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6074A -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6074A KR20240076074A KR1020220158173A KR20220158173A KR20240076074A KR 20240076074 A KR20240076074 A KR 20240076074A KR 1020220158173 A KR1020220158173 A KR 1020220158173A KR 20220158173 A KR20220158173 A KR 20220158173A KR 20240076074 A KR20240076074 A KR 202400760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tension
- wearing
- wearing part
- tension adjust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41001227561 Valg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657 Ab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392 Bone Fractur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076 Fract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300 Genu Var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550 Joint relate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69816 Va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44 articulatio talocrural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65 knee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66 long-term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54 physic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14—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cool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체의 관절 부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의 신체에 각각 착용되는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와, 상기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한 밴드본체; 및, 상기 관절 부위의 회동 시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착용부, 제2착용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체결된 부분에 장력을 생성시키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재활을 가능하게 하며 보행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술이나 질병으로 인해 침상에 오랫동안 누워있어야 하는 환자의 경우, 장기간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근육이 서서히 빠져 보행에 필요한 관절과 단위근력이 약화되고 굳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골절환자는 장기간 깁스를 하거나 고정장치에 의해 골절된 부분을 장기간 움직일 수 없는 이유로, 깁스나 고정장치를 해제한 이후에도 제대로 걷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수술이나 질병 이외에도 노화로 인해 보행 근력이 약화되기도 하는데, 보행능력이 약화된 노인은 스스로 단위근력을 증가시키고 관절 운동을 통해 자유로운 보행을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下肢)의 근육이나 인대 등의 약화는, 외반슬이나 내반슬을 야기할 수 있다. 외반슬이나 내반슬은 무릎의 통증 및 관절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을 일으키며, 고관절에도 무리를 주기 마련이다. 또한, 고관절의 내회전은 무릎과 발목관절은 물론 요추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하지 근육의 약화 또는 장기간 치료에서 비롯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리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재활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신체에 착용하는 재활 보조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재활 및 보행 보조기는,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맞춤형 재활 및 보행 보조력을 제공하기 어렵고 착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관절의 굽힘정도를 반영하지 못해 재활 및 보행 보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으며, 착용자가 스스로 착용하여 재활을 수행하도록 하기 어려우며, 치료 후 초기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4538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신체 조건과 운동능력에 맞춰 용이하게 장력을 조절하게 하여 맞춤형 재활 및 보행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고, 착용자가 스스로 용이하게 착용하여 재활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치료 후 초기 회복에 도움을 줄수 있게 하는,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절의 굽힘 정도를 반영하여 효과적인 재활 및 보행 보조를 가능하게 하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자연스러운 신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는, 신체의 관절 부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의 신체에 각각 착용되는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와, 상기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한 밴드본체; 및, 상기 관절 부위의 회동 시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착용부, 제2착용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체결된 부분에 장력을 생성시키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밴드본체의 외면과 접하는 접촉면에 벨크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밴드본체는, 상기 장력조절수단 마주하는 외면에 상기 벨크로부재와 체결되는 부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길이조절로 인해 상기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벨크로부재가 구비된 접촉면의 반대측 외부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면을 복수의 분할된 구역들로 나눌 경우 그 분할된 구역들 중 과반 미만의 구역에 구비되는 외부 벨크로부재와, 나머지 과반 이상의 구역들에 구비되는 외부 부착부재를 구비하여서, 짧은 길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장력조절수단이 접힌 경우에 상기 외부 벨크로부재가 외부 부착부재에 부착되어서 상기 짧아진 길이를 유지하고, 상기 접촉면의 벨크로부재가 밴드본체의 부착부재에 부착되어서 짧아진 길이에 부합하여 증가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밴드본체는, 상기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각 착용부와의 사이에 인입공간을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장력조절수단과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포켓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관절 부위의 움직임을 재활 및 보행 보조 시 반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착용부측 체결포켓부의 인입공간에 수납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2착용부측 체결포켓부의 인입공간에 수납되는 제2링크부와, 상기 연결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1링크부 및 제2링크부가 교차되는 링크 교차부분을 회동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연결핀을 구비한 관절링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는, 밴드본체의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가 관절 부위를 사이에 두고 신체에 각각 착용되고, 탄성을 가진 장력조절수단의 일부분이나 전체가 그 밴드본체에 탈부착되며 착용자의 관절 움직임 시 그 관절 측 신체에 장력을 제공하면서 보조력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조건과 운동능력에 맞춰 용이하게 장력을 조절하여 맞춤형 재활 및 보행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고, 착용자가 스스로 용이하게 착용하여 재활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치료 후 초기 