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9726A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9726A
KR20240099726A KR1020220181506A KR20220181506A KR20240099726A KR 20240099726 A KR20240099726 A KR 20240099726A KR 1020220181506 A KR1020220181506 A KR 1020220181506A KR 20220181506 A KR20220181506 A KR 20220181506A KR 20240099726 A KR20240099726 A KR 20240099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mage sensor
camera module
disposed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9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9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홀더; 캐비티를 갖는 회로 기판; 상기 캐비티 내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외곽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의 저면은 상기 제2 영역의 상면과 어긋나는 카메라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A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초소형, 저전력 소모를 위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사용된 보이스 코일 모터(VCM:Voice Coil Motor)의 기술을 적용하기 곤란하여, 이와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사용 도중에 빈번하게 카메라 모듈이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나아가, 소형화가 구현되고 이미지 센서의 성능이 발달함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한 방열성의 개선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새로운 구조의 보강 플레이트를 가져 방열 성능이 우수하여 신뢰성이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강 플레이트의 형상을 통해 회로 기판 및 이미지 센서와의 결합력이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홀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외곽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는 캐비티를 갖는 회로 기판; 및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의 저면은 상기 제2 영역의 상면과 다른 높이를 갖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하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3 홈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홈의 저면은 상기 제2 영역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1 홈과 광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합부재의 두께는 상기 돌출부의 두께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합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1 접합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하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합부재는 상기 제1 접합부재와 수평 방향으로 어긋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홈 및 상기 복수의 제2 홈은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3 홈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기판은 상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4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로 기판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는 상기 이미지 센서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제2 영역의 두께와 비가 1:2 내지 1: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구조의 보강 플레이트를 가져 방열 성능이 우수하여 신뢰성이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강 플레이트의 형상을 통해 회로 기판 및 이미지 센서와의 결합력이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AA’로 절단하여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K1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 회로 기판, 제1 접합부재 및 이미지 센서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 회로 기판, 제1 접합부재 및 이미지 센서에 대한 BB’로 절단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대한 변형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보강 플레이트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보강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와 실험예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 회로 기판, 제1 접합부재 및 이미지 센서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도면이고,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 회로 기판, 제1 접합부재 및 이미지 센서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도면이고,
도 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 회로 기판, 제1 접합부재 및 이미지 센서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도면이고,
도 16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AA’로 절단하여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K1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또는 렌즈 배럴(110),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 필터(140), 홀더(holder, 150), 회로 기판(160), 보강 플레이트(170), 및 이미지 센서(IS)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은 "촬상기", "촬영기", “촬영 장치”, “촬상 장치” 등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고, 홀더(150)는 베이스 부재, 센서 베이스(sensor base)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제1 접합부재(BM1)와 제2 접합부재(B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부재(BM1)는 이미지 센서(IS)와 보강 플레이트(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합부재(BM2)는 회로 기판(160)과 보강 플레이트(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홀더(150) 상에 배치되는 제3 접합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필터(140) 상에 배치되는 차단 부재(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모션 센서(motion senso), 제어부(미도시됨), 및 커넥터(CN)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S)로부터 수신한 신호, 각 코일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 렌즈의 위치 신호 및 이미지 센서의 위치 신호 등이 커넥터(CN)를 통해 전자 장치 내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로 송수신될 수 있다.
