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3450A -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3450A
KR20240073450A KR1020220155284A KR20220155284A KR20240073450A KR 20240073450 A KR20240073450 A KR 20240073450A KR 1020220155284 A KR1020220155284 A KR 1020220155284A KR 20220155284 A KR20220155284 A KR 20220155284A KR 20240073450 A KR20240073450 A KR 20240073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ipe
information
customer
minced fish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유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유
Publication of KR20240073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34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3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Abstract

일 실시예는 서버에 의하여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에 있어서, 회원단말로부터 생선류를 포함하는 레시피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레시피에 다진 생선이 활용되는지를 판단하는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검증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레시피를 고객에게 제공될 레시피로서 선정하는 단계; 상기 레시피를 설명하는 레시피정보를 고객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레시피의 구매를 수락하기 위한 수락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상기 고객단말에 제공하는 동시에 다진 생선을 포함하는 상품의 배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제공한 회원단말에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MOTING SALE OF MINCED FISH BY PROVIDING RECIPES}
본 실시예는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불균형한 식습관으로 인한 소아비만 및 합병가능성 증가하는 실정이다. 고열량, 고지방, 고염분, 낮은 영양의 식습관 증가하고 있다. 음식이 귀하던 과거와는 달리 현대 사회에는 다양한 음식이 존재한다. 육식, 인스턴트, 배달 음식, 디저트 등 고열량, 고지방, 고염분의 편향된 불균형한 식습관이 늘고나고 있다. 이로 인해 비만률은 1998년 26% 대비 2015년 33.2%로 증가했고, 고콜레스테롤혈증또한 2015년 17.9%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래서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소아 및 청소년 비만 수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 자료에 의하면 서울지역 초등학생의 과체중·비만의 2017년 비율은 23.0%에서 2021년 32.1%로 증가했고, 서울지역 초중고 전체 과체중·비만의 비율은 2017년 24.1%에서 2021년 32.1%로 증가했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2019년에서 2021년 코로나19를 겪은 시기에 눈에 띄게 과체중·비만률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코로나 19로 인해 가정 내에서 온라인으로 수업을 들었던 초중고 학생들은 외부 활동 자제로 활동량은 줄고, 가정 내에서 배달음식, 간편식 등의 섭취로 인해 비만율이 크게 증가했다.
나아가 소아비만으로 인한 합병증(당뇨병, 고혈압, 조기성인병) 발전 가능성 증가할 수 있다. 비만이 곧 합병증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당뇨병 환자 중 과체중·비만의 비율을 살펴보면 76.1% (과체중 22.9%, 비만 41.5%, 고도비만 10.1%, 초고도 비만 1.6%)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과거와는 달리 현대에 점점 비만으로 인한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 성인병의 발병률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생선은 두뇌 발달, 성인병 예방 등 좋은 영양을 주는 DHA, EPA 성분이 함유되어 혈관의 응고를 막고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준다. 그래서 현대인의 식습관을 개선할 중요한 식재료이다. 그러나, 생선을 자주 먹지 못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손질 시간의 부족, 손질의 번거로움, 요리 시 집안 가득한 냄새, 생선 가시에 대한 두려움, 생선의 비린내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 중에서도 가시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유아 및 아동기의 자녀들이 생선을 꺼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는 생선을 꺼리는 유아·소아 및 청소년기의 자녀들에게 신선하고 가시 걱정 없는 건강한 다진 생선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진 생선의 구매를 촉진하기 위한 레시피의 제공을 활용 및 유도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일 목적은, 회원단말로부터 생선류를 포함하는 레시피를 제공받고, 레시피에 다진 생선이 활용되는지를 판단하는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고객정보에 기반하여 레시피를 추천하여 구매하도록 함으로써 다진 생선의 구매를 촉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서버에 의하여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에 있어서, 회원단말로부터 생선류를 포함하는 레시피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레시피에 다진 생선이 활용되는지를 판단하는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검증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레시피를 고객에게 제공될 레시피로서 선정하는 단계; 상기 레시피를 설명하는 레시피정보를 고객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레시피의 구매를 수락하기 위한 수락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상기 고객단말에 제공하는 동시에 다진 생선을 포함하는 상품의 배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제공한 회원단말에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회원단말에 대응하는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회원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기여도에 기반하여 상기 레시피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로서, 