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3640A - Installation structure of buried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ceil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o which it is applied - Google Patents

Installation structure of buried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ceil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o which it is appli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3640A
KR20240083640A KR1020220167978A KR20220167978A KR20240083640A KR 20240083640 A KR20240083640 A KR 20240083640A KR 1020220167978 A KR1020220167978 A KR 1020220167978A KR 20220167978 A KR20220167978 A KR 20220167978A KR 20240083640 A KR20240083640 A KR 20240083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air conditioner
conditioner indoor
ceil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현
박현아
박세준
김범선
남기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2016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3640A/en
Publication of KR2024008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36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 설치 또는 해제되는 구조를 가진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실시예에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덕트가 연결되게 구비된 덕트 연결부 및 상기 본체의 폭방향인 제2 방향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덕트 연결부 측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홈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buried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duct connection is installed or released integrally, and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using the same. In one embodiment, the indoor unit bod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room, the length of the body, and the length of the body are provided. A duct connec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in a first direction and connected to an air supply duct for supplying air into the main body, and a duct connec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in a second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at least one of the sides of the duct connection part. A structure of an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cluding a bracket having a partially open open groove is provided.

Description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INSTALLATION STRUCTURE OF BURIED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CEIL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O WHICH IT IS APPLIED}Installation structure of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 설치 또는 해제되는 구조를 가진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built-i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 which a duct connection part is integrally installed or released, and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흐름을 이용하여 냉난방시키거나, 공기의 정화를 수행하는 냉난방 장치로서, 설치 형태에 따라 스탠드형 에어컨과 천장형 에어컨을 포함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cooling/heating device that cools/heats or purifies air using the flow of refrigerant passing through a compressor, condenser, expansion valve, and evaporator, and includes stand-type air conditioners and ceiling-type air conditioner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type.

천장형 에어컨은 실내기가 천장에 매립되거나 천장에 매달리게 마련되며, 실내기가 천장에 설치되므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다.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는 토출구의 개수에 따라 토출구가 1개 마련되는 1-way 형, 토출구가 2개 마련되는 2-way형, 토출구가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4개 마련되는 4-way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Ceiling-type air conditioners have an indoor unit embedded in the ceiling or suspended from the ceiling. Since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an intake port for sucking in indoor ai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heat-exchanged air back into the room through a heat exchanger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unit. . Depending on the number of discharge ports,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s can be divided into a 1-way type with one discharge port, a 2-way type with two discharge ports, and a 4-way type with four discharge ports forming a square shape. there is.

천장형 에어컨은 매립형 타입의 설치구조를 갖는데, 천장벽면과 천장면 안쪽으로 덕트를 구비함에 따라 다른 종류의 에어컨에 비하여 공간 이용률이 높고 외관이 깔끔하며, 공기를 실내에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만, 덕트가 내부에 매립됨에 따라 실내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장 타공보다 큰 제품을 설치할 수 없으며, 덕트를 별개로 분리 후 탈착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Ceiling-type air conditioners have a built-in type installation structure. As they are equipped with ducts on the ceiling wall and inside the ceiling, the space utilization rate is high and the appearance is neat compared to other types of air conditioners, and the advantage is that air can be sprayed evenly into the room. has However, since the duct is buried inside, it is not possible to install a product larger than the ceiling hole to install the indoor uni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uct can be separated and then detached.

도 1 은 종래의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1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도 1(a)에 도시되어 있듯이,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1)는 천장벽면(2)과 천장면(3) 사이에 매립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체결볼트(4)와 상기 체결볼트(4)를 체결하는 체결너트(5)의 결합구조로 매립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a), the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1 is embedded between the ceiling wall surface 2 and the ceiling surface 3, and includes a fastening bolt 4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astening bolt 4 ) is embedded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astening nut (5).

이때, 도 1(b)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실내기(1)의 브라켓(6)은 상기 실내기(1)의 폭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향하여 개방홈(6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구조에서 상기 실내기(1)를 상기 천장벽면(2) 및 천장면(3) 사이에 형성된 매립공간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너트(5)를 해제하고 수직방향으로 상기 실내기(1)를 탈착하는 방법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구조는 상기 실내기(1)를 매립하기 위한 상기 매립공간의 크기가 적어도 150mm 이상인 곳으로 제한되었으며, 덕트를 일체로서 탈착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b), the bracket 6 of the indoor unit 1 has an open groove 6a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door unit 1, so that it is similar to a conventional embedded air conditioner. In the indoor unit installation structure, in order to separate the indoor unit (1) from the buried space formed between the ceiling wall surface (2) and the ceiling surface (3), release the fastening nut (5) and move the indoor unit (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nly way is to detach it.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s limited to a place where the size of the buried space for embedding the indoor unit 1 is at least 150 mm or mor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ct is not removable as an integrated unit.