렌즈 또는 렌즈 배럴(lens barrel, 110)은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의 보빈(121)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또는 렌즈 배럴(lens barrel, 110)은 보빈(12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는 렌즈 또는 렌즈 배럴(110)을 구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 또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F용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OIS용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 기능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는 AF용 렌즈 구동 장치이거나 또는 OIS용 렌즈 구동 장치일 수 있으며, 여기서 "AF용" 및 "OIS용"의 의미는 AF용 카메라 모듈 및 OIS용 카메라 모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100)의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는 AF용 렌즈 구동 장치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는 하우징(124), 하우징(124) 내에 배치되고 렌즈 또는 렌즈 배럴(110)을 장착하기 위한 보빈(121), 보빈(121)에 배치되는 제1 코일(122), 하우징(124)에 배치되고 제1 코일(122)과 대향하는 마그넷(123), 보빈(121)의 상부와 하우징(124)의 상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탄성 부재(미도시), 보빈(121)의 하부와 하우징(124)의 하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탄성 부재(미도시), 보빈(121)(또는/및 하우징(124))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코일(125), 제2 코일(125) 아래에 배치되는 어셈블리 기판(126), 및 어셈블리 기판(126)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12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IS 또는 AF를 위해 각 코일과 각 마그넷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코일 및 마그넷은 OIS 및 AF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나아가, 코일과 마그넷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나아가, 코일 및 마그넷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부/고정부에 위치할 수 있다. OIS 또는 AF를 위한 이동 대상에 결합된 대상에 따라 이동부 또는 고정부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는 상술한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의 구성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커버 부재(CV)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는 어셈블리 기판(126)과 상부 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는 하우징(124)을 베이스(127)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22)과 제2 코일(125) 각각은 어셈블리 기판(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어셈블리 기판(126)으로부터 구동 신호(구동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어셈블리 기판(126) 이외에 와이어나, 스프링 등을 통해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 탄성 부재는 복수의 상부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 부재는 상부 스프링들과 연결되는 지지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스프링들 및 지지 부재를 통하여 제1 코일(122)은 어셈블리 기판(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어셈블리 기판(126)은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는 제1 코일(122) 및/또는 제2 코일(125)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122)과 마그넷(123)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빈(121) 및 이에 결합된 렌즈 또는 렌즈 배럴(110)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빈(121)의 광축 방향으로의 변위가 제어됨으로써, AF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광축 방향은 도면 상으로 'X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수평 방향은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수평 방향은 도면 상 'Y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125)과 마그넷(123)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하우징(124)이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떨림 보정 또는 OIS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AF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는 보빈(121)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넷(sensing magnet, 미도시), 및 하우징(124)에 배치되는 AF 위치 센서(예컨대, 홀 센서(hall senso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는 하우징 또는/및 베이스에 배치되고 AF 위치 센서가 배치 또는 장착되는 회로 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AF 위치 센서가 보빈에 배치되고, 센싱 마그넷이 하우징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는 센싱 마그넷에 대응하여 보빈(121)에 배치되는 밸런싱 마그넷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F 위치 센서는 보빈(121)의 이동에 따른 센싱 마그넷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부 탄성 부재(또는 하부 탄성 부재) 또는/및 지지 부재를 통하여, AF 위치 센서는 어셈블리 기판(1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어셈블리 기판(126)은 AF 위치 센서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AF 위치 센서의 출력은 어셈블리 기판(126)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는 AF용 렌즈 구동 장치일 수도 있으며, AF용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빈,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넷(magnet), 보빈과 하우징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보빈(또는/및 하우징)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는 상술한 상부 탄성 부재 및 하부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에는 구동 신호(예컨대, 구동 전류)가 제공될 수 있고, 코일과 마그넷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코일은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고, 마그넷은 보빈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2의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 대신에 렌즈 또는 렌즈 배럴(110)과 결합되고, 렌즈 또는 렌즈 배럴(110)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하우징은 홀더(150)의 상면에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150)에 부착 또는 고정된 하우징은 이동되지 않을 수 있고, 홀더(150)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이하 도 14 및 도 15에서 설명한다.
어셈블리 기판은 코일과 AF 위치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어셈블리 기판을 통하여 코일 및 AF 위치 센서 각각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고, AF 위치 센서의 출력이 회로 기판으로 전송될 수 있다.
홀더(150)는 렌즈 배럴(110) 하부에 배치되고 필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140)가 홀더(150)와 결합할 수 있다. 홀더(150)는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의 베이스(127)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40)는 홀더(150)에 장착될 수 있다. 홀더(150)는 필터(140)가 안착되는 안착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140)는 홀더(150)의 안착부(15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40)는 렌즈 배럴(110)을 통과하는 광에서의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이미지 센서(IS)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140)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필터(140)는 광축(OA)과 수직한 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접합부재(130)는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의 베이스(127)를 홀더(150)에 결합 또는 부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3 접합부재(130)는 베이스(127)의 하면과 홀더(15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양자를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제3 접합부재(130)는 상술한 접착 역할 외에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3 접합부재(130)는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일 수 있다.
