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8150A - Solenoid valve - Google Patents

Solenoid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8150A
KR20240078150A KR1020220160808A KR20220160808A KR20240078150A KR 20240078150 A KR20240078150 A KR 20240078150A KR 1020220160808 A KR1020220160808 A KR 1020220160808A KR 20220160808 A KR20220160808 A KR 20220160808A KR 20240078150 A KR20240078150 A KR 20240078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lunger
seat portion
solenoid valve
movab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7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81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3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for rotating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밸브유로가 마련된 밸브시트부, 밸브유로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플런저, 밸브유로를 마주하는 플런저의 단부에 마련되며 플런저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재, 및 밸브부재의 마모량에 기초하여 플런저에 대한 밸브시트부의 상대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enoid valve, which includes a valve seat portion provided with a valve passage, a plunger provided to enable elastic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valve passage, and a plung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plunger facing the valve passage. By comprising a valve membe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valve passage in response to movement, and a position control unit that selectively adjust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alve se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based on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stability and reliability are improved. Beneficial effects can be achieved.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Solenoid valve{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enoid valve, and to a solenoid valve that can improve stability and reliability.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Solenoid valves can be used to regulate the flow of fluid or control pressure.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자동차의 엔진을 포함하는 파워트레인(power train) 등에 설치되어 연료, 오일,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수소 공급 라인에 장착되어 수소의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 solenoid valve can be installed in a power train including a car engine to regulate the flow of fluids such as fuel, oil, coolant, etc. or to control pressure, and can be used in hydrogen supply lines. It can be installed and play a role in controlling the supply of hydrogen.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에 의해 직선 이동하며 밸브시트부에 형성된 밸브유로를 개폐하는 플런저, 플런저의 직선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 및 밸브시트부를 마주하는 플런저의 단부에 마련되어 밸브유로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밸브부재(업소버)를 포함한다.In general, a solenoid valve includes a solenoid that provides driving force, a plunger that moves linearly by the solenoid and opens and closes the valve passage formed in the valve seat portion, a spring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inear movement of the plunger, and a valve facing the valve seat portion. It includes a valve member (absorb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plunger and elastically adhered to the valve passage.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밀 성능이 보장되지 않으면, 유체의 흐름을 정확하게 단속(on/off)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량 제어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밀성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irtightness of the solenoid valve is not guaranteed, not only is it difficult to accurately control (on/off) the flow of fluid, but the accuracy of flow control is reduced, and safety accidents may occur, so the airtightness of the solenoid valve is It must be possible to secure it.

특히, 높은 기밀성이 요구되는 수소 공급 라인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수소 리크가 발생하면, 부품 파손, 폭발, 화재 등의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밀성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In particular, if hydrogen leaks from a solenoid valve installed in a hydrogen supply line that requires high airtightness, safety problems such as component damage, explosion, or fire may occur, so the airtightness of the solenoid valve must be secured.

그런데, 기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반복적인 작동(밸브부재와 밸브시트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밸브부재가 마모되면, 플런저가 밸브유로를 차단하는 위치로 이동함에도 불구하고 밸브부재와 밸브유로의 사이에 간극에 발생함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밀 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정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when the valve member is worn due to repetitiv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repeated contact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seat portion), there is a gap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passage even though the plunger moves to a position that blocks the valve passage. As the gap occurs,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airtight performance of the solenoid valve, which reduces stability and reliability.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밀성을 보장하고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nsure airtightness and improve safety and reliability of solenoid valves, but this is still insufficient and development is requir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enoid valve that can improve stability and reliability.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반복적인 작동(밸브부재와 밸브시트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밸브부재가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nsure the airtightness of the solenoid valve even if the valve member is worn due to repetitiv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repeated contact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seat portion).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부재의 마모량에 따른 플런저의 이동에 기초하여 플런저에 대한 밸브시트부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bove all, the purpo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valve se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plung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부재의 수명을 연장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dditional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im to extend the life of the valve member and reduce costs.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lso includes purposes and effects that can be understood from the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r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밸브는, 밸브유로가 마련된 밸브시트부, 밸브유로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플런저, 밸브유로를 마주하는 플런저의 단부에 마련되며 플런저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재, 및 밸브부재의 마모량에 기초하여 플런저에 대한 밸브시트부의 상대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noid valve includes a valve seat portion provided with a valve passage, a plunger provided to be elastically movable in a straight lin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valve passage. , a valve memb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plunger facing the valve passage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passage in response to movement of the plunger, and selectivel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alve se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based on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Includes a position control unit.

