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4524A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4524A
KR20240084524A KR1020240069499A KR20240069499A KR20240084524A KR 20240084524 A KR20240084524 A KR 20240084524A KR 1020240069499 A KR1020240069499 A KR 1020240069499A KR 20240069499 A KR20240069499 A KR 20240069499A KR 20240084524 A KR20240084524 A KR 20240084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ice
tray
cell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694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훈
박종영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84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524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에 결합해서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및 상기 상측 트레이 또는 상기 하측 트레이에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얼음이 얼려지기 위해서 냉기가 공급되는 동안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ray having cells forming part of a space where ice is frozen; a lower tra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including cells that combine with cells of the upper tray to form a space in which ice is frozen; and a heater disposed on the upper tray or the lower tray, wherein the heater is driven while cold air is supplied to freeze ice.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형 형태의 투명한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ce maker capable of providing spherical transparent 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인 냉장고에 적용된 제빙기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얼음은 사방에서 얼어 들어가는 방식으로 얼려진다. 따라서 얼음의 내부에 공기가 포집이 되고, 어는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불투명한 얼음이 생성이 된다. 투명한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흘리던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뿌리면서 한쪽 방향으로 얼음을 성장시키면서 만드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냉장고 내에서는 영하의 온도에서 얼음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물을 흘리거나 뿌릴 수가 없다. Ice produced using an ice maker used in a typical refrigerator is frozen in such a way that it freezes from all sides. Therefore, air is trapped inside the ice, and because the freezing speed is fast, opaque ice is created. To make transparent ice, there is also a method of making ice grow in one direction by flowing water from top to bottom or spraying water from bottom to top. However, because ice must be made at sub-zero temperatures inside the refrigerator, water cannot be spilled or sprinkled.

따라서 얼음이 한 쪽 방향으로 성장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데, 좀 더 효율적으로 구현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a method that allows ice to grow in one direction must be used, but it needs to be implemented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투명하면서 구형 형상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maker capable of providing transparent and spherical 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명 얼음을 제조할 때에, 트레이의 하단에 히터를 설치하는 제빙기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트레이의 복수 개의 셀에 대해서 하나의 히터를 이용해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히터는 트레이의 셀의 하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상을 변형시켜서, 히터가 트레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셀에 공급되는 열을 균등하게 유지해서, 각각의 셀에 얼려지는 얼음 생성 속도가 균일해질 수 있도록 각 셀과 히터의 접촉 면적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maker that installs a heater at the bottom of a tray when producing transparent 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Heat can be supplied to multiple cells in a tray using one heater.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heater can be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 of the tray, thereby increasing the area where the heater is in contact with the tray. 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heat supplied to a plurality of cells equally, the contact area between each cell and the heater can be made the same so that the rate of ice formation in each cell can be uniform.

또한 하측 트레이의 셀 형상(구형, 큐브형)에 따라 히터를 대략 8자로 배열하여 히터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다. 히터와 하측 푸셔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면서, 히터가 하측 트레이에 접할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cell shape (spherical, cube) of the lower tray, the heaters can be arranged in an approximate 8 shape and attached to the heater case. While interference between the heater and the lower pusher can be avoided, the area where the heater can contact the lower tray can be increased.

한 개의 히터로 복수 개의 셀의 하단을 가열할 경우, 히터와 트레이의 접촉길이를 동일하게 설계하여, 가열량에 따른 제빙속도편차를 줄일 수 있다. 이빙과정 중 하측 푸셔에 의해 하측 트레이가 변형되므로 히터는 하측 히터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When heating the bottom of multiple cells with one heater, the ice-making speed deviation depending on the heating amount can be reduced by designing the contact length between the heater and the tray to be the same. Since the lower tray is deformed by the lower pusher during the moving process, the heater can be fixed to the lower heater case.

또한 본 실시예는 얼음을 제조할 때에 히터를 이용하는데, 트레이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해서, 얼음이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얼음의 결빙 방향을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트레이의 하단에 히터를 장착하면, 트레이에 히터를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Additionally, this embodiment uses a heater when producing ice,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tray to allow the ice to grow upward or downward. In particular, if a heater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tray to guide the freezing direction of ice downward,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heater integrally in the tra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형 얼음을 제빙할 때에, 얼음이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얼음이 생성되어가는 과정에서 얼음의 부피 팽창으로 인해 얼음 하단부가 볼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can be provided to prevent the ice from being crushed when spherical ice is made.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 part of the ice from becoming convex due to volume expansion of the ice during the ice creation process.

본 발명은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에 결합해서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상기 하측 트레이에 배치되는 히터; 및 상기 히터가 결합되는 하측 히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케이스는 상기 하측 트레이에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ray having cells forming part of a space where ice is frozen; a lower tra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including cells that combine with cells of the upper tray to form a space in which ice is frozen; a heater disposed on the lower tray; and a lower heater case to which the heater is coupled, wherein the heater case is movably coupled to the lower tray.

상기 히터는 상기 하측 트레이의 상면에 노출되게 결합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가 이동되더라도 상기 하측 트레이와 상기 히터는 지속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heater is coupl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ray, so that even if the lower tray is moved, the lower tray and the heater can be continuously contacted.

상기 셀 내에 물이 얼어가면서 부피가 팽창하면,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는 상기 하측 트레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water in the cell freezes and expands, the lower heater case can be moved away from the lower tray.

상기 히터 케이스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셀의 일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heater case, and a portion of the cell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상기 하측 트레이를 고정하는 하측 트레이 케이스와, 상기 히터 케이스와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의 간극을 조절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include a lower tray case that fixes the lower tray, and a spring that adjusts the gap between the heater case and the lower tray case.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와 상기 히터 케이스는 볼트에 의해서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볼트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lower tray case and the heater case are coupled by bolts, and the spring can be inserted into the bolt.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히터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볼트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One end of the spring may be supported by the heater case,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may be supported by the bolt.

본 발명은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에 결합해서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및 상기 상측 트레이 또는 상기 하측 트레이에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얼음이 얼려지기 위해서 냉기가 공급되는 동안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ray having cells forming part of a space where ice is frozen; a lower tra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including cells that combine with cells of the upper tray to form a space in which ice is frozen; and a heater disposed on the upper tray or the lower tray, wherein the heater is driven while cold air is supplied to freeze ice.

상기 히터는 상기 상측 트레이 또는 상기 하측 트레이에 매립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The heater may be integrally formed by being embedded in the upper tray or the lower tray.

상기 히터가 상기 상측 트레이에 마련되고, 얼음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성장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heater is provided in the upper tray, and ice can grow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기 히터가 상기 하측 트레이에 마련되고, 얼음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성장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heater is provided in the lower tray, and ice can grow from top to bottom.

상기 셀에서 얼음이 생성되고,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때에 상기 히터가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for ice to be produced in the cell and for the heater to be driven when separating the ice from the tray.

상기 히터는 상기 상측 트레이 또는 상기 하측 트레이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heater may be provided only on either the upper tray or the lower tray.

본 발명은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 트레이의 복수 개의 셀에 결합해서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하나로 연결되어서, 복수 개의 셀에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ray having a plurality of cells forming part of a space where ice is frozen; a lower tra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including cells that combine with a plurality of cells of the upper tray to form a space in which ice is frozen; and a heater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tray, wherein the heaters are connected as one and supply heat to a plurality of cells.

상기 히터가 결합되는 하측 히터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케이스는 상기 하측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t may further include a lower heater case to which the heater is coupled, and the heater case may be disposed below the lower tray.

상기 히터는 상기 하측 트레이의 상측에 배치되어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고, 노출된 일부는 상기 하측 트레이에 접촉하게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heater may be arranged above the lower tray so that part of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xposed part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tray.

상기 히터는 곡선 형태로 배치되는 곡선부와 직선 형태로 배치되는 직선부가 번갈아가면서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The heater may have curved parts arranged in a curved shape and straight part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ternately arranged.

상측으로 돌출된 하측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하측 푸셔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셀의 중앙부위에는 배치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It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usher protruding upward, and the heater may not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ell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pusher.

상기 히터는 상기 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heater may be disposed along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ll.

상기 하측 푸셔가 상기 하측 트레이를 변형시키면, 상기 히터는 상기 하측 트레이와 접촉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lower pusher deforms the lower tray, it is possible for the heater to not contact the lower tr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측 트레이의 하단에 히터를 설치하면서 하측 푸셔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많은 면적으로 하측 트레이와 히터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효율 개선에 따른 에너지 저감이 가능하며, 과도한 가열에 따라 제빙기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해서 얼음 질 향상에 도움을 준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stalling the heater at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the lower tray and the heater can be in contact with a large area while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lower pusher. Therefore, the contact area increases, enabling energy savings due to improved efficiency, and helps improve ice quality by prevent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er from rising due to excessive heating.

