the outflow of fine particles.

이어서, 제 2 세미부 (F) 로부터 반송된 미립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수부 (5) 의 탈수통 (18) 에 운반되어, 원심 탈수부 (G) 로 반송된다. 원심 탈수부 (G) 에서는 미립과 물이 탈수 스크루 (20) 의 회전 (예를 들어, 1700 rpm) 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때, 미립과 물은 이송되면서, 탈수통 (18) 의 회전 (예를 들면 2000 rpm) 에 의한 원심력의 작용을 받아, 탈수통 (18) 의 다공벽 (17) 에 있어서 미립과 물로 분리된다.Next, the fine particles conveyed from the second semi-dewatering section (F) are conveyed to the dehydration tank 18 of the dehydrating section 5, as shown in FIG. 2, and are conveyed to the centrifugal dehydrating section G. In the centrifugal dewatering unit G, fine particles and water are transported longitudinally by rotation of the dewatering screw 20 (for example, 1700 rpm). At this time, while the fine particles and water are transferred, they are separated into fine particles and water on the porous wall 17 of the dehydration tank 18 under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for example, 2000 rpm) of the dehydration tank 18. .

그리고, 분리된 물은 배수 커버 (21) 및 배수 홈통 (22) 을 통하여 회수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가수 반송부 (B) 의 제 1 급수 노즐 (44) 에 공급하여 회수수는 재이용된다. 한편, 탈수된 미립은, 탈수축 (19) 하단의 도시하지 않은 긁어내기 날개에 의해 탈수통 (18) 으로부터 긁어내어지고, 유하 홈통 (31) 을 통하여 수분 조정부 (6) 로 투입된다.Then, the separated water is recovered through the drain cover 21 and the drain trough 22, and supplied to the first water supply nozzle 44 of the first water conveying unit B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covered water is reused. . On the other hand, the dehydrated fine particles are scraped out from the dehydration tank 18 by a scraping wing (not shown) at the lower end of the dehydration shaft 19, and are fed into the moisture adjustment unit 6 through the down trough 31.

수분 조정부 (6) 에서는, 미립이 진동 모터 (37) 에 의해 전동되고, 열풍 공급 팬 (38) 으로부터의 열풍이 송급되어, 미립을 전동시키면서 열풍에 폭로 (노출) 됨으로써, 조질·건조가 실시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정품 덕트로부터는, 예를 들면, 수분이 15 % 미만으로 마무리된 무세미가 배출된다.In the moisture adjusting unit 6, the fine particles are driven by the vibration motor 37, hot air is supplied from the hot air supply fan 38, and the fine particles are exposed to the hot air while rotating, thereby performing refining and drying. . And, for example, non-cleaning rice with a moisture content of less than 15% is discharged from a genuine duct (not shown).

(다른 실시예)(Other Embodiments)

이상, 본 실시예의 무세미 제조 장치 (1) 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무세미 제조 장치는 반드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scrubbing-free manufacturing apparatus 1 of this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rubbing-fre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세미부 (C) 및 흡인 탈수부 (D), 제 2 세미부 (F) 에 형성한 교반 날개 (10) 를, 도정축 (8) 에 대하여 12 시 방향과 6 시 방향의 2 개소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배치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좀더 복수 개소에 교반 날개 (10) 를 형성하도록 해도 되며, 교반 날개 (10) 를 도정축 (8) 의 축방향으로 복수 분할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도정부 (3) 내의 내부 저항이 조정 가능해져, 세척이나 헹구기의 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irring blades 10 formed in the first semi-section C, the suction dewatering section D, and the second semi-section F are tilted at 12 o'clock and 6 o'clock with respect to the milling shaft 8. It was placed at two locations in the city direction.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rrangement, and the stirring blades 10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the stirring blades 10 may be arranged in multiple division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illing shaft 8. . As a result, the internal resistance within the washing unit 3 can be adjusted,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washing or rinsing.

예를 들면, 제 1 세미부 (C) 및/또는 흡인 탈수부 (D) 의 교반 날개 (10) 의 배치 구성과, 제 2 세미부 (F) 에 형성한 교반 날개 (10) 의 배치 구성을 다르게 함으로써, 하류측의 제 2 세미부 (F) 에 있어서의 내부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상류측의 제 1 세미부 (C) 에서 적극적으로 세미하고, 하류측의 제 2 세미부 (F) 에서 헹구기를 겸한 세미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효율적으로 세미가 행해지고, 세척 작용이 양호해진다.For example,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the stirring blades 10 in the first semi-section (C) and/or the suction dehydration section (D), and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the stirring blades 10 formed in the second semi-section (F) By doing this differently, the internal resistance in the second semi-part F on the downstream side can be lowered.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actively wash in the first scrubber section (C) on the upstream side and to carry out scrubbing that also serves as rinsing in the second scrubber section (F) on the downstream side, so that scrubbing is performed more efficiently and the washing action is achieved. It gets better.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기포수 제조 장치 (70) 를 사용한 무세미 제조 장치 (1) 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포 발생을 담당하는 시판되는 노즐을 기포수 공급 노즐 (46) 에 인라인 설치함으로써, 미세 기포를 향수시켜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crubbing-free manufacturing device 1 using the bubble water manufacturing device 70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fine bubbles may be generated by installing a commercially available nozzle responsible for generating bubbles in-line to the bubble water supply nozzle 46.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이들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균등물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또는 효과의 적어도 일부를 발휘하는 범위에 있어서,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 요소의 조합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embodiments and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ese descriptions are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improved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and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within the scope of solving at least part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or of demonstrating at least part of the effect, combination or omission of each component described in the claims and specification is possible.