이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밀성을 보장하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This is to ensure the airtightness of the solenoid valve and improve stability and reliability.

즉, 기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반복적인 작동(밸브부재와 밸브시트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밸브부재가 마모되면, 플런저가 밸브유로를 차단하는 위치로 이동함에도 불구하고 밸브부재와 밸브유로의 사이에 간극에 발생함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밀 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정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when the valve member is worn due to repetitiv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repeated contact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seat portion), there is a gap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passage even though the plunger moves to a position that blocks the valve passage. As the gap occurs,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airtight performance of the solenoid valve, which reduces stability and reliability.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부재의 마모량에 기초하여 플런저에 대한 밸브시트부의 상대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기밀성을 보장하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랄 얻을 수 있다.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advantageous effect of ensuring airtightness and improv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alve se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based on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부재의 마모량에 기초하여 플런저에 대한 밸브시트부의 상대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반복적인 작동(밸브부재와 밸브시트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밸브부재에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밸브부재와 밸브유로의 사이에 간극에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밀성을 보장하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bove all,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petitiv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repeated contact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seat portion)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alve se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based on the wear amount of the valve member. Even if wear occurs on the valve member, the gap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passage can be suppressed, thereby ensuring the airtightness of the solenoid valve and improv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시트부는, 고정시트부, 및 밸브유로를 정의하며 밸브부재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트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동시트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조절부는 플런저에 대한 가동시트부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seat portion may include a fixed seat portion and a movable seat portion that defines a valve passage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xed seat portion so as to be movable in directions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valve member, The position adjusting unit can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ovable seat part with respect to the plunger.

고정시트부에 대한 가동시트부의 직선 이동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linear movement method of the movable seat part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ar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밸브는, 고정시트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부, 및 제1나사산부와 치합(engage) 가능하게 가동시트부의 외주면 형성되는 제2나사산부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시트부에 대한 가동시트부에 회전에 대응하여 가동시트부는 고정시트부에 대해 직선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noid valve may include a first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seat portion, and a second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able seat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first threaded por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ovable seat part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art, the movable seat part can move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art.

위치조절부는 플런저에 대한 밸브시트부의 상대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selectivel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alve se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절부는 밸브부재의 마모량에 따른 플런저의 이동에 기초하여 밸브시트부를 밸브부재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valve seat portion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valve member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plung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위치조절부는 플런저에 대한 가동시트부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ovable se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절부는, 플런저에 연결되며 플런저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부재에 직선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가동시트부는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응하여 플런저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linear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plunger and moving linearly together with the plunger, and a rotating member rotating in response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member,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It can move in a direction toward or away from the plunger in response to its rot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절부는 회전부재의 회전을 고정시트부에 대한 가동시트부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power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into a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seat unit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unit.

동력전환부는 회전부재의 회전을 고정시트부에 대한 가동시트부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can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that can conver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into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seat part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a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환부는,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부재, 및 웜기어부재와 치합(engage) 가능하게 가동시트부에 마련되며 웜기어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웜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version unit may include a worm gear member that rotates by a rotating member, and a worm wheel member that is provided on a movable seat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worm gear member and rotates by the worm gear member. there i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웜기어부재는 회전부재와 동축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m gear member may be provided coaxially with the rotating me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웜휠부재는 가동시트부와 함께 단일체(unitary)를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m wheel member may be provided to form a unitary unit with the movable seat por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웜휠부재와 가동시트부를 단일체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u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advantageous effects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design freedom by configuring the worm wheel member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as a single bod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밸브는, 고정시트부와 가동시트부의 사이 간극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noid valve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that seals the gap between the fixed seat portion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정시트부와 가동시트부의 사이에 실링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시트부와 가동시트부의 사이 간극을 통해 유체(예를 들어, 수소)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u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leakage of fluid (e.g., hydrogen)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xed seat portion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by providing a sealing member between the fixed seat portion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You can achieve beneficial effec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can be obtain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플런저의 이동 스트로크에 비례하여 밸브부재와 밸브시트부의 사이 간극을 일정하게 개방하고, 비례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antageous effect of consistently opening the gap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seat portion in proportion to the moving stroke of the plunger and improving proportional control accuracy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부재의 소형화에 기여하고, 플런저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miniaturization of the valve member and ensure the performance of the plung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밸브시트부 및 밸브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위치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valve seat portion and valve member.
Figure 3 is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optionally us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replac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the meaning of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by considering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can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is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cases where the other components ar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m.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refers not only to cases wher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o one This also includes cases where another component described above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top (above) or bottom (bottom)", it may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는, 밸브유로(121)가 마련된 밸브시트부(100), 밸브유로(121)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플런저(200), 밸브유로(121)를 마주하는 플런저(200)의 단부에 마련되며 플런저(200)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유로(1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재(300), 및 밸브부재(300)의 마모량에 기초하여 플런저(200)에 대한 밸브시트부(100)의 상대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위치조절부(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solenoid valv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valve seat portion 100, where the valve passage 121 is provided, and the valve passage 121. A plunger 200 is provided that can move linearly sexually,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lunger 200 facing the valve passage 121,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valve passage 121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00. It includes a valve member 300 and a position adjusting unit 400 that selectively adjust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alve seat portion 100 with respect to the plunger 200 based on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300.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다양한 대상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밸브(10)가 장착되는 대상체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reference, the solenoid valv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various objects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or controlling pressure,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on which the solenoid valve 10 is moun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is.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수소 공급 라인에 장착되어 수소의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olenoid valv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a hydrogen supply line to control the supply of hydrogen.

