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3384A -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3384A
KR20240083384A KR1020220167464A KR20220167464A KR20240083384A KR 20240083384 A KR20240083384 A KR 20240083384A KR 1020220167464 A KR1020220167464 A KR 1020220167464A KR 20220167464 A KR20220167464 A KR 20220167464A KR 20240083384 A KR20240083384 A KR 20240083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power distribution
output termi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웍스코리아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웍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웍스코리아
Publication of KR2024008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33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다수의 구동부와 연결되는 전원 출력단자와,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단자와 상기 전원 출력단자 사이의 전원공급라인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퓨즈, 다수의 구동부로 분배되는 전원 공급에 대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인가받아 내부로 전달하는 수신부, 수신부에서 전달받은 조작신호에 따라 해당 구동부와 대응되는 전원 출력단자로 공급되는 전원 분배를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MCU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for a vehicle, which prevents overcurrent from flowing in a power supply line between a power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a power input terminal receiving power from a vehicle battery, and the power output terminal. A fuse for preventing power supply distributed to multiple driving units, a user interface unit including an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manipulate the power supply, a receiver that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nd transmits it internally, and the operation received from the receiver. It includes an MCU that controls to stop power distribution supplied to the power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river according to the signal.

Description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APPARATUS FOR VEHICLE}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전자장치에 전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ower distribu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for efficiently distributing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 a vehicle.

최근, 전기 차량 및 자율주행 차량의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이와 관련되는 다수의 전자장치들이 차량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라이다센서, GPS, ADAS(Ada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에어컨, 차량 전조등, 안개등, 네비게이션 등은 전기차량 또는 자율주행 차량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차량에도 기본적으로 마련되는 전자장치로 차량에 마련될 수 있다. 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and autonomous vehicles has become active, a number of related electronic devices are installed in vehicles. For example, it may include lidar sensors, GPS,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etc. In addition, air conditioners, vehicle headlights, fog lights, navigation, etc. are basic electronic devices that are provided not only in electric or self-driving vehicles but also in general vehicles and can be installed in the vehicle.

이러한 각종 전자장치들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이다. These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loads that consume pow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vehicle's batter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distribu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분배 장치(20)는 차량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전원을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각종 구동부(20)로 분배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ceives power from the vehicle battery 10 and distributes the input power to various driving units 20 provided in the vehicle to supply power.

여기서, 각종 구동부(20)는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다수의 전자장치를 말하며,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Load)이다. Here, the various driving units 20 refer to a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re loads that consume power.

전원 분배 장치(20)는 각 구동부(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 공급 라인을 포함하며, 각각의 전원 공급 라인에는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퓨즈(fuse)가 설치될 수 있다.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20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supply lines for supplying power to each driving unit 30, and a fuse may be installed in each power supply line to prevent overcurrent from flowing.

그런데, 자율 주행 차량의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기존 차량에 자율주행 기능을 추가하여 차량을 개조하거나, 또는 자율주행 차량에 새로운 기능을 더 추가하여, 차량에 전력을 필요로 하는 부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차량 배터리의 제한적인 전원으로부터 다수의 부하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원 분배 장치(20)의 효율적인 전원 분배 제어가 요구되고 있다.However, as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s accelerates, vehicles are modified by adding autonomous driving functions to existing vehicles, or new functions are added to autonomous vehicles, and the load requiring power to the vehicle is increasing. Therefore, in order to distribute power from the limited power of the vehicle battery to multiple loads, efficient power distribution control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20 is required.

또한, 전자장치가 많아짐에 따라 이의 오작동, 미작동 전자적인 오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전원 분배를 사용자가 직접 중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increases, electronic errors such as malfunction or non-operation occu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way for the user to directly stop power distribution.