홀더(150)의 안착부(151)는 홀더(15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안착부는 홀더(15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홈(recess), 캐비티(cavity), 또는 홀(hole) 형태일 수도 있다. 필터(140)는 UV 에폭시 등과 같은 접합부재(미도시)에 의하여 홀더(150)의 안착부(151)에 부착될 수 있다.
안착부(151)의 돌출 구조는 렌즈 또는 렌즈 배럴(110)의 하단이 필터(140)(또는/및 차단 부재(미도시됨))와 접촉 또는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돌출 구조는 필터(140)의 측면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 구조는 필터(140)의 측면을 감싸도록 필터(140)의 측면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 구조의 내측면은 필터(140)의 측면과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양자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는 필터(140)를 홀더(150)의 안착부(151) 내측에 용이하게 실장하기 위한 가공 공차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돌출 구조의 상면은 필터(140)의 상면보다 광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렌즈 또는 렌즈 배럴(110)이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에 장착되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필터(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렌즈 또는 렌즈 배럴(110)의 하단이 필터(140)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측에서 바라본 돌출 구조의 형상은 필터(140)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돌출 구조의 형상은 필터(140)의 형상과 유사하거나 다를 수도 있다.
홀더(150)는 필터(140)가 실장 또는 배치되는 부위에 필터(14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IS)에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개구는 홀더(150)를 광축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으며, "관통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개구는 홀더(150)의 중앙을 관통할 수 있으며, 안착부(151) 내에 마련될 수 있고, 개구의 면적은 필터(14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홀더(150)는 회로 기판(160) 상에 배치되며, 내부에 필터(140)를 수용할 수 있다. 홀더(150)는 상측에 위치하는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를 지지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의 베이스(127)의 하면은 홀더(15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의 베이스(127)의 하면은 홀더(150)의 상면에 접할 수 있고, 홀더(15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홀더(150)의 하부에 배치되고, 홀더(150)는 회로 기판(16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는 이미지 센서(IS)보다 클 수 있다. 이에, 회로 기판(160)과 이미지 센서(IS)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160)의 전기적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과 같은 접합부재에 의하여 홀더(150)는 회로 기판(160)의 상면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접합부재는 홀더(150)의 하면과 회로 기판(16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홀더(150)의 개구에 대응하는 캐비티(CA)를 구비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의 캐비티(CA)는 광축 방향으로 회로 기판(160)을 관통하는 관통홀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렌즈 배럴(110)을 통과한 광이 필터(140), 홀더(150)를 지나 이미지 센서(IS)로 제공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의 캐비티(CA) 내에는 이미지 센서(IS)가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S)는 렌즈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IS)의 광축과 렌즈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IS)는 이미지 센서(IS)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전기적 신호가 이미지 신호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IS)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160)은 경성 회로 기판, 연성 회로 기판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160)은 복수 개의 층 또는 기판(161, 162, 1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층(161, 162, 163)은 연성회로기판 또는 경성회로기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층(161, 162, 163)은 일부 제거되고, 노출된 영역에 단자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는 회로 기판(160)의 아래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160)의 캐비티(CA, 도 5참조)에 대응하고 이미지 센서(IS)가 실장되기 위한 돌출부(170P)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70P)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 플레이트(170)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스킹을 수행한 뒤 나머지 영역의 에칭(etching)을 수행함으로써 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는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S1)은 회로 기판(160)의 캐비티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영역(S1)은 이미지 센서(IS)와 광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영역(S2)은 제1 영역(S1)의 외측 또는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2 영역(S2)은 보강 플레이트(170)에서 제1 영역(S1) 이외의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S2)은 회로 기판(160)과 광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영역(S1)은 이미지 센서(IS)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센서(IS)는 제1 영역(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S2)은 회로 기판(160)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160)은 제2 영역(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에서 제1 영역(S1)은 이미지 센서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170P)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70P)는 수평 방향으로 회로 기판(160) 또는 제1 접합부재(BM1)와 중첩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1 영역(S1)은 제2 영역(S2)을 기준으로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70P)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IS)는 돌출부(170P)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70P)는 보강 플레이트(170)의 상면의 일 영역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식 1]