밸브시트부(100)는 밸브하우징(미도시)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밸브시트부(100)에는 유체가 출입하는 밸브유로(121)가 형성된다.The valve seat portion 1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alve housing (not shown), and a valve passage 121 through which fluid enters and exits is formed in the valve seat portion 100.

밸브하우징은 밸브시트부(100)를 갖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밸브하우징의 구조 및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alve housing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having a valve seat portion 1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valve housing.

일 예로, 밸브하우징의 하단부에는 밸브시트부(100)가 마련될 수 있고, 밸브시트부(10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도 1 기준)을 따라 밸브시트부(100)를 관통하는 대략 원형홀 형태의 밸브유로(121)가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a valve seat portion 10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housing, and an approximately circular shape penetrating the valve seat portion 10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FIG. 1) may be provid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valve seat portion 100. A hole-shaped valve passage 121 may be formed.

밸브유로(121)의 사이즈(예를 들어, 직경)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밸브유로(121)의 사이즈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e.g., diameter) and structure of the valve passage 121 may vary depending on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valve passage 121. That is not the case.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밸브하우징의 하단부에는 밸브시트부(100)가 마련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하우징의 측단부, 상단부 또는 여타 다른 위치에 밸브시트부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mentioned and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seat portion 1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housing,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end, upper end, or other other parts of the valve housing are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valve seat portion at the location.

밸브시트부(100)는 밸브유로(121)를 갖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밸브시트부(100)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alve seat portion 1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having a valve passage 121,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tructure of the valve seat portion 1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시트부(100)는, 고정시트부(110), 및 밸브유로(121)를 정의하며 밸브부재(30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트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동시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seat portion 100 defines a fixed seat portion 110 and a valve passage 121 and is a fixed seat mov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valve member 300. It may include a movable seat part 120 accommodated inside the part 110.

일 예로, 고정시트부(110)는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xed seat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rical shape.

가동시트부(120)는 고정시트부(11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가동시트부(120)의 내부를 따라서는 유체의 출입을 위한 대략 직선 형태의 밸브유로(121)가 형성될 수 있다.The movable seat portion 120 can be accommodated within the fixed seat portion 110 so as to be capable of linear movement, and along the interior of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there is a valve passage 121 in the form of an approximately straight line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fluid. can be formed.

고정시트부(110)에 대한 가동시트부(120)의 직선 이동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linear movement method of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ortion 110 may vary depending on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밸브(10)는, 고정시트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부(112), 및 제1나사산부(112)와 치합(engage) 가능하게 가동시트부(120)의 외주면 형성되는 제2나사산부(122)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시트부(110)에 대한 가동시트부(120)에 회전에 대응하여 가동시트부(120)는 고정시트부(110)에 대해 직선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noid valve 10 is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first threaded portion 11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seat portion 110 and the first threaded portion 112. It may include a second threaded portion 12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is fixed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ortion 110. It can move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sheet portion 110.

일 예로, 제1나사산부(112)는 암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나사산부(122)는 수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시트부(110)에 대해 가동시트부(120)를 회전(시계 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 방향)시킴으로써, 고정시트부(110)에 대해 가동시트부(120)가 직선 이동(도 2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반면, 고정시트부(110)에 대한 가동시트부(12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제1나사산부(112)와 제2나사산부(122)의 간섭에 의해 고정시트부(110)에 가동시트부(120)의 배치 상태가 유지(구속)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thread portion 11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emale thread, and the second thread portion 12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ale thread,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may be connected to the fixed seat portion 110. By rotating (clockwise rotation or counterclockwise), the movable seat part 120 can move in a straight line (moving up and down based on FIG. 2)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art 1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 of the movable seat part 120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art 110 is stopped, the fixed seat part 110 is movable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threaded part 112 and the second screwed part 122.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eat portion 120 may be maintained (restric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나사산부를 수나사 형태로 형성하고, 제2나사산부를 암나사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irst threaded portion in the form of a male thread and form the second threaded portion in the form of a female thread.