또한, 기존 전원 분배 장치(20)는 반도체 스위치의 사용으로, 최근 반도체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구매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power distribution device 20 uses a semiconductor switch,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urchase as semiconductor supply has recently become difficult.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49860호(2002. 08. 09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349860 (registered on August 9, 200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에 추가되는 다수의 전자장치에 대하여 전원 공급 상태를 표시하여 전원 분배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고, 이의 모니터링 과정에서, 필요 시 CAN 통신용 키패드 또는 푸쉬락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전원 분배를 조작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분배 및 관리할 수 있는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check power distribution by displaying the power supply status for a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added to the vehicle, and in the monitoring process, use a CAN communication keypad or push lock when necessar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for vehicles that can efficiently distribute and manage power by allowing the user to manipulate power distribution through a switc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에 추가되는 다수의 전자장치가 오작동 또는 미작동하여 전자적인 오류가 발생하면 또는 긴급 발생시 사용자 측에서 수동 조작으로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y for the user to stop power supply by manual operation when an electronic error occurs due to a malfunction or inoperability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dded to the vehicle o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는,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다수의 구동부로 분배 공급하는 차량용 전원 분배 장치로서, 상기 다수의 구동부와 연결되는 전원 출력단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단자와 상기 전원 출력단자 사이의 전원공급라인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퓨즈; 상기 다수의 구동부로 분배되는 전원 공급에 대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인가받아 내부로 전달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전달받은 조작신호에 따라 해당 구동부와 대응되는 전원 출력단자로 공급되는 전원 분배를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MCU;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power distribution device that distributes and supplies power from a vehicle battery to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and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Power output terminal; A fuse to prevent overcurrent from flowing in the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input terminal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and the power output terminal; a user interface unit including an interface that allows a user to manipulate the power supp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nd transmits it internally; It includes an MCU that controls to stop distribution of power supplied to the power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부와 CAN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구동부에 대한 전원 분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조작 키패드를 포함한 CAN 통신용 키패드; 상기 다수의 구동부와 대응되는 다수의 푸쉬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가능한 푸쉬락 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unit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through a CAN communication protocol and includes a user operation keypad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distribution for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Keypad for CAN communication;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ush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and one or more push lock switches that can be manually operat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에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CAN 통신용 키패드를 통해 조작된 키 신호를 CAN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MCU로 전달하는 CAN 통신부; 상기 푸쉬락 스위치를 통해 조작된 각 푸쉬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MCU로 전달하는 랜선단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unit includes a CAN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key signal manipulated through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through CAN communi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CU; It may include one or more LAN cable terminals that receive each push button signal operated through the push lock switch and transmit it to the MCU.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에서, 상기 MCU는, 상기 CAN 통신부로부터 키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부를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CAN통신신호 데이터 테이블을 통해 식별하고 해당 구동부와 대응되는 전원 출력단자로 상기 키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랜선단자로부터 푸쉬버튼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푸쉬버튼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구동부 또는 전원 출력단자를 인지한 후 해당 전원 출력단자로 상기 푸쉬버튼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Additionally, in the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ke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AN communication unit, the MCU converts a driver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into a CAN communication signal data tabl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to the power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rive unit. When a push butt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AN cable terminal, the drive unit or power output terminal included in the push button signal is recognized. Then,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sh butt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power output terminal.