상기 우선순위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레시피정보를 결정하거나 고객정보와 매칭되는 레시피를 결정하는, 상기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레시피에 상기 상품의 속성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가 추출된 건수가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건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품과의 관련성을 인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고객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매칭하여 상기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레시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레시피를 포함하는 매칭정보와 상품정보를 상기 고객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레시피정보는, 상기 레시피를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고객정보는, 상기 레시피정보와 동일한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고객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정보의 항목과 상기 레시피정보의 항목을 기준으로 상기 고객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매칭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서버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회원단말로부터 생선류를 포함하는 레시피를 제공받고, 상기 레시피에 다진 생선이 활용되는지를 판단하는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레시피를 고객에게 제공될 레시피로서 선정하고, 상기 레시피를 설명하는 레시피정보를 고객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레시피의 구매를 수락하기 위한 수락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상기 고객단말에 제공하는 동시에 다진 생선을 포함하는 상품의 배송을 수행하며,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제공한 회원단말에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생선류에 가시를 제거한 다진 생선을 공급함으로써 저지방 고단백의 생선류의 섭취를 제고하고, 생선류와 관련된 우수한 레시피를 제공함으로써 다진 생선의 구매를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생선류의 보급을 촉진함으로써 고열량, 고지방, 고염분, 낮은 영양으로 인한 소아비만을 예방하고, 유해한 식습관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하여 레시피에 대한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하여 레시피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회원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하여 고객정보와 레시피를 매칭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시스템(10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고객단말(110), 서버(120) 및 복수의 회원단말(130-1, 130-2, 130-3, ..., 130-n)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하여 판매자가 운영하는 커뮤니티(COM)가 제공하는 레시피를 활용할 수 있다. 고객단말(110)은 다진 생선을 구매하려는 고객에 의하여, 복수의 회원단말(130-1, 130-2, 130-3, ..., 130-n)은 커뮤니티(COM)에 가입한 회원들에 의하여, 각각 조작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복수의 회원단말(130-1, 130-2, 130-3, ..., 130-n)은 통칭하여 회원단말(130)로 정의될 수 있다. 서버(120)는 다진 생선을 판매하는 자 또는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자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서버(120)는 판매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120)와 고객단말(110) 및 회원단말(130)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단말기,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Wi-Fi, Bluetooth, NFC, RFID, 홈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고객단말(110) 및 회원단말(1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거나 송신하고, 그 영상을 사용자 또는 참여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고객단말(110) 및 회원단말(130)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레시피 제공을 통해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서버(120)는 커뮤니티(COM)로부터 레시피를 제공받을 수 있다(S101 단계). 여기서 레시피는 판매자가 취급하는 상품 즉, 생선류-구체적으로는 다진 생선-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커뮤니티(COM)는 판매자가 취급하는 상품 즉, 다진 생선을 구매했거나 구매 중 또는 구매할 예정인 사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커뮤니티(COM)에 가입된 사람들은 ‘회원(member)’으로 명명될 수 있다. 커뮤니티(COM)의 회원들은 다진 생선을 활용한 다양한 레시피를 만들고 서버(120)로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다진 생선은 가시가 있어서 먹기가 어려운 사람들-예를 들어 영아, 유아, 소아, 노인 또는 환자-을 대상으로 판매될 수 있다. 커뮤니티(COM)는 이러한 생선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생선류의 섭취를 원하는 사람들 또는 그 보호자가 가입될 수 있다. 커뮤니티(COM)는 다진 생선을 구입한 상품의 직접적인 관련자들의 모임이거나 상품의 간접적인 관련자들의 모임-예를 들어 맘까페-으로 대별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레시피가 판매자의 취급 상품과 적절한지 검증하고, 검증된 레시피를 고객에게 제안할 수 있다(S103 단계). 고객은 판매자로부터 제안받은 레시피가 맘에 들면, 레시피 제안을 수락할 수 있다(S105 단계). 여기서 판매자에 의하여 레시피가 제안될 때, 레시피를 구매하는 경우 다진 생선도 함께 구매하는 것이 전제될 수 있다. 이 조건에 따라 고객이 레시피를 구매하는 경우 다진 생선도 함께 구매할 수 밖에 없다. 고객이 레시피 제안을 수락하는 것은 레시피 뿐만 아니라 다진 생선도 함께 구매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고객이 판매자의 레시피 제안을 수락하면, 레시피의 구매를 위한 결제를 서버(120)에 진행할 수 있다(S107 단계). 결제가 완료되면, 판매자는 고객에게 구매된 레시피를 제공함과 동시에 다진 생선의 배송을 수행할 수 있다(S109 단계).
