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0104A - 대상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대상물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0104A KR20240090104A KR1020230044261A KR20230044261A KR20240090104A KR 20240090104 A KR20240090104 A KR 20240090104A KR 1020230044261 A KR1020230044261 A KR 1020230044261A KR 20230044261 A KR20230044261 A KR 20230044261A KR 20240090104 A KR20240090104 A KR 202400901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air
- flow path
- object processing
- duc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과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부가 구비된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어 상기 제1챔버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챔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처리부의 재생과정에서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disclosure)는 대상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의류나 소품 등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의 공기를 제습하고 관리하는 대상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상물처리장치는 통상적인 의류뿐만 아니라, 모자, 스카프, 손수건, 인형 등과 같은 소품(items) 및 시계나 장신구와 같은 물건(things)를 포괄하는 대상물(object)에 적절한 습도 등의 환경을 제공하여, 대상물을 최적의 상태로 보존 또는 보관함과 동시에, 대상물을 외부에 전시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를 말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8454호는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즉,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캐비닛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여 스팀 및 열풍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처리실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실의 내부에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가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실의 하부에는 의류관리에 필요한 기계장치들을 포함하는 기계실이 위치하여 열풍 및 스팀을 상기 처리실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의류를 옷걸이를 이용하여 행어바에 거치하는 경우, 의류는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실에 가방, 모자 등 기타 관리가 필요한 물품등을 거치할 수 있는 선반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의류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장치이므로, 내부에 의류를 전시하거나 보관하는 별도의 공간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또한, 관리할 의류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처리실을 이용하게 되면 에너지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내부에 거치되어 있는 의류를 사용자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의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도어의 전면을 통한 단열성능이 떨어져, 의류 관리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소재의 의류 및 소품이 발달함에 따라, 가죽제품이나 실크제품과 같이 섬세한 관리가 필요한 옷을 별도로 보관하고 진열하는 공간이나, 가방이나 모자와 같은 소품을 보관하고 진열하기 위해 평상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41286호는 의류를 수용하여 관리하는 처리실과 관리가 끝난 옷들을 보관하며,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보관실을 별도로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처리실과 보관실을 좌우로 배치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실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처리실과 보관실의 스팀이나 공기를 고르게 분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개시는 전시 목적을 위한 전시실이 따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의류만을 외부에서 보이도록 배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9400호는 처리실과 보관실을 전후방향으로 구획된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의류를 관리하는 기능은 처리실에만 구비하고 있고, 보관실의 온습도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기계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처리나 관리가 끝난 의류를 단순히 보관실에 보관하게 되면 주변의 온습도의 변화에 따라, 보관중인 의류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온도 및 습도의 조절없이 보관하는 경우, 의류의 함습도가 올라가 눅눅하게 되거나, 주변의 냄새가 다시 흡착되는 등의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요 시 보관시에도 의류의 온도 및 습도를 관리해줄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상술한 개시는 전방의 처리실과 후방의 보관실을 구분하는 분리판이 좌우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상기 처리실과 상기 보관실이 서로 통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처리실 내부의 습기나 오염물질이 보관실로 이동하지 않도록 처리실과 보관실 사이를 밀폐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즉, 상술한 개시의 분리판은 처리실과 보관실의 밀폐를 주 목적으로 하여, 보관실의 의류가 처리실로 이동할 때만 잠시 개방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분리판이 일시적으로 접혀지면서 처리실과 보관실이 개방(확장)될 때, 분리판은 보관실과 처리실 사이에서 공간을 차지하면서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고, 보관실과 처리실 사이의 공간이 그만큼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개시는 공기를 공급하거나 흡입하는 유로 처리실에만 구비되어 있고 보관실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관실에 보관된 의류를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개시의 보관실은 단순히 의류를 적재하는 공간으로써의 의미를 가질 뿐이어서 리프레시(refresh)된 의류의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술한 개시는 처리실과 보관실 중 보관실만 의류처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진열공간은 수용된 의류나 물품 등 대상물을 심미감 있게 전시할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물을 적절하게 보존하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보관공간은 수용된 의류나 물품 등 대상물을 상기 진열공간과 별도의 유로를 통해 상기 진열공간과 다른 조건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 시에는 진열공간과 보관공간을 통합하여 부피가 큰 대상물을 수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대상물의 제1대상처리실 및 상기 제1대상처리실과 구분된 제2대상처리실로 제1챔버를 구획하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대상처리실과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를 개별적으로 순환시켜, 각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독립적으로 관리 또는 조절할 수 있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제습 및 여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하는 다공성물질이 제1챔버의 하방에서 분리된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히트펌프가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된 경우보다 상기 제2챔버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폐순환유로를 통해, 포화흡착된 다공성물질을 재생하는 유로가 구비되는 대상물처리장치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챔버에서 전시공간의 공기가 유동하는 제1유로, 보관공간의 공기가 유동하는 제2유로, 및 다공성물질을 재생시키는 폐순환유로로 구비되는 제3유로가 공통적으로 순환부를 유동하도록 하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부를 통해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챔버에 선반부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나 소품과 같은 대상물이 공간효율적으로 보관되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챔버의 제1대상처리실과 제2대상처리실 사이에 구획부가 구비되어도 선반부가 제1챔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선반부의 결합위치를 변경한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부가 구비되어도 제1대상처리실 및 제2대상처리실의 내부에 구비된 공기포트와 유로상 간섭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 하는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의 외부로 다공성물질이 인출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된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 전면에 구비된 도어윈도우를 통해서, 사용자의 의도나 목적에 따라서 전시공간의 내부에 수용된 대상물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획부를 통해서 사용자의 의도나 목적에 따라서 보관공간의 내부에 수용된 대상물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관리가 가능한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되는 대상물의 크기나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서 전시공간과 보관공간을 통합하도록 구획부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보여지는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제1챔버의 내부와 선반부에도 조명부가 구비되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와 마주하는 제1대상처리실 및 상기 제1대상처리실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제2대상처리실로 상기 제1챔버를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제2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챔버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2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연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유로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순환부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덕트 보다 상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덕트를 연통시키는 제1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연결덕트 보다 하류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를 연통시키는 제2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부는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챔버 내에서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3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연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는 유로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부 내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덕트 보다 상류에서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는 분기되고, 상기 연결덕트 보다 하류에서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는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덕트 보다 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시키거나,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연결덕트를 차단하는 제1전환부; 및 상기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덕트 보다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덕트를 연통시키는 제2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만을 허용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연결덕트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전환부가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1유로를 연통시키는 제1순환모드,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연결덕트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전환부가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2유로를 연통시키는 제2순환모드, 및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상기 연결덕트와 차단시키고 상기 제2전환부가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3유로를 연통시키는 재생모드로 상기 유로전환부를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는 상기 제2챔버 내에서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순환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의 내부면과 접촉되는 재생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을 통해 개방되는 제1공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포트는 상기 투입구보다 상기 구획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포트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제1흡입포트 및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상기 제1대상처리실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배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흡입포트 및 상기 제1배출포트는상기 캐비닛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대상처리실은 상기 캐비닛의 폭 방향에 따른 길이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에 따른 길이 보다 더 크게 구비되며,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도록 상기 제2대상처리실과 상기 연결덕트를 연통시키되, 상기 폭 방향에 따른 길이가 상기 전후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제2공기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포트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로 유입되도록 구비된 제2흡입포트 및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상기 제2대상처리실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2배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입포트 및 상기 제2배출포트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기포트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2배출포트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후면 보다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전면을 이루는 구획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공기처리부가 장착되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교체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투입구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광성으로 구비되는 도어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를 제1대상처리실 및 제2대상처리실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제2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챔버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공기를 제습하는 공기처리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2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처리부는 다공성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는 공기 중의 수분이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는 제올라이트(zeo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를 제1대상처리실 및 제2대상처리실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제2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챔버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공기를 제습하는 공기처리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1유로;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2유로; 및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상기 제2챔버 내에서 폐 순환하는 제3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통한 공기의 순환을 허용하는 유로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는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기준으로, 상기 공기처리부 보다 상류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유로전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를 통한 공기의 순환을 허용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부를 제어할 때 상기 가열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3유로를 통한 공기의 순환을 허용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부를 제어할 때 상기 가열부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부에 위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의 제1대상처리실 및 상기 제1대상처리실 보다 체적이 큰 제2대상처리실을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제2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챔버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공기를 제습하는 공기처리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 상기 제1대상처리실로 개방되고 상기 연결덕트와 연결되는 제1공기포트; 및 상기 제2대상처리실로 개방되고 상기 연결덕트와 연결되는 제2공기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포트의 개방면적은 상기 제1공기포트의 개방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포트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이 상기 제1공기포트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 보다 크도록, 상기 순환팬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1공기포트 또는 상기 제2공기포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시키는 유로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공기포트와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시키도록 상기 유로전환부를 제어 할 때, 상기 제1공기포트와 상기 연결덕트가 연통된 경우보다 상기 순환팬의 출력을 더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의 제1챔버가 대상물의 전시 및 보관 가능한 제1대상처리실과, 상기 전시공간과 구분되어 대상물의 보관이 가능한 제2대상처리실로 구획된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대상처리실과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를 개별적으로 순환시켜, 각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독립적으로 관리 또는 조절할 수 있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제습 및 여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하는 다공성물질이 제1챔버의 하방에서 분리배치된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히트펌프가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된 경우보다 상기 제2챔버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폐순환유로를 통해, 포화 흡착된 다공성물질을 재생하는 유로가 구비되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챔버에서 전시공간의 공기가 유동하는 제1유로, 보관공간의 공기가 유동하는 제2유로, 및 다공성물질을 재생시키는 폐순환유로로 구비되는 제3유로가 공통적으로 순환부를 유동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부를 통해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챔버에 선반부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나 소품과 같은 대상물이 공간효율적으로 보관되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챔버의 제1대상처리실과 제2대상처리실 사이에 구획부가 구비되어도 선반부가 제1챔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선반부의 결합위치를 변경한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부가 구비되어도 제1대상처리실 및 제2대상처리실 내부에 구비된 공기포트가 유로상 간섭이 생기지 않는 도록 배치시킨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의 외부로 다공성물질이 인출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된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 전면에 구비된 도어윈도우를 통해서, 사용자의 의도나 목적에 따라서 전시공간의 내부에 수용된 대상물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획부를 통해서 사용자의 의도나 목적에 따라서 보관공간의 내부에 수용된 대상물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관리가 가능한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되는 대상물의 크기나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서 전시공간과 보관공간을 통합하도록 구획부가 슬라이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보여지는 심미적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제1챔버의 내부와 선반부에도 조명부가 구비되는 대상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대상물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어와 구획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및 캐비닛 하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a)는 구획부가 제1챔버를 제1대상처리실과 제2대상처리실로 구획한 상태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3(b)는 구획부가 개방되어 제1챔버의 제1대상처리실과 제2대상처리실이 통합된 것을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의 제1대상처리실, 제2대상처리실 및 제2챔버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를 전후방향(X축 방향)에 따른 단면도 및 캐비닛의 단면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의 캐비닛 하부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의 캐비닛 하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순환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a)는 순환부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b)는 순환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순환부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순환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순환부의 재생유로를 기준으로 너비방향(Y축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유로와 재생유로에서 물이 배수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 도면이다.
