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0074A - Assembled rectangular cft column with internal diaphragms - Google Patents

Assembled rectangular cft column with internal diaphrag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0074A
KR20240080074A KR1020230034593A KR20230034593A KR20240080074A KR 20240080074 A KR20240080074 A KR 20240080074A KR 1020230034593 A KR1020230034593 A KR 1020230034593A KR 20230034593 A KR20230034593 A KR 20230034593A KR 20240080074 A KR20240080074 A KR 20240080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ft
assembled
cft column
concret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5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기남
Original Assignee
(주)에스제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제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스제이시스템
Publication of KR2024008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0074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다이어프램이 구비된 조립형 CFT기둥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외판 및 내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조립형 CFT기둥에 있어서, 상기 CFT기둥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체를 포함하고 있다. 조립형 CFT기둥으로 구조체를 포함하고 있어, 내다이어프램을 포함할 때 구조체의 간격에 대응되게 콘크리트가 인입되는 삽입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된 삽입구를 통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에 용이하게 타설 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CFT pillar provided with an inner diaphrag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CFT pillar including a plurality of outer plates and an inner diaphragm includes a structure protruding inside the CFT pillar. Since it contains a structure as a prefabricated CFT column,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concrete is introduced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of the structure can be provided when including an internal diaphragm. In addition, it can be provided to facilitate pouring of concrete through the provided insertion hole.

Description

내다이아프램이 구비된 조립형 CFT 기둥{ASSEMBLED RECTANGULAR CFT COLUMN WITH INTERNAL DIAPHRAGMS}Assembled CFT column with internal diaphragm {ASSEMBLED RECTANGULAR CFT COLUMN WITH INTERNAL DIAPHRAGMS}

본 발명은 내다이아프램이 구비된 조립형 CFT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다이아프램이 구비된 CFT기둥으로서 그 내부에 CFT기둥 구조체를 구비시킴으로써 내다이아프램의 형상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면서 그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재료분리 없이 밀실하게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CFT기둥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CFT column with an internal diaphragm. More specifically, it is a CFT pillar with an internal diaphragm, and the shape of the internal diaphragm can be efficiently selected by providing a CFT column structure therein. It relates to the structure of a prefabricated CFT column that allows the concrete poured inside to be tightly filled without material separation.

CFT(콘크리트 충진강관, Concrete Filled Steel Tube)기둥의 구조는 강관의 폐쇄된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진시킴으로써 철골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기둥을 말한다.The structure of a CFT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 refers to a column that takes advantage of the advantages of steel frame and concrete by filling the closed internal space of the steel pipe with concrete.

상기 CFT기둥은 외피를 이루는 강관이 그 내부의 콘크리트를 구속시킴으로써, 상기 콘크리트가 큰 압축력에 의해 급격히 파괴되는 일반적인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내력을 상승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충진된 콘크리트에 의해 강관의 좌굴내력이 보강되어 부재의 내력을 크게 증가시킨다. 그에 따라 기둥의 단면 크기가 감소되므로 재료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건축물의 활용공간을 극대화 시키며, 그 외에도 내구성, 내진성 등이 대폭 향상되는 바, 근래에 들어 그 사용량이 대폭적으로 증가하고 있다.In the CFT column, the steel pipe forming the outer shell restrains the concrete inside, thereby preventing the common phenomenon of the concrete being rapidly destroyed by a large compressive force, thereby increasing the internal strength of the concrete, and on the other hand, the steel pipe is damaged by the filled concrete. Buckling resistance is strengthened, greatl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member. As a result,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pillar is reduced,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by reducing materials, maximizing the usable space of the building, and in addition, durability and earthquake resistance are greatly improved, and the amount of us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

이와 같이 CFT기둥은 그 기둥 자체만으로는 매우 큰 축력을 지지할 수 있다는 구조적 장점이 있으나, 철골보 등의 보부재와 접합하는 경우에는 보부재에 의한 인장응력으로 인해 CFT기둥을 구성하는 얇은 외피(철판)이 찢어져 국부 파괴가 일어나거나 심한 경우 접합부가 조기에 파단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way, the CFT column has the structural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ort a very large axial force on its own, but when joined to a beam member such as a steel beam, the thin outer shell (steel plate) that makes up the CFT column is damaged due to the tensile stress caused by the beam memb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local destruction occurs due to tearing, or in severe cases, the joint may break prematurely.