(특허문헌) KR 10-2020-0081112 A(Patent Document) KR 10-2020-0081112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 설치 또는 해제되는 구조를 가진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built-i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 which a duct connection part is integrally installed or released, and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buried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덕트가 연결되게 구비된 덕트 연결부 및 상기 본체의 폭방향인 제2 방향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덕트 연결부 측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홈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unit main bod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n indoor unit, a duct connec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in a first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an air supply duct for supplying air into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Provided is a structure of an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cluding a bracket provided on one side in a second direction, which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open groov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duct connection portion is open.

일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개방홈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1 체결공간 및 상기 제1 체결공간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2 체결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racket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space extending from the open groove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fastening space extending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fastening space. .

일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높이방향인 제3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racket is form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may further include an uneven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third direction, which i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일실시예에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개방홈의 양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공간 측으로 굽어져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cavo-convex portion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pen groove and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bent toward the first fastening space.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공간은 체결볼트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개방홈을 통하여 상기 브라켓의 외측으로 탈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space is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bolt can move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astening bolt can be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through the open groove.

본 발명은 상술한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및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cluding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and a lower cas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일실시예에서, 상기 덕트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방향 측으로 굽어져 형성된 급기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 duct connected to the duct connection part and bent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를 통하여,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서 설치 또는 해제 가능하며, 매립공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buried-type air-conditioner indoor unit as described above and a ceiling-type air-conditioner indoor unit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so that the duct connection can be installed or removed as a whole, and the size of the buried space can be reduced, and an installation structure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도 1은 종래의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를 저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의 탈착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ure 1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from the bottom of the structure of an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ure 2.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process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or delete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r create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is invention. Other embodiments tha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can be easily proposed, but it will also be said that this i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fact that a certain configuration is 'connected' to another configuration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se configurations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they are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between. means that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100)를 도시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100)를 저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2 and 3 show the structure 100 of an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2 shows the structure 100 of an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3 is a plan view of the structure 100 of the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bottom. Hereinafter, the structure 100 of the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폭방향이자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할 수 있고, 상기 본체(110)의 높이방향이자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방향은 X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은 Y 방향일 수 있고, 상기 제3 방향은 Z 방향일 수 있다.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main body 11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The height direction of (110)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the third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direction may be the X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the Y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may be the Z dir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100)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10) 내부로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덕트(10)가 연결되게 구비된 덕트 연결부(120) 및 상기 본체(110)의 폭방향인 제2 방향의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덕트 연결부측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홈(130a)이 형성된 브라켓(130)을 포함한다.The structure 100 of the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unit main body 110 installed on the indoor ceil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in a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ain body 110 ) A duct connection part 120 is provided to connect the air supply duct 10 for supplying air into the interior,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where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duct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It includes a bracket 130 in which an open groove 130a is formed.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급기덕트(10)가 상기 제3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급기덕트(10)의 연결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상기 브라켓(13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10)의 폭방향인 제2 방향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100)에 의하면, 상기 브라켓(130)에 체결볼트(20, 도 5 참조)가 삽입되고 체결너트(30, 도 5 참조)가 상기 체결볼트(20, 도 5 참조)와 체결됨에 따라 천장에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가 매립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체결너트(20, 도 5 참조)를 해제함에 따라 상기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를 탈착할 수 있다. 상기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100)에 따른 체결 구조는 뒤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main body 110 includes a heat exchanger (not shown) installed inside, and a lower case 200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10. The duct connection portion 120 may be opened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whereby the air supply duct 10 may be inser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and the air supply duct 10 may be inser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air supply duct 10 can be changed by rotating in the state. The bracket 130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brackets 130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It can be. 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100 of the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bolt 20 (see FIG. 5)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130 and the fastening nut 30 (see FIG. 5)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130. By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bolt (20, see FIG. 5),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an be embedded in the ceiling. Conversely, by releasing the fastening nut (20, see FIG. 5),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an be detached. . Th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100 of the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acke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30)은 상기 덕트 연결부측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홈(130a)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홈(130a)은 상기 브라켓(130)의 상기 제1 방향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개방홈(130a)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1 체결공간(131) 및 상기 제1 체결공간(131)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2 체결공간(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130)에 삽입된 상기 체결볼트(20, 도 5 참조)는 상기 제1 체결공간(131) 및 제2 체결공간(132) 내에서 이동가능하므로, 상기 체결볼트(20, 도 5 참조) 및 체결너트(30, 도 5 참조)의 체결 해제 시 상기 본체(110)의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이동이 가능하다.The bracke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open groove 130a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duct connection part is open, and the open groove 130a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bracket 130. It can be formed on the side. Furthermore, the bracket 130 has a first fastening space 131 extending from the open groove 130a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first fastening space 131 extending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fastening space 131. It may include a second fastening space 132. At this time, the fastening bolt 20 (see FIG. 5) inserted into the bracket 130 is movable within the first fastening space 131 and the second fastening space 132, so the fastening bolt 20 (see FIG. 5) and the fastening nut 30 (see FIG. 5) are released, the main body 110 can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더하여, 상기 브라켓(130)은 요철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요철부(133)는 상기 브라켓(13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높이방향인 상기 제3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될 수 있고, 상기 요철부(133)는 상기 개방홈(130a)의 양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공간 측으로 굽어져 형성된 걸림턱(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철부(133)는 지면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너트(30, 도 5 참조)는 상기 브라켓(130)을 기준으로 지면 측에서 상기 체결볼트(20, 도 5 참조)와 체결되므로, 상기 체결볼트(20, 도 5 참조) 및 체결너트(30, 도 5 참조)가 체결된 동안에는 상기 체결볼트(20, 도 5 참조)가 상기 제1 체결공간(131)의 외측으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130 may further include an uneven portion 133, and the uneven portion 133 may be form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racket 130, and may be form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racket 130. It may be formed to ext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which is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uneven portion 13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pen groove 130a and is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first fastening space. A locking protrusion 134 may be further included. At this time, the uneven portion 133 may be provided facing the ground, and the fastening nut (30, see FIG. 5) is fastened with the fastening bolt (20, see FIG. 5) on the ground side based on the bracket 130. Therefore, while the fastening bolt (20, see FIG. 5) and the fastening nut (30, see FIG. 5) are fastened, the fastening bolt (20, see FIG. 5) is de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astening space 131. can be prevented.

