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8620A -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8620A
KR20240108620A KR1020230000102A KR20230000102A KR20240108620A KR 20240108620 A KR20240108620 A KR 20240108620A KR 1020230000102 A KR1020230000102 A KR 1020230000102A KR 20230000102 A KR20230000102 A KR 20230000102A KR 20240108620 A KR20240108620 A KR 20240108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user
hearing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민승
Original Assignee
구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승 filed Critical 구민승
Priority to KR102023000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08620A/ko
Publication of KR2024010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862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Neurosurge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에 있어서,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과 연결된 외부 단말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하고 획득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데이터를 인공지는 기반 분석하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된 맞춤형 보청기를 판단하며 판단한 보청기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HEARING AID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ANALYSIS OF HEARING AID USER'S HEARING AND USE ENVIRONMENT THROUGH CONTINUOUS HEARING AID MANAGEMENT}
아래 실시예들은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공지능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의 규칙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취향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규칙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학습 및 기계 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 학습은 데이터들의 특징 정보를 분류하여 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다. 요소 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청기 구매에 있어서, 보청기의 가격 및 고려해야할 점이 많은데 개인이 알아보고 자신에게 맞는 보청기 종류를 알아보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개인의 청력 및 사용환경에 따라 보청기의 종류가 다르므로 사용자별 맞춤형 보청기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실시예들은 보청기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으로 맞춤형 보청기를 추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보청기 추천 후 사용자의 후기 및 피드백을 통해 데이터를 학습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음 보청기 추천에 있어 더욱 사용자에게 맞는 보청기를 추천해주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에 있어서,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과 연결된 외부 단말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인공지는 기반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된 맞춤형 보청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보청기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지능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로 학습데이터로 적용하여 학습되며,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청력상태, 상기 사용자의 생활습관, 생활공간, 지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지능은 정보를 제공해주고 보청기를 사용한 후 상기 사용자의 후기, 피드백을 학습하여 데이터를 만들고 다음 보청기 추천에 있어 더욱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청기의 추천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보청기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 있어서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환경 분석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청기를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보청기 추천 후 사용자의 후기 및 피드백을 통해 데이터를 학습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음 보청기 추천에 있어 더욱 사용자에게 맞는 보청기를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AI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AI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보청기를 추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AI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 (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 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 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 말기(1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 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AI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에 따르면, AI 장치(20)는 AI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는 AI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또는 AI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I 장치(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MP)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으로 포함되어 AI 프로세싱 중 적어도 일부를 함께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AI 장치(20)는 AI 프로세싱 결과를 직접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이거나, AI 프로세싱 결과를 다른 기기에 제공하는 클라우드 환경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AI 장치(20)는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서, 서버,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AI 장치(20)는 AI 프로세서(21), 메모리(25) 및/또는 통신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AI 프로세서(21)는 메모리(2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다. 특히, AI 프로세서 (21)는 이동 단말기(MP)의 관련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MP)의 관련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신경망은 인간의 뇌 구조를 컴퓨터 상에서 모의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인간의 신경망의 뉴런(neuron)을 모의하는,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모드들은 뉴런이 시냅스(synapse)를 통해 신호를 주고받는 뉴런의 시냅틱 활동을 모의하도록 각각 연결 관계에 포함할 수 있다. 딥 러닝 모델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서로 다른 레이어에 위치하면서 컨볼루션(convolution) 연결 관계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의 예는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s), 합성곱 신경 망(CNN, 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Boltzmann Machine), 제한 볼츠만 머신(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심층 신뢰 신경망(DBN, deep belief networks),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와 같은 다양한 딥 러닝 기법들을 포함하며, 컴퓨터비젼, 음성인식, 자연어처리, 음성/신호처리 등의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메모리(25)는 AI 장치(2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5)는 비 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D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25)는 AI 프로세서(21)에 의해 액세스되며, AI 프로세서(21)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류/인식을 위한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신경망 모델(예를 들어, 딥 러닝 모델(26))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AI 프로세서(21)는 데이터 분류/인식을 위한 신경망을 학습하는 데이터 학습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22)는 데이터 분류/인식을 판단하기 위하여 어떤 학습 데이터를 이용할지,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어떻게 분류하고 인식할지에 관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22)는 학습에 이용될 학습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학습데이터를 딥러닝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딥러닝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22)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AI 장치(20)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22)는 인공지능(AI)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범용 프로세서(CPU)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AI 장치(20)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22)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22)는 학습 데이터 획득부(23) 및 모델 학습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 획득부(23)는 데이터를 분류하고 인식하기 위한 신경망 모델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모델 학습부(24)는 획득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 모델이 소정의 데이터를 어떻게 분류할지에 관한 판단 기준을 가지도록 학습할 수 있다. 이 때 모델 학습부(24)는 학습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판단 기준으로 이용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을 통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는 모델 학습부(24)는 지도 없이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스로 학습함으로써, 판단 기준을 발견하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통해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모델 학습부(24)는 학습에 따른 상황 판단의 결과가 올바른지에 대한 피드백을 이용하여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통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이 학습되면, 모델 학습부(24)는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모델 학습부(24)는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AI 장치(2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보청기를 추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과 연결된 외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데이터를 획득(300)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310)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을 하여(320) 사용자에게 맞는 보청기를 판단(330
)하고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정기를 추천(340)하는 순서로 진행이 된다.
