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2943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2943A
KR20240082943A KR1020220167104A KR20220167104A KR20240082943A KR 20240082943 A KR20240082943 A KR 20240082943A KR 1020220167104 A KR1020220167104 A KR 1020220167104A KR 20220167104 A KR20220167104 A KR 20220167104A KR 20240082943 A KR20240082943 A KR 20240082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llection
drum body
axis
brus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원
권기환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8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2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Abstract

드럼을 포함하는 청소기를 개시한다.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및 청소기 본체로 이물질의 흡입을 유도하도록 마련되고, 제1방향(R)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을 포함하고, 드럼은, 드럼에 걸린 이물질이 모이도록 마련되는 수집부와, 드럼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드럼 바디, 및 드럼 바디의 축(A) 방향 양 단부 사이에 연장되고, 드럼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브러시 부재를 포함하고, 브러시 부재의 말단은 드럼의 축으로부터 브러시 부재의 말단까지의 거리가 수집부와 테이퍼부에 걸쳐 유지되도록 위치한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개시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을 포함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청소 공간에 존재하는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쓸거나 비산시키고, 비산된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흡입력에 의해 흡입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청소하는 장치이다.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연결관에 의해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며 흡입구를 갖는 흡입 헤드와, 흡입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드럼은 딱딱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드럼 바디와, 드럼 바디의 외주면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브러시를 포함한다.
드럼의 회전에 의해 청소 공간에 존재하는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면, 비산된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청소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로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집진통으로 이동된다.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 중 머리카락, 동물의 털, 실 등과 같은 이물질이 복수의 브러시 사이에 끼어 감기게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유지 보수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드럼에 엉키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이 드럼의 중심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및 청소기 본체로 이물질의 흡입을 유도하도록 마련되고, 제1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을 포함한다. 드럼은, 드럼에 걸린 이물질이 모이도록 마련되는 수집부와, 드럼은 드럼의 축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드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은 드럼 바디의 축 방향 양 단부 사이에 연장되고, 드럼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브러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부재의 말단은 드럼의 축으로부터 브러시 부재의 말단까지의 거리가 수집부와 테이퍼부에 걸쳐 유지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브러시 부재는 드럼 바디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브러시 부재는 드럼 바디의 축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를 향하여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드럼 바디는 브러시 부재가 결합하도록 수집부와 테이퍼부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드럼의 축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에 가까워질수록 결합부의 높이가 증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는 드럼 바디의 축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를 향하여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수집부는 드럼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드럼 바디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드럼 바디는 상기 드럼의 축(A)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드럼 바디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상기 수집부를 제1수집부와 제2수집부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집부와 상기 제2수집부는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마련되고,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브러시 부재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브러시 부재는 드럼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드럼은 복수의 브러시 부재 사이에 드럼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드럼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는 드럼 바디의 수집부에서 드럼의 축 방향 양 단부로 향할수록 축으로부터 리브의 말단까지의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부재는 브리슬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부재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집진실을 갖는 청소기 본체, 및 이물질의 흡입을 유도하도록 흡입구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을 포함한다.
드럼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수집부와, 드럼의 축 방향 일 단부로부터 수집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드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은, 드럼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흡입구 주위의 이물질을 비산시키는 브러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부재는, 드럼의 축으로부터 브러시 부재의 말단까지의 거리가 드럼의 축 방향을 따라 유지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브러시 부재는 드럼 바디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브러시 부재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브러시 부재는 드럼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드럼 바디는, 브러시 부재가 결합하도록 드럼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드럼의 축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바디는 상기 드럼의 축(A)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드럼 바디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구획부로서, 상기 수집부를 제1수집부와 제2수집부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집부와 상기 제2수집부는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마련되고,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집진실을 갖는 청소기 본체, 및 이물질의 흡입을 유도하도록 흡입구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을 포함한다. 드럼은, 이물질이 모이도록 마련되는 수집부와, 드럼의 축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부, 및 수집부와 테이퍼부로부터 돌출되고 드럼의 일단부로부터 수집부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드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은, 드럼 바디의 축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를 향하여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드럼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드럼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브러시 부재로서, 드럼의 축으로부터 브러시 부재의 말단까지의 거리가 수집부와 테이퍼부에 걸쳐 유지되도록 결합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부재는, 브러시 부재의 말단을 향해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기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드럼에 엉키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기를 작동함에 따라 이물질이 드럼의 중심부로 집중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의 흡입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흡입 헤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드럼이 장착된 흡입 헤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리슬을 포함하는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드럼으로부터 브리슬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드럼을 일 방향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중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5의 드럼의 일 측면과 X-X'를 자른 단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드럼에 감긴 이물질이 드럼의 회전에 따라 가운데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에 수집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드럼을 일 방향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드럼의 중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를 포함하는 드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은 도 14에 도시된 드럼의 일 측면과 Y-Y'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부재가 블레이드로 마련되는 드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도 16의 드럼의 중심부에 수집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드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청소기의 일종인 스틱 청소기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구성은 스틱 청소기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구성은 스틱 청소기와 다른 청소기의 일종인 캐니스터 타입 청소기, 로봇 청소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7의 브러시 부재(1200, 4200)는 먼지나 쓰레기를 쓸어 내는 비, 솔 등의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쓸다, 털다 등의 의미를 포함하는 브러시(brush)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브러시 부재(1200, 4200)는 반드시 복수 개의 모가 집합된 브리슬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청소면의 이물질 등을 쓸어내거나 털어낼 수 있다면 모두 브러시 부재(1200, 4200)의 구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시 부재(1200, 4200)는 청소면을 쓸어낼 수 있는 강모 또는 약모 재질의 브리슬, 융, 탄성 블레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리슬(1200)을 구성하는 브러시 모에 대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인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이는 복수의 브러시 모가 집합된 일 단위(unit)인 브리슬(1200)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본 개시의 구성에 해당하는 브리슬(1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의 흡입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흡입 헤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드럼이 장착된 흡입 헤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와, 연결관(20)에 의해 청소기 본체(10)에 연결되는 흡입 헤드(100)와, 흡입 헤드(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집진장치(40)와,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흡입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모터는 모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장치(40)는 흡입 모터보다 공기 유동의 상류에 배치되어 유입구(43)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을 분리 및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집진장치(40)는 흡입 헤드(100)의 흡입구(101a, 도 5 참조)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먼지분리장치(미도시)와, 먼지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먼지나 이물질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집진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장치(40)는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집진장치(40)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버튼은 집진장치(40)가 청소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되거나 청소기 본체(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1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1)을 잡고, 청소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컨트롤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부(12)에 마련된 전원 버튼 등을 조작하여 청소기를 온/오프 시키거나 흡입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배터리(13)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3)는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13)가 방전된 경우, 미리 충전된 배터리(13)와 교체함으로써 청소기의 동작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와 달리, 배터리(13)는 청소기 본체(1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필터 하우징(15)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5)은 대략 도넛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필터(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필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일 예로 헤파 필터(Hepa Filter)가 필터 하우징(1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미도시)는 집진장치(40)의 먼지 분리장치에서 걸러지지 않은 초미세먼지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5)은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청소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의 홀(16)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연결관 결합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 결합부(14)는 연결관(20)을 청소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청소기 본체(10)에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관(20)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파이프 또는 플렉시블한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20)은 청소기 본체(10)의 흡입 모터를 통해 발생된 흡입력을 흡입 헤드(100)로 전달하고, 흡입 헤드(100)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을 청소기 본체(10)로 안내할 수 있다.