도 13은 제1유로를 따라 공기가 순환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제2유로를 따라 공기가 순환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제3유로를 따라 공기가 순환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대상물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어와 구획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및 캐비닛 하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a)는 구획부가 제1챔버를 제1대상처리실과 제2대상처리실로 구획한 상태를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3(b)는 구획부가 개방되어 제1챔버의 제1대상처리실과 제2대상처리실이 통합된 것을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의 제1대상처리실, 제2대상처리실 및 제2챔버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를 전후방향(X축 방향)에 따른 단면도 및 캐비닛의 단면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의 캐비닛 하부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의 캐비닛 하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순환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a)는 순환부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b)는 순환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순환부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순환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순환부의 재생유로를 기준으로 너비방향(Y축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유로와 재생유로에서 물이 배수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 도면이다.
도 13은 제1유로를 따라 공기가 순환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제2유로를 따라 공기가 순환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제3유로를 따라 공기가 순환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 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X)/후(-X)/좌(+Y)/우(-Y)/상(+Z)/하(-Z)”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물(object)'란, 와이셔츠나 블라우스 같은 상의, 청바지와 같은 하의 및 한 벌의 정장, 점퍼, 가죽옷 등과 같이 평상시 관리가 필요한 모든 통상적인 의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대상물은 통상적인 의류를 제외한 모자, 스카프, 손수건 가방, 또는 인형과 같은 소품(items)등을 포함하며, 시계나 장신구 같은 물건(things)까지 포함하는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비록, 의류, 물품, 물건 중 어느 하나의 단어만을 사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본 명세서의 문맥상 대상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대상물이란 의류, 소품, 물건과 같은 물품의 분류에 의해서 정해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에 수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물의 처리란, 대상물에서 먼지 등 오염물을 분리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물이 최적의 공간에서 보존될 수 있도록, 상기 대상물이 보관되는 공간의 온도 및 습도 등을 관리하고, 탈취 및 여과 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이해 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대상물처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어와 구획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및 캐비닛 하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대상물처리장치(100)는 전면에 투입구(11)가 구비된 캐비닛(1), 상기 캐비닛(1)과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11)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2),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1챔버(13), 상기 제1챔버(13)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15) 및 상기 제1챔버(13)를 제1대상처리실(137)과 제2대상처리실(138)으로 구획하는 구획부(5)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전면(121)에 투입구(11)가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대상물이 투입 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전면(121) 전체가 투입구(11)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전면(121)의 일부가 관통되어 투입구(11)가 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전면(121)의 일부가 관통되어 투입구(11)로 되는 경우, 상기 전면(121)은 상기 투입구(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패널(121a)과 상기 투입구(1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패널(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챔버(13)는 상기 캐비닛(1)의 내부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의 전방면은 상기 투입구(11)와 연통될 수 잇다. 즉, 상기 투입구(11)를 통해서 제1챔버(13)의 내부로 접근이 가능하다.
상기 제1챔버는 상기 투입구(11)와 마주하도록 후방에 배치되는 제1챔버 후방면(132, 도 6 참조), 상기 제1챔버(13)의 측방 중 좌측방에 배치되는 제1챔버 좌측면(133, 도 6 참조), 상기 제1챔버의 측방 중 우측방에 배치되는 제1챔버 우측면(134, 도 6 참조), 하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바닥면(135, 도 4 참조) 및 상부 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을 포함한다.
제1챔버(13)는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대상물을 상기 제1챔버 후방면(132), 제1챔버 좌측면(133)¸제1챔버 우측면(134), 제1챔버 바닥면(135) 및 제1챔버 상부면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는 수용된 의류, 소품, 물건 등 대상물을 수용하여 보존 또는 보관하는 공간이므로 보관실(storage room), 보존실(preservation room), 처리실(processing room), 전시실(showcase room), 수용챔버(receiving chamber)라고도 칭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5)는 제1챔버(13)와 분리된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제2챔버(15)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에 의해서 상기 제1챔버(13)의 하방에서 분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15)는 제1챔버 바닥면(135)을 통해서 상기 캐비닛(1)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13)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5) 내부에는 순환부(3, 도 7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부(3)는 상기 제2챔버(15)의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13)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3)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부(3)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상기 제2챔버(15)는 제1챔버(13)의 공기를 흡입하여 처리한 다음, 다시 제1챔버(13)의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기계장치가 배치되는 장소이므로, 기계실(machine room), 보조챔버(auxiliary chamber)라고도 칭할 수 있다.
