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2332A - Recombinant mycobacterium as an immunotherapy agent for secondary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 Google Patents

Recombinant mycobacterium as an immunotherapy agent for secondary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2332A
KR20240082332A KR1020247005936A KR20247005936A KR20240082332A KR 20240082332 A KR20240082332 A KR 20240082332A KR 1020247005936 A KR1020247005936 A KR 1020247005936A KR 20247005936 A KR20247005936 A KR 20247005936A KR 20240082332 A KR20240082332 A KR 20240082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reatment
years
bladder
pat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5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레안더 그로데
Original Assignee
세럼 라이프 사이언스 유럽 게엠베하
세럼 인스티튜트 오브 인디아 프라이비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럼 라이프 사이언스 유럽 게엠베하, 세럼 인스티튜트 오브 인디아 프라이비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세럼 라이프 사이언스 유럽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8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2332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4Mycobacterium, e.g. Mycobacterium tubercul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Bacterial cells; Fungal cells; Protozoal cells
    • A61K2039/522Bacterial cells; Fungal cells; Protozoal cells avirulent or attenu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Bacterial cells; Fungal cells; Protozoal cells
    • A61K2039/523Bacterial cells; Fungal cells; Protozoal cells expressing foreign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rais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a target which is not the antigen used for immunisation
    • A61K2039/58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rais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a target which is not the antigen used for immunisation wherein the target is can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80Vaccine for a specifically defined cancer

Abstract

본 발명은 방광암종의 치료, 특히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종의 2차 치료에서 면역치료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for use as immunotherapeutic agents in the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particularly in the secondary treatment of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Description

방광암종의 2차 치료를 위한 면역치료제로서의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Recombinant mycobacterium as an immunotherapy agent for secondary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본 발명은 방광암종의 치료, 특히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종(non-muscle-invasive bladder carcinoma)의 2차 치료에서 면역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한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for use as immunotherapeutic agents in the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especially in the secondary treatment of non-muscle-invasive bladder carcinoma.

요로상피 방광암종은 5번째로 흔한 암이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75,000건의 신규 케이스가 진단되며 이는 모든 신규 암의 4.5%에 해당하고, 약 15,600건의 사망이 예상된다. 독일에서는 매년 약 16,000건의 신규 케이스가 진단된다. 방광암에서는 질병의 재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환자는 장기간 추적관찰(surveillance)을 받아야 한다. Urothelial bladder carcinoma is the fifth most common cancer. In the United States, approximately 75,000 new cases are diagnosed each year, representing 4.5% of all new cancers, and approximately 15,600 deaths are expected. In Germany, approximately 16,000 new cases are diagnosed each year.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disease recurrence in bladder cancer, patients must undergo long-term follow-up (surveillance).

대부분의 방광암종은 방광의 내막을 구성하는 이행상피세포에서 시작된다. 이 종양이 성장하면서 주변 결합 조직 및 근육을 침범할 수 있다. 진행된 질병에서, 종양은 방광을 넘어 인근 림프절이나 골반 기관으로 퍼지거나 폐, 간, 뼈 등 더 먼 기관으로 전이된다. Most bladder carcinomas begin in the transitional epithelial cells that make up the lining of the bladder. As these tumors grow, they may invade surrounding connective tissue and muscle. In advanced disease, tumors may spread beyond the bladder to nearby lymph nodes or pelvic organs, or metastasize to more distant organs such as the lungs, liver, or bones.

방광암종의 전체 5년 생존율은 77%이고, 이 비율은 지난 10년 동안 크게 변하지 않았다. 단계별로 살펴보면, 방광 내층에 국한된 종양을 가진 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은 각각 96%와 69%이다. 방광암종이 방광을 넘어 국소적으로 퍼진 환자의 경우, 그 비율은 34%로 감소하고, 원격 전이를 가진 환자의 경우 6%로 감소한다.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for bladder carcinoma is 77%, and this rate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10 years. Looking at each stage, the 5-year relative survival rates for patients with tumors confined to the bladder lining are 96% and 69%, respectively. For patients whose bladder carcinoma has spread locally beyond the bladder, the rate decreases to 34%, and for patients with distant metastases it decreases to 6%.

방광암종의 치료에서, 종양 재발은 저등급(low-grade) 질병을 가진 환자에 대해서도 주요 우려이며 광범위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신규한 면역요법과 같은 보다 우수한 치료법은 재발률을 낮추고, 방광암종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tumor recurrence is a major concern even for patients with low-grade disease and requires extensive follow-up. Better treatments, such as novel immunotherapies, may reduce recurrence rates and improve survival rates for patients with bladder carcinoma.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종 환자의 경우,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종양을 외과적으로 제거한 후 방광 내에 화학요법, 보통 마이토마이신 C를 투여하는 것(소위 방광내 화학요법)이 포함된다. 수술에서 회복된 후, 질병 진행 위험이 낮은 환자는 추적 관찰(surveillance) 또는 추가적인 방광내 화학요법을 받을 수 있다. 중등-내지-고 등급(moderate-to-high grade) 질환을 갖는 환자는 종종 약독화된 생균인 BCG(Bacillus Calmette Guerin)에 의한 방광내 면역요법을 받는다. 이 치료법은 하기에서 "기존(conventional)" 또는 "표준(standard)" BCG 치료법으로 지칭된다. 기존 BCG 치료법은 FDA가 승인한 최초의 면역 치료법이고, 박테리아 및 방광암종 세포를 표적화하는 면역 반응을 자극하여 방광암종 재발의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기존 BCG 치료의 입증된 효능에도 불구하고, 약 35 내지 45%의 환자가 5년까지 질병의 재발을 경험하고, 약 10 내지 13%의 환자에서 질병이 진행된다(Oddens et al., Eur Urol 63 (2013, 462-472) ).For patients with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treatment usually involves surgical removal of the tumor followed by chemotherapy, usually mitomycin C, administered within the bladder (so-called intravesical chemotherapy). After recovery from surgery, patients at low risk for disease progression may receive surveillance or additional intravesical chemotherapy. Patients with moderate-to-high grade disease often receive intravesical immunotherapy with the live attenuated bacteria Bacillus Calmette Guerin (BCG). This treatment is referred to below as “conventional” or “standard” BCG treatment. The existing BCG therapy is the first immunotherapy approved by the FDA and helps reduce the risk of bladder carcinoma recurrence by stimulating an immune response that targets bacteria and bladder carcinoma cells. Despite the proven efficacy of existing BCG treatments, approximately 35 to 45% of patients experience disease recurrence by 5 years, and disease progression occurs in approximately 10 to 13% of patients (Oddens et al., Eur Urol 63 (2013, 462-472) ).

근육 침윤성 질환의 재발 및 진행은 시스플라틴 기반 화학요법, 경요도 방광 절제술(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bladder: TURB), 방광절제술 및 화학방사선요법을 포함한 추가적인 화학요법, 수술 및 방사선 종양학적 중재(radio-oncological intervention)로 이어질 수 있다. 재발성 방광암종은 젬시타빈과 시스플라틴 또는 메토트렉세이트, 빈블라스틴, 독소루비신과 시스플라틴을 포함한 병용 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Recurrence and progression of muscle-invasive disease may require additional chemotherapy, surgery, and radio-oncological intervention, including cisplatin-based chemotherapy,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bladder (TURB), cystectomy, and chemoradiotherapy. ) can lead to. Recurrent bladder carcinoma can be treated with combination therapy including gemcitabine and cisplatin or methotrexate, vinblastine, doxorubicin, and cisplatin.

재발 환자를 위한 대안적 옵션은 기존 BCG 치료법을 사용한 재치료(re-treatment)이다(Yates et al, Eur Urol 62 (2012), 1088-1096). BCG 실패가 빠를수록, 제2 BCG 사이클이 실패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Gallagher et al., Urology 71 (2008), 297-301). An alternative option for patients with relapse is re-treatment using existing BCG therapy (Yates et al, Eur Urol 62 (2012), 1088-1096). The sooner the BCG fails, the more likely it is that a second BCG cycle will fail (Gallagher et al., Urology 71 (2008), 297-301).

그러나,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에서 최초 BCG 실패 후 2차(second-line) 기존 BCG 면역요법은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Di Lorenzo et al., Cancer 2010, doi: 10.1002/cncr.24914). 87.5%의 환자는 1년 후 BCG 재유도에 반응하지 않았다. 환자의 37.5%는 방광절제술을 받아야 했고, 40%는 1년 후에 방사선 치료 및 전신 화학요법을 받았다. 기존 BCG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이들 환자의 불량한 결과는 기존 BCG 또는 기타 방광내 치료 실패 후 개선된 방광-보존 치료(bladder-sparing treatment)에 대한 미충족 의학적 요구를 반영한다. 따라서, 1차 요법뿐만 아니라 표준 BCG 치료법의 1차 과정 후 재발한 환자에게도 더 우수한 치료 옵션이 요구된다. However, second-line conventional BCG immunotherapy was found to be ineffective after initial BCG failure in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Di Lorenzo et al., Cancer 2010, doi: 10.1002/cncr.24914). 87.5% of patients did not respond to BCG reinduction after 1 year. 37.5% of patients required cystectomy, and 40% received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1 year later. The poor outcome of these patients who do not respond to conventional BCG therapy reflects the unmet medical need for improved bladder-sparing treatment after failure of conventional BCG or other intravesical treatments. Therefore, better treatment options are needed not only for first-line therapy, but also for patients who relapse after the first course of standard BCG therap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암 진행의 높은 위험을 갖는, 암 진행의 높은 위험을 갖는, 1차 기존 BCG 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개선된 치료법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고위험 환자의 개선된 치료는 방광 보존율을 높여 결과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의료 비용을 절감할 것이다.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o provide improved treatment for patients who do not respond to first-line conventional BCG therapy, who have a high risk of cancer progression. Improved treatment of these high-risk patients will increase bladder retention rates, ultimatel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reducing healthcare costs.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phagolysosomal escape domain)을 발현하는 재조합 BCG 균주가 WO 99/101496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본원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은 상기 균주가 포식소체(phagosome)의 막을 천공하여 균주가 감염된 숙주 세포의 포식소체로부터 탈출할 수 있게 한다. 최적의 포식리소좀 탈출 활성을 위한 산성 포식소체 pH를 제공하기 위해, 우레아제가 결핍된 재조합 균주가 개발되었다. 이 균주는 WO 2004/094469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이 본원에 포함된다.Recombinant BCG strains expres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are described in WO 99/101496, the content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allows the strain to escape from the phagosome of the infected host cell by puncturing the membrane of the phagosome. To provide an acidic phagosomal pH for optimal phagolysosomal escape activity, a urease-deficient recombinant strain was developed. This strain is disclosed in WO 2004/094469, the content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그 내용이 본원에 포함된, WO 2012/085101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의 막 천공 리스테리오라이신(Hly)을 발현하고 우레아제 C가 없는 재조합 BCG 균주가 전임상 모델에서 모 BCG에 비해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Mtb)에 의한 흡입성 공격접종(aerogenic challenge)에 대해 탁월한 보호를 유도한다는 것을 개시한다. 또한, 재조합 및 비경구 균주 모두 현저한 Th1 면역 반응을 유도하나, 재조합 BCG 균주만이 추가로 심한 Th17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O 2012/085101, the content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discloses that a recombinant BCG strain expressing the membrane-perforating listeriolysin (Hly)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lacking urease C exhibits lower microorganisms compared to parental BCG in preclinical models. It is disclosed that it induces excellent protection against aerogenic challenge by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Additionally, although both recombinant and parenteral strains induced a significant Th1 immune response, only the recombinant BCG strain was shown to induce an additional severe Th17 response.

WO 2016/177717은 재조합 우레아제-결핍 및 리스테리오라이신-발현 재조합 BCG 균주가 동물 모델에서 비경구 BCG에 비해 탁월한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는 것을 개시한다. 또한, 1차 표준 BCG 치료 후 환자에서 재조합 BCG를 면역치료제로 사용하는 인간 임상 1/2상 시험의 시작이 보고된다.WO 2016/177717 discloses that recombinant urease-deficient and listeriolysin-expressing recombinant BCG strains induce superior immune responses compared to parenteral BCG in animal models. Additionally, the initiation of a human phase 1/2 clinical trial using recombinant BCG as an immunotherapy in patients following first-line standard BCG treatment is reported.