또한 한 개의 히터로 복수 개의 셀의 하단을 가열할 경우, 히터와 트레이와의 접촉되는 길이를 동일하게 설계하여, 가열량에 따른 제빙 속도 편차를 줄일 수 있고,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의 편차를 감소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heating the bottom of multiple cells with one heater, the length of contact between the heater and the tray can be designed to be the same, thereby reducing the deviation in ice-making speed depending on the heating amount and reducing the deviation in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can do.

또한 히터를 상기 하측 트레이에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 가이드를 구비해서, 하측 푸셔가 하측 트레이를 눌러서 히터와 하측 트레이의 접촉이 해지될 때에도, 히터가 하측 히터 케이스에 계속 고정될 수 있다. 히터가 반복되는 제빙/이빙 과정에도 하측 히터 케이스로부터 탈거되지 않아 가열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guide is provided to fix the heater to the lower tray, so that even when the lower pusher presses the lower tray and the contact between the heater and the lower tray is broken, the heater can continue to be fixed to the lower heater case. Heating deviation can be reduced because the heater is not removed from the lower heater case even during repeated ice making/moving process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 상단 또는 하단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성하여 결빙이 상향 또는 하향 중 어느 하나로 일정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속에 공기가 얼음이 생성되면서 외부로 배출되어서 투명한 얼음이 제조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eezing can be implemented consistently either upward or downward by forming a heater that heats the top or bottom of the tray. Therefore, the air in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ice is created, and transparent ice can be produced.

또한 상측 트레이 또는 하측 트레이에 히터를 일체형으로 삽입해서, 히터의 모든 면이 트레이와 접촉되어,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의 접촉 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가 상측 또는 하측 히터 케이스에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빙/이빙 과정을 통해 히터가 히터케이스에서 탈거될 위험이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히터 케이스를 생략해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Additionally, by inserting the heater integrally into the upper or lower tray, all surfaces of the heater are in contact with the tray,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Therefore, contact thermal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since the heater is not installed in the upper or lower heater case, there is no risk of the heater being removed from the heater case through the de-icing/moving process, and material costs can be reduced by omitting the heater case if necessary.

특히 얼음의 결빙방향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측 트레이에 히터를 일체형으로 삽입하는 경우에는 히터를 이빙과 제빙시에 함께 사용할 수 있어서, 여러 개의 히터가 아닌 하나의 히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a heater is integrated into the upper tray to guide the freezing direction of ice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heater can be used together for moving and de-icing, and material costs are reduced because one heater is used rather than multiple heaters. It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형 형상의 얼음이 얼어가면서 하측의 특정 부위가 볼록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구형 형상을 가지는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물에서 얼음으로 변화해가면서 밀도 변화로 부피가 켜져가는 과정에서도, 얼음이 전체적으로 구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pecific lower portion of the spherical-shaped ice from becoming convex as it freezes,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spherical-shaped ice. In particular, it allows ice to maintain its overall spherical shape even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water to ice and increasing volume due to density chan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설명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빙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제빙기의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11은 제빙기의 일부 구성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제빙기에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4는 제빙기에서 이빙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개략도.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프레임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프레임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프레임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n ice make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ice maker.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Figures 6 to 11 are diagrams showing some components of an ice maker combined.
Figures 12 and 13 are diagrams explaining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er.
Figure 1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process of moving ice from an ice maker.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6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he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a he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a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a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0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1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heat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heate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2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heate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dditionally,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설명한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n ice maker.

도 1(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10, 20, 3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10, 20, 30)는 회전되는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0, 20)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a),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oors 10, 20, and 30 that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The doors 10, 20, and 30 include doors 10 and 20 that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by rotating and a door 30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by sliding.

도 1(b)는 냉장고의 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인데, 냉장고 캐비닛(14)는 냉장실(18)과 냉동실(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4)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동실(32)은 하측에 배치되어서, 각각의 도어에 의해서 각각의 저장실이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측에 냉동실이 배치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배치된 냉장고에서도 적용가능하다.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rear of the refrigerator, where the refrigerator cabinet 14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hamber 18 and a freezing chamber 32.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4 is located at the top, and the freezer compartment 32 is located at the bottom, so that each storage compartment can be opened and closed individually by each doo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freezer compartment is placed at the top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is placed at the bottom.

상기 냉동실(32)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이 서로 구분될 수 있고, 하부 공간은 공간으로부터 인출입이 가능한 드로워(40)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32)는 하나의 도어(30)에 의해서 개폐가 가능하더라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freezer compartment 32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nd the lower space is equipped with a drawer 40 that can be drawn in and out of the space. Although the freezer compartment 3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single door 30, it can be divided into two spaces.

상기 냉동실(32)의 상부 공간에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기(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빙기(200)에서 생산된 얼음이 낙하되어 보관되는 아이스 버킷(600)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스 버킷(600)을 꺼내서, 상기 아이스 버킷(600)에 저장된 얼음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600)은 상기 냉동실(32)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가르는 수평 벽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An ice maker 200 capable of producing ice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sp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32. An ice bucket 60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ce maker 200 into which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200 is dropped and stored. The user can take out the ice bucket 600 and use the ice stored in the ice bucket 600. The ice bucket 60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wall dividing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32.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4)에는 상기 제빙기(200)에 냉기를 공급하는 턱트(50)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50)는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토출되어서, 상기 제빙기(200)를 냉각한다. 상기 제빙기(200)에 공급된 냉기에 의해서 상기 제빙기(200)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abinet 14 is provided with a tuft 50 that supplies cold air to the ice maker 200. The duct 50 cools the ice maker 200 by discharging cold air supplied from an evaporator where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is evaporated. Ice may be created inside the ice maker 200 by cold air supplied to the ice maker 200.

도 2에서 우측은 냉장고의 후방이고, 좌측은 냉장고의 전방 즉 도어가 설치된 부분인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덕트(50)는 상기 캐비닛(14)의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캐비닛(14)의 전방을 향해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덕트(50)의 전방에 배치된다. In Figure 2, the right side may be the rear of the refrigerator, and the left side may be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part where the door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duct 5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14 and can discharge cold air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14. The ice maker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uct 50.

상기 덕트(50)의 토출구는 상기 냉동실(32)의 천장에 위치해서, 상기 제빙기(200)의 상측에 냉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discharge port of the duct 50 is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freezer 32, making it possible to discharge cold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ice maker 2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제빙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제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ce maker, an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도 3a와 도 4a는 상기 냉동실(32)에 제빙기(200)를 고정하는 브라켓(220)이 포함된 도면이고, 도 3b와 도 4b는 상기 브라켓(220)이 제거된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빙기(200)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상기 브라켓(2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빙기(200)는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기(200)가 상기 냉동실(32)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FIGS. 3A and 4A are diagrams showing the bracket 220 that secures the ice maker 200 to the freezer compartment 32, and FIGS. 3B and 4B are diagrams showing the bracket 220 removed. Each component of the ice maker 200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bracket 220, so that the ice maker 200 can form one assembly. Accordingly, the ice maker 200 can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freezer compartment 32.

상기 브라켓(200)의 내측면 상측에는 필컵(240)이 설치된다. 상기 필컵(240)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어서, 상기 필컵(240)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필컵(240)의 하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필컵(240)의 상측 개구부는 하측 개구부보다 커서, 상기 필컵(240)을 통해서 하부로 안내되는 물의 토출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A peel cup 240 is install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200. The peel cup 240 is provided with opening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nd guides the water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peel cup 240 to the lower side of the peel cup 240. The upper opening of the peel cup 240 is larger than the lower opening, which may limit the discharge range of water guided downward through the pill cup 240.

상기 필컵(240)의 상측으로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 배관이 설치되어서, 상기 필컵(240)으로 물을 공급되고,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필컵(240)은 상기 급수 배관에서 토출되는 물이 높은 위치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해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컵(240)은 상기 급수 배관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상기 필컵(240)까지 튀지 않고 안내되고, 낮아진 높이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물이 튀는 양을 줄일 수 있다.A water supply pipe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ll cup 240,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pill cup 240 and moved to the lower part. The peel cup 240 prevents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from falling from a high position,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splashing. Since the pill cup 240 is disposed below the water supply pipe, water is guided to the pill cup 240 without splashing, and the amount of water splashing can be reduced even if it moves downward due to the lowered height.