회복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절링크의 제1링크부 및 제2링크부가 체결포켓부에 의해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에 각각 체결되고, 제1링크부 및 제2링크부가 링크 교차부분을 연결하는 연결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착용자의 관절 움직임을 재활 및 보행 보조 시에 반영되게 함으로써, 관절의 굽힘 정도를 반영하여 효과적인 재활 및 보행 보조를 가능하게 하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자연스러운 신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냉온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관절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과 관절링크가 밴드본체에 채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이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밴드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관절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냉온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관절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과 관절링크가 밴드본체에 채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이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밴드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관절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냉온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관절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과 관절링크가 밴드본체에 채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는 밴드본체(100) 및 장력조절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밴드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착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것으로 제1착용부(110), 제2착용부(120) 및 연결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밴드본체(100)의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는 신체의 관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의 신체에 각각 착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착용부(110)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허리에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쪽 단부측이 벨크로 방식 등의 체결방식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상기 밴드본체(100)의 제2착용부(120)는 신체의 관절 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착용부(110)와 반대되는 방향의 신체에 착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2착용부(120)는 착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는 형태로 그 허벅지에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쪽 단부측이 제1착용부와 같이 벨크로 방식 등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착용부(120)는 연결부(130)에 의해 제1착용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제1착용부(110) 및 연결부(13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밴드본체(100)의 연결부(130)는, 상기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 사이에 마련되고, 그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를 서로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부(130)는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30)가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경우를 중심으로, 그 연결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본체(100)의 연결부(130)는 상기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와 함께 네오플랜 소재와 같이 신축성을 가진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착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고 재활 및 보행보조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3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진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밴드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제1착용부, 제2착용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체결된 부분에 장력을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관절 부위의 회동 시 그 관절 부위에 장력을 제공하여서 보다 효과적인 재활 및 보행 보조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300)은, 양측이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밴드본체(100)와 접하는 접촉면이 모두 밴드본체(100)에 탈부착될 수도 있음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조건과 운동능력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장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장력조절수단(300)은, 제1착용부(110)와 제2착용부(120) 및 연결부(130)에 부착되어서 착용자의 일측으로 장력을 제공할 수 있고, 착용자의 후방이나 전방에 배치되어서 양측이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에 부착되어서 착용자의 전방이나 후방으로도 장력을 제공할 수도 있음으로써, 착용자가 자신의 신체 상태 및 조건, 재활상태 및 보행능력에 따라 장력조절수단(300)의 위치를 스스로 변경시키면서 자신의 관절에 장력을 부여하고 재활 및 보행 보조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채활 보조 장치는, 밴드본체(100)의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가 관절 부위를 사이에 두고 신체에 각각 착용되고, 탄성을 가진 장력조절수단(300)의 일부분이나 전체가 그 밴드본체(100)에 탈부착되며 착용자의 관절 움직임 시 그 관절 측 신체에 장력을 제공하면서 보조력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맞춤형 재활 및 보행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고, 착용자가 스스로 용이하게 착용하여 재활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치료 후 초기 회복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장력조절수단(300)은 벨크로부재(310)를 구비할 수 있다. 밴드본체(100)는 부착부재(10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벨크로부재(310)는 상기 밴드본체(100)의 외면과 접하는 장력조절수단(300)의 접촉면의 전체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밴드본체(100)의 부착부재(101)에 탈부착된다. 상기 벨크로부재(310)는 복수의 갈고리들이 포함되어서 그 부착부재(101)에 걸린다.
상기 밴드본체(100)의 부착부재(101)는, 장력조절수단(300)의 접촉면과 마주하는 외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그 외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벨크로부재(310)의 갈고리들과 체결되는 섬유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부재(101)는, 그 외면의 전체에 형성될 경우 상기 제1착용부(110), 제2착용부(120) 및 연결부(130)에 각 영역별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장력조절수단(300)에 의한 장력이 유지될 수 있게 하며 그 장력을 관절 부위 측 신체에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밴드본체(100)는 팩 포켓부(150) 및 체결포켓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밴드본체(100)의 팩 포켓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30)의 내측에 마련되고, 신체와 접촉되는 연결부(130)의 내측에 개폐 가능한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주머니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수납공간에 냉온팩부재(151)를 수납시킨다.
