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4276A - Modu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ath of autonomous vehicles in the area of occurrence of unexpected situations - Google Patents
Modu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ath of autonomous vehicles in the area of occurrence of unexpected situatio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4276A KR20240074276A KR1020220156163A KR20220156163A KR20240074276A KR 20240074276 A KR20240074276 A KR 20240074276A KR 1020220156163 A KR1020220156163 A KR 1020220156163A KR 20220156163 A KR20220156163 A KR 20220156163A KR 20240074276 A KR20240074276 A KR 202400742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ffic
- information
- control zone
- vehicles
- roa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은 도로에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돌발 상황 판단 모듈;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컨트롤존을 정의하고, 상기 컨트롤존의 교통류를 판단하는 컨트롤존 판단 모듈;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통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통행 가부 판단 모듈; 상기 컨트롤존의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 조율 정보 모듈; 및 상기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에 통행 정보를 제공하는 통행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The autonomous vehicle traffic path determination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an unexpected situation has occurred on the road; a control zon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fines a control zone of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and determines a traffic flow in the control zone; a passage decis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is passable; a path coordination informat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of the control zone; and a traffic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that provides traffic information to vehicles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돌발상황 발생 영역의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인프라 관점에서 각 자율주행차량의 통행 방향 판단 관제 정보를 제공하여, 돌발 상황 발생 영역에 대한 혼합류 교통의 효율적인 통행 분배를 위한 돌발상황 발생 영역의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travel route of an autonomous vehicle in an area where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More specifically, it provides control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each autonomous vehicle from an infrastructure perspective, and provides mixed flow traffic for an area where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It relates to a modu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utonomous vehicle traffic routes in areas where unexpected situations occur for efficient traffic distribution.
일반적으로, 각종 주행 수단에 내장되어 주행 위치 탐색을 통해 자동 주행을 수행하는 자동 주행 장치는 주로 선박, 항공기 등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자동 주행 장치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도 적용되어 주행 경로, 도로 혼잡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동 주행 장치가 스스로 차량을 운전하거나 주행 상태를 제어한다.In general, automatic driving devices that are built into various driving means and perform automatic driving through driving position detection are mainly applied to ships, aircraft, etc. Recently, automatic driving devices have been applied to vehicles driving on the road, monitoring and informing the user of various information such as driving path and road congestion, or autonomous driving devices drive the vehicle or control the driving state on their own.
그러나, 자동 주행 장치는 아직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차량과 같이 고속으로 움직이는 이동체의 경우, 주행 환경(예를 들면, 주변 차량 인식, 장애물 검출 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거나, 주행 환경을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스스로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응급 기능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인프라 및 차량 간 실시간으로 많은 데이터 양을 공유하고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However, automatic driving devices have not yet been commercialized. In the case of high-speed moving objects such as vehicles, each emergency function recognizes the driving environment (e.g., recognition of surrounding vehicles, obstacle detection, etc.) in real time and notifies the driver, or judges the driving environment in real time and responds to it on its own. must be performed, and for this purpose, a device that can share and process large amounts of data in real time between infrastructure and vehicles is need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프라 관점에서 각 자율주행차량의 통행 방향 판단 관제 정보를 제공하여, 돌발 상황 발생 영역에 대한 혼합류 교통의 효율적인 통행 분배를 위한 돌발상황 발생 영역의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provide control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each autonomous vehicle from an infrastructure perspective, and to provide autonomous vehicles in the area where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for efficient distribution of mixed flow traffic in the area where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It provides a travel route judgment module and method.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은 도로에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돌발 상황 판단 모듈;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컨트롤존을 정의하고, 상기 컨트롤존의 교통류를 판단하는 컨트롤존 판단 모듈;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통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통행 가부 판단 모듈; 상기 컨트롤존의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 조율 정보 모듈; 및 상기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에 통행 정보를 제공하는 통행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autonomous vehicle traffic path determination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an unexpected situation has occurred on the road; a control zon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fines a control zone of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and determines a traffic flow in the control zone; a passage decis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is passable; a path coordination informat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of the control zone; and a traffic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that provides traffic information to vehicles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상기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으로부터 수정된 통행 정보를 수신하는 통행 정보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traffic information reception module that receives modified traffic information from a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상기 통행 가부 판단 모듈은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에 통행 가능한 통행로가 존재하는 경우, 통행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assage permission determination module may generate passage information when a passable passageway exists on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상기 경로 조율 정보 모듈은 상기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간 경로 조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상기 통행 정보 송신 모듈이 제공하는 상기 통행 정보는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영역의 지오펜스 정보, 상기 주변 차량의 경로 정보 및 상기 통행 안내 차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th coordination information module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and generate path coordin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s. The passa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assag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may be used in the area of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It may include geofence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nd traffic guidance lane informa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방법은 도로 내 돌발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돌발 상황 발생한 도로의 컨트롤존을 정의하고, 상기 컨트롤존의 교통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돌발 상황 발생한 도로의 통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존의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에 통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method for determining a travel route for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on the road; defining a control zone on a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and determining a traffic flow in the control zone;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is passabl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of the control zone; and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to vehicles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상기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으로부터 수정된 통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receiving modified traffic information from a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상기 컨트롤존의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간 경로 조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of the control zone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and generate path coordin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s.