기존의 BCG 치료법을 2차 치료법으로 사용한 전술된 Di Lorenzo 등의 실망스러운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우레아제가 결핍되고 리스테리오라이신을 발현하는 재조합 BCG를, 특히,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에서 1차 BCG 실패 후, 2차 BCG 면역요법으로 사용한 치료의 시작 후 3 또는 4년 후에도 높은 전체 생존율과 낮은 질병 재발률을 관찰했다. Despite the disappointing results of Di Lorenzo et al. described above using conventional BCG therapy as a second-line treatment, the present inventors have surprisingly demonstrated the use of urease-deficient and listeriolysin-expressing recombinant BCG, particularly in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After primary BCG failure, we observed high overall survival and low rates of disease recurrence even 3 or 4 years after initiation of treatment with second-line BCG immunotherapy.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로서,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phygolysosomal escape domain)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고, (b)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ygolysosomal escape domain,

상기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가 대상체에게, 예를 들면, 방광암종, 특히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종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게 2차 요법(second-line therapy)으로서 면역치료제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인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에 관한 것이다. Use in a method wherein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are administered as an immunotherapeutic agent as second-line therapy to a subject, for example, to a subject suffering from bladder carcinoma, particular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It relates to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for doing so.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 특히 인간 대상체에서 방광암종, 특히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종의 면역요법 치료(immunotherapeutic treatment)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게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를 2차 요법으로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은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the immunotherapeutic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particular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in a subject, particularly a human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as secondary therapy. Including,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b)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로서,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가 방광암종, 구체적으로,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종, 보다 구체적으로, 재발성 방광암종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게 2차 요법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광암종의 면역요법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에 관한 것이다. (b)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wherein said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are capable of treating bladder carcinoma, specifical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and more specifically, recurrent bladder cancer. It relates to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for use in the immunotherapy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administered as second-line therapy to subjects suffering from the tumor.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 특히 인간 대상체에서 방광암종, 구체적으로,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종, 보다 구체적으로, 재발성 방광암종의 면역요법 치료 방법으로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immunotherapy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particular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more particularly recurrent bladder carcinoma, in a subject, particularly a human subject, comprising: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를 2차 요법으로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Administering to said subject as secondary therapy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It relates to a method comprising steps.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방광암종, 구체적으로, 재발성 침습성 방광암종의 치료에서 면역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한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로서,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for use as an immunotherapeutic agent in the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particularly recurrent invasive bladder carcinoma, comprising: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로서, 치료될 대상체는 방광암종의 1차 치료 후, 구체적으로, 기존 BCG 치료법을 사용한 1차 치료 후에 재발 및/또는 진행된 것인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이다. (b)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wherein the subject to be treated is post-primary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specifically 1 using conventional BCG therapy. It is a recombinant mycobacterium that relapsed and/or progressed after primary treatment.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의 방광암종, 구체적으로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종, 보다 구체적으로 재발성 방광암종의 면역요법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는 방광암종의 1차 치료 후, 구체적으로, 기존 BCG 치료법을 사용한 1차 치료 후에 재발 및/또는 진행된 것이고,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immunotherapy of bladder carcinoma, specifical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more particularly recurrent bladder carcinoma, in a subject, wherein the subject, after primary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specifically: Recurrence and/or progression after primary treatment using existing BCG therapy;

상기 대상체에게 To the subject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b) administering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가 방광암종, 구체적으로,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종, 더욱 구체적으로, 재발성 방광암종을 앓는 대상체에게 면역치료제로서 투여되고, 질병 재발이 적어도 1년의 기간, 구체적으로,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의 기간 동안 억제되는 것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in which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are administered as an immunotherapy to a subject suffering from bladder carcinoma, particular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and more particularly, recurrent bladder carcinoma, wherein disease recurrence is maintained for at least 1 year. For use in a method wherein the inhibition is for a period of time, specifically, a period of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에 관한 것이다.(b) relates to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대상헤, 구체적으로 인간 대상체에서 방광암종, 구체적으로, 비-근육-침윤성 방광암종, 보다 구체적으로, 재발성 방광암종의 면역요법 치료 방법으로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lates to a method of immunotherapy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particularly non-muscle-invasive bladder carcinoma, more particularly recurrent bladder carcinoma, in a human subject, comprising: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b)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질병 재발이 적어도 1년의 기간, 특히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 억제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and wherein disease recurrence is suppressed for a period of at least 1 year, particularly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가 방광암종, 구체적으로, 비-근육-침윤성 방광암종, 보다 구체적으로, 재발성 방광암종을 앓는 대상체에게 면역치료제로서 투여되고, 질병 재발이 적어도 1년의 기간, 특히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 억제되는 것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rein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are administered as an immunotherapy to a subject suffering from bladder carcinoma, specifically non-muscle-invasive bladder carcinoma, more specifically, recurrent bladder carcinoma, wherein the disease recurrence is at least For use in a method wherein the inhibition is for a period of one year, especially for a period of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에 관한 것이다. (b) relates to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 특히 인간 대상체에서 방광암종, 특히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종,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발성 방광암종의 면역요법 치료 방법으로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immunotherapy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particular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more particularly recurrent bladder carcinoma, in a subject, particularly a human subject, comprising: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b)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전체 생존율은 적어도 1년의 기간, 특히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 증가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relates to a method wherein the overall survival rate is increased over a period of at least 1 year, particularly over a period of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방광암종, 구체적으로,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종, 보다 구체적으로, 재발성 방광암종을 앓는 대상체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is for use in a metho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a subject suffering from bladder carcinoma, specifical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more particularly recurrent bladder carcinoma.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로서,(b)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상기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를 면역치료제로서 투여되어 상기 대상체에서 방광절제술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 것인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에 관한 것이다. It relates to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wherein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are administered as an immunotherapeutic agent to reduce or prevent cystectomy in the subject.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 특히 인간 대상체에서 방광암종, 구체적으로,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종, 더욱 구체적으로 재발성 방광암종을 앓는 대상체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a subject suffering from bladder carcinoma, particular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more particularly recurrent bladder carcinoma, in a subject, particularly a human subject, comprising: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b)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and

상기 대상체에서 방광절제술의 필요성을 회피하거나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method comprising avoiding or reducing the need for cystectomy in the subject.

상기 언급된 측면의 특징 중 2개 이상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wo or more of the features of the above-mentioned aspect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된 rBCG에 의한 2차 치료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condary therapy with rBCG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 방광암종의 1차 치료(first treatment) 후, 특히 기존 BCG 치료법을 사용한 1차 치료 후 재발 및/또는 진행된 대상체의 치료,- Treatment of subjects with recurrence and/or progression of bladder carcinoma after first treatment, especially after first treatment with conventional BCG therapy,

- 적어도 1년의 기간, 구체적으로,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 질병 재발의 억제,- inhibition of disease recurrence for a period of at least 1 year, specifically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 전체 생존(overall survivial)의 적어도 1년, 구체적으로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까지의 증가,- an increase in overall survival by a period of at least 1 year, specifically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 및- and

- 방광절제술 또는 그의 필요성의 감소를 포함한 삶의 질 개선.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cluding reduction of cystectomy or need for it.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된 방광절제술 또는 그의 필요성의 감소를 포함한 삶의 질 개선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improving quality of life, including reducing the need for cystectomy or cystectom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 실패한 1차 요법 후 질병 재발 및/또는 질병 진행이 있는 대상체를 위한 2차 요법,- Second-line therapy for subjects with disease recurrence and/or disease progression after failed first-line therapy,

- 적어도 1년의 기간, 구체적으로,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 질병 재발의 억제,- inhibition of disease recurrence for a period of at least 1 year, specifically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 적어도 1년의 기간, 구체적으로,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까지 전체 생존의 증가. - An increase in overall survival over a period of at least 1 year, specifically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와 조합된 2차 치료법에 관한 것이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line treatment in combination with:

- 적어도 1년의 기간, 구체적으로,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 질병 재발의 억제,- inhibition of disease recurrence for a period of at least 1 year, specifically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 적어도 1년의 기간, 구체적으로,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까지 전체 생존의 증가, 및- an increase in overall survival over a period of at least 1 year, specifically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and

- 선택적으로, 방광절제술 또는 그의 필요성의 감소를 포함한 삶의 질 개선.- Optionally, improving quality of life, including reducing the need for cystectomy or the like.

본 발명자들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의 투여를 포함하는 2차 면역요법이 질병 발생을 감소시키고 전체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용어 "2차 면역요법(second-line immunotherapy"은 1차 요법의 실패 후 대상체, 특히 인간 대상체의 치료를 의미한다. 용어 "실패"는 특히 1차 요법 후 원발성 종양의 진행 및/또는 전이의 형성을 포함한 질병 재발 및/또는 질병 진행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어 "실패"는 질병 재발을 의미한다. 용어 "1차 요법(first-line therapy)"은 구체적으로, 면역요법을 포함한 1차 요법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 없는 표준 BCG, 예를 들면, Rentsch, CA, Eur Urol 2014, PMID: 24674149에 기술된 이전에 승인된 표준 BCG의 투여를 포함하는 1차 면역요법을 의미한다. 용어 "2차 면역요법(second-line immunotherapy)"은 단일 "1차 요법" 사이클 후 또는 다수, 예를 들어 2, 3회 이상의 "1차 요법" 사이클, 구체적으로,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 없이 BCG 투여를 포함하는 단일 사이클 또는 복수 사이클 후 본원에 기술된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의 투여를 포함한다.We have found that secondary immunotherapy involving administration of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as described herein is highly effective in reducing disease incidence and increasing overall survival. In this context, the term "second-line immunotherapy" refers to the treatment of a subject, especially a human subject, after failure of first-line therapy. The term "failure" refers specifically to the progression of the primary tumor and/or after first-line therapy. or disease recurrence and/or disease progression, including the formation of metastases. More specifically, the term "failure" refers to disease recurrence, specifically immunotherapy. refers to first-line therapy, including, more specifically, the standard BCG without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as described herein, e.g., the previously approved standard described in Rentsch, CA, Eur Urol 2014, PMID: 24674149. The term “second-line immunotherapy” refers to first-line immunotherapy, including the administration of BCG, either after a single cycle of “first-line therapy” or after multiple, e.g., two, three or more “first-line” cycles. "therapy" cycles, specifically, a single cycle or multiple cycles comprising administration of BCG without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followed by administration of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는 2차 치료로서 투여된다. 이러한 구체예에 따르면, 치료 대상 개체는 표준 BCG 치료, 전신 및/또는 방광내 화학요법을 포함하는 화학요법, 방광 수술, 방사선조사 및 이들의 임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차 치료, 구체적으로, 방광암종 치료의 1차 치료를 받았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치료는 시스플라틴 기반 화학요법, 특히 시스플라틴 기반 화학요법에 이어 방광 수술 및/또는 방사선 요법, 병용 화학요법 및 표준 BCG가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대상 개체는 방광암종의 1차 치료로서 표준 BCG 치료를 받았고, 및/또는 방광절제술 또는 다른 국소 치료 또는 전신 화학요법을 받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are administered as secondary treatme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ubject to be treated is a primary treatment selected from the group of standard BCG treatment, chemotherapy, including systemic and/or intravesical chemotherapy, bladder surgery, irradiation, and any combination thereof, specifically bladder cancer. You may have received primary treatment for the tumor. For example, first-line treatment may include cisplatin-based chemotherapy, particularly cisplatin-based chemotherapy, followed by bladder surgery and/or radiation therapy,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standard BCG. Preferably, the subject to be treated has received standard BCG treatment as first-line treatment for bladder carcinoma, and/or has undergone cystectomy or other local treatment or systemic chemotherapy.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될 대상체는 상피내암종(carcinoma in situ: CIS)을 포함한 방광암종, 구체적으로,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종(NMIBC)을 앓는다. 특정 구체예에서, 대상체는 재발성 NMBIC를 앓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대상체는 EORTC(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에 근거하여 진행에 대해 재발성 고등급 NMIBC(예를 들어, 점수 7-23)를 갖는다. 추가 구체예에서, 대상체는 치료 개시 전에 방광 종양의 경요도 절제술(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bladder turmor: TURBT)을 받았다. 일부 구체예에서, 대상체는 치료 개시 시, 예를 들어 경요도 방광 절제술(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bladder: TURB) 및 생검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종양이 없는 방광 상태를 갖는다. Subjects to be tre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ffer from bladder carcinoma, including carcinoma in situ (CIS), specifical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NMIBC). In certain embodiments, the subject suffers from recurrent NMBIC. In some embodiments, the subject has recurrent high grade NMIBC (e.g., score 7-23) for progression based on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EORTC). In a further embodiment, the subject underwent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bladder turmor (TURBT) prior to initiation of treatment. In some embodiments, the subject has a tumor-free bladder at the start of treatment, for example, as confirmed by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bladder (TURB) and biopsy.

특정 구체예에서, 대상체는 표준 BCG 요법의 이전 사이클의 개시 후 6개월 또는 3개월 및 6개월 모두에 고등급 NMIBC 종양, 및 1회 이상의 재발, 더 높은 종양 카테고리, 또는 더 높은 등급 종양 및 선택적으로, 초기 반응에도 불구하고, 저등급을 포함한, CIS의 출현을 포함한, 표준 BCG 요법 하의 질병의 악화를 갖는 환자이다. In certain embodiments, the subject has a high-grade NMIBC tumor, and one or more recurrences, a higher tumor category, or a higher grade tumor, and optionally at 6 months or both 3 and 6 months after initiation of a previous cycle of standard BCG therapy. , despite initial response, is a patient with worsening disease under standard BCG therapy, including the appearance of CIS, including low grade.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는 흡연자이다.According to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subject is a smoker.

2차 치료법으로서 본원에 기술된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의 투여는 연장된 기간, 예를 들어 치료 시작 후 적어도 1년의 기간, 특히 적어도 2년, 또는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 질병 발생을 감소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치료 시작 후 적어도 3년이 지나면 질병 재발의 시간 중앙값(median)은 이미 1.3년이고 아마도 더 늘어날 것이다. 이때 환자의 약 49%에서는 종양 재발이 관찰되지 않았다.Administration of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described herein as a second-line treatment may be used to treat the disease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e.g., a period of at least 1 year after the start of treatment, especially a period of at least 2 years, or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It is very effective in reducing outbreaks. At least 3 years after starting treatment, the median time to disease recurrence is already 1.3 years and will likely increase further. At this time, tumor recurrence was not observed in approximately 49% of patients.

따라서, 본 발명의 치료법은 환자의 적어도 30%, 구체적으로 환자의 적어도 45%에 적어도 1년의 무질병 기간(disease-free period), 구체적으로,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무질병 기간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a disease-free period of at least 1 year in at least 30% of patients, specifically at least 45% of patients, specifically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Provides a disease-free period of

특히, 치료 시작 후 2년 내지 3년 또는 2년 내지 4년의 기간에, 새로운 질병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치료는 서브그룹(sub-group)의 환자에서 질병 재발을 막는 데 매우 효율적이고, 이들은 치료 시작 후 최대 2년 동안 질병 재발을 겪지 않았다. In particular, no new disease recurrences were observed in the period of 2 to 3 years or 2 to 4 years after starting treatment. Therefore, this treatment was highly effective in preventing disease recurrence in a sub-group of patients, who did not experience disease recurrence for up to 2 years after starting treatment.

이와 대조적으로, Di Lorenzo et al.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2차 요법으로 표준 BCG의 투여는 전혀 효과적이지 않았고, 치료 시작 후 2년 이후 환자의 5% 미만에서만 종양 재발이 관찰되지 않았다. In contrast, administration of standard BCG as second-line therapy was not at all effective, as described by Di Lorenzo et al., and no tumor recurrence was observed in less than 5% of patients after 2 years after starting treatment.

