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8740A -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8740A KR20240078740A KR1020220161197A KR20220161197A KR20240078740A KR 20240078740 A KR20240078740 A KR 20240078740A KR 1020220161197 A KR1020220161197 A KR 1020220161197A KR 20220161197 A KR20220161197 A KR 20220161197A KR 20240078740 A KR20240078740 A KR 202400787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duct
- cover
- bus
- coupled
- branc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버스바를 수용하는 버스덕트와, 상기 버스덕트의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버스바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분기하는 분기박스를 포함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버스덕트는, 다수의 상기 버스바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며, 각각 상기 버스바의 사이를 밀폐하는 격벽부를 가지는 제1서포트와 제2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형화가 가능한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대형 빌딩, IDC, 아파트에는 케이블을 대체하여 플러그 인 버스웨이(plug in busway)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인 버스웨이는 소용량 회로분기를 제공한다.
버스덕트에 대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의 공개특허 10-2021-0094415호(2021년 7월 29일 공개,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와, 일본공개특허 2020-018111호(2020년 1월 30일 공개, 버스덕트 분기장치) 등에 공개되어 있다.
위의 선행 특허들에는 전력 수요장비에 전력 공급을 용이하게 하는 분기박스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각 상별 단일 클립을 적용하고, 배선용 차단기(MCCB) 1차측에 케이블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1개의 회로분기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 2회로 분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분기박스에서 2회로 분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클립의 용량을 증대시켜 두 개의 차단기로 분할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박스 내부에 충분한 공간을 미리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분기박스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그리고 버스덕트는 다수의 버스바(busbar)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대용량의 전류가 각 버스바를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버스바간 간격을 유지하고, 절연하는 구조가 필요하며 따라서 버스덕트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대적으로 부피를 줄이면서도 절연거리를 확보하여 안정적인 절연 성능을 가지는 버스덕트를 포함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다회로 분기가 가능하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분기박스를 가지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검, 유지 보수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은, 다수의 버스바를 수용하는 버스덕트와, 상기 버스덕트의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버스바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분기하는 분기박스를 포함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버스덕트는, 다수의 상기 버스바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며, 각각 상기 버스바의 사이를 밀폐하는 격벽부를 가지는 제1서포트와 제2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서포트의 격벽부와 상기 제2서포트의 격벽부의 끝단 일부는 상호 중첩되어 절연 길이를 연장하는 단차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서포트와 제2서포트는 각각 다수가 상기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서포트의 측면은 상기 버스바를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다수 결합된 상기 제1서포트의 상기 측면을 덮으며, 다수의 노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버스바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덮개부와, 다수의 상기 노출구 중 일부를 덮는 노출구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분기박스는, 개폐 가능한 덮개를 포함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배면 통공을 통해 버스덕트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버스덕트의 버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의 클립과 케이블로 연결되는 차단기를 포함하되, 상기 클립부는 전력의 각 상마다 한 쌍의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도 한 쌍으로 구성되어 2회로 분기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통공을 통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상기 버스에 접촉되는 다수의 클립과,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클립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측면에 케이블이 관통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함체는, 상기 덮개와, 상기 차단기가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일부에서 상기 덮개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부분의 상기 본체 두께는 상기 덮개의 두께보다 얇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의 배면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버스덕트의 상면과 저면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체결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 돌출부에 결합된 결합부재가 버스덕트의 상면과 저면에 위치하는 걸림부에 걸려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스덕트의 하우징을 분할 구조로 제작하여 상호 결합하되, 결합부에서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단차부를 포함하여, 종래 구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분기 박스에서 2개의 차단기를 적용하여 2회로 분기가 가능하며, 전원 분기를 위한 클립을 각 상마다 복수로 적용하여 다회로 분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박스의 외형 및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분기박스의 외부에 전력 상태를 표시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전력 감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의 분리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버스덕트(200)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서포트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덕트의 분기박스의 열린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6은 버스덕트의 일부 결합된 분기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립부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버스덕트(200)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서포트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덕트의 분기박스의 열린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6은 버스덕트의 일부 결합된 분기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립부의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의 전력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버스덕트(200)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버스덕트(200)의 일측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은 분기박스(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버스덕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버스덕트(200)는 다수의 버스바(211, 212, 213, 214)를 포함하여 3상의 전력 및 접지를 제공할 수 있다. 버스바(211, 212, 213, 214)는 서로 평행하게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버스바(211,212,213,214)는 제1서포트(220)와 제2서포트(230)가 제한하는 공간 내에 위치한다.