상기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에 통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하는 상기 통행 정보는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영역의 지오펜스 정보, 상기 주변 차량의 경로 정보 및 상기 통행 안내 차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tep of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to a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may include geofence information of the area of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rout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nd traffic guidance lane information. there is.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의 단순 정보보다 상세화된 자율주행차량에 적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여 도로 위 다중 자율주행차량의 효율적인 통행을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se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support efficient passage of multiple autonomous vehicles on the road by providing information applicable to autonomous vehicles that is more detailed than existing simple information.
또한, 인프라 관점에서 각 자율주행차량의 통행방향 판단 관제 정보를 제공하여 돌발영역에 대한 혼합류 교통의 통행을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고, 교통 체증 발생 가능성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from an infrastructure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stribute mixed flow traffic to unexpected areas by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each autonomous vehicle and minimize the possibility of traffic congestion.
또한, 혼합류 자율주행 교통환경에서 돌발 상황 발생 시 돌발영역 회피 및 교통 정체를 완화하기 위해 돌발상황 발생 시 인프라를 기준으로 자율주행차량의 효율적인 통행 방안을 제공하여 혼합 교통류 상 자율주행차량의 통행 조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void unexpected areas and alleviate traffic congestion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in a mixed-flow autonomous traffic environment, efficient passage plans for autonomous vehicles are provided based on infrastructure in the event of an unexpected situation, and traffic coordin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in mixed traffic flow is provided. can do.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방법의 흐름도이다.1 to 3 are block diagrams of an autonomous vehicle traffic path determination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traffic path determination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s 7 and 8 are flowcharts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travel route for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optionally us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used by combining or replacing.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embodiment have meanings that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The meaning of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by considering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embodiment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can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is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In addition to cases, it may also include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y another component between that component and that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top” or “bottom” of each component, “top” or “bottom” means that the two components are directly adjacent to each other.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of contact, but also cases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top” or “bottom,”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can be included based on one component.
도로 위 돌발 상황(차량 사고, 도로 공사 등) 발생시, 혼합류 교통환경에서의 자율주행차량은 교통법규를 준수하여 스스로 인지하고 판단 가능한 범위가 제한적이게 된다. 특히 일반차량/자율주행차량 혼재한 혼잡한 상황에서 돌발 상황 발생시 차로 폐쇄 등의 통행 방법 변화에 대응이 어렵다.When an unexpected situation (vehicle accident, road construction, etc.) occurs on the road, the range of autonomous vehicles in a mixed traffic environment that can recognize and make decisions in compliance with traffic laws is limite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changes in travel methods, such as lane closures, in the event of an unexpected situation in a crowded situation with a mixture of regular vehicles and self-driving vehicles.
이러한 상황에서 교통량 증가 및 정체로 인해 혼잡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통관제기능의 역할을 수행하는 엣지 인프라는 돌발상황 영역 주변 차량의 교통상황을 판단하고 각 자율주행차량이 돌발영역을 효율적으로 통행하기 위한 통행방향 판정 방법이 필요하다.In these situations, congestion may occur due to increased traffic volume and congestion. To resolve this, the edge infrastructure, which performs the role of traffic control, determines the traffic situation of vehicles around the emergency situation area and ensures that each autonomous vehicle is assigned to the emergency area.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ravel is needed to efficiently travel through the area.