따라서 보부재와의 접합시에는 CFT기둥의 외피를 이루는 강관의 국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이아프램(diaphram)이라는 보강수단을 사용하여 보부재에 의한 휨하중에 대응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Therefore, when joining a beam member, it is common to use a reinforcing means called a diaphram to counteract the bending load caused by the beam member in order to prevent local damage to the steel pipe forming the outer shell of the CFT column.

이러한 다이아프램은 대표적으로 강관의 내부에 삽입하는 내다이아프램과 강관의 외면에 테두리 형상으로 설치하는 외다이아프램이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diaphragms include an internal diaphragm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 steel pipe and an external diaphragm that is installed in the shape of a bord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외다이아프램은 재단 및 용접 등의 현장 작업을 통해 설치되는 것이어서 현장 작업이 번잡해지고 시공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기둥의 접합부가 조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내다이아프램 구조를 가지는 CFT기둥은 공장에서 제작되는 것으로서, 다이아프램 설치를 위한 현장작업이 없고 외관이 단순하고 깨끗하므로 외다이아프램의 구조보다 더욱 선호되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External diaphragms are installed through field work such as cutting and welding, which not only makes field work complicated and constructability poor, but also causes the joints of the pillars to become crude. In contrast, CFT columns with an internal diaphragm structure are manufactured in a factory, do not require field work to install the diaphragm, and have a simple and clean appearance, so they can be said to be a more preferable structure than the external diaphragm structure.

내다이아프램은 중앙에 콘크리트 타설공을 형성하고 각 외면의 전체를 CFT기중의 각 내면에 접합시킨다. 이러한 내아디아프램의 접합구조는 CFT기중에 접합되는 각 방향의 보 규격에 차이가 있어도 달라지지 않는다. 예컨대 일방향 슬래브 구조의 경우에도 내다이아프램의 4면의 CFT기둥의 각 면에 용접 부착되어야 한다. 다이아프램의 중앙에 상기한 콘크리트 타설공이 형성되는 것도 상기한 내다이아프램의 접합구조를 가지게 하는 요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The inner diaphragm forms a concrete pour hole in the center and the entire outer surface is bonded to each inner surface of the CFT machine. This joint structure of the adiaphragm does not chang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pecifications of the beams in each direction joined in the CFT machine. Fo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a one-way slab structure, the inner diaphragm must be welded and attached to each side of the four CFT columns. The form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crete pour hole in the center of the diaphragm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bove-mentioned inner diaphragm joint structure.

다른 한편으로 CFT기둥의 상술한 콘크리트 구속효과는 그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균질하면서 밀실하게 충진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그런데 CFT기둥의 내부를 횡단하는 상기의 내다이아프램은 콘크리트의 충진성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concrete confinement effect of a CFT column presupposes that the concrete poured inside is homogeneously and tightly filled. However, the inner diaphragm that crosses the inside of the CFT column acts as the biggest factor in reducing the fillability of concrete.