흡입 헤드(100)는 연결관(20)에 의해 청소기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 헤드(100)는 연결관(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 헤드(100)에는 드럼(10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드럼(1000)은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 헤드(100)의 내측으로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1000)이 회전함에 따라 피청소면의 이물질이 흡입 헤드(100)의 흡입구(101a)를 통해 흡입 헤드(100)의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 헤드(100)의 내측으로 흡입된 이물질은 청소기 본체(10)의 흡입 모터에 의해 연결관(20)과 흡입 헤드(100)를 연통시키는 연통구(101b)를 지나 연결관(20)으로 흡입되고, 청소기 본체(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흡입 헤드(100)는 흡입구(101a)가 형성된 하우징(102)과, 하우징(102) 및 연결관(20)을 연결하는 흡입 커넥터(7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헤드(100)의 내측에는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흡입구(101a)를 통해 하우징(102)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 헤드(1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1000)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 헤드(100)의 하우징(102)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과 사이드 하우징(130), 드럼탈착커버(140)가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하우징(130)은 하부 하우징(120)의 좌측에 결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탈착커버(140)는 드럼(1000)의 우측에 결합되어 하부 하우징(120)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이드 하우징(130)과 드럼탈착커버(140)의 좌, 우측 배치 상태는 서로 뒤바뀌어 마련될 수도 있다.
드럼탈착커버(140)는 드럼 바디(1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탈착커버(140)는 하부 하우징(12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드럼탈착커버(140)는 드럼(1000)이 하우징(10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141) 및 커버 스위치(14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탈착커버(140)가 고정부(141) 및 커버 스위치(142)를 포함함에 따라 드럼(1000)은 하우징(102)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드럼탈착커버(140) 또한 고정부(141) 및 커버 스위치(142)에 의해 드럼(1000)과 함께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41)는 드럼탈착커버(140)로부터 상부 하우징(110) 내지 하부 하우징(12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41)에는 고정 후크(도면 부호 미표시) 및 고정 후크를 가압하도록 마련된 커버 스위치(142)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0)에는 고정부(141)가 삽입되며 고정부(14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1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 홈(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0)의 삽입 홈(110a)에는 고정부(141)의 고정 후크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체결 홈(110b)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드럼탈착커버(140)는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으로부터 용이하기 분리 가능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드럼(1000) 또한 흡입 헤드(100)의 하우징(102)에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드럼탈착커버(140)의 구성에 대한 상기 설명은 드럼(1000)이 하우징(10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드럼탈착커버(140)의 구성은 상기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드럼탈착커버(140)는 다른 방식으로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드럼(1000)은 드럼탈착커버(140)가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하우징(102)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드럼(1000)은 드럼(1000)의 양단에 배치되는 베어링 캡(150) 및 구동 캡(1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어링 캡(150)은 드럼(1000)의 사이드 하우징(130) 측 일단에 배치될 수 있고, 구동 캡(160)은 드럼(1000)의 드럼탈착커버(140) 측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캡(150)은 드럼 (1000)의 일단을 커버하며, 드럼(1000)의 일단 및 드럼 바디(1100)의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캡(150)은 사이드 하우징(130) 일측을 향하는 드럼 바디(1100)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베어링 캡(150)은 사이드 하우징(130)을 향한 드럼 바디(1100)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 캡(150)은 드럼 바디(1100)에 삽입되어 드럼 바디(1100)의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캡(160)은 베어링 캡(150)이 배치된 드럼(1000)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을 커버하며, 드럼(1000)의 타단 및 드럼 바디(1100)의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캡(160)은 드럼 바디(1100)의 일단에 고정되어 드럼 바디(1100)가 드럼탈착커버(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럼탈착커버(140)는 드럼탈착커버(140)가 구동 캡(16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구동 캡 체결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캡 체결부재(143)는 드럼탈착커버(140)에 마련된 구동 캡 베어링(14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구동 캡 체결부재(143)는 드럼 바디(1100)가 드럼탈착커버(14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드럼 바디(1100)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캡(160)은 드럼 바디(1100)에 삽입되어 드럼 바디(1100)의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캡(150)은 외주면에 캡 고정 돌출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캡 고정 돌출부(15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캡 고정 돌출부(152) 각각은 베어링 캡(15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 캡(160)은 외주면에 캡 고정 돌출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캡 고정 돌출부(16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캡 고정 돌출부(162) 각각은 구동 캡(16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의 내주면에는 베어링 캡(150)의 캡 고정 돌출부(152) 및 구동 캡(160)의 캡 고정 돌출부(162)에 대응되도록 캡 고정홈(1140)이 형성될 수 있다. 캡 고정홈(1140)은 베어링 캡(150) 및 구동 캡(160)이 배치되는 드럼 바디(110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캡 고정 돌출부(152, 162)는 각각이 캡 고정홈(1140)에 삽입될 수 있으며, 베어링 캡(150) 및 구동 캡(160)은 드럼 바디(1100)의 내주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베어링 캡(150) 및 구동 캡(160)을 포함하는 드럼(1000)에 대한 상기 설명은 드럼(1000)이 흡입 헤드(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일례에 불과하며, 드럼(1000)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어링 캡(150) 및 구동 캡(160)은 상술한 바와 다르게 드럼 바디(11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드럼(1000)은 베어링 캡(150)이나 구동 캡(16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드럼(1000)은 드럼 바디(1100)의 내측에서 드럼 바디(1100)의 회전축을 따라 배치되는 별도의 축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축 부재가 동력부(170)에 연결되어 드럼 바디(1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된다면 드럼(1000)은 흡입 헤드(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 헤드(100)는 동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170)는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고,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171)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170)는 드럼(1000)의 일측에 위치하여 회전축과 결합하는 모터 베어링(173)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170)는 일측은 모터 베어링(173)에 결합되고, 타측은 모터(171)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모터(171)의 동력을 드럼(1000)로 전달하는 풀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모터(171)가 동력을 발생시켜 모터(171)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풀리(172)가 이동하고, 풀리(172)의 이동에 의하여 모터(171) 베어링이 회전하면, 모터 베어링(173)이 회전하게 된다. 