기존의 인프라 기술(C-ITS)은 도로상 차량들에 충돌위험정보, 주변차량의 위치정보 제공과 같은 단순정보를 자율차에 제공하고 자율차는 이를 참고하여 주행경로를 계획하였다. 기존 인프라 기술은 전방 정체, 사고발생 등의 단순정보 제공하여 혼잡한 도로상황에서 자율차의 통행차로 및 통행조율 정보는 미흡하였다. 즉, 돌발 상황이 발생하여 특정 차로가 폐쇄되는 비정형 교통 상황에서는 일반차량/자율주행차량이 혼재되어 있어 인프라에서 교통상황을 관제하고 돌발영역에 접근하는 자율주행차량에 통행 안내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Existing infrastructure technology (C-ITS) provides autonomous vehicles with simple information such as collision risk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to vehicles on the road, and autonomous vehicles plan their driving routes by referring to this. Existing infrastructure technology provided simple information such as congestion ahead and accidents, so information on lanes and traffic coordin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was insufficient in congested road situations. In other words, in irregular traffic situations where a specific lane is closed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regular vehicles and autonomous vehicles are mixed, so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traffic situation in the infrastructure and provide traffic guidance information to autonomous vehicles approaching the unexpected area. there is.
본 발명은 기존의 단순 정보 보다 상세화된 자율주행차량에 적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여 도로 위 다중 자율주행차량에 효율적으로 통행 지원을 할 수 있다. 인프라 관점에서 각 자율주행차량의 통행방향 판단 관제 정보를 제공하여 돌발영역에 대한 혼합류 교통의 통행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교통 체증 발생 가능성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자율주행차량 및 일반차량이 혼재된 주행 환경에서 돌발 상황(교통사고, 도로공사 등) 발생 시 자율주행차량이 자체적으로 판단 및 제어가 불가능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지속적인 자율주행을 수행하기 위해 인프라 서버로부터 경로정보 제공 등을 통한 원격 자율주행 지원이 요구된다. 인프라 서버는 일반차량의 예측된 경로정보와 자율주행 차량의 계획된 경로정보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최적 교통 경로정보를 판단하며, 이후 각각의 자율주행차량에 최적 경로정보를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fficient traffic support to multiple autonomous vehicles on the road by providing information applicable to autonomous vehicles that is more detailed than existing simple information. From an infrastructure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stribute mixed flow traffic to unexpected areas by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traffic direction of each autonomous vehicle, thereby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traffic congestion. In particular,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traffic accident, road construction, etc.) occurs in a driving environment where autonomous vehicles and regular vehicles are mixed, the autonomous vehicle cannot make its own judgment and control, and an infrastructure server is installed to perform continuous autonomous driving in such situations. Remote autonomous driving support is required through provision of route information, etc. The infrastructure server comprehensively collects the predicted route information of regular vehicles and the planned route information of autonomous vehicles to determine the optimal traffic route information, and then provides the optimal route information to each autonomous vehicle.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의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1 to 3 are block diagrams of the autonomous vehicle travel path determination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ures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travel path determination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본 실시에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10)은 돌발 상황 판단 모듈(11), 컨트롤존 판단 모듈(12), 통행 가부 판단 모듈(13), 경로 조율 정보 모듈(14) 및 통행 정보 송신 모듈(15)을 포함하고, 통행 정보 수신 모듈(1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nomous vehicle traffic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10)은 인프라 서버와 통신하는 구성일 수 있다.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10)은 인프라 서버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인프라 서버는 도로 교통 시설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교통 정보를 자율 주행 차량에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인프라 서버는 일정 도로 구역에 대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교통 정보는 사고 발생 여부, 차량 혼잡도, 교통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nomous vehicle traffic
인프라 서버는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은 통신부 및 처리부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차량의 통신모듈과 V2X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V2X 통신이 가능한 기지국일 수 있고, RSU(Road Side Unit)로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교차로에 위치하는 노변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eNB)일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통신모듈과 노변기지국이 통신시 V2I 통신이고, 차량에 장착되는 통신모듈과 이동통신 기지국이 통신시 V2N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frastructure server may be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consists of a communication unit and a processing unit, and may include one or more memories. The base station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V2X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s communication module. The base station may be a base station capable of V2X communication, a roadside base station located at an intersection that communicates with vehicles through a Road Side Unit (RSU), 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eNB). When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a vehicle communicates with a roadside base station, it is V2I communication, and when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a vehicle communicate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V2N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10)은 차량(20)과 통신할 수 있고, 차량(20)은 자율주행차량(21)과 일반차(2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율주행차량(21)은 주변 전체 차량과 교통 상황을 인식하기 위하여 인프라 서버 또는 주변 차량에서 인식된 정보들을 서로 공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활한 자율주행을 할 수 있다. 자율주행차량(21)은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주변 차량 및 인프라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The autonomous vehicle traffic
