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303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복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복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3039A
KR20240083039A KR1020230170197A KR20230170197A KR20240083039A KR 20240083039 A KR20240083039 A KR 20240083039A KR 1020230170197 A KR1020230170197 A KR 1020230170197A KR 20230170197 A KR20230170197 A KR 20230170197A KR 20240083039 A KR20240083039 A KR 20240083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pucch
received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임
고영조
김일규
장성철
정희상
최용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4008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3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04B7/06964Re-selection of one or more beams after beam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8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방법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제1 빔에 대한 오류 조건이 충족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빔 오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PUCCH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든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PUCCH를 통해,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RS 전송 승인이 수신될 시,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복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빔 복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 통신에서 빔 복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채널 특성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mmWave와 같은 고주파수 통신에서는 전파 손실(propagation loss) 등이 커져서 통신 범위가 감소하므로, 특정 방향(빔 형성)으로 송신 전력을 집중시키거나 공간의 특정 위치로 집중시키도록 빔을 형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mmWave와 sub-THz와 같은 고주파수에서 파장이 짧아지므로 수신 안테나의 물리적 크기도 감소한다. 이로 인해 안테나가 수신한 에너지가 감소된다. 예로 주파수가 10배 증가하면 파장이 10배 감소하고 물리적으로 안테나 영역에서 수신 에너지는 100배의 감소가 발생한다. 이러한 에너지 감소를 피하기 위해, 안테나의 지향성을 이용하여 빔포밍을 수행하여 송수신을 수행한다.
3GPP 5G NR 주파수 영역2(Frequency Range 2, FR2) 캐리어 주파수는 24.25~52.6 GHz 범위이며, 안테나 처리는 빔 형성에 초점을 맞춘 아날로그 영역에서 수행한다. 아날로그 기반 수신측 빔 형성의 경우, 수신 빔은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송수신기는 송신기 측 빔 방향과 수신기 측 빔 방향을 공동으로 설정하고 유지한다.
3GPP 5G NR 고주파 영역에서는 단말(User equipment, UE)에게 유리한 빔 방향을 선택 사용하기 위해,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측정하여,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단말에게 유리한 방향을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유리한 빔 방향에 정보를 얻은 후, 단말의 무선 빔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채널 상황에 따라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단말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상향링크(uplink)로 전송하게 한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는 단말이 측정한 무선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단말이 수신한 데이터의 CRC 오류 보고(HARQ-feedback), 단말이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무선 자원 스케줄링 요구(Scheduling Request, SR)로 구성된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물리 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로 전송된다.
단말이 기지국에 보고하는 무선 채널 상태 정보인 CSI는 CRI(CSI-RS Resource Indicator), 단말이 측정한 무선 채널의 전송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RI), 주어진 랭크 지시자에 적합한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Precoding-Matrix Indicator, PMI), 주어진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에서 단말에 적합한 AMC(Adaptive Modulation Coding)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로 구성된다. 단말은 CSI 구성 요소 중 한 개 또는 여러 개를 동시에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로 전송할 수 있다. 종래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는 빔 복구 오류 절차를 시작(initiation)하는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
이러한 경우 만일 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빔 오류/실패 극복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목적은, mmWave와 THz와 같은 고주파수 통신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빔 오류/실패 극복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방법은, 기지국과 통신하는 제1 빔에 대한 오류 조건이 충족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빔 오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든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PUCCH를 통해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전송 승인 요청 및 상기 단말 식별자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RS 전송 승인이 수신되는 경우,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빔 포밍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RS의 측정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에 대한 오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에 대한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 RSRP)에 대한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연속된 복호 오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제2 PUCCH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PUCCH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PUCCH를 통해 상기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RS 전송 승인이 수신될 시, 상기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내에 SRS 전송 승인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3 PUCCH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PUCCH가 존재할 시 상기 제3 PUC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SRS 승인 요청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제2 시간 내에 상기 SRS 전송 승인이 수신되지 않고,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제3 PUCCH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제2 PUC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SRS 승인 요청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방법은, 기지국과 통신하는 제1 빔에 대한 오류 조건이 충족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빔 오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빔을 제외한 빔들을 통해 수신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들 중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 RSRP) 값이 가장 큰 RS를 선택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든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PUCCH를 통해 채널 보고 승인 요청 및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보고 승인이 수신될 시, 상기 RSRP 값이 가장 큰 RS가 전송된 빔에 대한 채널 상태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에 대한 오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에 대한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 RSRP)에 대한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연속된 복호 오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제2 PUCCH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PUCCH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PUCCH를 통해 상기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보고 승인이 수신될 시, 상기 채널 상태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내에 채널 보고 승인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3 PUCCH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PUCCH가 존재할 시 상기 제3 PUC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채널 상태 보고 승인 요청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제2 시간 내에 상기 채널 상태 보고 승인이 수신되지 않고,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제3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PUC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채널 상태 승인 요청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방법은, 상기 기지국 내의 모든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정보를 단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통신에 사용할 제1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PUCCH를 통해 빔 복구를 위한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RS 전송 승인 요청에 응답하여 SRS 전송 승인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로부터 S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SRS를 측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할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의 빔 포밍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빔 포밍 가중치를 이용하여 빔 포밍된 참조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채널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PUCCH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2 PUCCH를 사용하기 위한 제1 시간을 포함하는 조건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단말에서 빔 오류 조건을 충족 시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PUCCH를 사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빔 오류 조건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에 대한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 RSRP)에 대한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연속된 복호 오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중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PUCCH를 통해 상기 빔 복구를 위한 SRS 전송 승인 요청이 수신될 시, 상기 SRS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SRS 전송 승인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S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SRS를 측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할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의 빔 포밍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빔 포밍 가중치를 이용하여 빔 포밍된 참조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채널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리 계층 상향 링크 제어 정보로 빔 오류 극복 절차가 시작될 수 있도록, 단말이 동적으로 SRS 전송 승인과 채널 상황 정보 보고 기회를 요청하고, 기지국은 빠르게 단말의 무선 채널 상황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빠르게 빔 복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다수의 단말이 공유하는 물리 계층 상향 링크 제어 채널로 빔 오류 극복 시작하는 절차는 물리 계층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의 크기의 한계에서도 빠른 빔 오류 극복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초기 빔 설정 후 통신 중 빔 오류 발생 시 복구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사운딩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빔 설정 후 통신 중 빔 오류 발생 시 복구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5a는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에 기초한 빔 관리 절차 개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순서도이다.