여기서, Cth는 열용량이고, m는 질량[kg], ρ는 밀도[kg/m3]이고, Cp는 비열[J/kgK]이고, V는 부피이다. 식 1을 참조하면, 열용량은 질량에 영향을 받는 바, 돌출부(170P)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의 질량 또는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IS)로부터 발생한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특히, 돌출부(170P)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170)의 방열이 이미지 센서(IS)의 위치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S)는 돌출부(170P)의 상면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160)의 캐비티(CA, 도 5 참조)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0P)의 상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IS)는 와이어를 통하여 회로 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어는 이미지 센서(IS)의 단자(N1)와 회로 기판(160)의 단자(N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는 기설정된 두께와 경도를 갖는 판재형 부재일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는 이미지 센서(IS)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접촉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70)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보강 플레이트(17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 예컨대, SUS,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 플레이트(170)는 기계적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강 플레이트(170)는 글라스 에폭시, 플라스틱,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보강 플레이트(170)는 FR4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보강 플레이트(170)는 알루미나 또는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보강 플레이트(170)는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 열저항을 줄이고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한 열의 방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70)는 회로 기판(160)의 접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ESD(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로부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그라운드(Ground)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IS)는 필터(14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광이 포함하는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일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이미지 센서(IS)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각종 회로, 소자,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회로 기판(160)에는 이미지 센서, 및 각종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IS)는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필터(140)와 이미지 센서(IS)는 광축(OA) 방향 또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홀더(150)의 돌출부(170P)는 광축 방향으로 필터(140)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단 부재(미도시됨)는 필터(1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부재(미도시됨)는 "마스킹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부재(미도시됨)는 필터(140)의 상면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렌즈 또는 렌즈 배럴(110)을 통과하여 필터(140)의 가장 자리 영역을 향하여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필터(140)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부재(미도시됨)는 필터(140)의 상면에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140)는 광축 방향으로 보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차단 부재(미도시됨)는 필터(140)의 상면의 각 변을 따라 필터(140)에 대하여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단 부재(미도시됨)는 필터(140)의 상면의 각 변에서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부재(미도시됨)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부재(미도시됨)는 필터(140)에 도포되는 불투명한 재질의 접착성 물질로 구비되거나 또는 필터(140)에 부착되는 필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140)와 이미지 센서(IS)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차단 부재(미도시됨)는 광축 방향으로 회로 기판(160)에 배치된 단자(N2) 및/또는 와이어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와이어 및 단자(N1, N2)는 도전성 물질, 예컨대, 금, 은, 동, 동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도전성 물질은 광을 반사시키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필터(140)를 통과한 광은 회로 기판(160)의 단자(N2) 및 와이어에 의하여 반사될 수 있고, 이러한 반사광에 의하여 순간적인 번쩍임, 즉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플레어 현상은 이미지 센서(IS)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왜곡시키거나 이미지 화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차단 부재(미도시됨)는 광축 방향으로 단자(N2) 및/또는 와이어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렌즈 또는 렌즈 배럴(110) 통과한 광 중에서 회로 기판(160)의 단자(N2), 또는/및 와이어로 향하는 광을 차단하여 상술한 플레어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IS)에 결상되는 이미지가 왜곡되거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션 센서(미도시됨)는 회로 기판(160)에 실장 또는 배치되며, 회로 기판(160)에 마련되는 회로 패턴을 통하여 제어부(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션 센서(미도시됨)는 카메라 모듈(100)의 움직임에 의한 회전 각속도 정보를 출력한다. 모션 센서(미도시됨)는 2축 또는 3축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각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됨)는 회로 기판(160)에 실장 또는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160)은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의 어셈블리 기판(1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160)을 통하여 렌즈 구동 어셈블리(120)의 제1 코일(122), 및 제2 코일(125) 각각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고, AF 위치 센서(또는 OIS 위치 센서)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AF 위치 센서(또는 OIS 위치 센서)의 출력은 회로 기판(16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커넥터(CN)는 회로 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 회로 기판, 제1 접합부재 및 이미지 센서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 회로 기판, 제1 접합부재 및 이미지 센서에 대한 BB’로 절단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대한 변형예이다.
