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7452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7452A
KR20240097452A KR1020220179508A KR20220179508A KR20240097452A KR 20240097452 A KR20240097452 A KR 20240097452A KR 1020220179508 A KR1020220179508 A KR 1020220179508A KR 20220179508 A KR20220179508 A KR 20220179508A KR 20240097452 A KR20240097452 A KR 20240097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etergent
output signal
dishwash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이민혁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3216108.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88969A1/en
Priority to US18/390,890 priority patent/US20240197139A1/en
Publication of KR2024009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7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9Metering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55Metering or indication of used products, e.g. type or quantity of detergent, rinse aid or salt; for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oduct concen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세제펌프의 롤러의 공전 횟수를 기초로 세제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전동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화에 무관하게 세제 공급량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세제펌프의 롤러의 공전 횟수를 기초로 세제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전동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화에 무관하게 세제 공급량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터브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세척을 위해 사용되는 세제는 세제공급장치를 통해서 터브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의 내부로 공급된 세제는 물과 혼합되어 세척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제공급장치는 세제를 저장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의 내부로 펌핑하는 세제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세척대상물의 총량 즉, 세척부하에 따라 적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적정량의 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세제펌프는 전동모터를 통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정량의 세제를 자동 공급하기 위해, 일정한 RPM으로 구동하는 전동모터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여 세제의 총 공급량을 제어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전동모터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전동모터에 공급되는 전력 등이 변경되면 이에 따라 전동모터의 RPM이 변경될 수 있어 세제 공급량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고점도 세제가 공급되거나 저점도 세제가 공급되는 등의 세제의 제형이 변경되는 상황에서는 전동모터의 RPM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세제 공급량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시간이 경과에 따라 세제펌프에 적용되는 튜브의 마모 또는 경화에 의해서 공급량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시간이 경과에 따라 전동모터의 출력샤프트와 롤러 사이의 마모가 발생하거나 마찰이 변경되면 롤러의 공전 횟수에 초기 대기 편차가 발생하여 세제 공급량이 변경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편, 적정량의 세제를 공급하기 위해 RPM 제어가 가능한 BLDC 전동모터를 적용하여 세제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전동모터의 RPM을 제어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전동모터의 RPM이 일정해도 세제 제형이 변경되면 세제의 점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롤러가 튜브를 밀어주는 부분의 마찰력이 변경되어 실제 롤러의 공전 횟수와 전동모터의 RPM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제 공급량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전술한 방식과 유사하게 시간 경과에 따라 튜브의 마모 또는 경화에 의해 세제 공급량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전동모터의 출력샤프트와 롤러 사이의 마찰이 변경되면 세제 공급량이 변경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특허공개공보 제2022-074442호(선행문헌 001)에는, 튜브펌프 방식의 세제펌프를 통해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세제펌프에 센서를 부착하여 셀렉터와 펌프 사이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여 세제의 공급경로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구조는, 전동모터의 회전수나 회전각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셀럭터와 펌프 사이의 상대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하도록 구성되나, 세제의 실제 공급량을 결정하는 롤러의 공전 횟수나 회전위치를 감지하거나 연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공급 세제량을 측정하거나 연산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구조는, 세제펌프에 대한 셀렉터 장치에 대한 로터의 상대위치감지를 위한 별도의 센서 구조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며, 전체적인 제조비용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국제특허공개공보 제2022-074442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롤러의 공전 횟수를 기초로 세제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전동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화에 무관하게 세제 공급량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의 제형에 따른 세제 공급량의 편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의 마모 또는 경화에 따른 세제 공급량의 편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모터의 출력샤프트와 롤러 사이의 마모 발생 또는 마찰 변경에 따른 세제 공급량의 편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4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에 자성체를 부착하고, 튜브펌프의 외부에 롤러위치감지센서를 단순 부착하도록 구성하여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5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및 상기 세척공간으로 제공될 세제를 저장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세척공간으로 공급하는 세제펌프를 구비하는 세제공급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상기 세척공간으로 안내하는 튜브; 상기 튜브를 가압하여, 회전축선 주위로 공전하면서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상기 세제를 이동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펌프모터; 및 상기 롤러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롤러의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롤러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에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는 상기 튜브를 가압하는 외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의 상기 회전축선방향의 양단부를 형성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에서 제2 단부에 더 근접해서 배치되고, 상기 롤러센서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에서 상기 제2 단부에 더 근접해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센서는, 상기 자성체로부터 방출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싱면을 구비하고, 상기 센싱면을 상기 자성체를 향해 평행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자성체가 공전하면서 상기 자성체가 지나는 영역과 상기 센싱면이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롤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모터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의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에서 상기 제1 단부에 더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모터와 상기 롤러센서는, 상기 롤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상기 회전축선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펌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신호의 변화부터 연산되는 상기 롤러의 공전 횟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제1 출력신호 또는 제2 출력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출력신호가 상기 제1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2 출력신호로의 변화, 또는 상기 제2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1 출력신호로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한 이후에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최초 변화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신호변화 횟수를 1회 증가시켜 갱신하고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를 저장하는 단계; 및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와 미리 설정된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출력신호는,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센서의 감지범위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신호는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센서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초 변화 상태는, 상기 제1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2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1 변화 상태, 또는 상기 제2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1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2 변화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변화 횟수는, 상기 롤러의 공전 횟수가 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는, 100회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출력신호를 추가로 재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와 미리 설정된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이 결정되면, 상기 펌프모터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동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의 변화에 무관하게 세제 공급량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제의 제형에 따른 세제 공급량의 편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튜브의 마모 또는 경화에 따른 세제 공급량의 편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동모터의 출력샤프트와 롤러 사이의 마모 발생 또는 마찰 변경에 따른 세제 공급량의 편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롤러에 자성체를 부착하고, 튜브펌프의 외부에 롤러위치감지센서를 단순 부착하도록 구성하여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a는 도어의 리어패널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후방사시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도 3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세제공급장치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와 전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세제펌프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후방 분해사시도 및 전방 분해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하우징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11b 및 11c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하우징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a에 도시된 하우징을 12-12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6에 도시된 하우징을 13-13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세제펌프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구성 중 캐리어와 복수의 롤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1 롤러를 길이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캐리어와 복수의 롤러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롤러의 횡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1 롤러가 롤러센서의 감지범위 내에 속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로부터 제1 롤러가 공전하여 롤러센서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한다.