도 5b는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에 기초한 빔 관리 절차 개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나머지 순서도이다.
도 6a는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에 기초한 빔 관리 절차 개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순서도이다.
도 6b는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에 기초한 빔 관리 절차 개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나머지 순서도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예를 들어, NR(new radio))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4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5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eNB, gN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또는 on board device/terminal 등)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의 설정 및 관리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예를 들어,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 기저대역(baseband)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은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예를 들어, f(flexible)-TRP)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baseband unit)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RP는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등일 수 있다. BBU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BBU 또는 적어도 하나의 DU(digita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BBU 블록은 "BBU 풀(pool)", "집중화된(centralized) BBU"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TRP는 유선 프론트홀(fronthaul)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에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링크 및 프론트홀 링크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분리(function split)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TRP는 BBU의 일부 기능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RLC(radio link control)의 일부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3GPP 5G NR FR2의 빔 관리는 초기 빔 설정, 단말의 움직임과 주변 환경의 점진적인 변화로 인한 빔 조정, 기지국과 단말 간의 장애물 등의 급격한 환경의 변화로 인한 빔 복구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초기 빔 실정 후 통신 중 빔 오류 발생 시 복구 방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초기 빔 설정 후 통신 중 빔 오류 발생 시 복구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3에서는 기지국(301)과 단말(302)을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로 예시하였다. 기지국(301)과 단말(302)은 각각 앞서 도 2에서 예시한 통신 노드(200)의 구성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301)은 도 2에 예시하지 않은 상위 노드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의 노드와 연결하기 위한 구성, 기지국 간 연결을 위한 구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30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각종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301)은 S300단계에서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및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자신의 셀 내에서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기지국(301)은 복수의 빔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셀에 SSB들을 방송하는 경우 복수의 SSB들을 하향링크 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302)은 S300단계에서 초기 셀 탐색(cell search) 동안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및 SIB를 획득할 수 있다.
S302단계에서 단말(302)은 SSB에 포함된 참조 신호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RSRP에 기초하여 초기 후보 빔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301)의 하향 링크 빔과 단말(302)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전송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연관이 있다. 따라서 단말(302)은 이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빔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S310단계에서 단말(302)은 SSB에 포함된 참조 신호의 RSRP가 가장 좋은 빔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네트워크 접속은 초기 후보 빔 인덱스 집합 정보를 포함하는 임의접속(Random Access, RA) 프리앰블(preamble)을 임의접속 채널(RA channel, RACH)로 전송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S310단계에서 기지국(301)은 단말(302)이 전송한 RACH로부터 RA 프리앰블에 포함된 후보 빔 인덱스들 중 하나의 인덱스에 대응하여 RA 응답(RA response, RAR)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S310단계는 RACH 프로시저(procedure)에 대응할 수 있다.
S320단계에서 기지국(301)은 참조 신호 예를 들어, CSI-RS를 단말(3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301)은 CSI-RS를 각 빔 별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S320단계에서 단말(302)은 각 빔 별로 CSI-RS를 수신하고, 수신된 CSI-RS 각각의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S322단계에서 단말(302)은 CSI-RS에 대해 측정된 RSRP에 기초하여 가장 좋은 CSI-RS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302)은 RSRP값이 가장 RSRP를 갖는 빔을 선택할 수 있다.
S324단계에서 단말(302)은 선택한 빔을 기반으로 물리 계층 상향 링크 제어 채널(PUCCH)로 채널 상태 정보(CSI)를 보고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301)은 단말(302)이 보고한 CSI를 통해 단말(302)이 선택한 빔을 확인할 수 있다. CSI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CRI, PMI, RI 및 CQ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330단계에서 기지국(301)과 단말(302)은 단말(302)이 보고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통신은 기지국(301)이 물리 계층 하향링크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물리 계층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통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302)에게 전송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향링크 통신은 단말(302)이 PUCCH를 통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물리 계층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을 통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301)로 전송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 이때, PUCCH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30단계와 같이 기지국(301)과 단말(302) 간 통신을 수행하면서 단말(302)은 지속적으로 PDSCH에 포함된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을 계산할 수 있다.
S332단계에서 단말(302)은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이 (미리(pre)) 설정된(configured) 임계 값보다 큰가를 확인할 수 있다.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단말(302)는 S330단계의 통신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단말(302)는 S334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334단계에서 단말(302)은 빔 복구 요청 신호를 기지국(3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빔 복구 요청 신호는 RACH 프리앰블이 될 수 있다. 이에 S334단계에서 기지국(301)은 단말(302)로부터 빔 복구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301)이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빔 복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는 단말이 빔 실패/오류(Radio Beam failure)라고 판단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302)이 전송하는 RACH 프리앰블은 후보 빔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후보 빔은 반드시 고유한 프리앰블과 매핑 관계가 없을 수 있다. 기지국(301)은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후보 빔의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S336단계에서 기지국(301)은 특정 RACH 프리앰블을 수신한 후, 단말(302)에게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앞서 S334단계에서 단말(302)은 기지국(301)으로 RACH 프리앰블을 송신한 경우이므로, 기지국(301)은 RAR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도 3의 절차에서, 오류 빔을 극복하기 위해 대체되는 새로운 빔과의 프리앰블 간의 매핑 관계는 일대일 매핑이 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왜냐하면 빔 복구 요청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수가 새로운 후보 빔의 수 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3GPP 표준 규격에 따르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수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3GPP 표준 규격에 따르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사용되도록 정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랜덤 액세스가 필요한 경우는 아래의 경우들에 해당할 수 있다.
