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9668A -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9668A
KR20240079668A KR1020220162792A KR20220162792A KR20240079668A KR 20240079668 A KR20240079668 A KR 20240079668A KR 1020220162792 A KR1020220162792 A KR 1020220162792A KR 20220162792 A KR20220162792 A KR 20220162792A KR 20240079668 A KR20240079668 A KR 20240079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nector
base
housing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용
최희성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9668A/ko
Publication of KR2024007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9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구조적으로 제품 저배화가 용이한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용 하우징은,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1 방향으로 삽입되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발출되는 커넥터용 하우징으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저부, 기저부와 대향하며, 기저부와의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상판부, 및 기저부와 대향하며, 상판부와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되, 레버부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판부의 전방부와 연결되는 레버 근원부와, 레버 근원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형의 제1 레버 바디부를 포함하고, 기저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판부의 높이 및 레버 근원부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다.

Description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HOUSING FOR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본 발명은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레버(lever)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은 평판 형상의 케이블로 FPC(Flexible Printed Cable) 타입과 FFC(Flexible Flat Cable) 타입을 포괄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은 굽힘이 자유로운 가요성을 가지며, 내측에 전기선이 평형으로 배열되어 넓은 폭으로 상대 터미널과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케이블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를 통해 전자 부품이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절연 물질로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단자들,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단자들은 회로 기판 등에 납땜 등으로 부착되어, 플렉시블 케이블과 회로 기판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5225호(2018.04.05.)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적으로 제품 저배화가 용이한 커넥터용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구조적으로 제품 저배화가 용이한 커넥터용 하우징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하우징은,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1 방향으로 삽입되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발출되는 커넥터용 하우징으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저부, 기저부와 대향하며, 기저부와의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상판부, 및 기저부와 대향하며, 상판부와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되, 레버부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판부의 전방부와 연결되는 레버 근원부와, 레버 근원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형의 제1 레버 바디부를 포함하고, 기저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판부의 높이 및 레버 근원부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 및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4 방향에서, 상판부의 두께 및 레버 근원부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버 바디부는, 레버 근원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레버 돌출부와, 레버 근원부 및 레버 돌출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 암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 및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4 방향에서, 레버 근원부와 레버 돌출부의 두께의 합은, 레버 근원부 및 레버 돌출부에 인접하는 레버 암부의 두께와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 근원부의 상면으로부터 레버 돌출부가 돌출되는 높이는 0.5 mm 이하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부는, 제1 레버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레버 체결 돌기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부와 상판부 사이에,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벽부를 더 포함하되, 레버부는, 제3 방향에서 제1 레버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며, 레버 근원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중벽부와 연결되는 레버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중벽부와 연결되는 상판 지지부,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저부의 전방부와 중벽부를 연결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부는, 제3 방향에서 제1 레버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며, 레버 근원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형의 제2 레버 바디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부는, 제1 레버 바디부의 상면 및 제2 레버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레버 바디부의 후방부와 제2 레버 바디부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레버 해제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부와 상판부 사이에,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기저부와 상판부를 연결하는 중벽부를 더 포함하되, 레버부는, 제1 레버 바디부와 제2 레버 바디부 사이에, 레버 근원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중벽부와 연결되는 레버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하우징에서, 상대 하우징과 체결 또는 해제되는 외팔보형의 레버부는 상판부와 동일 레벨에 배치되는 레버 근원부로부터 비롯된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하우징에서는, 상판부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의 레버부를 제공하기 위해 상판부의 상면 상에 별도의 이격 영역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구조적으로 제품 저배화에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용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D-D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커넥터용 하우징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커넥터용 하우징의 전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E-E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용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D-D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커넥터용 하우징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커넥터용 하우징의 전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E-E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하우징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커넥터용 하우징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의 부피, 길이, 비율 및 개수 등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상대 커넥터(2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에는 플렉시블 케이블(30)이 삽입되거나 발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케이블(30)은 제1 방향(X)으로 이동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플렉시블 케이블(30)은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제2 방향(-X)으로 이동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발출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상대 커넥터(20)와 체결되거나 상대 커넥터(2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체결되는 상대 커넥터(20)는 회로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등에 실장되는 기판용 커넥터인 것만이 설명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체결되는 상대 커넥터(20)는 플렉시블 케이블(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른 다양한 커넥터들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서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전방(또는 전면 또는 전단)이란, 상대 커넥터(20)와 대향하는 방향(또는 일면 또는 일단)을 의미한다. 반대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후방(또는 후면 또는 후단)이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전방과 반대되는 방향(또는 일면 또는 일단)을 의미한다.