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터브(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세척조로 알려져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터브(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하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터브(20)의 내부에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은 각각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은 상부레일, 하부레일, 및 탑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을 터브(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도어(30)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리어패널은 도어(30)의 폐쇄시 터브(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풀-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리어패널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어(30)의 리어패널에는 세척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제가 저장되며, 세척 행정의 진행 시에 적정량의 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적정량의 세제는, 세척 부하 즉 세척대상물의 총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체의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3a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상면 외측에는 도어를 자동개방하기 위한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도어(30)의 후면 상단을 개방위치까지 회전이동시키는 푸쉬로드(352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의 내부의 세척공간으로 고온 또는 저온 건조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풍공급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는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883)와,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팬(825)과,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84)와,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며 건조풍 기류의 안내하는 기류가이드(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면에는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풍이 터브(20)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건조풍공급홀(254)이 구비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의 세부 구성]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세제공급장치(200)는 도어(30)에 배치되고 부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는 식기세척기(1)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패널(30a)과, 프런트패널(30a)과 결합되고 터브(20)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도어(3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패널(3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어(3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패널(30b)에 세제공급장치(2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패널(30b)의 하부에는 프런트패널(30a)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고, 리어패널(30b)의 상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패널(30b)의 상부는 상대적으로 상부와 비해서 후방을 향해 더 돌출 형성되는 후방 돌출면(30b1)을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200)의 내부에는 소정의 세제저장용량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세제공급장치(200)의 전후방향 폭은 상당히 크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세제공급장치(200)의 전후방향 폭을 고려하여, 세제공급장치(200)는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리어패널(30b)의 상부의 후방 돌출면(30b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세제공급장치(200)는 부분적으로 리어패널(30b)을 관통하여 도어(3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어패널(30b)의 후방 돌출면(30b1)에는 세제공급장치(200)가 부분적으로 통과하는 통공(30b2)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30b2)의 형상은 세제공급장치(200)의 외형에 대응하여 대략 사각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세제공급장치(200)의 후방부는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노출된 상태가 되며, 세제공급장치(200)의 전방부는 리어패널(30b)을 통과하여 도어(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제공급장치(200)의 전방부에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세제펌프(230), 롤러센서(2391) 등과 같은 전장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제공급장치(200)를 구성하는 전장품들이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0)의 내부에는 세제공급장치(200)의 전장품 이외에도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다수의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다. 이들이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도록, 세제공급장치(200)와 도어(30)의 리어패널(30b) 사이에는 누수방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0)는 도어(30)의 하단에 배치되는 힌지브라켓(37)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힌지브라켓(3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어(30)가 닫힐 때, 세제공급장치(200)는 세척공간(21)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제공급장치(200)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때, 후술할 세제컨테이너(280)의 내부의 저장된 세제는 중력에 따라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도어(30)가 열릴 때 세제공급장치(200)는 터브(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고, 풀개방 상태가 되면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30)를 개방하여 세제공급장치(200)를 수평방향으로 배열한 뒤에, 후술할 커버(220)를 열어 하우징(210)의 내부에 세제컨테이너(280)를 장착하거나 하우징(21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세제공급장치(20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에는 전술한 도어(30)가 닫힌 상태로서 세제공급장치(200)가 수직 배열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세제공급장치(200)가 수직 배열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세제공급장치(200)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세제공급장치(200)의 외장을 형성하고, 세제공급장치(200)를 구성하는 타 부품들을 수용하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우징(210)은 후면(210a)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박스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방된 후면(210a)을 통과하여 후술할 세제컨테이너(280)가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개방된 후면(210a)에는 후술하는 커버(2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220)에 의해서 후면(210a)이 폐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세제컨테이너(280)의 형상 및 세제컨테이너(280)의 세제저장용량을 고려하여 하우징(210)의 상부의 전후방향 폭은 하부의 전후방향 폭보다 훨씬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부보다 더 작은 전후방향 폭을 갖는 하우징(210)의 하부로서, 하우징(210)의 후면(210a) 외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세제펌프(230), 수위센서(240), 및 탈착감지센서(260)가 부착되고 지지될 수 있는 공간 및 지지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세제펌프(230), 수위센서(240), 및 탈착감지센서(260)의 설치 및 지지를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후면(210a) 하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다수의 지지리브(214)가 하우징(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리브(214)는 리어패널(30b)의 통공(30b2)을 통과하여 도어(30)의 내부에 매립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조립성을 고려하여 지지리브(214)는 하우징(210)의 양측면(210e, 210f) 및 하면(210d)을 넘어서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세제공급장치(200)는 단일 세제를 공급하거나 이종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일 세제 공급용 및 이종 세제 공급용에 대해서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은 대략적으로 좌우대칭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종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되는 경우에 좌우대칭 형상을 갖는 하우징(210)은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분할되어, 하우징(210)의 우측부는 제1 세제 공급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하우징(210)의 좌측부는 제2 세제 공급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도 4 이하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우징(210)을 제외한 다른 구성물들이 단일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이 단일 세제 공급용 세제공급장치(200)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200)가 수직 배열된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일부는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노출되고, 하우징(210)의 나머지 일부는 도어(30)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세제공급장치(200)는 도어(30)의 리어패널(30b)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가상의 기준선(L)을 중심으로 하우징(210)은 전후방향(F-R방향)을 따라 분할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상의 기준선(L)에 대해서 후방에 해당하는 하우징(210)의 부분은 세척공간(21)에 노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노출부(211)로 칭할 수 있고, 가상의 기준선(L)에 대해서 전방에 해당하는 하우징의 부분은 도어(30)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기 되기 때문에 매립부(212)로 칭할 수 있다.
이 때, 전후방향(F-R방향)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절단하면 노출부(211)의 단면적은 매립부(212)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부(211)와 매립부(212)의 경계에 해당하는 매립부(212)의 후단과 노출부(211)의 전단에는 소정의 단차면(213)이 형성될 수 있다.