(1) 단말이 RRC_IDLE인 단말이 초기 접속하는 경우(Initial access from RRC_IDLE),
(2) RRC 연결 재설정 절차(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
(3) 핸드오버(Handover),
(4) 단말이 RRC_CONNECTED 상태에서 동기 재설정시(RRC_CONNECTED when UL synchronization status is "non-synchronized"),
(5) 단말이 RRC_INACTIVE에서 RRC_connection으로 천이하는 경우(Transition from RRC_INACTIVE),
(6) SCell 추가할 때 시간 정렬(To establish time alignment at SCell addition) 하는 경우, 및
(7)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요청(Request for Other System Information)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빔 복구에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단말 별로 프리앰블을 할당해야 한다. 하지만, 시스템 관점에서 빔 복구에 다수의 프리앰블이 할당되는 경우, 빔 복구가 아닌 여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수가 부족해질 수 있다. 따라서 오류 빔을 극복하기 위해 대체되는 새로운 빔과의 프리앰블 간의 매핑 관계는 일대일 매핑이 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도 4는 사운딩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빔 설정 후 통신 중 빔 오류 발생 시 복구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4에서는 기지국(401)과 단말(402)을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로 예시하였다. 기지국(401)과 단말(402)은 각각 앞서 도 2에서 예시한 통신 노드(200)의 구성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401)은 도 2에 예시하지 않은 상위 노드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의 노드와 연결하기 위한 구성, 기지국 간 연결을 위한 구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40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각종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401)은 S400단계에서 SSB 및 SIB를 자신의 셀 내에서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402)은 S400단계에서 SSB 및 SIB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401)은 복수의 빔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셀에 SSB들을 방송하는 경우 복수의 SSB들을 하향링크 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전송할 수 있다.
S402단계에서 단말(402)은 SSB에 포함된 참조 신호의 RSRP를 측정하여 초기 후보 빔들을 선택할 수 있다.
S410단계에서 단말(402)은 SSB에 포함된 참조 신호의 RSRP가 가장 좋은 빔에 대응하는 RA 프리앰블(preamble)을 기지국(4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S410단계에서 기지국(401)은 단말(402)이 전송한 RACH로부터 RA 프리앰블에 포함된 후보 빔 인덱스들 중 하나의 인덱스에 대응하여 RA 응답(RA response, RAR)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401)은 단말(402)에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할당할 수 있다.
S412단계에서 단말(402)은 S410단계에서 기지국(401)에 의해 할당된 SRS 자원을 통해 SRS를 업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401)은 S412단계에서 단말(402)로부터 SRS를 수신할 수 있다.
S414단계에서 기지국(401)은 단말(402)로부터 수신된 SRS의 RSRP를 측정하고, 측정된 RSRP에 기초하여 단말(402)로 전송할 CSI-RS에 대한 빔 포밍 가중치(weight)를 계산할 수 있다.
S416단계에서 기지국(401)은 빔 포밍 가중치에 기초하여 빔포밍된 참조 신호 예를 들어, 빔 포밍된 CSI-RS를 단말(4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402)은 빔 포밍된 CSI-RS를 수신할 수 있다.
S418단계에서 단말(402)은 수신된 CSI-RS를 측정하고, 채널 상태 정보(CSI)를 기지국(4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401)은 빔 포밍하여 전송한 CSI-RS에 대한 CSI를 단말(402)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S430단계에서 기지국(401)과 단말(402)은 단말(402)이 보고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통신은 기지국(401)이 PDCCH를 통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PDSCH를 통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402)에게 전송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향링크 통신은 단말(402)이 PUCCH를 통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PUSCH를 통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401)로 전송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 이때, 단말(40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401)으로 SRS를 전송할 수 있다.
S420단계와 같이 기지국(401)과 단말(402) 간 통신을 수행하면서 단말(402)은 지속적으로 PDSCH에 포함된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을 계산할 수 있다.