또한, 상기 MCU는, 상기 CAN 통신용 키패드로 해당 구동부의 전원 동작 상태에 관한 CAN통신신호를 전달하여 인디케이터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MCU transmits a CAN communication signal regarding the power operation status of the corresponding driver to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and controls it to be displayed on an indicat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에서, 상기 전원 출력단자는, 블록 단위로 구비된 포트에 상기 다수의 구동부의 케이블단자를 연결하여 내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블록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부의 추가 및 변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outpu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erminal block that connects cabl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to ports provided in block units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m to the internal circuit. Thus, addition and change of the driving unit can be easily mad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추가되는 다수의 전자장치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원 공급 상태를 표시하여 전원 분배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확인을 통해 전원 분배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 CAN 통신용 키패드 또는 푸쉬락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 조작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므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분배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power distribution by displaying the power supply status on the user interface device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dded to the vehicle. In addition, if control of power distribution is required through confirmation, it provides control through user operation through a CAN communication keypad or push lock switch, which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distributing and managing pow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차량에 자율주행 기능이 추가되거나 또는 자율주행 차량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되어 차량에 설치해야 할 다수의 전자장치가 늘어남에 따라, 이의 전자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 조작으로 즉시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도록 제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is added to an existing vehicle or a new function is added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to be installed in the vehicle increases, electronic errors may occur. In this case, there is a controllable effect that allows the user to immediately stop power supply through manual oper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레인지, 커피포트 등 캠핑에 필요한 전자장치가 구비되는 캠핑카에 전원 분배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전원 분배 장치로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활용 범위가 다양하여 장비의 확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power distribution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distribution can be applied to a camping car equipped with electronic devices necessary for camping, such as a microwave oven and a coffee pot, providing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the scope of use is diverse,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xpandability of the equip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전원 분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원 분배 및 관리모듈의 회로기판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distribu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tailed diagram of a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ircuit board of th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of FIG. 3.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는 전원 분배 및 관리 모듈(2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A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cluding a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200 and a user interface unit 40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및 관리 모듈(200)은 기본적으로 차량의 전원부(10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전원을 다수의 전자장치 즉, 구동부(300)로 분배하여 공급한다. 예컨대, 구동부(300)는 전자식 조향장치(Electronic Power Steering), 전자식 제동 제어 모듈(Electronic Brake Control Module), 바디 컨트롤 모듈,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엔진 관리 시스템(Engine Management System), 변속기 제어장치(Transmission Control Unit), 에어컨, 안개등, 팬, 차량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Therefore, th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ource unit 100 of the vehicle and distributes and supplies the received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at is, the drive unit 300. .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300 includes electronic power steering, electronic brake control module, body control module,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engine management system, and transmission control. These include transmission control units, air conditioners, fog lights, fans, vehicle navigation, etc.

이처럼, 전원 분배 및 관리 모듈(200)은 전원 분배에 관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전원 분배 및 관리 모듈(2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와 연동되어 각종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함은 물론,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관리한다.In this way, th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200 performs overall operations related to power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200 is linked with the user interface unit 400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us of various driving units and manages the interface with the user through a keypad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종래 차량용 전원 분배 장치는 최근 반도체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구매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데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분배 장치는 기존 MCU(Micro Control Unit)를 활용하고 CAN 통신용 키패드 및 푸쉬락 스위치를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유사품 대비 저렴하면서, 기존 구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While the conventional vehicle power distribution device has the problem of being difficult to purchase as semiconductor supply and demand have recently become difficult, the vehicle power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existing MCU (Micro Control Unit) and has a keypad and push lock switch for CAN communication. By applying an interface including , the feature is that it is cheaper than similar products and can increase scalability by making full use of the existing configuration.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원 분배 및 관리 모듈(2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Specifically, let's look at th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200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및 관리 모듈(200)은 회로 기판(PCB) 상에 전원 입력단자(212)와 전원 출력단자(215),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의 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부(210, 211), MCU(213), 릴레이(214), 퓨즈(fuse; 217) , 전원 상태표시등(216) 등이 탑재된다. Th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input terminal 212, a power output terminal 215, and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signals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400 on a circuit board (PCB) ( 210, 211), MCU (213), relay (214), fuse (217), power status indicator (216), etc. are installed.

전원 입력단자(212)는 차량의 전원부(도 2의 100)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12V 전원을 입력받는다. 차량의 전원부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마련된 배터리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알터네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input terminal 212 is connected to the vehicle's power source (100 in FIG. 2) and receives 12V power from it. The power unit of a vehicle generally refers to a battery provided in the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the vehicle's alternator.

전원 출력단자(215)는 각 구동부와 대응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 출력단자(215)는 전원 입력단자(212)를 통해 입력받은 전원을 각 구동부로 출력하는데, 이를 위해 전원 출력단자(215)와 전원 입력단자(212) 사이에는 각 출력단자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라인이 마련된다. The power output terminal 215 is connected to correspond to each driving unit. This power output terminal 215 outputs the power received through the power input terminal 212 to each driving unit. For this, power is applied to each output terminal between the power output terminal 215 and the power input terminal 212. A power supply line is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전원 출력단자(215)는 블록 단위로 구비된 포트에 각 구동부의 케이블단자를 연결하여 내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차량에 자율주행 기능을 추가하거나 또는 자율주행 차량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이에 대응되는 전자장치(구동부)가 추가되는 경우, 전원 출력단자(215)에 구동부의 케이블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추가 및 변경이 용이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output terminal 215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block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by connecting the cable terminal of each driving unit to the port provided in block units. Therefore, when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is added to an existing vehicle or a new function is added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a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drive unit) is added, the cable of the drive uni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power output terminal 215. Easy to add and change.