상대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상대 하우징(22), 복수의 접촉 단자(24)들 및 고정 금구(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 하우징(22)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제1 방향(X)으로 전진하여 상대 하우징(22)과 체결될 수 있고, 제2 방향(-X)으로 후퇴하여 상대 하우징(22)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상대 하우징(22)은 절연 물질, 예를 들어, 합성 수지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 단자(24)들은 상대 하우징(22)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단자(24)들은 상대 하우징(22) 상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3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접촉 단자(24)들은 도전 물질, 예를 들어, 구리 합금(copper allo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체결됨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0)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30)은 접촉 단자(24)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금구(26)는 상대 커넥터(20)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등에 상대 하우징(22)을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금구(26)는 상대 하우징(22)의 측벽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 등에 실장될 수 있다. 고정 금구(26)는 견고한 재질, 예를 들어,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커넥터용 하우징(100) 및 리테이너(200)를 포함한다.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플렉시블 케이블(30)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플렉시블 케이블(30)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수용 공간(100S)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30)은 제1 방향(X)으로 전진하여 케이블 수용 공간(100S)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30)은 제2 방향(-X)으로 후퇴하여 케이블 수용 공간(100S)으로부터 발출될 수 있다.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절연 물질, 예를 들어 합성 수지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기저부(110), 상판부(120), 레버부(130), 측벽부(140, 145) 및 중벽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110), 상판부(120), 레버부(130), 측벽부(140, 145) 및 중벽부(1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110)는 제3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저부(110)는 그 상면 상에 케이블 수용 공간(100S)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110)는 제1 방향(X) 및 제3 방향(Y)을 포함하는 평면(예컨대, XY 평면)에서 연장되는 판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부(110)의 전방부는 복수의 단자 수용홈(110S)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110)의 전방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 걸림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단자 수용홈(110S)들은 제1 걸림턱(112)으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체결된 때, 접촉 단자(24)의 적어도 일부는 단자 수용홈(11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접촉 단자(24)는 커넥터용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30)과 접촉할 수 있다.
상판부(120)는 기저부(110)와 대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부(120)는 제1 방향(X) 및 제3 방향(Y)을 포함하는 평면(예컨대, XY 평면)에서 연장되는 판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상판부(120)는 그 하면 상에 케이블 수용 공간(100S)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케이블 수용 공간(100S)은 기저부(110)와 상판부(1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레버부(130)는 기저부(110)와 대향할 수 있다. 레버부(130)는 상판부(120)와 제3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레버부(130)는 상판부(120)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레버부(130)를 통해 상대 커넥터(20)와 체결 또는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부(130)는 레버 근원부(130S) 및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근원부(130S)는 제3 방향(Y)으로 연장되어 상판부(120)의 전방부와 연결될 수 있다. 레버 근원부(130S)는 상판부(120)와 동일 레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레벨에 배치"됨이란,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저부(110)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판부(120)의 하면의 높이(H1)는 레버 근원부(130S)의 하면의 높이(H2)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X) 및 제3 방향(Y)과 교차하는 제4 방향(Z)에서, 상판부(120)의 두께(T1)는 레버 근원부(130S)의 두께(T2)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이란, 완전히 동일한 것뿐만 아니라 공정 상의 마진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차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판부(120)는 레버 근원부(130S)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판부(120)는 제3 방향(Y)으로 연장되어 그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레버 근원부(130S)들을 연결할 수 있다.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은 각각 레버 근원부(130S)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은 레버 근원부(130S)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부(120)와 레버 바디부들(130A, 130B) 사이에, 레버 근원부(130S)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절개부(100C1)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부(120)와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은 제1 절개부(100C1)에 의해 제3 방향(Y)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레버 바디부들(130A, 130B) 사이에, 레버 근원부(130S)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2 절개부(100C2)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은 제2 절개부(100C2)에 의해 제3 방향(Y)에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은 탄성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근원부(130S)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의 타단은 제4 방향(Z)에서 탄성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레버부(130)는 2개의 레버 