S422단계에서 단말(402)은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이 (미리(pre)) 설정된(configured) 임계 값보다 큰가를 확인할 수 있다.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단말(402)는 S420단계의 통신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단말(402)는 S424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424단계에서 단말(402)은 빔 복구 요청 신호를 기지국(4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빔 복구 요청 신호는 RACH 프리앰블이 될 수 있다. 이에 S424단계에서 기지국(401)은 단말(402)로부터 빔 복구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401)이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빔 복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는 단말이 빔 실패/오류(Radio Beam failure)라고 판단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402)이 전송하는 RACH 프리앰블은 후보 빔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후보 빔은 반드시 고유한 프리앰블과 매핑 관계가 없을 수 있다. 기지국(401)은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후보 빔의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S426단계에서 기지국(401)은 특정 RACH 프리앰블을 수신한 후, 단말(402)에게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앞서 S424단계에서 단말(402)은 기지국(401)으로 RACH 프리앰블을 송신한 경우이므로, 기지국(401)은 RAR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의 동작 또한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단말의 빔 복구에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단말 별로 프리앰블을 할당해야 하지만, 빔 복구에 다수의 프리앰블이 할당되는 경우, 빔 복구가 아닌 여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수가 부족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4에서 설명한 3GPP 기지국(401)은 단말(402)의 무선 채널 상황 정보를 얻기 위해 단말(402)에게 SRS 자원을 할당하고, SRS 자원을 할당 받은 단말(402)은 SRS를 기지국에게 전달해야 한다. 이때, 기지국(401)은 단말(401)에게 SRS 자원을 주기적(periodic), 동적(dynamic), 준정적(semi-persistent)으로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401)이 동적으로 SRS 자원을 할당할 때, 기지국(401)은 PDCCH로 단말(402)에게 SRS 자원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
3GPP Rel-16의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에서는 데이터 크기 32 바이트(bytes)에 대해 블록 오류율(Block Error Rate, BER)을 10-6, 시간 지연(latency)을 0.5~1 밀리초(ms)를 요구 사항으로 한다. 고주파 통신에서 URLLC 서비스와 같이 시간 지연에 민감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빔 오류 극복 방식 보다 더 빠른 빔 오류 극복 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서는 mmWave와 THz와 같은 고주파수 통신에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빔 오류 발생 확률이 높은 시스템에서 빔 오류/실패 극복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빔 오류 극복을 빠르게 진행하게 하기 위해, 종래 방식인 단말이 랜덤 접속 프림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 랜덤 액세스 응답 절차에 기초하여 빔 오류 극복 절차가 시작되는 것과 다른 방식을 사용한다. 일 예로, 본 개시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PUCCH를 통해 빔 오류 극복 절차가 개시되며, 기지국과 단말 사이 빔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먼저 본 개시에서는 PUCCH를 2가지 목적으로 구분하여 2가지 형태의 PUCCH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PUCCH는 기지국이 단말마다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단말 특정(UE-specific) PUCCH"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PUCCH는 특정 기지국 내의 모든 단말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말 공유(UE-common) PUCCH"일 수 있다. 이때, 단말 공유 PUCCH는 단말의 수, 단말의 활동 정도 및 기지국의 커버리지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단말 그룹 별로 할당될 수도 있다. 예컨대, 기지국의 커버리지가 좁고, 많은 수의 단말들이 특정 기지국 내에 존재하는 경우 빔 오류가 다른 기지국보다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의 단말 공유 PUCCH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된 2개 이상의 단말 공유 PUCCH들 중 이를 사용할 단말을 그룹 별로 구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2개 이상의 단말 공유 PUCCH 자원을 할당하고, 단말이 2개의 단말 공유 PUCCH 자원 중 하나를 선택할 시, 미리 설정된 규칙에 기초하여 또는 임의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개별 단말마다 단말 특정 PUCCH를 할당하거나 또는 단말 공유 PUCCH 자원을 많이 할당할수록 빔 오류 극복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하지만 기지국에서 단말에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의 양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다수의 단말이 공유하는 채널로 단말 공유 PUCCH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때, 다수의 단말이 공유하는 단말 공유 PUCCH에서 단말들이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은 2개 이상의 단말 공유 PUCCH를 갖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다수의 단말이 공유하는 단말 공유 PUCCH로 빔 오류 극복을 시작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해당 단말에게 할당한 단말 특정 PUCCH를 통해 빔 복구 절차를 개시할 수 있도록 재전송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5a는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에 기초한 빔 관리 절차 개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순서도이고, 도 5b는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에 기초한 빔 관리 절차 개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나머지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연속된 순서도로, 도 5a의 동작이 완료된 후 도 5b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의 순서도 중 일부 또는 도 5b의 순서도 중 일부는 적용되는 시스템 또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생략되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의 순서도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며, 본 개시가 도 5a 및 도 5b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a 및 도 5b에서도 도 3 및 도 4와 동일하게 기지국(501)과 단말(502)을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로 예시하였다. 기지국(501)과 단말(502)은 각각 앞서 도 2에서 예시한 통신 노드(200)의 구성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501)은 도 2에 예시하지 않은 상위 노드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의 노드와 연결하기 위한 구성, 기지국 간 연결을 위한 구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50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각종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기지국(501)은 S500단계에서 SSB 및 SIB를 자신의 셀 내에서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502)은 S500단계에서 SSB 및 SIB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501)은 복수의 빔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셀에 SSB들을 방송하는 경우 복수의 SSB들을 하향링크 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전송할 수 있다.
S502단계에서 단말(502)은 SSB에 포함된 참조 신호의 RSRP를 측정하여 초기 후보 빔들을 선택할 수 있다.
S510단계에서 단말(502)은 SSB에 포함된 참조 신호의 RSRP가 가장 좋은 빔에 대응하는 RA 프리앰블(preamble)을 기지국(5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S510단계에서 기지국(501)은 단말(502)이 전송한 RACH로부터 RA 프리앰블에 포함된 후보 빔 인덱스들 중 하나의 인덱스에 대응하여 RA 응답(RA response, RAR)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S510단계는 RACH 프로시저(procedure)에 대응할 수 있다.
S520단계에서 기지국(501)은 참조 신호 예를 들어, CSI-RS를 단말(5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501)은 CSI-RS를 각 빔 별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S520단계에서 단말(502)은 각 빔 별로 CSI-RS를 수신하고, 각 빔 별로 수신된 CSI-RS를 측정할 수 있다.
S522단계에서 단말(502)은 CSI-RS에 대한 RSRP에 기초하여 가장 좋은 CSI-RS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502)은 하향 링크 참조 신호에서 CSI-RS의 RSRP값이 가장 큰 방향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 있다.
S524단계에서 단말(502)은 선택한 빔에 기초하여 물리 계층 상향 링크 제어 채널(PUCCH)로 채널 상태 정보(CSI)를 보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상태 보고는 CRI/CQI 또는 CRI/PMI/RI/CQ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UCCH는 단말 별로 설정된 단말 특정 PUCCH가 될 수 있다. 이에 기지국(501)은 단말(502)이 단말 특정 PUCCH를 통해 보고한 CSI를 통해 단말(502)이 선택한 빔을 확인할 수 있다.