상기 도어(2)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를 개폐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어(2)는 상기 도어(2)의 프레임(frame)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21), 상기 도어프레임(21)에 의해 감싸지거나 지지되며, 상기 투입구(11)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도어윈도우(23),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21)과 상기 캐비닛(1)을 결합시키는 도어힌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21)은 상기 도어윈도우(23)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어프레임(21)은 상기 투입구(11)와 마주하는 상기 도어윈도우(23)의 후면과 결합하여 상기 도어윈도우(23)만이 상기 대상물처리장치(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윈도우(23)는 상기 투입구(11)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어윈도우(23)는 외부에서 투입구(11)를 통해 상기 제1챔버(13)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대상처리실(137)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광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어윈도우(23)는 디스플레이(display)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13)의 내부는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윈도우(23)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제1챔버(13) 내부의 대상물을 전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윈도우(23)는 상기 제1챔버(13) 내부의 공간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도어힌지(25)는 상기 도어프레임(21)을 회전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1)과 연결시킨다. 상기 도어힌지(25)는 상기 캐비닛 전면(121)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패널(121a)에 결합되는 상부힌지(251) 및 상기 캐비닛 전면(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패널(121b)에 결합되는 하부힌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구획부가 제1챔버를 제1대상처리실과 제2대상처리실로 구획한 상태를 나타내는 투영도이고, 도 3(b)는 구획부가 개방되어 제1챔버의 제1대상처리실과 제2대상처리실이 통합된 것을 나타내는 투영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의 제1대상처리실, 제2대상처리실 및 제2챔버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구획부(5)를 통해서 제1챔버(13)의 내부를 제1대상처리실(137)과 제2대상처리실(138)로 구획가능하다.도면에서는 구획부(5)가 제1챔버(13)를 전후방향으로 구획한 것을 나타낸 것이나, 제1챔버(13)의 구획방향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사이에 상기 구획부(5)가 배치되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상기 구획부(5)가 소정거리 이동하여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사이의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구획부(5)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부(5)에 의해 제1챔버(13)가 일부 분리된 상태로 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분리되었다.”라는 표현은,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 및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 사이에 상기 구획부가 적어도 일부 위치하여,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이 적어도 일부 분리된 상태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으며, 후술할 “통합되었다.”라는 표현이 아닌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구획부(5)가 개방되어 제1대상처리실(137)과 제2대상처리실(138)이 통합되고 제1챔버(13)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부(5)가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 또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제1대상처리실(137)과 제2대상처리실(138)이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 사이에 구획부(5)가 적어도 일부라도 배치되지 않는 상태, 즉,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과 완전히 연통되어 있는 상태를 제1대상처리실(137)과 제2대상처리실(138)이 “통합되었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상기 구획부(5)가 배치되지 않으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은 통합되어 제1챔버(13)를 이룰 수 있다.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획부(5)는 상기 제1챔버(13)를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로 분리시킬 수 있다. 구획부(5)의 하부는 제1챔버 바닥면(135)에 구비되는 슬라이드홈(1357, 도 6 참조)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홈(1357)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획부(5)의 상부는 가이드어셈블리(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즉, 구획부(5)는 제2챔버(15)의 상방의 제1챔버(13)의 내부에서, 상부가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에 의해 안내되고, 하부가 상기 슬라이드홈(1357)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연통시킨다는 의미는, 상기 구획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이 적어도 일부 연통된다는 것으로써,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이 통합되거나 확장되어 상기 제1챔버의 내부를 형성한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부(5)는 제1챔버(13)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1챔버(13)를 구획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챔버(13)는 상기 투입구(11)와 마주하는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대상처리실(138)으로 상기 캐비닛(1)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구획부(5)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챔버(13)는 상기 투입구(11)와 연통되는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투입구(11)와 연통되지 않는 제2대상처리실로 상기 구획부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13)의 내부에는 구획부(5)에 의해 분리되는 제1대상처리실(137)과 제2대상처리실(138)이 존재하며,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 투입구(11)를 통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제1대상처리실(137)을 통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은 상기 투입구(11)뿐만 아니라, 도어(2)와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를 전후방향으로 구분하는 이러한 분리방식을 통해서, 상기 제1챔버(13)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이 투입구(1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전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공간으로 기능하고,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은 상기 구획부(5)에 의해 내부 노출되지 않고 보관을 주 목적으로 하는 공간으로 기능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챔버(13)는 상기 구획부(5)에 의해 후술할 제1유로(도 13 참조) 따라 순환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제1대상처리실)과, 제2유로(도 14 참조)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제2대상처리실)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13)의 내부에서 상기 제1유로에 따라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과 제2유로에 따라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방식을 통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은 제1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 습도 조건에 적합한 대상물이 보관되는 공간을 활용될 수 있고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은 제2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 습도 조건에 적합한 대상물이 보관되는 공간으로 활용되는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챔버(13)는 제1공기포트(171, 도 6 참조)가 연통되는공간(제1대상처리실)과 제2공기포트(172, 도 6 참조)가 연통되는 공간(제2대상처리실)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방식을 통해서, 상기 제1공기포트(171) 또는 상기 제2공기포트(17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대상물의 크기나 소재를 달리 보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구획부(5)에 의해 제1대상처리실(137) 및 상기 제1대상처리실보다 부피가 더 크게 구비되는 제2대상처리실(138)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방식을 통해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은 부피가 비교적 작은 대상물(예를 들어, 지갑, 목걸이 등)을 보관하고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은 부피가 비교적 큰 대상물(예를 들어, 핸드백, 가방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서 상술한 일례와 같이, 상기 제1챔버(13)는 제1대상처리실(137) 및 상기 제1대상처리실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제2대상처리실(138)으로 구획부(5)에 의해 분리된 경우(제1챔버(13)가 전후방향으로 구획됨)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은 전시를 위주로 하는 대상물이 보관되는 공간이므로, 전시공간(showcase space), 진열공간(display space)으로 칭할 수 있다. 제2대상처리실(138)은 대상물의 전시보다는 대상물의 보관을 주 목적으로 하는 공간으로써, 보관공간(storage space), 보존공간(preservation space), 처리공간(processing space)으로 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를 전후 방향(X축 방향)에 따른 단면도 및 캐비닛의 단면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챔버(13)에는 선반부(8) 및 조명부(9)가 구비될 수 있다. 선반부(8)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 배치되는 제1선반(81) 및 상기 제2 대상처리실에 배치되는 제2선반(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81)은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 배치되고, 상기 제1챔버(13)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전방에는 투입구(11)가 배치되고, 후방에는 구획부(5) 또는 제2대상처리실(137)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부(5)는 상기 제1챔버(13) 내부에서 고정된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제1선반(81)이 결합되기 어렵다. 상기 제1선반(81)이 상기 구획부(5)에 결합되면, 사익 제1선반(81)에 안착된 대상물이 추락하거나, 구획부(5)가 원활하게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투입구(11)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7)은 공간을 의미하므로 상기 제1선반(81)이 결합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선반(81)은 제1챔버(13)의 좌측면(133)과 제1챔버(13)의 우측면(134)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선반(81)의 일측은 제1좌측면(1331, 도 6 참조)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1우측면(1341, 도 6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선반(82)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에 배치된다.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은 전방에 상기 구획부(5) 또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 이 배치되므로, 상기 제2선반(82)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의 전방에 결합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측방은 구획부(5)가 이동하는 공간이기 때문에(도 6 참조). 상기 제2선반(82)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측방에서 상기 제1챔버(13)의 측면(133,134)에 결합되기 어렵다.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후방에는 상기 구획부(5)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선반(82)이 이너케이스(140, 도 6(a) 참조)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챔버(13)의 후방면(13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획부(5)는 제2대상처리실(138)의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6(a) 참조). 이 경우, 구획부(5)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전방, 측방 및 후방을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제2선반(82)은 상기 제1챔버(13)의 후방면(132)에 직접 고정되기 어렵다.
이너케이스(140)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3)의 측방면(133,134) 및 후방면(132)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있다.
즉, 상기 이너케이스(140)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후방에서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이너케이스(140)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 전방을 제외하고 측방 및 후방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140)의 측방면과 제1챔버(13)의 측방면(133,134) 사이, 상기 이너케이스(140)의 후방면과 상기 제1챔버(13)의 후방면(132) 사이를 따라 구획부(5)가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40)와 상기 제1챔버(13) 사이의 바닥면(135)가 함몰되어 슬라이드홈(1357)가 구비되고(도 6(a)참조), 상기 구획부(5)는 상기 슬라이드홈(1357)을 따라서 이동이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140)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내부로 수용된 구획부(5)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획부(5)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너케이스(140)는 상기 제2선반(82)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40)는 상기 제1챔버(13)의 상기 측방면(133,134), 상기 후방면(132) 대신에, 상기 제2선반(82)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에 배치될 수 있는 고정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선반(82)은 상기 이너케이스(140)의 좌측면, 우측면, 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획부(5)는 제2대상처리실(138)의 후방을 제외한 전방 및 양 측방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6(b) 참조).
이 경우,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후방에는 상기 구획부(5)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제2선반(82)이 제1챔버(13)의 후방면(132)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너케이스(140)는 제2대상처리실(138)의 양 측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선반(82)이 상기 제1챔버(13)의 후방면(132), 이너케이스(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구획부(5)가 제2대상처리실(138)의 후방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실시예의 경우(도 6(a) 참조), 제2선반(82)을 고정하기 위해서 이너케이스(140)가 필요하다. 이 때, 제2선반(82)은 상기 이너케이스(140)의 좌측면, 우측면 및 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획부(5)가 제2대상처리실(138)의 후방으로 연장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도 6(b) 참조), 제2선반(82)을 고정하기 위해서 이너케이스(140)가 반드시 필수적이진 않다. 즉, 이 경우, 상기 제2선반(82)은 제1챔버(13)의 후방면(13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2선반(82)이 상기 제2챔버(13)의 후방면(132)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 도면이다.
한편, 도 5의 부분확대도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선반(82)과 상기 제2선반(82) 사이에 구획부(5) 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부(5)는 상기 제1선반(81)과 상기 제2선반(8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제1선반(81)과 상기 제2선반(82)의 결합구조를 통해서, 상기 구획부(5)는 상기 제1선반(81) 및 상기 제2선반(82)에 의해 이동이 방해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반(81)과 상기 제2선반(82) 사이에는 조명부(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9)는 상기 제1챔버(13)의 측면(133,134)에 결합되어 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면은 조명부(9)가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조명부(9)의 배치구조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선반부(8)에 구비되거나, 바닥면(135)에 구비되는 등, 구체적인 배치구조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제2챔버(15)의 내부에는 상기 순환부(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와 상기 제2챔버(15)는 바닥면(135)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서 분리된다.