바디부들(예컨대, 제1 레버 바디부(130A) 및 제2 레버 바디부(130B))만을 포함하는 것만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레버부(130)에 포함되는 레버 바디부들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레버 바디부(130A)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제2 레버 바디부(130B) 또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은 레버 근원부(130S)의 상면 및 후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레버 바디부(130A)는 레버 돌출부(131) 및 레버 암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돌출부(131)는 레버 근원부(130S)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레버 암부(132)는 레버 근원부(130S)의 후방부 및 레버 돌출부(131)의 후방부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은 상판부(120)에 의해 일단이 고정됨에도 상판부(120)의 상면 상에 별도의 이격 영역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적으로 제품 저배화에 용이한 레버부(130)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하우징(100)이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 근원부(130S)의 상면으로부터 레버 돌출부(131)가 돌출되는 높이(T3-T2)는 약 0.5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레버부(130)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하우징(100)의 저배화에 유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 근원부(130S)와 레버 돌출부(131)의 두께의 합(T3)은, 레버 근원부(130S) 및 레버 돌출부(131)에 인접하는 레버 암부(132)의 두께(T4)와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 암부(132)의 하면은 레버 홈(130H)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홈(130H)은 레버 근원부(130S)의 하부의 후방부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레버부(130)를 통해 상대 커넥터(20)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용 하우징(100)이 상대 하우징(22)을 향해 제1 방향(X)으로 전진할 때, 외팔보형의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은 탄성적으로 가동하여 상대 하우징(22)과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부(130)는 각각의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레버 체결 돌기(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체결 돌기(135)는 예를 들어, 각각의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의 중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부(130)는 레버 체결 돌기(135)에 의해 상대 커넥터(20)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대 하우징(22)은 레버 체결 돌기(135)에 대응되는 상대 체결부(22P)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체결된 때, 레버 체결 돌기(135)는 상대 체결부(22P)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레버부(130)는 상대 커넥터(20)에 체결된 커넥터용 하우징(100)을 해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레버부(130)를 가동하여 커넥터용 하우징(100)과 상대 하우징(22) 간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부(130)는 각각의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레버 해제부(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 해제부(139)는 예를 들어, 각각의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 간의 해제가 요구될 때, 사용자는 레버 해제부(139)를 가압함으로써 레버 체결 돌기(135)와 상대 체결부(22P) 간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 해제부(139)는 제3 방향(Y)으로 연장되어 제1 레버 바디부(130A)의 후방부와 제2 레버 바디부(130B)의 후방부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 해제부(139)의 일부는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해제부(139)의 하부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후방 관통 홀(139H)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관통 홀(139H)의 하면은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의 상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측벽부(140, 145)는 커넥터용 하우징(100)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140, 145)는 기저부(110)의 측방부와 상판부(120)의 측방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측벽부(140, 145)는 케이블 수용 공간(100S)의 측면을 정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벽부(140, 145)는 전방 측벽(140) 및 후방 측벽(145)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측벽(145)은 전방 측벽(140)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 측벽(145)은 전방 측벽(140)의 측면 및 상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방 측벽(140)은 제1 가이드홈(140G)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140G)은 전방 측벽(140)의 전방부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체결될 때, 제1 가이드홈(140G)은 상대 하우징(22)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체결될 때, 상대 하우징(22)의 일부는 제1 가이드홈(140G)에 삽입될 수 있다.
중벽부(150)는 기저부(110)와 상판부(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중벽부(150)는 제3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벽부(150)는 제3 방향(Y)으로 연장되어 그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부(140, 145)들을 연결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체결된 때, 중벽부(150)는 상대 하우징(22)과 리테이너(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벽부(150)는 상대 하우징(22)이 커넥터용 하우징(100) 내에 제2 방향(-X)으로 삽입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벽부(150)는 리테이너(200)가 커넥터용 하우징(100) 내에 제1 방향(X)으로 삽입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중벽부(150)는 기저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기저부(110)와 중벽부(150) 사이에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격벽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격벽부(115)의 일단은 기저부(110)의 전방부(또는, 제1 걸림턱(112)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고, 격벽부(115)의 타단은 중벽부(15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벽부(115)는 각각의 단자 수용홈(110S)들의 측면을 정의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 수용홈(110S)들은 격벽부(115)에 의해 제3 방향(Y)에서 상호 분리되는 영역들을 형성할 수 있다.