단차면(213)은, 도어(30)의 리어패널(30b)에 대한 체결 시에 리어패널(30b)에 대한 접촉 면적 또는 결합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단차면(213)은 리어패널(30b)의 후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차면(213)의 상하좌우의 4개의 모서리에는 각각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제공급장치(200)의 전장품 및 다수의 전장품들이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도록, 세제공급장치(200)와 도어(30)의 리어패널(30b) 사이에는 누수방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누수방지 수단으로서, 단차면(213)과 도어(30)의 리어패널(30b) 사이에 개재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을 갖는 가스켓(27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270)은 단차면(213)에 결합되고, 단차면(21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가스켓(270)은 단차면(213)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커버(220)는 하우징(2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210)의 개방된 후면(210a)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도어(30)와 유사하게 커버(220)는 회동하면서 하우징(210)의 내부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본체(221)는 하우징(210)의 후면(210a)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버본체(221)의 하단은 하우징(2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커버본체(221)의 상단에는 하우징(210)에 대한 탈착가능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체결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부(222)는 커버본체(22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와, 레버에 일체로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우징(210)의 후면(210a)에 근접하여 상면(210c)에는 체결탭이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레버를 하우징(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 체결돌기와 걸림돌기 사이의 걸림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커버본체(221)에는 상하방향(U-D)을 따라 연장되며, 좌우방향 폭이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통공(223)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220)가 하우징(210)에 체결된 상태에서, 통공(223)은 후술하는 세제컨테이너(280)의 투명창(281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220)의 통공(223) 및 세제컨테이너(280)의 투명창(2813)을 통해서, 세제컨테이너(280)의 내부에 저장된 세제의 수위 및 잔량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세제공급장치(200)는 내부에 터브(20)의 세척공간(21)으로 공급될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컨테이너(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컨테이너(280)의 컨테이너본체(281)는 내부에 소정의 세제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컨테이너(280)는 하우징(2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전체적으로 수용되는 바, 컨테이너본체(281)의 하우징(210)의 내부 수용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본체(281)의 후면 중앙에는 세제보충을 위한 투입구(2811)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2811)에는 밀폐캡(283)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밀폐캡(283)을 투입구(2811)로부터 분리시켜 투입구(2811)를 개방시킬 수 있고, 투입구(2811)를 통해 세제를 보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2811)와 밀폐캡(283) 사이에는 세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밀폐링(284)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본체(281)의 후면 상단 측에는 컨테이너본체(281)의 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기구(2812)가 구비될 수 있다.
밀폐캡(283)에 의해서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 저장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통기구(2812)는 세제 공급이 진행되면서 내부 저장공간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는 현상을 보상하기 위한 용도를 갖는다.
다만, 통기구(2812)를 통해서 세제의 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통기구(2812)에는 공기밸브 또는 맴브레인 등과 같은 세제유출방지수단이 추가될 수 있다.
컨테이너본체(281)의 후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220)의 통공(223)에 대응하는 투명창(2813)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에 저장된 세제의 수위 및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창(2813)은 가시광선 투과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본체(281)의 전면 하단 측에는 세제배출구(2814)가 형성될 수 있다.
중력에 의해 세제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세제배출구(2814)는 컨테이너본체(281)의 최하단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컨테이너본체(281)의 전면의 좌우 측에 각각 세제배출구(2814)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느나, 이는 이종 세제공급용 세제컨테이너(280)로서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단일 세제공급용 세제컨테이너(28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좌측의 세제배출구(2814)는 폐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세제배출구(2814)에는 컨테이너밸브(282)가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밸브(282)는, 컨테이너본체(281)가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세제배출구(2814)를 폐쇄하고, 컨테이너밸브(282)가 하우징(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세제배출구(2814)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세제컨테이너(280)의 장착 시에 컨테이너밸브(282)가 결합되는 밸브결합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밸브(282)가 하우징(210)의 밸브결합부(215)에 결합되면, 결합과 동시에 컨테이너밸브(282)가 열리면서 세제배출구(2814)가 개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컨테이너밸브(282)는, 전방단부(2821a)와 후방단부(2821b)가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밸브본체(2821)와, 밸브본체(2821)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플러그(2822)와, 플러그(282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2821)는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세제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통로는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에 형성되는 개방부위와 후방단부(2821b)에 형성되는 개방부위까지 연통되어 있다.
밸브본체(2821)의 후방단부(2821b)는 컨테이너본체(281)의 세제배출구(2814)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본체(281)로부터 공급되는 세제는 밸브본체(2821)의 후방단부(2821b)의 개방부위를 통해 도입되고, 밸브본체(2821)의 내부 통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는 하우징(210)의 밸브결합부(215, 도 12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본체(2821)의 내부 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세제는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하우징(210)의 밸브결합부(215)로 공급될 수 있다,
플러그(2822)는, 밸브본체(2821)의 내부에 배치되고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러그(2822)는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2822)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서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2822)의 전방단부면에는 밸브본체(28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2822a)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접촉돌기(2822a)는 플러그(2822)의 전방단부면 및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보다 컨테이너본체(281)를 기준으로 더 멀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본체(281)가 하우징(210)에 장착될 시에 플러그(2822)의 접촉돌기(2822a)가 밸브결합부(215)의 단부면에 먼저 접촉하게 된다.
접촉돌기(2822a)와 밸브결합부(215)의 접촉에 의해서 플러그(2822)의 추가적인 이동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본체(281)가 하우징(210)에 대한 장착이 계속 진행되면, 플러그(2822)의 이동이 차단되는 상태에서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 측의 상대 이동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밸브본체(2821)의 플러그(2822)에 대한 상대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플러그(2822)와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고 유격이 점차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격 형성에 의해서 컨테이너밸브(282)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유격을 통해 세제가 컨테이너밸브(282)로부터 밸브결합부(215)로 유동할 수 있게 되고, 컨테이너본체(281)로부터의 세제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본체(281)가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되는 경우에 플러그(2822)의 접촉돌기(2822a)는 밸브결합부(215)의 단부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술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플러그(2822)와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의 개방부위 사이의 유격이 즉시 해제될 수 있고, 밸브본체(2821)는 다시 폐쇄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2821)의 외주면에는 컨테이너본체(281)의 세제배출구(2814)에 대한 삽입 깊이 및 삽입 위치 결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2821c)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2821)의 전방단부(2821a) 측에는 밸브결합부(215)의 내주면과 밸브본체(2821) 사이의 세제의 누설을 방지를 위한 밀폐링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컨테이너밸브(282)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이면 폐쇄 상태가 되고, 하우징(210)에 장착되면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 없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세제컨테이너(280)가 하우징(210)에 장착되거나 탈거되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탈착감지센서(260)가 하우징(210)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탈착감지센서(260)가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도록 하우징(210)의 매립부(212)에 배치되며,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전면(210b) 하부로서 좌측면에 근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탈착감지센서(260)는 자기력을 감지하는 홀센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컨테이너본체(281)에는 세제컨테이너(280)가 하우징(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탈착감지센서(26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자기력을 방출하는 자성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탈착감지센서(260)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탈착감지센서(260)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수신된 탈착감지센서(260)의 출력신호를 통해 세제컨테이너(280)가 하우징(210)에 장착된 상태인지,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에 저장되는 세제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위센서(240)가 하우징(210)에 부착될 수 있다.