상기 제빙기(200)는 상측 트레이(320)와 하측 트레이(380)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복수 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마련된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마련된 셀이 겹쳐지면, 구형 형상을 이루에 되면서 그 내부에 물이 공급되고 냉각이 이루어지면, 구형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The ice maker 200 includes an upper tray 320 and a lower tray 380.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ells in which a plurality of ice can be generated. When the cells provided in the upper tray 320 and the cells provided in the lower tray 380 overlap, they form a spherical shape, and when water is supplied and cooled, spherical ice can be created.

상기 상측 트레이(320)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된다.The upper tray 320 is provided with opening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water fall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ray 320 can move downward.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하측에는 상측 트레이 커버(340)가 마련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 커버(340)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각각의 셀 형상에 대응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An upper tray cover 340 is provided below the upper tray 320. The upper tray cover 340 has opening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cell shape of the upper tray 320 and can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ray 320.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에는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가 결합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의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에는 상측 히터 케이스(280)가 마련된다. 상기 히터 케이스(280)에는 히터가 구비되어서, 상기 제빙기(200)의 상부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 케이스(280)에 매립되거나 일측면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tray case 3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ray 320, so that the upper appearance of the upper tray 320 can be maintained. An upper heater case 280 is provided in the upper tray case 300. The heater case 280 is equipped with a heater to supply heat to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er 200. The heater may be embedded in the heater case 280 or installed on one side.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에는 상측은 경사지고, 하측은 수직하게 연장된 가이드 홈(30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홈(302)은 상기 트레이 케이스(300)의 상측으로 연장된 부재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tray case 300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302 that is inclined on the upper side and extends vertically on the lower side. The guide groove 302 may be provided inside a member extending upwardly of the tray case 300.

상기 가이드 홈(302)에는 상측 푸셔(260)의 가이드 돌기(262)가 삽입되어서,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가이드 홈(302)을 따라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푸셔(260)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각각의 셀의 갯수와 동일하게 연장된 연장부(264)가 구비되어서, 각각의 셀에 위치한 얼음을 밀어낼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262 of the upper pusher 26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02,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62 can be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302. The upper pusher 260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ortion 264 extending equal to the number of cells in the upper tray 320, and can push ice located in each cell.

상기 상측 푸셔(260)의 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푸셔 링크(5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푸셔 링크(5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서, 상기 푸셔 링크(500)가 움직이면 상기 상측 푸셔(260)도 상기 가이드 홈(302)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262 of the upper pusher 260 is coupled to the pusher link 500.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26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usher link 500, so that when the pusher link 500 moves, the upper pusher 260 can als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302.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상측에는 하측 트레이 커버(360)가 구비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외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각각의 개별 얼음이 생성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복수 개의 셀이 구분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는데, 상기 하측 트레이 커버(360)는 상측으로 돌출된 셀을 감쌀 수 있다. A lower tray cover 36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tray 380 to maintain the appearance of the lower tray 380. The lower tray 380 has a shape that protrudes upward to separate a plurality of cells forming a space where individual ice can be created, and the lower tray cover 360 can cover the cells that protrude upward. there is.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하부에는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가 구비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하부로 돌출된 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일측에는 스프링(402)이 구비된다. A lower tray case 40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tray 380, so that the cell shape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lower tray 380 can be maintained. A spring 40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tray case 400.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하측에는 하측 트레이 히터 케이스(420)가 구비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 히터 케이스(420)에는 히터가 마련되어서, 상기 제빙기(200)의 하부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A lower tray heater case 420 is provided below the lower tray case 400. A heater is provided in the lower tray heater case 420 to supply heat to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er 200.

상기 제빙기(200)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480)가 구비된다.The ice maker 200 is equipped with a motor unit 480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의 일측에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에는 관통공(282)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일측에 연장된 연장부에는 관통공(40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82)과 상기 관통공(404)을 함께 관통하는 샤프트(440)이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440)의 양단에는 회전 암(46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440)은 상기 모터부(48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A through hole 282 is formed i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on one side of the upper tray case 300. A through hole 404 is formed i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lower tray case 400. A shaft 440 penetrating both the through hole 282 and the through hole 404 is provided, and rotary arms 46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haft 440, respectively. The shaft 440 can be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unit 480.

상기 회전 암(460)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402)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상기 스프링(402)이 인장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 암(460)의 위치가 초기 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One end of the rotary arm 46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pring 402, so that when the spring 402 is tensioned, the position of the rotary arm 460 can be moved to the initial value by a restoring force.

상기 모터부(480)내에는 모터와 복수 개의 기어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In the motor unit 480, a motor and a plurality of gear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모터부(480)에는 만빙 감지 레버(520)가 연결되어서, 상기 모터부(48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회전될 수 있다.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is connected to the motor unit 480, so that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can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motor unit 480.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어서, 양 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하게 배치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부분 중에 어느 하나는 상기 모터부(48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브라켓(220)에 결합되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회전되면서 상기 아이스 버킷(600)에 저장된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has an overall 'ㄷ' shape and may include a vertically extending portion at both ends and a horizontally disposed portion connecting the two vertically extending portions. Of the two vertically extending parts, one is coupled to the motor unit 480 and the other is coupled to the bracket 220, so that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is rotated and connected to the ice bucket 600. Stored ice can be detected.

상기 브레켓(220)의 내부 하측면에는 하측 푸셔(540)가 구비된다. 상기 하측 푸셔(540)는 상기 브라켓(220)에 결합되는 결합편(542)과 상기 결합편(542)에 설치된 복수 개의 연장부(544)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544)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셀의 갯수와 동일하게 마련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셀에 생성된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A lower pusher 540 is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bracket 220. The lower pusher 54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iece 542 coupled to the bracket 220 and a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544 installed on the coupling piece 542. The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544 are provided to equal the number of cells provided in the lower tray 380, so that ice generated in the cells of the lower tray 38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38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ushing things to become possible.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와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은 상기 샤프트(440)에 대해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샤프트(440)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화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tray case 300 and the lower tray case 400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haft 440, and can be arranged so that the angle changes around the shaft 440.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각각 실리콘과 같이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각각의 푸셔에 의해서 가압될 때에 순간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져 생성된 얼음이 트레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each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able, such as silicon, and are momentarily deformed when pressed by each pusher, so that the generated ic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

도 6 내지 도 11은 제빙기의 일부 구성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s 6 to 11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an ice maker are combined.

도 6은 상기 브라켓(220), 상기 필컵(240), 상기 하부 푸셔(540)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하부 푸셔(540)는 상기 브라켓(220)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 푸셔(540)의 연장부가 상기 결합편(542)로부터 연장된 방향이 수직하지 않고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220, the peel cup 240, and the lower pusher 540 are coupled. The lower pusher 54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220, and the extension of the lower pusher 540 is dispos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it extends from the coupling piece 542 is not vertical but is inclined downward.

도 7은 상측 히터 케이스(280)와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heater case 280 and the upper tray case 300 are combined.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는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의 하측면에서 수평면이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와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은 상측에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각각의 셀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개구부의 형상은 각각의 셀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The upper heater case 280 may be arranged so that its horizontal surface is spaced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ray case 300. The upper heater case 280 and the upper tray case 300 have openings corresponding to each cell of the upper tray 320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the upper side, and the shape of each opening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form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ell.

도 8은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 상측 트레이(320), 상측 트레이 커버(34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tray case 300, the upper tray 320, and the upper tray cover 340 are combined.

상기 트레이 커버(340)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The tray cover 34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tray 320 and the upper tray case 300.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 상기 상측 트레이(320), 상기 트레이 커버(340)은 하나의 모듈과 같이 결합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 상기 상측 트레이(320), 상기 트레이 커버(340)는 상기 샤트프(440)에 하나의 부재와 같이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upper tray case 300, the upper tray 320, and the tray cover 340 are combined as one module, so that the upper tray case 300, the upper tray 320, and the tray cover 340 ) is disposed on the shaft 440 so that it can rotate together like a single member.

도 9는 하측 트레이(380), 하측 트레이 커버(360),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tray 380, the lower tray cover 360, and the lower tray case 400 are combined.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측 트레이 커버(360)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은 하측에 배치된다.With the lower tray 380 in between, the lower tray cover 36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tray case 40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각각의 셀은 구형 얼음의 하부를 이룰 수 있도록 반구형상을 가진다.Each cell of the lower tray 380 has a hemispherical shape to form the bottom of a spherical ice cube.