플런저(200)는 밸브유로(121)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The plunger 200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movable in a straight line in a direction toward and away from the valve passage 121.

보다 구체적으로, 플런저(200)는 솔레노이드(210)의 구동력에 의해 밸브유로(121)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된다.More specifically, the plunger 200 is provided to move linearly in a direction (up and down with respect to FIG. 1)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valve passage 121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210.

솔레노이드(210)는 플런저(200)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21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olenoid 2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providing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plunger 2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solenoid 210.

일 예로, 솔레노이드(210)는, 플런저(2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보빈(미도시), 보빈에 권선되는 코일(미도시), 및 보빈과 플런저(200) 사이에 배치되는 요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olenoid 210 includes a bobbin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valve housing to surround the plunger 200, a coil (not shown) wound on the bobbin, and a space between the bobbin and the plunger 200. It may include a deployed yoke (not shown).

참고로, 솔레노이드(210)에 대한 플런저(200)의 이동(이동 스트로크)은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으며, 플런저(200)의 이동을 제어하여 밸브부재(300)에 의한 밸브유로(121)의 개폐 정도(개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 및 압력을 비례적으로 제어(비례제어)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movement (moving stroke) of the plunger 200 relative to the solenoid 210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coil, and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00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00 by the valve member 300.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pening degree) of the valve passage 121,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olenoid valve 10 can be proportionally controlled (proportional control).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상기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가지는 공지된 기술내용의 보빈과 플런저(200)를 포함한 구성을 그 실시예로 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olenoid valv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own bobbin and plunger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플런저(200)의 탄성적인 직선 이동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lastic linear movement of the plunger 20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밸브(10)는, 플런저(200)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런저(200)는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유로(121)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noid valve 10 may include a spring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00, and the plunger 200 moves through the valve flow path ( 121) can move elastically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or away from it.

일 예로, 밸브유로(121)를 마주하는 플런저(200)의 단부(도 1 기준으로 하단부)에는 플런저(200)보다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플랜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플랜지부와 솔레노이드(210)의 사이에는 플런저(200)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As an example, a flange portion (not shown)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plunger 200 may be provided at the end (lower end in Figure 1) of the plunger 200 facing the valve passage 121, and the flange portion and A spring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0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olenoids 210.

스프링부재로서는 플런저(200)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통상의 스프링(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프링부재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spring member, a normal spring (for example, a coil spring) that can elasticall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00 can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spring member. .

일 예로, 스프링부재는 플런저(200)가 밸브유로(121)에 접근되는 방향(밸브부재가 밸브유로를 차단하는 방향)(도 1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pring member may provide elastic force so that the plunger 200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valve passage 121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member blocks the valve passage)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1).

밸브부재(300)는 밸브유로(121)를 마주하는 플런저(200)의 단부에 마련되며, 플런저(200)의 이동에 대응하여 밸브유로(1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된다.The valve member 30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lunger 200 facing the valve passage 121, and is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valve passage 121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00.

일 예로, 밸브부재(300)는 플런저(200)의 단부에 마련된 수용부(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으며, 플런저(200)가 상부 방향(도 1 기준)(밸브유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 플런저(200)와 함께 밸브부재(300)가 상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밸브유로(121)가 개방될 수 있다. 반면, 플런저(20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플런저(200)와 함께 밸브부재(300)가 하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밸브유로(121)가 차단(폐쇄)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valve member 300 may be accommodated in a receiving portion (not shown) provided at the end of the plunger 200, and the plunger 200 may be moved upward (based on FIG. 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alve passage). When moving linearly, the valve member 300 along with the plunger 200 moves linearly upward, thereby opening the valve passage 121.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nger 200 moves downward, the valve member 300 moves straight downward together with the plunger 200, thereby blocking (closing) the valve passage 121.

밸브부재(300)는 밸브유로(121)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밸브부재(300)의 구조 및 재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alve member 300 may be formed of various structures and material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passage 121,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the valve member 300.