즉, 상기 제1 체결공간(131)은 체결볼트(20, 도 5 참조)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20, 도 5 참조)는 상기 개방홈(130a)을 통하여 상기 브라켓(130)의 외측으로 탈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급기덕트(10, 도 2 참조)를 별도로 해제하지 않고 천장에 매립된 에어컨 실내기를 바깥으로 탈착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fastening space 131 is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bolt (20, see FIG. 5) can move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astening bolt (20, see FIG. 5) is formed in the open groove ( Since it can be detached from the outside of the bracket 130 through 130a), the indoor air conditioner unit embedded in the ceiling can be detached to the outside without separately releasing the air supply duct 10 (see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의 탈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1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흡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되, 열교환된 상기 공기를 흡입하거나 토출하기 위한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는 상기 덕트 연결부(120)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방향 측으로 굽어져 형성된 급기덕트(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급기덕트(10)가 상기 덕트 연결부(120)와 연결되는 측에는 엘보우 커버(미도시)가 둘러싸게 구비될 수 있다.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process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ucture 100 of the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performs heat exchange between the sucked air and the refrigerant. A heat exchanger (not shown),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lower case 200 form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for sucking 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In addition,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s connected to the duct connection part 120 and may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 duct 10 ben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air supply duct 10 is connected to the duct connection part 120. )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side connected to the elbow cover (not shown).

도 5(a)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체결볼트(20)는 상기 브라켓(130)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3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체결너트(30)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는 천장벽면(2)과 천장면(3)의 사이에 매립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는 상기 체결너트(30)를 해제하여 상기 천장면(3)의 하부로 탈착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일체로서 탈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B 방향으로 한번에 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B 방향은 천장면(3)을 기준으로 경사진 방향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장면(3)을 기준으로 상기 개방홈(130a)의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에서 지면 측으로 경사진 방향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fastening bolt 20 penetrates the bracket 130 and can be fastened by the fastening nut 30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bracket 130, thereby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may be embedded between the ceiling wall surface (2) and the ceiling surface (3). As shown in FIG. 5(b),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ach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surface 3 by releasing the fastening nut 30, and at this time,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tructure of the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pplied,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s one piece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detached in the B direction at once. At this time, the B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iling surface 3, and more specifically, a direction inclined from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 groove 130a with respect to the ceiling surface 3 toward the ground side. It can be.