탈착감지센서(260)와 마찬가지로 수위센서(240)는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도록 하우징(210)의 매립부(212)에 배치되며,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전면 하부로서 중앙 측에 부착될 수 있다.
탈착감지센서(260)와 유사하게, 수위센서(240)는 자기력을 감지하는 홀센서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에는 세제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U-D)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로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플로터에는 소정의 자기력을 방출하는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으며, 탈착감지센서(260)는 플로터의 자성체로부터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탈착감지센서(260)와 마찬가지로, 수위센서(240)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위센서(240)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수신된 수위센서(240)의 출력신호를 통해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에 저장된 세제의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세제공급장치(200)는 세제컨테이너(280)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20)의 세척공간(21)으로 제공하기 위한 세제펌프(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세제펌프(230)는, 세제 공급량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전동모터를 통해 구동되는 튜브펌프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튜브펌프는 내부에 세제 이동 통로가 구비되는 플렉서블 튜브를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통해 가압하여 세제를 밀어내면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펌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단일 세제 공급을 위한 단일 세제펌프(230)가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종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동일 스펙을 갖는 세제펌프(2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탈착감지센서(260) 및 수위센서(240)와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세제펌프(230)가 세척수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도록 세제펌프(230)는 하우징(210)의 매립부(212)에 배치되며, 예시적으로 하우징(2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리브(214)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세제펌프(230)에는 튜브(232)를 가압하여 세제를 이동시키는 롤러(233)의 위치를 감지하고, 롤러(233)의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롤러센서(2391)가 부착될 수 있다.
롤러센서(2391)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롤러센서(2391)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수신된 롤러센서(2391)의 출력신호를 통해 롤러(233)의 공전횟수를 연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세제 공급량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롤러센서(2391)를 이용한 세제공급량 판단방법에 관한 구성은 도 21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세제펌프의 세부 구성]
이하 도 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세제공급장치(200)에 구비되는 세제펌프(23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세제펌프(230)는, 롤러(233)와 튜브(232)를 수용하는 펌프케이스(231)와, 내부에 세제통로가 형성되는 튜브(232)와, 튜브(232)를 가압하여 세제를 이동시키는 롤러(233)와, 롤러(233)를 공전 및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234)와, 펌프케이스(231)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235)와. 일측면에 커버플레이트(235)가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36)와, 롤러(233)를 공전 및 자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터(2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펌프케이스(231)는, 후술하는 롤러(233) 및 튜브(232)를 내부에 수용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펌프케이스(231)는 롤러(233)의 회전축선(Xc) 방향의 제1 단부면(2311)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회전축선(Xc) 방향의 제2 단부면(2312)은 전체적으로 막힌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부면(2311)과 제2 단부면(2312) 사이에는 둘레면(23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면(2313)에는 튜브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슬롯(2313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튜브(232)는 펌프케이스(231)의 내부에서 C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를 위해, 펌프케이스(231)의 둘레면(2313)의 내부면의 일부는 반원통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둘레면(2313)의 내부면은 튜브(232)가 롤러(233)에 의해서 가압되는 동안 튜브(232)가 C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면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튜브(232)는, 전술한 세제컨테이너(280)로부터 공급되는 세제가 유동하는 세제통로서 기능한다.
또한, 튜브(232)의 내부 통로를 채우고 있는 세제가 롤러(233)에 의해 펌핑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233)의 외주면과 펌프케이스(231)의 둘레면(2313) 사이에서 끼인 상태로 튜브(232)가 가압되면 가압력에 의해서 내부 통로가 폐색되도록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고, 롤러(233)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튜브(232)는 본래의 형상으로 효과적으로 원복될 수 있다.