일 예로, 밸브부재(300)는 대략 원통(또는 원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밸브유로(121)에 탄성적으로 밀착 가능한 탄성소재(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valve member 300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disk) shape an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e.g., rubber or silicone material) that can elastically adhere to the valve passage 121. there is.

위치조절부(400)는 밸브부재(300)의 마모량에 기초하여 플런저(200)에 대한 밸브시트부(100)의 상대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마련된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400 is provided to selectively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alve seat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plunger 200 based on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300.

이는,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반복적인 작동(밸브부재와 밸브시트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밸브부재(300)가 마모되면, 플런저(200)가 밸브유로(121)를 차단하는 위치로 이동(하강)함에도 불구하고 밸브부재(300)가 밸브유로(121)에 밀착되지 못함(밸브부재와 밸브유로의 사이에 간극 발생)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0)의 기밀 성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부재(300)의 마모량에 기초하여 플런저(200)에 대한 밸브시트부(100)의 상대 위치(예를 들어,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반복적인 작동(밸브부재와 밸브시트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밸브부재(300)에 마모가 발생하더라도(예를 들어, 마모에 의해 밸브부재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밸브부재(300)를 밸브유로(121)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밸브부재(300)와 밸브유로(121)의 사이에 간극에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기밀성을 보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s means that when the valve member 300 is worn due to repeated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0 (repeated contact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seat portion), the plunger 200 moves to a position that blocks the valve passage 121 (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airtight performance of the solenoid valve 10 because the valve member 300 does no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passage 121 (a gap occurs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passage) despite being lower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noid is operated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e.g., height) of the valve seat portion 100 with respect to the plunger 200 based on the wear amount of the valve member 300. Even if wear occurs on the valve member 300 due to repetitive operation of the valve 10 (repeated contact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seat portion) (for exampl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valve member becomes thinner due to wear), the valve Since the member 3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passage 121, the advantageous effect of suppressing the gap between the valve member 300 and the valve passage 121 and ensuring airtightness can be obtained.

위치조절부(400)는 플런저(200)에 대한 밸브시트부(100)의 상대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위치조절부(400)의 구조 및 작동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4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selectivel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alve seat portion 100 with respect to the plunger 200,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ermined by the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00. This is not limited or limi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절부(400)는 밸브부재(300)의 마모량에 따른 플런저(200)의 이동에 기초하여 밸브시트부(100)를 밸브부재(30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00 approaches and separates the valve seat portion 100 from the valve member 300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00 according to the wear amount of the valve member 300. It can be configured to move in the desired direction.

일 예로, 위치조절부(400)는 밸브부재(300)의 마모량에 따른 플런저(200)의 이동에 기초하여 플런저(200)에 대한 가동시트부(12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00 may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ovable seat part 120 with respect to the plunger 200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00 according to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300.

위치조절부(400)는 플런저(200)에 대한 가동시트부(12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4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ovable seat unit 120 with respect to the plunger 2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절부(400)는, 플런저(200)에 연결되며 플런저(200)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410), 직선이동부재(410)에 직선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420), 회전부재(420)의 회전을 고정시트부(110)에 대한 가동시트부(120)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plunger 200 and moves linearly with the plunger 200, and the linear moving member 410 moves linearly with the linear moving member 410. It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420 that rotates correspondingly, and a power conversion unit 430 that convert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420 into a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ortion 110.

직선이동부재(410)는 플런저(200)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플런저(200)가 솔레노이드(210)에 의해 직선 이동(도 2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200)와 함께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직선이동부재(410)로서는 통상의 리니어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The linear moving member 41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lunger 200 and moves linearly together with the plunger 200 as the plunger 200 moves linearly (up and down based on FIG. 2) by the solenoid 210. It is configured to do so. For example, a typical linear gear may be used as the linear moving member 410.

회전부재(420)로서는 직선이동부재(410)에 직선 이동에 기초하여 회전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420)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As the rotating member 420, various members that can rotate based on linear movement in the linear moving member 410 can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restric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rotating member 420.

일 예로, 회전부재(420)로서는 직선이동부재(410)(예를 들어, 리니어기어)에 치합 가능한 통상의 피니언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기어를 조합한 기어박스를 이용하여 회전부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s the rotating member 420, a normal pinion gear that can mesh with the linear moving member 410 (for example, a linear gear) may be u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a rotating member using a gearbox combining a plurality of gears.

동력전환부(430)는 회전부재(420)의 회전을 고정시트부(110)에 대한 가동시트부(120)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도록 마련된다.The power conversion unit 430 is provided to conver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420 into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seat unit 120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unit 110.