S530단계에서 기지국(501)과 단말(502)은 단말(502)이 보고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통신은 기지국(501)이 PDCCH를 통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PDSCH를 통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502)에게 전송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향링크 통신은 단말(502)이 PUCCH를 통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PUSCH를 통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501)로 전송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량링크 통신 시에 단말(502)이 사용하는 PUCCH(들)은 단말 특정 PUCCH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말(502)은 S530단계에서 하향링크 통신을 수행하면서 하향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참조 신호의 RSRP를 측정하고,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측정된 RSRP의 평균 값을 계산할 수 있다.
S532단계에서 단말(502)은 계산된 RSRP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S532단계의 비교 결과 계산된 RSRP의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단말(502)은 S530단계의 통신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계산된 RSRP의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는 빔을 오류가 아닌 상태이기 때문에 하향링크 통신 및 상향링크 통신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계산된 RSRP의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502)는 SRS 전송 승인 요청을 결정하고, 단말(502)은 S534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532단계는 빔 오류를 검출하는 하나의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빔 오류를 검출하는 다른 예로, 기지국(501)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복호 시 미리 결정된 횟수 이상으로 연속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만일 수신된 데이터의 복호 오류를 이용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횟수 이상 연속하여 복호 오류가 검출되는가를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빔 오류를 검출하는 또 다른 예로, 단말(502)은 이동성에 기초하여 빔 오류를 검출하거나 또는 예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502)은 이동성을 검출 또는 예측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말(502)이 이동하는 경우 단말(502)은 기지국(501)으로부터 수신된 참조 신호에 대한 RSRP 값의 변화 이력(history)을 관리할 수도 있다. 만일 측정된 RSRP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단말(502)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빔 오류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새로운 빔 설정을 요청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502)는 S530단계에서 기지국(501)과 통신하면서 현재 통신에 사용되는 빔 외의 다른 빔들의 RSRP를 측정할 수도 있다. 만일 단말(502)이 기지국(501)과 현재 통신에 사용되는 빔 외의 다른 빔들에 대한 RSRP를 측정할 수 있는 경우 단말(502)은 통신에 사용되는 빔을 통해 수신된 참조 신호의 RSRP와 다른 빔의 참조 신호에 대한 RSRP를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502)은 미리 빔 변경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532단계는 하나의 실시예로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을 이용한 것이며, 빔 오류 발생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의 절차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빔 오류 발생을 미리 예측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S534단계에서 단말(502)은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미리) 설정된((pre)-configured) 제1 시간(T1) 내에 단말(502)에게 할당된 PUCCH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502)에게 할당된 PUCCH는 앞서 설명한 단말 특정 PUCCH가 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은 SRS 전송 승인 요청을 기지국(501)으로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최대 시간 값이 될 수 있다. 제1 시간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S534단계의 검사결과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내에 단말 특정 PUCCH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502)은 S536b단계로 진행하고,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내에 단말 특정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502)은 S536a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이후 동작은 도 5b를 참조하여 이후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S536a단계 및 S536b단계는 모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두 단계 중 하나의 단계가 이루어지는 경우 다른 하나의 단계는 이루어지지 않음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다시 말해 단말(502)은 S536a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S536b단계를 수행하지 않으며, S536b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S536a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만일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T1) 내에 단말 특정 PUCCH가 존재하지 않아 S536a단계로 진행한 경우 단말(502)은 복수 단말 공유 자원을 이용하여 SRS 전송 승인 요청을 기지국(5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 단말 공유 자원은 앞서 설명한 단말 공유 PUCCH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공유 PUCCH는 앞서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501)이 기지국(501) 내의 단말들에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 (SIB)을 변형하거나 또는 새로 정의된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들에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단말(502)은 단말 공유 PUCCH를 통해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전송할 시, SRS 전송 승인 요청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501)은 SRS 전송 승인 요청에 포함된 단말 식별자를 획득함으로써, 어느 단말이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전송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T1) 내에 단말 특정 PUCCH가 존재하여 S536b단계로 진행한 경우 단말(502)은 단말 별로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SRS 전송 승인 요청을 기지국(501)로 전송할 수 있다.
S536a단계 또는 S536b단계에서 단말(502)이 기지국(501)으로 PUCCH를 전송할 때, 빔 방향은 단말(502)이 측정한 하향링크 참조 신호의 빔 방향들에서 단말이 가장 선호하는 방향이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502)이 기지국(501)으로 전송하는 PUCCH의 빔 방향은 기지국(501)로부터 수신된 하향링크의 참조 신호들 중 참조 신호의 RSRP가 가장 큰 참조 신호를 전송한 빔에 대응하는 방향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501)은 S536a단계 또는 S536b단계에서 단말(502)이 전송한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에 S536a단계에서 단말(502)이 단말 공유 PUCCH를 통해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기로 한다. 이때, 기지국(501) 입장에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 공유 PUCCH가 수신될 수 있다. 기지국(50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공유 PUCCH를 수신하기 위해 다사의 안테나로 빔 스위핑하여 단말 공유 PUCCH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특정한 빔을 통해 단말 공유 PUCCH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공유 PUCCH에 포함된 단말 식별자를 이용하여 어느 단말이 단말 공유 PUCCH를 전송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5b에 예시하지 않았으나, 단말(502)은 S536a단계 수행 후 SRS 승인 요청의 재전송을 위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SRS 승인 요청의 재전송을 위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S540단계와 같이 SRS 전송 승인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502)은 SRS 승인 요청의 재전송을 위한 타이머를 중지할 수 있다. 반면에 SRS 승인 요청의 재전송을 위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SRS 전송 승인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말(502)은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재전송할 수 있다.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위한 타이머가 만료될 시 단말(502)은 단말 특정 PUCCH를 통해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재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재전송할 시 단말 특정 PUCCH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재전송 시 단말 공유 PUCCH를 이용하여 통해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재전송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재전송 시에도 미리 설정된 제1 시간(T1) 내에 단말 특정 PUCCH가 존재하는가를 다시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내에 단말 특정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 공유 PUCCH를 통해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재전송할 수도 있다.
