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4664A -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4664A KR20240104664A KR1020220187132A KR20220187132A KR20240104664A KR 20240104664 A KR20240104664 A KR 20240104664A KR 1020220187132 A KR1020220187132 A KR 1020220187132A KR 20220187132 A KR20220187132 A KR 20220187132A KR 20240104664 A KR20240104664 A KR 202401046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exercise
- movement
- skeleton
- calculation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claims 1
- 238000011158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66 I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25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77 unit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06T5/30—Erosion or dilatation, e.g. thi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36—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20044—Skeletonization; Medial axis transfo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21—Sports video; Sports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일례로, 깊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스켈레톤 데이터를 획득하고, RGB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스켈레톤 데이터에 포함된 스켈레톤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스켈레톤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이 설정된 좌표계 상에서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좌표범위를 갖는 오브젝트를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부; 상기 데이터 획득부로부터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을 추적하고, 추적되는 기준점 좌표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물리 데이터를 산출하는 데이터 산출부; 및 상기 오브젝트의 좌표범위와 상기 기준점 좌표값 간의 비교결과, 및 상기 물리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 간의 비교결과에 따른 운동평가결과를 제공하는 운동평가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켈레톤 정보를 가시화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켈레톤 좌표 변환 과정 중 모델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켈레톤 좌표 변환 과정 중 뷰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켈레톤 기준점과 가상의 오브젝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운동(움직임)에 대한 예시와 그에 따른 스켈레톤 기준점 및 가상의 오브젝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평가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00: 데이터 획득부
110: 깊이 카메라
120: RGB 카메라
200: 데이터 설정부
A: 스켈레톤 기준점
B: 오브젝트
300: 데이터 산출부
301: 움직임 거리 데이터 산출부
302: 움직임 방향 데이터 산출부
303: 움직임 시간 데이터 산출부
304: 움직임 속도 데이터 산출부
305: 움직임 범위 데이터 산출부
306: 움직임 경로 데이터 산출부
400: 운동평가정보 제공부
401: 제1 운동점수 산출부
402: 제2 운동점수 산출부
403: 제3 운동점수 산출부
404: 제4 운동점수 산출부
405: 제5 운동점수 산출부
406: 제6 운동점수 산출부
407: 제7 운동점수 산출부
408: 좌우 운동평가점수 산출부
409: 상하 운동평가점수 산출부
410: 운동종합평가정보 산출부
500: 영상 출력부
600: 움직임 안내정보 제공부
Claims (6)
- 깊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스켈레톤 데이터를 획득하고, RGB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스켈레톤 데이터에 포함된 스켈레톤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스켈레톤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이 설정된 좌표계 상에서 고정된 좌표범위를 갖는 오브젝트를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부;
상기 데이터 획득부로부터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을 추적하고, 추적되는 기준점 좌표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물리 데이터를 산출하는 데이터 산출부; 및
상기 오브젝트의 좌표범위와 상기 기준점 좌표값 간의 비교결과, 및 상기 물리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 간의 비교결과에 따른 운동평가결과를 제공하는 운동평가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화면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되는 영상,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과 상기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운동 진행 중에 그래픽, 음성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운동 종류에 따른 움직임 안내정보를 상기 영상 출력부로 제공하는 움직임 안내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설정부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좌표 변환을 수행하고, 3차원 좌표계 상에서 3차원 좌표 변환된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과 함께 배치하거나,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에 대한 2차원 좌표 변환을 수행하고, 2차원 좌표계 상에서 2차원 좌표 변환된 스켈레톤 기준점을 상기 오브젝트와 함께 배치하고,