도 5 및 도 6을 더 살펴보면, 실시예에서 돌출부(170P)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홈(RS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제1 홈(RS1)에 대응하여 돌출부(170P)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복수의 돌기들 각각은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2 영역의 상면을 기준으로 광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홈(RS1)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170)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열저항이 줄어들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열방출(예, 대류/복사)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하면 등에 코팅(예, black coating)이 배치되어 방사율이 증가하여 복사에 의한 열방출이 개선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홈(RS1)은 라인, 격자 또는 줄무늬 형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접합부재(BM1)는 이미지 센서(IS)와 돌출부(170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합부재(BM1)는 복수의 돌기들의 상면과 이미지 센서(IS)의 하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재(BM1)는 복수의 제1 홈(RS1)에 배치되거나 또는 복수의 돌기들 사이의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제1 접합부재(BM)는 돌출부(170P) 및 이미지 센서(IS)와 광축 방향(X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접합부재(BM)는 복수의 제1 홈(RS1)과 광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홈(RS1)에 대응하여, 복수의 돌기들 각각은 라인 형태 또는 줄무늬(stripes)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물 형태, 도복수의 도트들(dot) 또는 복수의 아일랜드들 형태일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홈(RS1)의 높이(H3)는 돌출부(170P)의 높이(H1)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예로, 복수의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2 영역(S2)의 상면과 어긋날 수 있다. 제2 영역(S2)의 상면은 제2 접합부재(BM2)의 저면 또는 하면(BM2BS)에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2 접합부재(BM2)의 저면 또는 하면(BM2BS)과 어긋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2 접합부재(BM2)의 저면 또는 하면(BM2BS)과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2 영역의 상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복수의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2 영역의 상면 또는 제2 접합부재(BM2)의 하면(BM2BS)과 광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2 영역의 상면 또는 제2 접합부재(BM2)의 하면(BM2BS)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2 영역의 상면 또는 제2 접합부재(BM2)의 하면(BM2BS)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접합부재(BM2)는 회로 기판(160)과 제2 영역(S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합부재(BM2)의 두께(T4)는 돌출부(170P)의 두께 또는 높이(H1)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제2 접합부재(BM2)의 두께(T4)는 돌출부(170P)의 두께 또는 높이(H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2 접합부재(BM2)가 돌출부(170P)에 의해 내측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2 접합부재(BM2)의 두께(T4)는 돌출부(170P)의 두께 또는 높이(H1)보다 클 수 있다. 제2 접합부재(BM2)는 제1 접합부재(BM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S)의 하면(ISBS)과 돌출부(170P)의 상면(170US) 사이에는 제1 접합부재(BM1)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접합부재(BM1)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IS)는 돌출부(170P)의 상면(170US)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170P)의 상면은 보강 플레이트(170)의 상면(170US)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접합부재(BM1)는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접착 필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회로 기판(160)의 하면과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2 영역(S2)의 상면 사이에는 제2 접합부재(BM2)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접합부재(BM2)에 의하여 회로 기판(160)은 보강 플레이트(170)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합부재(BM2)는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접착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강 플레이트(170)에서 돌출부(170P)의 상면의 면적은 이미지 센서(IS)의 하면(ISBS)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또는 보강 플레이트(170)에서 제1 영역(S1)의 면적은 이미지 센서(IS)의 하면(ISBS)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IS)의 하면의 가장 자리는 돌출부(170P)의 상면(170US)의 가장 자리와 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센서(IS)의 하면의 가장 자리는 돌출부(170P)의 상면(170US)의 가장 자리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2 영역(S2)의 상면에서 돌출부(170P)의 상면(170US)까지의 제1 높이(H1)와 보강 플레이트(170)의 하면(170BS)에서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2 영역(S2)의 상면까지의 제2 높이(H2)의 비율(H1:H2)은 1:2 내지 1:10일 수 있다. 또는 돌출부(170P)의 두께(H1)는 제2 영역(S2)의 두께(H2)와 비가 1:2 내지 1:10일 수 있다.
상기 비(H1:H2)가 1:2 미만이거나 1:10초과인 경우 방열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나아가, 상기 비가 1:2 미만인 경우에는 보강 플레이트가 보강판으로서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워 회로 기판의 지지가 어렵거나 형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가 1:4이상으로 카메라 모듈의 방열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H2/H1)가 1: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강 플레이트 상의 돌출부의 높이 낮아 방열 효과가 적고 회로기판의 측면과 접합부재 간의 접촉이 존재하여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의 하면(170BS)을 기준으로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0P)의 상면(170US)의 높이(T1)는 보강 플레이트(170)에 배치된 회로 기판(160)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1 영역(S1)의 두께(T1)는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2 영역(S2)의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T1>T2).