사용자가 시스템에 자신의 정보(나이, 청력 상태, 성별, 생활습관)등을 입력하면 인공지능이 기존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보청기를 판단하여 추천을 하게 된다.
또한, 추천을 하고 사용자의 후기 및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이 학습을 하여 데이터를 만들고 다음 보청기 추천에 있어 더욱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청기를 추천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401)는 프로세서(402) 및 메모리(403)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401)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403)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03)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402)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40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02)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403)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401)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에 있어서,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과 연결된 외부 단말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인공지는 기반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된 맞춤형 보청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보청기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로 학습데이터로 적용하여 학습되며,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청력상태, 상기 사용자의 생활습관, 생활공간, 지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은 정보를 제공해주고 보청기를 사용한 후 상기 사용자의 후기, 피드백을 학습하여 데이터를 만들고 다음 보청기 추천에 있어 더욱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청기를 추천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30000102A 2023-01-02 2023-01-02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Pending KR20240108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102A KR20240108620A (ko) 2023-01-02 2023-01-02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102A KR20240108620A (ko) 2023-01-02 2023-01-02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8620A true KR20240108620A (ko) 2024-07-09

Family

ID=9194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102A Pending KR20240108620A (ko) 2023-01-02 2023-01-02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086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6925B2 (en) Neural network recogntion and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JP7691334B2 (ja) オンデバイスでの活動認識
WO2022016556A1 (zh) 一种神经网络蒸馏方法以及装置
Raj et al. An improved human activity recognition technique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S1127056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474246B1 (ko) 복수 개의 전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신경망 모델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0473526A (zh) 对语音识别模型进行个性化的装置和方法及电子装置
US20210023331A1 (en) Computer architecture for identifying sleep stages
CN111191136A (zh) 一种信息推荐方法以及相关设备
KR20190096876A (ko) 음성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비 지도 가중치 적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기록 매체
KR102756879B1 (ko) 생체 정보의 위조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2574021B1 (ko)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영상 데이터 히스토리로부터 추출된 개인화된 이미지 기반으로 반응형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haled et al. Intelligent system for human activity recognition in IoT environment
KR102494380B1 (ko) 기저귀 대변 이미지를 활용한 아기 건강 진단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Zhao et al. A Spatio‐Temporal Siamese Neural Network for Multimodal Handwriting Abnormality Screening of Parkinson’s Disease
KR102206181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088346A1 (en) Sleep inducing device
Bodhe et al. Outdoor activity classification using smartphone based inertial sensor measurements
Sood et al. Classification of Parkinson’s disease using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11468270B2 (en) Electronic device and feedback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therefor
Xiao et al. A hybrid deep approach to recognizing student activity and monitoring health physique based on accelerometer data from smartphones
Chen et al. Tactile-GAT: tactile graph attention networks for robot tactile perception classification
Rincon et al. Using emo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uman-agent societies
KR20240108620A (ko) 인공지능 기반으로 지속적인 보청기 관리를 통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및 사용 환경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보청기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947460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