모터 베어링(173)은 드럼 바디(1100)의 베어링 캡(150)과 결합할 수 있다. 모터 베어링(173)이 회전함에 따라, 베어링 캡(150)이 회전하고, 베어링 캡(150)과 결합한 드럼 바디(1100)도 회전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에 돌출 또는 결합되는 브러시 부재(1200, 4200) 역시 드럼 바디(1100)와 함께 회전하면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스틱 청소기 등 흡입 헤드(100)가 구비된 청소기(1)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드럼(1000)은 로봇 청소기와 같이 흡입 헤드(100)가 없는 청소기(1)에도 장착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로봇 청소기는 피청소면 상을 이동할 수 있는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피청소면의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는 청소기 본체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에는 드럼(1000)이 위치할 수 있다. 드럼(1000)은 상술한 청소기(1)에서와 같이, 흡입구 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드럼(10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리슬을 포함하는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드럼으로부터 브러시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드럼을 일 방향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중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5의 드럼의 일 측에서 본 상태와 X-X'를 자른 단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드럼에 감긴 이물질이 드럼의 회전에 따라 가운데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드럼(1000)은 드럼 바디(1100) 및 드럼 바디(1100)로부터 돌출되는 브러시 부재(1200, 42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부재(1200, 4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 부재(1200, 420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브러시 부재(1200, 4200)는 제1브러시 부재(1200a, 4200a)와 제2브러시 부재(1200b, 4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러시 부재(1200a, 4200a)와 제2브러시 부재(1200b, 4200b)는 드럼 바디(1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브러시 부재(1200a, 4200a)와 제2브러시 부재(1200b, 420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브러시 부재(1200a, 4200a)와 제2브러시 부재(1200b, 4200b)는 서로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위치할 수 있다. 본 도시에서는, 브러시 부재(1200, 420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2개인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브러시 부재(1200, 4200)가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서로 이격되는 120도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지 않을 수 있고, 특정 각도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브러시 부재(1200, 4200)는 브리슬(120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복수의 모들이 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대략 비 또는 솔일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나일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피청소면을 타격 또는 쓸어냄으로써 이물질을 비산시킬 수 있다.
브리슬(120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브리슬(1200)은 제1브리슬(1200a)과 제2브리슬(12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리슬(1200a)과 제2브리슬(1200b)은 드럼 바디(1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브리슬(1200a)과 제2브리슬(1200b)은 서로 180도의 간격을 가지며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브리슬(1200a)과 제2브리슬(1200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도시에서는, 브리슬(1200)이 제1브리슬(1200a)과 제2브리슬(1200b)만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드럼 바디(1100)는 동력부(170, 도 3 참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가 회전함에 따라, 드럼(1000)이 회전하며 피청소면 상의 이물질이 흡입 헤드(100)로 흡입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는 드럼(1000)이 흡입 헤드(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부(170) 등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드럼 바디(1100)는 드럼 바디(1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베어링 캡(150)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1000)이 피청소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1000)은, 제1방향(R) 즉, 사이드 하우징(130, 도 3 참조) 및 베어링 캡(150, 도 3참조) 측에서 드럼(1000)을 바라봤을 때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는 적어도 일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는 회전체이므로, 축(A)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의 일측에 결합하는 베어링 캡(150)과 타측에 결합하는 구동 캡(160)은 모두 축(A)상에 위치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는 중공이 있는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의 중공은 드럼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표현으로 드럼(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럼 바디(1100)는 파이프(pip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시 바디(1100)는 중량을 줄이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후술할 슬릿(2100, 도 1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드럼 바디(110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드럼 바디(1100)는 내부에 공간이 없이 속이 가득 메워진 바(bar)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도시에서와 같이, 드럼 바디(1100)는 드럼 바디(1100)의 일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재료비를 절감하면서, 일정 수준의 질량을 확보하여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드럼(1000)은 길이 방향의 축(A)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이므로, 대략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드럼(1000)은 원통 형상에 가깝도록 마련되는 다각기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드럼(1000)은 축(A)과 수직인 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육각형일 수도 있다. 또는, 드럼(1000)을 자른 단면이 타원형일 수도 있다. 드럼(1000)이 다각기둥으로 마련되는 경우, 브러시 부재(1200, 4200) 또는 결합부(1130) 등이 평면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드럼(1000)의 단면이 가지는 각의 개수가 많을수록 본 도시의 원통 형상과 유사해질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형상을 바꿀 수 있다.