본 발명의 치료법의 이러한 높은 임상적 효율성은 임상적으로 유의한 부작용의 발생 없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치료는 환자의 전체 생존율 효과로 이어진다. This high clinical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without the occurrence of clinically significant side effects. Therefore, the treatment leads to an effect on the patient's overall survival.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의 투여는 연장된 기간, 예를 들어 적어도 1년의 기간, 구체적으로,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 전체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치료 시작 3년 후, 전체 생존율은 70% 내지 80%였다.Accordingly, administration of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as described herein reduces overall survival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e.g., a period of at least 1 year, specifically, a period of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It is very effective in increasing Three years after starting treatment,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70% to 80%.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치료법은 다수의 환자에서 방광 절제술을 회피하여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적합하다. 예를 들어, 환자의 적어도 30%, 구체적으로 환자의 적어도 45%에서 적어도 1년의 기간 동안, 구체적으로,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 방광절제술이 회피될 수 있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treatment regim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avoiding cystectomy in a large number of patients and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example, cystectomy may be avoided in at least 30% of patients, particularly in at least 45% of patients, for a period of at least 1 year, specifically for a period of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

면역치료제는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살아있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이다.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은 바람직하게는 병원체로부터의 면역원성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또는 그의 면역원성 단편이다.The immunotherapeutic agent is a liv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The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is preferably an immunogenic peptide or polypeptide from a pathogen or an immunogenic fragment thereof.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M. bovis) 세포,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M. tuberculosis) 세포, 특히 약독화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 세포 또는 기타 마이코박테리아, 예를 들어, 마이코박테리움 마이크로티(M. microti), 마이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M. smegmatis), 마이코박테리움 카네티(M. canettii), 마이코박테리움 마리넘(M. marinum) 또는 마이코박테리움 포르투이툼(M. fortuitum)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세포는 약독화된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 (BCG) 세포, 구체적으로,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 BCG 세포, 더 구체적으로, 덴마크 아형 프라그(Danish subtype Prague) 균주로부터의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 BCG 세포이다(Brosch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4(2007), 5396-5601).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는 우레아제가 결핍된 재조합 세포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의 ureC 서열이 불활성화되고(ΔUrec), 예를 들어 선택 마커 유전자, 예를 들어 하이그로마이신 유전자에 의해 파괴된 ureC 유전자를 포함하는 자살 벡터(suicide vector)를 구축하고, 표적 세포를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시키고, 우레아제 음성 표현형을 갖는 선별 마커 양성 세포를 스크리닝하는 것에 의해 불활성화(ΔUrec)된다. 훨씬 더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선택 마커 유전자, 즉 하이그로마이신 유전자가 후속적으로 불활성화된다. 이 구체예에서, 상기 세포는 선택 마커-불포함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는 재조합 BCG ΔUrec::Hly+로 특성화된(characterized) 선택 마커-불포함 재조합 BCG 균주 덴마크 아형 프라그이다.The Mycobacterium cells are preferably Mycobacterium bovis ( M. bovis ) cells, Mycobacterium tuberculosis ( M. tuberculosis ) cells, especially attenuated Mycobacterium tuberculosis cells or other mycobacteria. , for example, Mycobacterium microti ( M. microti ), Mycobacterium smegmatis ( M. smegmatis ), Mycobacterium canettii ( M. canettii ), Mycobacterium marinum ( M marinum ) or Mycobacterium fortuitum ( M. fortuitum ). More preferably, the cells are attenuated recombinant Mycobacterium bovis (BCG) cells, specifically Mycobacterium bovis BCG cells, more particularly recombinant Mycobacterium bovis cells from a Danish subtype Prague strain. Therium bovis BCG cells (Brosch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4 (2007), 5396-5601). 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Mycobacterium cells are recombinant cells deficient in urease. 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ureC sequence of the Mycobacterium cell is inactivated (ΔUrec), e.g. by a suicide vector comprising the ureC gene disrupted by a selectable marker gene, e.g. the hygromycin gene. ) is constructed, target cells are transformed with the vector, and inactivated (ΔUrec) by screening for selectable marker positive cells with a urease negative phenotype. In an even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selectable marker gene, i.e. the hygromycin gene, is subsequently inactivated. In this embodiment, the cells are selection marker-fre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Most preferably, the cells are a selectable marker-free recombinant BCG strain, Danish subtype Prague, characterized as recombinant BCG ΔUrec::Hly+.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은 바람직하게는,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 또는 마이코박테리움 레프래(M. leprae)로부터의 면역원성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또는 적어도 6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개 아미노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개 아미노산, 예를 들어 최대 20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갖는 그의 면역원성 단편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항원의 구체적인 예는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로부터의 Ag85B(p30),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 BCG로부터의 Ag85B(α-항원),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로부터의 Ag85A, 및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로부터의 ESAT-6 및 그의 단편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은 비-마이코박테리움 폴리펩티드(non-Mycobacterium polypeptides)로부터 선택된다.The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is preferably Mycobacterium An immunogenic peptide or polypeptide from bovis, Mycobacterium tuberculosis, or M. leprae , or at least 6, preferably at least 8 amino acids, more preferably at least 9 Amino acids, for example immunogenic fragments thereof having a length of up to 20 amino acids. Specific examples of suitable antigens include Ag85B (p30) from Mycobacterium tuberculosis, Ag85B (α-antigen) from Mycobacterium bovis BCG, Ag85A from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ESAT-6 and fragments thereof from Lium tuberculosis. In another embodiment, the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is selected from non-Mycobacterium polypeptides.

보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도메인은 항원 Ag85B로부터 유래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도메인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aa.) 41 내지 아미노산 51까지의 서열을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immunogenic domain is derived from the antigen Ag85B. Most preferably, the immunogenic domain comprises the sequence from amino acid (aa.) 41 to amino acid 51 of SEQ ID NO:2.

재조합 핵산 분자는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 즉 포식리소좀(phagolysosome)으로부터 포유동물 세포의 세포질로의 융합 폴리펩티드의 탈출을 제공하는 폴리펩티드 도메인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은 본원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 US 5,733,151에 기술된 리스테리아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고리소좀 탈출 도메인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 monocytogenes)의 리스테리오라이신 유전자(Hly)로부터 유래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식리소좀 도메인은 (a) 서열번호 1에 제시된 뉴클레오티드 211 - 1722를 포함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b) (a)로부터의 서열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및 (c) 엄격한(stringent) 조건 하에서 (a) 또는 (b)로부터의 서열과 혼성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 선택된 핵산 분자에 의해 코딩된다. The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further comprises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i.e., a polypeptide domain that provides escape of the fusion polypeptide from the phagolysosome into the cytoplasm of the mammalian cell. Preferably, the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is the Listeri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described in US 5,733,151,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More preferably, the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is derived from the listeriolisin gene (Hly) of Listeria monocytogenes (L. monocytogenes). Most preferably, the phagolysosomal domain comprises (a) a nucleotide sequence comprising nucleotides 211 - 1722 set forth in SEQ ID NO: 1, (b)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same amino acid sequence as the sequence from (a), and (c) encoded by a nucleic acid molecule selected from a nucleotide sequence that hybridizes to the sequence from (a) or (b) under stringent conditions.

서열번호 1에 기재된 뉴클레오티드 서열과는 별개로, 본 발명은 또한 그것과 혼성화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혼성화(hybridization)"는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1.101-1.104)에 정의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55℃, 바람직하게는 62℃, 보다 바람직하게는 68℃에서 1 X SSC 및 0.1% SDS로 1시간 동안, 구체적으로, 55℃, 바람직하게는 62℃, 보다 바람직하게는 68℃에서 0.2 X SSC 및 0.1% SDS에서 1시간 동안 세척한 후에도 양성 혼성화 신호가 여전히 관찰될 수 있는 경우, 용어 "혼성화"가 사용된다. 이러한 세척 조건 하에서, 서열번호 1에 따른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혼성화하는 서열은 본 발명에 의해 선호되는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이다.Apart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1,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nucleic acid sequences that hybridize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hybridization” refers to the term “hybridization” as defined by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1.101-1.104). According to the invention, at 55°C, preferably 62°C, more preferably 68°C, with 1 If a positive hybridization signal can still be observed after washing for 1 hour in 0.2 Under these washing conditions, the sequence that hybridizes with the nucleotide sequence according to SEQ ID NO: 1 is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preferred by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은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리스테리아 개체 또는 임의의 재조합 공급원, 예를 들어 상응하는 리스테리아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대장균 세포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그의 변이체로부터 직접 수득될 수 있다.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a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directly from a Listeria organism or from any recombinant source, for example, a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cell containing the corresponding Listeria nucleic acid molecule or a variant thereof as described above.

바람직하게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는 신호 펩티드 코딩 서열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신호 서열은 마이코박테리아, 바람직하게는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에서 활성인 신호 서열, 예를 들면, 원형(native)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 신호 서열이다. 적합한 신호 서열의 바람직한 예는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1 내지 120으로 기술된, Ag85B 신호 펩티드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이다.Preferably, the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the fusion polypeptide includes a signal peptide coding sequence. More preferably, the signal sequence is a signal sequence active in Mycobacterium, preferably Mycobacterium bovis, for example the native Mycobacterium bovis signal sequence. A preferred example of a suitable signal sequence is the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Ag85B signal peptide, described as nucleotides 1 to 120 of SEQ ID NO:1.

또한, 면역원성 도메인과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 사이에 펩티드 링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티드 링커는 5 내지 50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전자 코드의 축퇴(degeneration)와 관련하여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154부터 210까지로 기술된 링커를 코딩하는 서열 또는 그에 상응하는 서열이다.Additionally, it is preferred that a peptide linker is provided between the immunogenic domain and the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Preferably, the peptide linker has a length of 5 to 50 amino acids. More preferably, it is a sequence encoding a linker described at nucleotides 154 to 210 of SEQ ID NO: 1 in relation to degeneration of the genetic code, or a sequence corresponding thereto.

핵산은 재조합 벡터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조합 벡터는 원핵세포 벡터, 즉 원핵세포에서의 복제 및/또는 게놈 통합을 위한 요소를 포함하는 벡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재조합 벡터는 발현 조절 서열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본 발명의 핵산 분자를 갖는다. 발현 조절 서열은 바람직하게는 마이코박테리아, 특히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에서 활성인 발현 조절 서열이다. 벡터는 염색체외(extrachromosomal) 벡터이거나 염색체 내로의 통합에 적합한 벡터일 수 있다. 이러한 벡터의 예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전술된 Sambrook et al.에 개시된다.Nucleic acids can be placed on recombinant vectors. Preferably, the recombinant vector is a prokaryotic vector, ie a vector containing elements for replication and/or genomic integration in prokaryotic cells. Preferably, the recombinant vector has a nucleic acid molecule of the invention operably linked to an expression control sequence. The expression control sequence is preferably an expression control sequence that is active in mycobacteria, especially Mycobacterium bovis. The vector may be an extrachromosomal vector or a vector suitable for integration into a chromosome. Examples of such vector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re disclosed, for example, in Sambrook et al., supra.

본 발명의 면역치료제는 방광암종, 예를 들어 비침습성 방광암종, 예를 들어 비침습성 유두 상피내암종(non-invasive paillary carcinoma in situ)(Ta), 비침습성 상피내암종(non-invasive carcinoma in situ)(Tcis), 상피하 결합 조직 침범 종양(tumor invading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T1), 표면 근육(내부 절반) 침범 종양(T2a), 심부 근육(바깥쪽 절반(outer half)) 침범 종양(T2b), 방광주위 조직(perivesical tissue) 침범 종양(T3a 및 T3b를 포함한 T3), 전립선, 자궁 또는 질 침범 종양(T4a) 및 골반벽 또는 복벽 침범 종양(T4b)이 있다. 특히, 종양은 표재성 종양 또는 상피내 암종(Tcis), 비침습성 유두상 암종(Ta), 또는 상피하 결합 조직 침범 종양(T1)이다. 면역요법 치료는 원발성 방광암종의 치료 및/또는 재발성 방광암종의 치료에 적합하다.The immunotherapy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bladder carcinoma, e.g. non-invasive bladder carcinoma, e.g. non-invasive papillary carcinoma in situ (T a ), non-invasive carcinoma in situ ) (T cis ), tumor invading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T 1 ), tumor invading superficial muscle (inner half) (T 2a ), tumor invading deep muscle (outer half). (T 2b ), tumors invading the perivesical tissue (T 3 , including T 3a and T 3b ), tumors invading the prostate, uterus, or vagina (T 4a ), and tumors invading the pelvic or abdominal wall (T 4b ). . In particular, the tumor is a superficial tumor or carcinoma in situ (T cis ), noninvasive papillary carcinoma (T a ), or a tumor with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invasion (T 1 ). Immunotherapy treatment is suitable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bladder carcinoma and/or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bladder carcinoma.

면역치료제는 종양 부위, 즉, 원발성 종양의 부위에 수술 전 또는 수술 후 및 선택적으로 화학요법 후에 국소적으로 투여된다. 요로상피 방광암종의 치료를 위해, 치료제는 바람직하게는 방광에 방광 점적 주입(vesicular instillation)에 의해 투여된다. The immunotherapeutic agent is administered locally to the tumor site, i.e., the site of the primary tumor, before or after surgery and optionally after chem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urothelial bladder carcinoma, the therapeutic agent is preferably administered by vesicular instillation into the bladder.

면역치료제는 치료할 대상체에게 유효 용량으로 투여된다. 인간 대상체의 경우, 투여 용량은 약 106 내지 1010 생존 유닛(viable unit)(CFU), 예를 들어 약 107 내지 5 x 109 또는 108 내지 3 x 109 생존 유닛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여 용량은 약 2 x 109 생존 유닛(CFU)이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치료제는 치료 동안 미리 결정된 시간에 여러 번, 예를 들어, 적어도 3회 또는 적어도 5회 내지 최대 30회, 구체적으로, 약 15회 투여된다.The immunotherapeutic agent is administered in an effective dose to the subject to be treated. For human subjects, the administered dose may be about 10 6 to 10 10 viable units (CFU), for example about 10 7 to 5 x 10 9 or 10 8 to 3 x 10 9 viable units. Preferably the administered dose is about 2 x 10 9 viable units (CFU). Preferably, the immunotherapeutic agent is administered multiple times at predetermined times during treatment, for example at least 3 times or at least 5 up to 30 times, specifically about 15 times.