동력전환부(430)는 회전부재(420)의 회전을 고정시트부(110)에 대한 가동시트부(120)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동력전환부(430)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4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that can conver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420 into a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seat unit 120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unit 110, and the power conversion unit 43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structur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환부(430)는, 회전부재(420)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부재(432), 및 웜기어부재(432)와 치합(engage) 가능하게 가동시트부(120)에 마련되며 웜기어부재(432)에 의해 회전하는 웜휠부재(434)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version unit 430 is engaged with the worm gear member 432 and the worm gear member 432, which are rotated by the rotating member 420. It may include a worm wheel member 434 that is provided on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and rotates by the worm gear member 432.

일 예로, 웜기어부재(432)는 회전부재(420)와 동축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420)가 회전함과 동시에 웜기어부재(432)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다르게는 회전부재와 웜기어부재의 사이에 별도의 동력전달기어를 마련하고 회전부재의 회전력이 동력전달기어를 거쳐 웜기어부재에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n example, the worm gear member 432 may be provided coaxially with the rotating member 420, and the worm gear member 432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member 420 at the same time.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parate power transmission gear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worm gear member and configur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to be transmitted to the worm gear member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gear.

바람직하게, 웜휠부재(434)는 가동시트부(120)와 함께 단일체(unitary)를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다.Preferably, the worm wheel member 434 may be provided to form a unitary unit with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일 예로, 웜휠부재(434)와 가동시트부(120)는 기계 가공(예를 들어, 절삭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orm wheel member 434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through machining (eg, cutt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웜휠부재를 가동시트부와 별도로 제작한 후, 가동시트부에 부착(또는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웜휠부재와 가동시트부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the worm wheel member separately from the movable seat portion and then attach it to (or combine with) the movable seat portion.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worm wheel member and the movable seat part integrally by injection mold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웜휠부재(434)와 가동시트부(120)를 단일체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u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advantageous effects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design freedom by configuring the worm wheel member 434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as a single body. You ca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밸브(10)는, 고정시트부(110)와 가동시트부(120)의 사이 간극을 실링하는 실링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noid valve 10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140 that seals the gap between the fixed seat portion 110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실링부재(140)는 고정시트부(110)와 가동시트부(120)의 사이 간극을 실링하도록 마련되며, 실링부재(140)의 구조 및 재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aling member 140 is provided to seal the gap between the fixed seat portion 110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the sealing member 140.

일 예로, 실링부재(140)는 대략 링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고정시트부(110)의 내주면과 가동시트부(120)의 외주면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140)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통상의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시트부(110)와 가동시트부(120)의 사이에는 2개의 실링부재(140)가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aling member 140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ring shape and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seat portion 1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and the sealing member 140 may be made of rubber, silicone, etc. , can be formed of common elastic materials such as urethane. For example, two sealing members 140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between the fixed seat portion 110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정시트부(110)와 가동시트부(120)의 사이에 실링부재(14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시트부(110)와 가동시트부(120)의 사이 간극을 통해 유체(예를 들어, 수소)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u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ling member 140 between the fixed seat part 110 and the movable seat part 120, thereby sealing the fixed seat part 110 and the movable seat part 120. The advantageous effect of minimizing leakage of fluid (eg hydrogen) through the gap can be achieved.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밸브부재(300)는 밸브부재(300)의 마모량에 구애받지 않고 밸브유로(121)를 차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the valve member 300 can stably maintain the valve passage 121 in a blocked stat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300.

즉, 도 1을 참조하면, 밸브유로(121)의 닫힘 상태는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부재(300)가 밸브유로(121)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 유지될 수 있다. 참고로,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은 밸브부재(300)의 초기 두께(T1)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1, the closed state of the valve passage 121 can be maintained by the valve member 300 being elastically adhered to the valve passage 12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ember. For referenc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ember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initial thickness (T1) of the valve member 300.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반복적인 작동(밸브부재와 밸브시트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밸브부재(300)가 마모되면, 다시 말해서, 밸브부재(300)의 마모에 의해 밸브부재(300)의 두께(T2)가 감소(T2>T1)하면, 밸브부재(300)의 마모량(ΔT=T2-T1) 만큼 플런저(200)가 추가로 하강(밸브유로(121)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4, when the valve member 300 is worn due to repetitiv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0 (repeated contact between the valve member and the valve seat portion), in other words, the wear of the valve member 300 When the thickness T2 of the valve member 300 decreases (T2>T1), the plunger 200 is additionally lowered (in the valve passage 121) by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300 (ΔT=T2-T1). moves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이와 같이, 플런저(200)가 하강하면, 직선이동부재(410)가 플런저(200)와 함께 직선 이동(하강)함과 동시에 회전부재(420)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부재(4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420)에 치합된 웜기어부재(432) 및 웜휠부재(434)가 회전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plunger 200 descends, the linear moving member 410 moves (descends) in a straight line together with the plunger 200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ng member 420 rotates,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420 As a result, the worm gear member 432 and the worm wheel member 434 engaged with the rotating member 420 rotate.