퓨즈(217)는 전원 입력단자(212)와 전원 출력단자(215) 사이의 전원공급라인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회로이다. The fuse 217 is a protection circuit that prevents overcurrent from flowing in the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input terminal 212 and the power output terminal 215.

수신부(210, 2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인가받아 내부 MCU(213)로 전달한다. 2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의 푸쉬락 스위치(420)를 통해 조작된 푸쉬버튼 신호를 수신하는 랜선단자이다. 예컨대, RJ45단자를 적용할 수 있다. 2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의 CAN 통신용 키패드(410)를 통해 조작된 키 신호를 CAN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CAN 통신부이다. 도 3에는 CAN 통신부(211)가 두 개의 채널(ch1, ch2)로 구현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는 데이터 확장을 위한 구성이며 당업자라면 설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ceiving units 210 and 211 receive the manipulation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400 and transmit it to the internal MCU 213. 210 is a LAN cable terminal that receives a push button signal operated through the push lock switch 420 of the user interface unit 400. For example, an RJ45 terminal can be applied. 211 is a CAN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key signal manipulated through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410 of the user interface unit 400 through CAN communication. Figure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AN communication unit 211 is implemented with two channels (ch1, ch2), but this is a configuration for data expansion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the design.

일반적으로, CAN 통신부(211)의 하나의 채널(ch1)은 전원 분배 및 관리 모듈(200)의 PCB와 연결되어 MCU(213)와 CAN 통신 키패드(410)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고, 다른 나머지 채널(ch2)은 다른 모듈과 통신이 이루어진다. Generally, one channel (ch1) of the CAN communication unit 211 is connected to the PCB of th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200 to communicate data between the MCU 213 and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410, and the other remaining channels (ch2) communicates with other modules.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CAN 통신을 통해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는 CAN 통신용 키패드(410)와, 유선으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푸쉬락 스위치(4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운전 좌석 인근에 구비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40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CAN communication keypad 410 that interfaces with the user through CAN communication and a push lock switch 420 that receives a user's operation by wire. This user interface unit 400 may be provided near the driver's seat where it is easy for the user to operate.

CAN 통신용 키패드(410)는 CAN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전원 분배 및 관리 모듈(200)의 CAN 통신부(211)와 통신하고, 차량의 구동부에 대한 전원 분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조작 키패드로 구비된다. 키패드는 키보드같이 각 구동부에 대하여 키 입력이 가능한 버튼식 키스위치(411)가 다수 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터치식 스크린에 가상 키, 소프트 키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410 communicates with the CAN communication unit 211 of th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200 through the CAN communication protocol and is provided as a user-operated keypad that can control power distribution to the driving unit of the vehicle. The keypad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type key switches 411 that enable key input for each driving unit, like a keyboard. Alternatively,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with virtual keys, soft keys, etc.

이때, CAN 통신용 키패드(410)의 키스위치(411)는 온, 오프 동작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key switch 411 of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410 can control power supply through on and off operations.

또한, CAN 통신용 키패드(410)의 키스위치(411)는 그 종류에 관계없이, 각 구동부와 일대일로 대응된다. 예를 들어, 첫번째 키스위치(411)는 전자식 조향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이고, 두번째 키스위치(411)는 변속기 제어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 매칭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key switch 411 of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410 corresponds to each driving unit on a one-to-one basis, regardless of its type. For example, the first key switch 411 may be an operation switch that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onic steering device, and the second key switch 411 may be matched as an operation switch that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transmission control device.