면역치료제는 일반적으로 고체 형태로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아 세포를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pharmaceutical preparation), 예를 들면, 사용 전에 적합한 액체 담체로 재구성되는 동결건조되거나 냉동보존된 제제로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약학적 제제는 액체 형태, 예를 들어 현탁액으로 제공될 수 있다.Immunotherapeutics are generally provided as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mprising recombinant mycobacterial cells in solid form, for example, as lyophilized or cryopreserved preparations that are reconstituted in a suitable liquid carrier before use. Alternatively, the pharmaceutical preparation may be provided in liquid form, for example a suspension.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면역치료제는 상피내암종의 치료를 위해 투여된다. 표준 일정은 유도 요법(induction therapy)으로서 적어도 4주, 예를 들어 4, 5, 6, 7 또는 8주 동안 제제를 매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요법은 1차 종양 수술 후 2-3주가 될 때까지 시작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4주의 무치료(treatment-free) 간격 후에, 유지 요법(maintenance therapy)을 사용하여 적어도 6개월 또는 적어도 1년 동안 투여를 지속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munotherapeutic agent of the invention is administered for the treatment of carcinoma in situ. A standard schedule may include weekly administration of the agent for at least 4 weeks as induction therapy, for example 4, 5, 6, 7 or 8 weeks. Induction therapy should not be started until 2-3 weeks after surgery for the primary tumor. For example, after a treatment-free interval of 4 weeks, maintenance therapy may be used to continue treatment for at least 6 months or at least 1 year.

추가 구체예에서, 면역치료제는 종양 재발의 예방적 치료에서 유도 요법으로 투여된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치료법은 종양 부위의 생검 후 약 2-3주 차에 시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4주, 예를 들어 4, 5, 6, 7 또는 8주 동안 주간 간격(weekly interval)으로 반복될 수 있다. 중등도 및 고위험 종양에서, 이는 유지 요법으로 이어질 수 있다. In a further embodiment, the immunotherapeutic agent is administered as induction therapy in the prophylactic treatment of tumor recurrence. In this embodiment, treatment may begin about 2-3 weeks after biopsy of the tumor site, e.g., at weekly intervals for at least 4 weeks, e.g., 4, 5, 6, 7, or 8 weeks. ) can be repeated. In intermediate and high-risk tumors, this may lead to maintenance therapy.

유지 요법은 장기 요법, 예를 들어, 6개월, 9개월 또는 12개월 요법 또는 월간 간격으로 치료하는 더 긴 요법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지 요법은 3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및 36개월에 주간 간격으로 2회, 3회 또는 4회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Maintenance therapy may include long-term therapy, for example, 6-, 9-, or 12-month therapy, or longer therapy with treatment at monthly intervals. Alternatively, maintenance therapy may include 2, 3 or 4 doses administered at weekly intervals at 3, 6, 12, 18, 24, 30 and 36 months.

특정 구체예에서, 면역치료제, 특히 재조합 BCG ΔUrec::Hly+는 표준 BCG 치료법 후 재발한 환자의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 치료에 사용된다. 면역치료제는 유도기 동안 주 1회 점적 주입, 예를 들면, 6회의 주 1회 점적 주입을 포함하는 유도기, 예를 들면, 3회의 주 1회 점적 주입을 포함하는 약 3개월 후의 제1 유지기, 예를 들면, 3회의 점적 주입을 포함하는 약 6개월 후의 제2 유지기, 및 예를 들면, 3회의 점적 주입을 포함하는, 약 12개월 후의 제3 유지기를 포함하는, 주 1회 점적 주입을 포함하는 일정에 따라 방광에 투여된다. In certain embodiments, immunotherapeutic agents, particularly recombinant BCG ΔUrec::Hly+, are used to treat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in patients who have relapsed after standard BCG therapy. The immunotherapy agent may be administered as a once-weekly infusion during an induction phase, e.g., a first maintenance phase after about 3 months comprising three once-weekly infusions; a second maintenance phase after about 6 months, including, for example, 3 infusions, and a third maintenance phase, after about 12 months, including, for example, 3 infusions. It is administered to the bladder according to a schedule that includes:

전술된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의 면역치료제로서의 투여는 추가의 항종양 요법, 예를 들어 방사선 및/또는 화학요법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면역요법은 면역계의 전반적 자극을 제공하기 위해,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의 비-종양 부위 특이적 투여와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비-부위 특이적 투여는 WO 2012/08510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원발성 종양의 수술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제(agent)는 바람직하게는 약 1-10 x 105개 세포, 바람직하게는 약 2-8 x 105개 세포의 용량으로 인간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용량, 예를 들어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피하 주사가 바람직하다. 또한, 아쥬반트 없이 제제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dministration of the above-described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as immunotherapeutics may be combined with additional anti-tumor therapies, such as radiation and/or chemotherapy. Additionally, the immunotherapy described above can be combined with non-tumor site-specific administration of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s to provide general stimulation of the immune system. Such non-site specific administration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efore surgery of the primary tumor, as described in WO 2012/085101. In this case, the agent is preferably administered to the human subject at a dose of about 1-10 x 10 5 cells, preferably about 2-8 x 10 5 cells. The formulation is preferably administered in a single dose, for example by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s preferred. Additionally, it is preferred to administer the formulation without adjuvant.

표 1. 평가 가능한 모든 2상 환자의 방광 상태 재발에 대한 3년 추적 데이터.
표 2. NMIBC의 1차 발생의 기준시점 종양 특성(1차 기존 BCG 치료 전).
표 3. FAS(full analysis set)의 기준시점 환자 및 종양 특성. WHO: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BCG: 바실러스 칼메트 게랭(Bacillus Calmette Guerin). CIS: 상피내암종(Carcinoma in situ). EORTC: 유럽 암 연구 및 치료 기구(European Organis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표 4. 95% CI와 함께, 60주차에 방광의 무재발율을 보여주는 FAS의 서브그룹 효능 분석. CIS: 상피내암종(Carcinoma in situ). BCG: Bacillus Calmette Guerin FDA: 식품의약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PD: 정제된 단백질 유도체(Purified protein derivative).
표 5. 시험 치료 후 재발 및/또는 진행이 발생한 환자의 치료. BCG: Bacillus Calmette Guerin. 일부 환자는 2가지 이상의 치료를 받았다. 방광절제술을 받은 환자 13명 중 1명은 암 재발이 아닌 만성 방광염으로 인해 수술을 받았다.
* 이러한 치료 중 하나는 등록 후 60주 이후 재발에 근거하여 수행되었다.
표 6. 치료기의 치료 관련 이상반응(AE). BCG: Bacillus Calmette Guerin. GU: 비뇨생식기(Genito-urinary).
도 1. 최대 2.9년의 추적관찰 시간 후 방광에서 재발까지의 시간(time to recurrence)에 대한 Kaplan Meier 플롯.
도 2. 최대 2.9년의 추적관찰 시간 후 전체 생존율(OS).
도 3. SAKK 06/14의 CONSORT 2010 다이어그램. BCG: Bacillus Calmette Guerin. ITT: Intention to treat. FAS: Full analysis set(집단). PP: Per-protocol (집단).
1은 FAS로부터 2가지 제외 사항도 포함함.
도 4: FAS의 방광에서 재발까지의 시간에 대한 Kaplan Meier 플롯(최대 4년 추적관찰).
Table 1. Three-year follow-up data for recurrence of bladder conditions in all evaluable phase II patients.
Table 2. Baseline tumor characteristics of first episode of NMIBC (before first conventional BCG treatment).
Table 3. Baseline patient and tumor characteristics of the full analysis set (FAS).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BCG: Bacillus Calmette Guerin. CIS: Carcinoma in situ.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Table 4. Subgroup efficacy analysis of FAS showing bladder recurrence-free rate at week 60, with 95% CI. CIS: Carcinoma in situ. BCG: Bacillus Calmette Guerin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PD: Purified protein derivative.
Table 5. Treatment of patients who developed relapse and/or progression after study treatment. BCG: Bacillus Calmette Guerin. Some patients received more than one treatment. Of the 13 patients who underwent cystectomy, one underwent surgery due to chronic cystitis rather than cancer recurrence.
* One of these treatments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relapse after 60 weeks of enrollment.
Table 6. Treatment-emergent adverse events (AEs) in the treatment phase. BCG: Bacillus Calmette Guerin. GU: Genito-urinary.
Figure 1. Kaplan Meier plot of time to recurrence in bladder after follow-up time of up to 2.9 years.
Figure 2. Overall survival (OS) after follow-up time of up to 2.9 years.
Fig. 3. CONSORT 2010 diagram of SAKK 06/14. BCG: Bacillus Calmette Guerin. ITT: Intention to treat. FAS: Full analysis set (group). PP: Per-protocol (collective).
1 also includes two exclusions from FAS.
Figure 4: Kaplan Meier plot of time to recurrence in the bladder of FAS (up to 4 years of follow-up).

추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 및 실시예 1 및 2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more detail by the following drawings and Examples 1 and 2.

이들 실시예에 사용된 면역치료제 "rBCG"는 서열번호 2에 표시된 Ag85B/Hly 융합 단백질을 발현하는(Hly+), 불활성화된 ureC 서열을 갖고(ΔUrec), 기능성 선택 마커 유전자를 포함하지 않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BCG) 덴마크 아형 프라그이다. The immunotherapeutic agent "rBCG" used in these examples is a recombinant microorganism that expresses the Ag85B/Hly fusion protein shown in SEQ ID NO: 2 (Hly+), has an inactivated ureC sequence (ΔUrec), and does not contain a functional selectable marker gene. Cobacterium bovis (BCG) is a Danish subtype of plaque.

실시예 1 표준 BCG 치료법 후 재발성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이 있는 인간 환자에서 재조합 BCG(rBCG)의 방광내 점적 주입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는 1/2상 개방형(open label) 임상 시험 Example 1 Phase 1/2 open label clinical trial evaluat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intravesical instillation of recombinant BCG (rBCG) in human patients with recurrent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after standard BCG therapy

1.1 1상 1.1 Phase 1

1상은 TURB 및 표준 BCG 치료법 후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이 재발한 환자를 대상으로 방광내 rBCG 점적 주입의 안전성, 내약성(tolerability) 및 권장 2상 용량(recommended phase dose)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Phase 1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afety, tolerability, and recommended phase dose of intravesical rBCG instillation in patients with recurrent non-muscle-invasive bladder cancer after TURB and standard BCG therapy.

1.2 2상 1.2 Phase 2

2상은 TURB 및 표준 BCG 치료법 후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이 재발한 환자를 대상으로 방광내 rBCG 점적 주입의 효능, 안전성, 내약성 및 면역원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Phase 2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safety, tolerability, and immunogenicity of intravesical rBCG instillation in patients with recurrent non-muscle-invasive bladder cancer after TURB and standard BCG therapy.

1.3 임상 프로토콜1.3 Clinical Protocol

rBCG를 15회의 주간 점적 주입으로 방광에 투여하였다(유도기: 1-6회 점적 주입; 유지 3개월: 7-9회 점적 주입; 유지 6개월: 10-12회 점적 주입; 유지 12개월: 13-15회 점적 주입).rBCG was administered to the bladder in 15 weekly infusions (induction phase: 1-6 infusions; maintenance 3 months: 7-9 infusions; maintenance 6 months: 10-12 infusions; maintenance 12 months: 13- 15 instillations).

1단계의 1차 평가변수(primary endpoint)는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NMIBC)에서 표준 BCG 치료법 후 재발한 환자의 방광내 rBCG 점적 주입의 용량 제한 독성(dose limiting toxicity: DLT)이었다. DLT 기간은 3회 점적 주입 + 1주에 해당하며 치료에 의해 유도된 급성 독성을 포함한다. 환자는 각각 3명으로 구성된 2개 코호트에서 3 + 3 설계 규칙(용량 감량(dose de-escalation) 규칙: 용량 수준 1로 치료받은 환자가 DLT 징후를 보이는 경우, 주입된 rBCG 용량을 수준 1보다 10배 더 낮은 것인 수준 -1로 감소시킴)에 따라 치료를 받았다.The primary endpoint of phase 1 was the dose limiting toxicity (DLT) of intravesical rBCG instillation in patients with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NMIBC) relapse after standard BCG therapy. The DLT period corresponds to 3 instillations + 1 week and includes acute toxicity induced by treatment.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cohorts of three patients each in a 3 + 3 design rule (dose de-escalation rule: if a patient treated at dose level 1 shows signs of DLT, the infused rBCG dose was increased 10 times above level 1). was treated at a level lower than that (level -1).

용량 수준은 다음과 같았다:Dose levels were:

·용량 수준 1: 1 - 19.2 x 108 CFU의 rBCG ·Dose level 1: 1 - 19.2 x 10 8 CFU of rBCG

·용량 수준 -1: 1 - 19.2 x 107 CFU의 rBCG Dose level -1: 1 - 19.2 x 10 7 CFU of rBCG

1.4 환자의 선택1.4 Patient selection

1.4.1 포함 기준 (Inclusion criteria)1.4.1 Inclusion criteria

- 방광의 무종양(tumor-free) 상태를 확인한, 반복 TURB를 포함한 재발성 NMIBC의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진단; 순수 CIS 환자의 경우, 반복 TURB가 필요하지 않음- Histologically confirmed diagnosis of recurrent NMIBC, including recurrent TURB, with confirmed tumor-free status of the bladder; For patients with pure CIS, repeat TURB is not necessary

- CIS를 동반한 환자를 제외하고 치료 시작 전 세포검사 음성(negative cytology). - Negative cytology before starting treatment, except for patients with CIS.

- 계획된 치료 시작은 마지막 TURB 후 2~6주임.- Planned start of treatment is 2-6 weeks after the last TURB.

- NMIBC에 대해 5년 이내의 1회의 방광내 BCG 사이클 (최소 5회 주입을 포함한 유도기 ± 유지).- One cycle of intravesical BCG within 5 years (induction phase ± maintenance with at least 5 injections) for NMIBC.

-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평가 시스템에 근거한 진행에 대한 재발성 고-등급 NMIBC (진행 점수 7-23), 근치 방광절제술 또는 표준 BCG에 의한 재-유도가 표시된 환자에서 BCG 치료법 실패(Babjuk M, Eur Urol 2008 PMID 18468779).- BCG therapy in patients indicated for recurrent high-grade NMIBC (progression score 7-23), radical cystectomy or re-induction with standard BCG for progression based on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grading system Failed (Babjuk M, Eur Urol 2008 PMID 18468779).