상기 제1챔버(13)의 바닥면(135)은 도면과 같이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고, 하부커버(181,182)가 상기 제1챔버(13)의 바닥면(135)의 상기 단차를 채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81,182)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 배치된 바닥면(135)인 제1바닥면(1351)을 덮도록 구비되는 제1하부커버(181)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에 배치된 바닥면(135)인 제2바닥면(1352)을 덮도록 구비되는 제2하부커버(18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공기흡입포트(1721) 및 제2공기배출포트(1723)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챔버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 및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는 상기 제2바닥면(1352)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하부커버(182)는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와 연통되는 제2흡입커버홀(1821),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와 연통되는 제2배출커버홀(1823)이 구비되어 상기 제2공기포트(172)가 상기 제2하부커버(182)를 통해서 제2대상처리실(138)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상기 제1바닥면(1351)과 상기 제1하부커버(181)의 사이, 상기 제2바닥면(1352)과 상기 제2하부커버(182) 사이에는 공기포트가 돌출된 만큼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공간에 조명부(9)나 각종 설비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커버(181, 182)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에서 적어도 상기 공기포트(17)의 돌출 높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81,182)는 제1바닥면(1351)을 덮는 제1하부커버(181) 및 상기 제2바닥면(1352)을 덮는 제2하부커버(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의 단차를 제거하고, 공기가 상기 공기포트를 통해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커버(181)는 후술할 제1공기흡입포트(1711)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 형성되는 제1흡입포트커버, 제1공기배출포트(1713)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 형성되는 제1배출포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공기포트(171)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적절히 가이드하고, 상기 제1공기포트(171)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2하부커버(182)는 후술할 제2공기흡입포트(1721)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 형성되는 제2흡입포트커버(1821), 제2공기배출포트(1723)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 형성되는 제2배출포트커버(18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공기포트(172)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적절히 가이드하고, 상기 제2공기포트(172)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과 상기 하부커버(181,182)에 형성되는 소정공간 사이에 조명부(9)가 삽입될 수 있어, 상기 제1챔버(13)의 바닥면이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181,182)는 바닥면(135)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것일 뿐 반드시 필요하진 않으므로, 이하 하부커버(181,182)가 없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대상물처리장치는 상기 제1챔버(13)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선반(81) 및 상기 제1챔버(13) 내부 공간을 밝히도록 구비되는 조명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반부(8)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 상기 제1챔버(13)의 내부면에 구비되어, 미감상 상기 제1챔버 내부에 수용된 대상물을 강조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8)는 내부에 조명부(9)가 구비되고,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면(미도시)이 투과성으로 구비되어, 상기 거치면에 안착된 대상물을 조명으로 강조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선반부(8)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 배치되는 제1선반(81)및 상기 제2대상처리실에 배치되는 제2선반(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81)은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서 상기 제1챔버(13)와 결합된다.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은 전면이 투입구(11)와 마주하고, 후면이 구획부(5)와 마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챔버(13)의 제1좌측면(1331) 또는 제2우측면(134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선반결합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선반은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서 상기 선반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선반(81)은 상기 제1챔버(13)의 제1좌측면(1331, 도 6 참조) 또는 상기 제1챔버(13)의 제1우측면(1341,도 6 참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의 캐비닛 하부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처리장치의 캐비닛 하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획부(5)의 이동 구조에 따라서 제1챔버(13)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것과 같이, 도 6(a)는 구획부(5)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을 둘러싸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너케이스(140)가 구비되어, 상기 구획부(5)의 이동경로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 내부의 저장공간 내지 제2선반(82)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b)는 구획부(5)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전방에서 측방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케이스(140)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때, 구획부(5)가 제2대상처리실(138)의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구획부(5)가 이동하지 않는 공간만큼을 확보할 수 있다. 구획부의 두께,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140)의 후방면과 제1챔버(13)의 후방면(132)사이의 거리(a)의 공간만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도 6(a)의 a 참조).
도 6을 참조하면, 제1챔버(13)의 바닥면(135)에는 제1공기포트(1711,1713) 및 제2공기포트(1721,17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포트(1711, 1713) 및 상기 제2공기포트(1721,1723)을 포괄적으로 공기포트라고 칭한다.
상기 공기포트는 상기 제1챔버(13)의 바닥면(135)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3)와 상기 제2챔버(15)를 연통시킨다. 상기 공기포트는 상기 순환부(3)와 연통된다(도 5의 B 부분확대도 참조). 상기 공기포트 통해서, 상기 제1챔버(13)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부(3)로 배출되고, 상기 순환부(3)에서 처리된 공기가 다시 상기 제1챔버(13)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챔버(13) 내부에서 상기 공기포트가(171,172, 도 6 참조) 배치되는 위치는 제2챔버(15)의 배치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챔버(15)가 상기 제1챔버(13)의 상방에서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공기포트는 상기 제1챔버(13)의 상부면(136)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챔버(15)는 상기 제1챔버(13)보다 아래에서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 공기포트(17)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35)에 형성되어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순환부(3)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 구비되는 제1바닥면(1351),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에 구비되는 제2바닥면(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바닥면(1351)은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바닥면(1352)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챔버의 바닥면(135)은,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에서 상부로 돌출된 상기 공기포트(171, 172)에 의해서 단차 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포트(171, 172)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배치되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순환부(3)를 연통시키는 제1공기포트(1711,1713)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에 배치되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과 상기 순환부(3)를 연통시키는 제2공기포트(1721, 17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포트(1711, 1713)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공기가 상기 순환부(3)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제1공기흡입포트(1711) 및 상기 순환부(3)의 공기가 상기 제1대상처리실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제1공기배출포트(17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부(3)의 순환팬(321, 도 7 참조)을 통해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순환부(3)보다 상류측에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가 구비되고, 하류측에 제1공기배출포트(171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 구비되는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를 통해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공기가 상기 순환부(3)로 유입되고, 순환팬(321)과 공기처리부(325)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처리된 다음,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를 통해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내부로 다시 공급되면서 순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 및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는 상기 투입구(11) 보다 상기 구획부(5)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공기포트(1711,1713)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내부에서 전방측 보다 후방측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1)는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 (1711) 및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가 상기 투입구(11)에 가깝게 배치되면 상기 도어(2)를 개방시킬 때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 내부의 공기의 순환이 저해되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관리하는 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선반(81)은 거치될 대상물이 외부에서 더 잘 보이도록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서 상기 구획부(5)보다 상기 투입구(1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만약, 이때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 및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가 상기 투입구(11)에 더 가깝게 배치되면, 상기 제1공기포트(1711,1713)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상기 제1선반(81)에 의해 가로막힐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순환이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 수용되는 대상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물에 의해서 공기의 순환이 저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공기포트(1711,1713)는 투입구(11)에 의한 공기순환의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후방측에 배치된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1선반(81)은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측방면(133,13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선반(81)이 후방측에 가깝게 배치되면 상기 제1공기포트(1711,1713)에서 배출되거나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에 방해될 수 있다. 반면, 제1선반(81)이 전방측, 즉, 투입구(11)에 가깝게 배치되면, 상기 제1공기포트(1711, 1713)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 및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가 상기 투입구(11) 보다 상기 구획부(5)에 더 가깝게 구비시켜(도 5 참조),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포트(1711,1713)가 배치되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과 달리 주로 대상물의 전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공간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기포트(17)의 크기를 제한하면서도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을 보다 효율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 및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는 상기 제1챔버(13)의 너비방향(Y 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은 상기 제1챔버의 전후방향(X축 방향)에 따른 길이 보다 상기 너비방향(Y축 방향)에 따른 길이가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와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사이를 최대한 이격시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 내부의 공기의 유동 경로를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 내부의 공기를 보다 효과적이고 균일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는 후술할 상기 연결덕트(31)의 유입홀(31a)과 배출홀(31b) 중(도 11 참조),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유입홀(31a)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면과 나란한 방향의 거리란,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와 상기 유입홀(31a) 또는 상기 배출홀(31b) 사이의 수평거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제1공기흡입포트(1711)와 상기 유입홀(31a)을 연결시키는 제1흡입덕트(35)의 길이를 단축시키고, 덕트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흡입덕트(35)의 길이가 줄어들면,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에서 상기 연결덕트(31)까지 공기의 유량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는 상기 연결덕트(31)의 유입홀(31a)과 배출홀(31b) 중,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배출홀(31b)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와 상기 배출홀(31b)을 연결시키는 제1흡입덕트(37)의 길이를 단축시키고, 덕트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덕트(37)의 길이가 줄어들면, 상기 연결덕트(31)에서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까지 공기의 유량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공기포트(1721,1723)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공기가 상기 순환부(3)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제2공기흡입포트(1721) 및 상기 순환부(3)의 공기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제2공기배출포트(17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부(3)의 순환팬(321)을 통해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순환부(3)보다 상류측에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가 구비되고, 하류측에 제2공기배출포트(172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을 통해서 상기 순환부(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순환부(3)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처리부(325)를 통과하여 처리된 다음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을 통해서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로 배출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 내부의 공기가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 및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는 상기 제1챔버의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대상처리실(138)은 너비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전후방향 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 및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는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 및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 각각의 개방면적이 상기 너비방향을 따라서 더욱 길게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공기흡입포트(1721) 및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가 서로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되면, 상기 제2공기포트(1721,1723) 자체의 오픈 면적을 너비방향으로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제2공기포트(1721, 1723) 전체 개방면적을 증가시키기에 유리하다. 전체 개방면적이 증가되면, 상기 제2공기포트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양이 증가하여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부피가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부피 보다 크더라도, 제2대상처리실(138)의 전체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 및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가 상기 너비방향으로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에 배치된 제2선반(82)에 의해 상기 제2공기포트(1721,1723)에 의한 공기 순환이 방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 및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가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이 제2공기포트(1721,1723)의 개방면적을 증가시키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는 상기 제1챔버(13)의 후면(132)와 상기 구획부(5) 중 상기 제1챔버(13)의 후면(132)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는 상기 제1챔버 후면(132)과 상기 구획부(5) 중 상기 구획부(5)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에 제2선반(82)이 구비되더라도,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상부까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에서 제2선반(82)은 상기 제1챔버(13)의 후방면(132)에 구비되는 선반장착부(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5)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 사이에서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상기 제2선반(82)의 전방측은 상기 구획부(5)와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도 5의 A의 부분확대도 참조).