이 때, 롤러(233)는 공전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롤러(233)에 의해서 가압되는 튜브(232)의 위치가 롤러(233)의 공전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를 통해, 튜브(232)의 내부 통로를 채우고 있는 세제가 롤러(233)의 공전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튜브(232)는, 펌프케이스(231)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세제가 유입되는 인렛으로 작용하는 제1 단부(2321)와, 세제가 펌핑되어 배출되는 제2 단부(2322)는 펌프케이스(231)의 한 쌍의 슬롯(2313a)을 각각 통과하여 펌프케이스(231)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튜브(232)가 한 쌍의 슬롯(2313a)을 통과하는 부분은 한 쌍의 튜브클립(237)에 의해서 한 쌍의 슬롯(2313a)에 각각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인렛으로 작용하는 튜브(232)의 제1 단부(2321)는 세제컨테이너(280)의 세제배출구(2814) 측에 연결 및 연통되며, 아웃렛으로 작용하는 튜브(232)의 제2 단부(2322)는 세제를 펌핑된 세제를 터브(20)를 향해 최종적으로 배출시키는 토출구(218) 측에 연결 및 연통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218)는 하우징(210)의 노출부(2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10)의 개방된 후면(210a)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218)는 기준선(L)으로부터 최대한 터브(20)의 내부를 향해 최대한 멀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토출구(218)로부터 배출되는 세제는 터브(20)의 하면(25)을 향해 중력에 의해서 자유낙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출구(218)는 하우징의 개방된 후면(210b)의 아래로서 하우징(210)의 하면(210d)보다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단차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20)가 하우징(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토출구(218)는 커버(220)에 의해서 가려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토출구(218)는 하우징(210)의 하면(210d)보다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커버(220)에 의해서 가려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기세척기(1)의 행정 진행 중에 비산하는 세척수가 직접 토출구(218)에 도달하거나, 토출구(218)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토출구(218)는 커버(220)에 의해서 가려진 상태가 되나, 토출구(218)로부터 배출되는 세제가 중력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20)의 하단(2211)에는 노치 형태의 홈부(221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세제가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커버(220)의 하단에 형성되는 홈부(2212)의 면적은 토출구(218)의 단면적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220)의 하단으로서 홈부(2212)의 좌우측에는 각각 하우징(210)의 힌지축(219)가 삽입되는 힌지홀(22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219)이 힌지홀(2213)에 삽입된 상태로 커버(220)는 하우징(21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에는, 튜브(232)의 제1 단부(2321)와 밸브결합부(215)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 매개체로서 제1 니플(216)이 구비될 수 있고, 튜브(232)의 제2 단부(2322)와 토출구(218)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 매개체로서 제2 니플(217)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니플(216)과 제2 니플(217)은 지지리브(214)가 배치되는 하우징(210)의 전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200)가 단일 세제 공급용 및 이종 세제 공급용에 대해서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 니플(216)과 제2 니플(217)은 하우징(210)에 대해서 대략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단일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되는 경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니플(216)과 제2 니플(217)에 대해서만 세제가 유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우징(2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니플(216)과 제2 니플(217)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니플(216)과 제2 니플(217)의 내부에는 각각 세제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니플(216)은 튜브(232)의 제1 단부(2321)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1 단부(23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니플(217)은 튜브(232)의 제2 단부(232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2 단부(23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232)의 제1 단부(2321)와 제1 니플(216) 사이의 연결 및 튜브(232)의 제2 단부(2322)와 제2 니플(217) 사이의 연결이 완료되면, 제1 니플(216), 튜브(232) 및 제2 니플(217)의 내부에는 연속적인 세제 유동경로(Fd)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니플(216)은 수평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니플(217)은 세제 유동경로(Fd)를 수평방향에서 토출구(218)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전환하도록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롤러(233)는, 튜브(232)를 가압하고 공전축이 되는 회전축선(Xc)을 따라 공전하면서 튜브(232)의 내부 통로를 따라 세제를 이동시켜 세제를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총 3개의 롤러(233)가 펌프케이스(231)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3개의 롤러(233)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편의상 이들 3개의 롤러(233)를 구분하기 위해서,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제3 롤러(2333)로 칭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제3 롤러(233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고, 서로 호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제3 롤러(2333)의 세부 구성은 도 14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캐리어(234)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제3 롤러(2333)를 각각 자전 및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는 캐리어(234)는, 원판형 플레이트(2341)와, 원판형 플레이트(2341)로부터 롤러(233)를 향해 연장되는 다수의 롤러지지샤프트(2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원판형 플레이트(2341)는, 일측면이 후술하는 커버플레이트(235)에 면접촉되는 상태로 커버플레이트(235)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원판형 플레이트(2341)는 커버플레이트(235)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자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판형 플레이트(2341)가 접촉하게 되는 커버플레이트(235)의 일면에는 원판형 플레이트(2341)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에 의해서 원판형 플레이트(234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원판형 플레이트(2341)의 타측면에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제3 롤러(2333)를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롤러지지샤프트(234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다수의 롤러지지샤프트(2342)는, 제1 롤러(23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샤프트(2342a)와, 제2 롤러(23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샤프트(2342b)와, 제3 롤러(233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 샤프트(234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제1 샤프트(2342a). 제2 샤프트(2342b) 및 제3 샤프트(2342c)는 각각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의 자전축로서 작용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가 결합되는 제1 샤프트(2342a)는, 제2 샤프트(2342b) 및 제3 샤프트(2342c)에 비해서 돌출 길이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14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원판형 플레이트(2341)의 중앙에는 원형의 관통홀(2341a)이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341a)을 통과하여 후술하는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가 연장될 수 있다.
출력샤프트(238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의 외주면(2331a, 2332a, 2333a)에 동시에 접촉하여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각각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 때, 출력샤프트(2381)는 원판형 플레이트(2341)의 관통홀(2341a)을 통과하되, 원판형 플레이트(2341)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캐리어(234)는 출력샤프트(2381)에 의해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로 펌프케이스(231)와 커버플레이트(235)에 의해서 아이들 상태로 지지되고 수용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235)는, 펌프케이스(231)의 개방된 제1 단부면(2311)에 결합되고, 펌프케이스(231)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플레이트(235)가 펌프케이스(231)에 체결됨에 따라, 펌프케이스(231)와 커버플레이트(235)에 의해서 롤러(233), 튜브(232) 및 캐리어(234)가 펌프케이스(23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이들의 회전축선(Xc)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캐리어(234)와 유사하게, 커버플레이트(235)의 중앙에는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관통홀(2351)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판형 플레이트(2341)가 접촉하게 되는 커버플레이트(235)의 일면에는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는 관통홀(2351)과 동심이 되도록 형성되고, 돌출 높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는 원판형 플레이트(234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갖는다.