도 10은 하측 트레이 커버(360), 하측 트레이(380),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 하측 히터 케이스(42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tray cover 360, lower tray 380, lower tray case 400, and lower heater case 420 are combined.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는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를 고정할 수 있다.The lower heater case 42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tray case and can fix a heater that supplies heat to the lower tray 380.

도 11은 도 8과 도 10이 결합되고, 회전암(460), 샤프트(440), 푸셔 링크(5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IGS. 8 and 10 are combined and the rotary arm 460, shaft 440, and pusher link 500 are combined.

상기 회전 암(460)의 일단은 상기 샤프트(44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402)에 결합된다. 상기 푸셔 링크(500)의 일단은 상기 상측 푸셔(26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샤프트(44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One end of the rotary arm 460 is coupled to the shaft 44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pring 402. One end of the pusher link 500 is coupled to the upper pusher 260, and the other end is arranged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shaft 440.

도 12 및 도 13은 제빙기에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Figures 12 and 13 are diagrams explaining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er.

도 12는 제빙기를 측면에서 바라보면서, 물이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빙기를 정면에서 바라보면서 물이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while looking at the ice maker from the side, and FIG. 1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while looking at the ice maker from the front.

도 12a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서로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다가, 도 12b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를 향해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 일부가 겹쳐지기는 하지만,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완전히 맞물려서 그 내부 공간이 구형 형상을 이루지는 않는다.As shown in FIG. 12A ,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pl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n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toward the upper tray 320 as shown in FIG. 12B . At this time, although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partially overlap,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not completely engaged, so the inner space does not have a spherical shape.

도 12c에서와 같이 상기 필컵(240)을 통해서 물이 트레이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완전히 맞물린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물의 일부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바깥으로 넘어간다. 다만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을 이격되도록 감싸게 형성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물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넘치지는 않는다. As shown in Figure 12c, water is supplied into the tray through the fill cup 240. Since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not completely engaged, some of the water flows out of the upper tray 320. However, since the lower tray 380 has a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ray 320 to be spaced apart, water does not overflow the lower tray 380.

도 13은 도 12c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인데, 도 13a와 도 13b의 순서로 상태가 변화된다.Figure 13 is a diagram specifically explaining Figure 12c, and the state changes in the order of Figures 13a and 13b.

도 12c와 같이 상기 필컵(240)을 통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 물이 공급될 때에, 상기 필컵(240)은 트레이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2C,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through the fill cup 240, the fill cup 240 is disposed biased to one side of the tray.

즉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는 복수 개의 독립적인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셀(322, 324, 326)이 구비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도 복수 개의 독립적인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셀(382, 384, 386)이 구비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배치된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배치되는 셀이 합쳐지면서 하나의 구형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upper tray 3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ells 322, 324, and 326 for produc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ice. The lower tray 380 is also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ells 382, 384, and 386 for produc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ice. One spherical ice may be created by combining the cells placed on the upper tray 320 and the cells placed on the lower tray 380.

도 13에서는 각각의 셀에 차 있는 물이 셀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12c에서와 같이 완전히 결합되지 않고, 전방 측이 벌이진다.In FIG. 13,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not completely joined as in 12c, but the front sides are separated so that the water filled in each cell can move between cells.

도 13a에서와 같이 물이 좌측에 위치한 셀(322, 382)의 상측에 공급되면, 물은 셀(322, 382)의 내부로 이동한다. 이때 하측에 위치한 셀(382)를 넘치면, 물은 좌측에 위치한 셀(384, 486)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셀은 각각 서로 완전히 격리되지 않기 때문에, 셀 내에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 상승되면 물은 주변의 셀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셀에 물을 모두 채울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A,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lls 322 and 382 located on the left, the water moves inside the cells 322 and 382. At this time, if the water overflows the cell 382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water may move to the cells 384 and 486 located on the left. Since the plurality of cells are not completely isol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water level within the cell rises above a certain level, the water moves to the surrounding cells, filling each cell with water.

상기 제빙기(200)의 외부에 마련된 급수 배관에 배치된 급수 밸브에서 정해진 물이 공급된 경우에는 유로를 닫아서, 물이 상기 제빙기(200)로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When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pipe provided outside the ice maker 200, the flow path can be closed to prevent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ice maker 200 any more.

도 14는 제빙기에서 이빙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Figure 1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process of moving ice from an ice maker.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도 12c에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도 14a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셀이 구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상기 상측 트레이(320)가 완전히 결합되어 각각의 셀에 물이 구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when the lower tray 380 in FIG. 12C is further rotated counterclockwise based on the drawing,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have a spherical cell as shown in FIG. 14A. It can be arranged to form a shape. The lower tray 380 and the upper tray 320 can be completely combined and arranged so that water is separated into each cell.

도 14a의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냉기가 공급되면, 트레이의 셀에는 얼음이 생성된다. 냉기에 의해서 물이 얼음으로 변화되는 동안 도 14a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서로 맞물려서 물이 이동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When cold air is suppli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the state shown in FIG. 14A, ice is created in the cells of the tray. While water is changed into ice by cold air,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14A, and the water is maintained in a non-moving state.

트레이의 셀에 얼음이 생성되면, 도 14b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는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When ice is created in the cells of the tray, the upper tray 320 is stopped and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clockwise, as shown in FIG. 14B.

이때 얼음은 자체적으로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는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는 상기 상측 푸셔(260)가 하강하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얼음이 붙어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because the ice has its own weight, it may fall from the upper tray 320. In this case, as the upper pusher 260 descends on the upper tray 320, ice can be prevented from sticking to the upper tray 320.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얼음의 하부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14b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수직한 각도를 넘길 정도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얼음이 붙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Since the lower tray 380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the ice remains mounted on the lower tray 380 even if the lower tray 380 moves clockwise. As shown in FIG. 14B, ice may remain on the lower tray 380 even when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beyond the vertical angl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바닥을 변형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변형되면서 얼음과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접착력이 약화되어서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pusher 540 deforms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380, and as the lower tray 380 is deformed,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ice and the lower tray 380 is weakened, so that the ice is transferred to the lower tray 380. It may fall from the tray 380.

이후에 얼음은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아이스 버킷(600)으로 낙하될 수 있다.The ice may then fall into the ice bucket 600, although not shown in FIG. 14 .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Figure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 또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온도를 측정하는 트레이 온도 센서(700)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5,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y temperature sensor 700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tray 320 or the lower tray 380.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서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800)에 전달된다.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ray temperature sensor 7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800.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모터부(520)를 제어해서, 상기 모터부(520)에서 모터가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motor unit 520 to rotate the motor in the motor unit 520.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빙기(200)에 공급되는 물의 유로를 개폐하는 급수 밸브(740)를 제어해서, 상기 제빙기(200)로 물이 공급되거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0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740, which opens and closes the water flow path supplied to the ice maker 200, to supply water to the ice maker 200 or stop the supply.

상기 모터부(520)가 동작되면, 상기 하측 트레이(380) 또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motor unit 520 operates, the lower tray 380 or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520 may be rotated.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는 제1히터(430)가 마련된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배치되어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430)는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측 히터를 의미할 수 있다.A first heater 430 is provided in the lower heater case 420. The first heater 430 is disposed in the lower heater case 420 and can supply heat. Since the first heater 430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tray, it may refer to a lower heater.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에는 제2히터(290)가 마련된다. 상기 제2히터(290)는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에 배치되어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290)는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측 히터를 의미할 수 있다.A second heater 290 is provided in the upper heater case 280. The second heater 290 is disposed in the upper heater case 280 and can supply heat. Since the second heater 290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tray, it may refer to an upper heater.

상기 제1히터(430)와 상기 제2히터(290)에는 상기 제어부(800)의 명령에 따라 전력이 공급되어서, 열을 발생할 수 있다.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heater 430 and the second heater 290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800, so that heat can be generated.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이다. Figure 16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he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6은 하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 케이스에 제2히터가 배치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하측 트레이를 아래쪽에서 올려다 본 방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6a는 큐브 형태의 얼음을 얼리는 하측 트레이에 제2히터가 적용된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16b는 구형 형태의 얼음을 얼리는 하측 트레이에 제2히터가 적용된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Figure 16 is a view of the lower tray viewed from below to show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heater is disposed on the lower tray and the lower tray case. Specifically, FIG. 16A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heater is applied to the lower tray for freezing cube-shaped ice, and FIG. 16B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heater is applied to the lower tray for freezing spherical-shaped ice. am.