드럼 바디(1100)는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중심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1110)와 테이퍼부(11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집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부(1110)는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집부(1120)는 테이퍼부(1110) 중 중심부에 가까운 곳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집부(1120)는 직경이 일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집부(1120)는 양 측의 테이퍼부(1110)가 만나는 위치에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수집부(1120)는 직경이 일정한 구간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이 아닌, 하나의 원 형상일 수 있다. 또 다른 표현으로는, 수집부(1120)는 드럼(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경우와 같이, 드럼 바디(1100)의 단면이 원이 아닌 타원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더라도, 테이퍼부(1110)는 수집부(1120)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1110)는 드럼 바디(1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테이퍼부(1111)와, 타측에 위치하는 제2테이퍼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테이퍼부(1111)와 제2테이퍼부(1112)는 서로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집부(1120)는 제1테이퍼부(1111)와 제2테이퍼부(111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테이퍼부(1111)와 수집부(1120), 제2테이퍼부(1112)와 수집부(1120)는 서로 단차가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집부(1120)는 제1테이퍼부(1111)와 제2테이퍼부(1112)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수집부(1120)는 양측에 위치한 테이퍼부(1110)의 사이에 하나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테이퍼부(1110)는 중심으로 향할수록, 즉 수집부(1120)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므로, 드럼 바디(1100)는 대략 모래시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1110)는 수집부(1120)로 향할수록 머리카락과 같은 긴 이물질은 드럼(1000)과 같은 고속 회전체에 감기게 되면, 직경이 작은 수집부(1120)와 같은 부분으로 빨려 들어가는 특성이 있다.
본 도시에서는 테이퍼부(1110)의 직경이 직선형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드럼 바디(1100)의 테이퍼부(1110)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테이퍼부(1110)는 수집부(1120)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이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1000)의 축(A)과 수직인 방향에서 드럼(1000)을 바라봤을 때, 상부는 대략 U자 면을 형성하고, 하부는 대략 역 U자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테이퍼부(1110)는 수집부(1120)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이 점점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드럼(1000)의 축(A)과 수직인 방향에서 드럼(1000)을 바라봤을 때, 테이퍼부(1110)는 대략 옆으로 누운 U자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부(1110)의 형상이 다르게 마련되더라도, 드럼(1000)의 축(A)으로부터 브러시 부재(1200, 4200)의 말단까지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드럼 바디(1100)가 중심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드럼(1000)에 걸린 이물질이 중심부로 유도될 수 있다. 드럼(1000)이 직경이 일정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경우 이물질은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지만, 중심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드럼(1000)의 경우 드럼(1000)의 회전력과, 드럼 바디(1100)의 경사, 및 중심부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연통구(101b)로의 흡입력에 의하여 중심부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드럼 바디(1100)의 수집부(1120)는 대략 직경이 일정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집부(1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1000)의 축(A) 방향으로 길이를 갖지 않는 대략 꺾인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1110)에 위치한 브리슬(1200)에 걸린 이물질은 수집부(1120)를 향하여 유도될 수 있다. 수집부(1120)가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 수집부(1120)는 드럼(10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수집부(1120)에 이물질이 과다하게 집중될 경우, 연통부(101b)를 가로 막아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하여 흡입력이 감소할 수 있다. 다만, 수집부(1120)의 길이가 과도하게 긴 경우, 테이퍼부(1110)의 길이가 짧아져 이물질을 수집부(1120)로 이동시키는 의미가 약화될 수 있다.
수집부(1120)는 드럼(1000)의 축(A) 방향을 기준으로, 드럼 바디(1100)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 브리슬(1200)에 걸린 이물질을 수집부(112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집부(1120)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요구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는 흡입력 발생 장치(미도시)가 공기 및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공기 및 이물질은 흡입 헤드(100)의 흡입구(101a)를 통과해, 연통구(101b)로 유입되는데 연통구(101b)는 흡입 헤드(100)의 가운데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집부(1120)로 작용하는 흡입력은 흡입 헤드(100)의 가운데, 즉 흡입 헤드(100)의 대략 가운데에 드럼(1000)이 장착되므로 수집부(1120) 또한 드럼 바디(1100)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수집부(1120)가 드럼(1000)의 축(A) 방향을 따라, 드럼 바디(1100)의 가운데에 위치하므로 흡입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브리슬(1200)에 걸린 이물질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는 금속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드럼 바디(1100)는 흡입 헤드(10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며, 브리슬(120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1000)은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쓸어내도록 마련되는 브리슬(120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복수의 모를 갖는 비, 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강모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약모, 융 등 복수의 모를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와 함께, 흡입 헤드(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피청소면을 타격하여 이물질을 비산시키고, 흡입구(101a)를 통해 흡입 헤드(100)의 내측으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후술할 결합부(113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로부터 직접 돌출 및 고정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리슬(1200)은 브러시 밴드(1210)와, 브러시 밴드(1210)에 결합하는 복수의 브러시 모(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밴드(1210)와 복수의 브러시 모(1220)는 함께 브리슬(1200)을 한 단위로서 형성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복수의 브러시 모(1220)가 브러시 밴드(1210)에 접착 또는 결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는 브리슬(1200)이 결합하도록 드럼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드럼 바디(1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3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13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130)는 제1브러시 부재(1200a, 4200a)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1131)와, 제2브러시 부재(1200b, 4200b)와 결합하는 제2브러시 부재(1200b, 4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131)와 제2결합부(1132)는 드럼 바디(1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도시에서는 제1결합부(1131)와 제2결합부(1132)는 서로 반대 방향, 즉 180도의 간격을 이루면서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1131)와 제2결합부(1132)는 일 정각도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브러시 