이때, 상기 제2선반(82)의 전방측과 상기 구획부(5)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공기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는 상기 구획부(5)에 더 가깝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제2공기배출포트(1723)가 상기 제2선반(82)과 상기 구획부(5)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2선반(82)과 상기 구획부(5)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상부까지 곧바로 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는 공기가 흡입되는 포트이므로, 상기 제1챔버(13)의 후면(132)에 가깝게 배치되더라도 제2선반(82)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제2대상처리실(138)의 공기순환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는 상기 순환부(3)에 의해 처리된 공기가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상부까지 도달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공기순환 및 대상물의 처리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는 상기 제1챔버(13)의 후면(132)에 배치되더라도 제2대상처리실(138)의 공기순환 및 대상물의 처리 관점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 내부의 처리가 필요한 공기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 전체에 걸쳐서 확산되어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공기 순환 및 대상물처리의 측면에서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는 상기 제1챔버(13)의 후면(132)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는 상기 구획부(5)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는 상기 구획부(5)에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이 통합되었을 때,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유체가 서로 섞이지 못하도록 에어커튼(air curtain)으로써의 기능도 함께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부피보다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부피가 더 크게 구비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공기를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동일한 순환팬(321)의 출력으로 가동하면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대상물처리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를 순환하는 제1순환모드 일 때 보다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공기를 순환하는 제2순환모드에서 상기 송풍팬의 출력을 더 높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챔버 좌측면(133)은, 제1대상처리실(137)에 배치되는 제1좌측면(1331) 및 제2대상처리실(138)에 배치되는 제2좌측면(1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좌측면(1331)은 상기 우측면(134)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11)에서 상기 제1챔버(13)의 후방으로 갈 수록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좌측면(1331)은 상기 투입구(11)에서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챔버의 너비길이가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좌측경사면(1331a) 및 상기 좌측경사면(1331)의 말단에서 상기 제1챔버의 너비길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는 좌측연장면(1331b) 및 상기 좌측연장면(1333)의 말단에서 상기 제2좌측면(1332)을 향해 연장되는 좌측순환면(1331c)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챔버 우측면(134)은, 제1대상처리실(137)에 배치되는 제1우측면(1341) 및 제2대상처리실(138)에 배치되는 제2우측면(13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우측면(1341)은 상기 좌측면(133)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11)에서 상기 제1챔버(13)의 후방으로 갈수록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우측면(1341)은 상기 투입구(11)에서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챔버의 너비길이가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우측경사면(1341a) 및 상기 우측경사면(1341a)의 말단에서 상기 제1챔버의 너비길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는 우측연장면(1341b) 및 상기 우측연장면(1341b)의 말단에서 상기 제2우측면(1342)을 향해 연장되는 우측순환면(134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서 상기 제1챔버의 양측면(1331, 1341)은, 상기 투입구(11)에서 상기 제1챔버(13)의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경사면(1331a, 1341a)에 의해 폭이 좁아지다가, 연장면(1331b, 1341b) 및 순환면(1331c, 1341c)을 따라서 다시 폭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331a,1341a)에는 제1대상처리실에 배치되는 상기 선반부(8)인 제1선반(81)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면(1331c,1341c)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제1공기포트(1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331a, 1341a) 및 상기 연장면(1331b,1341b)에 의해서 상기 양측면(133,134)는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공기포트는 상기 좌측순환면(1335)과 우측순환면(1341c)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공기포트는 상기 제1선반(81)에 의한 공기순환의 저해 또는 상기 투입구(11)의 개폐에 의한 공기순환의 저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단차지게 구비된 상기 제1챔버(13)의 면, 구체적으로는 좌측순환면(1331c)과 우측순환면(1341c)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 및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좌측연장면(1331b)과 상기 좌측순환면(1331c)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공간, 나머지 하나는 우측연장면(1341b과 우측순환면(1341c)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투입구(11)를 기준으로 제1포트(171)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는 단차공간이 형성되므로, 제1대상처리실(137)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길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제1대상처리실(137) 내부에서 공기순환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13)는 상기 좌측경사면(1331a)과 상기 우측경사면(1341a)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제1챔버의 후방을 향해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거나 전방을 향해 폭이 점차 넓어지는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챔버(13) 폭의 길이차이로 인해서, 상기 제1공기포트가 구비된 상기 좌측순환면(1331c)과 상기 우측순환면(1341c) 사이의 공간에서부터 상기 좌측경사면(1331a)과 상기 우측경사면(1341a) 사이의 공간을 향해 공기가 더욱 효과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후방에서 상기 투입구(11)를 향해 갈수록, 제1챔버(13)의 너비가 점점 커지므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후방과 전방 사이에 압력차이를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의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1331a,1341a)에 결합되는 제1선반(81)의 형상도 상기 경사면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투입구(11)를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선반(81)의 형상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서 상기 대상물을 보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제1선반(81)에 놓여 전시되는 대상물을 강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순환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8(a)는 순환부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8(b)는 순환부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9는 순환부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순환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순환부의 재생유로를 기준으로 너비방향(Y축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유로와 재생유로에서 물이 배수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 도면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순환부(3)는 상기 제2챔버(15)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3)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챔버(13)에서 상기 순환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순환부(3)를 따라 유동하면서 제습 또는 여과 등 처리되고 다시 상기 제1챔버(13)로 유입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순환부(3)는 순환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연결덕트(31), 상기 연결덕트(31)에 구비되어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공기를 처리하는 공조부(32), 상기 제1챔버(13)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31)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공기흡입덕트(35,36), 상기 연결덕트(3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챔버(13)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공기배출덕트(37,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1)는 상기 공조부(32)가 안착되는 허브바디(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1)는 상기 캐비닛(1)의 하부패널(121b)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허브바디(311)에서부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교체바디(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b) 참조). 교체바디(312)의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상기 연결덕트(31)는 상기 허브바디(311) 및 교체바디(312)를 덮는 허브커버(313, 도 10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커버는 상기 허브바디(311) 및 교체바디(312)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덕트(31)는 내부 공간에 공조부(32)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덕트(31)의 내부공간을 따라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덕트(31)는 넓게는 상기 공조부(32)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공조부(32)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321),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부(323) 및 상기 유동하는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21)은 상기 연결덕트(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가 순환되도록 압력차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21)에 의해서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부로 유입 가능하고, 상기 순환부(3)의 공기가 상기 제1챔버(13)의 내부로 배출 가능하다.