다시 도 5b를 참조하면, 기지국(501)은 S540단계에서 단말(502)로 SRS 전송 승인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502)는 S540단계에서 기지국(501)으로부터 SRS 전송 승인을 수신할 수 있고, SRS를 전송할 자원 정보는 미리 기지국(501)로부터 제공받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501)이 단말(502)로 SRS 전송 승인을 전송하는 경우는 단말 공유 PUCCH를 통해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수신한 경우 또는 단말 특정 PUCCH를 통해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수신한 경우이며, 기지국(501)은 단말(502)로부터 수신한 단말 공유 PUCCH 또는 단말 특정 PUCCH가 초기 전송인지 또는 재전송인지를 확인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S542단계에서 단말(502)은 기지국(501)이 S540단계에서 SRS 전송에 할당한 자원을 통해 SRS를 기지국(5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501)은 S542단계에서 단말(502)로부터 SRS를 수신할 수 있다.
S544단계에서 기지국(501)은 단말(502)로부터 수신된 SRS의 RSRP를 측정하고, 측정된 RSRP에 기초하여 단말(502)로 전송할 CSI-RS에 대한 빔 포밍 가중치(weight)를 계산할 수 있다.
S550단계에서 기지국(501)은 빔 포밍 가중치에 기초하여 빔 포밍된 참조 신호 예를 들어, 빔 포밍된 CSI-RS를 단말(5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502)은 빔 포밍된 CSI-RS를 수신할 수 있다.
S552단계에서 단말(502)은 수신된 CSI-RS를 측정하고, 채널 상태 정보(CSI)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502)은 채널 상태 보고를 기지국(5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상태 보고는 CRI/CQI 또는 CRI/PMI/RI/CQI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단말이 빔 오류를 확인하면, PUCCH를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빔 오류 극복 절차 개시를 즉시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RA 프리앰블을 이용하는 방식과 대비할 때, 보다 빠르게 기지국에게 빔 오류 극복 절차 개시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단말에 단말 특정 PUCCH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에도 단말 공유 PUCCH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빔 오류 극복 절차 개시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a는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에 기초한 빔 관리 절차 개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순서도이고, 도 6b는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에 기초한 빔 관리 절차 개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나머지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연속된 순서도로, 도 6a의 동작이 완료된 후 도 6b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의 순서도 중 일부 또는 도 6b의 순서도 중 일부는 적용되는 시스템 또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생략되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의 순서도는 본 개시의 제2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며, 본 개시가 도 6a 및 도 6b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a 및 도 6b에서도 기지국(601)과 단말(602)을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로 예시하였다. 기지국(601)과 단말(602)은 각각 앞서 도 2에서 예시한 통신 노드(200)의 구성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601)은 도 2에 예시하지 않은 상위 노드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의 노드와 연결하기 위한 구성, 기지국 간 연결을 위한 구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60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각종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기지국(601)은 S600단계에서 SSB 및 SIB를 자신의 셀 내에서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602)은 S600단계에서 SSB 및 SIB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601)은 복수의 빔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셀에 SSB들을 방송하는 경우 복수의 SSB들을 하향링크 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전송할 수 있다.
S602단계에서 단말(602)은 SSB에 포함된 참조 신호의 RSRP를 측정하여 초기 후보 빔들을 선택할 수 있다.
S610단계에서 단말(602)은 SSB에 포함된 참조 신호의 RSRP가 가장 좋은 빔에 대응하는 RA 프리앰블(preamble)을 기지국(6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S610단계에서 기지국(601)은 단말(602)이 전송한 RACH로부터 RA 프리앰블에 포함된 후보 빔 인덱스들 중 하나의 인덱스에 대응하여 RA 응답(RA response, RAR)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S610단계는 RACH 프로시저(procedure)에 대응할 수 있다.
S620단계에서 기지국(601)은 참조 신호 예를 들어, CSI-RS를 단말(6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601)은 CSI-RS를 각 빔 별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S620단계에서 단말(602)은 각 빔 별로 CSI-RS를 수신하고, 각 빔 별로 수신된 CSI-RS를 측정할 수 있다.
S622단계에서 단말(602)은 CSI-RS에 대한 RSRP에 기초하여 가장 좋은 CSI-RS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602)은 하향 링크 참조 신호에서 CSI-RS의 RSRP값이 가장 큰 방향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 있다.
S624단계에서 단말(602)은 선택한 빔에 기초하여 물리 계층 상향 링크 제어 채널(PUCCH)로 채널 상태 정보(CSI)를 보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상태 보고는 CRI/CQI 또는 CRI/PMI/RI/CQ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UCCH는 단말 별로 설정된 단말 특정 PUCCH가 될 수 있다. 이에 기지국(601)은 단말(602)이 단말 특정 PUCCH를 통해 보고한 CSI를 통해 단말(602)이 선택한 빔을 확인할 수 있다.
S630단계에서 기지국(601)과 단말(602)은 단말(602)이 보고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통신은 기지국(601)이 PDCCH를 통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PDSCH를 통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602)에게 전송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향링크 통신은 단말(602)이 PUCCH를 통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PUSCH를 통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601)로 전송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량링크 통신 시에 단말(602)이 사용하는 PUCCH(들)은 단말 특정 PUCCH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말(602)은 S630단계에서 하향링크 통신을 수행하면서 하향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참조 신호의 RSRP를 측정하고,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측정된 RSRP의 평균 값을 계산할 수 있다.