다만, 접촉에 의한 원판형 플레이트(2341)의 자전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링 형상의 가이드리브(2353)의 내경은 원판형 플레이트(2341)의 외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펌프케이스(231)에 대한 체결을 위한 수단이 커버플레이트(235)의 각각의 에지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수단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4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이들 각각의 체결수단은 펌프케이스(231)에 대한 체결수단으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베이스플레이트(236)에 대한 체결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체결수단은, 일측이 펌프케이스(231)에 체결될 수 있고, 타측이 베이스플레이트(236)에 체결될 수 있는 공통체결부(2352)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수단을 공용화함으로써 세제펌프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36)는, 일측면에 펌프모터(238)가 결합되고 타측면에 전술한 커버플레이트(235)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들을 하우징(210)에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36)에는 커버플레이트(235)의 공통체결부(2352)가 체결될 수 있는 걸림부(2362)가 4개소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플레이트(235)의 관통홀(2351)과 유사하게, 베이스플레이트(236)의 중앙에는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관통홀(236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의 지지리브(214)에 대한 체결을 위해서 베이스플레이트(236)에는 중앙의 관통홀(23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탭(236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탭(2363)에는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펌프모터(238)는, 제1 롤러(2331) 내지 제3 롤러(2333)를 자전 및 공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적용가능한 모터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세제펌프(230)가 배치되는 공간의 제약을 고려하여 소형의 전동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세제공급장치(200)에 구비되는 세제펌프(230)는, 롤러(233)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롤러위치감지부(2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제펌프(230)가 작동하는 동안 롤러(233)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롤러(233)의 공전횟수를 연산하여 세제의 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세제펌프(230)는 롤러(233)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롤러위치감지부(2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롤러위치감지부(239)는 롤러센서(239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롤러센서(2391)는, 전술한 탈착감지센서(260) 및 수위센서(240)와 동일하게 홀센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롤러(233)의 위치변화 감지를 위해서, 제1 롤러(2331) 내지 제3 롤러(233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소정의 자기력을 방출하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감지 성능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롤러센서(2391)의 센싱면(2391a)은 자성체를 향해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센서(2391) 및 자성체가 구비되는 롤러(233)에 대한 상관 관계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롤러(233)에 배치되는 자성체의 체적을 최소화하고, 펌프모터(238)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롤러센서(2391)는 롤러(233)로부터 가장 가까우면서 펌프모터(238)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는, 펌프케이스(231)의 제2 단부면(2312)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233)를 기준으로 보면 펌프모터(238)와 롤러센서(2391)는, 롤러(233)를 사이에 두고 서로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케이스(231)의 제2 단부면(2312)에는 롤러센서(2391)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센서홀더(2392)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홀더(2392)는, 펌프케이스(231)의 내부에서 자전 및 공전하는 롤러(233)에 대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펌프케이스(231)의 제2 단부면(2312)의 외측에 제2 단부면(2312)으로부터 회전축선(Xc)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롤러(2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단일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되는 세제펌프(230)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200)가 이종 세제 공급용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세제펌프(2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추가되는 세제펌프(230)는 하우징(210)에 대해서 기존 세제펌프(230)에 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롤러의 세부 구조 및 자성체의 배치 구조]
이하,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세제펌프(230)에 구비되는 롤러(233)의 세부 구조 및 자성체의 배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롤러(233)는 서로 동일한 외형 및 사이즈를 갖고 서로 호환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는 각각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한 상태로 캐리어(2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캐리어(234)에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각각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샤프트(2342a), 제2 샤프트(2342b) 및 제3 샤프트(2342c)가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샤프트(2342a), 제2 샤프트(2342b) 및 제3 샤프트(2342c)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각각 분리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관통홀(2341a)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에는 각각 제1 샤프트(2342a), 제2 샤프트(2342b) 및 제3 샤프트(2342c)가 삽입될 수 있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제1 중공부(2331b, 2332b, 2333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공부(2331b, 2332b, 2333b)는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의 제1 단부면(2331d, 2332d, 2333d)을 관통하여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제2 단부면(2331e, 2332e, 2333e)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자전 및 공전시키는 구동력은 캐리어(234)를 거치지 않고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로부터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에 직접 전달된다.
이를 위해,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로 출력샤프트(2381)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제1 롤러(2331)의 외주면(2331a), 제2 롤러(2332) 의 외주면(2332a) 및 제3 롤러(2333)의 외주면(2333a)과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의 마찰력에 의해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가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2331)의 외주면(2331a), 제2 롤러(2332)의 외주면(2332a) 및 제3 롤러(2333)의 외주면(2333a)과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 사이의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출력샤프트(2381)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은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는 방법, 출력샤프트(2381)의 표면에 소정의 재질을 갖는 코팅재를 코팅하는 방법, 또는 출력샤프트(2381)의 표면을 튜브를 이용하여 덮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추가되더라도 높은 점성의 세제가 적용되는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튜브(232)의 경화 및 마모가 진행되는 경우,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와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 사이의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 등과 같이 펌프모터(238)의 작동시간 제어 또는 RPM 제어를 통해 추구하는 목표 세제공급량과,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를 통해 펌핑되어 공급되는 실제 세제공급량에는 상단한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제 세제공급량을 결정하는 롤러(233)의 공전 횟수를 롤러(233)의 위치변화 횟수를 통해 파악하여 목표 세제공급량에 대한 편차가 최소화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롤러(233)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술한 롤러센서(2391)와, 롤러(233)에 배치되는 자성체(239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롤러(2331),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 모두에 자성체(2393)가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어느 하나에만 자성체(2393)가 구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2393)가 제1 롤러(2331)에만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자성체(2393)는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롤러(2331)의 내부에는 자성체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중공부(2331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공부(2331c)는 자성체(2393)의 외형에 대응하여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중공부(2331c)는 제2 단부면(2331e)을 관통하여 제1 중공부(2331b)까지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롤러(233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중공부(2332c, 2333c)가 제2 롤러(2332) 및 제3 롤러(2333)에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2393)는 전체적으로 매립된 상태가 되도록 제2 중공부(2331c)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중공부(2331c)의 회전축선(Xc) 방향 길이는 자성체(2393)의 회전축선(Xc) 방향 길이보다는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성체(2393)가 제1 롤러(2331)의 제2 단부면(2331e)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자성체(2393)의 추가에 따른 세제펌프(230)의 사이즈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2393)는 제1 롤러(2331)의 제1 단부면(2331d) 및 제2 단부면(2331e) 중에서 제2 단부면(2331e)에 더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제2 단부면(2331e)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서 펌프케이스(231)의 제2 단부면(2312)에 롤러센서(2391)가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는 펌프모터(238)로부터 방출되는 자기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로서 선택된다.