또한 CFT기둥 내부에 대한 콘크리트의 타설은 콘크리트를 상부에서 하부로 투하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내다이아프램 중앙의 콘크리트 타설공에 트레미관을 사용하거나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타설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내부에서는 자유낙하 방식으로 콘크리트가 투하된다.In addition, the pouring of concrete inside the CFT column is done by dropping the concrete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even when using a tremie pipe in the concrete pouring hole in the center of the inner diaphragm or using a fixed concrete pouring pipe, the inside of the CFT column is poured. Concrete is dropped using a free fall method.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11172호는 도 1에서와 같이, 내다이아프램인 차단판(230)의 중앙에 충전파이프(240)를 설치하고 상기 충전파이프(240)의 수직도를 유지하기 위해 중공강관(220) 내부에 한 쌍의 고정 철판(250)을 설치하고 있다.For example,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1172, as shown in FIG. 1, the charging pipe 24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blocking plate 230, which is an inner diaphragm, and the charging pipe 240 is maintained vertically. A pair of fixed steel plates 250 are installed inside the hollow steel pipe 220.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된 충전파이프(240)를 통한 직하방향으로의 콘크리트 투하는 유동성이 양호한 시멘트풀과 유동성이 좋지 못한 골재 사이를 분리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균질성을 저해한다.However, dropping concrete in a direct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vertically installed filling pipe 240 as described above disrupts the homogeneity of the concrete by separating the cement paste with good fluidity from the aggregate with poor fluidity.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CFT기둥 내에 구조체를 구비시키며, 내다이어프램은 구조체에 맞게 형상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내다이어프램의 형상에서 삽입구를 통해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within a CFT column, and the inner diaphragm allows the shape to be efficiently adjusted to suit the structure, so that when pouring concrete, the concrete flows through the insertion hole in the shape of the inner diaphragm. The purpose is to provide it for pouring.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외판 및 내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조립형 CFT기둥에 있어서, 상기 CFT기둥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prefabricated CFT pillar including a plurality of outer plates and an inner diaphragm, and may include a structure protruding inside the CFT pillar.

또한, 상기 내다이어프램은 상기 CFT기둥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이격 되게 마련되되, 상기 돌출된 구조체의 간격에 대응되게 콘크리트가 인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inner diaphragm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within the CFT column, and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concrete may be introduced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protruding structures.

또한, 상기 구조체는 외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외판의 높이방향을 따라 CFT기둥 내측에서 평행하게 마련되는 내판 및 상기 내판과 외판을 연결하는 보강체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ructure may include an inner plate provided in parallel inside the CFT pilla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outer plat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uter plate, and a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또한, 상기 내다이어프램의 삽입구는 CFT기둥과 구조체에 간격에 대응되게 절삭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of the inner diaphragm may be formed by cutting to correspond to the gap between the CFT pillar and the structure.

또한, 상기 복수개의 외판은 평판 또는 절곡판의 CFT기둥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outer plates may be assembled into CFT columns of flat plates or bent plates.

또한, 상기 내판은 CFT기둥 외판으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ner plate may be provided in a bent form as the CFT column outer plate.

또한, 상기 외판은, 상기 외판의 표면으로부터 삼각형 모양으로 움푹하게 들어간 삼각오목부 및 마름모 모양으로 움푹하게 들어간 마름모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판의 전면에 상기 삼각오목부가 좌우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마름모오목부가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외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삼각오목부와 마름모오목부가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lating further includes a triangular concave portion recessed in a triangular shape and a diamond concave portion recessed in a diamond shape from the surface of the outer plating, and the triangular concave portions are dispos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plating. , the diamond concave portions may be arranged up and down, and the triangular concave portion and the diamond concave portion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late.

본 발명은 조립형 CFT기둥으로 구조체를 포함하고 있어, 내다이어프램을 포함할 때 구조체의 간격에 대응되게 콘크리트가 인입되는 삽입구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ucture as a prefabricated CFT column, and when it includes an internal diaphragm,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concrete is introduced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of the structure.