큐브 형태의 얼음을 얼리는 하측 트레이는 각각의 셀(322, 324, 326)이 큐브 형태의 형상을 가진 반면에, 구형 형태의 얼음을 얼리는 하측 트레이는 각각의 셀(322, 324, 326)이 구 형상을 가진다.The lower tray that freezes cube-shaped ice has each cell (322, 324, 326) having a cube-shaped shape, while the lower tray that freezes spherical-shaped ice has each cell (322, 324, 326). It has a spherical shape.

상기 제1히터(430)는 복수 개의 셀에 각각 열을 공급하는데, 하나의 부재로 구성된다.The first heater 430 supplies heat to each of a plurality of cells and is composed of one member.

즉 상기 제어부(800)에 의해서 상기 제1히터(430)에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히터(430)에서 발생되는 열은 각각의 셀에 모두 공급될 수 있다. 즉 도 16에서는 복수 개의 셀에 열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의 히터를 배치하는 구성이다.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heater 430 by the control unit 800, all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er 430 can be supplied to each cell. That is, in Figure 16, one heater is arranged to supply heat to a plurality of cells.

상기 제1히터(430)는 하나의 와이어로 구성되어서, 두 개의 단자를 통해서 냉장고의 다른 부품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되어서 열이 발생될 수 있다.The first heater 430 is composed of one wire, and heat can be generated by applying current from other parts of the refrigerator or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two terminals.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개략도이다. Figure 17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he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7a에서는 히터를 고정하기 위해서 히터 케이스에 안착홈(421)이 마련된 형태이고, 도 17b에서는 히터를 고정하기 우해서 히터 케이스에 안착홈(421)과 고정 가이드(429)가 함께 마련된 예이다.In Figure 17a, a seating groove 421 is provided in the heater case to fix the heater, and in Figure 17b, a seating groove 421 and a fixing guide 429 are provided together in the heater case to fix the heater.

형성된 얼음을 이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면,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상기 하측 푸셔(540)에 의해서 눌려져서 변형이 되면서,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ormed ice, the lower tray 380 may be rotated. When the lower tray 380 is rotated more than a certain angle, the lower tray 380 is pressed by the lower pusher 540 and deformed, so that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380.

이때 상기 하측 푸셔(540)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변형시킬 때에, 상기 제1히터(430)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의 상기 안착홈(421)에 고정되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는 접촉만 된 상태이다. 상기 하측 푸셔(540)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상측으로 눌러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1히터(430)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At this time, when the lower pusher 540 deforms the lower tray 380, the first heater 430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380. That is, as shown in FIGS. 17A and 17B, the first heater 430 is fixed to the seating groove 421 of the lower heater case 420 and is only in contact with the lower tray 380. Even if the lower tray 380 is deformed when the lower pusher 540 pushes the lower tray 380 upward, the first heater 430 remains fixed to the lower heater case 420. , the first heater 430 does not undergo deformation.

특히 도 17b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히터(430)을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고정하는 고정 가이드(429)가 마련되어서, 상기 제1히터(430)를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고정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7B, a fixing guide 429 is provided for fixing the first heater 430 to the lower heater case 420, so that the first heater 430 is connected to the lower heater case 420. It can be fixed to .

따라서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승하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누르는 상황에서도,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는 물론 상기 제1히터(430)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Therefore,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lower pusher 540 rises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heater case 420 and presses the lower tray 380, not only the lower heater case 420 but also the first heater 430 ), no deformation occurs.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는 각각의 셀이 상기 하측 푸셔(540)에 의해서 눌려져서, 셀에 형성된 얼음이 셀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각각의 셀의 중앙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셀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하측 푸셔(540)의 연장부(544)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관통공은 하나의 큰 관통공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lower heater case 420, each cell is pressed by the lower pusher 540,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each cell so that ice formed in the cell can be discharged from the cell. . The number of through holes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cells. Additionally, the number of through holes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extensions 544 of the lower pusher 540.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arrang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form one large through hole.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이다. Figure 18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6에서와 같이 히터를 배치하면, 즉 상기 제1히터(430)를 U자 방식으로 배열할 경우 한 평면에 위치한 상기 제1히터(43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접촉 길이는 전체 상기 제1히터(430) 길이의 일부(대략 35%)에 해당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열을 공급하는 면적이 크지 않다. 따라서 제빙시 가열되는 히터의 효율을 저감시켜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며, 제빙기 주변의 온도만 상승시킨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When the heater is arranged as shown in FIG. 16, that is, when the first heater 430 is arranged in a U-shape, the contact length between the first heater 430 and the lower tray 380 located on one plane is the entire Since it corresponds to a portion (approximately 35%) of the length of the first heater 430, the area for supplying heat to the lower tray 380 is not large. Therefore, energy efficiency is lowered 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heater heated during ice making, and it can cause the problem of on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ice maker.

또한, 각각의 셀 간에 가열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셀(322, 324, 326)에 히터와의 접촉되는 길이는 서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셀 에서 상기 제1히터(43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열양에 차이가 발생되고, 각각의 셀에서 얼음이 성장하는 데에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만일 최대로 열이 전달되는 셀을 기준으로 트레이에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를 조절하면 제빙 속도가 느려져서, 동일 시간 대비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얼음의 양이 줄어든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최소로 열이 전달되는 셀을 기준으로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를 조절하면 제빙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그러나 제빙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에는 일부 셀에서는 얼음에 공기가 포집되어서 생산된 얼음이 투명하지 않고 불투명할 가능성이 높다.Additionally, heating variations may occur between each cell. The contact lengths of the cells 322, 324, and 326 of the lower tray 380 with the heater are different.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heat delivered from the first heater 430 in each cell, and there is bound to be a difference in the growth of ice in each cell. Therefore, if the speed at which ice is created in the tray is adjusted based on the cell through which heat is transferred to the maximum, the ice-making speed slows down,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ice provided to the user decreases compared to the same time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ice-making speed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speed at which ice is created based on the cell through which heat is transferred to the minimum. However, when the ice-making speed increases, air is trapped in the ice in some cells,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roduced ice will be opaque rather than transparen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셀(322, 324, 326)의 하단면의 형상에 따라 대략 8자형으로 상기 제1히터(430)를 배열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eater 430 is arranged in approximately an 8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ells 322, 324, and 326 formed in the lower tray 380.

상기 제1히터(430)는 직선부(432)와 곡선부(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직선부(432)와 상기 곡선부(434)를 번갈아가면서 포함하고,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heater 430 includes a straight portion 432 and a curved portion 434. The first heater 430 includes the straight portions 432 and the curved portions 434 alternately, and the first heater 430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around the center of the cell.

하나의 셀(322, 324, 326)에서 그 하단부를 상기 제1히터(430)의 곡선부(434)가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서, 각각의 셀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The curved portion 434 of the first heater 430 is arranged to partially surround the lower end of one cell 322, 324, and 326, so that heat can be provided to each cell.

도 18에 따른 실시예는 도 16에 따른 실시예에 비해서, 각각의 셀에 열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다. 각각의 셀에 상기 제1히터(430)의 접촉 면적이 크기 때문에 더 많은 열을 셀에 공급할 수 있어서, 상기 제1히터(430)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양을 줄여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얼음 제빙을 위한 하단히터 적용에 따른 하형 제빙방향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Compared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6,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8 can supply heat to each cell equally. Since the contact area of the first heater 430 in each cell is large, more heat can be supplied to the cell, and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eater 430. there is. Therefore, the bottom ice-making direction can be efficiently implemented by applying the bottom heater for transparent ice ice-making.