T1>T2이므로,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0P)의 상면(170US)의 왜곡(warpage)이 억제될 수 있고, 돌출부(170P)의 상면(170US)의 평탄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시예는 돌출부(170P)의 상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IS)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광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2 영역(S2)은 일정한 두께를 가짐으로써,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의 전체 높이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IS)가 돌출부(170P)의 상면(170US)에 배치되기 때문에, 회로 기판(160)의 상면과 이미지 센서(IS)의 상면 사이의 높이 차이가 줄어들어 회로 기판(160)과 이미지 센서(IS) 간의 와이어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서엥 의하여, 와이어 본딩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0P)의 측면과 회로 기판의 개구의 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 또는 이격 공간(GAP)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영역(S1)에서 제1 홈(RS1)에 대응한 복수의 돌기 각각은 보강 플레이트(170)의 상면(170US)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S1)에서 제1 홈(RS1)에 대응한 복수의 돌기는 보강 플레이트(170)의 상면(170US)에서 렌즈 배럴 또는 필터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들 각각은 제1 홈(RS1)의 형태에 대응하여 라인 형태 또는 줄무늬(stripes)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돌기들의 일단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들의 타단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접합부재(BM1)는 제1 홈(RS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접합부재(BM1)는 제1 홈(RS1) 내에 채워질 수 있다. 제1 접합부재(BM1)는 이미지 센서(IS)의 하면과 돌출부(170P)의 상면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제1 접합부재(BM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퍼짐성을 가져, 다양한 형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제1 홈(RS1) 중 일부는 광축 방향으로 제1 접합부재(BM1)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접합부재(BM1)는 복수의 제1 홈(RS1) 중 일부에만 채워질 수도 있다.
즉, 일반적으로 보강 플레이트와 이미지 센서를 접착할 때, 접착제에는 압력이 가해지는데, 이러한 압력에 의하여 접착제가 보강 플레이트와 이미지 센서의 접착면 밖으로 오버플로우가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양자 간의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의 면적 또는 사이즈를 이미지 센서의 하면의 사이즈(또는 면적)보다 작게 하여, 접착제가 이미지 센서의 하면의 가장자리 안쪽으로 배치되도록할 경우에는 와이어 본딩시 이미지 센서의 평탄도가 틀어져서 와이어 본딩의 신뢰성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70)와 이미지 센서(IS)는 제1 접합부재(BM1)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는데, 보강 플레이트의 재질에 따라서 보강 플레이트와 이미지 센서 간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접착에 관한 신뢰성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돌출부(170P)의 상면에 제1 홈(RS1)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사이즈를 갖는 요철 또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제1 접합부재(BM1)와 보강 플레이트의 돌출부 간의 접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강 플레이트와 이미지 센서(IS)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요철의 볼록부는 돌기에 대응하고, 요철의 오목부는 제1 홈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IS)와 돌출부를 접착할 때, 제1 접합부재(BM1)에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요철의 볼록부 또는 돌기들에 의하여 접착제의 오버플로우가 억제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접착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가 접착제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의 오버플로우가 억제되므로, 제1 접합부재(BM1)의 가장 자리가 이미지 센서(IS)의 하면의 가장 자리까지 연장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이미지 센서와 회로 기판 간의 와이어 본딩시 와이어 본딩의 신뢰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접합부재(BM2)는 제1 접합부재(BM1)와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어긋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합부재(BM2)의 상면(BM2US)은 제1 접합부재(BM1)의 상면 또는 이미지 센서(IS)의 하면(ISBS)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합부재(BM1)의 상면은 이미지 센서(IS)의 하면(ISBS)과 접할 수 있다. 이에, 제1 접합부재(BM1)의 상면은 이미지 센서(IS)의 하면(ISBS)과 동일면이라 칭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접합부재(BM2)는 수평 방향으로 회로 기판(160)과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IS)도 수평 방향으로 회로 기판(160)과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도 7을 더 살펴보면, 변형예에 따르면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1 영역(S1)에서 제2 영역(S2)의 상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홈(RS1')의 길이 또는 두께(H3')가 돌출부(170P)의 높이(H1)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2 접합부재(BM2)와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제2 접합부재(BM2)의 하면(BM2BS)은 제1 홈(RS1')의 저면(RS1BS')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 접합부재(BM1')와 제1 영역(S1) 간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강 플레이트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보강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와 실험예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표 1에서는 보강 플레이트(170)에서 제1 영역의 높이 또는 제1 영역의 두께(T1)와 제2 영역(S2)의 높이 또는 두께(T2)의 변화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최대(Max) 온도를 나타낸다.