즉, 종래의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는 브라켓의 개방홈(6a, 도 1 참고)이 상기 브라켓(130)의 개방홈(130a, 도 2 참고)과 상이하게 형성됨에 따라 덕트를 별도로 분리 후 에어컨 실내기를 지면으로 하강시켜 탈착하였는데,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는 덕트를 분리할 필요없이 일체로서 상기 B방향으로 한번에 탈착함에 따라 부품의 교체 및 수리 또는 덕트 연결부의 부식 등에 관한 보수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설치 및 서비스를 위한 점검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에는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를 미리 천장벽면에 설치하고 비닐로 보양한 후 천장면을 시공하는 과정을 거쳤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100) 및 이를 적용한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에 의하면, 천장면이 먼저 시공된 현장에도 추가로 상기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를 설치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he open groove (6a, see Figure 1) of the bracket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open groove (130a, see Figure 2) of the bracket 130, so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s installed after separating the duct separately. It was detached by being lowered to the ground, but unlike this,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as a whole in the direction B without the need to separate the duct, so that it can be used for replacement and repair of parts or corrosion of duct connections.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and does not require separate inspection holes for installation and service. In addition, in the past,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as installed in advance on the ceiling wall, covered with vinyl, and then the ceiling surface was constructed. The structure 100 of the embedded air-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eiling type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a site where the ceiling surface was first construc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변화 없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the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1: 종래의 실내기 2: 천장벽면
3: 천장면 4: 체결볼트
5: 체결너트 6: 브라켓
6a: 개방홈 10: 급기덕트
20: 체결볼트 30: 체결너트
100: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 110: 본체
120: 덕트 연결부 130: 브라켓
130a: 개방홈 131: 제1 체결공간
132: 제2 체결공간 133: 요철부
134: 걸림턱 200: 하부 케이스
1: Conventional indoor unit 2: Ceiling wall surface
3: Ceiling surface 4: Fastening bolt
5: Fastening nut 6: Bracket
6a: Open groove 10: Air supply duct
20: fastening bolt 30: fastening nut
100: Structure of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110: Main body
120: duct connection 130: bracket
130a: Open groove 131: First fastening space
132: second fastening space 133: uneven portion
134: Locking jaw 200: Lower case

Claims (7)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덕트가 연결되게 구비된 덕트 연결부; 및
상기 본체의 폭방향인 제2 방향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덕트 연결부 측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홈이 형성된 브라켓;
을 포함하는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
Indoor unit main body installed on the indoor ceiling;
a duct connec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a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an air supply duct that supplies air into the main body; and
a bracket provided on one side in a second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open groov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duct connection portion;
Structure of a buri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개방홈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1 체결공간; 및
상기 제1 체결공간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2 체결공간;
을 포함하는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is,
a first fastening space extending from the open gro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fastening space extending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fastening space;
Structure of a buri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cluding.
상기 브라켓은,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높이방향인 제3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요철부;
를 더 포함하는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
The bracket is,
an uneven portion form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third direction, which i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Structure of an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further compri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개방홈의 양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공간 측으로 굽어져 형성된 걸림턱;
을 포함하는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
According to claim 3,
The uneven portion,
Locking protrus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pening groove and curved toward the first fastening space;
Structure of a buri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clud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공간은,
체결볼트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개방홈을 통하여 상기 브라켓의 외측으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fastening space is,
The fastening bolt is form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he fastening bolt is,
The structure of the embedd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through the opening groove.
제 5 항의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및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 케이스;
를 포함하는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 Clause 5;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lower case form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nd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includ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방향 측으로 굽어져 형성된 급기덕트;
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6,
an air supply duct connected to the duct connector and bent in the second direction;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further comprising a.
KR1020220167978A 2022-12-05 2022-12-05 Installation structure of buried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ceil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o which it is applied KR202400836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978A KR20240083640A (en) 2022-12-05 2022-12-05 Installation structure of buried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ceil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o which it is appli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978A KR20240083640A (en) 2022-12-05 2022-12-05 Installation structure of buried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ceil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o which it is appli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3640A true KR20240083640A (en) 2024-06-12

Family

ID=9146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978A KR20240083640A (en) 2022-12-05 2022-12-05 Installation structure of buried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ceil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o which it is appli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364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2074Y1 (en)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EP2757329B1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US20080156454A1 (en) Air conditioner
KR20120025689A (en) Stand type air conditioner
CN101109593A (en) Coolant distributor for altering the number of indoor set driven by outdoor set
CN106524297A (en) Air conditioner and indoor unit of the same
KR20240083640A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buried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ceiling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o which it is applied
JP5123018B2 (en) Air conditioner
CN206160326U (en) Air outlet wind direction adjustable central air conditioning
JP2008122009A (en) Outdoor installation type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CN101413703A (en) Air conditioner
CN203823894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6611997B2 (en) Heat exchange unit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CN107965855B (e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ing unit
JPH094871A (en) Ceiling built-in type air conditioner
KR20050064963A (en) The supporting structure of pipe for duct type air-conditioner
CN205536291U (en) Water-cooled cabinet machine and have its air conditioner
AU2020290178A1 (en) Ceiling-embedded in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device
KR20050117664A (en) Outdoor unit of separable type air conditioner
KR20070077642A (en) Air-conditioner and indoor unit for the same
KR100529914B1 (en) An indoor unit of duct type air-conditioner
CN212869981U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JP7224523B2 (en) In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CN216204235U (en) Ceiling suspension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211730B1 (en) Air-conditio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