이는 특히, BCG 치료법의 이전 사이클의 시작 후 3개월 및 6개월에 존재하는 고-등급 NMBIC 종양, 및 초기 반응에도 불구하고, 더 높은 재발 횟수, 더 높은 종양 카테고리, 또는 더 높은 등급, 저 등급 종양을 포함한 CIS의 출현과 같은 BCG 치료법 하에서 질병의 악화를 갖는 환자를 포함한다. This is particularly true for high-grade NMBIC tumors present 3 and 6 months after the start of the previous cycle of BCG therapy, and, despite an initial response, higher number of recurrences, higher tumor category, or higher grade, lower grade tumors. Includes patients with worsening of the disease under BCG therapy, such as the appearance of CIS.

1.4.2 제외 기준 (Exclusion criteria)1.4.2 Exclusion criteria

- 현재 또는 이전의 T2 이상의 방광 요로상피암종(UC). - Current or previous bladder urothelial carcinoma (UC) of T2 or greater.

- TURB 표본에서 림프-혈관 침범, 상부 요로, 전립선 또는 요도의 동반 UC, 방광의 소세포암종, 미세유두상 요로상피암종, 순수 편평상피세포암종, 순수 선암종.- In TURB specimens, lympho-vascular invasion, concomitant UC of the upper urinary tract, prostate, or urethra, small cell carcinoma of the bladder, micropapillary urothelial carcinoma, pure squamous cell carcinoma, and pure adenocarcinoma.

- 방광 게실에서 UC의 이전 또는 현재 증거.- Previous or current evidence of UC in bladder diverticulum.

- 등록 시 (흉부) 복부 CT 스캔에서 전이성 질환의 증거.- Evidence of metastatic disease on (thoracic) abdominal CT scan at enrollment.

- 치료 시작 전 2주 이내에 방광 수술 또는 급격한 카테터 삽입(dramatic catheterization) 또는 TURB.- Bladder surgery or dramatic catheterization or TURB within 2 weeks before starting treatment.

- 지난 3년 이내에 전신 세포독성제의 투여, 또는 (지난 5년 동안) 1차 BCG 치료법 후 EUC 재발 후 방광내 점적 주입에 의한 세포증식억제/세포독성 약물의 반복적 투여.- Administration of systemic cytotoxic agents within the past 3 years, or repeated administration of cytostatic/cytotoxic drugs by intravesical instillation after recurrence of EUC after primary BCG therapy (within the past 5 years).

1.5 현황 (Current status)1.5 Current status

임상 1상이 완료되었다. 2상은 용량 수준 1: 1-19.2 x 108 CFU의 rBCG로 수행되었다.Phase 1 clinical trial has been completed. Phase 2 was performed at dose level 1: 1-19.2 x 10 8 CFU of rBCG.

활성제는 덱스트란, 글루코스, 0.9% 염화나트륨, 0.025% Tween 80 및 주사용수를 포함하는 50ml 약물 용액으로 투여되었다.The active agent was administered as a 50 ml drug solution containing dextran, glucose, 0.9% sodium chloride, 0.025% Tween 80, and water for injection.

3년차에 평가 가능한 모든 2상 환자의 방광 상태에서 재발에 대한 추적관찰(follow-up) 데이터가 표 1에 표시된다. 20명의 환자가 확인된 반응(confirmed event)을 경험했고 1명의 환자는 미확인 반응(unconfirmed event)을 경험했다. 10명의 환자가 생존했고, 이 평가변수에 대해 추적 관찰 중이다. Follow-up data for recurrence in bladder status for all evaluable phase 2 patients at 3 years are shown in Table 1. Twenty patients experienced a confirmed event and one patient experienced an unconfirmed event. Ten patients are alive and are being followed for this endpoint.

40명의 환자가 포함되었고, 모두 전술된 고-등급 종양을 가졌다. CIS 비율이 높았다(68%). 방광의 무재발 상태(recurrent-free state)가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았다(95% 신뢰구간[26.9%, 59.4%]으로 60주 무재발 생존율은 49.3%, 3년 무재발 생존율은 43.7%이었다).Forty patients were included, all with high-grade tumors described above. The rate of CIS was high (68%). The recurrent-free state of the bladder was as shown in Figure 1 (60-week relapse-free survival rate was 49.3% and 3-year relapse-free survival rate was 43.7% with 95% confidence interval [26.9%, 59.4%]). .

치료는 안전하고 내약성이 우수했으며, 환자의 5%만이 적절한 유도 요법을 견딜 수 없었다. 용량 제한 독성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3등급 또는 4등급의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Treatment was safe and well tolerated, with only 5% of patients unable to tolerate adequate induction therapy. No dose-limiting toxicities occurred and no grade 3 or 4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2.9년의 중앙값 추적 관찰 시간 후 전체 생존률이 도 2에 표시된다. 이 분석까지 7명의 환자가 사망했고, 9명의 환자가 추적관찰 중 상실되었고, 24명의 환자가 추적관찰 중이었다. 2명(8%)의 환자만이 방광절제술을 받아야했다. 4명의 환자는 화학요법으로 전환해야 했다.Overall survival rates after a median follow-up time of 2.9 years are shown in Figure 2. By this analysis, 7 patients had died, 9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and 24 patients were still in follow-up. Only 2 (8%) patients required cystectomy. Four patients required conversion to chemotherapy.

실시예 2 기존의 BCG 치료법 후 재발성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이 있는 인간 환자에서 재조합 BCG(rBCG)의 방광내 점적 주입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는 1/2상 개방형 임상 시험Example 2 Phase 1/2 open clinical trial evaluat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intravesical instillation of recombinant BCG (rBCG) in human patients with recurrent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after conventional BCG therapy

2.1 환자 및 방법2.1 Patients and methods

2.1.1 연구 설계 및 참가자2.1.1 Study design and participants

본 시험은 다기관, 개방형, 단일군, 1/2상 연구(multicentre, open-label, single-arm, phase I/II study)로 설계되었고, 헬싱키 선언의 최신 버전인 ICH-GCP와 국가 법률 및 규제 요구 사항을 준수하여 수행되었다. 등록 전에 모든 환자로부터 서면 고지 동의서를 받았다. This trial was designed as a multicentre, open-label, single-arm, phase I/II study and complied with ICH-GCP, the latest ver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nd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It was carried out in compliance with the requirements. Written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patients before enrollment.

적격(eligible) 환자는 기존 BCG 치료법 후 진행에 대한 중등도 및 고위험(EORTC 평가 시스템 기준 점수 7-23)을 갖는 재발성 NMIBC를 가지고 있었다. Eligible patients had recurrent NMIBC with intermediate and high risk (EORTC Rating System criteria score 7-23) for progression after conventional BCG therapy.

이전 BCG 치료법의 사이클 시작 후 3개월 및 6개월에 지속성 T1 질환 또는 고-등급 비-근육 침습성 종양이 존재하거나, 초기 반응에도 불구하고, BCG 치료법 하에 질병의 악화, 예를 들면, 더 많은 재발 횟수, 더 높은 종양 카테고리 또는 더 높은 등급 또는 상피내암종(CIS)의 출현이 요구되었다(EAU 2008 가이드라인 정의). 이전 치료(prior therapy)는 방광내 BCG의 이전 사이클(유도기 ≥5회 점적 주입 ± BCG 유지)로 정의되었다. 포함을 위해서, 재발성 NMIBC의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진단 및 현재 병리학 가이드라인에 따라 무종양 상태를 확인하는 반복 TURB(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bladder)(TURB)이 필수였다. CIS가 있는 환자의 경우, 선택적 상부 요로 세포검사 및 전립선 요도 생검이 권장되었다. 연구 치료 시작 시, 방광 세척액 세포검사는 순수 또는 동반 CIS 및 전이성 질환의 증거가 없는 영상 검사를 갖는 환자를 제외하고는 음성이어야 했다.Presence of persistent T1 disease or high-grade non-muscle invasive tumor at 3 and 6 months after starting cycle of previous BCG therapy, or worsening of disease under BCG therapy, despite initial response, e.g., greater number of relapses , a higher tumor category or higher grade or appearance of carcinoma in situ (CIS) was required (EAU 2008 guideline definition). Prior therapy was defined as a previous cycle of intravesical BCG (induction phase ≥5 instillations ± BCG maintenance). For inclusion, a histologically confirmed diagnosis of recurrent NMIBC and repeat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bladder (TURB) confirming tumor-free status according to current pathology guidelines were mandatory. For patients with CIS, elective upper urinary tract cytology and prostatic urethral biopsy were recommended. At the start of study treatment, bladder wash cytology had to be negative except in patients with pure or concomitant CIS and imaging studies without evidence of metastatic disease.

제외 기준은 병기 T2 이상의 방광의 요로상피암종, 상부 요로, 비전립선 요도의 동반 요로상피암종 또는 전이성 질환의 증거였다(https://clinicaltrials.gov/ct2/show/NCT02371447). Exclusion criteria were stage T2 or higher urothelial carcinoma of the bladder, concomitant urothelial carcinoma of the upper urinary tract, nonprostatic urethra, or evidence of metastatic disease ( https://clinicaltrials.gov/ct2/show/NCT02371447 ).

rBCG는 살아있는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 BCGΔureC::hly(SIIPL, Serum Institute of India Private Limited, Pune, India)의 1-19.2 × 108 CFU/바이알의 제형화된 동결건조 분말로 제공되었고, 방광내 적용을 위해 50 ml의 0.9% 식염수에 재구성되었다. 환자들은 6회의 주간 방광내 점적 주입 및 뒤이은 1년의 유지(제1 점적 주입 후 3개월, 6개월, 및 12개월에 3회 점적 주입)의 표준 치료로 예정되었다. rBCG was provided as a formulated lyophilized powder of 1-19.2 × 10 8 CFU/vial of live Mycobacterium bovis BCGΔ ureC::hly (SIIPL, Serum Institute of India Private Limited, Pune, India) and administered intravesically. For application it was reconstituted in 50 ml of 0.9% saline solution. Patients were scheduled for standard treatment of 6 weekly intravesical instillations followed by 1 year of maintenance (3 infusions at 3, 6, and 12 months after the first instillation).

2상 부분의 1차 평가변수는 등록 후 60주차 방광의 무재발율(RFR)로 정의되었다. 세포검사 양성이나 방광경 검사에서 방광에서 종양의 육안 검출로 인해 재발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재발에 대한 조직학적 증거가 요구되었다. 전립선 요도암과 연관된 방광에서의 재발 또는 상부 요로에서 암의 증거는 방광에서의 재발로 간주되지 않았다. 미리 정의된 2차 평가변수에는 시험 등록부터 방광에서의 재발까지의 시간, 진행까지의 시간, 전체 생존율(OS), AE, 내약성 및 QoL이 포함되었다. 진행은 근육 침습성 방광암으로의 진행 또는 전이성 질환으로의 진행으로 정의되었다. OS는 등록부터 어떤 원인으로든 사망할 때까지 계산되었다. 내약성은 치료 시작 후 12주 이내에 유도의 5회 점적 주입을 완료한 환자의 비율로 정의되었다.The primary endpoint of the phase 2 portion was defined as bladder recurrence rate (RFR) at 60 weeks after enrollment. If recurrence was suspected due to a positive cytology or macroscopic detection of tumor in the bladder at cystoscopy, histological evidence of recurrence was required. Recurrence in the bladder associated with prostatic urethral cancer or evidence of cancer in the upper urinary tract was not considered a recurrence in the bladder. Predefined secondary endpoints included time from trial entry to recurrence in the bladder, time to progression, overall survival (OS), AEs, tolerability, and QoL. Progression was defined as progression to muscle-invasive bladder cancer or progression to metastatic disease. OS was calculated from enrollment until death from any cause. Tolerability was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patients completing five infusions of induction within 12 weeks of starting treatment.

2.1.2 통계분석2.1.2 Statistical analysis

샘플 크기 계산을 위해, 본 발명자들은 BCG 재노출과 젬시타빈을 비교하는 소수의 전향적 무작위 유럽 시험(prospective randomized European trial) 중 하나에서 RFR을 추정했다. 이 시험에서, BCG를 투여받은 그룹은 마지막 TURB 후 60주에 추정 RFR 및 무진행률(progression-free rate)이 각각 15% 및 62.5%였다. H0: 60주 RFR ≤15%; H1: 60주 RFR ≥30%로 단일 단계 설계를 이용했다. 10% 유의 수준 및 80% 검정력을 위해, 등록 후 60주 동안 평가된 Kaplan-Meier 추정치(R 패키지 OptInterim)에 근거하여, 2상을 위해 평가 가능한 환자 37명이 필요했다. 1상 부분의 6명의 환자가 2상 부분에 포함되었다. 평가할 수 없는 환자를 설명하기 위해, 샘플 크기가 39명의 환자로 증가되었다.For sample size calculations, we estimated RFR from one of the few prospective randomized European trials comparing BCG re-exposure with gemcitabine. In this trial, the group receiving BCG had an estimated RFR and progression-free rate of 15% and 62.5%, respectively, at 60 weeks after the last TURB. H0: RFR ≤15% at 60 weeks; H1: A single-stage design was used with a 60-week RFR ≥30%. For a 10% significance level and 80% power, 37 evaluable patients were needed for phase 2, based on Kaplan-Meier estimates (R package OptInterim) assessed over 60 weeks after enrollment. Six patients from the phase 1 portion were included in the phase 2 portion. To account for patients who could not be evaluated, the sample size was increased to 39 patients.

2.2 결과2.2 Results

2.2.1 환자2.2.1 Patient

2015년 9월부터 2018년 4월까지, 42명의 환자가 임상시험에 등록되었다. 총 16개 사이트가 활성화됐고, 14개 사이트가 적극적으로 환자를 모집했다. 두 명의 환자가 주요 포함 기준 위반으로 인해 효능 분석에서 제외되어야 했으나, 안전성/ITT 분석에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40명의 환자가 전체 분석 세트(full analysis set: FAS)를 정의했고 프로토콜별 집단(per protocol population: PP)은 22명의 환자로 구성되었다. 분석된 모집단의 정의 및 제외에 대한 상세한 이유가 도 3에 제시된다.From September 2015 to April 2018, 42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clinical trial. A total of 16 sites were activated, and 14 sites were actively recruiting patients. Two patients had to be excluded from the efficacy analysis due to violations of key inclusion criteria but were retained in the safety/ITT analysis. Forty patients defined the full analysis set (FAS) and the per protocol population (PP) consisted of 22 patients. The definition of the analyzed population and detailed reasons for exclusion are presented in Figure 3.