인식객체와 상기 깊이 카메라 간의 거리 및 해당 거리에 따라 화면 상에서 해당 인식객체가 차지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좌표 간 거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산출부는,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에 대하여 추출된 좌표값 중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가장 먼 지점과, 상기 오브젝트의 좌표범위에 속하게 되는 지점 또는 상기 오브젝트와 가장 가까운 지점 간의 좌표 개수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 개수에 따라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의 움직임 거리 데이터를 각각 산출하는 움직임 거리 데이터 산출부;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의 이동에 따른 좌표값의 추출 순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의 움직임 방향 데이터를 각각 산출하는 움직임 방향 데이터 산출부;
상기 움직임 거리 데이터가 각각 산출되는 시간을 움직임 시간 데이터로 각각 산출하는 움직임 시간 데이터 산출부;
상기 움직임 거리 데이터와 상기 움직임 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의 움직임 속도 데이터를 각각 산출하는 움직임 속도 데이터 산출부;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의 이동에 따라 추출된 다수의 좌표값을 연결하여 움직임 범위 데이터를 산출하는 움직임 범위 데이터 산출부; 및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의 이동에 따라 추출된 다수의 좌표값을 연결하되, 각 좌표값의 추출 순서에 따라 움직임 경로 데이터를 산출하는 움직임 경로 데이터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평가정보 제공부는,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의 이동에 따라 추출된 좌표값 중에서, 상기 움직임 방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켈레톤 기준점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지점에 해당하는 좌표값이 상기 오브젝트의 좌표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와 포함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포함횟수에 따라 제1 운동점수를 각각 산출하는 제1 운동점수 산출부;
상기 움직임 거리 데이터와 기 설정된 움직임 기준 거리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제2 운동점수를 각각 산출하는 제2 운동점수 산출부;
상기 움직임 방향 데이터와 기 설정된 움직임 기준 방향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제3 운동점수를 각각 산출하는 제3 운동점수 산출부;
상기 움직임 시간 데이터와 기 설정된 움직임 기준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제4 운동점수를 각각 산출하는 제4 운동점수 산출부;
상기 움직임 속도 데이터와 기 설정된 움직임 기준 속도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제5 운동점수를 각각 산출하는 제5 운동점수 산출부;
상기 움직임 범위 데이터와 기 설정된 움직임 기준 범위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제6 운동점수를 각각 산출하는 제6 운동점수 산출부;
상기 움직임 경로 데이터와 기 설정된 움직임 기준 경로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제7 운동점수를 각각 산출하는 제7 운동점수 산출부;
좌우 움직임이 있는 운동을 진행하는 경우, 좌우 움직임에 대한 물리 데이터 간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결과와 기 설정된 기준 좌우 움직임 오차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좌우 운동평가점수를 각각 산출하는 좌우 운동평가점수 산출부;
상하 움직임이 있는 운동을 진행하는 경우, 상기 움직임에 대한 물리 데이터 간을 서로 비교하고, 비교결과와 기 설정된 기준 상하 움직임 오차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상하 운동평가점수를 각각 산출하는 상하 운동평가점수 산출부; 및
상기 제1 운동점수, 상기 제2 운동점수, 상기 제3 운동점수, 상기 제4 운동점수, 상기 제5 운동점수, 상기 제6 운동점수 및 상기 제7 운동점수를 가중 평균하여 종합평가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종합평가점수에 따른 운동종합평가결과를 산출하거나, 상기 좌우 운동평가점수 및 상기 상하 운동평가점수를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운동종합평가결과를 산출하는 운동종합평가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7132A KR102685401B1 (ko) | 2022-12-28 | 2022-12-28 |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7132A KR102685401B1 (ko) | 2022-12-28 | 2022-12-28 |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4664A true KR20240104664A (ko) | 2024-07-05 |
KR102685401B1 KR102685401B1 (ko) | 2024-07-17 |
Family
ID=9194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7132A Active KR102685401B1 (ko) | 2022-12-28 | 2022-12-28 |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5401B1 (ko)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1379A (ko) * | 2015-04-09 | 2016-10-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골프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 |
KR20170010157A (ko) | 2015-07-15 | 2017-01-26 | (주)블루클라우드 | 인터랙티브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운동동작 유도 방법 및 그 장치 |
KR20170106737A (ko) * | 2016-03-14 | 2017-09-22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방향 인식을 이용한 태권도 동작 평가 장치 및 방법 |
KR20180130834A (ko) * | 2017-05-30 | 2018-12-10 | (주)유인케어 | 운동 치료를 위한 동작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
KR101970687B1 (ko) | 2018-04-11 | 2019-04-19 | 주식회사 큐랩 | 개인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피트니스 코칭 시스템 |