참고로, 발명자는 도 16b와 같은 형태로 히터를 배치해서 열 전달 효율이 35%이었으나, 도 17b와 같은 형태로 히터를 배치해서 열 전달 효율이 대략 63%로 상승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 16b에 비해서 도 17b와 같은 실시예에서 동일한 전력이 히터에 공급된 상태에서 히터에서 발생되는 더 많은 열이 상기 하측 트레이의 각각의 셀에 전달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inventor confirmed that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was 35% by arranging the heater in the form shown in FIG. 16b, but that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ncreased to approximately 63% by arranging the heater in the form shown in FIG. 17b. Therefore, compared to FIG. 16B,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7B, mor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can be transferred to each cell of the lower tray when the same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상기 제1히터(430)의 상기 곡선부(434)는 상기 복수 개의 셀(322, 324, 326) 의 하단부를 일부 감싸서,상기 제1히터(430)에서 발생되는 열은 각각의 셀의 하단을 통해서 얼음의 하부를 가열할 수 있다. 얼음이 생성되는 동안 트레이의 상측에서는 냉기가 공급되고, 트레이의 하측에서는 상기 제1히터(430)에 의해서 열이 공급된다. 따라서, 트레이의 상측은 상대적으로 고온이고, 트레이의 하측은 상대적으로 저온을 이루어서, 트레이의 셀에 형성되는 얼음은 상측에 먼저 형성되고, 시간이 경과할 수록 얼음은 아래쪽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성장될 수 있다.The curved portion 434 of the first heater 430 partially surrounds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cells 322, 324, and 326, an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first heater 430 is directed to the lower ends of each cell. The lower part of the ice can be heated through this. While ice is being created, cold air is su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ray, and heat is suppli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tray by the first heater 430. Therefore, the upper side of the tray is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the lower side of the tray is relatively low temperature, so the ice formed in the cells of the tray is first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s time passes, the ice can grow in a downward direction. there is.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이다. Figure 19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9a는 큐빅 형상의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380)에 제1히터(430)가 설치된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고, 도 19b는 구 형상의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380)에 제1히터(430)가 설치된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FIG. 1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er 430 is installed on the lower tray 380 provided with a cell for generating cubic-shaped ice, and FIG. 19B is a diagram represen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er 430 is provided with a cell for generating spherical-shaped ice. This is a diagram expressing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er 430 is installed in the lower tray 380.

각각의 셀(322, 324, 326)에 상기 제1히터(430)가 접촉해서 배치되는 부분을 각각 L1, L2, L3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즉 상기 제1히터(430)가 상기 셀(322)에 접하는 히터의 길이를 L1이라고 하고, 상기 제1히터(430)가 상기 셀(324)에 접하는 히터의 길이를 L2라고 하고, 상기 제1히터(430)가 상기 셀(326)에 접하는 히터의 길이를 L3라고 할 수 있다. 즉 L1, L2, L3가 모두 동일하게 해서, 각각의 셀에 상기 제1히터(430)가 접하는 길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히터(430)가 상기 셀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구현해서 가열편차를 줄일 수 있다.The portions where the first heater 430 is in contact with each cell 322, 324, and 326 can be divided into L1, L2, and L3, respectively. That is, the length of the heater where the first heater 430 is in contact with the cell 322 is L1, the length of the heater where the first heater 430 is in contact with the cell 324 is L2, and the length of the heater where the first heater 430 is in contact with the cell 324 is L2. The length of the heater 430 in contact with the cell 326 may be referred to as L3. That is, by making L1, L2, and L3 all the same, the length of contact of the first heater 430 with each cell can be the same. Accordingly, the heating deviation can be reduced by implementing a length at which the first heater 430 can transfer heat to the cell.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각각의 셀에 하나의 히터에서 동일한 발열량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투명빙 제빙속도를 증가시키고, 얼음의 투명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In this way, the same amount of heat can be provided to each cell from one heater, which can increase the clear ice making speed and reduce the deviation of ice transparency.

상기 제1히터(430)을 배열하는 방식을 일부 셀은 다른 셀과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The first heater 430 may be arranged differently in some cells than in other cells.

도 19a에서, 상기 제1히터(430)를 배치할 때에, 셀(322)에 해당하는 부분은 다른 셀에 비해서 긴 곡선부(434)를 배치하고, 셀(324)에서는 변형된 형태의 곡선부(434)를 제공할 수 있으며, 셀(326)에서는 한 쪽에만 곡선부(434)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히터(430)가 각각의 셀에 접해서 열을 공급할 수 있는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배치하면, 다른 형태로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19A, when placing the first heater 430, a curved portion 434 that is longer than that of other cells is dispos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ll 322, and a curved portion of a modified shape is formed in the cell 324. 434 can be provided, and in the cell 326,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curved portion 434 on only one side. If the first heaters 430 are arranged to have the same length so that they can supply heat in contact with each cell, it is possible to modify them into other shapes.

도 19b에서, 상기 제1히터(430)를 배치할 때에, 셀(322)와 셀(324)에 해당하는 부분은 곡선부(434)와 직선부(432)를 함께 동일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430)를 셀(326)에 배치할 때에는 곡선부(434)를 다른 셀에 비해서 길게 배치해서, 하나의 히터로 모든 셀에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In FIG. 19B, when arranging the first heater 430, the curved portion 434 and the straight portion 432 may be equally disposed in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ells 322 and 324. When the first heater 430 is placed in the cell 326, the curved portion 434 can be arranged to be longer than that of other cells, so that heat can be supplied to all cells with one heater.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이다. Figure 20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히터(430)을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일체로 배치한다. 상기 제1히터(430)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이루는 부재의 내부로 들어가는 식으로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eater 430 is placed integrally with the lower tray 380. The first heater 430 is arrang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member forming the lower tray 380.

이빙을 위해서 상기 하측 푸셔(540)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변형하게 될 때에, 상기 제1히터(430)에는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하측 푸셔(540)의 중심이 누르는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L) 만큼 떨어진 곳에 상기 제1히터(43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상측으로 올리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제1히터(430)는 끊어지거나 하는 등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lower pusher 540 deforms the lower tray 380 for moving, the center of the lower pusher 540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L) from the pressed por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first heater 430. It is possible for the first heater 430 to be placed at a distance of ). Accordingly, when the lower pusher 540 raises the lower tray 380 upward, even if the lower tray 380 is deformed, the first heater 4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or damaged.

상기 제1히터(430)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430)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얼음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상측면에 접촉하는데, 상기 제1히터(43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430)와 얼음이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히터(430)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일체화되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4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거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상기 제1히터(430)의 열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히터(430)에서 더 적은 열을 방출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 만큼 열을 방출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어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히터(4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집중되어서, 얼음에 많은 양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측 트레이(380) 외에 다른 부재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감소되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heater 430 is provided in the lower tray 380,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er 430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lower tray 380. Ice contacts the upper side of the lower tray 380. Since the first heater 430 is installed in a way that it is embedded in the lower tray 380, the first heater 430 and the ice are placed close to each other. It can be. Additionally, because the first heater 430 is integrated with the lower tray 380,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er 4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in other direction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lower tray 380. Therefore, the heat of the first heater 430 can be used efficiently. That is, even if the first heater 430 emits less heat, it can achieve the effect of emitting as much heat as in other embodiments, thereby improving energy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er 430 is concentrated in the lower tray 380 and a large amount can be transferred to the ice, the temperature increase in other members other than the lower tray 380 is reduced. ,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20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제2히터(290)가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히터(290)는 제빙 시에는 사용되지 않고, 제빙이 완료된 후에 이빙에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2히터(290)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집중되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접하는 면에 많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히터(290)가 효율적으로 열을 얼음에 전달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될 때에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히터(29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를 거치지지 않고, 다른 부재를 가열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히터(290)가 상기 상측 트레이(320)외에 다른 부재의 온도를 높이는 양이 감소되어, 상기 제2히터(290)를 사용할 때에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second heater 290 t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tray 320 in a manner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20. The second heater 290 is not used when making ice, and can only be used for moving after ice making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heat generated by the second heater 290 is concentrated on the upper tray 320, so that a large amount of ice can be transferred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tray 320. Therefore, the second heater 290 efficiently transfers heat to the ice,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320. In addition, sinc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second heater 290 does not pass through the upper tray 320 and does not heat other members, the second heater 290 does not heat other members other than the upper tray 320. By reducing the amount of increase,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en using the second heater 290.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재질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두 개의 트레이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열전도율이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트레이 중 어느 하나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비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두 개 모두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각각 금속성 재질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거나, 각각 비금속성 재질인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두 개의 트레이 중 어느 하나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다른 하나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materials of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may vary. One of the two trays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relatively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other,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the same thermal conductivity. Additionally, one of the two trays may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and the other may be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or both trays may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or a non-metallic material. The upper tray 320 and the lower tray 380 may each be made of aluminum, a metallic material, or may be made of silicon, a non-metallic material.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for one of the two trays to be made of aluminum while the other is made of silicon.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히터(430) 또는 상기 제2히터(290) 중에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히터(43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히터(290)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제2히터(29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히터(430)을 구비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modifi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clude only one of the first heater 430 or the second heater 290. That is, when the first heater 430 is provided, the second heater 290 is not provided, and when the second heater 290 is provided, the first heater 430 is not provided. do.