그리고 판매자는 구매된 레시피를 제공한 회원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S111 단계). 리워드(reward)-예를 들어 마일리지 또는 포인트-는 레시피를 제공한 대가로서 회원은 리워드를 가지고 판매자기 취급하는 상품-예를 들어 다진 생선-을 구입하거나 커뮤니티(COM) 내에서 다른 회원들과 교환 또는 처분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이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이 도시될 수 있다.
서버(120)는 회원단말(130)로부터 상품과 관련된 레시피를 제공받을 수 있다(S201 단계). 레시피는 다진 생선과 관련된 것으로서, 다진 형태의 생선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생선류가 레시피에 포함될 수 있다. 서버(120)가 레시피의 검증 과정을 수행하기는 하지만, 사전에 제공받는 레시피도 다진 생선과 관련된 것으로 한정될 수 있다.
서버(120)는 회원단말(130)이 보내온 레시피가 상품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S203 단계). 상품과의 관련성은 레시피가 상품을 주된 재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지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다진 생선이 레시피의 주된 재료가 되어야만 관련성이 인정될 수 있다. 다진 생선이 없다면 레시피가 제대로 성립할 수 없는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는 다진 생선이 레시피에 포함되고 또한 얼마나 많이 포함되는지를 기준으로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서버(120)는 검증결과에 기반하여 레시피를 고객에제 제공될 레시피로서 선정할 수 있다(S205 단계). 서버(120)는 레시피가 다진 생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면, 추후에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그 레시피를 기록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서버(120)는 레시피가 다진 생선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면, 그 레시피를 거부하고 회원단말(130)에 이 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회원의 기여도를 평가하여 레시피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레시피가 검증을 거쳤다하더라도 바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서버(120)는 회원이 본 서비스와 관련된 생태계에 얼마나 기여하는지에 따라 차별적으로 레시피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120)는 회원단말(130)에 대응하는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회원의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다(S207 단계). 그리고 서버(120)는 기여도에 기반하여 레시피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S209 단계). 여기서 우선순위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레시피정보-레시피가 아닌 레시피를 소정의 항목에 따라 설명하는 정보-를 결정하거나 고객정보와 매칭되는 레시피를 결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에 따라 고객정보를 유인하는 레시피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우선순위에 따라 고객정보와 매칭되는 레시피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서버(120)는 우선순위를 부여받은 레시피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레시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11 단계). 레시피정보는 고객이 제공한 레시피를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레시피정보의 항목은 레시피가 누구에게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 나이, 비만도, 요리시간 및 재료접근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20)는 고객단말(110)에 그 레시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13 단계).
고객단말(110)은 레시피정보를 고객에게 출력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단말(110)을 통해 레시피정보를 스캔(scan)할 수 있다. 고객은 특정 레시피들에 대한 레시피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고객은 어느 하나의 스캔된 레시피정보를 직접 선택하여 해당하는 레시피를 요청할 수 있거나 혹은 본인의 정보를 서버(120)로 보내서 적합한 레시피를 추천받을 수 있다. 특히 후자의 방식의 경우 고객단말(110)은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고객정보를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S215 단계). 고객정보는 레시피 추천(또는 매칭)을 위한 기준으로 기능할 수 있는데, 고객의 선호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정보는 나이, 비만도, 요리시간 및 재료접근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정보에 적합한 레시피를 서버(120)로부터 추천받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러면 서버(120)는 고객단말(110)로부터 획득한 고객정보와 매칭되는 레시피를 결정할 수 있다(S217 단계). 서버(120)는 고객정보를 매칭의 대상인 레시피 후보들과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20)는 고객정보의 항목-예를 들어 나이, 비만도, 요리시간 및 재료접근성 등-에 대하여 레시피 후보들 각각의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적합도를 산출하는 방식은 후술하도록 한다.