부재(1200, 4200)은 결합부(1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브러시 부재(1200, 4200)가 강모 재질의 브리슬 뿐만 아니라 탄성 블레이드로 형성되더라도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30)에 브리슬(1200)이 결합함으로써, 머리카락과 같은 길이가 긴 이물질이 브리슬(1200)의 복수의 모 사이에 걸리더라도, 결합부(1130)의 높이에 의하여 드럼 바디(1100)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브리슬(1200)에 감긴 이물질을 제거하려는 경우, 드럼 바디(1100)에 완전히 밀착된 경우보다 결합부(1130)에 의하여 테이퍼부(1110) 및 수집부(1120)와 간격이 있는 경우에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결합부(1130)는 드럼 바디(1100)의 테이퍼부(1110)와 수집부(112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1120)를 향하여 제1방향(R)과 반대되는 제2방향(R')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드럼(1000)의 축(A)과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볼 때,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이 드럼 바디(1100)로부터 직접 돌출되는 경우 결합부(1130)에 결합되는 브리슬(1200)이 대략 V자 형상이 아닌 일자로 형성되더라도, 결합부(1130)의 형상에 맞추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V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1130)는 브리슬(1200)이 장착될 수 있는 결합부 슬롯(1130a)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 슬롯(1130a)은 브러시 밴드(1210)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 슬롯(1130a)은 결합부(1130)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결합부(113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30)의 높이는 드럼(1000)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1120)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속 회전체인 드럼(1000)의 특성 상, 드럼 바디(1100)와 브러시 부재(1200, 4200) 간의 결합 강도는 드럼(1000)의 내구성 측면에서 중요할 수 있다. 결합부 슬롯(1130a) 브러시 부재(1200, 4200)이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키는 경우보다 더 강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어, 제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결합부(1130)는 수집부(1120)를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결합부(1130)에 결합되는 브리슬(1200)의 높이는 일정하게 마련되더라도, 드럼(1000)의 축(A)로부터 브리슬(1200)의 말단까지의 거리는 테이퍼부(1110)와 수집부(1120)에 걸쳐 유지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브리슬(1200)의 길이를 별도로 조절하는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브리슬(1200)의 생산 효율 및 드럼(1000)의 제작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흡입 헤드(100)의 흡입구(101a)를 통해 피청소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이 드럼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브리슬(1200)이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대략 흡입구(101a)의 면적과 유사하게 되고, 청소기(1)의 흡입 헤드(100)가 지나가는 영역의 청소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청소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브리슬(1200)은 말단이 드럼(1000)의 축(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l)를 유지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균일하게 비산 및 흡입시킬 수 있도록 브리슬(1200)이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길이가 균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드럼 바디(1100)가 직경이 일정한 원통이 아닌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므로,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의 직경이 중심부를 향할수록 감소하는 테이퍼부(1110)와 직경이 비교적 작은 수집부(1120)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퍼부(1110)로부터 돌출되는 브리슬(1200)은 수집부(1120)로 향할수록 길게 마련될 수 있고, 수집부(1120)로부터 돌출되는 브리슬(1200)은 테이퍼부(1110)로부터 돌출되는 브리슬(1200) 중 가장 긴 길이로 일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드럼 바디(1100)로부터 돌출되는 브리슬(1200)의 높이는 드럼(1000)의 축(A) 방향을 따라 드럼 바디(1100)의 수집부(1120)를 향하여 증가할 수 있다. 브리슬(1200)의 길이는 테이퍼부(1110)에서 수집부(1120)를 향할수록 길이가 증가하여, 결국 드럼(1000)의 축(A)로부터 브리슬(1200)의 말단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제1방향(R)과 반대되는 제2방향(R')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브리슬(1200)은 드럼바디(1100)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1120)를 향하여 제2방향(R')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드럼(1000)의 축(A)과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V자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여, 드럼(1000)이 회전할 때, 브러시 유닛(1200)은 흡입구(101a)에서 유입되는 공기 및 이물질의 유동을 드럼(1000)의 중심부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브리슬(1200) 각각은 드럼(10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V'자의 형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도, 드럼(10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브리슬(1200)은 먼저 드럼 브러시(10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별도로 제조된 후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브리슬(1200)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장된 하나의 단위가, 드럼 바디(1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장 간격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브리슬(1200)이 복수 개로 배치됨으로써, 피청소면의 이물질 비산 및 흡입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도시에서는, 브리슬(1200)이 2개로 구성되어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브리슬(1200)은 더 많은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브리슬(1200)에 걸린 이물질이 수집부(1120)로 이동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흡입 헤드(100)의 내부에는 드럼(1000)이 장착될 수 있다. 청소기(1)는 흡입 헤드(100)의 흡입구(101a)를 통해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카펫과 같이 이물질이 청소면과 강하게 접촉하고 있는 청소 환경에서 청소기(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성이 작은 브러시 재질은 청소 효율이 낮을 수 있다. 강성이 작은 브러시 재질는 청소면 사이에 있는 이물질을 교란시킬 정도로 충격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강성이 큰 브리슬을 포함하는 브리슬(1200)을 사용하는 경우, 충분한 청소 효율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브리슬 재질의 브리슬(1200)은 강성이 강하기 때문에 머리카락과 같은 길이가 긴 이물질이 감기면 다시 빠져 나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대략 모래시계 형상의 드럼 바디(1100)에 의해 수집부(1120)로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수집부(1120)로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a)는 도 5의 드럼(1000)을 D 방향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도 5의 드럼(1000)의 X-X'를 절단하여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제1방향(R)과 반대되는 제2방향(R')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제1방향(R)과 반대되는 제2방향(R')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드럼 바디(1100)와 이루는 각(θ)이 제2방향(R')을 향해 예각이 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브리슬(1200)이 강모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머리카락과 같은 긴 이물질은 브리슬에 걸리기 쉽다. 강모 재질의 브리슬은 비교적 강성이 강하므로, 브리슬 사이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브리슬(1200)은 드럼(1000)의 회전 방향인 제1방향(R)과 반대되는 제2방향(R')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므로, 드럼(1000)이 회전하면서 브리슬(1200)의 말단부터 피청소면에 닿을 수 있다. 