또한, 제공된 삽입구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용이하게 타설 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concrete can be easily poured through the provided insertion ho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다이어프램이 구비된 조립형 CFT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FT기둥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내다이어프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내다이어프램이 구비된 조립형 CFT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내다이어프램이 구비된 원형의 조립형 CFT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외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원형 내다이어프램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내다이어프램이 구비된 조립형 CFT기둥의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CFT column equipped with an internal diaphrag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FT column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plate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diaphragm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CFT column equipped with a modified inner diaphrag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lar assembled CFT column equipped with an internal diaphrag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plate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ircular internal diaphragm shown in Figure 6.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CFT column equipped with an internal diaphrag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tak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 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limited to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combinations of steps, components, etc. is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 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ere, repeated descriptions, 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내다이어프램 구비된 조립형 CFT기둥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외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내다이어프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내다이어프램이 구비된 조립형 CFT기둥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내다이어프램이 구비된 원형의 조립형 CFT기둥이고, 도 7은 도 6의 외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내다이어프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CFT column equipped with an internal diaphrag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ploded stat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plate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diaphragm of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CFT column equipped with a modified inner diaphrag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ircular assembled CFT column equipped with an inner diaphragm according to an exampl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plate of FIG. 6,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diaphragm of FIG. 6.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CFT기둥(1)은, 복수개의 외판(10), 내다이어프램(11) 및 외판에서 기둥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체(1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CFT column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er plates 10, an inner diaphragm 11, and a structure 12 protruding from the outer plate to the inside of the column.

복수개의 외판(10)은 기둥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외판(10)의 끝 부분에 용접을 통하여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외판이란 두 개 이상의 외판을 말하는 것이며, 각각의 외판은 높이에 따라 판의 끝 부분을 용접으로 조립하여 기둥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고, 기둥의 형태를 완성하기 전에 내다이어프램(11)을 기둥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hell plates 10 can form a column shape and can be assembled at the ends of the shell plates 10 by welding. Here, a plurality of shell plates refers to two or more shell plates, and each shell plate can be assembled into the shape of a pillar by welding the ends of the plates depending on the height, and before completing the shape of the pillar, the inner diaphragm (11) can be installed inside the pillar.

내다이어프램(11)은 도 2와 같이 CFT기둥(1) 내에 하나 이상이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가 인입되는 삽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110)는 도 5와 같이 콘크리트의 인입을 위하여 구조체(12)의 간격에 대응되게 절삭되어 형성할 수 있어 삽입구(110)의 형태에 관해서는 한정 짓지 않는다. 콘크리트의 인입은 기둥이 완성된 상태에서 CFT기둥(1)의 윗부분을 통해 인입된다.As shown in FIG. 2, one or more inner diaphragms 11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within the CFT column 1, and an insertion hole 110 through which concrete may be introduced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5, the insertion hole 110 can be formed by cutting it to correspond to the gap of the structure 12 for the introduction of concrete, so the shape of the insertion hole 110 is not limited. Concrete is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CFT column (1) when the column is completed.

구조체(12)는 도 3과 같이 외판(1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판(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CFT기둥(1) 내측에서 평행하게 마련되는 내판(120) 및 내판과 외판을 연결하는 보강체(121)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체(12)는 CFT기둥(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가 인입되었을 때, 콘크리트를 단단하게 유지하기 위한 특징을 가진다.The structure 12 includes an inner plate 120 provided in parallel on the inside of the CFT column 1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outer plate 10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outer plate 10, as shown in Figure 3, and reinforcement connecting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It includes a sieve 121, and the structure 12 has the characteristic of maintaining the concrete firmly when the CFT column 1 is formed and the concrete is introduced.

내판(120)은 외판과 마찬가지로 철판으로 구성되며, 철판으로 구성된 내판은 도 7과 같이 연결된 보강체의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는 내판은 평평하게 형성되었을 때 보다 콘크리트를 더 견고하게 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The inner plate 120, like the outer plate, is made of a steel plate, and the inner plate made of a steel plate may be provided in a bent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ed reinforcement as shown in FIG. 7. The inner plate, which is provided in a bent form, contains features that make the concrete stronger than when it is formed flat.