KR102003801B1 (ko) * | 2019-01-24 | 2019-07-26 | 정재훈 | 스마트 프리웨이트 트레이닝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KR20190113265A (ko) * | 2018-03-28 | 2019-10-08 | 주식회사 스탠스 | 헬스케어를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
KR20200115729A (ko) * | 2019-03-17 | 2020-10-08 | 이상국 | 골프 동작 분석 방법 및 장치 |
KR102294261B1 (ko) * | 2020-12-22 | 2021-08-26 | 정재훈 | 근력 운동의 코칭을 위한 운동 동작 평가 시스템 |
KR102320960B1 (ko) | 2021-05-03 | 2021-11-02 | 이다인 | 사용자 신체 맞춤형 홈 트레이닝 동작 안내 및 교정 시스템 |
KR20220120731A (ko) * | 2021-02-22 | 2022-08-31 | 허명현 | 거울형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어포던스 헬스케어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
-
2022
- 2022-12-28 KR KR1020220187132A patent/KR10268540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1379A (ko) * | 2015-04-09 | 2016-10-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골프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 |
KR20170010157A (ko) | 2015-07-15 | 2017-01-26 | (주)블루클라우드 | 인터랙티브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운동동작 유도 방법 및 그 장치 |
KR20170106737A (ko) * | 2016-03-14 | 2017-09-22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방향 인식을 이용한 태권도 동작 평가 장치 및 방법 |
KR20180130834A (ko) * | 2017-05-30 | 2018-12-10 | (주)유인케어 | 운동 치료를 위한 동작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
KR20190113265A (ko) * | 2018-03-28 | 2019-10-08 | 주식회사 스탠스 | 헬스케어를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
KR101970687B1 (ko) | 2018-04-11 | 2019-04-19 | 주식회사 큐랩 | 개인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피트니스 코칭 시스템 |
KR102003801B1 (ko) * | 2019-01-24 | 2019-07-26 | 정재훈 | 스마트 프리웨이트 트레이닝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KR20200115729A (ko) * | 2019-03-17 | 2020-10-08 | 이상국 | 골프 동작 분석 방법 및 장치 |
KR102294261B1 (ko) * | 2020-12-22 | 2021-08-26 | 정재훈 | 근력 운동의 코칭을 위한 운동 동작 평가 시스템 |
KR20220120731A (ko) * | 2021-02-22 | 2022-08-31 | 허명현 | 거울형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어포던스 헬스케어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
KR102320960B1 (ko) | 2021-05-03 | 2021-11-02 | 이다인 | 사용자 신체 맞춤형 홈 트레이닝 동작 안내 및 교정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5401B1 (ko) | 2024-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74443B2 (en) | Visual target tracking using model fitting and exemplar | |
US8577084B2 (en) | Visual target tracking | |
US9842405B2 (en) | Visual target tracking | |
US8565476B2 (en) | Visual target tracking | |
CA2858398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pose | |
US8577085B2 (en) | Visual target tracking | |
KR102125748B1 (ko) | 4d 아바타를 이용한 동작가이드장치 및 방법 | |
US20100197391A1 (en) | Visual target tracking | |
US8565477B2 (en) | Visual target tracking | |
EP2391988A2 (en) | Visual target tracking | |
KR20160121379A (ko) | 골프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 | |
WO2017161734A1 (zh) | 通过电视和体感配件矫正人体动作及系统 | |
JP2016101229A (ja) | 歩行解析システムおよび歩行解析プログラム | |
US20130069939A1 (en) | Characte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otskate cleanup in real time animation | |
CN106504283A (zh) | 信息播放方法、装置及系统 | |
JP2022027395A (ja) | 姿勢推定学習システム、姿勢推定学習方法及び機械学習用データの作成プログラム | |
KR20220120731A (ko) | 거울형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어포던스 헬스케어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 |
WO2018207388A1 (ja) | モーションキャプチャに関するプログラム、装置および方法 | |
JP2010238134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KR102685401B1 (ko) |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 매칭을 통한 사용자 운동 평가 장치 | |
JP7482471B2 (ja) | 学習モデルの生成方法 | |
JP2023003929A (ja) | 骨格認識方法、骨格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体操採点支援システム | |
Diller et al. | Automatic Viewpoint Selection for Interactive Motor Feedback Using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 |
KR20240104665A (ko) | 스켈레톤 정보와 가상 오브젝트 간의 매칭 및 사용자 신체정보에 따른 적응적 운동 평가 장치 | |
US20250131655A1 (en) | Method, apparatus, device, medium and program for displaying a virtual charac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2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0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