Case 제1 영역 높이(T1, H1+H2) 제2 영역 높이(T2, H2) Max 온도(°C)
A 0.2mm 0.2mm 81.7
B 0.25mm 0.15mm 74.1
C 0.2mm 0.15mm 90.5
D 0.25mm 0.2mm 66.0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영역의 높이 또는 제1 영역의 두께(T1)의 변화가 제2 영역(S2)의 높이 또는 두께(T2)의 변화 대비 카메라 모듈의 최대 온도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의 높이 또는 제1 영역의 두께(T1)의 변화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온도 변화(기울기)가 제2 영역(S2)의 높이 또는 두께(T2)의 변화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온도 변화(기울기)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의 온도 감소에 대하여, 제1 영역의 높이 또는 제1 영역의 두께(T1)의 변화가 제2 영역(S2)의 높이 또는 두께(T2)의 변화 대비 상관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영역의 높이 또는 제1 영역의 두께(T1)가 제2 영역(S2)의 높이 또는 두께(T2)보다 온도에 대해 주요 인자(변수)일 수 있다.
나아가, 동일한 제1 영역의 높이 또는 제1 영역의 두께(T1)에서는 상기 비(H1:H2)가 클수록 방열 효과가 우수하다. 즉, 해당 조건에서 제2 영역(S2)의 높이 또는 두께(T2)가 증가할수록 방열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Case A와 C & CASE B와 D).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 회로 기판, 제1 접합부재 및 이미지 센서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또는 렌즈 배럴, 렌즈 구동 어셈블리, 제1 접합부재, 제2 접합부재, 제3 접합부재, 필터, 홀더, 회로 기판, 보강 플레이트,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 상술한 내용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조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170)는 제1 영역(S1)에 배치된 돌출부(170P)가 복수의 제1 홈(RS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70P)는 제1 홈(RS1)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70)는 제2 영역(S2)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홈(RS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홈(RS2)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영역(S2)은 상면에 제2 홈(RS2)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하게 회로 기판(160)은 이미지 센서(IS)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160)은 이미지 센서(IS)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홈(RS2)은 제2 영역(S2)에 배치되어 보강 플레이트(170)와 회로 기판(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홈(RS2)은 적어도 일부가 회로 기판(160)과 이미지 센서(IS)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홈(RS2)은 제2 영역(S2)과 광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홈(RS2)의 일부는 회로 기판(160)과 이미지 센서(IS)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 공간(상술한 GAP에 대응)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 영역(S2) 상에서 회로 기판(160)과 보강 플레이트(17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보강 플레이트(170)의 열용량이 증가하고 열 방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홈(RS1) 및 복수의 제2 홈(RS2)은 보강 플레이트(17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홈(RS1)과 제2 홈(RS2)은 광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복수의 제1 홈(RS1)과 제2 홈(RS2)은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2 홈(RS2)의 저면(RS2BS)과 수평 방향으로 어긋날 수 있다. 또는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2 홈(RS2)의 저면(RS2BS)과 동일 면이 아닐 수 있다. 예컨대, 제1 홈(RS1)의 저면(RS1BS)은 제2 홈(RS2)의 저면(RS2BS)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홈(RS1)은 제2 홈(RS2)과 광축 방향으로 길이 또는 높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홈(RS1)과 제2 홈(RS2)은 동일한 에칭 공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마스킹을 돌출부(170P)가 형성된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에 각각 배치한 뒤, 에칭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 회로 기판, 제1 접합부재 및 이미지 센서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또는 렌즈 배럴, 렌즈 구동 어셈블리, 제1 접합부재, 제2 접합부재, 제3 접합부재, 필터, 홀더, 회로 기판, 보강 플레이트,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 상술한 내용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조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170)는 제1 영역(S1)에 배치된 돌출부(170P)가 복수의 제1 홈(RS1)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70P)는 제1 홈(RS1)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70)는 제2 영역(S2)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홈(RS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홈(RS2)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영역(S2)은 상면에 제2 홈(RS2)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170)는 하면(170BS)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 홈(RS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3 홈(RS3)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 홈(RS3)은 제2 홈(RS2)과 마찬가지로 제1 홈(RS1)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보강 플레이트(170)의 하면(170BS)은 복수의 제3 홈(RS3)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3 홈(RS3)은 제1 영역(S1) 및 제2 영역(S2)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홈(RS3)은 제1 영역(S1) 및 제2 영역(S2) 중 적어도 하나와 광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는 제3 홈(RS3)은 이미지 센서(IS)(또는 제1 접합부재) 또는 회로 기판(또는 제2 접합부재)와 광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3 홈(RS3)은 제1 영역(S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홈(RS3)은 제1 영역(S1) 및 제2 영역(S2)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홈(RS3)은 제2 영역(S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홈(RS3)에 위해, 보강 플레이트(170)의 열용량이 증가하고, 이미지 센서(IS)로부터 발생한 열이 보강 플레이트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 회로 기판, 제1 접합부재 및 이미지 센서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도면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또는 렌즈 배럴, 렌즈 구동 어셈블리, 제1 접합부재, 제2 접합부재, 제3 접합부재, 필터, 홀더, 회로 기판, 보강 플레이트,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 상술한 내용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조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2의 렌즈 구동 어셈블리 대신에 렌즈 또는 렌즈 배럴과 결합되고, 렌즈 또는 렌즈 배럴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하우징은 홀더의 상면에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에 부착 또는 고정된 하우징은 이동되지 않을 수 있고, 홀더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이 렌즈 시프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축 방향 