이를 위해 사전에 키스위치(411)와 각 구동부를 매칭하여 데이터를 설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제1 키스위치의 조작이 입력되면 제1 구동부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XX100T가 포함된 CAN 통신신호가 발생된다.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set data by matching the key switch 411 and each driving part in advance. Accordingly,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key switch is input, a CAN communication signal con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XX100T that can identify the first driving unit is generated.

또한, CAN 통신용 키패드(410)는 MCU(213)의 제어에 따라 해당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 표기된 412는 정상 동작 상태표시등(녹색), 413은 스탠바이 상태표시등(적색), 414는 이상 동작 상태표시등(노란색)을 나타낸다. 다수의 키스위치(411)로 각 구동부의 전원 공급을 조작하고, 기능 이상 시 이상동작 상태표시등(414)에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Additionally,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410 can display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orresponding driv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MCU 213. 412 shown in FIG. 3 represents a normal operation status indicator (green), 413 indicates a standby status indicator (red), and 414 indicates an abnormal operation status indicator (yellow). The power supply to each driving unit is controlled using a plurality of key switches 411, and when there is a malfunction, the abnormal operation status indicator lamp 414 is displayed in yellow.

푸쉬락 스위치(420)는 각 구동부와 대응되는 다수의 푸쉬버튼(421)을 포함한다. 다수의 푸쉬버튼(421)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하며, 각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 분배를 중단하는 온, 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The push lock switch 420 includes a plurality of push buttons 421 corresponding to each driving unit. The plurality of push buttons 421 are operated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and perform on and off functions to stop distribution of power supplied to each driving unit.

이러한 푸쉬락 스위치(420) 역시, CAN 통신용 키패드(410)와 마찬가지로 제어 가능한 구동부를 매칭하여 지정할 수 있지만, 이외에도 전원 출력단자(215)와 매칭하여 다양한 구동부에 대하여 확장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푸쉬락 스위치는 제1 전원 출력단자로 매칭하고, 제1 전원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구동부는 설계자 또는 일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캠핑카를 소지한 일반 사용자가 캠핑 관련 전자장치에 적용하여 전원 분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is push lock switch 420 can also be designated by matching a controllable driving part like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410, but it can also be expanded and applied to various driving parts by matching the power output terminal 215. For example, the first push lock switch matches the first power output terminal, and the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output terminal can be changed by the designer or general user. In this case, general users with camping cars can control power distribution by applying it to camping-related electronic device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및 관리 모듈(200)의 MCU(213)는 CAN 통신부(211)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구동부에 관한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릴레이(214) 및 퓨즈(217)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원을 분배한다. Meanwhile, the MCU 213 of th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operation signals related to various driving units applied from the CAN communication unit 211 and relays 214 to supply power to the corresponding driving units. ) and distributes powe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use 217.

또한, MCU(213)는 전원 분배 및 관리 모듈(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은 물론, 각 전원 출력단자(215)에 대한 전원 인가 상태를 전원 상태표시등(216)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MCU(213)는 LED(216a)의 색상 정보로 전원 인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1번 출력단자가 전원 인가중이면 전원 상태표시등(216)에 녹색LED를 점등시키고, 2번 출력단자는 전원 중단 상태이면 전원 상태표시등(216)에 적색LED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CU 213 not on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200, but also provides the power supply status for each power output terminal 215 to the power status indicator light 216. At this time, the MCU 213 can display the power-on status using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LED 216a. For example, when output terminal 1 is powering on, the green LED in the power status indicator 216 is turned on, and output terminal 2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the red LED in the power status indicator 216 when the power is interrupted. .

또한, MCU(2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의 조작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조작신호에 따라 전원 출력단자(215)로 공급되는 전원 분배를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s oper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400, the MCU 213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user interface unit 400 through the receiver, and sends it to the power output terminal 215 according to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It can be controlled to stop supplying power distribution.