웜휠부재(434)의 회전에 의해 가동시트부(120)는 고정시트부(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가동시트부(120)의 회전에 의해 가동시트부(120)가 밸브부재(300)의 마모량(ΔT) 만큼 상승(밸브부재(300)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동시트부(120)는 밸브부재(300)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시트부(120)가 밸브부재(300)에 밀착된 상태에서, 밸브부재(300)에는 스프링부재에 의한 초기 탄성력(밸브부재가 마모되기 전에 밸브부재에 인가되는 초기 탄성력)에 대응하는 탄성력이 인가될 수 있다.By rotation of the worm wheel member 434,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ortion 110, and by rotation of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valve member 300. ) by increasing the amount of wear (ΔT) (moving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valve member 300),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member 300. For example, when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member 300, the valve member 300 is subject to an initial elastic force (initial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valve member before the valve member is worn) caused by the spring member. A corresponding elastic force may be appli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부재(300)의 마모량에 기초하여 플런저(200)(밸브부재)에 대한 밸브시트부(100)의 상대 위치(예를 들어,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반복적인 작동에 의해 밸브부재(300)에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밸브부재(300)의 마모량에 구애받지 않고 밸브부재(300)를 밸브유로(121)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밸브부재(300)와 밸브유로(121)의 사이에 간극에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기밀성을 보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u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adjusts the relative position (e.g., height) of the valve seat portion 100 with respect to the plunger 200 (valve member) based on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300. By doing so, even if wear occurs on the valve member 300 due to repeated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0, the valve member 300 is mounted in the valve passage 121 regardless of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300. Since they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the advantageous effect of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valve member 300 and the valve passage 121 and ensuring airtightness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부재(300)의 마모량에 따른 플런저(200)의 이동에 연계하여 가동시트부(120)가 자동적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밸브부재(300)에 인가되는 탄성력(스프링부재에 의한 탄성력)을 균일하게 유지(예를 들어, 초기 세팅값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밸브부재(300)에 의한 기밀성을 확보하면서 밸브부재(300)에 과도한 탄성력이 인가됨에 따른 밸브부재(300)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고, 밸브부재(300)의 수명을 보다 연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vable seat portion 120 to be automatically raised and lower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00 according to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300, thereby reducing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valve member 300. Since (elastic force due to the spring member) can be maintained uniformly (e.g., maintained at the initial setting value), airtightness by the valve member 300 is secured while excessiv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valve member 300. Wear of the member 300 can be suppressed, and the beneficial effect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valve member 300 can be obtained.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밸브부재(300)의 마모량에 기초하여 위치조절부(400)가 플런저(200)에 대해 밸브시트부(100)를 이동시키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절부가 밸브부재의 마모량에 기초하여 밸브시트부에 대해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an example is given in which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00 moves the valve seat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plunger 200 based on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3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for the position control unit to move the plunger with respect to the valve seat unit based on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또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치조절부(400)가 직선이동부재(410), 회전부재(420) 및 동력전환부(430)를 모두 포함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동력전환부를 배제하고, 직선이동부재의 직선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매개로 가동시트부가 직접 승강(밸브부재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가동시트부의 외면에 회전부재와 치합 가능한 랙기어부를 마련하고, 직선이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의해 가동시트부가 승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linear moving member 410, the rotating member 420, and the power conversion unit 430 are all inclu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power conversion unit is excluded, and the movable seat part is directly raised and lowered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valve member) via a rotating member that rotates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linear moving member.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it.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rack gear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a rotating memb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seat portion and configure the movable seat portion to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rotating member rotated by the linear moving member.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focuses on the example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You will see that various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xample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se variations and differences related to applic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 솔레노이드 밸브
100 : 밸브시트부
110 : 고정시트부
112 : 제1나사산부
120 : 가동시트부
140 : 실링부재
121 : 밸브유로
122 : 제2나사산부
200 : 플런저
210 : 솔레노이드
300 : 밸브부재
400 : 위치조절부
410 : 직선이동부재
420 : 회전부재
430 : 동력전환부
432 : 웜기어부재
434 : 웜휠부재
10: Solenoid valve
100: Valve seat part
110: Fixed seat part
112: first threaded part
120: Movable seat part
140: Sealing member
121: Valve passage
122: Second screw thread
200: plunger
210: solenoid
300: Valve member
400: Position control unit
410: Straight moving member
420: Rotating member
430: Power conversion unit
432: Worm gear member
434: Worm wheel member