1 : 무세미 제조 장치
2 : 기계 프레임
3 : 도정부
4 : 정백미 공급 장치
5 : 탈수부
6 : 수분 조정부
7 : 도정통
8 : 도정축
9 : 반송 스크루
10 : 교반 날개
11 : 교반 전자
12 : 규제 부재
13 : 구동 풀리
14 : 모터
15 : 모터 풀리
16 : 전동 벨트
17 : 다공벽
18 : 탈수통
19 : 탈수축
20 : 탈수 스크루
21 : 배수 커버
22 : 배수 홈통
23 : 모터
24 : 구동 풀리
25 : 풀리 홈
26 : 제 1 모터 풀리
27 : 제 1 전동 벨트
28 : 제 2 모터 풀리
29 : 제 2 전동 벨트
31 : 유하 홈통
37 : 진동 모터
38 : 열풍 공급 팬
41 : 미립 투입구
42 : 미립 투입 호퍼
44 : 제 1 급수 노즐
45 : 제 2 급수 노즐
46 : 기포수 공급노즐
50 : 원료 공급 슈트
51 : 로터리 밸브
52 : 통로
61 : 통기공
62 : 역류 방지 격벽
70 : 기포수 제조 장치
71 : 물탱크
72 : 기포 발생 장치
73 : 펌프
74 : 제어 밸브
1: Cleaning-free manufacturing device
2: Machine frame
3: Provincial government
4: Polished rice supply device
5: Dehydration unit
6: Moisture control unit
7: Dojeongtong
8: Polishing axis
9: Conveyance screw
10: stirring wing
11: stirring electronics
12: Lack of regulation
13: driving pulley
14: motor
15: motor pulley
16: Electric belt
17: porous wall
18: Dehydration tank
19: Decontraction
20: Dehydration screw
21: Drain cover
22: Drainage gutter
23: motor
24: driving pulley
25: Pulley groove
26: first motor pulley
27: 1st transmission belt
28: second motor pulley
29: 2nd transmission belt
31: down gutter
37: vibration motor
38: hot air supply fan
41: Fine particle inlet
42: Fine particle input hopper
44: first water nozzle
45: second water supply nozzle
46: Bubble water supply nozzle
50: Raw material supply chute
51: rotary valve
52: Passage
61: ventilation hole
62: backflow prevention partition
70: Bubble water manufacturing device
71: water tank
72: Bubble generating device
73: pump
74: control valve

Claims (3)

미립과 물을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를 적어도 구비한 무세미 제조 장치로서,
상기 도정부는, 그 도정부의 상류측으로부터 제 1 가수 반송부, 제 1 세미부, 흡인 탈수부, 제 2 가수 반송부, 제 2 세미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가수 반송부에는, 기포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세미 제조 장치.
A non-cleaning rice manufactur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a polishing unit for underwater polishing by mixing and stirring fine grains and water,
The islanding section is composed of a first water conveying section, a first semi section, a suction dewatering section, a second water pipe conveying section, and a second semi section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islanding section,
A non-cleaning rice manufact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ubble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convey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미부로부터 배출된 미립을 탈수하는 것이 가능한 원심 탈수부를 갖고,
상기 원심 탈수부에 있어서 회수된 회수수는, 상기 제 1 가수 반송부에 있어서 공급되는, 무세미 제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has a centrifugal dewatering unit capable of dehydrating the fine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second semi-part,
A scrubber-free manufacturing device, wherein the water recovered in the centrifugal dehydration unit is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transfer uni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수 반송부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 2 가수 반송부로 공급되는 미립의 중량에 대하여 6 ∼ 24 중량% 의 첨가량으로 첨가되는, 무세미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transfer unit is added in an amount of 6 to 24%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fine particles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transfer unit.
KR1020247016116A 2021-11-18 2022-11-10 Cleaning-free manufacturing equipment KR2024011094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87847 2021-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0942A true KR20240110942A (en) 2024-07-1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6441B2 (en) Flour milling equipment
CN116751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uskless cereals
US511972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washed rice
US5846591A (en) Pretreatment process in flour milling method
JP6916511B2 (en) Rice washing equipment
KR20240110942A (en) Cleaning-free manufacturing equipment
JP2019018150A (en) Rice-washing appliance
KR20240110943A (en) Cleaning-free manufacturing equipment
JP200132788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leaned rice using defatted bra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209715883U (en) A kind of rice cleaning machine
WO2023090257A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no-wash rice
JP5313982B2 (en) Rice flour production method and rice flour production system
JP2003230841A (en) Device for drying washed rice
CN102631961B (en) Flushing dampener
WO2023090258A1 (en) Wash-free rice production device
JP2005333955A (en) Method for producing rice flour for rice flour brea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rice flour
KR102539818B1 (en) Grain-Free Grain Manufacturing Equipment
CN207476943U (en) Ultrasonic wave offal rinse bath
JP7161686B2 (en) No-rinse grain manufacturing equipment
US3552465A (en) Installation for processing grains with a liquid, in particular cereal grains
JP7133127B2 (en) No-rinse grain manufacturing equipment
JP3389963B2 (en) Vertical grain removal equipment
CN220143627U (en) Tremella reducing mechanism
JPH0584044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milled rice
JPH05212302A (en) Rice wash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