중벽부(150)는 상판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판부(120)와 중벽부(150) 사이에 제3 방향(Y)으로 연장되는 상판 지지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 지지부(125)는 상판부(12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중벽부(15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판 지지부(125)는 중벽부(150)와 함께 상대 하우징(22)이 커넥터용 하우징(100) 내에 제2 방향(-X)으로 삽입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버부(130)는 중벽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레버부(130)는 중벽부(150)와 연결되는 레버 지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지지부(133)는 레버 근원부(130S)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되어 중벽부(15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지지부(133)는 제1 레버 바디부(130A)와 제2 레버 바디부(130B) 사이에서 제2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레버 지지부(133)는 제3 방향(Y)에서 레버 바디부들(130A, 130B)과 이격될 수 있다. 레버 지지부(133)는 전체적으로 외팔보형인 레버부(1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저배화된 커넥터용 하우징(1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후방 돌출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돌출부(122)는 상판부(120)의 후방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후방 돌출부(122)의 상면은 레버 해제부(139)의 상면과 공면(共面)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돌출부(122)는 제3 방향(Y)을 따라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레버 해제부(139)를 보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후방 돌출부(122)는 레버부(130)가 제4 방향(Z)으로 가동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부(130)는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의 측면으로부터 후방 돌출부(122)를 향해 돌출되는 레버 규제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후방 돌출부(122)는 레버 해제부(139)를 향해 돌출되는 제2 걸림턱(122P)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규제부(138)의 적어도 일부는 제4 방향(Z)에서 제2 걸림턱(122P)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버 규제부(138)와 연결되는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은 제2 걸림턱(122P)에 걸릴 때까지 제4 방향(Z)으로 가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보호 돌출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돌출부(124)는 레버부(130)에 인접하는 상판부(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보호 돌출부(124)는 제3 방향(Y)을 따라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레버 바디부들(130A, 130B)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체결될 때, 보호 돌출부(124)는 상대 하우징(22)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측방 가이드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방 가이드부(126)는 측벽부(140, 145)에 인접하는 상판부(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체결될 때, 측방 가이드부(126)는 상대 하우징(22)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방 가이드부(126)와 전방 측벽(140) 사이에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홈(126G)이 정의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체결될 때, 상대 하우징(22)의 일부는 제2 가이드홈(126G)에 삽입될 수 있다.
리테이너(200)는 커넥터용 하우징(10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리테이너(200)는 커넥터용 하우징(100)과 체결되어 커넥터용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30)을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테이너(200)는 커넥터용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30)을 고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00)는 가압부(210), 체결부(220) 및 케이블 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10), 체결부(220) 및 케이블 지지부(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10)는 상판부(120)의 후면 및 레버부(130)의 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210)는 제3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210)는 기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기저부(110)와 가압부(210) 사이의 공간은 케이블 수용 공간(100S)과 연통되어 플렉시블 케이블(3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커넥터용 하우징(100) 내에 플렉시블 케이블(30)이 삽입되면, 커넥터용 하우징(100)에 체결된 리테이너(200)의 가압부(210)는 플렉시블 케이블(3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체결부(220)는 가압부(210)의 측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테이너(200)는 체결부(220)를 통해 커넥터용 하우징(100)과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후방 돌출부(122)와 후방 측벽(145) 사이에 정의되는 제1 리테이너 수용홈(122H)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제1 리테이너 수용홈(122H)을 향해 돌출되는 하우징 체결 돌기(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용 하우징(100)과 리테이너(200)가 체결된 때, 하우징 체결 돌기(128)는 체결부(22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케이블 지지부(230)는 가압부(210)의 측방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테이너(200)는 케이블 지지부(230)를 통해 플렉시블 케이블(3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용 하우징(100)은 후방 측벽(145) 내에 정의되는 제2 리테이너 수용홈(145H)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30)은 그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케이블 돌출부(30P)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30)이 제1 방향(X)으로 전진하여 케이블 수용 공간(100S) 내에 삽입된 때, 케이블 지지부(230)는 제2 리테이너 수용홈(145H) 내에 삽입되어 케이블 돌출부(30P)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체결됨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30)과 접촉 단자(24)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케이블(30)은 케이블 절연부(32) 및 케이블 절연부(32)로부터 노출되는 케이블 단자(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체결된 때, 상대 커넥터(20)의 접촉 단자(24)는 플렉시블 케이블(30)의 케이블 단자(34)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대 커넥터(20)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 등과 플렉시블 케이블(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리셉터클 커넥터 20: 상대 커넥터
22: 상대 하우징 24: 접촉 단자
26: 고정 금구 30: 플렉시블 케이블
30P: 케이블 돌출부 32: 케이블 절연부
34: 케이블 단자 100: 커넥터용 하우징