또한, 드럼(1000)이 회전하면서 브리슬(1200)이 피청소면을 쓸듯이 접촉할 수 있고, 브리슬(1200)을 구성하는 각 모들이 벌어지는 현상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만약, 브리슬(1200)이 드럼(1000)의 회전 방향(R)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한다면, 피청소면에 찍히듯이 접촉할 수 있고, 브리슬(1200)의 각 모들이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휘게 되므로 이물질이 빠져나오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 경우, 강모 재질의 브리슬(1200)의 말단이 먼저 피청소면에 닿음으로써, 브리슬이 드럼(1000)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휘게 되고 브리슬(1200)의 강모 사이에 걸린 이물질이 빠져나오는 것이 비교적 용이해질 수 있다. 빠져나온 이물질은 드럼 바디(1100)의 형상 및 회전력, 및 수집부(1120) 측에 가깝게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드럼 바디(1100)의 중심에 위치하는 수집부(1120)를 향해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브리슬(1200)이 드럼 바디(1100)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1120)를 향하여 제2방향(R')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우에는 축(A) 방향 양 단부에 위치하는 브리슬(1200)이 먼저 피청소면에 닿을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는, 테이퍼부(1110)에 위치하는 브리슬(1200)이 먼저 피청소면에 접촉하고, 수집부(1120)에 위치하는 브리슬(1200)이 나중에 피청소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브리슬(1200)이 먼저 회전 방향으로 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하는 브리슬(1200)은 원 상태를 유지하므로, 강모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강모 사이에 걸려 있던 이물질은 강모가 벌어진 상태에 있으므로, 빠져나오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빠져 나온 이물질은 드럼 바디(1100)의 형상 및 회전력, 및 수집부(1120) 측에 가깝게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드럼 바디(1100)의 중심에 위치하는 수집부(1120)를 향해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10과 같이, 테이퍼부(1110)에 돌출된 브리슬(1200)에 감긴 이물질이 수집부(1120)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1은 드럼의 중심부에 수집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드럼을 일 방향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드럼의 중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수집부(2120)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운데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집부(2120)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되더라도, 연통구(101b)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집부(2120)는 2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수집부(2120)로부터 드럼 바디(1100)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다시 증가하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즉, 테이퍼부(1111, 1112)로부터 수집부(1120)를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다가, 수집부(2120)로부터 드럼 바디(1100)의 중앙을 향할수록 다시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드럼 바디(1100)를 드럼(1000)의 축(A)과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대략 W자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000)은 드럼 바디(2100)의 수집부(2120)에 형성되는 구획부(2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2100)는 드럼(2000)의 축(A) 방향을 기준으로 드럼 바디(1100)의 가운데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2100)는 대략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획부(2100)는 대략 사각형, 반원 형상일 수 있고, 리브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획부(2100)는 수집부(2120)를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로 구획할 수 있다. 즉, 수집부(2120)는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집부(2121)는 제1테이퍼부(1111)로부터 이동하는 이물질이 수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수집부(2122)는 제2테이퍼부(1112)로부터 이동하는 이물질이 수집될 수 있다.
동일한 흡입력이 작용되도록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는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는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연통구(101b)를 향하는 흡입력이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에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수집하도록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는 연통구(101b)와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는 적어도 일부가 드럼(2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일정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는 각각이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부(2100)는 수집부(2120)의 드럼(2000)의 길이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수집부(2120)가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로 구획됨으로써, 이물질의 이동이 정체되는 구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물질은 본 개시의 드럼(2000)과 같은 고속 회전체에서 직경이 작은 곳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테이퍼부(1111, 1112)를 지나 직경이 일정한 수집부(2120)에 진입한 뒤에는, 직경이 일정한 구간에 놓이게 되므로 드럼(2000)의 중앙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힘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2000)의 정중앙까지 도달하기 어려우므로 수집부(2120) 중 테이퍼부(1111, 1112)와 인접한 부분인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로 이물질이 모여들 수 있다. 또한, 구획부(2100)에 의하여 흡입구(101a)로부터 연통구(101b)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유로가 더 좁아지므로, 흡입력이 더욱 강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물질이 드럼(2000)의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로 이동하는 데에 작용하는 힘이 더 강해질 수 있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를 포함하는 드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은 도 14에 도시된 드럼의 일 측면과 Y-Y'를 자른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드럼 바디(1100)는 복수의 브리슬(1200) 사이에 드럼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럼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300)는 드럼 바디(1100)의 드럼(1000) 축(A) 방향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도시에서 리브(1300)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결합부(11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브(1300)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00)는 드럼 바디(1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리브(1300)는 드럼 바디(1100)의 수집부(1120)에서 드럼(1000)의 축(A) 방향 양 단부로 향할수록 축(A)으로부터 리브(1300)의 말단까지의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드럼(1000)의 일 측면을 도시한 도 15(a)에 돌출된 리브의 길이는 드럼(1000)의 수집부(1120)를 지나는 Y-Y'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 15(b)에 비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럼 바디(1100)의 테이퍼부(1110)로부터 돌출되는 리브(1300)의 높이가 수집부(1120)로부터 돌출되는 리브(1300)보다 더 많이 돌출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는, 리브(1300)는 드럼 바디(110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00)는 테이퍼부(1100)로부터 돌출되는 테이퍼 리브(1310)와, 수집부(1120)로부터 돌출되는 수집 리브(132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 리브(1310)는 드럼(3000)의 축(A) 방향을 따라 수집 리브(1320)로 향할수록 높이 즉, 돌출 길이가 작아질 수 있다. 테이퍼 리브(1310)는 드럼(3000)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원통 형상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테이퍼 리브(1310)는 상술한 테이퍼부(1110)와 같이, 드럼(3000)에 감긴 이물질을 수집 리브(1320)로 유도할 수 있다.