제1서포트(220)와 제2서포트(230)는 결합부를 기준으로 대칭인 동일 형상의 구조물이며, 길이가 긴 버스덕트(200)의 외형을 이룸과 아울러 버스바(211,212,213,214)를 지지한다.
위의 예에서 제1서포트(220)와 제2서포트(230)는 부분품이며, 각각 길이 방향으로 다수가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버스바(211,212,213,214)들을 수용하고 지지한다.
제1서포트(220)는 측면이 개방된 개방부(223)를 가지며, 개방부(223)를 통해 노출된 버스바(211,212,213,214)에 전기적인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분기박스(100)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개방부(225)가 형성된 제1서포트(220)의 측면에는 다수의 제1서포트(220)의 측면을 덮는 덮개부(250)가 마련되어 있으며, 덮개부(250)에는 분기박스(100)와 버스바(211,212,213,214)의 연결을 위하여 버스바(211,212,213,214)를 노출시키는 노출구(251)를 가지고 있다.
노출구(251)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가 마련될 수 있으며, 분기박스(100)가 결합되지 않은 노출구(251)는 노출구 덮개부(240)가 결합되어, 버스바의 노출을 방지한다.
제1서포트(220)와 제2서포트(230)는 버스바(211,212,213,214)가 중앙에 배치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버스바(211,212,213,214)의 사이 절연을 위한 격벽부(221,231)를 각각 포함한다.
격벽부(221,231)의 끝단은 서로 접하게 되어 버스바(211,212,213,214)의 사이가 빈 공간에 의해 서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격벽부(221,231)의 끝단은 상호 상하로 중첩 배치되는 단차부(222,232)가 형성되어 있어, 격벽부(221,231)가 접하는 면의 면적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접하는 부분의 길이를 더 길게 만드는 효과를 나타낸다.
접촉된 부분의 길이 증가는 버스바(211,212,213,214) 사이의 절연 길이를 연장시키며, 따라서 소형화를 하더라도 버스바(211,212,213,214) 사이에 충분한 절연 길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분기박스(100)의 열린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버스덕트(200)의 일부에 결합된 분기박스(100)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기박스(100)는 버스덕트(200)에 결합되어 버스덕트(200)의 전력을 공급받아 분기한다.
분기박스(100)는 함체(110)와, 함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차단기(120)와, 상기 버스덕트(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연결부(130)와, 상기 함체(110)의 내측에서 연결부(130)에 연결되어 케이블이 결합되는 클립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110)는 본체(111)와 덮개(112)가 힌지 결합되어 일측으로 개폐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함체(110)는 금속 또는 수지재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1)와 덮개(112)는 링크(11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덮개(112)가 열린 상태로 쉽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링크(113)는 적어도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인 것으로 한다.
덮개(112)를 닫을 때는 링크(113)의 스토퍼를 조작하여 닫을 수 있다. 이러한 링크(113)는 덮개(112)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며 적당한 힘에 의해 닫힐 수 있는 구조이면 그 구체적인 구조에 무관하게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덮개(112)는 닫힌 상태에서 분기박스(100)의 전면을 이룬다. 이때 덮개(112)의 전면부에는 개폐 가능한 투명창(112b)을 부가하여, 차단기(120)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덮개(112) 전체를 열지 않고 투명창(112b)을 열어 차단기(12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투명창(112b)의 주변 덮개(112)의 전면에는 시각적 인디케이터(112c)가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112c)는 각기 색상이 다른 엘이디를 사용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12c)는 차단기(120)에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미터(150)를 설치하고, 그 미터에서 검출된 전력, 전압, 전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ON, OFF, 트립 등의 전력 상태 및 차단기 상태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쉽게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디케이터(112c)의 도체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터(150)와 인디케이터(112c)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하나의 개방면을 제외하고 다른 면은 막힌 격벽부(112d)를 적용하여 감전 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1)와 덮개(112)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중공 육면체 구조이며, 특히 본체(111)의 측면 두께가 덮개(112)의 측면 두께에 비하여 더 얇은 구조로 하되, 일부에서는 본체(111)의 측면 두께가 덮개(112)의 측면 두께에 비하여 더 두꺼운 구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체(111)에는 모서리부분을 포함한 일부에서 돌출부(114)가 형성되고, 반대로 덮개(112)는 돌출부(114)가 형성된 본체(111)와 밀폐되도록 오목부(115)가 형성된 구조로 한다.