보강체(121)는 외판 및 내판과 마찬가지로 철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철근(미도시)과 같은 형태로 하여 외판 및 내판을 연결할 때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할 수 있다. 철근(미도시)로 구성되었을 때는, 철판으로 구성되었을 때보다 콘크리트가 더 견고하게 인입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ody 121 may be made of a steel plate like the outer and inner plates, bu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reinforcing bars (not shown) at regular intervals when connecting the outer and inner plates. When composed of reinforcing bars (not shown), concrete can be inserted more firmly than when composed of steel plates.

도 6을 참조하면, CFT기둥은 사각의 형태뿐 아니라 원형의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외판(10)은 도 7과 같이 평판이 아닌 절곡판(13)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형의 기둥을 형성할 때에는 내다이어프램(11)은 도8과 같이 형성 될 수 있으며, 삽입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체(12)의 간격에 맞게 절삭되며, 절삭된 부분은 콘크리트가 용이하게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6, the CFT pillar can form a circular pillar as well as a square shape. Here, the outer plate 10 may be formed as a bent plate 13 rather than a flat plate as shown in FIG. 7, and when forming a circular pillar, the inner diaphragm 11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8, and the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t is cut to match the spacing of the structure 12, and the cut portion is characterized by easy pouring of concrete.

상기 절곡판(13)은 도 7과 같이 반원의 형태로 원형의 기둥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두 개 이상의 절곡판을 형태를 이루기 위해 반원의 형태를 갖는 것에 한정 짓지 않는다.The bent plate 13 can form a circular pillar in the shape of a semicircle as shown in FIG. 7, and has a plurality of features, so it is not limited to having a semicircular shape to form two or more bent plates.

도 9를 참조하면, 각각의 외판(10)은 표면으로부터 삼각형 모양으로 움푹하게 들어간 삼각오목부(15) 및 마름모 모양으로 움푹하게 들어간 마름모오목부(14)가 적용되어 외판(10)의 전면에 삼각오목부(15)가 좌우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마름모오목부(15)가 상하로 배치되어 외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삼각오목부(15)와 마름모오목부(14)가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each outer plate 10 has a triangular concave portion 15 recessed in a triangular shape and a diamond concave portion 14 recessed in a diamond shape appli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plate 10. The triangular recesses 15 are symmetrically arranged left and right, and the diamond recesses 15 are arranged up and down, so that the triangular recesses 15 and the diamond recesses 14 are spaced evenly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late.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spaced apart and arranged continuously.

상기 배치의 결과로 나타나는 X자 형태로 이어지는 엠보싱 구조는 표면이 평평한 구조에 비하여 굽힘 강성이 증가하고 뒤틀림에 강하며, 외판(10)이 수직으로 길게 이어져 상부에서 하부로 전해지는 하중이 클수록 X자 형태의 엠보싱 구조의 특성상 브레이스(Brace) 역할을 수행하여 본 발명인 조립형 CFT기둥(1)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The embossed structure, which continues in the shape of an Due to the nature of the embossed structure, the durability of the assembled CFT column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reased by acting as a brace.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bove, specific parts of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these specific technique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Accordingly, the actu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조립형 CFT기둥
10: 외판
11: 내다이어프램
110: 삽입구
12: 구조체
120: 내판
121: 보강체
13: 절곡판
14: 마름모오목부
15: 삼각오목부
1: Assembled CFT column
10: outer plate
11: Inner diaphragm
110: Insertion hole
12: Structure
120: inner plate
121: reinforcement
13: bending plate
14: Rhombus concave portion
15: triangular concave portion

Claims (7)