이때 상기 제1히터(430)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빙을 할 때에는 냉기가 공급되는 도중에 상기 제1히터(430)만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히터(430)에 의해서 트레이의 하측은 상측에 비해서 온도가 높다. 따라서 얼음은 초기에 상측에서 생성되어서 하측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어서, 얼음이 한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case where only the first heater 430 is provided, only the first heater 430 can be driven while cold air is being supplied during ice making.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side of the tray is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 side due to the first heater 430 provided on the lower side. Therefore, ice can initially be created at the top and grow downward, allowing ice to grow in one direction.

그리고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배출할 때에는 상기 제1히터(430)를 구동해서 얼음이 트레이에 접촉된 면을 가열하고, 얼음의 일부를 녹여서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배출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제2히터(290) 없이, 상기 제1히터(430)만을 이용해서 제빙과 이빙을 구현할 수 있다.When discharging ice from the tray, the first heater 430 is driven to heat the surface where the ice is in contact with the tray, and some of the ice is melted to discharge the ice from the tray. In this example, ice making and ice removal can be implemented using only the first heater 430, without the second heater 290.

반면에, 제2히터(290)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빙을 할 때에는 냉기가 공급되는 도중에 상기 제2히터(290)만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2히터(290)에 의해서 트레이의 상측은 하측에 비해서 온도가 높다. 따라서 얼음은 초기에 하측에서 생성되어서 상측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어서, 얼음이 한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only the second heater 290 is provided, only the second heater 290 can be driven while cold air is being supplied during ice making.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side of the tray is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side due to the second heater 290 provided on the upper side. Therefore, ice can initially be created on the lower side and grow upward, allowing ice to grow in one direction.

그리고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배출할 때에는 상기 제2히터(430)를 구동해서 얼음이 트레이에 접촉된 면을 가열하고, 얼음의 일부를 녹여서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배출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제1히터(430) 없이, 상기 제2히터(290)만을 이용해서 제빙과 이빙을 구현할 수 있다.When discharging ice from the tray, the second heater 430 is driven to heat the surface where the ice is in contact with the tray, melt some of the ice, and discharge the ice from the tray. In this example, ice making and ice removal can be implemented using only the second heater 290, without the first heater 430.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프레임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Figure 21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heater fr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상측에는 반구형 셀(382)를 가진 하측 트레이(380)의 일부가 거치된다. 한편,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셀(382)의 일부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거치되다. 즉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복수 개의 셀 중에 하나의 셀은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 중앙은 별도의 구조물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는다. 즉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30)의 중앙 부위는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상기 셀(382)이 그대로 노출된다. 이 부위는 이빙이 이루어질 때에 상기 하측 푸셔(540)에 의해서 관통되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누르기 위해 형성된 개구부이다. Referring to FIG. 21, a portion of the lower tray 380 having a hemispherical cell 382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tray case 400. Meanwhile, a portion of the cells 382 of the lower tray 380 are mounted on the lower heater case 420. That is, one cell among the plurality of cells of the lower tray 380 is supported by the lower tray case and the lower heater case, and its center is not supported by a separate structure. That is,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heater case 430, so that the cell 382 of the lower tray 380 is exposed as is. This part is an opening formed to press the lower tray 380 while being penetrated by the lower pusher 540 when moving.

상기 셀(382)의 구형 형상 중 바깥 부분은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에 고정되고, 그 안쪽은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의해서 고정되며, 그 안쪽인 구 형상의 중앙 부위는 별도의 구조물이 배치되지 않는다. The outer part of the spherical shape of the cell 382 is fixed to the lower tray case 400, the inner part is fixed by the lower heater case 420, and the central part of the spherical shape inside is a separate structure. This is not placed.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복수 개의 셀(382, 384, 386)은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중앙 부위는 별도의 구조물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편의상 하나의 셀(382)에 국한해서 설명을 하지만, 나머지 셀(384, 386)에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The plurality of cells 382, 384, and 386 of the lower tray 380 are all formed in the same manner, with the central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supported by a separate structure. Therefore, for convenience, the explanation is limited to one cell 382, but the same information applies to the remaining cells 384 and 386.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는 과정에 부피가 팽창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로 급수가 완료된 후에 물이 완전히 얼기까지 추가 급수가 이루어지거나,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얼음이 상측에서 얼어서 하측으로 성장해 가는 경우에는 하측에 별도의 구조물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는 상기 셀(382)의 중앙 부위가 하부로 볼록하게 튀어나와서 구형 형상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셀(382)을 이루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구형 형상의 변형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다.When water freezes and becomes ice, its volume expands. In this embodiment, after water supply to the tray is completed, additional water is supplied or water is not discharged until the water is completely frozen. In particular, when ice freezes from the upper side and grows down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ll 382, which is not supported by a separate structure on the lower side, may protrude convexly downward, causing deformation of the spherical shape. In particular, if the lower tray 380 forming the cell 382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 that can be deformed, the deformation of the spherical shape may occur more significantly.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가 스프링(412)의 압축 또는 인장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마련해서, 구형 형상이 유지될 수 있게 구현한다. 즉 상기 스프링(412)에 의해서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가 이동되면서, 물에서 얼음으로 변환되어 부피가 팽창하면서 가해지는 힘이 전체적으로 분배되어서, 국부적으로 구형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heater case 420 is provided to be movable by compression or tension of the spring 412, so that the spherical shape can be maintained. That is, as the lower heater case 420 is moved by the spring 412, water is converted into ice and the volume expands, and the applied force is distributed overall, so that the spherical shape is not deformed locally.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는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에 볼트(410)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볼트(410)에는 스프링(412)이 마련되어서,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는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로부터 이동이 가능하다. The lower heater case 420 is fixed to the lower tray case 400 by a bolt 410. The bolt 410 is provided with a spring 412, so that the lower heater case 420 can be moved from the lower tray case 400.

셀에 물이 차 있는 경우에는 도 21a와 같이 상기 스프링(412)이 원래 길이를 가지고 있다가 물이 얼음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는 도 21b에서와 같이 상기 스프링(412)이 압축되면서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가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따라서, 상기 셀(382)의 중앙 부위가 아래로 볼록하게 팽창되어서, 구형상에서 아래쪽 일부 부위가 돌출된 변형된 구 형상의 얼음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When the cell is filled with water, the spring 412 has its original length as shown in FIG. 21a, but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water into ice, the spring 412 is compressed as shown in FIG. 21b, and the lower heater case ( 420) may be moved downward. According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ll 382 expands convexly downward, there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deformed spherical ice with a low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pherical shape.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가 아래쪽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1히터(43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상기 셀(382)가 접촉이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4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 지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얼음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히터와 트레이의 접촉이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상측은 온도가 낮은 반면에 하측은 온도가 높은 환경이 유지되어서, 얼음이 지속적으로 하향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다. Even if the lower heater case 420 is moved downward, the first heater 430 and the cell 382 of the lower tray 380 are maintained in contact,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first heater 430 is maintained. Heat may be continuously transferred to the lower tray 380. Therefore,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ice, because the contact between the heater and the tray is maintained, an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is low on the upper side and high on the lower side is maintained, allowing the ice to continuously grow in a downward direction.

셀(382) 내부가 물에서 얼음으로 변화되어 감에 따라, 얼음의 부피가 커져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셀(382)의 내부에서 바깥쪽을 향해서 밀어내는 힘이 증가되는데, 상기 스프링(412)이 압축되면서 상기 셀(382)의 내부 부피가 커질 수 있다. 이때 셀(382)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일부에 해당되므로, 실리콘으로 형성되어서 일정 수준으로 형상에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부피가 커져갈 때에 힘이 가해지는 방향이 상기 셀(382)의 내주면에 전체적으로 퍼질수 있기 때문에 구형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As the inside of the cell 382 changes from water to ice, the volume of ice increases. Accordingly, the force pushing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cell 382 increases, and as the spring 412 is compressed, the internal volume of the cell 382 may increase. At this time, since the cell 382 corresponds to a part of the lower tray 380, it is made of silicon and can be deformed in shape to a certain level. Therefore, as the volume increases, the direction in which force is applied can be spread throughou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ll 382, so that the spherical shape can be maintained.