상기 팩 포켓부(150)는 수납공간에 냉온팩부재(151)를 수납시키고 밴드본체(100)가 신체에 착용될 때, 그 냉온팩부재에 의해 냉감 또는 열감을 상기 신체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치료 이후 착용자의 초기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그 착용자의 신체 상태 또는 치료 상태에 따라 맞춤형 냉온 찜질을 가능하게 하고 그 착용자의 재활 효과를 높여주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밴드본체(100)의 체결포켓부(1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울러 상기 체결포켓부(140)는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에 각각 마련되고,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와의 사이에 인입공간을 각각 형성시키고, 외면이 상기 장력조절수단(300)의 벨크로부재(310)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포켓부(140)는 외면에 부착부재(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포켓부(140)는 네오플랜 소재와 같이 신축성을 가진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인입공간에 후술할 관절링크(200)가 수납될 수 있게 하며, 그 관절링크(200)가 밴드본체(100)에 위치 고정되며, 재활치료나 보행 시 착용자 관절의 굽힘 정도를 반영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체결포켓부(140)는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에 각각 마련되어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인입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관절링크의 양측이 그 인입공간으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관절링크(200)는, 밴드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착용자의 재활 및 보행 보조시 상기 관절의 굽힘 정도를 반영하고 관절(관절 부위)의 회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제1링크부(210), 제2링크부(220) 및 연결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링크부(210)는 상기 제1착용부(110)측 체결포켓부(140)의 인입공간에 수납되고, 금속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핀(230)에 의해 상기 제2링크부(22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관절링크(200)의 제2링크부(220)는 상기 제2착용부(120)측 체결포켓부(140)의 인입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제1링크부(210)와 교차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핀(230)에 의해 그 교차되는 부분이 회동된다. 상기 제2링크부(220)는 금속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절링크(200)의 연결핀(230)은 상기 제1링크부(210) 및 제2링크부(220)의 연결부분 즉, 서로 교차되는 링크 교차부분(C)을 회동 가능하게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밴드본체(100)를 착용한 착용자의 관절 분위 움직임을 따라 상기 관절링크가 회동될 수 있게 하며, 그 관절 부위의 움직임을 재활 및 보행보조 시에 반영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핀(230)은 상기 링크 교차부분을 관통하며 서로 체결되게 하고, 그 연결핀(23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링크부(210) 및 제2링크부(220)가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 교차부분(C)은, 링크커버(250)에 의해 상기 밴드본체(100)의 연결부(1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링크커버(250)는 상기 연결부(130)와 접촉되는 링크 교차부분(C)의 일면을 커버하고, 상기 링크 교차부분(C)과 벨크로 방식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링크커버(250)는 상기 링크 교차부분(C)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30)와 체결됨으로써, 그 링크 교차부분(C)을 상기 연결부(13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키고, 상기 관절링크가 관절의 회동에 맞춰서 긴밀하게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관절링크(200)의 제1링크부(210) 및 제2링크부(220)가 체결포켓부(140)에 의해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에 각각 체결되고, 제1링크부(210) 및 제2링크부(220)가 링크 교차부분을 연결하는 연결핀(23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착용자의 관절 움직임을 재활 및 보행 보조 시에 반영되게 함으로써, 관절의 굽힘 정도를 반영하여 효과적인 재활 및 보행 보조를 가능하게 하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자연스러운 신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제1링크부(210) 및 제2링크부(2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플레이트부(240)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플레이트부(240)는 관절링크(220)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1링크부(210)와 제2링크부(22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체결플레이트부(240)는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와 접촉되는 신체부분의 구조 즉, 허리부분과 허벅지 부분의 굴곡이 투영된 굴곡진 구조를 가지고, 상기 각 체결포켓부(140)에 인입되는 제1링크부(210) 및 제2링크부(220)의 단부측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체결플레이트부(240)는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착용부(110) 및 제2착용부(120)에 마련된 체결포켓부(14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밴드본체(100)와 관절링크(200)를 서로 체결시킨다. 