상기 가열부(323)는 상기 연결덕트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31)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챔버(13)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후술하는 상기 공기처리부(325)를 재생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공기처리부는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며, 유동하는 공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는 다공성물질, 예를들어, 제올라이트(zeo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등, 공기 중의 수분이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는 상기 가열부(32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공기처리부(325)에 포집된 수분이 증발하면서 상기 공기처리부(325)의 재생이 가능하다. 공기처리부(325)의 재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만, 공기처리부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챔버(13) 내부의 공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라면 상술한 물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공기의 처리”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 공기 중의 냄새입자를 제거하는 탈취, 공기 중에서 오염입자를 여과 또는 흡착하여 제거하는 정화 또는 여과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상술한 제습, 탈취 여과, 정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면 공기를 처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 내부의 대상물을 최적의 환경조건에서 전시 및 보관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별도의 냉매순환 유로를 포함하는 히트펌프는 달리, 제2챔버(15, 기계실)의 부피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1)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기준으로, 상기 공조부(32)는 상기 송풍팬(321)이 상기 가열부(323) 보다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부(323)가 상기 공기처리부(325) 보다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323)는 상기 공기처리부(325)와 상기 송풍팬 중, 상기 공기처리부(325)에 더욱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가열부에서 발산하는 열 손실 없이 상기 공기처리부에 열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덕트(3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1유로(도 13 참조),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2유로(도 14 참조) 및, 재생덕트(39)를 따라서 상기 연결덕트(31)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3유로(도 15 참조)가 공통적으로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 및,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은 공조부가 구비된 하나의 연결덕트(31)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순환하면서 공기가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연결덕트(31)는 상기 제1챔버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31a, 도 10 참조), 상기 연결덕트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31b, 도 10 참조) 및 후술할 재생덕트(39)를 통해서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재생홀(31c, 도 1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홀(31a)은 상기 순환팬(321)과 상기 공기처리부(325)중 상기 순환팬(321)에 더욱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31a)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팬(321)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31a)이 상기 순환팬(321)과 마주하게 되면, 유로의 꺾임이나 절곡에 의한 유량 손실 없이 상기 제1챔버(13) 내부의 공기가 상기 유입홀(31a)로 유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홀(31b)은 상기 순환팬(321)과 상기 공기처리부(325) 중 상기 공기처리부(325)에 더욱 가깝게 구비될 수 있으며, 유로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공기처리부(325)와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덕트(35,36)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유입홀(31a)을 시키는 제1흡입덕트(35),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과 상기 유입홀(31a)을 연통시키는 제2흡입덕트(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흡입덕트(35)는 상기 유입홀(31a)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되는 제1흡입덕트바디(351) 및 상기 제1흡입덕트바디(351)에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와 연결되는 제1흡입덕트가이드(3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의 하부에 상기 제2챔버(15)가 구비되는 경우, 도면과 같이 상기 제1흡입덕트가이드(353)는 상기 제1흡입덕트바디(351)의 말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흡입덕트바디(351)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덕트가이드(353)의 자유단측에는 제1흡입덕트가이드홀(353a)가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덕트바디(351)는 상기 제1흡입덕트바디(351)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입홀(31a)로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덕트(36)는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되는 제2흡입덕트바디(361) 및 상기 제2흡입덕트바디에서 상기 제2대상처리실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와 연결되는 제1흡입덕트가이드(3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5)가 제1챔버(13)의 하방에 배치되는 구비되는 경우(도 4 참조), 상기 제2흡입덕트가이드(363)는 상기 제2흡입덕트바디(361)의 말단에서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입덕트가이드(363)는,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와 연결된 일단이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와 같은 형상으로 상기 제1챔버(13)의 너비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덕트가이드(363)의 일측 말단에는 제2흡입덕트가이드홀(363a)이 형성되어, 제2공기흡입포트(172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덕트가이드(363)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제2흡입덕트바디(361)가 구비된 타단으로 갈수록, 또는 상기 제2흡입덕트가이드(363)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흡입덕트가이드(363)의 너비방향 폭은 좁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서,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 내부의 공기를 폭 넓게 균일하게 흡입 가능하다. 또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유로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구비되어 공기가 안정적으로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의 흡입과정에서 난류(turbulent flow)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덕트(37,38)는 상기 배출홀(31b)과 상기 제1대상처리실을 연통시키는 제1배출덕트(37), 상기 배출홀(31b)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을 연통시키는 제2배출덕트(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덕트(37)는 상기 연결덕트(31)에서 상기 배출홀(31b)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1대상처리실로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덕트(37)는 상기 배출홀(31b)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31)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배출덕트바디(371) 및 상기 제1배출덕트바디(371)에서 상기 제1대상처리실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와 연결되는 제1배출덕트가이드(3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덕트가이드(373)의 일측(하류측) 말단에는 제1배출덕트가이드홀(373a)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5)가 상기 제1챔버(13)의 하방에 구비되는 경우(도 4 참조), 상기 제1배출덕트가이드(373)는 상기 제1배출덕트바디(371)의 말단에서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를 향해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덕트(38)는 상기 연결덕트(31)에서 상기 배출홀(31b)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덕트(38)는 상기 배출홀(31b)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배출덕트바디(381) 및 상기 제2배출덕트바디(381)에서 상기 제2대상처리실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와 연결되는 제2배출덕트가이드(3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5)가 상기 제1챔버(13)의 하방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배출덕트가이드(383)는 상기 제2배출덕트(38)의 말단에서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를 향해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덕트가이드(383)의 일측(하류측) 말단에는 제2배출덕트가이드홀(383a)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배출덕트가이드홀(383a)을 통해서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덕트가이드(383)는,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와 연결된 일단이 상기 제2배출흡입포트(1723)와 같은 형상으로 상기 제1챔버(13)의 너비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배출덕트가이드(383)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제2흡입덕트바디가 구비된 타단으로 갈수록, 또는, 상기 제2배출덕트가이드(383)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배출덕트가이드의 너비방향 폭은 좁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서, 상기 제2배출덕트는 상기 연결덕트(3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균일하게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출덕트(38)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유로 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공기가 안정적으로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제2공기배출포트가 너비방향의 길이가 넓게 구비되어도 공기가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부(3)는 상기 연결덕트(31)에서 상기 연결덕트(31)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31)로 다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재생덕트(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재생덕트(39)는 상기 제2챔버(15)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이 배출홀(31b)과 연결되고, 타단이 재생홀(31c)과 연통되어, 상기 연결덕트(31)에서 상기 배출홀(31b)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재생홀(31c)로 다시 유입되는 폐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재생덕트(39)는 재생과정에서 상기 공기처리부(325)를 재생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재생덕트(39)는 상기 배출홀(31b)과 연통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제1재생덕트바디(391) 상기 제1재생덕트바디(391)에서 연장되어 하방 또는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제2재생덕트바디(392), 및 상기 제2재생덕트바디(392)에서 연장되어 상기 재생홀(31c)을 연통되는 제3재생덕트바디(3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재생덕트바디(391)는 일단이 상기 배출홀(31b)과 연통되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제1경사부(3911) 및 상기 제1경사부(3911)의 경사구간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제2챔버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평탄부(39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3911)는 상기 재생덕트(39)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1공기흡입포트(1711) 또는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될 되도록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경사부(3911)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평탄부는 상기 제1경사부에서 상기 제2챔버의 측면을 향해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1재생덕트바디(39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흡입덕트의 상방에 배치된다.
즉, 이와 같이 제1재생덕트바디(391)와 상기 제2흡입덕트(36)가 적어도 일부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되는 이러한 입체구조를 통해서, 제2챔버(15) 내부의 공간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제2챔버(15)내부에서 덕트 유로에 의한 공간의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으며, 제1챔버(13)의 공간의 크기를 더욱 넓힐 수 있다.
상기 제2재생덕트바디(392)는 상기 제1재생덕트바디(391)의 평탄부(3913)에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평탄부(3913)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기 제2챔버(15)의 측면 접촉되는 연장부(3921), 상기 연장부(3921)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경사부(3911)의 경사구간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제2경사부(3923) 및 상기 제2경사부(3923)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후술할 트레이(394)로 배출되도록 배수홀(3924a)이 구비된 배수부(3925)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3921)는 상기 평탄부(3913)에서 상기 제2챔버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ㅓ 연장되어 상기 제2챔버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3923)는 상기 연장부(3921)의 말단에서 상기 제1경사부와 반대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15)의 측면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2경사부(3923)의 높이는 상기 제1경사부(3911)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배출홀(31b)과 상기 재생홀(31c)이 같은 높이에 높일 수 있다. 상기 배출홀(31b)과 상기 재생홀(31c)이 같은 높이에 높이게 되면,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서 유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이나 유량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3925)는 상기 제2경사부의 말단에 구비되어 응축수가 상기 트레이(394)로 배수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경사부(3923)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챔버의 측면과 지속적으로 접촉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재생덕트(39)를 따라 순환할 때, 상기 제2경사부(3923)를 포함하는 제2재생덕트바디(392)에 의해서 응축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3923)를 지나면서 응축된 공기에서 배출된 응축수는 상기 제3재생덕트바디(393)로 경사를 따라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경사부(3911)는 상기 공기흡입덕트(35,36)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경사부(3923)는 상기 응축수를 상기 제3재생덕트바디(393)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챔버(15)의 측면이란, 상기 제2챔버(15) 내부의 어느 하나의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2챔버(15)의 전면, 후면도 포함하는 것은 물론, 캐비닛(1) 내주면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제3재생덕트바디(393)는 상기 제2재생덕트바디(392)의 말단에서 상기 재생홀(31c)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상기 제3재생덕트바디(393)는 하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재생덕트바디(392)에서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수가 상기 제3재생덕트바디(393)의 배수홀(3924a)을 통해 하방으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재생덕트(39)는 상기 제3재생덕트바디(393)에서 배수되는 응축수를 집수가능하도록, 상기 배수홀(3924a)의 하방에 배치되는 트레이(3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94)에 집수된 응축수는 자연적으로 증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394)는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는 트레이배출구(미도시)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394)에 집수된 물을 직접 버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잔존 응축수(잔수)에 의한 곰팡이나 악취 발생을 최소화하고 보다 위생적으로 대상물을 관리할 수 있다.
응축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상기 트레이는 상기 연결덕트(31)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도 12 참조)
일례로, 상기 연결덕트(31)는 상기 제2챔버(15)의 바닥면(155)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2챔버의 바닥면(155)보다 소정거리(S)만큼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챔버(15)의 바닥면과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됨으로써,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축수가 배수되는 공간(제2챔버의 바닥면(155)과 캐비닛의 바닥면(115)사이의 공간)과,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제2챔버(15))을 분리하여, 상기 제2챔버를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공기처리부(32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1재생덕트바디(391)로 유입되어 제2재생덕트바디(392)를 따라 순환할 수 있다(도 12 참조).