일 실시예로, MCU(213)가 CAN 통신부(211)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키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부를 식별하고 해당 구동부와 대응되는 전원 출력단자(215)로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키 신호는 CAN 통신용 키패드(410)를 통해 조작된 CAN 통신신호이다. 따라서, MCU(213)는 키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부의 식별정보에 대하여 매칭해 둔 CAN통신신호 테이블을 메모리부에 저장 및 업로드해 두고, 키 신호를 전달받으면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CAN통신신호 테이블을 근거로 구동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프로그래밍화하여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MCU 213 receives a key signal input by the user's operation from the CAN communication unit 211, it identifies the dri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and connects the power output terminal 215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unit. Control signals are transmitted to . Here, the key signal is a CAN communication signal manipulated through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410. Therefore, the MCU 213 stores and uploads a CAN communication signal table in the memory unit that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and when the key signal is received, the CAN communication signal tabl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stored and uploaded. Based on this, an operation is performed to identify the driving unit. This can be done by programming.

다른 실시예로, MCU(213)가 랜선단자(210)로부터 푸쉬버튼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푸쉬버튼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구동부 또는 전원 출력단자(215)를 인지하고 해당 전원 출력단자(215)로 푸쉬버튼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푸쉬버튼 신호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입력된 푸쉬락 스위치(420)의 조작신호로, 회로 기판 상에 각 푸쉬버튼마다 제어 가능한 구동부가 매칭되어 있기 때문에 CAN 통신신호처럼 비교 테이블을 근거로 구동부를 식별하는 동작이 불필요하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CU 213 receives a push button signal from the LAN cable terminal 210, it recognizes the driver or power output terminal 215 included in the push button signal and connects to the corresponding power output terminal 215.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sh button signal can be transmitted. Here, the push button signal is an operation signal of the push lock switch 420 input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Since the controllable driving unit is matched to each push button on the circuit board, it is based on a comparison table like a CAN communication signal. There is no need for an operation to identify the driving unit.

또한, MCU(213)는 CAN 통신용 키패드(410)로 해당 구동부의 전원 동작 상태에 관한 CAN통신신호를 전달하여 인디케이터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CU 213 can transmit a CAN communication signal regarding the power operation status of the corresponding driver to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410 and control it to be displayed on an indicator.

이러한 구성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에 각 구동부에 대한 동작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구동부에 대한 동작 및 전원 분배에 대하여 쉽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확인을 통해 전원 분배의 중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긴급 발생시 CAN 통신용 키패드(410) 또는 푸쉬락 스위치(420)를 통해 사용자 측에서 전원 분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분배 및 관리할 수 있다.With these configurations, th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operating status of each driving unit on the user interface unit 400, allowing the user to easily check the operation and power distribution of the driving unit. It is provided so that power distribution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 through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410 or the push lock switch 420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confirmation that it is necessary to stop power distribution or when an emergency occurs. This allows power to be distributed and managed efficiently.

이상에서 본 발명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s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example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abov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You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xample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se variations and differences in applic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전원부 200: 전원 분배 및 관리 모듈
300: 구동부 4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10, 211: 수신부 212: 전원 입력단자
213: MCU 214: 릴레이
215: 전원 출력단자 216: 전원 상태표시등
217: 퓨즈(FUSE) 410: CAN 통신용 키패드
420: 푸쉬락 스위치 411: 다수의 키스위치
412, 413, 414: 상태표시등 421: 푸쉬버튼
100: power unit 200: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odule
300: driving unit 400: user interface unit
210, 211: Receiving unit 212: Power input terminal
213: MCU 214: Relay
215: Power output terminal 216: Power status indicator light
217: FUSE 410: Keypad for CAN communication
420: Push lock switch 411: Multiple keyswitches
412, 413, 414: Status indicator 421: Push button