테이퍼 리브(1310)는 제1테이퍼부(1111)로부터 돌출되는 제1테이퍼 리브(1311)와, 제2테이퍼부(1112)로부터 돌출되는 제2테이퍼 리브(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테이퍼 리브(1311)와 제2테이퍼 리브(1312)는 수집 리브(132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집 리브(1320)는 제1테이퍼 리브(1311)와 제2테이퍼 리브(131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집 리브(1320)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집 리브(1320)는 높이 즉, 돌출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도시와 같이, 수집 리브(1320)는 제1테이퍼 리브(1311)와 제2테이퍼 리브(1312)와 단차지지 않게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테이퍼 리브(1311)와 제2테이퍼 리브(1312)의 최소 돌출 길이에 비하여 작은 돌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집 리브(1320)는 수집 리브(13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수집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 홈(미도시)은 중심부로 향할수록 돌출 길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집 홈(미도시)은 대략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략 U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수집 홈(미도시)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집 홈(미도시)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연통구(101b)와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집 홈(미도시)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a)를 참조하면, 이물질은 브리슬(1200a, 1200b)의 사이에 걸리면서, 테이퍼 리브(1311)의 상측에 걸릴 수 있다. 이물질이 테이퍼부(1111)로부터 돌출된 테이퍼 리브(1311)의 상측에 걸림으로써, 이물질은 테이퍼부(1111)의 적어도 일부와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은 테이퍼부(1111)의 둘레 영역 전부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마찰력이 더 적게 작용할 수 있어, 수집부(1120)로 더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은 테이퍼부(1111)에 형성된 테이퍼 리브(1311)에 의하여, 브리슬(1200)에 비교적 얕게 걸릴 수 있다. 브리슬(1200)에 더 깊게 걸릴수록 브리슬(1200)의 강성에 의하여, 걸린 이물질이 빠져나오기 어려우나 비교적 얕게 걸린 이물질은 브리슬(1200)의 변형이 일어날 때 비교적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5(b)를 참조하면, 이물질은 브리슬(1200a, 1200b) 사이에 걸리면서, 수집 리브(1320)의 상측에 걸릴 수 있다. 이물질이 수집부(1120)로부터 돌출된 수집 리브(1320)의 상측에 걸림으로써, 이물질은 수집부(1120)의 적어도 일부와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테이퍼부(1111)로부터 수집부(1120)로 미처 이동하지 못한 이물질을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집부(1120)로 이동된 이물질을 수집부(1120)와 이물질 간의 틈으로 절단하거나, 잡아 당길 수 있으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리브(1300)는 브리슬(1200)보다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00)는 드럼 바디(1100)의 반경 방향으로 브리슬(120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브(1300)는 드럼 바디(1100)의 반경 방향으로 향하는 길이가 브리슬(1200)에 비해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모든 브리슬(1200)이 리브(1300)에 비해 드럼 바디(1100)의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드럼 바디(1100)의 테이퍼부(1110)로부터 돌출되는 리브(1300)는 수집부(1120)로부터 돌출되는 브리슬(1200)보다 드럼(1000)의 축(A)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드럼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리브(1300)와 브리슬(1200)의 길이를 비교하는 것을 말한다.
즉, 드럼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리브(1300)와 브리슬(1200)을 비교하면, 리브(1300)는 브리슬(1200)보다 드럼 바디(1100)의 반경 방향으로 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드럼 브러시(1000)가 피청소면에 접하는 경우 브리슬(1200)이 리브(1300)보다 먼저 피청소면에 접할 수 있으며, 리브(1300)와 피청소면이 충돌하여 리브(1300) 또는 피청소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리브(1300)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리브(1300)는 브러시 유닛(1220)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적어도 유사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리브(1300)와 브러시 유닛(1220) 간의 길이 관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리브(1300)가 드럼 바디(1100)의 테이퍼부(1110)의 경사에 더하여 리브(1300)의 경사가 더해지므로 테이퍼부(1110)의 경사가 더욱 커질 수 있고 즉, 직경이 감소하는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으므로 이물질의 이동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리브(1300)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 형상의 드럼 바디(1100)에 형성되는 경우에 드럼(1000)이 회전하면서 중심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1110)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드럼 바디(1100)가 대략 모래시계 형상을 가지지 않더라도, 리브(1300)에 의하여,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1110)를 가지는 드럼 바디(110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물질을 중심으로 유도할 수 있다. 리브(1300)가 드럼 바디(11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은 본 개시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리브(1300)가 드럼 바디(1100)에 부착되는 등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부재가 블레이드로 마련되는 드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드럼(4000)은 브러시 부재(4200)가 브리슬(1200)이 아닌 블레이드(4200)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420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4200)는 제1블레이드(4200a)와 제2블레이드(4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4200a)와 제2블레이드(4200b)는 드럼 바디(11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4200a)와 제2블레이드(4200b)는 드럼 바디(1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도시에서와 같이, 제1블레이드(4200a)와 제2블레이드(4200b)는 서로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블레이드(4200)는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4200)가 3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블레이드(4200)는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지 않을 수 있고, 드럼 바디(1100)의 원주 방향의 일정 각도 내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블레이드(4200)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420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4200)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4200)는 카펫과 같은 이물질이 청소면과 강하게 접촉하고 있는 청소 환경에서는 이물질을 비산시킬 만큼 충분한 타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4200)는 반복적인 타격에도 탄성 회복이 가능하되, 청소면을 강하게 타격할 만큼의 강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고속 회전체인 드럼(4000)의 특성 상, 블레이드(4200)가 탄성이 없는 강체 등으로 형성된다면, 청소면과 강하고 매우 빈번한 충격에 의하여 파손될 우려가 클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4200)는 피청소면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더라도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4200)는 브리슬(1200)에 비하여 강성이 강할 수 있으나, 복수의 모가 집합된 구성이 아니므로 머리카락과 같은 긴 이물질이 감기는 빈도가 적을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4200)는 탄성 재질,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무를 포함하는 블레이드(4200)가 회전하면서, 머리카락과 같은 긴 이물질이 쉽게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이동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물질이 한데 엉키기 쉬워 이동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고, 흡입구(101a)를 막는 등의 이유로 청소 효율이 떨어지거나, 심하면 고장에 이를 수 있다.
블레이드(4200)는 브리슬(1200)과 마찬가지로 드럼 바디(1100)에 마련되는 결합부(1130)에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4200)는 드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러시 부재(1200, 4200)가 브리슬(1200)이 아닌 블레이드(4200)로 마련되더라도, 이물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4200)는 상술한 브리슬(1200)과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4200)는 말단이 드럼(4000)의 축(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블레이드(4200)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균일하게 비산 및 흡입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4200)가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길이가 균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4200)는 상술한 브리슬(1200)과 마찬가지로 드럼(4000)의 회전 방향(R)과 반대 방향(R')으로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블레이드(4200)가 드럼(4000)의 회전 방향(R)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한다면, 드럼(4000)의 회전 방향(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꺾일 수 있다. 드럼(4000)은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블레이드(4200)가 손상되기 쉽고, 흡입 헤드(100)의 모터(171)에도 손상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럼(4000)이 정상적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부착된 이물질이 수집부(1120)를 향해 이동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블레이드(4200)가 드럼 바디(1100)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수집부(1120)를 향하여 제2방향(R')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우에는 축(A) 방향 양 단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4200)가 먼저 피청소면에 닿을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는, 테이퍼부(1110)에 위치하는 블레이드(4200)가 먼저 피청소면에 접촉하고, 수집부(1120)에 위치하는 블레이드(4200)가 나중에 피청소면에 접촉할 수 있다.