S632단계에서 단말(602)은 계산된 RSRP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S632단계의 비교 결과 계산된 RSRP의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단말(602)은 S630단계의 통신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계산된 RSRP의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는 빔을 오류가 아닌 상태이기 때문에 하향링크 통신 및 상향링크 통신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계산된 RSRP의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602)는 SRS 전송 승인 요청을 결정하고, 단말(602)은 S634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도 6a의 S632단계 또한 앞서 도 5a의 S532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빔 오류를 검출하는 하나의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에서 설명한 다양한 방식들 중 하나로 이해되거나 대체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S632단계는 하나의 실시예로 참조 신호의 RSRP 측정 평균 값을 이용한 것이며, 빔 오류 발생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의 절차로 이해될 수 있다.
S634단계에서 단말(602)은 가장 좋은 CSI-RS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가장 좋은 CSI-RS는 S630단계에서 기지국(601)으로부터 수신되는 CSI-RS 중 가장 최근에 측정된 CSI-RS의 RSRP가 가장 큰 CSI-RS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장 최근을 포함한 미리 결정된 횟수 동안 CSI-RS에 대하여 측정된 RSRP의 누적 값에 기초하여 가장 좋은 CSI-RS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처럼 가장 좋은 CSI-RS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는 가장 좋은 CSI-RS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특별한 한정을 두지는 않는다. 여기서 가장 좋은 CSI-RS는 가장 좋은 CSI-RS를 전송한 빔을 특정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S636단계에서 단말(602)은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미리) 설정된((pre)-configured) 제2 시간(T2) 내에 단말(602)에게 할당된 PUCCH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602)에게 할당된 PUCCH는 앞서 설명한 단말 특정 PUCCH가 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은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기지국(601)으로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최대 시간 값이 될 수 있다. S636단계의 검사결과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내에 단말 특정 PUCCH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602)은 S638b단계로 진행하고,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내에 단말 특정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602)은 S638a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선 도 5a 및 도 5b에서는 미리 설정된 제1 시간(T1)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1 시간(T1)은 SRS 전송 승인 요청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최대 시간 값이며, 제2 시간(T2)은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기지국(601)으로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최대 시간 값이다. 만일 시스템에 의해 제1 시간과 제2 시간이 동일한 시간으로 설정된다면, 두 값은 같은 시간 값이 될 수도 있다. 만일 시스템에 의해 제1 시간과 제2 시간이 다르게 설정된다면 두 값은 서로 다른 시간 값이 될 수 있다. 제2 시간 또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두 값의 동일 여부와 무관하게 둘을 식별하기 위해 제1 시간(T1)과 제2 시간(T2)으로 설명함에 유의해야 한다.
이후 동작은 도 6b를 참조하여 이후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S638a단계 및 S638b단계는 모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두 단계 중 하나의 단계가 이루어지는 경우 다른 하나의 단계는 이루어지지 않음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다시 말해 단말(602)은 S638a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S638b단계를 수행하지 않으며, S638b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S638a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만일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T2) 내에 단말 특정 PUCCH가 존재하지 않아 S638a단계로 진행한 경우 단말(602)은 복수 단말 공유 자원을 이용하여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기지국(6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 단말 공유 자원은 앞서 설명한 단말 공유 PUCCH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공유 PUCCH는 앞서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501)이 기지국(501) 내의 단말들에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 (SIB)을 변형하거나 또는 새로 정의된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들에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602)은 단말 공유 PUCCH를 통해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전송할 시, 채널 보고 승인 요청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601)은 채널 보고 승인 요청에 포함된 단말 식별자를 획득함으로써, 어느 단말이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전송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T2) 내에 단말 특정 PUCCH가 존재하여 S638b단계로 진행한 경우 단말(602)은 단말 별로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기지국(601)로 전송할 수 있다.
S638a단계 또는 S638b단계에서 단말(602)이 기지국(601)으로 PUCCH를 전송할 때, 빔 방향은 단말(602)이 측정한 하향링크 참조 신호의 빔 방향들 중에서 단말이 가장 선호하는 방향이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602)이 기지국(601)으로 전송하는 PUCCH의 빔 방향은 기지국(601)로부터 수신된 하향링크의 참조 신호들 중 참조 신호의 RSRP가 가장 큰 참조 신호를 전송한 빔에 대응하는 방향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601)은 S638a단계 또는 S638b단계에서 단말(602)이 전송한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에 S638a단계에서 단말(602)이 단말 공유 PUCCH를 통해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기로 한다. 이때, 기지국(601) 입장에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 공유 PUCCH가 수신될 수 있다. 기지국(60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공유 PUCCH를 수신하기 위해 다사의 안테나로 빔 스위핑하여 단말 공유 PUCCH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특정한 빔을 통해 단말 공유 PUCCH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공유 PUCCH에 포함된 단말 식별자를 이용하여 어느 단말이 단말 공유 PUCCH를 전송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6b에 예시하지 않았으나, 단말(602)은 S638a단계 수행 후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의 재전송을 위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의 재전송을 위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S640단계와 같이 채널 상태 보고 승인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602)은 채널 상태 보고 승인 요청의 재전송을 위한 타이머를 중지할 수 있다. 반면에 채널 상태 보고 승인 요청의 재전송을 위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채널 상태 보고 승인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말(602)은 채널 상태 보고 승인 요청을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상태 보고 승인 요청을 재전송할 시 단말(602)은 단말 특정 PUCCH를 통해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재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채널 상태 보고 승인 요청을 재전송할 시 단말 특정 PUCCH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채널 상태 보고 승인 요청을 재전송 시 단말 공유 PUCCH를 이용하여 통해 채널 상태 보고 전송 승인 요청을 재전송할 수도 있다.