Claims (10)

밸브유로가 마련된 밸브시트부;
상기 밸브유로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플런저;
상기 밸브유로를 마주하는 상기 플런저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의 마모량에 기초하여 상기 플런저에 대한 상기 밸브시트부의 상대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위치조절부;
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A valve seat portion provided with a valve passage;
a plunger provided to enable elastic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valve passage;
a valve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plunger facing the valve passage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passage in response to movement of the plunger; and
a position control unit that selectively adjust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alve se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based on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A solenoid valve contain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밸브부재의 마모량에 따른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시트부를 상기 밸브부재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s a solenoid valve that moves the valve seat uni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valve member based on movement of the plung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wear of the valve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부는,
고정시트부; 및
상기 밸브유로를 정의하며, 상기 밸브부재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시트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동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플런저에 대한 상기 가동시트부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valve seat part,
Fixed seat part; and
A movable seat part that defines the valve passage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xed seat part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valve member,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s a solenoid valve that adjust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ovable se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트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부; 및
상기 제1나사산부와 치합(engage) 가능하게 상기 가동시트부의 외주면 형성되는 제2나사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시트부에 대한 상기 가동시트부에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시트부는 상기 고정시트부에 대해 직선 이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3,
A first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seat portion; and
It includes a second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able seat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first threaded portion,
A solenoid valve in which the movable seat part moves linearly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art based on rotation of the movable seat part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며, 상기 플런저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에 직선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시트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플런저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position control unit,
a linear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plunger and moving linearly together with the plunger; and
It includes a rotating member that rotates in response to linear movement of the linear moving member,
The movable seat portion is a solenoid valve that moves in a direction toward and away from the plunger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상기 고정시트부에 대한 상기 가동시트부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clause 5,
The position control unit,
A solenoid valve including a power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into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seat unit with respect to the fixed seat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부재; 및
상기 웜기어부재와 치합(engage) 가능하게 상기 가동시트부에 마련되며, 상기 웜기어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웜휠부재;
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clause 6,
The power conversion unit,
A worm gear member rotated by the rotating member; and
a worm wheel member provided on the movable seat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worm gear member and rotated by the worm gear member;
A solenoid valve contain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웜기어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동축적으로 제공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In clause 7,
The worm gear member is a solenoid valve provided coaxially with the rotating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웜휠부재는 상기 가동시트부와 함께 단일체(unitary)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In clause 7,
The solenoid valve is provided so that the worm wheel member forms a unitary unit with the movable seat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트부와 상기 가동시트부의 사이 간극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3,
A solenoid valve including a sealing member that seals a gap between the fixed seat portion and the movable seat portion.
KR1020220160808A 2022-11-25 Solenoid valve KR20240078150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8150A true KR20240078150A (en) 2024-06-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2471A (en) Double safety valve
EP3273186A1 (en) Motor-operated valve
CN102278504A (en) Atmosphere discharge valve
US10767787B2 (en) Electrically-driven flow rate control valve
US11293555B2 (en) Solenoid valve
KR101584479B1 (en) Fluid controller actuator
US11261990B2 (en) Actuator and valve device
WO2019214629A1 (en) Valve needle assembly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having the valve needle assembly
KR20240078150A (en) Solenoid valve
CN109869494B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refrigeration system with same
US8505578B2 (en) Actuator for controlling a fluid flow
KR20200128568A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KR20080112147A (en) A long-stroke regulator valve with a stop function
CN112638687B (en) Valve for controlling pressure difference
US11047503B2 (en) Actuator, valve device, and fluid supply system
US9193507B2 (en) Vehicle reservoir cap with pressure actuated valve
KR20220048067A (en) circle piston reducing valve
CN109695739B (en) Direct-acting three-way valve
JP7127838B2 (en) flow control valve
KR101969578B1 (en) Valve being used as both check valve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having selectable ports, and cooling and heating system
CN209164700U (en) High temperature break valve
KR102450829B1 (en) Pressure reducing valve
CN218780781U (en) Valve needle assembly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US20220146011A1 (en) Solenoid valve
CN219013532U (en) Throttle valve with movable val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