서버(120)는 고객정보에 매칭되는 레시피를 포함하는 매칭정보와 레시피에 활용되는 상품 즉, 판매자가 취급하는 다진 생선 관련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고객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S219 단계). 고객은 매칭정보 및 상품정보를 통해 레시피 및 레시피에 이용되는 다진 생선 관련 상품을 확인하고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고객이 레시피를 구매하고자 하면 서버(120)의 추천을 수락할 수 있다(S221 단계). 여기서 수락은 레시피 뿐만 아니라 다진 생선 관련 상품도 함께 구매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 구매를 통해 다진 생선 관련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는 목적에 따라 고객은 레시피를 구매할 때 다진 생선 관련 상품도 같이 구매하도록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고객은 고객단말(110)을 통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고객단말(110)은 서버(120)에 수락정보와 함께 결제작업의 진행을 요청할 수 있다(S221 단계).
결제가 완료되면, 서버(120)는 구매된 레시피를 제공한 회원에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S223 단계). 서버(120)는 회원단말(130)에 리워드-예를 들어 마일리지 또는 포인트 등-를 전송할 수 있다. 리워드는 다진 생선 관련 상품을 구매하는데 이용되거나 커뮤니티 내에서 회원간 교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다진 생선 관련된 상품을 활용한 레시피를 제공한 회원들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레시피의 제안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는 이 레시피를 잠재적 고객에게 판매함으로써 동시에 그 고객이 다진 생선 관련 상품도 구매하도록 촉진할 수 있다.
한편 서버(120)는 다진 생선 관련 상품의 배송에 대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S225 단계). 서버(120)는 물류센터에 다진 생선 관련 상품의 배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동시에 서버(120)는 고객단말(110)에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다(S227 단계). 다진 생선의 구매는 본 단계에서 완료되지만, 추가적으로 고객은 다진 생선 관련 커뮤니티에 회원으로서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S229 단계). 고객은 서버(120)의 운영자 또는 상품의 판매자에 회원의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고객단말(110)은 서버(120)에 회원가입의 신청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하여 레시피에 대한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세부적인 방법이 도시될 수 있다.
서버는 회원단말로부터 레시피를 획득 또는 제공받을 수 있다(S301 단계). 서버는 이 레시피에 대하여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먼저 서버는 이 레시피에 상품을 설명하는 키워드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03 단계). 상품을 설명하는 키워드는 상품속성으로서 상품명, 상품명의 포괄명칭 또는 세부명칭, 상품의 형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진 생선이라는 상품은 생선, 대구, 가자미, 새우 등을 세부명칭으로 포함할 수 있고, 다짐, 으깸, 조림 등을 상품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레시피의 재료 및 조리순서에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도 5 참조).
키워드가 레시피에서 추출되지 않으면, 서버는 레시피에 대하여 상품과의 관련성을 부정하고 검증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S303 단계의 NO 및 종료). 키워드가 레시피에서 추출되면, 서버는 잠정적으로 레시피가 다진 생선과 관련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는 추출의 빈도를 판단할 수 있다(S303 단계의 YES 및 S305 단계). 서버는 추출의 빈도를 통해서 관련성을 더욱 엄격하게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워드의 빈도가 임계값이상이면, 서버는 레시피에 대한 다진 생선과의 관련성을 인정하고, 검증을 완료할 수 있다(S305 단계의 YES 및 S307 단계). 키워드의 빈도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서버는 레시피에 대한 다진 생선과의 관련성을 부정하고, 검증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S305 단계의 NO 및 종료). 그리고 서버는 상품과의 관련성이 인정된 레시피를 고객에게 제공할 레시피로 선정할 수 있다(S309 단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하여 레시피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회원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레시피에 우선순위(또는 우선점수)를 부여하기 위하여 회원의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렇게 산정된 우선순위(또는 우선점수)는 서버가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레시피를 매칭하는데 있어서 이용될 수 있다. 서버는 우선순위(또는 우선점수)가 높은 레시피를 매칭의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고객정보와 매칭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레시피를 제공한 회원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다. 