다시 도 6b를 참조하면, 기지국(601)는 S640단계에서 단말(602)로 채널 상태 보고 승인을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상태 보고 승인은 단말(602)가 채널 상태 보고를 전송할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602)는 S640단계에서 기지국(601)으로부터 채널 상태 보고 승인을 수신할 수 있고, 채널 상태 보고를 전송할 자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601)이 단말(602)로 채널 상태 보고 승인을 전송하는 경우는 단말 공유 PUCCH를 통해 채널 상태 보고 승인 요청을 수신한 경우 또는 단말 특정 PUCCH를 통해 채널 상태 보고 승인 요청을 수신한 경우이며, 기지국(601)은 단말(602)로부터 수신한 단말 공유 PUCCH 또는 단말 특정 PUCCH가 초기 전송인지 또는 재전송인지를 확인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S642단계에서 단말(602)은 기지국(601)이 S640단계에서 채널 상태 보고 승인에 포함된 할당 자원을 통해 채널 상태 보고를 기지국(6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상태 보고는 앞서 S634단계에서 선택된 가장 좋은 CSI-RS를 전송한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601)은 S642단계에서 단말(602)로부터 채널 상태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상태 보고에 포함된 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상태 보고는 앞서 S634단계에서 선택된 빔에 대한 CRI/CQI 또는 CRI/PMI/RI/CQI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단말이 빔 오류를 확인하면, PUCCH를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빔 오류 극복 절차 개시를 즉시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RA 프리앰블을 이용하는 방식과 대비할 때, 보다 빠르게 기지국에게 빔 오류 극복 절차 개시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단말에 단말 특정 PUCCH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에도 단말 공유 PUCCH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빔 오류 극복 절차 개시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 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제1 빔에 대한 오류 조건이 충족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빔 오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든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PUCCH를 통해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전송 승인 요청 및 상기 단말 식별자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RS 전송 승인이 수신되는 경우,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말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빔 포밍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RS의 측정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에 대한 오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에 대한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 RSRP)에 대한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연속된 복호 오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인,
    단말의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PUCCH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단말의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PUCCH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PUCCH를 통해 상기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RS 전송 승인이 수신될 시, 상기 SRS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내에 SRS 전송 승인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3 PUCCH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PUCCH가 존재할 시 상기 제3 PUC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SRS 승인 요청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제2 시간 내에 상기 SRS 전송 승인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제3 PUCCH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제2 PUC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SRS 승인 요청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8.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제1 빔에 대한 오류 조건이 충족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빔 오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빔을 제외한 빔들을 통해 수신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들 중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 RSRP) 값이 가장 큰 RS를 선택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든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PUCCH를 통해 채널 보고 승인 요청 및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보고 승인이 수신될 시, 상기 RSRP 값이 가장 큰 RS가 전송된 빔에 대한 채널 상태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에 대한 오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에 대한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 RSRP)에 대한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연속된 복호 오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인,
    단말의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PUCCH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단말의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PUCCH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PUCCH를 통해 상기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보고 승인이 수신될 시, 상기 채널 상태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제2 시간 내에 채널 보고 승인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3 PUCCH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PUCCH가 존재할 시 상기 제3 PUC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채널 상태 보고 승인 요청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보고 승인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제2 시간 내에 상기 채널 상태 보고 승인이 수신되지 않고,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제3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PUC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채널 상태 승인 요청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
  14.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내의 모든 단말들이 공유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정보를 단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통신에 사용할 제1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PUCCH를 통해 빔 복구를 위한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전송 승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RS 전송 승인 요청에 응답하여 SRS 전송 승인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S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SRS를 측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할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의 빔 포밍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빔 포밍 가중치를 이용하여 빔 포밍된 참조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채널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PUCCH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PUCCH를 사용하기 위한 제1 시간을 포함하는 조건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단말에서 빔 오류 조건을 충족 시 상기 제1 시간 내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PUCC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PUCCH를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기지국의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빔 오류 조건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에 대한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 RSRP)에 대한 평균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연속된 복호 오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인,
    기지국의 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에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1 PUCCH를 통해 상기 빔 복구를 위한 SRS 전송 승인 요청이 수신될 시, 상기 SRS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SRS 전송 승인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S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SRS를 측정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할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의 빔 포밍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빔 포밍 가중치를 이용하여 빔 포밍된 참조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채널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방법.
KR1020230170197A 2022-12-01 2023-11-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복구 방법 및 장치 KR20240083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65471 2022-12-01
KR1020220165471 2022-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3039A true KR20240083039A (ko) 2024-06-11

Family

ID=9127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0197A KR20240083039A (ko) 2022-12-01 2023-11-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복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188062A1 (ko)
KR (1) KR2024008303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88062A1 (en) 2024-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32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beam recovery
US10461994B2 (en) Method for response to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JP7371145B2 (ja) セカンダリセルビームリカバリ
KR102650783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빔 관리
CN110546929B (zh) 传输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csi-rs)的方法和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6963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communications
TWI806834B (zh) 用於獨立鏈路的波束資訊
JP6406777B2 (ja) ビーム構成方法、基地局、およびユーザ機器
WO2019095723A1 (zh) 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
TW201937957A (zh) 預設上行鏈路波束確定方法及使用者設備
US103683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adaptation in a beam-based communications system
KR20150122202A (ko) 장치 대 장치 간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보조 다중-셀 장치 디스커버리 프로토콜
US10575356B2 (en) Device and method of configuring a secondary node and reporting in dual connectivity
KR20230061368A (ko) 멀티모드 2차 셀 그룹 휴면
CN112351451B (zh) 波束失败恢复方法及装置
KR2024008303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복구 방법 및 장치
KR20210018049A (ko)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연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8201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조절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7428762B2 (ja) 基準信号報告を取り扱う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23000727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조절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78392A (ko)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90124629A1 (en)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5866648A (zh) 新波束识别的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