돌발 상황 판단 모듈(11)은 도로에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The unexpected
구체적으로, 돌발 상황 판단 모듈(11)은 도로의 기지국에서 도로 정보를 수신하여 도로에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돌발 상황 판단 모듈(11)은 도로의 기지국으로부터 차량 사고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 도로 공사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차량 과밀에 따른 교통 혼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도로에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돌발 상황'은 차량의 교통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발 상황'은 기지국에서 감지하는 도로 영역 내에서 교통 흐름 속도, 교통 밀도 차량 통행률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nexpected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10)은 돌발 상황 판단 모듈(11)에서 도로에 돌발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후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고, 도로에 돌발 상황이 발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돌발 상황 판단 모듈(11)에서 도로에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후 컨트롤존 판단 모듈(12)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If the autonomous vehicle traffic
컨트롤존 판단 모듈(12)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컨트롤존을 정의하고, 컨트롤존의 교통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구체적으로, 컨트롤존은 도로의 기지국에서 안정적으로 인지 가능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존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돌발상황 지오펜스를 기준으로 통행지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존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교통 통제를 위해 교통 상황을 판단하고, 자율주행차량에 통행 정보를 제공하는 한정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존은 돌발 상황이 발생한 영역에 유입되는 차량의 통행 경로를 고려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거리 차로에 인접한 영역에 돌발상황이 발생한 경우, 컨트롤존은 사거리 전체를 포함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zone may refer to an area that can be stably recognized by a road base station. The control zone may refer to an area where traffic suppor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ased on the emergency situation geofence where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A control zone may refer to a limited area that judges traffic conditions and provides traffic information to autonomous vehicles to control traffic on roads where unexpected situations occur. The control zone may be an area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raffic path of vehicles flowing into the area where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For example, if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in an area adjacent to an intersection lane, the control zone can be defined as an area including the entire intersection.
컨트롤존 판단 모듈(12)은 컨트롤존 내 차량을 대상으로 교통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존 판단 모듈(12)은 컨트롤존 내 차량을 대상으로 교통류를 판단하여 원활한 방향으로의 통행 방향을 판정할 수 있다. 교통류는 교통 흐름 속도, 교통 밀도 및 차량 통행률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존 판단 모듈(12)은 아래의 식 1을 통해 교통 흐름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존 판단 모듈(12)은 아래의 식 2를 통해 교통 밀도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존 판단 모듈(12)은 아래의 식 3을 통해 차량 통행률을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식 1><Equation 1>
( : 교통 흐름 속도, : 차량대수, :속도) ( :Traffic flow speed, : Number of vehicles, :speed)
<식 2><Equation 2>
(: 교통 밀도, : 차량대수, :기준차로의 길이, : 단위 차량 당 평균 점유차선의 길이, : 통행량 측정시간) ( : traffic density, : Number of vehicles, :Length of reference lane, : Average occupied lane length per unit vehicle, : Traffic volume measurement time)
<식 3><Equation 3>
(: 차량 통행률, : 통행 차량 대수, : 통행량 측정시간, : 위치점(fixed point)의 단위시간 평균 통행량) ( : Vehicle traffic rate, : Number of passing vehicles, : Traffic volume measurement time, : average traffic volume per unit time at fixed point)
통행 가부 판단 모듈(13)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통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통행 가부 판단 모듈(13)은 컨트롤존 내 차량의 통행 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행 가부 판단 모듈(13)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에 통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주변 차량에 경로 우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통행 가부 판단 모듈(13)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에 통행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통행 가능한 통행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선 도로 중 1차로와 2차로에 돌발 상황이 발생한 경우, 통행로 정보는 '3차로'로 생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도로 통행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은 도로 통행로를 인식한 후, 인식한 통행로에 교통 흐름의 유무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로 통행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은 사고 발생 또는 도로 공사로 인하여 통제 구역을 설정하는 통제관의 구역 설정 또는 칼라콘을 통한 구역 설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a road is passable can be made after recognizing the road passage an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raffic flow in the recognized passage. Alternatively,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a road is passable can be made through zone setting by a controller who sets a control zone due to an accident or road construction, or through zone setting through color cone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경로 조율 정보 모듈(14)은 컨트롤존의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path
구체적으로, 경로 조율 정보 모듈(14)은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간 경로를 조율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조율된 경로 정보()는 로, 차량의 공간 정보인 좌표 정보와 차량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 조율 정보 모듈(14)은 컨트롤존에 진입하는 차량의 순서에 따라 차선변경 차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ath
통행 정보 송신 모듈(15)은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에 통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traffic