환자 코호트의 원발성 NMIBC 발생의 상세한 종양 특성이 표 2에 제시되고, FAS의 상세한 환자 및 종양 특성이 표 3에 제시된다. 재발성 NMIBC의 진행에 대한 위험 중앙값은 원발성 발생(primary occurrence)에 비해 위험 포인트가 7점 증가했다. 방광암의 위험 인자인 화학 물질 노출(chemical exposure)의 이력이 3명의 환자에서 확인되었고, 21명의 환자(52.5%)는 38(4.0-99.0)갑-년의 중앙값(범위)로 흡연 이력을 가졌다. 27명(67.5%)의 환자에서는 동반 또는 순수 CIS가 존재했다. 14명의 환자(35%)가 BCG 유지 요법을 받았다. 진행 점수 중앙값은 이전에 BCG 유지 관리를 받은 환자의 경우 16점(7-20), 이전에 BCG 유지 관리를 받지 않은 환자의 경우 16점(7-19)이었다. Detailed tumor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NMIBC incident in the patient cohort are presented in Table 2, and detailed patient and tumor characteristics of the FAS are presented in Table 3. The median risk for progression of recurrent NMIBC was a 7-point increase in risk compared to primary occurrence. A history of chemical exposure, a risk factor for bladder cancer, was confirmed in 3 patients, and 21 patients (52.5%) had a smoking history with a median (range) of 38 (4.0-99.0) pack-years. Concomitant or pure CIS was present in 27 (67.5%) patients. Fourteen patients (35%) received BCG maintenance therapy. The median progression score was 16 points (7-20) for patients with prior BCG maintenance and 16 points (7-19) for patients without prior BCG maintenance.

시험에 등록한 모든 환자가 시험 치료를 시작했다. 32명의 환자(80%)가 유지요법을 시작했다. 15명의 환자(37.5%)는 유도 및 유지 요법의 예정된 점적 주입을 모두 받았다. 시험 중 치료를 중단한 상세한 이유가 도 3에 제시된다. 분석 당시 중앙 추적관찰 기간(median follow-up)은 74.4(12.3 - 140.9)주였다.All patients enrolled in the trial started trial treatment. 32 patients (80%) started maintenance therapy. Fifteen patients (37.5%) received scheduled infusions of both induction and maintenance therapy. Detailed reasons for discontinuing treatment during the trial are presented in Figure 3. Median follow-up at the time of analysis was 74.4 (12.3 - 140.9) weeks.

2.2.2 1차 평가변수 (Primary endpoint)2.2.2 Primary endpoint

rBCG 유도 및 유지 요법 후 환자의 49.3%[95% CI 32.1, 64.4]는 시험 등록 후 60주 동안 방광에서 재발의 증거가 없었다. 2.9년의 중앙 추적관찰 후, RFR은 시험 등록 후 2년 및 3년에 각각 47.4%[30.4%, 62.6%] 및 43.7%[26.9%, 59.4%]를 유지했다. 시험 등록부터 방광에서의 재발까지의 시간의 중앙값은 54.1주[95% CI 38.4주]였다(도 4). 등록 후 60주에 ITT 및 PP 집단의 방광 RFR은 각각 48.0%[95% CI 31.1, 63.0] 및 40.8%[95% CI 19.9, 60.9]였다. FAS 집단에서 조직학적으로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임상적으로 명백한 방광외 재발(extravesical recurrence)을 포함한 모든 잠재적 재발을 고려하면, 60주 RFR은 47.6%[95% CI 30.8, 62.6]에 도달했다. CIS 환자(n=27) 중, 15명(55.6%; 95% CI [35.3%,74.5%])이 치료 시작 후 12주에 완전 반응(complete response: CR)을 보였다. 이들 15명의 환자에 대한 중앙 반응 지속 기간(duration of response: DOR)은 1.1년이었다(95% CI[0.4년 - 미도달(not reached)]). 일차 평가변수와 관련된 추가 서브그룹 평가가 표 3에 제시된다. After rBCG induction and maintenance therapy, 49.3% [95% CI 32.1, 64.4] of patients had no evidence of recurrence in the bladder 60 weeks after trial entry. After a median follow-up of 2.9 years, RFR remained 47.4% [30.4%, 62.6%] and 43.7% [26.9%, 59.4%] at 2 and 3 years after trial enrollment, respectively. The median time from trial entry to recurrence in the bladder was 54.1 weeks [95% CI 38.4 weeks] (Figure 4). At 60 weeks after enrollment, bladder RFR in the ITT and PP groups was 48.0% [95% CI 31.1, 63.0] and 40.8% [95% CI 19.9, 60.9], respectively. Considering all potential recurrences in the FAS population, including histologically unconfirmed but clinically evident extravesical recurrence, the 60-week RFR reached 47.6% [95% CI 30.8, 62.6]. Among CIS patients (n=27), 15 (55.6%; 95% CI [35.3%, 74.5%]) showed a complete response (CR) 12 weeks after starting treatment. The median duration of response (DOR) for these 15 patients was 1.1 years (95% CI [0.4 years - not reached]). Additional subgroup assessments related to the primary endpoint are presented in Table 3.

2.2.3 2차 평가변수 (Secondary endpoint)2.2.3 Secondary endpoint

FAS의 7명의 환자는 진행성 질환을 경험했다(진행까지의 시간 중앙값(median time to progression)은 미도달). 3명의 환자는 근육 침습성 질환으로 진행하였고, 4명의 환자는 전이성 질환으로 진행하였다(국소 림프절 n=3, 원격 전이 n=1). 전이성 질환이 있는 환자 중 방광에 근육 침습성 질환이 동반된 것으로 확인된 환자는 없었다.Seven patients with FAS experienced progressive disease (median time to progression not reached). Three patients developed muscle-invasive disease, and four patients developed metastatic disease (regional lymph node n=3, distant metastasis n=1). Among the patients with metastatic disease, no patient was found to have muscle-invasive disease in the bladder.

시험 치료 후 재발 환자에 대한 후속 치료(follow-up treatment)는 표 5에 나열된다. 분석 시점까지, 5명의 환자가 사망했다(2명은 방광암, 2명은 포함 시 알려지지 않은 기타 암, 1명은 연구 치료와 관련 없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사망함). Follow-up treatment for patients who relapsed after study treatment is listed in Table 5. By the time of analysis, five patients had died (2 from bladder cancer, 2 from other cancers unknown at inclusion, and 1 from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unrelated to study treatment).

요약하면, 시험 등록 후 60주에, 무진행률 및 전체 생존율(OS rate)은 각각 76.3%[95% CI 56.4, 88.0] 및 92.9%[95% CI 74.3, 98.2]였다.In summary, at 60 weeks after trial enrollment, progression-free and overall survival (OS) rates were 76.3% [95% CI 56.4, 88.0] and 92.9% [95% CI 74.3, 98.2], respectively.

2.2.4 이상반응(adverse event) 및 내약성2.2.4 Adverse events and tolerability

치료-관련 AE가 표 6에 나열된다. 용어 주요 2 등급 AE(major grade 2 AE)는 환자의 1/3에서 일반적인 요로병원성 박테리아에 의한 비뇨생식기 감염이었다. 2명의 환자는 요로감염에 대해 입원 항생제 치료(in-hospital antibiotic treatment)를 받아야 했다. Treatment-related AEs are listed in Table 6. Terminology Major grade 2 AEs were genitourinary infections caused by common uropathogenic bacteria in one-third of patients. Two patients required in-hospital antibiotic treatment for urinary tract infections.

치료기(treatment phase) 동안 4 등급 또는 5 등급 AE는 발생하지 않았다. 42명의 환자 중 2명은 5회 미만의 점적 주입을 받았고, 그 중 한 명은 외상성 카테터 삽입으로 인한 BCG-유발 전신 염증 반응(BCGitis) 때문이었고 다른 한 명은 환자 거부 때문이었다(도 3).No grade 4 or 5 AEs occurred during the treatment phase. Two of the 42 patients received fewer than five instillations, one due to BCG-induced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BCGitis) due to traumatic catheterization and the other due to patient refusal ( Fig. 3 ).

2.2.5 PPD 테스트2.2.5 PPD test

환자의 77.5%는 치료 시작 시 PPD 음성(PPD-)이었다(표 2). rBCG 치료 종료 후 PPD 테스트의 전환은 7명의 환자에서만 나타났다(PPD-에서 PPD+로: n=5, PPD+에서 PPD-로: n=2). 15명의 환자(37.5%)는 PPD-에서 PPD+로 전환되지 않았다. 이 환자들에서, 방광의 RFR은 62.9%였다(표 4).77.5% of patients were PPD negative (PPD-) at the start of treatment (Table 2). Conversion of PPD testing after completion of rBCG treatment occurred in only 7 patients (PPD- to PPD+: n=5, PPD+ to PPD-: n=2). Fifteen patients (37.5%) did not convert from PPD- to PPD+. In these patients, the RFR of the bladder was 62.9% (Table 4).

2.2.6 삶의 질2.2.6 Quality of life

FAS의 환자 40명 모두 기준시점(baseline)에 QoL 설문지를 작성했다; 유지 요법을 시작한 환자 33명 중 32명(97%)은 유지 요법 시작 시 QoL 설문지를 완료했고, 40명 중 32명(77.5%)은 치료의 종료 시 QoL 설문지를 완료했다. 프로토콜에 따라 15회 점점주입 후, 14명의 환자(45.2%)가 QoL 평가를 완료했다. 환자들은 기준시점에 기능적 척도(functional scale)에 대한 높은 수준의 QoL 및 낮은 증상 부담(symptom burden)을 보고했다. 비뇨기 증상, 미래 걱정 및 성적인 문제와 관련하여 일부 장애가 보고되었다. 대부분의 QoL 척도는 기준시점부터 유지요법의 시작까지 안정한 점수를 보였다. 정서적 기능과 비뇨기 증상에 대해서는 약간의 개선이 관찰되었다. 미래 걱정은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정도(clinically relevant extent)까지 개선되었습니다(즉, 환자가 걱정을 덜 표현함). 유도 치료 동안, 환자의 거의 절반(n=13, 49%)이 정서적 기능에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개선을 보고한 반면, 약. 3분의 1은 신체적 웰빙(n=10, 30%), 전반적인 건강 상태/QoL(n=11, 33%) 또는 피로(n=10, 30%)에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악화를 보고했다. 프로토콜에 따라 치료를 완료한 환자의 QoL 척도에서는 기준시점부터 치료의 종료까지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All 40 patients with FAS completed a QoL questionnaire at baseline; Of the 33 patients who started maintenance therapy, 32 (97%) completed the QoL questionnaire at the start of maintenance therapy, and 32 of 40 (77.5%) completed the QoL questionnaire at the end of treatment. After 15 topical injections according to the protocol, 14 patients (45.2%) completed the QoL assessment. Patients reported high levels of QoL and low symptom burden on functional scales at baseline. Some disturbances have been reported in relation to urinary symptoms, worries about the future, and sexual problems. Most QoL scales showed stable scores from baseline to the start of maintenance therapy. Some improvements were observed for emotional functioning and urinary symptoms. Future worry improved to a clinically relevant extent (i.e., patients expressed less worry). During induction treatment, nearly half of patients (n=13, 49%) reported clinically meaningful improvements in emotional functioning, whereas approx. One-third reported clinically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physical well-being (n=10, 30%), general health status/QoL (n=11, 33%) or fatigue (n=10, 30%).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QoL scale of patients who completed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otocol from baseline to the end of treatment.

2.3 검토2.3 Review

2.3.1 평가변수 분석2.3.1 Evaluation variable analysis

본 발명자들은 rBCG를 테스트하기 위해 이전에 기존 BCG에 노출되었던 재발 및 진행에 대한 고-위험 집단을 선택했다. 12개월 및 24개월 RFR이 각각 15% 및 3%인 것으로 보고된 이들 환자의 BCG 재노출의 불량한 결과를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위약 대조 시험(placebo-controlled trial) 또는 기존 BCG에 의한 시험 대조약(trial comparator)은 비윤리적인 것으로 간주했다. 방광의 RFR이 49.3%인 이 단일군(single-arm) 시험은 시험 등록 후 60주에 미리 정의된 RFR > 30%의 1차 평가변수를 분명히 충족했다. 이는 재발의 정의를 FAS 집단, ITT 및 PP 집단에서 조직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임상적으로 명백한 재발 및 및 환자가 BCG 유지 관리를 받았는지 여부를 포함한 방광외 재발(extra-vesical recurrence)까지 확장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표 3). RFR은 2년 및 3년 후 각각 47.4% 및 43.7%로, 치료 반응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잠재적으로 유망한 장기 효과를 나타낸다. We selected a high-risk population for recurrence and progression who had previously been exposed to conventional BCG to test rBCG. Considering the poor outcome of BCG re-exposure in these patients, with reported 12- and 24-month RFRs of 15% and 3%, respectively, we proposed a placebo-controlled trial or a test comparator with conventional BCG. (trial comparator) deemed it unethical. With a bladder RFR of 49.3%, this single-arm trial clearly met its predefined primary endpoint of RFR > 30% at 60 weeks after trial enrollment. This extends the definition of recurrence to include clinically apparent recurrences not confirmed histologically in the FAS population, ITT and PP populations, and extra-vesical recurrence, including whether patients received BCG maintenance. The same applies to (Table 3). The RFR was 47.4% and 43.7% after 2 and 3 years, respectively, with treatment response remaining stable, indicating potentially promising long-term effects.

이 시험이 시작된 후, 식품의약국(FDA)은 BCG 실패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발표했으며 국제 방광암 그룹(International Bladder Cancer Group)은 BCG 무반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군 임상시험의 경우 12개월에 최소 30%의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초기 완전 반응률(CIS의 경우) 또는 무재발률(유두 종양의 경우)을 권장했다. FDA의 BCG 실패의 정의에 따르면, 16명의 환자(40.0%)가 BCG 무반응 질환에 해당했다. 이러한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면, 60주 RFR은 24.0%로 떨어졌다(표 3).After this trial began,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published a new definition of BCG failure, and the International Bladder Cancer Group recommended that for single-arm trials in BCG-nonresponding patients, at least 12 months. A clinically meaningful initial complete response rate (for CIS) or recurrence-free rate (for papillary tumors) of 30% was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FDA definition of BCG failure, 16 patients (40.0%) had BCG-refractory disease. Applying these more stringent criteria, the 60-week RFR dropped to 24.0% (Table 3).