탄성 재질의 블레이드(4200)의 경우, 보다 바깥쪽의 블레이드(4200)가 먼저 변형되고, 보다 안쪽의 블레이드(4200)는 본래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브리슬(1200)과 유사한 같은 국소적인 변형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4200)를 포함하는 드럼(4000)에 부착된 이물질이 수집부(1120)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7는 도 16의 드럼의 중심부에 수집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드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드럼(5000)은 드럼 바디(1100)로부터 돌출되는 블레이드(4200) 및 드럼 바디(1100)의 수집부(1120)에 형성되는 슬릿(2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브리슬(1200)을 포함하는 경우보다, 블레이드(4200)를 포함하는 경우가 이물질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므로, 테이퍼부(1110)로부터 운반되는 이물질의 양이 더 많을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4200)를 포함하는 드럼(5000)의 경우에, 구획부(2100)이 마련될 수 있다.
구획부(2100)는 상술한 내용과 같이, 이물질의 수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획부(2100)에 의하여 흡입구(101a)로부터 연통구(101b)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유로가 더 좁아지므로, 흡입력이 더욱 강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물질이 드럼(2000)의 제1수집부(2121)와 제2수집부(2122)로 이동하는 데에 작용하는 힘이 더 강해질 수 있다.
블레이드(4200)를 포함하는 드럼(5000)의 경우 이물질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므로 테이퍼부(1111, 1112)로부터 운반되는 이물질의 양이 더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블레이드(4200)를 포함하는 드럼(5000)이 구획부(2100)를 더 포함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청소기
20: 연결관
100: 흡입 헤드
1000, 2000, 3000, 4000, 5000: 드럼
1100: 드럼 바디
1110: 테이퍼부
1120, 2120: 수집부
1130: 결합부
1200, 4200: 브러시 부재
1200: 브리슬
4200: 블레이드

Claims (20)

  1.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로 이물질의 흡입을 유도하도록 마련되고, 제1방향(R)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 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에 걸린 상기 이물질이 모이도록 마련되는 수집부와, 상기 드럼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기 수집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드럼 바디; 및
    상기 드럼 바디의 축(A) 방향 양 단부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드럼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브러시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부재의 말단은 상기 드럼의 축으로부터 상기 브러시 부재의 말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수집부와 상기 테이퍼부에 걸쳐 유지되도록 위치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부재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R')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부재는 상기 드럼 바디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기 수집부를 향하여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R')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바디는 상기 브러시 부재가 결합하도록 상기 수집부와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드럼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기 수집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결합부의 높이가 증가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드럼 바디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기 수집부를 향하여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R')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드럼의 축(A)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드럼 바디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바디는 상기 드럼의 축(A)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드럼 바디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수집부를 제1수집부와 제2수집부로 구획하는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집부와 상기 제2수집부는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마련되고,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부재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브러시 부재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복수의 브러시 부재 사이에 상기 드럼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럼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 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드럼 바디의 수집부에서 상기 드럼의 축(A) 방향 양 단부로 향할수록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리브의 말단까지의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청소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부재는 브리슬 또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청소기.
  15. 이물질을 수거하는 집진장치를 갖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이물질의 흡입을 유도하도록 흡입구에 배치되고, 제1방향(R)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 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수집부와, 상기 드럼의 축(A) 방향 일 단부로부터 상기 수집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드럼 바디; 및
    상기 드럼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흡입구 주위의 이물질을 비산시키는 브러시 부재; 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부재는, 상기 드럼의 축으로부터 상기 브러시 부재의 말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드럼의 축(A) 방향을 따라 유지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브러시 부재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R')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부재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브러시 부재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바디는, 상기 브러시 부재가 결합하도록 상기 드럼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드럼의 축 양 단부로부터 상기 수집부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바디는 상기 드럼의 축(A)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드럼 바디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구획부로서, 상기 수집부를 제1수집부와 제2수집부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집부와 상기 제2수집부는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마련되고,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청소기.
  19. 이물질을 수거하는 집진장치를 갖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이물질의 흡입을 유도하도록 흡입구에 배치되고, 제1방향(R)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 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이물질이 모이도록 마련되는 수집부와, 상기 드럼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기 수집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부, 및 상기 수집부와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드럼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수집부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드럼 바디; 및
    상기 드럼 바디의 축(A) 방향 양 단부로부터 상기 수집부를 향하여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R')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드럼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드럼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브러시 부재로서, 상기 드럼의 축으로부터 상기 브러시 부재의 말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수집부와 상기 테이퍼부에 걸쳐 유지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 부재; 를 포함하는 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부재는, 상기 브러시 부재의 말단을 향해 상기 제2방향(R')으로 경사지는 청소기.
KR1020220167104A 2022-12-02 청소기 KR20240082943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2943A true KR20240082943A (ko) 2024-06-1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5798B2 (ja) 真空掃除機のための掃除機ヘッド
US10932632B2 (en) Vacuum accessory tool
KR102546702B1 (ko) 진공청소기
CN102551601B (zh) 清洁头
AU2015101761A4 (en) Brushroll for vacuum cleaner
KR102007213B1 (ko) 청소기 헤드
CN102525340B (zh) 清洁头
EP2229858B1 (en) Vacuum accessory tool
KR20210022876A (ko) 진공청소기
EP3632281A1 (en) Vacuum cleaner
CN102525339B (zh) 清洁头
JP4749263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515070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US8533905B1 (en) Vacuum accessory tool
JP2020517340A (ja) クリーニングローラからごみくずを除去するためのコーミングユニットを有するクリーニング装置
KR20240082943A (ko) 청소기
US20240180377A1 (en) Cleaner
CN111936021A (zh) 用于真空吸尘器的刷辊
WO2023193549A1 (zh) 一种地刷及吸尘器
EP1925246A2 (en) Device for cleaning fine and uneven surfaces, especially Venetian blinds, of dust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