이와 같이 본체(111)와 덮개(112)에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돌출부(114)와 오목부(115)를 두는 이유는 함체(110)의 측면부에서 공구를 넣어 본체(111)측과 덮개(112)측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또는 구조물)을 쉽게 체결하거나 반대로 체결을 해제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함체(110)의 형상을 변경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1)와 덮개(112)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부분은 외측으로 단턱부(111a, 112a)가 형성된 것으로 한다. 상기 단턱부(111a, 112a)는 본체(111)와 덮개(112)를 이루는 다른 면들에 비하여 더 두꺼운 부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1)의 단턱부(111a)와 덮개(112)의 단턱부(112a)는 함체(110)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접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단턱부(111a, 112a)를 파지하여 분기박스(100)를 버스덕트(200)에 설치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본체(111)의 배면 일부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에는 연결부(130) 및 클립부(140)의 결합체가 결합된다.
연결부(130)는 본체(111)의 배면에서 외측, 즉 버스덕트(200) 측으로 돌출된다.
도 7은 클립부(140)의 일부 구성도이다.
클립부(140)는 클립부 몸체(141)가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되며, 몸체(141)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클립(142)이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고정되는 버스덕트(200)의 버스바(211,212,213,214)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클립(142)은 3상 전력에 대하여 각 상에 2개씩으로 마련되는 제1클립(142a)과, 접지를 위한 제2클립(14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클립(142a)은 각 상에 대하여 2개씩 마련되어 있고, 차단기(120) 또한 2개가 마련되어 있어, 제1클립(142a)의 용량 증가 없이도 2회로 분기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지를 위한 제2클립(142b)은 두 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한 쌍을 이용하는 경우 50% 접지를 구현하고, 두 쌍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100% 접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립(142)의 보호 및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커버(143, 도 5 참고)를 적용한다.
커버(143)는 비전기 전도성 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측면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도면 미도시)는 클립(142)을 차단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며, 각 상의 일측 클립을 하나의 차단기(120)에 연결하고 다른측 클립을 다른 차단기(120)에 연결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차단기(120)는 차단기 베이스(16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차단기 베이스(160)는 상기 차단기(120)가 본체(111)의 안쪽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절곡된 구조(전면으로 일부 돌출된 구조)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120)와 클립부(14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을 통해 케이블의 연결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케이블을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기 베이스(160)에는 앞서 설명한 미터(150)가 함께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버스덕트(200)의 상부와 하부는 방열을 위해 돌출된 방열핀 또는 결합부(210)들이 돌출되어 있으며, 분기박스(100)는 결합부(210)에 걸려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체(111)의 배면에는 상부와 하부에서 체결 돌출부(116)가 돌출되어 있으며, 체결 돌출부(116)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17)를 사용하여 버스덕트(200)에 분기박스(100)를 결합할 수 있다.
버스덕트(200)에 분기박스(100)를 결합할 때, 연결부(130)가 결합된 반대 방향측의 결합부재(117)를 이용하여 분기박스(100) 일측을 버스덕트(200)에 먼저 고정한다.