다만, 롤러센서(2391)가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롤러센서(2391)와 최대한 근접해서 자성체(2393)가 제1 롤러(2331)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롤러센서(2391)로부터 회전축선(Xc) 방향으로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제1 롤러(2331)의 제1 단부면(2331d)에 치우쳐서 자성체(239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센서를 이용한 제1 튜브의 위치변화 감지]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제1 롤러(2331)와 롤러센서(2391) 사이의 배치 관계 및 롤러센서(2391)를 이용한 자성체(2393)의 감지 구조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센서(2391)는 회전축선(Xc)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롤러센서(2391)의 센싱면(2391a)을 구비하고, 롤러센서(2391)의 센싱면(2391a)은 회전축선(Xc) 방향으로 자성체(2393)이 공전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면(2391a)을 자성체(2393)를 향해 회전축선(Xc) 방향을 따라 평행이동시키게 되면, 자성체(2393)가 공전하면서 자성체(2393)가 지나는 영역과 센싱면(2391a)이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러센서(2391)의 센싱면(2391a)과 자성체(2393) 사이의 직선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소형의 자성체 및 소형의 롤러센서(2391)의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제펌프(230)가 소형화될 수 있고 세제펌프(230)의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롤러센서(2391)를 이용한 제1 롤러(2331)의 위치변화 감지방법을 설명한다.
롤러센서(2391)는 소정의 감지영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선(Xc)을 기준으로 센싱면(2391a)으로부터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까지의 거리(D)가, 기준거리범위(Dth)가 되는 회전축선(Xc)으로부터 감지면까지의 거리보다 더 가까운 영역은 롤러센서(2391)의 감지영역이 되고, 센싱면(2391a)으로부터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까지의 거리(D)가 기준거리범위보다 더 멀리 떨어진 영역은 미감지영역이 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가 감지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롤러센서(2391)는 이를 감지하여 제1 롤러(2331)가 감지영역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제1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2331)가 공전방향(R)을 따라 회전하여 감지영역을 벗어나 미감지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롤러센서(2391)는 이를 감지하여 제1 롤러(2331)가 롤러센서(2391)의 감지범위를 벗어나 미감지영역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제2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출력신호 및 제2 출력신호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에 전기적 신호로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롤러센서(239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제1 출력신호로부터 제2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경우 또는 제2 출력신호로부터 제1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경우에 제1 롤러(2331)가 회전하여 제1 롤러(2331)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의 구성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이하, 도 2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부(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각 기능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 마이컴,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00)는 세제펌프(230)의 펌프모터(23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세척 행정이 개시된 후에 제어부(100)는 펌프모터(238)에 전력을 공급하여 세제펌프(230)를 작동시키고, 세제를 터브(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세척 행정 진행 중 제1 롤러(2331)의 위치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롤러센서(239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센서(2391)는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가 감지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0)로 전송하고, 제1 롤러(2331)의 자성체(2393)가 감지영역을 벗어나 미감지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출력신호에는 제1 롤러(2331)가 롤러센서(2391)의 감지영역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출력신호에는 제1 롤러(2331)가 롤러센서(2391)의 감지범위를 벗어나 미감지영역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롤러센서(239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제1 출력신호로부터 제2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경우 또는 제2 출력신호로부터 제1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경우에 제1 롤러(2331)가 회전하여 제1 롤러(2331)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세제컨테이너(280)에 저장된 세제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위센서(240)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수신된 수위센서(240)의 출력신호를 통해 컨테이너본체(281)의 내부에 저장된 세제의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수위센서(240)를 통해 감지되는 세제의 잔략이 소정량 이하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또는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세제의 잔량이 부족하는 정보가 포함된 시각적 알람 또는 음향 알람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세제컨테이너(280)의 탈착을 감지하기 위한 탈착감지센서(2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디.
탈착감지센서(260)의 출력신호는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수신된 탈착감지센서(260)의 출력신호를 통해 세제컨테이너(280)가 하우징(210)에 장착된 상태인지,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세제컨테이너(280)가 탈거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또는 음향출력부(38)를 통해 세제컨테이너(280)가 장착되지 않았다는 정보가 포함된 시각적 알람 또는 음향 알람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메모리 및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행정별 운전조건 및 시간조건 등을 호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행정의 진행 및 중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나아가 메모리에는 세척 행정 중 공급될 세제공급량(기설정량)에 관한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각각의 행정별 경과시간등을 연산하고, 미리 저장된 행정별 시간조건과 비교하여 각각의 행정완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행정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세척 행정, 세척 행정, 헹굼 행정, 가열헹굼 행정 및 건조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 및 음향출력부(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식기세척기(1)의 작동 상태, 작동 시간 및 헹정완료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전술한 부저 또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출력부(38)를 통해서 식기세척기(1)의 동작 상태 또는 헹정완료에 관한 알람을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4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방법(S1)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예시적으로 예비세척 행정, 세척 행정, 헹굼 행정, 가열헹굼 행정 및 건조 행정 순으로 진행되는 식기세척기(1)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특히, 제어부(100)는 식기세척기(1)의 예비세척 행정 또는 세척 행정 진행 중에 롤러센서(2391)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신호의 변화부터 연산되는 제1 롤러(2331)의 공전 횟수를 기초로 하여 기설정량의 세제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S20)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3에는 예시적으로 식기세척기(1)의 세척 행정의 진행 중에 세제공급장치(200)를 통해 세제가 공급이 개시되고, 세제의 공급량 판단 및 세제 공급의 완료를 판정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세제공급을 개시하기 위해 펌프모터(238)에 전력을 공급하여 펌프모터(238)를 작동시킬 수 있다. (S10)
펌프모터(238)의 작동이 개시되면, 제어부(100)는 메모리로부터 미리 설정된 세제공급량(기설정량) 정보를 호출하고, 펌프모터(238)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로부터 세제공급장치(200)를 통해 공급되는 세제의 공급량이 기설정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0)
세제의 공급량이 기설정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4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롤러센서(2391)로부터 제1 출력신호 또는 제2 출력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한다. (S21)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출력신호는 제1 롤러(2331)가 롤러센서(2391)의 감지범위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되고, 제2 출력신호는 제1 롤러(2331)가 롤러센서(2391)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다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롤러센서(2391)로부터 출력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00)는 수신되는 출력신호가 제1 출력신호로부터 제2 출력신호로의 변화, 또는 제2 출력신호로부터 제1 출력신호로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2)
다음으로, S22 단계에서 출력신호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한다. (S23)
여기서, 최초 변화 상태는, 롤러센서(2391)의 출력신호가 제1 출력신호로부터 제2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1 변화 상태, 또는 롤러센서(2391)의 출력신호가 제2 출력신호로부터 제1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2 변화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S23 단계에서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가 결정되면, 제어부(100)는 롤러센서(2391)로부터 출력신호를 재수신한다. (S24)
이어서, 제어부(100)는 S24 단계에서 재수신되는 출력신호로부터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5)
즉, 제어부(100)는 S23 단계에서 최초 변화 상태가 제1 변화 상태인 것인 것으로 결정되면 이와 동일한 제1 변화 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S23 단계에서 최초 변화 상태가 제2 변화 상태인 것인 것으로 결정되면 이와 동일한 제2 변화 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S25 단계에서 재수신되는 출력신호로부터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신호변화 횟수(N)를 1회 증가시켜 갱신하고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N)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S26)
여기서, 갱신되고 저장된 신호변화 횟수(N)는 펌프모터(238)의 작동 개시 이후로부터 연산되는 제1 롤러(2331)의 공전 횟수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S26 단계에서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N)와 미리 설정된 횟수(N_th)를 비교한다. (S27)
여기서 미리 설정된 횟수(N_th)는 예시적으로 100회가 될 수 있다.