또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 또는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 방지 기능(OIS) 또는 오토 포커싱(AF)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강 플레이트(170)는 이미지 센서(IS)와 연결되어 이미지 센서(IS)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보강 플레이트(170)와 이격된 고정 기판(F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기판(FB)은 보강 플레이트(17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보강 플레이트(170)의 하면(170BS)과 고정 기판(FB)의 상면이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판(FB)은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4 홈(RS4)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고정 기판(FB)의 상면은 코팅(예, black coating)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보강 플레이트(170)의 하면(170BS)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IS)에서 발생한 열의 방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A, 이하 "단말기"라 한다.)는 몸체(850), 무선 통신부(710), A/V 입력부(720), 센싱부(740), 입/출력부(750), 메모리부(760), 인터페이스부(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A)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몸체(850)는 바(bar)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r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몸체(8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850)는 프론트(front) 케이스(851)와 리어(rear) 케이스(85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단말기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10)는 단말기(200A)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A)와 단말기(200A)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1)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40)는 단말기(200A)의 개폐 상태, 단말기(200A)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200A)의 방위, 단말기(200A)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200A)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A)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부(750)는 단말기(200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2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 모듈(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752)은 호(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메모리부(760)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사진,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부(760)는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예컨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70)는 단말기(200A)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A)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부(7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780)는 단말기(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7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7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카메라 장치 또는 카메라 모듈은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또는 광학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또는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홀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외곽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되는 캐비티를 갖는 회로 기판; 및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의 저면은 상기 제2 영역의 상면과 다른 높이를 갖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하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3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의 저면은 상기 제2 영역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1 홈과 광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재의 두께는 상기 돌출부의 두께와 상이한 카메라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1 접합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하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재는 상기 제1 접합부재와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 영역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 및 상기 복수의 제2 홈은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홈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기판은 상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4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로 기판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상기 이미지 센서보다 큰 카메라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제2 영역의 두께와 비가 1:2 내지 1:10인 카메라 모듈.
KR1020220181506A 2022-12-22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40099726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9726A true KR20240099726A (ko) 2024-07-0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0356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US11706519B2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11665414B2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102508493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4009972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30040823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40099725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US20230300437A1 (en) Camera module
US12028594B2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US12032279B2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20230314663A1 (en) Protective sheet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20230371170A1 (en) Camera module
US20240064393A1 (en) Camera module
JP202450133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210018818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22005388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30000359A (ko) 회로기판,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30000354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10121785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3000034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3000035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20148002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40032353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