기여도는 본 서비스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서비스는 다진 생선을 판매하는 것이 본래의 목적이지만, 다진 생선을 활용한 다양한 레시피를 커뮤니티의 회원으로부터 제공받고 이 레시피를 필요로 하는 고객이 레시피를 구매하면서 동시에 다진 생선도 함께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주된 목적일 수 있다. 그래서 기여도의 평가항목은 상품과 레시피의 측면으로 대별되고, 상품의 측면은 상품구매빈도 및 상품구매금액을 포함할 수 있고 레시피의 측면은 가입기간, 레시피제공빈도 및 레시피선정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항목은 회원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서버는 회원정보에 포함된 상품구매빈도, 상품구매금액, 가입기간, 레시피제공빈도 및 레시피선정빈도를 가지고 각 회원의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각 평가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회원정보에 따른 평가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서버는 가중치가 적용된 각 평가항목을 합하여 기여도(총점)를 최종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서비스의 취지는 고객이 레시피를 구매하게 함으로써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점에서, 레시피의 측면 중 레시피제공빈도 및 레시피선정빈도에 가중치가 높게 책정될 수 있다. 특히 레시피가 선정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될 수 있다. 이것은 그만큼 회원들이 양질의 레시피를 제공하게 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1~4가 각각 레시피1~4를 제안한 경우, 서버는 상품구매빈도, 상품구매금액, 가입기간, 레시피제공빈도 및 레시피선정빈도에 대하여 회원1~4의 회원정보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순서대로 0.1, 0.1, 0.1, 0.3, 0.4 가 될 수 있다. 테이블의 칸에는 각 회원의 점수가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서버는 각 항목에 대한 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맨 우측에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1이 6.3으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얻을 수 있다(0.1 + 0.4 + 0.2 + 2.4 + 3.2 = 6.3). 회원1은 상품구매빈도에서 회원2 보다 낮은 점수를 획득했지만, 레시피선정빈도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해서 훨씬 높은 기여도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즉 상품의 구매보다는 회원의 창작을 중시하는 레시피에 초점을 맞춘 평가방식이 제시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정보의 예시가 도시될 수 있다. 레시피정보는 레시피를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따라 레시피를 대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항목은 나이, 비만도, 요리시간 및 재료접근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객이 레시피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특히 다진 생선은 육류에 비하여 기름기가 적은 고단백질 식품이기 때문에, 가시를 제거함으로써 먹기에 편리할 수 있다. 그래서 다진 생선은 주로 영아, 유아, 소아 또는 환자와 같이 영양분 섭취가 필요한 사람들에 의하여 섭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사람들이 레시피를 선택해야하므로, 그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는 나이, 비만도, 요리시간 및 재료접근성 등이 상기 항목에 포함될 수 있다. 나이는 어느 한 레시피에 따른 음식이 해당 연령에 적함함을 나타내고, 상의 비만도는 이 레시피가 고도비만인 사람에 적합함을 나타내고, 요리시간은 이 레시피에 따라 음식이 조리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재료접근성은 이 레시피에 필요한 재료가 상점에서 바로 획득될 수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서버는 레시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레시피에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적용하여 단어 또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외부에서 음성으로 입력된 레시피에 자연어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와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단어 또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는 단어 또는 키워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나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레시피에 따른 칼로리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비만도에 대응하는 정보 역시 레시피에 따른 칼로리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요리시간을 특정 키워드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재료접근성을 특정 키워드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와 같이 레시피가 ‘대구살 감자 당근볼’이라할 때, 그 재료는 ‘감자 1개(150g), 당근 30g, 대구다짐살 60g’이고, 그 조리순서는 ‘1. 감자, 당근은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기고 적당히 썰어 찜기에 푹 찐다. 2. 익은 감자와 당근을 볼에 넣고 으깨준다. 3. 대구다짐살을 넣고 잘 반죽해준다. 4. 동그랗게 빚어 에어프라이어에 160℃ 15분 돌려준다.’가 될 수 있다.