또한 상기 체결플레이트부(240)는 상기 제1링크부(210) 및 제2링크부(220)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길게 형성된 체결슬릿(S)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기 체결슬릿(S)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어 위치조절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이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밴드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관절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상기 장력조절수단(300) 및 제1링크부(21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장력조절수단(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조절되고 그 길이조절로 인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 벨크로부재(320) 및 외부 부착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벨크로부재(320)는 상기 벨크로부재가 구비된 접촉면의 반대측 외부면에 마련되고, 그 외부면에 구비된 외부 부착부재(330)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외부 벨크로부재(320)는, 장력조절수단(300)의 외부면을 복수의 분할된 구역들로 나눌 경우 그 분할된 구역들 중 과반 미만의 구역들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수단(300)의 외부 부착부재(330)는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장력조절수단(300)의 외부면에 마련되되, 상기 분할된 구역들 중 과반 이상의 구역들에 구비되어서 상기 외부 벨크로부재(320)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장력조절수단(300)은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본체(100)의 벨크로부재(310)와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된 외부면에 외부 벨크로부재(320) 및 외부 부착부재(330)를 구비함으로써,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즉, 짧은 길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장력조절수단(300)이 접힌 경우에 상기 외부 벨크로부재(320)가 외부 부착부재(330)에 부착되어서 그 짧아진 길이를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접촉면의 벨크로부재(310)가 밴드본체(100)의 부착부재(101)에 부착되며 그 짧아진 길이에 부합하여 증가된 장력을 착용자의 신체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기 장력조절수단(3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신체 조건에 맞춰 용이하게 장력을 조절하여 맞춤형 재활 및 보행 보조력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스스로 재활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치료 후 초기 회복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장력조절수단(300) 및 제1링크부(2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범위를 규제할 수 있도록 위치결정홈(211), 위치결정핀(212) 및 연결스크랩(21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210)의 위치결정홈(211)은 제2링크부(210)와 교차되는 링크 교차부분(C)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핀(23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핀(212)이 삽입되게 한다. 상기 위치결정홈(211)에는, 제1링크부(210)에 대한 상기 제2링크부(220)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위치결정홈의 위치에 대하여 각도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게 하는 위치결정홈(211) 측에는 '0'이 표시되어 있고, 이후 순차적으로 '15' 내지 '90'까지 각도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핀(212)은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결정홈(211)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2링크부(220)의 제1링크부(210)에 대한 상대회전 시 그 제2링크부의 양측에 접촉되면서 회전범위를 한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결정핀(212)이 '0' 측의 2개의 위치결정홈(211)에 각각 삽입된 경우, 제1링크부(210)와 제2링크부(220)가 일직선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그 제2링크부(220)의 양측에 각각 접촉되면서 상기 제2링크부(220)의 회동을 억제시킨다.
한편 상기 위치결정핀(212) 중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핀이 '0' 측의 위치결정홈(211)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위치결정핀이 '60' 측의 위치결정홈(211)에 삽인된 경우, 상기 제2링크부가 0도에서 60도까지 회동할 수 있는 회동범위가 형성되고, 그 제2링크부(220)의 회동 시 상기 위치결정핀(212)이 그 제2링크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촉된다.
상기 연결스트랩(213)은 상기 제1링크부(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위치결정핀(212)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위치결정핀(212)이 위치결정홈(211)에 삽입되어서 제2링크부(220)의 회동 범위가 한정되는 과정에서 그 위치결정핀(212)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관절링크(200)의 제1링크부(210)는 링크 교차부분(C)에 커버(2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14)는 제1링크부(210)에서 위치결정홈(211)이 형성된 링크 교차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 시 상기 링크 교차부분을 선택적으로 커버하게 된다. 상기 커버(214)는 링크 교차부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링크 교차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버(214)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제1링크부(210)는 제2링크부(220)의 회동 범위를 규제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조건과 운동능력에 맞춰 맞춤형 재활 및 보행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고, 관절의 굽힘 정도를 반영하여 효과적인 재활 및 보행 보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밴드본체
101: 부착부재
110: 제1착용부 120: 제2착용부
130: 연결부 140: 체결포켓부
150: 팩 포켓부 151: 냉온팩부재
200: 관절링크 210: 제1링크부
211: 위치결정홈 212: 위치결정핀
213: 연결스트랩 214: 커버