보다 구체적으로, 통행 정보 송신 모듈(15)은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에 돌발 영역 지오펜스(Geofence) 정보(), 주변차량의 경로 정보(), 통행 안내 차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행 정보 송신 모듈(15)에서 제공된 통행 정보는 자율주행차량(21)에서 참조하여 자체적인 경로계획을 통해 주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자율주행차량(21)은 기 계획된 경로주행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통행 정보 송신 모듈(15)에서 제공한 통행 정보를 기반으로 주행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자율주행차량(21)에서 변경된 경로 정보를 통행 정보 수신 모듈(16)에 피드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10)은 자율주행차량(21)로부터 변경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교통 환경을 재판정하는 폐회로(Closed loop)를 구성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raffic
통행 정보 송신 모듈(15)은 차량에 1회 통행 정보를 제공하면, 돌발 영역의 양 차선 간의 판단기준(교통류, 교통밀도 등)이 임계값(Delta Threshold) 초과시 다른 차선으로 변경을 허용하는 통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의 기준이 없는 경우, 양 차로 간 교통류가 비슷한 경우, 차선 변경 통행 정보 생성이 너무 잦아질 수 있다. The traffic
통행 정보 수신 모듈(16)은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으로부터 통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행 정보 수신 모듈(16)은 컨트롤존에 진입한 차량으로부터 통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존에 진입한 차량에 통행 정보를 제공하고 이후, 차량에서 통행 경로가 수정된 경우, 통행 정보 수신 모듈(16)은 수정된 통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traffic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6 can receive traffic information from a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The traffic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6 can receive traffic information from a vehicle entering the control zone. Additionally, if traffic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vehicle entering the control zone and the vehicle's travel route is modified, the traffic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6 may receive the modified traffic information.
도 7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의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 바,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Figures 7 and 8 are flowcharts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travel route for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elow, a method for determining an autonomous vehicle traffic path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step of the autonomous vehicle travel path determination method corresponds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travel path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f FIGS. 1 to 6, and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below.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를 판단함에 있어서, S11 단계에서 도로 내 돌발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S12 단계에서 돌발 상황 발생한 도로의 컨트롤존을 정의하고, 컨트롤존의 교통류를 판단하고, S13 단계에서 돌발 상황 발생한 도로의 통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S14 단계에서 컨트롤존의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고, S15 단계에서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에 통행 정보를 제공한다. S15 단계 이후, S16 단계에서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으로부터 수정된 통행 정보를 수신한다. In determining the autonomous vehicle travel route, determine whether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on the road in step S11, define the control zone of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in step S12, determine the traffic flow in the control zone, and determine the unexpected situation in step S1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oad on which the occurrence occurred is passable, and in step S1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of the control zone. In step S15, traffic information is provided to vehicles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After step S15, modified traffi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in step S16.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its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통행 경로 판단 모듈
11: 돌발 상황 판단 모듈
12: 컨트롤존 판단 모듈
13: 통행 가부 판단 모듈
14: 경로 조율 정보 모듈
15: 통행 정보 송신 모듈
16: 통행 정보 수신 모듈
20: 차량
21: 자율주행차량
22: 일반차10: Traffic route judgment module 11: Emergency situation judgment module
12: Control zone judgment module 13: Pass permission judgment module
14: Path coordination information module 15: Traffic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16: Traffic information reception module 20: Vehicle
21: Self-driving vehicle 22: Regular car
Claims (9)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컨트롤존을 정의하고, 상기 컨트롤존의 교통류를 판단하는 컨트롤존 판단 모듈;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통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통행 가부 판단 모듈;
상기 컨트롤존의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 조율 정보 모듈; 및
상기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에 통행 정보를 제공하는 통행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An unexpected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an unexpected situation has occurred on the road;
a control zon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fines a control zone of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and determines a traffic flow in the control zone;
a passage decis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is passable;
a path coordination informat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of the control zone; and
An autonomous vehicle traffic path determination module including a traffic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that provides traffic information to vehicles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상기 컨트롤존에 진입한 차량으로부터 수정된 통행 정보를 수신하는 통행 정보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According to paragraph 1,
An autonomous vehicle travel route determination module including a traffic information reception module that receives modified traffic information from a vehicle entering the control zone.