한편, S27 단계의 비교 결과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N)가 미리 설정된 횟수(N_th)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펌프모터(238)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에 공급된 세제 공급량이 기설정된 세제공급량에 도달된 것으로 판정하고,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S30)
즉, 제어부(100)는 제1 롤러(2331)의 위치변화 횟수를 기초로 제1 롤러(2331)의 공전 횟수를 연산하고, 연산된 제1 롤러(2331)의 공전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N_th)에 도달하면, 기설정된 세제공급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에서 S30 단계에서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이 결정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펌프모터(238)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펌프모터(238)를 정지시킨다. (S40)
이와 같이 S40 단계에서 펌프모터(238)가 정지되면, 제어부(100)는 잔여 세척 행정이 진행되도록 식기세척기(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27 단계의 비교 결과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N)가 미리 설정된 횟수(N_th)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S24 단계로 복귀하여 이후 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세제공급장치(200)는 제1 롤러(2331)의 공전 횟수를 연산하고, 연산된 제1 롤러(2331)의 공전 횟수를 기초로 하여 목표 세제공급량 도달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232)의 경화 또는 마모, 롤러(233)와 펌프모터(238)의 출력샤프트(2381) 사이의 마찰력 저하에 따른 슬립 발생에도 불구하고 목표 세제공급량에 대해서 편차가 최소화된 공급량을 갖는 세제가 공급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100: 제어부 200: 세제공급장치

Claims (15)

  1.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및
    상기 세척공간으로 제공될 세제를 저장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세척공간으로 공급하는 세제펌프를 구비하는 세제공급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상기 세척공간으로 안내하는 튜브;
    상기 튜브를 가압하여, 회전축선 주위로 공전하면서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상기 세제를 이동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펌프모터; 및
    상기 롤러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롤러의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롤러센서;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 항에서,
    상기 롤러에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자성체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3. 제2 항에서,
    상기 롤러는 상기 튜브를 가압하는 외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양단부를 형성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에서 제2 단부에 더 근접해서 배치되고,
    상기 롤러센서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에서 상기 제2 단부에 더 근접해서 위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4. 제3 항에서,
    상기 롤러센서는, 상기 자성체로부터 방출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싱면을 구비하고,
    상기 센싱면을 상기 자성체를 향해 평행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자성체가 공전하면서 상기 자성체가 지나는 영역과 상기 센싱면이 중첩되는 식기세척기.
  5. 제3 항에서,
    상기 세제펌프는,
    상기 롤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식기세척기.
  6. 제3 항에서,
    상기 펌프모터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의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에서 상기 제1 단부에 더 근접해서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7. 제3 항에서,
    상기 펌프모터와 상기 롤러센서는, 상기 롤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상기 회전축선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8. 제1 항에서,
    상기 롤러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기설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펌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신호의 변화부터 연산되는 상기 롤러의 공전 횟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식기세척기.
  9. 제7 항에서,
    상기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제1 출력신호 또는 제2 출력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출력신호가 상기 제1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2 출력신호로의 변화, 또는 상기 제2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1 출력신호로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한 이후에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최초 변화 상태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최초 변화와 동일한 출력신호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신호변화 횟수를 1회 증가시켜 갱신하고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를 저장하는 단계; 및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와 미리 설정된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8 항에서,
    상기 제1 출력신호는,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센서의 감지범위 내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신호는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센서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다는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8 항에서,
    상기 최초 변화 상태는,
    상기 제1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2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1 변화 상태, 또는 상기 제2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1 출력신호로 변화되는 제2 변화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되는 식기세척기.
  12. 제8 항에서,
    상기 신호변화 횟수는, 상기 롤러의 공전 횟수가 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는, 100회가 되는 식기세척기.
  13. 제8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신호의 최초 변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롤러센서로부터 출력신호를 추가로 재수신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식기세척기.
  14. 제8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와 미리 설정된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갱신된 신호변화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2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량의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이 결정되면,
    상기 펌프모터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식기세척기.
KR1020220179508A 2022-12-20 2022-12-20 식기세척기 KR20240097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216108.3A EP4388969A1 (en) 2022-12-20 2023-12-13 Dishwasher
US18/390,890 US20240197139A1 (en) 2022-12-20 2023-12-20 Dish 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7452A true KR20240097452A (ko) 2024-06-2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569B2 (en) Water guide for dishwasher
CA251720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fluid
CA2210548C (en) Dishwasher for washing dishes by rotating a dish washing basket and dish washing basket therefor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US20060054198A1 (en)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471993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070006899A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00070278A1 (fr) Machine à glace du type à écoulement descendant
US20180132694A1 (en) Pump inlet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US20090071512A1 (en) Water level sensing apparatus of dish washer
EP205266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h washer
KR20240097452A (ko) 식기세척기
US7771543B2 (en) Leakage preventing structure of dish washer
EP4388969A1 (en) Dishwasher
KR20240097451A (ko) 식기세척기
US20180363225A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rear panel of the same
KR20240097449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EP4388968A1 (en) Dishwasher
KR20090025626A (ko) 식기 세척기
KR100390806B1 (ko) 자동 식기 세척기
KR20240097450A (ko) 식기세척기
KR20190024466A (ko) 식기세척기
EP4388970A1 (en) Dishwasher
KR10105410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JP2006043123A (ja) 移動型食器洗浄乾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