복수개의 외판 및 내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조립형 CFT기둥으로서,
상기 CFT기둥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형 CFT기둥.
An assembled CFT column including a plurality of outer plates and an inner diaphragm,
An assembled CFT pillar including a structure protruding inside the CFT pill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다이어프램은
상기 CFT기둥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이격 되게 마련되되, 상기 돌출된 구조체의 간격에 대응되게 콘크리트가 인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CFT기둥.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ner diaphragm is
A prefabricated CFT pilla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FT pillars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concrete is introduced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protruding struc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외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외판의 높이방향을 따라 CFT기둥 내측에서 평행하게 마련되는 내판 및
상기 내판과 외판을 연결하는 보강체를 포함하는 조립형 CFT기둥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ructure is,
An inner plate provided parallel to the inside of the CFT pilla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outer plat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uter plate, and
Assembled CFT column including a reinforcement connecting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다이어프램의 삽입구는 CFT기둥과 구조체의 간격에 맞게 절삭되며, 절삭된 부분은 콘크리트가 용이하게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CFT기둥.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insertion hole of the inner diaphragm is cut to match the gap between the CFT column and the structure, and the cut portion is an assembled CFT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concrete can be easily pou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외판은 평판 또는 절곡판의 CFT기둥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CFT기둥.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ssembled CFT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outer plates are assembled into a CFT column of flat or bent plat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은 CFT기둥에 연결된 보강체의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CFT기둥.
According to paragraph 3,
An assembled CFT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late is provided in a bent form in the direction of the reinforcement connected to the CFT colum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은,
상기 외판의 표면으로부터 삼각형 모양으로 움푹하게 들어간 삼각오목부 및 마름모 모양으로 움푹하게 들어간 마름모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판의 전면에 상기 삼각오목부가 좌우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마름모오목부가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외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삼각오목부와 마름모오목부가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조립형 CFT기둥.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uter plate is,
It further includes a triangular concave portion recessed in a triangular shape and a diamond concave portion recessed in a diamond shape from the surface of the outer plate,
The triangular concave portions are disposed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plating, and the diamond concave portions are disposed up and down, so that the triangular concave portions and the diamond concave portions are arranged continuously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lating. Features assembled CFT columns.
KR1020230034593A 2022-11-29 2023-03-16 Assembled rectangular cft column with internal diaphragms KR2024008007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63336 2022-11-29
KR1020220163336 2022-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074A true KR20240080074A (en) 2024-06-05

Family

ID=9147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593A KR20240080074A (en) 2022-11-29 2023-03-16 Assembled rectangular cft column with internal diaphrag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007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931B1 (en) Closed type inflected steel member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KR101734107B1 (en) Cft column structure with the diaphragm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34006B1 (en) Roll forming steel plates built-up beam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US20090120025A1 (en) Prefabricated concrete reinforcement system
KR20180109766A (en) E-z connecting structure for beam and column wherein the end-moment and bending resistibility are reinforced
CN106065566A (en) A kind of energy-dissipating and shock-absorbing pier stud
KR101127362B1 (en) Composite structural member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KR101083762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 and Flat Plate Slab
KR20240080074A (en) Assembled rectangular cft column with internal diaphragms
KR20040043202A (en) A copula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CN204645318U (en) A kind of overlaid plate type shear wall
KR102173275B1 (en) Long-span composite beam
JP5869717B1 (en) Existing concrete structure reinforcement structure
JP3189826U (en) Steel pipe concrete structure
JP2005030151A (en) Skeleton structure of building
JP2016089549A (en) Structure and method for joining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steel column or column comprising steel column
KR102299937B1 (en) Reinforced girder and bridge using the same
KR102474490B1 (en) Steel structure with column-beam reinforcement joints
KR20100091355A (en) Pedestrian bridge using filled double steel tube
CN205839572U (en) A kind of energy-dissipating and shock-absorbing pier stud
JP7574128B2 (en) Joint structure
KR102278450B1 (en) Truss hybrid beam with wide Precast concrete lower flange
CN213086546U (en) Multi-cavity ribbed concrete-filled steel tube pier
CN209924186U (en) Steel plate combined shear wall with steel bar truss
KR20190031752A (en) Coupling Bar and End Reinforced Beam Using T-Shaped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