한편 상기 볼트(410)는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에 결합된 부분은 나사산에 의해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에 대해서 상기 볼트(410)는 이동이 불가하게 고정된다.Meanwhile, since the portion of the bolt 410 coupled to the lower tray case 400 is coupled with a screw thread, the bolt 410 is immovably fixed to the lower tray case 400.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볼트(410)가 배치되는데, 상기 결합홈의 일단과 상기 볼트(410)의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412)이 삽입된다. 즉 상기 스프링(412)은 상기 결합홈과 상기 볼트(410)에 의해서 지지되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스프링(412)은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412)은 원래 길이로 복원된다. 상기 스프링(412)은 압축 스프링인 것이 가능하다.A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heater case 420, and the bolt 410 is disposed in the coupling groove. The spring 412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coupling groove and one end of the bolt 410. That is, the spring 412 is supported by the coupling groove and the bolt 410,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pring 412 is compress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spring 412 is restored to its original length. The spring 412 may be a compression spring.

참고로 상기 셀(382)는 중앙 하부쪽이 평평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가 얼음이 팽창하게 되는 경우에 구형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되어서, 얼음의 팽창에 따른 추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셀(382)의 하단부가 평평하지 않고, 도 21b와 같이 구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가 얼음으로 변환되면서 부피가 팽창하면,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이 하부로 이동되는 형태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For reference, the cell 382 has a flat shape at the lower center, but is transformed into a spherical shape when the ice expands, thereby securing additional space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ice. Of course, the lower part of the cell 382 is not flat and has a spherical shape as shown in FIG. 21b, but when it is converted to ice and expands in volume, the lower heater case 420 is moved downward. possible.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프레임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Figure 2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heate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22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상기 셀(382)에 얼음이 커져가는 과정에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가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로부터 이동이 가능한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일단과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의 사이에 스프링(414)가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414)가 압축되면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은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에 대해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igure 22 has a different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heater case 420 can be moved from the lower tray case 400 during the process of ice growing in the cell 382. That is, the spring 414 is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lower tray case 400 and the lower heater case 420. When the spring 414 is compressed, the lower heater case 420 may mov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tray case 400.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끝단에 플랜지가 구비되는 돌출부가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414)은 일단은 상기 플랜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의해서 안착되어서, 추가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가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다.The lower tray case 400 protrudes downward and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flange at the end. One end of the spring 414 is supported on the flange, and the other end is seated by the lower heater case 420, so that if no additio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lower heater case 42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case 400. It can be combined to prevent it from moving downward.

도 22a에서와 달리, 셀 안에 얼음이 성장해 가면서 셀 내부 체적이 켜져갈 때에는 도 22b에서와 같이 셀이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을 하측으로 밀면서 구형 형상 얼음이 유지될 수 있다.Unlike in FIG. 22A, when the internal volume of the cell is turned on as ice grows inside the cell, the spherical shape of the ice may be maintained as the cell pushes the lower heater case 420 downward, as shown in FIG. 22B.

나머지 구조는 도 21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중복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remaining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21,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 프레임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2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heate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23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상기 셀(382)에 얼음이 커져가는 과정에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가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로부터 이동이 가능한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결합홈과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형성된 결합홈의 사이에 스프링(416)가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416)가 인장되면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은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에 대해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igure 23 has a different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heater case 420 can be moved from the lower tray case 400 during the process of ice growing in the cell 382. That is, the spring 416 is disposed between the coupling groove of the lower tray case 400 and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heater case 420. When the spring 416 is tensioned, the lower heater case 420 may move in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tray case 400.

도 23a에서와 달리, 셀 안에 얼음이 성장해 가면서 셀 내부 체적이 켜져갈 때에는 도 23b에서와 같이 셀이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을 하측으로 밀면서 구형 형상 얼음이 유지될 수 있다.Unlike in FIG. 23A, when the internal volume of the cell is turned on as ice grows inside the cell, the cell pushes the lower heater case 420 downward as shown in FIG. 23B, thereby maintaining the spherical shape of the ice.

상기 스프링(416)은 외력이 가해지면 인장되었다가,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초기 길이로 압축되는 인장 스프링인 것이 가능하다. The spring 416 may be a tension spring that is tension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compressed to its initial length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나머지 구조는 도 21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중복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remaining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21,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도 21 내지 도 23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구형 얼음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가 이루어질 때에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에, 얼음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얼음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서, 특정부위가 변형되지 않고 원하는 형태의 얼음 형상을 제조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21 to 23 are not limited to spherical ice. Since water expands in volume when it changes phase into ice, space is secured for ice to grow during the process of changing into ice, and the desired shape of ice can be manufactured without deforming specific areas.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트레이;
상기 공간으로 열을 제공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히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케이스는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 관통공이 주변에 배치되는 제 1 곡선부;
상기 제 2 관통공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 2 곡선부; 및
상기 제 1 곡선부와 상기 제 2 곡선부 사이에 배치되는 직선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a tray having cells forming part of a space in which ice is frozen;
a heater to provide heat to the space; and
Including a heater case in which the heater is installed,
The heater case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The heater is,
a first curved portion around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is disposed;
a second curved portion disposed a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n ice maker comprising a straigh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제 1 곡선부보다 곡률반경이 큰 부분이거나,
상기 직선부는 상기 제 2 곡선부보다 곡률반경이 큰 부분인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traight portion is a portion with a larger radius of curvature than the first curved portion, or
The ice maker wherein the straight portion has a larger radius of curvature than the second curv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서 상기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푸셔의 중심이 누르는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곳에 배치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usher for separating the ice from the space,
The heater is an ice make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rtion of the tray pressed by the center of the pus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서 상기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셀에서 상기 푸셔의 중심이 누르는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곳에 배치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usher for separating the ice from the space,
The heater is an ice make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rtion of the cell pressed by the center of the pus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관통공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portion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관통공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portion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 관통공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 1부분과 상기 제 2 관통공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5,
The through hole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The heater includes a first part disposed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part disposed a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보다 곡률반경이 큰 부분이거나,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보다 곡률반경이 큰 부분인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7,
The heater includes a third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The third part has a larger radius of curvature than the first part, or
The third part is an ice maker where the radius of curvature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제빙 과정에서 상기 공간으로 열을 제공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5,
The heater is an ice maker that provides heat to the space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셀을 구비하는 제 1 트레이; 및
상기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셀을 구비하는 제 2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얼음을 이빙하는 과정에서 움직이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5,
The tray is,
a first tray including a first cell forming part of a space in which the ice is frozen; and
a second tray comprising a second cell forming another por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ice is frozen;
The second tray is an ice maker that moves during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서 상기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 2 트레이에서 상기 푸셔의 중심이 누르는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곳에 배치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pusher for separating the ice from the space,
The heater is an ice make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pressed by the center of the push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 2 트레이는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푸셔에 의해 가압될 때에 변형이 이루어지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1,
The heater and the second tray ar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able, and are deformed when pressed by the pusher.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셀을 구비하는 트레이;
상기 공간으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히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복수의 셀 중 일부 셀을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부분;
상기 복수의 셀 중 다른 일부 셀을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보다 곡률반경이 큰 부분이거나,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보다 곡률반경이 큰 부분인 제빙기.
a tray having a plurality of cells forming part of a space in which ice is frozen;
a heater providing heat to the space;
Including a heater case in which the heater is installed,
The heater is,
a first portion disposed to heat some of the plurality of cells;
a second portion disposed to heat some other cells among the plurality of cells; and
comprising a third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The third part has a larger radius of curvature than the first part, or
The third part is an ice maker where the radius of curvature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part.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셀을 구비하는 트레이;
상기 공간으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히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복수의 셀 중 일부 셀을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제 1 곡선부와,
상기 복수의 셀 중 다른 일부 셀을 가열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곡선부의 길이와 다른 길이를 가지는 제 2 곡선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a tray having a plurality of cells forming part of a space in which ice is frozen;
a heater providing heat to the space;
Including a heater case in which the heater is installed,
The heater is,
a first curved portion disposed to heat some cells among the plurality of cells;
An ice maker comprising a second curved portion arranged to heat other cells among the plurality of cells and having a length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first curved portion.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제 1 항 또는 제 5 항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storeroom;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ice maker of claim 1 or 5.
KR1020240069499A 2024-05-28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40084524A (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806A Division KR102671449B1 (en) 2018-10-02 2018-10-02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524A true KR20240084524A (en) 2024-06-1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6442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240060696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KR20210031250A (en) Refrigerator
KR20210005799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71449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636440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40084524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21034882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10356191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20200038108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210341201A1 (en) Refrigerator
KR102665703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662710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669631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630212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10029508A (en) Ice maker
US2021034120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20210026849A (en) Refrigerator
KR20210030014A (en) Refrigerator
US20230324096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40082279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1859888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30251007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210381742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20210027871A (en) Refrig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