상기 제2재생덕트바디(392)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연장부(3921)를 따라 상기 제2챔버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는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챔버의 측면과 열 교환하여 응축될 수 있다.
상기 공기가 상기 제2경사면(3923)을 따라 유동하면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배수부(3925)의 배수홀(4924a)을 통해서 상기 제2챔버 하방으로 배수되어 상기 트레이(394)에 집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응축수가 제거된 공기는 상기 제3재생덕트바디(393)를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재생홀(31c)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3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처리부(325)를 재생시키는 제3유로를 작동시키는 재생모드를 통해, 상기 공기처리부(325)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처리부가 다공성물질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공기처리부에 흡착된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공극이 막히는 파울링(fou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파울링이 발생하면 공기처리부의 여과성능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수명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재생모드에도 불구하고, 상기 다공성물질의 공극에 흡착된 이물질을 직접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부를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서 상기 공기처리부를 교체 가능한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연결덕트(31)는 상기 공조부(32)의 구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안착 가능한 안착면(3111)이 구비된 연결바디(31) 및 상기 공기처리부(325)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탈착면(3121)이 구비된 교체바디(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는 상기 교체바디(312)의 탈착면(31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교체바디(312)는 상기 공기처리부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탈탈면(3121) 및 상기 연결덕트(31)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교체하우징(3123) 및 상기 교체하우징(3123)에서 연장되어 상기 교체홀을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노출되는 교체패널(3125)을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교체하우징(3123)은 상기 교체바디(312)가 상기 연결덕트(31)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연결덕트(31)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바디(531)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체패널(3125)은 상기 교체바디(312)가 상기 연결덕트(31)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교체홀(미도시)을 채우도록 상기 교체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5)가 상기 제1챔버(13)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상기 교체홀도 상기 캐비닛(1)의 하부패널(121b)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체패널(3125)은 상기 캐비닛(1)의 상기 하부패널(121b)과 단차가 최소화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부패널(121b)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교체홀에서 노출될 수 있다(도 2(b) 참조).
사용자는 상기 교체패널을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향해 당겨, 상기 착탈면(3121)에 장착된 상기 공기처리부(325)가 상기 교체홀을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노출된 상기 공기처리부(325)를 상기 탈착면(3121)에서 분리시키고, 새로운 공기처리부(325)를 상기 탈착면(3121)에 장착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교체패널(3125)이 상기 하부패널(121b)과 같은 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교체바디(312)를 상기 캐비닛(1)의 후면을 향해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공기처리부(325)가 상기 연결덕트(3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순환부(3)를 분해할 필요 없이 상기 공기처리부(325)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부(3)는 상기 흡입덕트, 상기 배출덕트 및 상기 재생덕트와 상기 유입홀 또는 상기 배출홀을 연통시키는 허브(33)를 포함한다(도 9 및 도 11 참조).
상기 허브(33)는 상기 제1흡입덕트(35) 및 상기 제2흡입덕트(36)와 상기 유입홀(31a)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1허브(331) 및 상기 배출홀(31b)과 상기 제1배출덕트(37), 상기 제2배출덕트(38) 및 상기 재생덕트(제1재생덕트바디)와 연통시키는 제2허브(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허브(33)는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홀(31a)보다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제1흡입덕트(35) 및 상기 제2흡입덕트(36)보다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허브(33)는 상기 제1흡입덕트(35), 상기 제2흡입덕트(36) 및 상기 유입홀(31a, 또는 연결덕트 31)이 서로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3방향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흡입덕트(35) 및 상기 제2흡입덕트(36)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허브(331)에 의해 통합되어 상기 유입홀(31a)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허브(33)는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홀(31b)보다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배출덕트(35), 상기 제2배출덕트(36) 및 상기 재생덕트(39) 보다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허브(33)는 상기 제1배출덕트(37), 상기 제2배출덕트(38), 상기 재생덕트(39) 및 상기 배출홀(31b, 또는 연결덕트 31)이 모두 연통되어 4방향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홀(31b)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허브(332)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배출덕트(37), 상기 제2배출덕트(38) 및 상기 재생덕트(39)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환부(3)는 상기 허브(33)에 구비되어, 여러 덕트 중 어느 하나의 덕트와 상기 연결덕트(31)를 연통시키는 유로전환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0 참조).
유로전환부(4)는 상기 제1허브(33)에 구비되어 상기 제1흡입덕트(35)와 상기 제2흡입덕트(36)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홀(31a)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시키거나, 상기 제1배출덕트(35) 및 상기 제2배출덕트(36)를 상기 유입홀과 차단시킬 수 있는 제1전환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부(4)는 상기 제2허브(33)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덕트, 상기 제2배출덕트 및 상기 재생덕트 중 어느하나와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전환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4)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서 후술할 제1유로, 제2유로 및 제3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4)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유로가 전환되는 구조는 후술한다.
도 13은 제1유로를 따라 순환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제2유로를 따라 순환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제3유로를 따라 순환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순환부(3)는 상기 연결덕트(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공기가 순환하도록 구비되는 제1유로(도 13 참조) 및 상기 연결덕트(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공기가 순환하도록 구비되는 제2유로(도 1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상기 제1공기흡입포트(171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흡입덕트(35) 상기 연결덕트(31), 상기 제1배출덕트(37)를 따라 유동하다가 상기 제1공기배출포트(1713)를 통해 다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로 순환하는 공기의 경로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순환부(3)에 의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공기가 순환하는 덕트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흡입덕트(35), 상기 연결덕트(31), 및 상기 제1배출덕트(37)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도면과 같이, 상기 제1전환부(41)는 상기 제1흡입덕트(35)와 상기 유입홀(31a)을 연통하고, 상기 제2전환부(42)는 상기 배출홀과 상기 제1배출덕트(37)를 연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부(4)가 상기 제1유로를 통한 공기의 순환만을 허용되도록 상기 제1전환부(41) 및 상기 제2전환부(42)가 배치된 상태를 제1순환모드(즉, 도 13 기준 유로전환부(4)의 배열(Configuration)을 의미)라 정의한다.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공기가 상기 제2공기흡입포트(1721)를 통해 상기 제2챔버로 유입되어, 상기 제2흡입덕트(36), 상기 연결덕트(31), 상기 제2배출덕트(38)를 통해 유동하다가 상기 제2공기배출포트(1723)를 통해 다시 상기 제2대상처리실로 순환하는 경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2챔버(15) 내에서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공기가 순환하는 덕트구조이며, 제2흡입덕트(36), 상기 연결덕트(31), 및 상기 제2배출덕트(38)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4)는 상기 제1전환부(41)가 상기 제2흡입덕트(36)와 상기 유입홀(31a)을 연통하고, 상기 제2전환부(42)가 상기 배출홀(31a)과 상기 제1배출덕트(37)를 연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부(4)가 상기 제2유로를 통한 공기의 순환만을 허용되도록 상기 제1전환부(41) 및 상기 제2전환부(42)가 배치 또는 제어되는 상태를 제2순환모드(도 14 기준 유로전환부(4)의 배열(configuration)을 의미)라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각각에는 온도, 습도, 오염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각종 센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각 공간의 온도, 습도, 오염도 등을 각각 계산하여, 공간의 공기질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공기질을 기반으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 또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공기 중 대상물에게 악조건인 공간의 공기를 먼저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는 습도나 오염물 등에 취약한 가죽소재의 핸드백이 수용되고, 상기 제2대상처리실에는 일반 면소재의 의류가 수용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대상처리실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습도 등 상기 공기질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상기 가죽소재의 핸드백이 일반적으로 면 소재의 의류보다 온도 및 습도조건에 더욱 취약하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공기를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 보다 우선시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순환모드를 먼저 가동하고,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의 공기질이 적정수준에 도달하면, 상기 제2순환모드를 가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을 동일한 조건으로 제어하되, 유로가 순환하는 시간만 달리하거나, 교호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산출된 값을 통해서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 또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의 공기를 각각 서로 다른 조건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에는 습도나 오염물 등에 취약한 가죽소재의 핸드백이 수용되고, 상기 제2대상처리실에는 일반적인 면소재의 의류가 수용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대상처리실과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온도 및 습도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상기 가죽소재의 핸드백이 일반적으로 면 소재의 의류보다 온도 및 습도조건에 더욱 취약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순환모드의 가동 시에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상기 순환팬의 출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순환모드의 가동 시에는 비교적 신속한 처리가 불필요 하므로 상기 순환팬의 출력을 상기 제1순환모드 가동 시 보다 낮게 상기 공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대상처리실(138)이 상기 제1대상처리실(137)보다 부피가 크게 구획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순환모드에서는 상기 순환팬의 출력을 상기 제1순환모드에서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순환부(3)는 상기 연결덕트(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도록 구비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연결덕트(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3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는, 상기 배출홀(31b)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31)를 배출된 공기가, 상기 재생덕트를 따라 유동하다가 상기 재생홀(31c)을 통해 다시 상기 연결덕트로 순환하는 경로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3유로는 상기 제2챔버 내에서 상기 연결덕트(31)의 공기가 폐순환하는 덕트구조로 상기 연결덕트(31) 및 재생덕트(39)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4)는 상기 제1전환부(41)가 상기 제1흡입덕트(35) 및 상기 제2흡입덕트(36)와 상기 유입홀(31a)을 차단하고, 상기 제2전환부(42)가 상기 배출홀(31b)과 상기 재생덕트(39)를 연통하게 정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부(4)가 상기 제3유로를 통한 공기의 순환만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전환부(41) 및 상기 제2전환부(42)가 배치 또는 정렬된 상태를 재생모드(도 15 기준 유로전환부(4)의 배열(Configuration)을 의미)라 정의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전환부(4)를 상기 재생모드로 제어하는 동안, 상기 가열부가 가동되도록 상기 공조부(3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재생모드는 상기 공기처리부(325)에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기처리부(325)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32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재생유로를 따라 순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재생모드를 통해서 상기 재생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는 제2챔버(15) 내주면과 열교환 하여 응축시킬 수 있다(도 12 참조). 응축된 물은 트레이(394)로 배수될 수 있다.