1차 평가변수와 관련된 추가 서브그룹 분석은 흡연 상태, CIS 존재 및 이전 BCG 유지 요법이 이 시험에서 더 나쁜 결과와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결과가 다시 작은 샘플 크기에 의해 제한되었다(표 3).Additional subgroup analyzes related to the primary endpoint indicated that smoking status, presence of CIS, and previous BCG maintenance therapy were likely associated with worse outcomes in this trial,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the results were again small. was limited by sample size (Table 3).

재발한 환자의 대부분은 방광절제술이나 기타 국소치료를 받았고, 3명의 환자는 전신화학요법을 받았다(표 4). 포함 시 누락된 전이성 질환이 이러한 치명적인 전개에 대한 잠재적인 설명이나, TUR 이후 및/또는 방광내 시험 요법 하에서 전이성 질환이 진행되었다는 것이 배제될 수 없다. 특히, 전이성 질환이 있는 환자 중 방광에 동반된 근육 침습성 질환이 있는 환자는 한 명도 발견되지 않았다. Most of the patients who relapsed underwent cystectomy or other local treatment, and three patients received systemic chemotherapy (Table 4). Metastatic disease missed at inclusion is a potential explanation for this fatal development, but progression of metastatic disease after TUR and/or under intravesical trial therapy cannot be ruled out. In particular, among the patients with metastatic disease, no patient was found to have muscle-invasive disease accompanying the bladder.

2.3.2 이상반응 및 내약성2.3.2 Adverse reactions and tolerability

가장 흔한 AE는 환자의 1/3에서 발생하는 일반 박테리아에 의한 비뇨생식기(GU) 감염이었다. 잠재적인 설명은 i) 점적 주입용 방부제를 함유한 윤활제는 허용되지 않았고, ii) 소변 딥스틱 양성인 무증상 환자는 소변 배양이 양성인 경우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했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GU 감염이 환자의 QoL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이다(표시되지 않음). 4등급 또는 5등급 AE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내약성(유도 동안 4회 초과 점적 주입을 받은 환자로 정의됨)은 95.2%였다. 따라서, 치료는 안전하고 내약성이 우수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The most common AE was genitourinary (GU) infection due to common bacteria, occurring in one-third of patients. Potential explanations are that i) lubricants containing preservatives for instillation were not permitted, and ii) asymptomatic patients with a positive urine dipstick should have received antibiotic treatment if the urine culture was positive. Importantly, GU infec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atient's QoL (not shown). No grade 4 or 5 AEs occurred, and tolerability (defined as patients receiving more than 4 infusions during induction) was 95.2%. Therefore, the treatment can be considered safe and well tolerated.

2.3.3 PPD 테스트2.3.3 PPD test

실험 모델은 치료의 시작 전 PPD+ 상태, 또는 치료 동안 PPD-에서 PPD+ 상태로의 전환이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임상 시험에서, PPD 테스트와 결과의 임상적 상관관계는 이질적인 결과, 이전의 마이코박테리아 노출, 테스트 자체의 실행 및 해석의 상이한 처리에 인해 상충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환자(77.5%)는 이전에 BCG에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rBCG에 의한 치료의 시작 전에 PPD 테스트에서 음성을 보였다. 예상외로, 포함 시 PPD 테스트에서 음성인 환자는 방광에서 60주 RFR이 52.8%로 나타났으며, PPD-에서 PPD+로의 전환 없이도, 방광에서 RFR은 62.9%(n=15, 표 3)로 유지되어, 음성 PPD 테스트 및 비-전환(non-conversion)이 이 셋팅에서 치료 결과를 예측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Experimental models suggested that PPD+ status before the start of treatment, or transition from PPD- to PPD+ status during treatment, may predict response to treatment. In clinical trials, the clinical correlation of PPD testing and results has been conflicting due to heterogeneous results, prior mycobacterial exposure, and different handling of the administr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est itself. In this study, most patients (77.5%) had a negative PPD test before initiation of treatment with rBCG, despite previous exposure to BCG. Unexpectedly, patients with a negative PPD test at inclusion had a 60-week RFR in the bladder of 52.8%, and even without conversion from PPD- to PPD+, the RFR in the bladder remained at 62.9% (n = 15, Table 3); suggested that a negative PPD test and non-conversion may not be predictive of treatment outcome in this setting.

2.3.4 QoL2.3.4 QoL

환자들은 유도 및 유지 치료 동안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QoL을 보고했으며, 정서적 기능 및 미래에 대한 걱정이 약간 개선되었다. 약 30%의 환자가 유도 요법 동안 신체 기능, 전반적인 QoL 또는 피로에 대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악화를 보고했다. 흥미롭게도, 프로토콜에 따라 치료를 완료한 환자의 경우, QoL 척도 중 어느 것에서도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다시, 대조약 중재군(comparator arm)이 없는 제한된 샘플 크기는 이러한 QoL 결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Patients reported an overall stable QoL during induction and maintenance treatment, with small improvements in emotional functioning and worries about the future. Approximately 30% of patients reported clinically significant worsening of physical function, overall QoL, or fatigue during induction therapy. Interestingly, for patients who completed treatment according to protocol,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any of the QoL measures. Again, the limited sample size without a comparator arm emphasizes that these QoL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cautiously.

더 큰 규모의 연구에서, 유리한 Qol 및 내약성이 확인되면, rBCG는 BCG 치료에 내약 불가(intolerable)되는 환자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같은 기타 약물과 병용될 수 있다. In larger studies, if favorable Qol and tolerability are confirmed, rBCG has the potential to reduce the proportion of patients intolerant to BCG treatment and may be combined with other drugs such as checkpoint inhibitors to increase efficacy. Can be used together.

2.4 결론2.4 Conclusion

본 연구는 1차 평가변수를 충족했고, 1년 후 거의 절반의 환자에서 방광내 rBCG 치료 후 방광에서 재발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rBCG는 유망한 내약성, 안전성 및 QoL 프로필을 갖는다. This study met its primary endpoint and showed no recurrence in the bladder after intravesical rBCG treatment in almost half of the patients at 1 year. rBCG has a promising tolerability, safety and QoL profile.

FASFAS
(N=40) (N=40)
변수variable nn 방광 상태의 재발recurrence of bladder conditions . 방광에서의 재발. recurrence in the bladder 2020 . 방광에서의 재발(미확인(unconfirmed)). Relapse in bladder (unconfirmed) 1One . 최종 평가에서 중도절단(censored)(생존). Censored at final assessment (survival) 1010 . 최종 평가에서 중도절단 (사망). Censored (death) at final assessment 1One . 최종 평가에서 중도절단 (추적관찰 실패). Censored at final assessment (lost to follow-up) 44 . 새로운 치료의 시작시 중도절단. Censoring at start of new treatment 22 . 방광 절제술 일자에 중도절단. Censoring on date of cystectomy. 22

변수variable FAS FAS
n (%)n (%)
T 분류
. T1
. T1/CIS
. Ta
. Ta/CIS
. CIS
T classification
. T1
. T1/CIS
. Ta
. Ta/CIS
. CIS

18 (45.0)
6 (15.0)
6 (15.0)
5 (12.5)
5 (12.5)

18 (45.0)
6 (15.0)
6 (15.0)
5 (12.5)
5 (12.5)
1973년 WHO 등급
. 2 등급
. 3등급
. 미지(unknown)

2004년 WHO 등급
. 저-등급 요로상피암종
. 고-등급 요로상피암종
. 미지
1973 WHO rating
. level 2
. level 3
. unknown

2004 WHO rating
. Low-grade urothelial carcinoma
. High-grade urothelial carcinoma
. unknown

5 (12.5)
34 (85.0)
1 (2.5)


4 (10.0)
35 (87.5)
1 (2.5)

5 (12.5)
34 (85.0)
1 (2.5)


4 (10.0)
35 (87.5)
1 (2.5)
EORTC 진행 점수
. 0
. 1-6
. 7-13
. 14-23
중앙값(최소, 최대)
EORTC Progression Score
. 0
. 1-6
. 7-13
. 14-23
median (min, max)

1 (2.5)
7 (17.5)
26 (65.0)
6 (15.0)
9 (0.0 -18)

1 (2.5)
7 (17.5)
26 (65.0)
6 (15.0)
9 (0.0 -18)
EORTC 재발
. 1-4
. 5-9
중앙값(최소, 최대)
EORTC recurrence
. 1-4
. 5-9
median (min, max)

35 (87.5)
5 (12.5)
3 (1-7)

35 (87.5)
5 (12.5)
3 (1-7)

변수variable FASFAS
n (%)n(%)
성별
. 여성
. 남성
gender
. female
. male

4 (10.0)
36 (90.0)

4 (10.0)
36 (90.0)
WHO 성능(performance) 점수
. 0
. 1
WHO performance score
. 0
. One

35 (87.5)
5 (12.5)

35 (87.5)
5 (12.5)
흡연 상태
. 현재 흡연자
. 과거 흡연자
. 비 흡연자
. 해당 없음(not available)
smoking status
. current smoker
. former smoker
. non smoker
. Not available

10 (25.0)
11 (27.5)
18 (45.0)
1 (2.5)

10 (25.0)
11 (27.5)
18 (45.0)
1 (2.5)
이전 치료 동안 수행된 BCG 유지
. 아니요
. 예
Maintenance of BCG performed during previous treatment
. no
. yes

26 (65.0)
14 (35.0)

26 (65.0)
14 (35.0)
재발에 대한 T 분류
. T1
. T1/CIS
. Ta
. Ta/CIS
. CIS
T classification for recurrence
. T1
. T1/CIS
. Ta
. Ta/CIS
. CIS

7 (17.5)
5 (12.5)
6 (15.0)
5 (12.5)
17 (42.5)

7 (17.5)
5 (12.5)
6 (15.0)
5 (12.5)
17 (42.5)
1973년 WHO 재발 등급
. 2 등급
. 3등급
2004년 연구 포함(study inclusion)에 대한 WHO 재발 등급
. 고-등급 요로상피암종
1973 WHO recurrence grade
. level 2
. level 3
WHO recurrence scale for study inclusion, 2004
. High-grade urothelial carcinoma

3 (7.5)
37 (92.5)

40 (100.0)

3 (7.5)
37 (92.5)

40 (100.0)
EORTC 진행 점수
. 7-13
. 14-23
중앙값(최소, 최대)
EORTC Progression Score
. 7-13
. 14-23
median (min, max)

12 (30.0)
28 (70.0)
16 (7, 20)

12 (30.0)
28 (70.0)
16 (7, 20)
EORTC 재발 점수
. 1-4
. 5-9
. 10-17
중앙값(최소, 최대)
EORTC Recurrence Score
. 1-4
. 5-9
. 10-17
median (min, max)

4 (10.0)
30 (75.0)
6 (15.0)
8 (4, 11)

4 (10.0)
30 (75.0)
6 (15.0)
8 (4, 11)
기준시점 PPD 테스트
. 반응 없음
. 양성
. 상실
Baseline PPD test
. no response
. positivity
. loss

31 (77.5%)
7 (17.5%)
2 (5.0%)

31 (77.5%)
7 (17.5%)
2 (5.0%)

흡연smoking 아니요
(n=18)
no
(n=18)
예/과거
(n=21)
yes/past
(n=21)
pp
60주차 방광에서의 무재발율(%) [95% CI]Recurrence-free rate in bladder at 60 weeks (%) [95% CI] 53.1
[27.8, 73.2]
53.1
[27.8, 73.2]
45.5
[22.4, 66.1]
45.5
[22.4, 66.1]
0.6520.652
CISCIS 아니요
(n=13)
no
(n=13)

(n=27)
yes
(n=27)
pp
60주차 방광에서의 무재발율(%) [95% CI]Recurrence-free rate in bladder at 60 weeks (%) [95% CI] 61.5
[30.8, 81.8]
61.5
[30.8, 81.8]
42.4
[22.0, 61.5]
42.4
[22.0, 61.5]
0.2890.289
이전 BCG 유지Maintain previous BCG
(Previous BCG maintenance)(Previous BCG maintenance)
아니요
(n=26)
no
(n=26)

(n=14)
yes
(n=14)
pp
60주차 방광에서의 무재발율(%) [95% CI]Recurrence-free rate in bladder at 60 weeks (%) [95% CI] 54.3
[32.9, 71.6]
54.3
[32.9, 71.6]
38.4
[12.2, 64.6]
38.4
[12.2, 64.6]
0.3710.371
BCG 무반응(FDA 정의)BCG non-response (FDA definition) 아니요
(n=24)
no
(n=24)

(n=16)
yes
(n=16)
pp
60주차 방광에서의 무재발율(%) [95% CI]Recurrence-free rate in bladder at 60 weeks (%) [95% CI] 63.6%
[40.3%, 79.9%]
63.6%
[40.3%, 79.9%]
24.0%
[5.9%, 48.8%]
24.0%
[5.9%, 48.8%]
0.0220.022
PPD 전환(PPD conversion)PPD conversion 아니요
(n=15)
no
(n=15)
PPD-에서 PPD+로
(n=5)
From PPD- to PPD+
(n=5)
pp
60주차 방광에서의 무재발율(%) [95% CI]Recurrence-free rate in bladder at 60 weeks (%) [95% CI] 62.9% [32.3%, 82.6%]62.9% [32.3%, 82.6%] 80.0%
[20.4%, 96.9%]
80.0%
[20.4%, 96.9%]
0.5050.505

치료therapy n (%)n(%) 방광절제술cystectomy 13* (32.5)13* (32.5) BCG(상부 요로(upper tract))BCG (upper tract) 2 (5.0)2 (5.0) 전신 화학 요법systemic chemotherapy 3 (7.5)3 (7.5) 방광내 화학요법Intravesical chemotherapy 6* (15.0)6* (15.0)