Claims (6)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다수의 구동부로 분배 공급하는 차량용 전원 분배 장치로서,
상기 다수의 구동부와 연결되는 전원 출력단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단자와 상기 전원 출력단자 사이의 전원공급라인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퓨즈;
상기 다수의 구동부로 분배되는 전원 공급에 대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인가받아 내부로 전달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전달받은 조작신호에 따라 해당 구동부와 대응되는 전원 출력단자로 공급되는 전원 분배를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MCU;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
A vehicle power distribution device that distributes and supplies power from a vehicle battery to multiple driving units,
A power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A fuse to prevent overcurrent from flowing in the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input terminal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and the power output terminal;
a user interface unit including an interface that allows a user to manipulate the power supp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nd transmits it internally;
An MCU that controls to stop distribution of power supplied to the power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A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부와 CAN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구동부에 대한 전원 분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조작 키패드를 포함한 CAN 통신용 키패드;
상기 다수의 구동부와 대응되는 다수의 푸쉬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가능한 푸쉬락 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er interface unit,
A CAN communication keypad connected to the receiver through the CAN communication protocol and including a user-operated keypad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distribution to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A push lock switch including a plurality of push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and capable of manual operation by the user;
A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CAN 통신용 키패드를 통해 조작된 키 신호를 CAN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MCU로 전달하는 CAN 통신부;
상기 푸쉬락 스위치를 통해 조작된 각 푸쉬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MCU로 전달하는 랜선단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receiver,
a CAN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key signal manipulated through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through CAN communi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CU;
a LAN cable terminal that receives each push button signal operated through the push lock switch and transmits it to the MCU;
A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CAN 통신부로부터 키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키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부를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CAN통신신호 데이터 테이블을 통해 식별하고 해당 구동부와 대응되는 전원 출력단자로 상기 키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랜선단자로부터 푸쉬버튼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푸쉬버튼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구동부 또는 전원 출력단자를 인지한 후 해당 전원 출력단자로 상기 푸쉬버튼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MCU is,
When a ke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AN communication unit, the dri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is identified through the CAN communication signal data tabl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is sent to the power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unit. Delivering,
When a push butt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AN cable terminal, the driver or power output terminal included in the push button signal is recognized and then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sh butt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power output terminal.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CAN 통신용 키패드로 해당 구동부의 전원 동작 상태에 관한 CAN통신신호를 전달하여 인디케이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MCU is,
A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 CAN communication signal regarding the power operation status of the corresponding driving unit to the CAN communication keypad and controls it to be displayed on an indic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출력단자는,
블록 단위로 구비된 포트에 상기 다수의 구동부의 케이블단자를 연결하여 내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블록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부의 추가 및 변경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 분배 및 관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wer output terminal is,
A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erminal block that connects the cabl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to the ports provided in block units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m to the internal circuit, making it easy to add and change the driving units. .
KR1020220167464A 2022-12-05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apparatus for vehicle KR20240083384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3384A true KR20240083384A (en) 2024-06-1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3205A1 (en) Electronic system for controlling coach resources
US9483949B2 (en) Aircraft avionics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AU2006321461B2 (en) Power-controllable outlet receptacle
US20090143917A1 (en) Residential Environmental Management Control System Interlink
US20100308653A1 (en) Modular power distribution system to drive dc and ac electrical loads, in particular for vehicle or domotics application
KR102090061B1 (en) Appatarus testing bcm integrated with can
US20060119570A1 (en) Switch and method of combining multiple switch functions into a single switch
CN102862887B (en) Keyboard type elevator operation box
KR20240083384A (en)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apparatus for vehicle
JP2008271437A (en) Switch apparatus
JPH11506265A (en) Bus-powered, manually-operable integrated indicator / contact / communication module
CN201895663U (en) Central entertainment control system on vehicle
JP4915908B2 (en) Lighting control terminal
US6754730B2 (en) Intelligent apparatus for sharing a user I/O interface among all intelligent modules thereof
CN101120291A (en) Medium-voltage or high-voltage switchgear comprising at least one switching device
US20070115136A1 (en) Contact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CN217396155U (en)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and working machine
JPH0793053A (en) Control board for pos system
US10347442B1 (en) Illuminated keyboard
CN218670593U (en) Gear shifting control device and vehicle
CN217753668U (en) Intelligent door trim and vehicle thereof
JPH0654378A (en) Control terminal equipment for remote supervisory and control system
JP3103400U (en) Power supply for vehicle
CN210110610U (en) Key board and electronic device
JPH05297986A (en) Centralized control equipment for on-line terminal power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