서버는 ‘재료’에서 감자 1개(150g), 당근 30g, 대구다짐살 60g에 대한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서버는 다양한 재료에 대한 칼로리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이 저장된 정보를 가지고 무게에 비례하여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레시피의 칼로리가 소정의 범위에 있으면-칼로리가 일정값 미만으로 매우 낮으면-, 서버는 영아 또는 유아용 레시피로 결정하고, 나이를 0~5세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레시피의 칼로리가 일정값 미만으로 매우 낮으면, 서버는 고도 비만인 사람에게 다이어트 식품으로 적당하다고 결정하고, 비만도를 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조리순서’에서 ‘썰어, 찐다, 으깨, 15분’과 같은 특정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 키워드에 따른 행위가 소요되는 시간을 각각 계산할 수 있다. 서버는 모든 시간을 합하여 레시피의 총 요리시간을 30분(0.5hr)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다양한 재료에 대한 판매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고, 판매장소, 판매빈도에 따라 그 재료에 대한 접근성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는 레시피에서 감자, 당근, 대구다짐살을 추출하고 이들이 상점에서 자주 판매되는 것을 기반으로 재료접근성을 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하여 고객정보와 레시피를 매칭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고객정보와 레시피를 매칭하는 예시가 도시될 수 있다. 고객정보는 고객의 상태를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정보는 레시피정보와 동일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고객정보에 매칭되는 레시피를 선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도면에서와 같이 고객정보 역시 나이, 비만도, 요리시간 및 재료접근성 등을 항목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는 각각의 레시피정보를 가질 수 있는데, 고객정보의 항목이 레시피정보의 항목과 일치함으로써 서버는 이 항목을 기준으로 고객정보 및 레시피정보의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서버는 고객정보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레시피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레시피정보에 대응하는 레시피를 고객정보에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에서 다양한 방식이 고려될 수 있지만, 서버는 어느 하나의 특정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적합도를 가지는 레시피를 선정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복수의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적합도를 가지는 레시피를 선정할 수 있다. 복수의 항목을 고려할 경우, 서버는 각 항목에 대한 적합도를 누적하고, 최종적인 누적점수가 가장 높은 레시피를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레시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가 어느 한 고객정보에 대하여 레시피A~D에 대하여 나이, 비만도, 요리시간, 재료접근성에 대하여 적합도를 산출한 경우, 레시피C가 가장 높은 적합도를 가질 수 있다. 서버는 고객정보와 레시피C에 대한 레시피정보를 가지고 각 항목별로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고객정보가 레시피정보와 범위에서 모두 정확하게 일치하면, 적합도는 만점인 1이 될 수 있고, 오차의 정도에 따라 적합도는 낮아질 수 있다. 이렇게 산정된 각 항목의 적합도는 0.9, 0.5, 0.7, 0.3이 되고, 누적점수는 2.4가 될 수 있다. 서버는 레시피C를 고객정보에 매칭하여 매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매칭정보를 고객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서버는 고객정보와 매칭할 대상-예를 들어 레시피A~D-을 선정하기 위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레시피A~D는 각 회원에 의하여 제공되었는데, 서버는 각 회원의 기여도를 평가하고 이에 기반한 우선순위 또는 우선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서버는 회원들이 제공한 레시피 중에서 높은 우선순위 또는 우선점수를 가지는 레시피를 매칭할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레시피A~D는 회원들이 제공한 레시피 중에서 우선순위 또는 우선점수가 높은 레시피들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고객이 다진 생선 관련 레시피를 구매하도록 함으로써 다진 생선을 판매를 유도할 수 있다. 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은 레시피 추천 및 판매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는 프로세서(121), 메모리(122), 통신인터페이스부(123) 및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서버(12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서버(12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통신인터페이스부(123)는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인터페이스부(123)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는 서버, 스마트폰, 태블릿 및 PC 등일 수 있다. 통신인터페이스부(123)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 등일 수도 있다. 또한,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모듈, 유선 통신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인터페이스부(123)는 무선랜(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WFD(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red La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3G, 4G, 및 5G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4)는 사용자로부터 서버(120)를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받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 및 출력하도록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4)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2)에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22)에는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2)에는 서버(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서버(1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메모리(12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22)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데이터 또는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22)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메모리(122)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회원단말로부터 생선류를 포함하는 레시피를 제공받고, 상기 레시피에 다진 생선이 활용되는지를 판단하는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레시피를 고객에게 제공될 레시피로서 선정하고, 상기 레시피를 설명하는 레시피정보를 고객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레시피의 구매를 수락하기 위한 수락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상기 고객단말에 제공하는 동시에 다진 생선을 포함하는 상품의 배송을 수행하며,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제공한 회원단말에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의 양상들은 컴퓨터에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문맥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루틴들, 프로그램들, 오브젝트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하며, 이는 특정 태스크들 또는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들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의 양상들은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들에서 또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들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타입들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들은,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그램 특정 집적 회로들(ASIC, program-specific integrated circuit), 애플리케이션 특정 표준 제품들(ASSP, application-specific standard product), 시스템 온 칩 시스템들(SOC, system-on-a-chip system), 복합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들(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을 포함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7)