상기 통행 가부 판단 모듈은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에 통행 가능한 통행로가 존재하는 경우, 통행로 정보를 생성하는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ssage permission determination module is an autonomous vehicle travel path determination module that generates passage information when a passable passage exists on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상기 경로 조율 정보 모듈은 상기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간 경로 조율 정보를 생성하는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th coordination information module is an autonomous vehicle travel path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and generates path coordin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s.
상기 통행 정보 송신 모듈이 제공하는 상기 통행 정보는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영역의 지오펜스 정보, 상기 주변 차량의 경로 정보 및 상기 통행 안내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모듈.According to clause 4,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raffic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includes geofence information of the area of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rout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nd traffic guidance lane information.
상기 돌발 상황 발생한 도로의 컨트롤존을 정의하고, 상기 컨트롤존의 교통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돌발 상황 발생한 도로의 통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존의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에 통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방법.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on the road;
defining a control zone on a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and determining a traffic flow in the control zone;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is passabl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of the control zone; and
A method of determining a travel route for an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to a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상기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으로부터 수정된 통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방법.According to clause 6,
A method of determining a travel route for an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receiving modified traffic information from a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상기 컨트롤존의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통행로에서 차량간 시공간 경로 상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간 경로 조율 정보를 생성하는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방법.According to clause 6,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of the control zone is
A method of determining a travel route for an autonomous vehic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pace-time path conflict between vehicles in the passageway and generates route coordin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s.
상기 컨트롤존에 진입 예정인 차량에 통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하는 상기 통행 정보는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영역의 지오펜스 정보, 상기 주변 차량의 경로 정보 및 상기 통행 안내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통행 경로 판단 방법.
According to clause 4,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tep of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to a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control zone is autonomous, including geofence information of the area of the road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red, rout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nd traffic guidance lane information. How to determine vehicle traffic pa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6163A KR20240074276A (en) | 2022-11-21 | 2022-11-21 | Modu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ath of autonomous vehicles in the area of occurrence of unexpected situatio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6163A KR20240074276A (en) | 2022-11-21 | 2022-11-21 | Modu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ath of autonomous vehicles in the area of occurrence of unexpected situation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4276A true KR20240074276A (en) | 2024-05-28 |
Family
ID=9127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6163A KR20240074276A (en) | 2022-11-21 | 2022-11-21 | Modu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ath of autonomous vehicles in the area of occurrence of unexpected situatio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74276A (en) |
-
2022
- 2022-11-21 KR KR1020220156163A patent/KR2024007427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55002B2 (en) | Autonomous vehicle control system with roadside unit (RSU) network's global sensing | |
Shetty et al. | Safety challenges for autonomous vehicles in the absence of connectivity | |
US763915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tersection right-of-way for vehicles | |
KR2013000775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t autonomous intersection | |
WO2020014131A1 (en) | Connected automated vehicle highway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transit vehicles and systems | |
WO2018132378A2 (en) | Connected automated vehicle highway systems and methods | |
WO2017126250A1 (en) |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evice | |
CN111210662A (en) | An intersection safety early warning system and early warning method based on machine vision and DSRC | |
US11562647B2 (en) | Dynamic virtual vehicle detection and adaptive traffic management system | |
AU2018208404B2 (en) | Connected automated vehicle highway systems and methods | |
US20050165537A1 (en) | Externally activated non-negative acceleration system | |
US20040260455A1 (en) | Traffic control systems for vehicle spacing to dissipate traffic gridlock | |
TW201544377A (en) | Regional planning algorithms and trajectory optimization avoidance system of automated vehicle domain-wide risk analysis | |
KR20090061782A (en) | System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cross roads in advance using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 |
KR20240074276A (en) | Modu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ath of autonomous vehicles in the area of occurrence of unexpected situations | |
Ehrlich et al. | Autonomous vehicle: The concept of high quality of service highway | |
KR102239900B1 (en) | System for smart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and method thereof | |
KR20240026017A (en) | V2X communication module | |
Vasanthakumaran | Enhancing traffic safety and efficiency i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using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s | |
Poe | Infrastructure for commercial vehicle safety | |
Li | Intersection control optimization and simulation for automated vehicles at isolated intersec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