AEA.E. 1 등급1st grade
n (%)n (%)
2 등급level 2
n (%)n(%)
3 등급level 3
n (%)n (%)
현기증dizziness 1(2.4)1(2.4) 위장 장애gastrointestinal disorder 2 (4.8)2 (4.8) 피로fatigue 2 (4.8)2 (4.8) 3(7.1)3(7.1) 발열Fever 2 (4.8)2 (4.8) 1(2.4)1(2.4) 빈도(frequency), 절박성(urgency)Frequency, urgency 7 (16.7)7 (16.7) 5 (11.9)5 (11.9) 권태(malaise)Malaise 1(2.4)1(2.4) BCG로 인한 전신 염증 반응BCG-induced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1(2.4)1(2.4) 감기(cold)cold 1(2.4)1(2.4) GU 감염GU infection 14 (33.3)14 (33.3) 2 (4.8)2 (4.8)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 증가Increased alanine aminotransferase 1(2.4)1(2.4) 신경통neuralgia 1(2.4)1(2.4) 혈뇨hematuria 2 (4.8)2 (4.8) 거대혈뇨증macrohematuria 1(2.4)1(2.4) 소변 정체urinary retention 1(2.4)1(2.4) 요로 폐쇄urinary tract obstruction 1(2.4)1(2.4) 1(2.4)1(2.4) 요로 통증urinary tract pain 6 (14.3)6 (14.3) 1(2.4)1(2.4) 질 통증vaginal pain 1(2.4)1(2.4) 피부 이환(skin affection)skin affection 3(7.1)3(7.1) 2 (4.8)2 (4.8) 혈전색전증 thromboembolism 1(2.4)1(2.4)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기재된 서열은 하기와 같다:The sequences listed as SEQ ID NO: 1 and SEQ ID NO: 2 are as follows:

서열번호 1:SEQ ID NO: 1:

포식리소좀 도메인 (nt 211-1722) 및 종결 코돈 (nt 1879-1881)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phagolysosomal domain (nt 211-1722) and stop codon (nt 1879-1881)

서열번호 2:SEQ ID NO: 2: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코딩된 아미노산 서열Amino acid sequenc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Sequence list electronic file attached

Claims (22)

우레아제가 결핍된, 덴마크 아형 프라그(Danish subtype Prague) 균주로부터의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Mycobacterium bovis) BCG 세포이고,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
(b)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phagolysosomal escape domain)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로서,
상기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는 방광암종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게 2차 요법으로서 면역치료제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에서의 용도를 위한 것인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
Recombinant Mycobacterium bovis BCG cells from the Danish subtype Prague strain, deficient in urease,
(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comprising: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is for use in a method wherein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is administered as an immunotherapeutic agent as second-line therapy to a subject suffering from bladder carcinoma.
청구항 1에 있어서, 우레아제가 결핍된, 덴마크 아형 프라그 균주로부터의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 BCG 세포이고,
(a)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aa.) 41부터 아미노산 51까지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
(b) 하기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i) 서열번호 1에 제시된 뉴클레오티드 211-1722를 포함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ii) (i)의 서열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및
(iii) 엄격한 조건 하에서 (i) 또는 (ii)의 서열과 혼성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 선택된 핵산 분자에 의해 코딩된 리스테리아 파고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로서,
상기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가 방광암종을 앓고 있는 인간 대상체에게 2차 요법으로서 면역치료제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에서의 용도를 위한 것인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ell is a recombinant Mycobacterium bovis BCG cell from a Danish subtype Prague strain that is deficient in urease,
(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from amino acid (aa.) 41 to amino acid 51 of SEQ ID NO: 2, and
(b) the following nucleotide sequence:
(i) a nucleotide sequence comprising nucleotides 211-1722 set forth in SEQ ID NO: 1,
(ii)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same amino acid sequence as the sequence of (i), and
(iii)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encoding a fusion protein comprising a Listeri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encoded by a nucleic acid molecule selected from a nucleotide sequence that hybridizes under stringent conditions to the sequence of (i) or (ii) As a rium cell,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for use in a method wherein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is administered as an immunotherapy agent as a second-line therapy to a human subject suffering from bladder carcinoma.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핵산 분자는 기능적 선택 마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세포.The cell of claim 1 or 2, wherein the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does not include a functional selection marker.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인간 대상체는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종(NMIBC)을 앓고 있는 것인 세포.The cell of claim 1 , 2, or 3, wherein the human subject is suffering from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rcinoma (NMIBC).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인간 대상체가 재발성 방광암종을 앓고, 청구항 1, 2, 또는 4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The cell of claim 1, 2, or 3, wherein the human subject has recurrent bladder carcinoma and is for the use of claim 1, 2, or 4.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인간 대상체가 방광암종의 1차 치료(first treatment) 후에 재발 및/또는 진행된 것이고, 청구항 1, 2, 4, 또는 5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The cell of claim 1, 2, or 3, wherein the human subject has relapsed and/or progressed after first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and is for the use of claim 1, 2, 4, or 5.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방광 내로의 점적투여(vesicular instillation)를 포함하고, 청구항 1, 또는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 The cell of claim 1, 2, or 3, wherein the administration comprises vesicular instillation, and is for the use of claim 1 or any one of claims 4 to 6.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실패한 방광암종의 1차 요법을 이전에 받았던 대상체의 치료에서 청구항 1, 또는 4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 The cells of claims 1, 2, or 3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 subject who has previously received at least one failed first-line therapy for bladder carcinoma.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면역요법, 특히 표준 BCG에 의한 면역요법을 포함한, 적어도 1회의 실패한 방광암종의 1차 요법을 이전에 받았던 대상체의 치료에서 청구항 1 또는 4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 The method of claims 1, 2, or 3, wherein the treatment of a subject who has previously received at least one failed first-line therapy for bladder carcinoma, including immunotherapy, particularly immunotherapy with standard BCG, is as follows: Cells intended for protest purposes.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방광절제술 또는 다른 국소 치료 및/또는 전신 화학요법을 포함한, 적어도 1회의 실패한 방광암종의 1차 요법을 이전에 받았던 대상체의 치료에서 청구항 1, 또는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 The method of claims 1, 2, or 3, in the treatment of a subject who has previously received at least one failed first-line therapy for bladder carcinoma, including cystectomy or other local treatment and/or systemic chemotherapy. Cells intended for any one of the purposes.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시스플라틴 기반 화학요법, 특히 시스플라틴 기반 화학요법 및 뒤이은 방광 수술 및/또는 방사선 요법, 병용 화학요법 및 표준 BCG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회의 실패한 방광암종의 1차 요법을 이전에 받았던 대상체의 치료에서 청구항 1 또는 4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The primary therapy of claim 1 , 2 or 3 for at least one failed bladder carcinoma selected from the group of cisplatin-based chemotherapy, especially cisplatin-based chemotherapy followed by bladder surgery and/or radiotherapy,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standard BCG. A cell for the use of any one of claims 1 or 4 to 10 in the treatment of a subject who has previously received .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대상체가 흡연자이고, 청구항 1, 또는 4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The cell of claim 1 , 2 , or 3 , wherein the subject is a smoker and the cell is for the use of any one of claims 1 or 4 through 11 .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면역치료제는 주 1회 점적투여(weekly instillation)를 포함하는 일정에 따라 방광에 투여되고, 청구항 1, 또는 4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 The method of claim 1, 2, or 3, wherein the immunotherapeutic agent is administered to the bladder according to a schedule comprising weekly instillation and is for the use of claim 1 or any one of claims 4 to 12. cell.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면역치료제는 (i) 유도기, 특히 유도 단계 6회의 주간 점적 주입을 포함하는 유도기, (ii) 적어도 1년의 유지기, 특히, 예를 들면, 3회의 주간 점적 주입을 포함하는 약 3개월 후의 제1 유지기, 예를 들면, 3회의 점적 주입을 포함하는 약 6개월 후 제2 유지기, 및 예를 들면, 3회의 점적 주입을 포함하는 약 12개월 후 제3 유지기 동안 주별 점적을 포함하는 일정에 따라 방광에 투여되고, 청구항 1, 또는 4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 The immunotherapeutic agent of claim 1 , 2 , or 3 , wherein the immunotherapeutic agent is administered during (i) an induction phase, particularly an induction phase comprising 6 weekly infusions, (ii) a maintenance phase of at least 1 year, especially, for example, 3 infusions. A first maintenance phase after about 3 months comprising weekly infusions, for example a second maintenance phase after about 6 months comprising 3 infusions, and for example about 12 months comprising 3 infusions. A cell for the use of any one of claims 1, 4 to 13, wherein the cells are administered to the bladder according to a schedule comprising weekly instillation during the third maintenance phase.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면역치료제는 투여당 약 107 내지 5 x 109 CFU, 특히 약 2 x 109 CFU의 용량으로 투여되고, 청구항 1, 또는 4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The immunotherapeutic agent according to claim 1, 2, or 3, wherein the immunotherapeutic agent is administered at a dose of about 10 7 to 5 x 10 9 CFU, especially about 2 x 10 9 CFU per administration, and Cells intended for use.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질병 재발이 적어도 1년의 기간 동안, 특히,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 억제되고, 청구항 1, 또는 4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The method of claims 1, 2, or 3, wherein disease recurrence is suppressed for a period of at least 1 year, especially for a period of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and Cells intended for protest purposes.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면역요법이 30% 이상의 환자, 특히, 45% 이상의 환자에 대해, 1년 이상, 특히 2년 이상, 3년 이상, 또는 4년 이상의 무병(disease-free) 기간을 제공하고, 청구항 1, 또는 4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 The method of claim 1, 2, or 3, wherein the immunotherapy results in disease-free survival for at least 1 year, especially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for at least 30% of the patients, especially at least 45% of the patients. A cell providing a period of time and for the use of any one of claims 1, or 4 to 16.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치료 시작 후 2년의 기간 동안 질병 재발이 없는 대상체에서 질병 재발이 추가로 1년 이상 차단되고, 청구항 1, 또는 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The method of claim 1, 2, or 3, wherein disease recurrence is prevented for at least an additional year in a subject who has been free of disease recurrence for a period of 2 years after starting treatment, and is for the use of any one of claims 1, 4 to 17. phosphorus cells.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적어도 1년의 기간, 특히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에 치료 받지 않은 대상체 대비 전체 생존율이 증가되고, 청구항 1, 또는 4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 The method of claim 1, 2, or 3, wherein the overall survival rate is increased compared to untreated subjects over a period of at least 1 year, especially over a period of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and A cell intended for any one purpose.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30% 이상의 환자, 특히, 45% 이상의 환자에서 예를 들면, 적어도 1년의 기간 동안, 특히, 적어도 2년, 적어도 3년, 또는 적어도 4년의 기간 동안 방광 절제술의 필요가 감소되거나 회피되고, 청구항 1, 또는 4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의 용도를 위한 것인 세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2, or 3, wherein in at least 30% of the patients, especially at least 45% of the patients, for example for a period of at least 1 year, especially for a period of at least 2 years, at least 3 years, or at least 4 years. A cell for the use of any one of claims 1, 4 to 19, wherein the need for cystectomy is reduced or avoided.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방광 육종, 특히, 비-근육 침윤성 방광육종의 면역요법 치료의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게 2차 치료법으로서, 우레아제가 결핍된,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Mycobacterium bovis) BCG 세포이고,
(a)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
(b) 리스테리아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A method of immunotherapeutic treatment of bladder sarcoma, particular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sarcoma,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comprising, as a second-line treatment in the subject, a recombinant Mycobacterium bovis BCG cell, deficient in urease; ,
(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nd
(b) administering a recombinant Mycobacterium cell comprising a recombinant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fusion polypeptide comprising a Listeri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필요로 하는 인간 대상체에서 방광 육종, 특히, 비-근육 침윤성 방광육종의 면역요법 치료의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게 2차 치료법으로서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은 우레아제가 결핍된, 덴마크 아형 프라그 균주로부터의 재조합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 BCG 세포이고,
(a)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41부터 아미노산 51까지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메인, 및
(b) 리스테리아 포식리소좀 탈출 도메인으로서,
(i) 서열번호 1에 제시된 뉴클레오티드 211-1722를 포함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ii) (i)의 서열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및
(iii) 엄격한 조건 하에서 (i) 또는 (ii)의 서열과 혼성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 선택된 핵산 분자에 의해 코딩된 것인 리스테리아 파고리소좀 탈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재조합 핵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 A method of immunotherapy treatment of bladder sarcoma, particularly non-muscle invasive bladder sarcoma, in a human subject in need, comprising administering to said subject a recombinant mycobacterium as a second-line treatment,
The recombinant Mycobacterium is a urease-deficient, recombinant Mycobacterium bovis BCG cell from the Danish subtype Prague strain,
(a) a domain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from amino acid 41 to amino acid 51 of SEQ ID NO: 2, and
(b) as a Listeri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i) a nucleotide sequence comprising nucleotides 211-1722 set forth in SEQ ID NO: 1,
(ii)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the same amino acid sequence as the sequence of (i), and
(iii) a recombinant nucleic acid encoding a fusion protein comprising a Listeria phagolysosomal escape domain encoded by a nucleic acid molecule selected from a nucleotide sequence that hybridizes to the sequence of (i) or (ii) under stringent conditions. method.
KR1020247005936A 2021-07-22 2022-07-20 Recombinant mycobacterium as an immunotherapy agent for secondary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KR2024008233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3/224,575 2021-07-22
EP21187253.6 2021-07-22
US17/667,784 2022-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2332A true KR20240082332A (en) 2024-06-10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88568A (en) Immunogenic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EP2938627B1 (en) Signal peptide fusion partners facilitating listerial expression of antigenic sequenc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Burgdorf et al. Clinical responses in patients with advanced colorectal cancer to a dendritic cell based vaccine
US11426453B2 (en) Recombinant mycobacterium as an immuno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20210024940A1 (en) Recombinant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cancer
CN105816866B (en) Immunogenic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KR20240082332A (en) Recombinant mycobacterium as an immunotherapy agent for secondary treatment of bladder carcinoma.
EP4373519A1 (en) Recombinant mycobacterium as an immunotherapeutic agent for the second-line therapy of bladder carcinoma
US20220160858A1 (en) Recombinant Mycobacterium as an Immuno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EP4122491A1 (en) Recombinant microbacterium as an immunotherapeutic agent for the second-line therapy of bladder carcinoma
KR102667859B1 (en) Recombinant mycobacterium as an immunotherapy agent for cancer treatment
AU2011284737B8 (en) Immunogenic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BR112013001794B1 (en) USE OF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