상술한 대상물처리장치의 구조는 본 개시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투입구
13: 제1챔버
132: 제1챔버 후면 133: 제1챔버 좌측면 134: 제1챔버 우측면
135: 제1챔버 바닥면 15: 제2챔버 155: 제2챔버 바닥면
1711: 제1공기흡입포트 1713: 제1공기배출포트 1721: 제2공기흡입포트
1723: 제2공기배출포트 181: 제1하부커버 182: 제2하부커버
2: 도어 21: 도어프레임 23: 도어윈도우
25: 도어힌지 3: 순환부 31: 연결덕트
32: 공조부 321: 송풍팬 323: 가열부
325: 공기처리부 33: 허브 331: 제1허브
332: 제2허브 35: 제1흡입덕트 351:제1흡입덕트바디
353: 제1흡입덕트가이드 36: 제2흡입덕트 361:제2흡입덕트바디
363: 제2흡입덕트가이드 37: 제1배출덕트 371: 제2배출덕트바디
373: 제1배출덕트가이드 38: 제2배출덕트 381: 제2배출덕트바디
383: 제2배출덕트가이드 39: 재생덕트 391:제1재생덕트바디
392: 제2재생덕트바디 393: 제3재생덕트바디 394: 트레이
4: 유로전환부 41: 제1전환부 42: 제2전환부
5: 구획부 8: 선반부 81: 제1선반
82: 제2선반 9: 조명부
132: 제1챔버 후면 133: 제1챔버 좌측면 134: 제1챔버 우측면
135: 제1챔버 바닥면 15: 제2챔버 155: 제2챔버 바닥면
1711: 제1공기흡입포트 1713: 제1공기배출포트 1721: 제2공기흡입포트
1723: 제2공기배출포트 181: 제1하부커버 182: 제2하부커버
2: 도어 21: 도어프레임 23: 도어윈도우
25: 도어힌지 3: 순환부 31: 연결덕트
32: 공조부 321: 송풍팬 323: 가열부
325: 공기처리부 33: 허브 331: 제1허브
332: 제2허브 35: 제1흡입덕트 351:제1흡입덕트바디
353: 제1흡입덕트가이드 36: 제2흡입덕트 361:제2흡입덕트바디
363: 제2흡입덕트가이드 37: 제1배출덕트 371: 제2배출덕트바디
373: 제1배출덕트가이드 38: 제2배출덕트 381: 제2배출덕트바디
383: 제2배출덕트가이드 39: 재생덕트 391:제1재생덕트바디
392: 제2재생덕트바디 393: 제3재생덕트바디 394: 트레이
4: 유로전환부 41: 제1전환부 42: 제2전환부
5: 구획부 8: 선반부 81: 제1선반
82: 제2선반 9: 조명부
Claims (23)
- 전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와 마주하는 제1대상처리실 및 상기 제1대상처리실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제2대상처리실로 상기 제1챔버를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제2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챔버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연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유로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순환부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덕트 보다 상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덕트를 연통시키는 제1전환부를 포함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연결덕트 보다 하류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를 연통시키는 제2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챔버 내에서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3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연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는 유로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 내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덕트 보다 상류에서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는 분기되고, 상기 연결덕트 보다 하류에서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는 분기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덕트 보다 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시키거나,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연결덕트를 차단하는 제1전환부; 및
상기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덕트 보다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덕트를 연통시키는 제2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만을 허용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연결덕트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전환부가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1유로를 연통시키는 제1순환모드,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연결덕트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전환부가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2유로를 연통시키는 제2순환모드, 및
상기 제1전환부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상기 연결덕트와 차단시키고 상기 제2전환부가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제3유로를 연통시키는 재생모드로 상기 유로전환부를 제어 가능한 대상물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는
상기 제2챔버 내에서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순환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의 내부면과 접촉되는 재생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을 통해 개방되는 제1공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포트는 상기 투입구보다 상기 구획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포트는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제1흡입포트 및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상기 제1대상처리실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배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흡입포트 및 상기 제1배출포트는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상처리실은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에 따른 길이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에 따른 길이 보다 더 크게 구비되며,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도록 상기 제2대상처리실과 상기 연결덕트를 연통시키되, 상기 폭 방향에 따른 길이가 상기 전후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제2공기포트;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포트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로 유입되도록 구비된 제2흡입포트 및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상기 제2대상처리실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2배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입포트 및 상기 제2배출포트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기포트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2배출포트는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후면 보다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전면을 이루는 구획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공기처리부가 장착되어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교체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투입구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광성으로 구비되는 도어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처리부는
공기 중의 수분이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처리부는 제올라이트(zeo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처리부는 다공성물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처리장치. - 전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를 제1대상처리실 및 제2대상처리실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제2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챔버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공기를 제습하는 공기처리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전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를 제1대상처리실 및 제2대상처리실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제2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챔버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공기를 제습하는 공기처리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1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1유로;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대상처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제2대상처리실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2유로; 및
상기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덕트의 공기가 상기 제2챔버 내에서 폐 순환하는 제3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 전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의 제1대상처리실 및 상기 제1대상처리실 보다 체적이 큰 제2대상처리실을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제2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챔버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공기를 제습하는 공기처리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
상기 제1대상처리실로 개방되고 상기 연결덕트와 연결되는 제1공기포트; 및
상기 제2대상처리실로 개방되고 상기 연결덕트와 연결되는 제2공기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포트의 개방면적은 상기 제1공기포트의 개방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8/538,099 US20240191422A1 (en) | 2022-12-13 | 2023-12-13 | Object treatment apparatus |
PCT/KR2023/020492 WO2024128781A1 (ko) | 2022-12-13 | 2023-12-13 | 대상물처리장치 |
PCT/KR2023/020543 WO2024128798A1 (en) | 2022-12-13 | 2023-12-13 | Object treatment apparatus |
CN202311713380.9A CN118177489A (zh) | 2022-12-13 | 2023-12-13 | 对象处理设备 |
EP23216459.0A EP4386131A1 (en) | 2022-12-13 | 2023-12-13 | Object treatmen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173835 | 2022-12-13 | ||
KR1020220173835 | 2022-12-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0104A true KR20240090104A (ko) | 2024-06-21 |
Family
ID=9170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4261A KR20240090104A (ko) | 2022-12-13 | 2023-04-04 | 대상물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90104A (ko) |
-
2023
- 2023-04-04 KR KR1020230044261A patent/KR20240090104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27704B1 (ko) | 의류관리장치 | |
KR102205716B1 (ko) | 재순환 모듈을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 |
KR20190141286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50085728A (ko) | 히트펌프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 |
US11918112B2 (en) | Shoe management apparatus | |
US11320158B2 (en) |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 | |
KR20210158779A (ko) | 신발 관리 장치 | |
CN116065371A (zh) |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 |
US20210401263A1 (en) | Shoe management apparatus | |
KR102673287B1 (ko) | 자연가습공기를 이용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 |
KR20200080962A (ko) | 의류 관리기 | |
KR20210009205A (ko) | 주름 생성을 위한 의류관리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 |
EP3622856A1 (en) |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 | |
CN212630269U (zh) | 具有单独分离的净化流路的多功能收纳系统 | |
KR20240090104A (ko) | 대상물처리장치 | |
EP4386131A1 (en) | Object treatment apparatus | |
US20240065524A1 (en) | Shoes care device | |
KR101989105B1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20240088534A (ko) | 대상물처리장치 | |
KR20240099768A (ko) | 대상물처리장치 | |
CN118177489A (zh) | 对象处理设备 | |
KR20190068428A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102702856B1 (ko) | 신발 관리기 | |
EP4414496A1 (en) | Garment processing device | |
EP4442186A1 (en) | Shoe care device and shoe care set including sa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