  1. 서버에 의하여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에 있어서,
    회원단말로부터 생선류를 포함하는 레시피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레시피에 다진 생선이 활용되는지를 판단하는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검증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레시피를 고객에게 제공될 레시피로서 선정하는 단계;
    상기 레시피를 설명하는 레시피정보를 고객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레시피의 구매를 수락하기 위한 수락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상기 고객단말에 제공하는 동시에 다진 생선을 포함하는 상품의 배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제공한 회원단말에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단말에 대응하는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회원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기여도에 기반하여 상기 레시피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로서, 상기 우선순위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레시피정보를 결정하거나 고객정보와 매칭되는 레시피를 결정하는, 상기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레시피에 상기 상품의 속성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가 추출된 건수가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건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품과의 관련성을 인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고객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매칭하여 상기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레시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레시피를 포함하는 매칭정보와 상품정보를 상기 고객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정보는, 상기 레시피를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고객정보는, 상기 레시피정보와 동일한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고객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정보의 항목과 상기 레시피정보의 항목을 기준으로 상기 고객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매칭하는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
  6.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서버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회원단말로부터 생선류를 포함하는 레시피를 제공받고,
    상기 레시피에 다진 생선이 활용되는지를 판단하는 상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레시피를 고객에게 제공될 레시피로서 선정하고,
    상기 레시피를 설명하는 레시피정보를 고객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레시피의 구매를 수락하기 위한 수락정보와 상기 레시피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상기 고객단말에 제공하는 동시에 다진 생선을 포함하는 상품의 배송을 수행하며,
    상기 구매된 레시피를 제공한 회원단말에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서버.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220155284A 2022-11-18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73450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3450A true KR20240073450A (ko) 2024-05-2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5619B2 (ja) 栄養摂取量のユーザ特異的な調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90304000A1 (en) Online food and beverage search method based on food to biomarker optimization algorithms in a node ranked database
Li et al. Nutrition-related mobile apps in the China app store: assessment of functionality and quality
CN104994747A (zh) 用于提供风味建议和增强的系统和方法
KR20200119657A (ko) 건강관리를 고려한 메뉴 기반 식재료 주문 시스템 및 방법
Hamid et al. Determining basic food quality using SAW
WO2022180891A1 (ja) 情報提示方法、プログラム、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Anderson A survey of food recommenders
Donatelli et al. Aligning actions across recipe graphs
KR20230056533A (ko) 샐러드 메뉴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Vivilyana et al. JomImage: Weight control with mobile snapfudo
Amiri et al. Personalized Flexible Meal Planning for Individuals With Diet-Related Health Concerns: System Design and Feasibility Validation Study
Xavier et al. An island-based hybrid evolutionary algorithm for caloric-restricted diets
KR20240073450A (ko) 레시피 제공을 통하여 다진 생선의 판매를 촉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732152B1 (ko) 개인 맞춤형 다이어트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075139A (ko)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 및 이를 이용한 밀키트 상품 제공 방법
US20200394727A1 (en) Food ordering system based on predefined variables
Lanzola et al. A Novel Algorithm for the Design of Ketogenic Meals
US119291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nutrimental artifacts on a user device
US117760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factorial physiologically informed refreshment sel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2023040997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factorial physiologically informed refreshment sel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kaya et al. Designing Mobile Phone Text Messages Using the Behavior Change Wheel Framework to Influence Food Literacy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in Kenya: Protocol for a Systematic Development Study
KR20220075140A (ko)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식재료 및 양념 선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밀키트 상품
Elliott The Expert in the Aisles: Exploring supermarket narratives in Coles and Woolworths magazines from 2009-2018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KR20240069661A (ko) 맞춤형 식이를 설계하기 위한 서버 및 방법