그 다음, 위에서 결합된 결합부재(117)를 중심으로 분기박스(100)를 회전시켜 버스덕트(200)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130)가 버스덕트(200)의 버스바(211, 212, 213, 214)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 배치되고, 길이가 긴 버스바(211,212,213,214)에 쉽게 연결부(13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연결부(130)의 상부와 하부측의 결합부재(117)를 이용하여 버스덕트(200)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부(130)와 버스덕트(200)의 버스바(211,212,213,214)의 결합이 다른 부가적인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결합과정에서 실수로 분기박스(10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분기박스 110:함체
111:본체 112:덮개
120:차단기 130:연결부
140:클립부 200:버스덕트
211,212,213,214:버스바 220:제1서포트
230:제2서포트
111:본체 112:덮개
120:차단기 130:연결부
140:클립부 200:버스덕트
211,212,213,214:버스바 220:제1서포트
230:제2서포트
Claims (8)
- 다수의 버스바를 수용하는 버스덕트; 및
상기 버스덕트의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버스바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분기하는 분기박스를 포함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버스덕트는,
다수의 상기 버스바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며, 각각 상기 버스바의 사이를 밀폐하는 격벽부를 가지는 제1서포트와 제2서포트를 포함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트의 격벽부와 상기 제2서포트의 격벽부의 끝단 일부는 상호 중첩되어 절연 길이를 연장하는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트와 제2서포트는 각각 다수가 상기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서포트의 측면은 상기 버스바를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다수 결합된 상기 제1서포트의 상기 측면을 덮으며, 다수의 노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버스바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덮개부와,
다수의 상기 노출구 중 일부를 덮는 노출구 덮개부를 포함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박스는,
개폐 가능한 덮개를 포함하는 함체;
상기 함체의 배면 통공을 통해 버스덕트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버스덕트의 버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의 클립과 케이블로 연결되는 차단기를 포함하되,
상기 클립부는 전력의 각 상마다 다수의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도 다수로 구성되어 다회로 분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통공을 통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상기 버스에 접촉되는 다수의 클립;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클립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측면에 케이블이 관통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덮개와, 상기 차단기가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일부에서 상기 덮개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부분의 상기 본체 두께는 상기 덮개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버스덕트의 상면과 저면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체결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 돌출부에 결합된 결합부재가 버스덕트의 상면과 저면에 위치하는 걸림부에 걸려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1197A KR20240078740A (ko) | 2022-11-28 | 2022-11-28 |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1197A KR20240078740A (ko) | 2022-11-28 | 2022-11-28 |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8740A true KR20240078740A (ko) | 2024-06-04 |
Family
ID=9146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61197A KR20240078740A (ko) | 2022-11-28 | 2022-11-28 |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78740A (ko) |
-
2022
- 2022-11-28 KR KR1020220161197A patent/KR20240078740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62525A (en) | Electrical wiring system | |
JP5977499B2 (ja) | バスバーからの熱伝達が高められた電気デバイス、バスバーからの熱伝達が高められた回路遮断器アセンブリ、及び、その回路遮断器アセンブリを組み上げるための方法 | |
US4931898A (en) | Loadcenter busbar retention | |
CA2031083C (en)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exhaust barrier | |
EP0325370B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consumer units | |
US6920038B2 (en) | Terminal block and renovation load center employing the same | |
EP0788205A2 (e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distribution equipment | |
US8017881B2 (en) | Side entry circuit breaker | |
CA2935842C (en) | Doorless modular panelboard | |
KR20240078740A (ko) | 다분기 버스덕트 시스템 | |
US4931903A (en) | Loadcenter mounting rail adapter | |
US4931902A (en) | Bushbar barrier protective members | |
GB2310768A (en) | Distribution equipment for a wall mountable consumer unit | |
KR20240078739A (ko) | 버스덕트의 분기박스 | |
AU677737B2 (en) | Multisocket module for socket outlets | |
US2997628A (en) | Sequence bus panelboard | |
JP2004064868A (ja) | 分電盤 | |
KR102577302B1 (ko) | 분전반용 단락 방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 |
GB2233505A (en) | Improvements in consumer units | |
JP2024138747A (ja) | バスダクト分岐装置及び電力分岐装置 | |
CN214849565U (zh) | 出线盒及抽屉式配电柜 | |
JP3243349B2 (ja) | 配線器具 | |
KR890004343B1 (ko) |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 |
KR102630482B1 (ko) | 전기 접속 커넥터 | |
JP6849219B2 (ja) | 分電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