100C1: 제1 절개부 100C2: 제2 절개부
100S: 케이블 수용 공간 110: 기저부
112: 제1 걸림턱 110S: 단자 수용홈
115: 격벽부 120: 상판부
122: 후방 돌출부 122P: 제2 걸림턱
124: 보호 돌출부 126: 측방 가이드부
128: 하우징 체결 돌기 130: 레버부
130A: 제1 레버 바디부 130B: 제2 레버 바디부
130S: 레버 근원부 131: 레버 돌출부
132: 레버 암부 133: 레버 지지부
135: 레버 체결 돌기 138: 레버 규제부
139: 레버 해제부 139H: 후방 관통 홀
140: 전방 측벽 145: 후방 측벽
200: 리테이너 210: 가압부
220: 체결부 230: 케이블 지지부

Claims (11)

  1.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1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발출되는 커넥터용 하우징으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저부;
    상기 기저부와 대향하며, 상기 기저부와의 사이에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상판부; 및
    상기 기저부와 대향하며, 상기 상판부와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판부의 전방부와 연결되는 레버 근원부와, 상기 레버 근원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형의 제1 레버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판부의 높이 및 상기 레버 근원부의 높이는 서로 동일한, 커넥터용 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4 방향에서, 상기 상판부의 두께 및 상기 레버 근원부의 두께는 서로 동일한, 커넥터용 하우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 바디부는, 상기 레버 근원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레버 돌출부와, 상기 레버 근원부 및 상기 레버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 암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하우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4 방향에서, 상기 레버 근원부와 상기 레버 돌출부의 두께의 합은, 상기 레버 근원부 및 상기 레버 돌출부에 인접하는 상기 레버 암부의 두께와 동일한, 커넥터용 하우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근원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레버 돌출부가 돌출되는 높이는 0.5 mm 이하인, 커넥터용 하우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제1 레버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레버 체결 돌기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용 하우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와 상기 상판부 사이에,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제1 레버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레버 근원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벽부와 연결되는 레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용 하우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벽부와 연결되는 상판 지지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저부의 전방부와 상기 중벽부를 연결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용 하우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제1 레버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레버 근원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형의 제2 레버 바디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용 하우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제1 레버 바디부의 상면 및 상기 제2 레버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레버 바디부의 후방부와 상기 제2 레버 바디부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레버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용 하우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와 상기 상판부 사이에,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저부와 상기 상판부를 연결하는 중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제1 레버 바디부와 상기 제2 레버 바디부 사이에, 상기 레버 근원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벽부와 연결되는 레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용 하우징.
KR1020220162792A 2022-11-29 2022-11-29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 KR20240079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792A KR20240079668A (ko) 2022-11-29 2022-11-29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792A KR20240079668A (ko) 2022-11-29 2022-11-29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9668A true KR20240079668A (ko) 2024-06-05

Family

ID=9147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792A KR20240079668A (ko) 2022-11-29 2022-11-29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96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79146B (zh) 浮动连接器
CN2599805Y (zh) 线缆连接器组件
US727595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US7682162B2 (en) Low profile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cable
KR100321552B1 (ko) 카드커넥터조립체
US20060121782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grounding path
US20180118135A1 (en) Branch structure and wire harness
GB2325793A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10028563A1 (en) Safe, robust, compact connector
WO2008133890A1 (en) Floating connector
EP1235303A2 (en) A connector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832928B2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used in the same
CN103078209B (zh) 连接器
US20140357108A1 (en) Plu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65051B2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for easier insertion of a terminal into a housing
EP1215759B1 (en)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at wire member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US20070197070A1 (en) Connector
US1097184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240079668A (ko) 커넥터용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
US693916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6146175A (en) Board connectors having a low profile and which undergo a wiping effect when coupled
US20220336976A1 (en) Receptacle coupler for communication system
US11916326B2 (en)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set having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connector 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