220: 제2링크부 230: 연결핀
C: 링크 교차부분 240: 체결플레이트부
S: 체결슬릿 250: 링크커버
300: 장력조절수단 310: 벨크로부재
320: 외부 벨크로부재 330: 외부 부착부재
110: 제1착용부 120: 제2착용부
130: 연결부 140: 체결포켓부
150: 팩 포켓부 151: 냉온팩부재
200: 관절링크 210: 제1링크부
211: 위치결정홈 212: 위치결정핀
213: 연결스트랩 214: 커버
220: 제2링크부 230: 연결핀
C: 링크 교차부분 240: 체결플레이트부
S: 체결슬릿 250: 링크커버
300: 장력조절수단 310: 벨크로부재
320: 외부 벨크로부재 330: 외부 부착부재
Claims (5)
- 신체의 관절 부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의 신체에 각각 착용되는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와, 상기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한 밴드본체; 및,
상기 관절 부위의 회동 시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착용부, 제2착용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체결된 부분에 장력을 생성시키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에 장력조절수단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밴드본체의 외면과 접하는 접촉면에 벨크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밴드본체는, 상기 장력조절수단 마주하는 외면에 상기 벨크로부재와 체결되는 부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길이조절로 인해 상기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벨크로부재가 구비된 접촉면의 반대측 외부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면을 복수의 분할된 구역들로 나눌 경우 그 분할된 구역들 중 과반 미만의 구역에 구비되는 외부 벨크로부재와, 나머지 과반 이상의 구역들에 구비되는 외부 부착부재를 구비하여서,
짧은 길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장력조절수단이 접힌 경우에 상기 외부 벨크로부재가 외부 부착부재에 부착되어서 상기 짧아진 길이를 유지하고, 상기 접촉면의 벨크로부재가 밴드본체의 부착부재에 부착되어서 짧아진 길이에 부합하여 증가된 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는,
상기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각 착용부와의 사이에 인입공간을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장력조절수단과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포켓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부위의 움직임을 재활 및 보행 보조 시 반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착용부측 체결포켓부의 인입공간에 수납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2착용부측 체결포켓부의 인입공간에 수납되는 제2링크부와, 상기 연결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1링크부 및 제2링크부가 교차되는 링크 교차부분을 회동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연결핀을 구비한 관절링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8173A KR20240076074A (ko) | 2022-11-23 | 2022-11-23 |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8173A KR20240076074A (ko) | 2022-11-23 | 2022-11-23 |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6074A true KR20240076074A (ko) | 2024-05-30 |
Family
ID=9127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8173A KR20240076074A (ko) | 2022-11-23 | 2022-11-23 |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76074A (ko) |
-
2022
- 2022-11-23 KR KR1020220158173A patent/KR20240076074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42642B1 (en) |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osteoarthritis of the knee | |
KR101496683B1 (ko) | 하지 부위 변형의 개선 방법 및 이의 실행을 위한 장치 | |
ES2554906T3 (es) | Dispositivos ortopédicos de tobillo-pie | |
JP4680474B2 (ja) | 中枢神経系障害又は運動器官の損傷の後遺症を患う患者のための装置 | |
US9314391B2 (en) | Joint for articulations with pseudo-elastic elements | |
US4505269A (en) | Ankle splint | |
US7758527B2 (en) | Orthotic device and segmented liner | |
US5131385A (en) | Orthesis for the human knee | |
US10765548B2 (en) | Knee joint orthosis | |
US4370976A (en) | Dynamic foam orthosis | |
JPS62120850A (ja) | ベルト押さえ付膝蓋骨装具 | |
US5312322A (en) | Three point extension splint to treat flexion contractures about limb synovial hinge joints | |
KR101672860B1 (ko) | 척추 및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형과 보행을 위한 보조기구 | |
KR20160024012A (ko) | 무릎관절 보조기구 | |
CA2825290A1 (en) | Knee brace, and set of outer leg joint and inner leg joint | |
CN113727680A (zh) | 可穿戴辅助装置 | |
KR101815274B1 (ko) | 무릎보조기 | |
KR20240076074A (ko) | 장력조절이 용이한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 |
KR102014538B1 (ko) |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 |
KR20240076073A (ko) | 웨어러블 재활 보조 장치 | |
KR20160130562A (ko) | 퇴행성 관절 및 보행 불편자를 위한 보조기 | |
KR20190135812A (ko) |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 |
JP7397013B2 (ja) | 整形外科用ブレースの偏心および多中心連結張力ジョイント | |
KR100555005B1 (ko) | 하지 보조기의 족관절 장치 | |
KR102598468B1 (ko) | 의료용 관절 재활 보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